KR20230130206A -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과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 제어에 효과적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과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 제어에 효과적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206A
KR20230130206A KR1020220026924A KR20220026924A KR20230130206A KR 20230130206 A KR20230130206 A KR 20230130206A KR 1020220026924 A KR1020220026924 A KR 1020220026924A KR 20220026924 A KR20220026924 A KR 20220026924A KR 20230130206 A KR20230130206 A KR 20230130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teriophage
salmonella
kfs
present
bacteriophage kf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경
김수현
이희정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206A/ko
Priority to US18/177,369 priority patent/US20230277610A1/en
Publication of KR2023013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2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6Viruses; Subviral particles; Bacterioph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40Viruses, e.g. bacterioph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1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95/00Bacteriophages
    • C12N2795/00011Details
    • C12N2795/00021Viruses as such, e.g. new isolates, mutants or their genomic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95/00Bacteriophages
    • C12N2795/00011Details
    • C12N2795/00031Uses of virus other than therapeutic or vaccine, e.g. disinfec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95/00Bacteriophages
    • C12N2795/00011Details
    • C12N2795/10011Details dsDNA Bacteriophages
    • C12N2795/10111Myoviridae
    • C12N2795/10121Viruses as such, e.g. new isolates, mutants or their genomic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95/00Bacteriophages
    • C12N2795/00011Details
    • C12N2795/10011Details dsDNA Bacteriophages
    • C12N2795/10111Myoviridae
    • C12N2795/10131Uses of virus other than therapeutic or vaccine, e.g. disinfec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95/00Bacteriophages
    • C12N2795/00011Details
    • C12N2795/10011Details dsDNA Bacteriophages
    • C12N2795/10111Myoviridae
    • C12N2795/10132Use of virus as therapeutic agent, other than vaccine, e.g. as cytolytic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95/00Bacteriophages
    • C12N2795/00011Details
    • C12N2795/10011Details dsDNA Bacteriophages
    • C12N2795/10111Myoviridae
    • C12N2795/10151Methods of production or purification of viral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및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에 특이적인 사멸능을 갖는 신규 박테리오파지 KFS-ST3, 상기 박테리오파지를 포함하는 살모넬라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살모넬라균에 특이적 사멸능을 가지는 반면, 유익균은 사멸시키지 않고 내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및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으로부터 유발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생용 조성물, 사료 첨가용 조성물, 소독제, 또는 세척제등 에도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과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 제어에 효과적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Novel bacteriophage effective for controlling Salmonella Typhimurium and its derived biofilm, and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과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 제어에 효과적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과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에 효과적인 제어능을 가지고 있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KFS-ST3, 상기 박테리오파지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사료, 소독제 또는 세척제, 항생용 조성물 및 상기 박테리오파지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에 의한 감염성 질병 및 바이오필름의 예방 또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살모넬라(Salmonella)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그람음성의 통성혐기성 세균이며 아포를 형성하지 않는 간균으로 사람·동물 및 조류의 장내뿐만 아니라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병원성 미생물이다. 살모넬라는 사람뿐만 아니라 돼지, 소, 닭 등을 비롯한 다양한 가축에 감염되어 질병을 발병시킬 수 있는 인수공통전염병의 병원체다. 사람에게 감염 시 식중독을 발병시켜 설사, 구토, 복통, 발열 심하게는 관절염 등의 만성질환을 유발하고 돼지, 소, 닭 등 가축에는 살모넬라증(Salmonellosis)을 유발하여 급성 및 만성 감염증을 발병시키는데 주로 오염된 사료, 물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감염된다. 살모넬라균(Salmonella spp.)은 크게 2가지의 종(species)인 살모넬라 엔테리카(S. enterica) 또는 살모넬라 봉고리(S. bongori)로 분류되며, 그 중 대부분의 속은 살모넬라 엔테리카로 생화학적 특성에 따라 6종류의 아종(subspecies)으로 분류된다. 살모넬라균은 생화학 시험을 통해 살모넬라 종을 동정한 후, Kauffmann-White의 항원표에 따라 혈청형(serovar)을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균주명을 표기하며, 현재까지 약 2,659 여종의 혈청형이 보고되었다. 이중 특히 식중독과 관련되는 주요 혈청형은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 Enteritidis),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 Typhimurium), 살모넬라 타이피(S. Typhi) 등으로 주로 식육이나 난류, 신선식품에 감염되어 발병한다.
일부 살모넬라는 생존이 어려운 조건에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생물막(바이오필름, biofilm)을 형성하며, 생물막은 미생물 세포와 이 미생물 세포가 배양 중 생성한 다당류, 핵산 및 단백질과 같은 세포외 고분자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다. 형성된 바이오필름은 식품, 가공 공정 중의 stainless steel 등 다양한 표면에 강하게 부착하여 제거하기가 어렵고, 바이오필름 특유의 생리학적 및 물리학적 매트릭스 장벽으로 인하여 가열, 세척 등의 공정이나 가혹한 환경(pH, 온도 등), 항생제 등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보이기 때문에 식품 가공 공정 중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바이오 필름과 연관된 감염은 치료가 어렵고, 생물막 내의 고착 박테리아는 부유 박테리아(planktonic bacteria)에 비하여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더 강하여 통상적인 항생제 요법으로는 제어가 힘들 뿐만 아니라 산업계 및 의학계 전반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및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는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현재 살모넬라 감염증 및 이의 유래 바이오 필름을 예방 및 제어하기 위해 항생제를 포함하는 화학적 약제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살모넬라는 동물에 감염 시 세포 내에 침투하여 증식하고 감염하는 경우가 많아 항생제나 약제, 기타 생균제가 침투하여 작용하기는 어려우며, 최근 많은 분야에서 항생제 내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원인을 항생제 오남용으로 규명하고 항생제를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또한, 안전한 먹거리와 식품의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점차 항생제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생물학적 방제 기술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으며, 그 중 특히 세균을 특이적이고 효과적으로 사멸하는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는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는 세균을 특이적으로 감염(infection)시켜 감염된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저해하는 바이러스로 항생제와 비교해 숙주특이성이 높고 온도, pH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대해 비교적 안정하다. 주로 용원성(lysogenic)과 용균성(lytic) 생활사를 가지는데, 이 중 용균성 박테리오파지는 박테리아에 감염(infection)한 후 박테리아 세포 내부에서 유전물질의 복제 및 조립 후, 자손 박테리오파지들이 박테리아 밖으로 나올 때 숙주인 박테리아의 세포벽을 파괴하는 방식으로 기존 합성 항생제의 기작과는 다르므로 기존 합성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에 관계없이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 미생물이 형성한 바이오필름의 제어에도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한 발명은 항생제 대비 개발시간이 짧고 개발비용이 적으며, 높은 특이성, 지속성 및 부작용 등의 측면에서 우위가 인정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특이성 및 용균 활성이 우수한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여 살모넬라와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을 제어하고, 이에 의한 감염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박테리오파지의 분리와 정제 및 이의 응용에 관한 기술 개발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시료로부터 다양한 혈청형의 살모넬라 균주(strain)만을 특이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파지를 분리 및 정제하고, 이를 KFS-ST3로 명명하였다. 또한, KFS-ST3에 대한 특성 검토 실험을 통하여 높은 살모넬라(Salmonella spp.)에 대한 살균 및 정균효과와 온도, pH 안정성을 가지며 분류학상 아크만비리대(Ackermannviridae)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신규한 박테리오파지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0-2020-0059626
본 발명의 목적은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과 이에 의해 형성된 바이오필름에 특이적인 제어능을 갖는 신규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포함하는, 항생용 조성물, 사료 첨가용 조성물, 사료, 소독제 또는 세척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및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에 특이적인 사멸능을 갖는, 신규 박테리오파지 KFS-ST3(기탁번호 KCTC 14872BP)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오파지는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eritidis), 살모넬라 미션(Salmonella Mission), 살모넬라 하트포드(Salmonella Hartford) 및 살모넬라 센프텐버그(Salmonella Senftenberg)에 대해 추가적으로 사멸능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오파지는 pH 3.0 내지 pH 11.0의 범위에서 용균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오파지는 -20˚C 내지 60˚C 범위에서 용균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독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척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모넬라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모넬라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과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을 특이적으로 사멸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기존의 항생제 등의 화학물질에 비해 살모넬라균에 대한 특이성이 매우 높고, 살모넬라균에 감염하여 증식함으로써 용균 활성이 우수하고 물리화학적 자극에 강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내산성, 내열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온도, pH 범위에서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및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에 의한 감염성 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사료 첨가제, 소독제 또는 세척제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 또는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를 제공하여, 항생제 내성균의 문제점, 식품 내의 항생제의 잔류 문제, 광범위한 숙주 범위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또는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항생용 조성물, 사료 첨가용 조성물, 사료, 소독제 또는 세척제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에 대한 용균반 형성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형태학적 특성을 전자 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열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pH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살모넬라균 타이피뮤리움에 대한 살균 및 정균효과를 검토한 챌린지 어세이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기주균주인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의 바이오필름 형성능을 검토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형성된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바이오필름의 제어능을 검토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는 경상북도 군위 소재의 도축장의 도축폐수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분리한 박테리오파지로서, 박테리오파지 KFS-ST3로 명명하고 2022년 02월 23일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번호 KCTC 14872BP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은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과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에 특이적인 사멸능을 갖는, 기탁번호 KCTC 14872BP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는 특정 세균에 감염하여 당해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저해하는 세균 특이적 바이러스로, 단일 혹은 이중 사슬의 DNA 또는 RNA를 유전 물질로 포함하는 바이러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및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에 대해 용균활성이 탁월하며,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각이 진 머리와 꼬리를 갖는 형태인 아크만비리대(Ackermannviridae)에 속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및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에 대한 특이적 용균 활성, 내산성, 내염기성 및 내열성은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및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함에 있어, 다양한 온도 및 pH 범위의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pH 3.0 내지 pH 11.0의 범위 내에서 용균 활성이 유지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20˚C 내지 60˚C의 범위 내에서 용균 활성이 유지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포함하는, 살모넬라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포함하는, 항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생용 조성물"은 약제 형태로 동물에게 제공되어 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제제를 의미하며, 방부제, 살균제, 항생제 및 항균제를 총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기존 항생제에 비하여 살모넬라균에 대한 감염성 질병에 대한 특이성이 높으므로, 유익균은 죽이지 않고, 특정 병원균만 사멸시킬 수 있고, 약물 내성 내지 저항성을 유도하지 않아, 기존의 항생물질에 비하여 제품수명(life cycling)이 긴 신규 항생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는 살모넬라균(Salmonella) 에 속하는 균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살모넬라 속(Salmonella spp.) 에 속하는 균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이며,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살모넬라 균주 중, S. Enteritidis, S. Mission, S. Hartford, S. Senftenberg, S. Typhimurium에 대한 용균 활성이 있으며 특히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에 대하여 용균 활성이 가장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살모넬라 균은 병원성을 가지는 것으로 감염 시, 식중독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는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는 살모넬라 균, 특히 병원성 살모넬라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축산업이나 수산업에서 사용되는 사료 첨가용 항생제는 질병의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예방 목적의 항생제 투여는 내성균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가축에 잔류하는 항생제가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어서 문제가 되었으며, 항생제가 육류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면 항생제 내성을 유발해 질병의 확산을 부를 수도 있다. 또한, 사료에 섞여 먹이는 항생제의 종류가 많고 이는 다제 내성균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자연 친화적이면서도 기존 항생제의 사용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사료 첨가용 항생물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는 비병원성의 다른 미생물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첨가될 수 있는 미생물로는 단백질 분해 효소, 지질 분해효소 및 당 전환 효소를 생산할 수 있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같은 고초균, 소의 위와 같은 혐기적 조건에서 생리적 활성 및 유기물 분해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균주(Lactobacillus spp.), 가축의 체중을 증가시키며 우유의 산유량을 늘리고 사료의 소화 흡수율을 높이는 효과를 보여주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같은 사상균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 (Saccharomyces cerevisiae)와 같은 효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포함하는 사료에는 식물성으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곡물부산물류 등이 있으며, 동물성으로는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 동물성 플랑크톤류, 남은 음식물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는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결착제, 유화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효용 증대를 위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효소제, 생균제, 향미제, 비단백태질소화합물, 규산염제, 완충제, 착색제, 추출제, 올리고당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사료 혼합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포함하는, 소독제를 제공한다.
살모넬라균에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포함하는 소독제는 병원감염을 막기 위한 병원 및 보건용의 소독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일반 생활 소독제, 식품 및 조리 장소 및 설비의 소독제, 양식장 등의 건물, 축체, 음수, 깔짚, 난좌, 운반차량, 식기 등의 각종 생육 용품의 소독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포함하는, 세척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살모넬라균에 특이적 사멸능을 가지므로, 상기 살모넬라균에 노출되었거나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동물의 피부 표면 또는 신체 각 부위 등을 세척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모넬라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살모넬라균에 특이적인 사멸능을 가지므로, 살모넬라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살모넬라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은 상기 질병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 예컨대 복통, 설사, 구토, 발열, 두통과 같은 일반적인 식중독 증상을 포함한다. 또한, 임신부, 영유아, 노인과 면역능력이 저하된 환자들의 경우 패혈증, 뇌염 및 수막염, 뇌 농양 등과 같은 중추신경계 증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또는 어류를 말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 이란 조성물의 투여로 질병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병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상기 질병의 억제 또는 경감 및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용어 "가축류"란 인간에 의하여 순화, 개량되어 사람과 함께 공동생활을 하는 유용한 동물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돼지, 소, 닭, 말, 오리 또는 개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에 투여되는 상기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특정 개체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동물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배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103 ~ 1010 PFU/ml의 박테리오파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06 ~ 109 PFU/ml의 박테리오파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PFU(plaque forming unit)"는 박테리오파지가 세균 사멸 후 나타나는 용균반을 수치화한 단위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되는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제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제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규한 박테리오파지의 분리 및 배양
1-1.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에 감염하는 박테리오파지의 스크리닝 및 단일 박테리오파지의 분리
시료로부터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에 특이적인 박테리오파지를 스크리닝 및 분리하기 위해서 소프트 아가 오버레이(soft agar overlay) 방법을 수행하였다. 소프트 아가 오버레이 방법은 시료와 기주균주를 혼합 및 배양하여 용균반의 형성을 통해 박테리오파지의 존재 유무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경상북도 군위 소재의 도축장으로부터 수득한 도축폐수 25 ml를 시료로 준비하고, 이를 기주 균주와 혼합 및 배양하였다. 이후, 탑-아가(top-agar, 0.4%) 배지와 기주균주를 혼합하고 고체 배지 위에 분주 및 배양하였으며, 그 위에 상기 배양한 시료액을 점적하여 배양한 용균반의 형성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TSB 배지 225 ml에 샘플 시료(액) 25 ml와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ATCC 13311 진탕 배양액 (OD640 = 0.353) 1%를 혼합하고 이를 37˚C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상기 배양액을 8,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그 상등액을 0.25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그 다음, TSA 평판 배지 상부에 TA 소프트 아가 (0.4%(w/v) 아가, 영양배지, NaCl, MgSO4, CaCl2) 4 ml와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ATCC 13311 진탕 배양액 (OD640 = 0.353) 200 μl을 넣은 혼합액을 부어 굳힌 후, 그 위에 상기 시료액 10 μl를 적가하고 37˚C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여 투명환(clear zone)의 형성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박테리오파지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균반을 형성을 확인하여 박테리오파지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상기 박테리오파지는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에 특이적인 용균능을 갖는 박테리오파지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형성된 용균반으로부터 단일 박테리오파지를 분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균반을 900 μl의 ST3 완충용액(50 mM Tris-HCl, 100mM NaCl, 10mM MgSO4)에 넣은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여 박테리오파지 용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박테리오파지 용액으로 용균반 분석을 재실시하였고, 이와 같은 과정을 형성된 용균반의 크기 및 모양이 모두 유사하게 될 때까지 최소 10회 이상 반복 실시하여 단일 박테리오파지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일 박테리오파지의 용균반 형성을 확인한 결과를 도 1B에 나타내었다.
1-2. 박테리오파지의 대량 배양 및 정제
상기 실시예 1-1에서 확인한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에 특이적인 박테리오파지를 대량 배양하기 위하여,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ATCC 13311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배양하고 이로부터 박테리오파지를 정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주 균주(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ATCC 13311)을 진탕 배양하여 TA 배양액(nutrient broth, NaCl, MgSO4, CaCl2) 3 ml에 분주한 후, 2시간 동안 37˚C에서 배양시켰다.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박테리오파지를 분주하여 2시간 배양시킨 후, 원심분리 후 필터링하여 박테리오파지만을 분리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TA 배양액의 양을 증가(8, 20, 200, 800 ml의 순서)시켜가며 진행하였다. 그 다음 최종 농도가 10%(w/v)가 되도록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과 1M NaCl을 가한 후 4˚C에서 16시간 동안 정치한 후, 4˚C에서 8,000 rpm으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정제된 파지는 CsCl 밀도 구배 울트라원심분리(밀도 구배: 1.20, 1.30, 1.40, 1.45, 1.50, 1.70g/ml; 22,000rpm; 2시간; 4˚C)하고, ST3 완충용액(50 mM Tris-HCl, 100mM NaCl, 10mM MgSO4)에서 투석한 후 사용 전까지 4˚C의 암소에 보관하였다.
이와 같이 분리된 박테리오파지를 “박테리오파지 KFS-ST3 (Bacteriophage KFS-ST3)"로 명명하고, 2022년 02월 23일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한국)에 기탁하고, 기탁번호 KCTC 14872B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2>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형태학적 특성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형태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을 수행하였다.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구리 그리드에 로드(load)한 후에, 2% 우라닐 아세테이트로 음성 염색하고 건조하였다. 전자현미경 촬영은 경북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에서 수행하였고,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형태는 H-7100 (Hitachi)를 이용해 100 kV의 전압으로 관찰한 후,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테리오파지 KFS-ST3에서 각이 진 머리(icosahedral head)와 수축성 꼬리(tail)가 관찰되었으므로 마이오바이러스(Myovirus)의 형태학적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실시예 3>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열 안정성 조사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열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온도 범위(-70˚C, -20˚C, -10˚C, 4˚C, 10˚C, 20˚C, 30˚C, 40˚C, 50˚C, 60˚C, 70˚C)에서 KFS-ST3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03 × 108 PFU/ml 농도의 박테리오파지 KFS-ST3 용액 100 μl와 TSB 배지용액 900 μl를 혼합한 후, 각각의 온도(-70˚C, -20˚C, 4˚C, 10˚C, 25˚C, 37˚C, 50˚C, 60˚C, 70˚C)에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정치하였다. 한 시간 반응 시킨 KFS-ST3을 소프트 아가 오버레이 방법을 이용하여 37˚C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잔존하는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20 ~ 60˚C에서는 안정하였으며 -70˚C에서는 약 1 log 만큼, 70˚C에서는 약 3 log 만큼 활성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내열성이 비교적 우수한 박테리오파지이므로, 사료 첨가제나 항균 조성물로 이용할 경우 박테리오파지의 제형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대해 안정적으로 제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pH 안정성 조사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pH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pH 범위(pH 1, 2, 3, 4, 5, 6, 7, 8, 9, 10, 11, 12)의 TSB 배지 900 μl와 1.03 × 108 PFU/ml 농도의 박테리오파지 KFS-ST3 100 μl를 혼합한 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정치하였다. 한 시간 반응 시킨 KFS-ST3을 소프트 아가 오버레이 방법을 이용하여 37˚C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잔존하는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 3.0 내지 pH 11.0의 범위에서는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활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pH 3.0 ~ 11.0의 범위에서 그 활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으므로 pH 안정성이 우수한 박테리오파지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챌린지 어세이 분석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ATCC 13311을 TSB 100 ml에 접종하고 190 rpm으로 37˚C에서 3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액의 흡광도 값이 640 nm에서 약 0.353에 도달하면 (108 CFU/ml), KFS-ST3 현탁액 1 ml를 MOI 0.1, 1, 10, 100으로 맞추고 37˚C에서 110 rpm으로 12 시간 동안 배양하여 파지의 용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살모넬라균을 첨가하지 않은 KFS-ST3 배양액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초기 균의 농도는 희석 후 6 Log CFU/mL 값으로 하여, 2 시간 간격으로 생균수 측정을 하였으며,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MOI와 관계없이 0.1, 1, 10, 100 모두에서 8시간동안 용균활성이 지속되었다. 모듬 MOI 0.1에서 파지 처리 2시간 경과 후 KFS-ST3의 용균활성이 가장 활발함을 확인하였으며, MOI가 증가할수록 저해능 또한 증가하였고 특히 MOI 1000에서 약 2.4 log 수준의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기주 균주의 바이오필름 형성능 분석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기주균주인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ATCC 13311를 대상으로 바이오필름 형성능을 분석하였다.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ATCC 13311을 640 nm에서 흡광도 값이 0.353이 되도록 배양한 뒤(108 CFU/ml), 106 CFU/ml으로 단계 희석하였다. 상기 희석한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의 배양액을 코니칼 튜브에 1 ml씩 분주한 후, 25˚C에서 48시간 동안 정치 배양하여 바이오필름을 형성하였다. 배양 후, 균주 배양액을 제거하고 1 ml의 PBS로 3회 세척해 준 다음 코니칼 튜브를 2 ml의 1%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으로 15분 동안 염색함으로써 바이오필름 형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A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형성된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바이오필름의 제어능 분석
상기 실시예 6에서 형성된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기주균주인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ATCC 13311의 바이오필름에 KFS-ST3를 처리하여 바이오필름 제어능을 분석하였다. 더 자세하게는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1 ml의 인산완충식염수로 3회 세척한 후, 박테리오파지 KFS-ST3(109 PFU/ml)를 바이오필름이 형성된 코니칼 튜브에 각각 분주하고 25°C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며 배양하였다. KFS-ST3의 제어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우선 배양 2시간 동안 30분 간격으로 샘플을 수득하여 균주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PBS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해주었다. 코니칼 튜브를 2 ml의 1%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으로 15분 동안 염색하고 멸균된 증류수로 3회 세척한 후, 에탄올로 염색된 바이오필름을 용해시키고(도 6B), 이를 흡광도(OD 600nm)를 측정하여 바이오필름 제거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바이오필름 내의 생존한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30분 간격으로 균주 배양액을 제거한 코니칼 튜브에 1 ml의 PBS를 분주하고 5분 동안 강하게 voertex하여 바이오필름을 분해하였다. 이후 분해된 바이오필름 내의 생존 박테리아 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를 십진 단계 희석하여 XLD 한천 배지 상에 도말 후,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생성된 콜로니를 계수하고 결과를 log CFU/ml으로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흡광도 관측 및 바이오필름 내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생균수 측정 결과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값을 보였으며, 특히 파지 처리1시간 이후 바이오필름 내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은 약 3 log CFU 만큼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바이오필름이 KFS-ST3 처리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도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병원성 균주에 대한 특이성 조사
박테리오파지 KFS-ST3의 살모넬라균 이외의 다른 병원성 식중독 균주에 대한 용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특이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살모넬라균과 기타 병원성 균주 39종을 각각 배양하여 그 배양액을 수득한 후, 각각의 배양액과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이용한 소프트 아가 오버레이 방법을 통해 용균반의 형성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 용균반을 형성한 균주를 대상으로 용균반 분석을 이용하여 efficiency of plating(EOP) 분석을 진행하였다. EOP 값은 아래 수학식 1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균주 명칭 용균반 형성 여부 EOP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3311 O 1.00 ± 0.00
S. Hartford O 0.97 ± 0.05
S. Mission O 0.89 ± 0.03
S. Senftenberg O 0.86 ± 0.09
S. Enteritidis ATCC 13076 O 0.83 ± 0.06
S. Salamae X X
S. Dublin NCCP 13700 X X
S. Heidelberg NCCP 13698yphi X X
S. Montevideo NCCP 13704 X X
S. Newport NCCP 13686 X X
S. Panama NCCP 13694 X X
Bacillus cereus ATCC 13061 X X
B. cereus ATCC 14579 X X
B. cereus ATCC 1611 X X
B. cereus ATCC 21768 X X
Citrobacter freundii KCTC 2509 X X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10536 X X
E. coli ATCC 700599 X X
E. coli O157:H7 ATCC 43895 X X
E. coli ATCC BAA-2192 X X
E. coli ATCC BAA-2196 X X
E. coli NCCP 13581 X X
E. coli NCCP 15651 X X
E. coli NCCP 15732 X X
E. fergusonii KCTC 22525 X X
Listeria monocytogenes ATCC 7644 X X
L. monocytogenes ATCC 19116 X X
L. innocua ATCC 33090 X X
Pseudomonas aeruginosa ATCC 9207 X X
Shigella boydii NCCP 11190 X X
S. flexoneri 2457T X X
S. sonnei ATCC 9290 X X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X X
S. aureus KBN 10P00338 X X
S. aureus KBN 10P04941 X X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X X
Yersinia enterocolitica ATCC 23715 X X
Y. enterocolitica ATCC 55075 X X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총 5종의 살모넬라균 혈청형(S. Enteritidis, S. Mission, S. Hartford, S. Senftenberg, S. Typhimurium)를 제외한 기타 34종의 균주에 대해서는 용균 활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살모넬라균의 다양한 혈청형에 특이적으로 용균활성을 나타내며, EOP 결과를 통해 특히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에 가장 높은 용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이용한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기존의 항생제 등의 화학물질에 비해 살모넬라균에 대해 특이성이 매우 높았고, 용균 활성이 우수하며 물리화학적 환경에 강하고 특히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유래의 바이오필름 제어능 또한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균의 문제점, 식품 내의 항생제의 잔류 문제, 광범위한 숙주범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은 양식 산업 및 축산업 등에서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및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으로부터 유발된 감염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포함하는 감염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들 제제예는 본 발명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제제예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제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의약품의 제조
1-1. 주사제의 제조
박테리오파지 KFS-ST3 1 × 106 PFU/ml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1-2. 액제의 제조
박테리오파지 KFS-ST3 1 × 106 PFU/ml
설탕 20 g
이성화당 20 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 ml로 맞추어 주고,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1-3. 정제의 제조
박테리오파지 KFS-ST3 1 × 106 PFU/ml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동일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국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14872BP 20220223

Claims (10)

  1.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 및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에 특이적인 사멸능을 갖는, 신규 박테리오파지 KFS-ST3(기탁번호 KCTC 14872B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오파지는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eritidis), 살모넬라 미션(Salmonella Mission), 살모넬라 하트포드(Salmonella Hartford) 및 살모넬라 센프텐버그(Salmonella Senftenberg)에 대해 추가적으로 사멸능을 갖는 것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KFS-ST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오파지는 pH 3.0 내지 pH 11.0의 범위에서 용균 활성을 갖는 것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KFS-ST3.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오파지는 -20˚C 내지 60˚C 범위에서 용균활성을 갖는 것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KFS-ST3.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독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척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신규 박테리오파지 KFS-ST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모넬라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의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모넬라균에 의한 감염성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KR1020220026924A 2022-03-02 2022-03-02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과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 제어에 효과적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30130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924A KR20230130206A (ko) 2022-03-02 2022-03-02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과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 제어에 효과적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US18/177,369 US20230277610A1 (en) 2022-03-02 2023-03-02 Novel bacteriophage effective for controlling salmonella typhimurium and its derived biofilm, and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924A KR20230130206A (ko) 2022-03-02 2022-03-02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과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 제어에 효과적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206A true KR20230130206A (ko) 2023-09-12

Family

ID=8785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924A KR20230130206A (ko) 2022-03-02 2022-03-02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과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 제어에 효과적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277610A1 (ko)
KR (1) KR202301302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626A (ko) 2018-11-21 2020-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섭식행위 및 섭식내용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시스템,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626A (ko) 2018-11-21 2020-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섭식행위 및 섭식내용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시스템,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77610A1 (en)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genaar et al. Phage therapy reduces Campylobacter jejuni colonization in broilers
Alavandi et al. Evaluation of Pseudomonas sp. PM 11 and Vibrio fluvialis PM 17 on immune indices of tiger shrimp, Penaeus monodon
KR101381795B1 (ko)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381796B1 (ko)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US8821855B2 (en) Methods for isolating phage and for controlling microorganism populations with the phage
US20170189460A1 (en) Novel bacteriophage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CN108471756A (zh) 新型志贺菌噬菌体及其用途
CN113755450B (zh) 一株大肠杆菌噬菌体gn4-1及其应用
KR20150118836A (ko)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3583971B (zh) 一株可同时裂解大肠杆菌的沙门氏菌噬菌体及其应用
KR20150117445A (ko)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5371169B2 (ja) 薬剤耐性菌感染防除剤
KR102203679B1 (ko)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ef44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6262881B2 (ja) 新たなバクテリオファージ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Smirnov et al. Perspectives of the use of bacteriophages in agriculture, food and processing industries
Stefani et al. Salmonella Heidelberg resistant to ceftiofur and disinfectants routinely used in poultry
Zacconi et al. Competitive exclusion of Campylobacter jejuni by kefir fermented milk
Šilha et al. Survival of selected bacteria of Arcobacter genus in disinfectants and possibility of acquired secondary resistance to disinfectants.
KR20230130206A (ko)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과 이의 유래 바이오필름 제어에 효과적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37398B1 (ko) 신규한 살모넬라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sg102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42667B1 (ko) 신규한 살모넬라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st3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42668B1 (ko) 신규한 살모넬라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sg2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71338B1 (ko) 신규한 병원성 대장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ec14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Gibby et al. Use of effective microorganisms®(EM®) for sustainable pathogen control in food safety
KR102193477B1 (ko) 신규한 살모넬라 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st20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