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767A -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767A
KR20230126767A KR1020220023749A KR20220023749A KR20230126767A KR 20230126767 A KR20230126767 A KR 20230126767A KR 1020220023749 A KR1020220023749 A KR 1020220023749A KR 20220023749 A KR20220023749 A KR 20220023749A KR 20230126767 A KR20230126767 A KR 20230126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kerf
surface roughness
frame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욱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767A/ko
Publication of KR20230126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7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11/1218Three-dimensional shape with regard to depth and exten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3Means, e.g. sipes or blade-like elements, for forming narrow recesses in the tyres, e.g. cuts or incisions for winte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6Surface structure of the mould, e.g. roughness, arrangement of slits, groove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타이어 가류 성형 시 커프 성형용으로 이용되는 블레이드의 표면조도를 감소시켜, 타이어 가류 성형 후 인출되는 타이어의 인출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웨이브 형상을 구비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표면에 소정의 소재가 층을 형성하여 생성되는 개선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A BLADE FOR 3D CUFF MOLDING HAVING A LAYER FOR REDUCING SURFACE ROUGHN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 가류 성형 시 커프 성형용으로 이용되는 블레이드의 표면조도를 감소시켜, 타이어 가류 성형 후 인출되는 타이어의 인출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의 내부를 구성하는 인너라이너, 인너라이너의 외부에 적층되는 바디 플라이, 바디 플리이 외부에 적층되는 벨트, 벨트 외부에 적층되는 트레드, 그리고, 타이어의 양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월, 휠에 결합되는 비드로 구성된다.
또한, 노면에 접지하는 트레드에는 접지력, 배수력, 제동력, 소음 분산 등을 위하여 특정한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게 되며 그 패턴의 형태에 따라 빗길, 눈길 그리고 핸들링 성능에 큰 영향을 주며 이는 타이어 개발에 주요 인자가 된다. 커프란 트레드 블록에 주로 횡방향으로 가늘게 1mm 이하의 폭으로 깊게 파여져 있는 홈으로 접지면을 균등하게 하고 접지력을 향상시키면서 완충작용을 하여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또한, 배수를 촉진하여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최근 패턴 설계의 경향은 심플한 디자인과 외관보다는 성능 위주로 설계하는 것이다. 타이어 성능을 위해 패턴 성능 기술이 세분화 되고 미세한 범위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Summer 타이어의 경우 타이어 표면에 zigzag 형상 등을 넣기 어려워 커프에 의한 에지 효과에 의해 구동 및 제동을 하여 이동 시에 wet, snow 성능을 확보하기 어렵다.
타이어에 에지 효과를 위해 적용되는 커프는 트레드 고무 블럭의 강성 저하를 발생시켜 Dry 노면에서의 타이어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타이어 표면에서 수직방향에 커프에 의한 구속 성능을 개선하여 블럭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3D 커프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3D Kerf의 적용으로 인해 타이어 제조 시 인출력이 증가하여 3D Kerf가 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3D Kerf 수가 많고, 길이가 길고 형상이 복잡할수록 타이어 인출하는데 필요한 힘이 증가한다. 이에 추가하여 3D Kerf의 형상이 복잡해질수록 기존 벤딩 방식보다는 3D 프린팅으로 커프를 제조하는 경우가 증가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프린팅 후 커프의 조도가 나빠지게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917494호(발명의 명칭: 타이어 가류금형의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타이어 및 타이어 가류장치)에서는, 타이어 가류금형의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에 있어서, 블레이드프레임(10)에 커프형성요철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커프형성요철부(20)는 하부에 횡방향돌출부(30)가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돌출부(30)는 내측에 횡방향요홈부(40)를 포함하되, 상기 커프형성요철부(20) 및 횡방향돌출부(30)는 상기 블레이드프레임(1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횡방향돌출부(30)의 최하단이 상기 블레이드프레임(10) 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프레임 높이(L)의 15~40%만큼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횡방향돌출부(30)의 높이(L1)는 상기 블레이드프레임(10) 높이(L)의 15~25%로 형성되어 블록 강성을 조절하여 설면 및 빙판길 주행에서의 요구되는 접지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횡방향돌출부(30)의 일단으로부터 블레이드프레임(10) 상단까지의 높이(L2)는 상기 블레이드프레임(10) 높이(L)의 45~60%로 형성되어 블록 강성을 조절하여 마른 노면에서의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91749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가류 성형 시 커프 성형용으로 이용되는 블레이드의 표면조도를 감소시켜, 타이어 가류 성형 후 인출되는 타이어의 인출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타이어 가류금형에 설치되어 커프 성형에 이용되는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웨이브 형상을 구비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표면에 소정의 소재가 층을 형성하여 생성되는 개선층을 포함하고, 타이어에 대한 가류 성형 후, 상기 개선층에 의해 타이어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인출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개선층은 테프론 코팅, DLC(Diamond Like Carbon) 코팅, 에폭시 코팅 또는 크롬 도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개선층의 표면조도(Ra)는, 2마이크로미터(u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일측이 하나의 프레임과 결합하고 타측이 다른 프레임과 결합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표면에 상기 개선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주지지체; 및 상기 주지지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주지지체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연결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지지체의 단면은, 원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지지체와 상기 연결체의 연결 부위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구비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면의 일부가 함몰되고 이에 대응되게 타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진폭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진폭부와 상기 지지부 간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금속 소재를 이용한 3D 프린팅으로 상기 프레임을 포함하는 블레이드를 형성시키는 제1단계; 상기 블레이드의 표면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하여 표면조도(Ra)를 감소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블레이드의 표면에 상기 개선층을 형성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블레이드가 개선층을 구비함으로써,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 값이 감소하게 되고, 이와 같은 블레이드의 표면이 매끄럽게 됨으로써, 타이어에 대한 가류 성형 후, 몰드에서 타이어 분리 시, 타이어의 커프에 대한 블레이드의 인출력이 감소하여, 타이어의 인출력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지지체와 연결체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의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이어 가류금형에 설치되어 커프 성형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웨이브 형상을 구비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200); 및 프레임(200)의 표면에 소정의 소재가 층을 형성하여 생성되는 개선층(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타이어에 대한 가류 성형 후, 개선층(300)에 의해 타이어로부터 프레임(200)의 인출이 용이할 수 있다.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를 제작하는 경우, 블레이드의 형상이 복잡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블레이드의 형상은 지그재그, 웨이브 또는 사다리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별한 경우에는 봉이나 다른 특정 형상의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형성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는 그 제작방법으로 인해 표면조도(Ra)가 6마이크로미터(um)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표면조도(Ra)에서는 타이어에 대한 가류 성형 후 몰드에서 타이어가 분리될 때 블레이드와 타이어의 커프 간 분리 시 마찰에 의해 커프 불량 비율이 증가하므로, 블라스팅 등의 물리적인 방식과 화학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블레이드 표면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후처리를 통해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를 개선하여도,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는 2마이크로미터(um) 이하의 값을 가지기에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는 개선층(300)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 값이 감소하게 되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표면이 매끄럽게 됨으로써, 타이어에 대한 가류 성형 후, 몰드에서 타이어 분리 시, 타이어의 커프로부터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인출되는 힘인 인출력이 감소하여, 타이어의 커프 형상 유지가 용이함과 동시에 타이어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개선층(300)은 테프론 코팅, DLC(Diamond Like Carbon) 코팅, 에폭시 코팅 또는 크롬 도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선층(300)이 상기와 같은 방식들에 의해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개선층(300) 형성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코팅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개선층(300)은 형성 방식에 따라 금속 또는 비금속의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소재 특성에 따라 형성 방식이 상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개선층(300)의 표면조도(Ra)는, 2마이크로미터(um) 이하일 수 있다. 개선층(300)의 표면조도(Ra)가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타이어 가류 성형 후 몰드로부터 인출되는 타이어에 대한 인출력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는, 일측이 하나의 프레임(200)과 결합하고 타측이 다른 프레임(200)과 결합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어에 대한 가류 성형 시, 지지부(100)에 의해 프레임(20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200)의 두께는, 0.2mm 이상일 수 있다. 프레임(200)의 두께가 상기와 같이 얇게 형성됨으로써, 미세하면서도 다양한 형상의 커프(kerf)를 타이어에 형성시킬 수 있다. 다만, 프레임(200)의 두께가 상기와 같은 치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200)의 두께는 상당히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프레임(200)의 얇은 두께로 인하여 본 발명을 이용한 타이어 가류 중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뒤틀림, 휨, 부러짐 등의 변형 또는 손상에 의하여 타이어에 형성되는 커프 형상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200)과 다른 프레임(200) 사이에 지지부(100)가 형성되어 각각의 프레임(200)을 지지함으로써, 타이어 가류 중 압력과 열에 의한 프레임(200)의 변형을 저지하여 타이어에 형성되는 커프 형상이 유지되도록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0.4mm 이하의 두께의 프레임(200)만을 구비하는 블레이드에 푸쉬풀게이지(Push Pull Gage)로 힘을 가했을 때 65~70N의 힘에서 블레이드에 휨이 발생하는 반면에, 상기와 같이 지지부(100)가 형성된 본 발명의 블레이드에 푸쉬풀게이지(Push Pull Gage)로 힘을 가했을 때 100N 이상의 힘에서도 본 발명의 블레이드에 휨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100)는, 바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주지지체(110); 및 주지지체(110)와 프레임(200) 사이에 형성되어 주지지체(110)와 프레임(200)을 연결시키는 연결체(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00)의 표면에 개선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선층(300)은 프레임(200)의 표면, 주지지체(110)의 표면, 연결체(120)의 표면 또는 하기된 판형부(23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타이어 가류 성형 시 커프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부위에 개선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개선층(300)에 대한 나머지 상세한 설명은 상기된 개선층(30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주지지체(110)의 단면은, 원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다만, 주지지체(110)의 단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형 등 다른 형상이 이용될 수도 있다.
연결체(120)는 주지지체(110)의 양 측에서 주지지체(110)로부터 프레임(20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결체(120)는 판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연결체(12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체(120)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주지지체(110)의 단면 형상이 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주지지체(110)의 단면의 반경(R1)은 0.3 내지 1.0밀리미터(mm)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의 연결 부위는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의 연결 부위에서 연결체(120)로부터 주지지체(110)의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연결체(120)의 두께(T)가 두꺼워지면서 곡면을 구비하게 되는 라운딩(rounding) 처리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의 연결 부위는 소정의 곡률반경(R2)을 구비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의 연결 부위의 곡면 처리에 의하여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의 연결 부위의 응력 집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여기서,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의 연결 부위의 곡률반경(R2)은, 0.3 내지 1.0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지지체(110)의 단면의 반경(R1)이 형성됨과 동시에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의 연결 부위의 곡률반경(R2)이 형성되는 경우,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의 결합 부위에 대한 수평 내력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위해,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의 연결 부위의 곡률반경(R2)은 0.6 밀리미터(mm)로 형성되고,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의 연결 부위의 곡률반경(R2)은 0.5밀리미터(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체(120)의 두께(T)는, 0.2 내지 0.4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의 연결 부위가 곡면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지지체(110)의 외측면과 연결체(120)의 외측 평면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주지지체(110)의 단면이 원 또는 그 외의 도형인 경우에 동일하다.
이 때, 연결체(120)는 판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체(120)는 주지지체(110)의 외측면으로부터 판상형의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됨으로써, 주지지체(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연결체(120)의 연장 방향으로 바로 직선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체(120)의 형성에 의하여 주지지체(110)와 프레임(200)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연결체(120)가 주지지체(110)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연결체(120)의 형성에 의하여 외부의 힘에 대한 주지지체(110)의 저항력이 증대될 수 있다.
바(또는 봉)의 형상인 주지지체(110) 및 웨이브 형상의 프레임(200)에 의해서, 타이어 가류 시, 본 발명의 블레이드가 타이어에 인입되었다가 인출될 때의 힘인 인출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웨이브 형상을 형성하는 진폭부(210)의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상기된 인출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와 같이 주지지체(110) 양 측에 연결체(120)가 형성됨으로써, 타이어 가류 후 타이어로부터 본 발명의 블레이드가 분리되는 경우, 연결체(120)의 평면이 타이어에 대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분리 시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바(또는 봉)의 형상인 주지지체(110), 웨이브 형상의 프레임(200), 상기와 같은 진폭부(210)의 사다리꼴 형상 등에 의해 증가되는 인출력을 감소시켜, 타이어 가류 후 타이어에서 분리되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인출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일면의 일부가 함몰되고 이에 대응되게 타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진폭부(21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진폭부(210)와 지지부(100) 간 연결 부위에는 경사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200)의 웨이브(wave) 형상, 즉, 지그재그 형상의 진폭 형상을 형상하는 복수 개의 진폭부(210)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각각의 진폭부(210)가 연결되어 웨이브 형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진폭부(210)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진폭부(210)의 단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프레임(200)에는 진폭부(210)에 의해 웨이브 형상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진폭부(210)와 지지부(100) 사이에는 간격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체(120)에 결합되는 진폭부(210)의 일단과 연결체(120) 사이에는 서로 이격되는 부위가 형성되므로, 이와 같이 이격되는 부위와 연결체(120) 사이에는 경사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220)는 진폭부(210)로부터 연결체(120)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사부(220)의 형성에 의하여 진폭부(210)의 일단과 연결체(120)가 분리되는 부위가 없이 진폭부(210)와 연결체(120)가 결합되어, 진폭부(210)와 연결체(120)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외부 힘에 대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형상 유지력이 증가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진폭부(210)의 끝단과 결합하고 판상형으로 형성되는 판형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과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하부, 구체적으로는, 프레임(200)의 하부에 판형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판형부(230)는 타이어 가류용 가류금형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판형부(230)의 평면과 타이어 가류용 가류금형이 결합하게 되어, 타이어 가류용 가류금형에 대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00)가 판형부(230)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주지지체(110)와 연결체(120)가 판형부(230)도 지지하게 됨으로써, 타이어 가류용 가류금형에 대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결합력이 증대됨과 동시에, 판형부(230)의 내구성도 향상되어, 가류 시 압력 등에 의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변형, 손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주지지체(110)의 단면 형상에서 가장자리의 어느 하나의 점과 가장자리의 다른 점 간 가장 긴 길이(주지지체(110)의 단면 형상이 원인 경우 직경)인 단면길이는 주지지체(11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가면서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00)의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프레임(200)의 두께는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200)의 각 부위 별로 영역(L1, L2, L3)이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영역에서 프레임(200)의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영역 구분을 위한 경계는 하기된 진폭부(210) 간 경계와 상이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진폭부(210)에서도 상부로부터 하부로 가면서 두께가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 예로써, L1영역에서의 프레임(200)의 두께는 0.3~0.4mm로 형성될 수 있고, L2영역에서의 프레임(200)의 두께는 0.2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L3영역에서의 프레임(200)의 두께는 0.3~0.4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주지지체(110)의 단면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주지지체(110)가 원기둥의 형상인 경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L2영역을 지지하는 주지지체(110)의 부위는 1mm 이상의 직경을 구비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L1영역과 L2영역을 지지하는 주지지체(110)의 각 부위는 1mm 이하의 직경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지지체(110)의 단면길이를 가변시키고, 프레임(200)의 두께를 가변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커프가 3D의 입체적인 설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프의 마찰력이 증대됨과 동시에, interlocking 성능을 포함한 다양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단계에서, 금속 소재를 이용한 3D 프린팅으로 프레임(200)을 포함하는 블레이드를 형성시킬 수 있다.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의 프레임(200)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블레이드는 상기와 같은 지지부(100) 또는 판형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3D 프린팅에 의해 프레임(200), 지지부(100) 및 판형부(230)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단계에서, 블레이드의 표면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하여 표면조도(Ra)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처리로는 블라스팅 등과 같은 물리적인 방식 또는 용액을 이용한 화학적인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처리에 의해 블레이드 표면의 표면조도(Ra)가 감소될 수 있다.
그 후, 제3단계에서, 블레이드의 표면에 개선층(30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 표면에 개선층(300)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테프론 코팅, DLC(Diamond Like Carbon) 코팅, 에폭시 코팅 또는 크롬 도금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제조방법에 대한 나머지 상세한 사항은, 상기된 본 발명의 블레이드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블레이드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블레이드에서 개선층(300)이 제외된 블레이드인 기존 블레이드와 비교하여 하기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가 개선, 즉, 표면조도(Ra)가 감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실시예의 블레이드는 테프론 코팅에 의해 형성된 개선층(300)을 구비하고, 제2실시예의 블레이드는 DLC 코팅에 의해 형성된 개선층(300)을 구비하며, 제3실시예의 블레이드는 에폭시 코팅에 의한 개선층(3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4실시예의 블레이드는 크롬 도금에 의한 개선층(300)을 구비할 수 있다.
실험적으로 측정하는 경우, 상기된 제조방법에서 제2단계까지만 수행되어 획득된 기존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는 2마이크로미터(um)로 측정되었다.
반면에, 제1실시예의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는 1.5마이크로미터(um)로 측정되었고, 제2실시예의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는 1.2마이크로미터(um)로 측정되었으며, 제3실시예의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는 1.3마이크로미터(um)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제4실시예의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는 1.2마이크로미터(um)로 측정되었다.
상기와 같이, 기존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와 각각의 실시예의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를 비교한 결과, 개선층(300)의 형성에 의해 블레이드의 표면조도(Ra) 값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인출력의 변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기존 블레이드를 이용한 경우 타이어의 인출력을 100%로 설정하는 경우, 제1실시예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경우 타이어의 인출력은 95%로 측정되었고, 제2실시예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경우 타이어의 인출력은 90%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제3실시예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경우 타이어의 인출력은 95%로 측정되었고, 제4실시예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경우 타이어의 인출력은 93%로 측정되었다.
상기와 같은 측정 결과에 의하여, 개선층(300)이 형성된 본 발명의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타이어에 대한 가류 성형을 수행하는 경우, 타이어의 인출력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지지부
110 : 주지지체
120 : 연결체
200 : 프레임
210 : 진폭부
220 : 경사부
230 : 판형부
300 : 개선층

Claims (11)

  1. 타이어 가류금형에 설치되어 커프 성형에 이용되는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웨이브 형상을 구비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표면에 소정의 소재가 층을 형성하여 생성되는 개선층을 포함하고,
    타이어에 대한 가류 성형 후, 상기 개선층에 의해 타이어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인출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선층은 테프론 코팅, DLC(Diamond Like Carbon) 코팅, 에폭시 코팅 또는 크롬 도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선층의 표면조도(Ra)는, 2마이크로미터(u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하나의 프레임과 결합하고 타측이 다른 프레임과 결합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표면에 상기 개선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주지지체; 및
    상기 주지지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주지지체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연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지지체의 단면은, 원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지지체와 상기 연결체의 연결 부위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구비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면의 일부가 함몰되고 이에 대응되게 타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진폭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진폭부와 상기 지지부 간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11. 청구항 1의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속 소재를 이용한 3D 프린팅으로 상기 프레임을 포함하는 블레이드를 형성시키는 제1단계;
    상기 블레이드의 표면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하여 표면조도(Ra)를 감소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블레이드의 표면에 상기 개선층을 형성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의 제조방법.
KR1020220023749A 2022-02-23 2022-02-23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26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749A KR20230126767A (ko) 2022-02-23 2022-02-23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749A KR20230126767A (ko) 2022-02-23 2022-02-23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767A true KR20230126767A (ko) 2023-08-31

Family

ID=8784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749A KR20230126767A (ko) 2022-02-23 2022-02-23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7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494B1 (ko) 2017-01-18 2018-11-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타이어 및 타이어 가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494B1 (ko) 2017-01-18 2018-11-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타이어 및 타이어 가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9183B1 (en) Airless tire
JP6356116B2 (ja) 耐久性が向上させられ最適厚を有するタイヤ用スポーク
EP2342069B1 (en) Molded tire tread with an undulated sipe
CN103826873B (zh) 充气轮胎
CN101579998B (zh) 雪地轮胎
JP7233468B2 (ja) カーフ挿入部材を適用した空気入りタイヤ
CN110406325A (zh) 防止不规则磨损的轮胎
US20210122193A1 (en) Pneumatic tire, a tread band, and a tread block comprising a sipe, and a lamella plate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101917494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타이어 및 타이어 가류장치
KR20230126767A (ko) 표면조도가 감소된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823782B (zh) 具有应用多重橡胶层的三角胶的充气轮胎
CN111465512B (zh) 充气轮胎
JP4020685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230126279A (ko)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US10427371B2 (en) Molding element for manufacturing a noise reducing tread
JPS60121103A (ja) 低騒音空気入りタイヤ
WO2021039117A1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タイヤ成形用金型
KR102503782B1 (ko) 3d 커프 성형용 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JP6962126B2 (ja) タイヤ
KR102561798B1 (ko) 타이어 3d 커프 성형용 커프블레이드 및 타이어의 3d 커프 구조
KR101834162B1 (ko) 중하중 타이어용 가류금형의 커프성형 블레이드
KR100766530B1 (ko)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JP427036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3577283B2 (ja) タイヤ成形金型及びそれによって生産されたタイヤ
KR20170022673A (ko) 겨울용 타이어 및 이의 제조용 사이프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