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847A -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847A
KR20230126847A KR1020220024161A KR20220024161A KR20230126847A KR 20230126847 A KR20230126847 A KR 20230126847A KR 1020220024161 A KR1020220024161 A KR 1020220024161A KR 20220024161 A KR20220024161 A KR 20220024161A KR 20230126847 A KR20230126847 A KR 20230126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guide
block
support
fo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윤
Original Assignee
이철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윤 filed Critical 이철윤
Priority to KR102022002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847A/ko
Publication of KR2023012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4Frame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단조용 소재를 정렬하고 이를 성형장치로 이송하되, 소재를 정확한 위치로 설정하여 이송공급 해줌으로서, 성형에 따른 불량률을 최소화시킬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공소재의 사이즈에 맞도록 폭 조절되어 투입되는 가공소재를 정 중앙으로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소재 가이드부(120)와, 정 중앙으로 위치된 가공소재를 소재 승강부로 이송하는 소재 이송부(110)와, 상기 소재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가공소재를 상승시켜 클램핑수단으로 상승시키는 소재 승강부(130)를 포함하는 소재 셋팅수단(100)과,
상기 소재 셋팅수단(100)을 지지하여 상기 소재 셋팅수단의 전후이동과 승하강을 가이드하고, 상단으로 클램핑수단(30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00)과,
상기 지지수단(200)의 상단에 마련되어 소재 셋팅수단(100)에 의해 가공소재가 정위치로 조정되어 소재 승강부(120)를 통해 상승되면 이를 클램핑하여 성형장치로 이송하는 클램핑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Automatic transfer system of forging material}
본 발명은 고온의 단조용 소재를 정렬하고 이를 성형장치로 이송하되, 소재를 정확한 위치로 설정하여 이송공급 해줌으로서, 성형에 따른 불량률을 최소화시킬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조는 기계적 방법으로 압축하중을 가하여 성형부에 위치한 소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금속 가공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재료에서 재결정이 진행되는 온도를 경계로 하여 그 이상의 온도에서 단조하는 것을 열간 단조라 하고, 그 보다 낮은 온도에서 단조하는 것을 냉간 단조라고 한다.
상기 열간 단조는, 1000 내지 1250℃의 고온에 강을 가열해 변형 저항을 적게 하여 작은 힘으로 큰 변형을 주어 조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단련효과를 더해 재질의 개선강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과, 그리고 생산 속도가 빠르므로 생산성이 좋고 복잡한 형상의 성형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단조방법의 하나이다.
여기에서, 상기 단조용 금형의 성형공에 가열된 소재를 공급함에 있어서, 단조용 금형의 성형부에 고온의 소재 공급을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무인 자동화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소재의 공급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열간 단조의 금형으로 소재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재를 단조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한 다음에 가열된 소재를 열간 단조금형의 성형부로 자동 이송시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단조금형으로 이송되는 고온의 소재를 트랜스퍼 피더(Trensfer Feeder)의 트랜스퍼 핑거(Finger)가 잡고 성형공간의 단계적 위치에 맞게 이송시켜 주는 소재 이송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소재 이송장치는 가공소재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가공소재를 잡거나 놓아주는 트랜스퍼 피더의 이동을 실린더 로드의 인입 또는 인출동작에 의해 작동되게 함으로서, 작동시간의 오차가 누적되어 심하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트랜스퍼 피더 및 핑거가 이동하여 가공소재를 잡고 이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트랜스퍼 피더를 가공소재를 단조금형의 성형부로 단계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전,후 수평 이동과 함께 가공소재를 잡거나 놓아주는 좌,우 수평이동을 위한 구동부의 구성이 복잡하여 부품의 교체 및 수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자동화된 단조성형 프레스장치에 상기와 같이 가공소재의 이송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작업의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작업비용의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9400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단조 성형장치의 성형부로 가공소재를 단계적으로 정확하게 이송시켜 단조 성형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화된 단조 성형장치에 가공소재 이동의 정확성을 증대시켜 단조 작업의 생산량 및 생산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공소재의 사이즈에 맞도록 폭 조절되어 투입되는 가공소재를 정 중앙으로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소재 가이드부와, 정 중앙으로 위치된 가공소재를 소재 승강부로 이송하는 소재 이송부와, 상기 소재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가공소재를 상승시켜 클램핑수단으로 상승시키는 소재 승강부를 포함하는 소재 셋팅수단과,
상기 소재 셋팅수단을 지지하여 상기 소재 셋팅수단의 전후이동과 승하강을 가이드하고, 상단으로 클램핑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의 상단에 마련되어 소재 셋팅수단에 의해 가공소재가 정위치로 조정되어 소재 승강부를 통해 상승되면 이를 클램핑하여 성형장치로 이송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소재 이송부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모터와, 본체의 후면판 및 제1블럭에 지지되며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되는 제1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와 치압되며 구동에 의해 전진하여 가공소재를 전방으로 밀어 이송하는 밀대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 가이드부는 가공소재가 투입되는 본체의 베이스 상단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과,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판의 폭을 조절하는 것으로, 중앙에 마련된 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측단에 상호 대칭되는 스크류산이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부는 상기 가이드판과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부의 스크류산으로 치압되는 한 쌍의 가이드암으로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소재 승강부는 제2블럭의 측부에 구비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하여 투입되는 소재를 상승 공급하는 승강판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는 베이스판 및 베이스판의 양단으로 측판과, 전후단에 후면판 및 전면판으로 구성되는 함체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제1블럭과 제2블럭을 구성되되, 상기 제1블럭을 시작으로 제2블럭을 관통하고, 후면판을 관통하여 인출되어 셋팅수단을 전후 위치조절하는 조절구가 구비를포함하며, 제1블럭과 후편판에 지지되는 스크류봉과, 상기 스크류봉을 회동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스크류봉과 치압되며 측판을 관통하여 지지수단으로 연결되는 가이드관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은 클램핑수단을 지지하는 소재 셋팅수단을 지지하는 수직판 및 클램핑수단을 지지하는 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은 일정면적으로 개구된 통공과 양 사이드로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의 전면에는 소재 셋팅수단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대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의 타단은 각 가이드공으로 유입되는 가이드 돌기가 구성되고, 중앙에는 치압블럭이 구성되어 통공으로 인출형성되어 돌부에 의해 지지되는 조절구와 연돌설치되며, 상기 조절구를 회동함에 의해 소재 셋팅수단을 승하강 조절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의 가이드관은 측벽을 통과하여 가이드공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조절구의 손잡이를 회동함에 의해 소재 셋팅수단을 전후로 조절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클램핑수단은 측벽의 상단 좌우 및 하단 좌우로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후방으로 상기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과 연동설치되는 이송블럭이 구비되며, 전방에는 측벽과 고정되는 고정블럭이 설치되어 제3모터를 지지하되, 상기 고정블럭과 이송블럭은 제2스크류봉과 연동설치되어 제3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송블럭이 제2가이드레일을 전,후방으로 이송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전방으로 지지블럭이 연결되어 하단으로 가공소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기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클램핑기는 지지블럭의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대를 통해 고정설치되어 가공소재를 클램핑하되, 지지대의 전방에 고정설치되는 제1짚게와, 지지대의 후방으로 제2실린더를 통해 제1짚게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짚게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블럭에는 제1짚게 및 제2짚게로 이형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조용 소재의 이송공급 시스템은 가공소재를 성형장치의 성형부로 정확히 이송시켜 단조 성형함으로서, 성형에 따른 불량률이 최소화되어 자재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와, 단조 성형장치에 가공소재 이동의 정확성을 증대시켜 단조 작업의 생산성 및 생산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의 구성중 소재 셋팅수단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의 구성중 소재 셋팅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스시템의 구성중 셋팅수단과 지지수단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의 구성중 클램핑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수단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을 통해 가공소재가 이송공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조용 가공수재 이송공급 시스템은, 가공소재의 사이즈에 맞도록 폭 조절되어 투입되는 가공소재를 정 중앙으로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소재 가이드부(120)와, 정 중앙으로 위치된 가공소재를 소재 승강부로 이송하는 소재 이송부(110)와, 상기 소재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가공소재를 상승시켜 클램핑수단으로 상승시키는 소재 승강부(130)를 포함하는 소재 셋팅수단(100)과,
상기 소재 셋팅수단(100)을 지지하여 상기 소재 셋팅수단의 전후이동과 승하강을 가이드하고, 상단으로 클램핑수단(30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00)과,
상기 지지수단(200)의 상단에 마련되어 소재 셋팅수단(100)에 의해 가공소재가 정위치로 조정되어 소재 승강부(120)를 통해 상승되면 이를 클램핑하여 성형장치로 이송하는 클램핑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재 이송부(110)는 제1모터(M1)와, 상기 모터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양방향 회동되는 제1스크류봉(115)과, 상기 제1스크류봉의 구동에 의해 전후 이동되어 가공소재를 밀어주는 밀대(111)로 구성된다.
즉, 본체(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모터(M1)와, 본체의 후면판(104a) 및 제1블럭(105)에 지지되며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되는 제1스크류(115)와, 상기 제1스크류(115)와 치압되며 구동에 의해 전진하여 가공소재를 전방으로 밀어 이송하는 밀대(111)로 구성된다.
그리고 소재 가이드부(120)는 밀대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121)과 상기 가이드판의 하단으로 가이드판의 좌우 조절하는 구동부(122)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122)의 조절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121)이 좌우 폭조절이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소재가 투입되는 본체의 베이스(102) 상단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121)과,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판의 폭을 조절하는 것으로, 중앙에 마련된 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측단에 상호 대칭되는 스크류산이 구비되는 구동부(122)와, 상부는 상기 가이드판(121)과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부의 스크류산으로 치압되는 한 쌍의 가이드암(123)으로 구비된다.
한편, 소재 승강부(130)는 밀대와 가이드판(121)의 전방에 구비되되, 이송된 가공소재를 상승시키는 승강판(131)과, 상기 승강판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을 승하강 시키는 제1실린더(S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는 베이스판(102) 및 베이스판의 양단으로 측판(103)과, 전후단에 후면판 및 전면판으로 구성되는 함체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제1블럭(105)과 제2블럭(106)이 구성된다.
상기 제1블럭을 시작으로 제2블럭을 관통하고, 후면판을 관통하여 인출되어 셋팅수단을 전후 위치조절하는 조절구(1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조절구는 제1블럭과 후편판에 지지되는 스크류봉(141)과, 상기 스크류봉을 회동시키는 손잡이(143)와, 상기 스크류봉(141)과 치압되며 측판을 관통하여 지지수단(200)으로 연결되는 가이드관(142)으로 구성된다
또한, 지지수단(200)은 소재 셋팅수단(100)과, 클램핑 수단(300)을 지지하되, 지지수단(200)의 전방으로는 소재 셋팅수단(100)이 지지되며, 상단으로 클램핑수단(300)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수단(200)을 통해 상기 소재 세팅수단(100) 전체가 전방 및 상단으로 미세조정이 이루어진다.
즉, 클램핑수단(300)을 지지하는 소재 셋팅수단을 지지하는 수직판(210) 및 클램핑수단을 지지하는 수평판(2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판(210)은 일정면적으로 개구된 통공(212)과 양 사이드로 가이드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판의 전면에는 소재 셋팅수단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대(214)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의 타단은 각 가이드공(211)으로 유입되는 가이드 돌기(214b)가 구성된다.
그리고 중앙에는 치압블럭(214a)이 구성되어 통공(212)으로 인출형성되어 돌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조절구(215)와 연돌설치되며, 상기 조절구(215)를 회동함에 의해 소재 셋팅수단(100)을 승하강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조절구(140)의 가이드관(142)은 측벽(103)을 통과하여 가이드공(211)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조절구(140)의 손잡이를 회동함에 의해 소재 셋팅수단을 전후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의 구성중 클램핑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수단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수단(300)은 측벽(311)의 상단 좌우 및 하단 좌우로 제1가이드레일(311) 및 제2가이드레일(330)이 구비되고, 후방으로 상기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과 연동설치되는 이송블럭(340)이 구비되며, 전방에는 측벽과 고정되는 고정블럭(340-1)이 설치되어 제3모터(M3)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및 2가이드레일은 측벽에 고정설치되는 암레일(321)(331)과 상기 암레일에 조립되어 슬라이드되는 수레일(322)(3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블럭(340)의 상단은 제1가이드레일의 수레일(322)과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되고 하단은 제2가이드레일의 수레일(332)에 볼트를 통해 고정설치되어 제3모터(M3)의 구동과 함께 제2스크류봉(341) 회전시 전방으로 제2가이드레일(330)의 수레일(332)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럭과 이송블럭은 제2스크류봉(341)과 연동설치되어 제3모터(M3)의 구동에 의해 이송블럭(340)이 제2가이드레일(330)을 전,후방으로 이송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330)의 전방으로 지지블럭(360)이 연결되어 하단으로 가공소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기(35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클램핑기(350)는 지지블럭(360)의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대(351)를 통해 고정설치되어 가공소재를 클램핑하되, 지지대(351)의 전방에 고정설치되는 제1짚게(352)와, 지지대의 후방으로 제2실린더(S2)를 통해 제1짚게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짚게(353)로 구성된다.
즉, 가공소재가 투입되면 제2실린더(S2)가 작동하여 제2짚게(353)가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제1짚게와 제2짚게를 통해 가공소재가 클램핑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럭(360)에는 제1짚게 및 제2짚게로 이형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62)이 구비된다.
고온의 열로 가열된 가공소재가 제1 및 제2짚게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번 클램핑하여 이송후 분사노즐(362)을 통해 이형제를 제1 및 제2짚게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짚게(352)의 중앙은 가공소재의 공급되는 방향에 따라 클램핑할 수 있는 짚게를 연결하기 위한 짚게 연결홈(352a)이 구비된다.
이는 가공소재가 수직으로 공급되거나 수평으로 공급될시 공급되는 방향에 따라 짚게 연결홈(352a)으로 보조 짚게의 설치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의 작동관계를 첨부도면 도 12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공소재의 사이즈에 따라 소재가이드부(120)를 조절한다. 즉, 구동부(122)를 조절하여 가이드판(121)을 좌우로 이동시켜 가공소재의 사이즈에 따라 폭을 조절을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공수재이 수재가이드부(120)로 투입되면 가공소재는 테이블의 정 중앙으로 안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모터(M1)가 구동하여 제1스크류봉(115)이 회전되고 이에 연동설치된 밀대(111)가 전진되어 가공소재를 소재승강부(130)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소재 승강부(130)의 승강판(131) 상단으로 가공소재가 이송되면, 제1실린더(S1)가 작동하여 승강판(131)이 상승되어 클램핑수단(300)으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소재 승강부(130) 작동전, 제3모터(M3)가 작동되어 클램핑기(350)가 가공소재가 상승되는 위치로 미리 인출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공소재가 상승되면, 상승된 가공소재의 상단은 지지대(351)의 밑단에 밀착되고, 제2실린더(S2)가 작동되어 제2짚게(353)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상승된 가공소재의 클램핑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클램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3모터(M3)가 구동되어 클램핑된 가공소재는 성형장치로 이송되고, 이송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2실린더(S2)가 역방향 작동시켜 제2짚게(353)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클램핑된 가공소재가 성형장치의 성형부에 안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3모터(M3)의 역방향 작동하여 인출된 클램핑기를 후방으로 원위치 복귀시킴과 아울러 분사노즐을 통해 이형제가 클램핑기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은 가공소재가 투입되면 이를 정위치로 정렬하고 정렬된 가공소재를 성형장치의 성형부로 정확한 위치로 이송시킴으로써, 성형에 따른 불량률이 최소화되며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여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소재 셋팅수단 110: 소재 이송부
111: 밀대 120: 소재 가이드부
121: 가이드판 130: 소재 승강부
131: 승강판 200: 지지수단
300: 클램핑 수단 310: 본체
320: 제1가이드레일 330: 제2가이드레일
340: 이송블럭 341: 제2스크류봉
350: 클랭핑기 351: 지지대
352: 제1짚게 352: 제2짚게
360: 지지블럭 362: 분사노즐

Claims (10)

  1. 가공소재의 사이즈에 맞도록 폭 조절되어 투입되는 가공소재를 정 중앙으로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소재 가이드부(120)와, 정 중앙으로 위치된 가공소재를 소재 승강부로 이송하는 소재 이송부(110)와, 상기 소재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가공소재를 상승시켜 클램핑수단으로 상승시키는 소재 승강부(130)를 포함하는 소재 셋팅수단(100)과,
    상기 소재 셋팅수단(100)을 지지하여 상기 소재 셋팅수단의 전후이동과 승하강을 가이드하고, 상단으로 클램핑수단(30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00)과,
    상기 지지수단(200)의 상단에 마련되어 소재 셋팅수단(100)에 의해 가공소재가 정위치로 조정되어 소재 승강부(120)를 통해 상승되면 이를 클램핑하여 성형장치로 이송하는 클램핑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이송부(110)는,
    본체(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모터(M1)와,
    본체의 후면판(104a) 및 제1블럭(105)에 지지되며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되는 제1스크류(115)와,
    상기 제1스크류(115)와 치압되며 구동에 의해 전진하여 가공소재를 전방으로 밀어 이송하는 밀대(1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가이드부(120)는,
    가공소재가 투입되는 본체의 베이스(102) 상단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121)과,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판의 폭을 조절하는 것으로, 중앙에 마련된 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측단에 상호 대칭되는 스크류산이 구비되는 구동부(122)와,
    상부는 상기 가이드판(121)과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부의 스크류산으로 치압되는 한 쌍의 가이드암(123)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승강부(130)는
    제2블럭(106)의 측부에 구비되는 제1실린더(S1)와,
    상기 제1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하여 투입되는 소재를 상승 공급하는 승강판(131)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는 베이스판(102) 및 베이스판의 양단으로 측판(103)과, 전후단에 후면판 및 전면판으로 구성되는 함체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제1블럭(105)과 제2블럭(106)을 구성되되,
    상기 제1블럭을 시작으로 제2블럭을 관통하고, 후면판을 관통하여 인출되어 셋팅수단을 전후 위치조절하는 조절구(140)가 구비되되,
    제1블럭과 후편판에 지지되는 스크류봉(141)과,
    상기 스크류봉을 회동시키는 손잡이(143)와,
    상기 스크류봉(141)과 치압되며 측판을 관통하여 지지수단(200)으로 연결되는 가이드관(1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00)은,
    클램핑수단(300)을 지지하는 소재 셋팅수단을 지지하는 수직판(210) 및 클램핑수단을 지지하는 수평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210)은 일정면적으로 개구된 통공(212)과 양 사이드로 가이드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의 전면에는 소재 셋팅수단을 받쳐 지지하는 지지대(214)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의 타단은 각 가이드공(211)으로 유입되는 가이드 돌기(214b)가 구성되고, 중앙에는 치압블럭(214a)이 구성되어 통공(212)으로 인출형성되어 돌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조절구(215)와 연돌설치되며, 상기 조절구(215)를 회동함에 의해 소재 셋팅수단(100)을 승하강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7. 제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조절구(140)의 가이드관(142)은 측벽(103)을 통과하여 가이드공(211)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조절구(140)의 손잡이를 회동함에 의해 소재 셋팅수단을 전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300)은,
    측벽(311)의 상단 좌우 및 하단 좌우로 제1가이드레일(311) 및 제2가이드레일(330)이 구비되고, 후방으로 상기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과 연동설치되는 이송블럭(340)이 구비되며, 전방에는 측벽과 고정되는 고정블럭(340-1)이 설치되어 제3모터(M3)를 지지하되, 상기 고정블럭과 이송블럭은 제2스크류봉(341)과 연동설치되어 제3모터(M3)의 구동에 의해 이송블럭(340)이 제2가이드레일(330)을 전,후방으로 이송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330)의 전방으로 지지블럭(360)이 연결되어 하단으로 가공소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기(35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기(350)는,
    지지블럭(360)의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대(351)를 통해 고정설치되어 가공소재를 클램핑하되,
    지지대(351)의 전방에 고정설치되는 제1짚게(352)와,
    지지대의 후방으로 제2실린더(S2)를 통해 제1짚게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짚게(3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360)에는 제1짚게 및 제2짚게로 이형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6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KR1020220024161A 2022-02-24 2022-02-24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KR20230126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161A KR20230126847A (ko) 2022-02-24 2022-02-24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161A KR20230126847A (ko) 2022-02-24 2022-02-24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847A true KR20230126847A (ko) 2023-08-31

Family

ID=8784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161A KR20230126847A (ko) 2022-02-24 2022-02-24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8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400B1 (ko) 2006-04-25 2007-12-28 추운민 단조용 소재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400B1 (ko) 2006-04-25 2007-12-28 추운민 단조용 소재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74859U (zh) 一种自动铆螺母装置
CN107159835A (zh) 一种自动铆螺母装置
KR20110018627A (ko) 단조소재 이송공급 장치
CN108555210B (zh) 一种全自动螺母锻造机
CN106623559B (zh) 一种热交换器水管自动墩台机
KR102353811B1 (ko)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운반 방법
CN102528354B (zh) 一种适用于玻璃模具焊接的自动搬运机械手
KR20150141351A (ko) 소재 공급 및 가공품 배출시스템
CN112475694A (zh) 一种钢筋桁架的钢筋头焊接装置
KR101729488B1 (ko) 탈형 데크의 간격재 자동 조립 장치
CN103753278A (zh) 连杆夹紧机构
CN114042848A (zh) 加热炉自动送料装置
KR20230126847A (ko)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
CN112719482A (zh) 一种弯头攻丝上料装置及上料方法
KR20230126488A (ko) 단조용 가공소재 이송공급 시스템의 클램핑수단
KR101350443B1 (ko) 프레스가공 소재공급 방법 및 그 장치
CN2207896Y (zh) 配管的管口自动加工机
CN203992925U (zh) 适用于薄壁小直径、悬空单面焊双面成型的纵缝焊接机
KR102296052B1 (ko) 가공 디바이스에서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운반 장치
KR20150088481A (ko) 왁스패턴 자동 조립장치
CN110181205B (zh) 一种钢筋骨架片焊接生产线
CN204019252U (zh) 一种异形件加工设备
CN112935685A (zh) 一种汽车零部件熔融焊接用定位装置
CN108725909B (zh) 一种柔性自动划膜线装置及其划膜方法
CN206578171U (zh) 一种热交换器水管自动墩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