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188A -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188A
KR20230126188A KR1020230014623A KR20230014623A KR20230126188A KR 20230126188 A KR20230126188 A KR 20230126188A KR 1020230014623 A KR1020230014623 A KR 1020230014623A KR 20230014623 A KR20230014623 A KR 20230014623A KR 20230126188 A KR20230126188 A KR 20230126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pair
axial direction
internal electrodes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또시 기꾸찌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6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4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사이드 마진부에 피복되는 적층체의 피복면에 있어서의 기울기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세라믹 소체와, 한 쌍의 외부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세라믹 소체는, 제1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세라믹층과, 상기 복수의 세라믹층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내부 전극과,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에 수직인 한 쌍의 단부면과,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제3 축에 수직인 한 쌍의 피복면을 포함하는 적층체와, 상기 한 쌍의 피복면을 피복하는 한 쌍의 사이드 마진부를 갖는다. 상기 한 쌍의 외부 전극은, 상기 한 쌍의 단부면을 피복한다.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은,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3 축 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 상기 한 쌍의 단부면 중 어느 한쪽으로 인출된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보다도 상기 제3 축 방향의 폭이 좁은 협폭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이드 마진부가 후부착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사이드 마진부를 후부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기술은, 얇은 사이드 마진부에 의해서도 내부 전극이 노출된 적층체의 측면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소형화 및 대용량화에 유리하다.
일례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서는, 내부 전극이 인쇄된 세라믹 시트를 적층한 적층 시트를 절단하고, 내부 전극이 노출된 절단면을 측면으로 하는 복수의 적층체를 제작한다. 그리고, 적층체의 측면에서 세라믹 시트를 펀칭함으로써, 적층체의 양측면에 사이드 마진부를 형성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09539호 공보
상기와 같은 적층 시트를 절단할 때는, 세라믹 시트보다도 단단한 내부 전극을 절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절단날의 날끝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진다. 절단날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지면, 절단날의 날끝이 적층 시트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진입함으로써, 복수의 적층체의 측면이 되는 절단면에 기울기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 마진부에 피복되는 적층체의 피복면에 있어서의 기울기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세라믹 소체와, 한 쌍의 외부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세라믹 소체는, 제1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세라믹층과, 상기 복수의 세라믹층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내부 전극과,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에 수직인 한 쌍의 단부면과,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제3 축에 수직인 한 쌍의 피복면을 포함하는 적층체와, 상기 한 쌍의 피복면을 피복하는 한 쌍의 사이드 마진부를 갖는다.
상기 한 쌍의 외부 전극은, 상기 한 쌍의 단부면을 피복한다.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은,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3 축 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 상기 한 쌍의 단부면 중 어느 한쪽으로 인출된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보다도 상기 제3 축 방향의 폭이 좁은 협폭부를 갖는다.
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서는, 복수의 내부 전극이 협폭부에 있어서 적층체의 한 쌍의 피복면의 적어도 한쪽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과정에서는, 절단날에 의해 적층 시트로부터 복수의 적층체를 잘라 나눌 때, 내부 전극에 대응하는 도체 패턴의 절단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절단날의 날끝에 가해지는 응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적층체의 한 쌍의 피복면에 있어서의 기울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 중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2층의 최외 단부의 상기 제3 축 방향의 위치가,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1.0㎛ 이내에 정렬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 중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2층의 최외 단부의 상기 제3 축 방향의 위치가,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1.0㎛ 이내에 정렬되어 있는 빈도가 50%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적층체와 상기 사이드 마진부가 따로따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은, 상기 협폭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피복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제3 축 방향의 내측으로 오목해지는 윤곽을 형성하는 절결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에서는, 상기 절결부 각각의 상기 제2 축 방향의 치수가 상기 제3 축 방향의 치수보다도 커도 된다.
상기 절결부의 윤곽은, 상기 제2 축 방향의 성분과 상기 제3 축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부분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절결부의 윤곽에 포함되는 상기 부분에서는, 상기 제2 축 방향의 성분이 상기 제3 축 방향의 성분보다도 커도 된다.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에서는, 상기 협폭부가 상기 제2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인출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에서는, 상기 협폭부가 상기 제2 축 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의 적층수가 50층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세라믹 소체의 상기 제1 축 방향의 치수가 상기 제3 축 방향의 치수보다도 커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은, 도체 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세라믹 시트를 제1 축 방향으로 적층하여 적층 시트를 제작하는 스텝과 상기 적층 시트를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을 따른 제1 절단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절단선을 따라서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제3 축에 수직인 한 쌍의 피복면을 갖는 복수의 적층체로 잘라 나누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적층체의 상기 한 쌍의 피복면에 한 쌍의 사이드 마진부를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도체 패턴은,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연속하고, 상기 제1 절단선을 따른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선과 상기 제3 축 방향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보다도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른 합계 치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체 패턴에는, 상기 제1 절단선을 따른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축 방향의 성분이 상기 제3 축 방향의 성분보다도 큰 부분을 포함하는 윤곽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 마진부에 피복되는 적층체의 피복면에 있어서의 기울기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도 1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세라믹층 및 내부 전극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스텝 S01에서 준비되는 세라믹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스텝 S0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스텝 S03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스텝 S03에서 얻어지는 적층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스텝 S04에서 얻어지는 세라믹 소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내부 전극의 절결부의 구성 A1, A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내부 전극의 절결부의 구성 B1 내지 B3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내부 전극의 절결부의 구성 C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내부 전극의 절결부의 구성 D1 내지 D3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내부 전극의 절결부의 구성 E1 내지 E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내부 전극의 절결부의 구성 F1 내지 F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내부 전극의 절결부의 구성 G1 내지 G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상기 내부 전극의 절결부의 구성 H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는, 적절히,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이 도시되어 있다. X축, Y축 및 Z축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좌표계를 규정한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도 1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는, 세라믹 소체(11)와, 제1 외부 전극(14)과, 제2 외부 전극(15)을 구비한다. 세라믹 소체(11)는, Z축(제1 축)과 직교하는 한 쌍의 주면과, X축(제2 축)과 직교하는 한 쌍의 단부면과, Y축(제3 축)과 직교하는 한 쌍의 측면을 갖는 6면체로서 구성된다.
세라믹 소체(11)의 한 쌍의 단부면, 한 쌍의 측면, 및 한 쌍의 주면은 모두, 평탄면으로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평탄면이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평탄으로 인식되는 면이면 엄밀하게 평면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표면의 미소한 요철 형상이나, 소정의 범위에 존재하는 완만한 만곡 형상 등을 갖는 면도 포함된다.
각 외부 전극(14, 15)은, 세라믹 소체(11)의 양단부면을 덮고, 세라믹 소체(11)를 사이에 두고 X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외부 전극(14, 15)은, 세라믹 소체(11)의 각 단부면으로부터 주면 및 측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부 전극(14, 15)에서는, X-Z 평면에 평행인 단면, 및 X-Y 평면에 평행인 단면이 모두 U자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외부 전극(14, 15)의 형상은, 도 1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 전극(14, 15)은, 세라믹 소체(11)의 양단부면으로부터 한쪽의 주면으로만 연장되어, X-Z 평면에 평행인 단면이 L자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외부 전극(14, 15)은, 어느 주면 및 측면으로도 연장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외부 전극(14, 15)은, 전기의 양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극(14, 15)을 형성하는 전기의 양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구리(Cu), 니켈(Ni), 주석(Sn), 팔라듐(Pd), 백금(Pt), 은(Ag), 금(Au)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또는 합금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주성분이란 가장 함유 비율이 높은 성분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세라믹 소체(11)는, 유전체 세라믹스로 형성되고, 적층체(16)와, 한 쌍의 사이드 마진부(17)를 갖는다. 적층체(16)는, 세라믹 소체(11)의 한 쌍의 주면 및 한 쌍의 단부면을 구성한다. 한 쌍의 사이드 마진부(17)는, 예를 들어 세라믹 소체(11)와 주성분이 동일한 재료 조성의 유전체 세라믹스로 형성되고, 적층체(16)의 Y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피복면 F를 피복하여, 세라믹 소체(11)의 한 쌍의 측면을 구성한다.
적층체(16)는, X-Y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평판상의 복수의 세라믹층(21)이 Z축 방향으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적층체(16)는, 교차부(18)와, 교차부(18)의 X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엔드 마진부(19)와, 교차부(18)의 Z축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커버부(20)를 갖는다.
적층체(16)는, 복수의 세라믹층(21) 사이에 배치되며, X-Y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시트상의 복수의 제1 및 제2 내부 전극(12, 13)을 갖는다. 내부 전극(12, 13)은, Z축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치되고, 교차부(18)에 있어서 세라믹층(21)을 사이에 두고 Z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커버부(20)에는, 내부 전극(12, 13)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제1 내부 전극(12)은, 교차부(18)로부터 제1 외부 전극(14)으로 덮인 단부면을 구성하는 엔드 마진부(19)에 X축 방향을 따라서 인출되어, 제1 외부 전극(14)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1 내부 전극(12)은, 제2 외부 전극(15)으로 덮인 단부면을 구성하는 엔드 마진부(19)에 의해 제2 외부 전극(15)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3)은, 교차부(18)로부터 제2 외부 전극(15)으로 덮인 단부면을 구성하는 엔드 마진부(19)에 X축 방향을 따라서 인출되어, 제2 외부 전극(15)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2 내부 전극(13)은, 제1 외부 전극(14)으로 덮인 단부면을 구성하는 엔드 마진부(19)에 의해 제1 외부 전극(14)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체(16)에서는, 내부 전극(12, 13)의 Y축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최외 단부가, 사이드 마진부(17)로 덮인 피복면 F 상에 위치한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제조 과정에서는, 적층체(16)와 사이드 마진부(17)가 따로따로 성형되고, 적층체(16)의 피복면 F에 사이드 마진부(17)가 후부착된다. 이에 의해, 세라믹 소체(11)에서는, Z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2층의 내부 전극(12, 13)의 최외 단부의 Y축 방향의 위치가, Y축 방향으로 1.0㎛ 이하의 범위에서 정렬되어 있다. 인접하는 내부 전극(12, 13)의 최외 단부가, 이와 같이 형성되는 빈도는 50% 이상이면 된다. 즉, 예를 들어 Y-Z 평면에 평행인 단면에 있어서, Z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2층의 내부 전극(12, 13)의 Y축 방향의 최외 단부를 30개소에서 확인하였을 때, 15개소 이상에 있어서 2층의 내부 전극(12, 13)의 최외 단부가 1.0㎛ 이하의 범위에서 정렬되어 있으면 된다.
세라믹 소체(11)에서는, 교차부(18) 및 한 쌍의 엔드 마진부(19)가, Z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한 쌍의 커버부(20)로 덮이고, Y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한 쌍의 사이드 마진부(17)로 덮여 있다. 이 때문에, 세라믹 소체(11)에서는, 커버부(20) 및 사이드 마진부(17)에 의해 내부 전극(12, 13)이 보호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서는, 외부 전극(14, 15) 간에 전압이 인가되면, 교차부(18)에 있어서 내부 전극(12, 13) 간의 복수의 세라믹층(21)에 전압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서는, 외부 전극(14, 15) 간의 전압에 따른 전하가 축적된다.
세라믹 소체(11)에서는, 내부 전극(12, 13) 간의 각 세라믹층(21)의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 고유전율의 유전체 세라믹스가 사용된다. 고유전율의 유전체 세라믹스로서는, 예를 들어 티타늄산바륨(BaTiO3)으로 대표되는, 바륨(Ba) 및 티타늄(Ti)을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유전체 세라믹스는, 티타늄산스트론튬(SrTiO3), 티타늄산칼슘(CaTiO3), 티타늄산마그네슘(MgTiO3), 지르콘산칼슘(CaZrO3), 티타늄산지르콘산칼슘(Ca(Zr, Ti)O3), 티타늄산지르콘산칼슘바륨((Ba, Ca)(Zr, Ti)O3), 지르콘산바륨(BaZrO3), 산화티타늄(TiO2) 등의 조성계여도 된다.
내부 전극(12, 13)은, 전기의 양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12, 13)을 형성하는 전기의 양도체로서는, 전형적으로는 니켈(Ni)을 들 수 있고, 이 밖에도 구리(Cu), 팔라듐(Pd), 백금(Pt), 은(Ag), 금(Au)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또는 합금을 들 수 있다.
도 4의 A, B는, 적층체(16)에 있어서의 내부 전극(12, 13)이 각각 형성된 세라믹층(21)을 1층씩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제1 내부 전극(12)이 형성된 세라믹층(21)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B는, 제2 내부 전극(13)이 형성된 세라믹층(21)을 나타내고 있다.
제1 내부 전극(12)은, 제1 인출부(12a)와 제1 협폭부(12b)를 갖는다. 제1 인출부(12a)는, 엔드 마진부(19)를 통해 단부면으로 인출되어, 제1 외부 전극(14)에 접속된 X축 방향의 단부이다. 제1 협폭부(12b)는, 제1 인출부(12a)와는 반대의 X축 방향의 단부를 구성하고, Y축 방향의 폭이 다른 부분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제2 내부 전극(13)은, 제2 인출부(13a)와 제2 협폭부(13b)를 갖는다. 제2 인출부(13a)는, 엔드 마진부(19)를 통해 단부면으로 인출되어, 제2 외부 전극(15)에 접속된 X축 방향의 단부이다. 제2 협폭부(13b)는, 제2 인출부(13a)와는 반대의 X축 방향의 단부를 구성하고, Y축 방향의 폭이 다른 부분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12, 13)에는, 협폭부(12b, 13b)에 한 쌍의 피복면 F로부터 각각 Y축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오목상의 한 쌍의 절결부 K가 마련되어 있다. 즉, 내부 전극(12, 13)에서는, 절결부 K를 마련함으로써, X-Y 평면을 따른 윤곽이 협폭부(12b, 13b)에 있어서 Y축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내부 전극(12, 13)의 한 쌍의 절결부 K는, X축 방향을 따른 Y축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서로 선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절결부 K는, X축 및 Y축 방향의 치수가 모두 일정하다. 이 때문에, 내부 전극(12, 13)에서는, 협폭부(12b, 13b)의 Y축 방향의 치수가 X축을 따라서 일정하다.
내부 전극(12, 13)에서는, 협폭부(12b, 13b) 이외의 부분이, 세라믹층(21)의 Y축 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 마련되며, 한 쌍의 피복면 F에 노출된 Y축 방향의 최외 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내부 전극(12, 13)에서는, 절결부 K가 형성된 협폭부(12b, 13b)의 Y축 방향의 양단부가 한 쌍의 피복면 F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내부 전극(12, 13)에서는, 협폭부(12b, 13b)를 마련함으로써, 한 쌍의 피복면 F에 노출되는 부분의 X축 방향의 치수가 축소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서는, 한 쌍의 피복면 F에 X-Z 평면에 대한 기울기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제조 방법」의 항목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서는, 내부 전극(12, 13)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치수를 축소하는 부분을 절결부 K만으로 한정함으로써, 교차부(18)에 있어서의 내부 전극(12, 13)의 대향 면적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서는, 정전 용량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내부 전극(12, 13)의 한 쌍의 절결부 K 중 1개만을 대표하여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5에는, 각 절결부 K에 대하여, 치수 P 및 치수 Q가 나타내어져 있다. 절결부 K의 치수 P는, 협폭부(12b, 13b)의 선단을 규정하는 변 E를 따른 Y축 방향의 치수이다. 절결부 K의 치수 Q는, 피복면 F를 따른 X축 방향의 치수이다.
각 절결부 K에서는, 상기 효과를 보다 양호하게 얻기 위해, 각 절결부 K의 X축 방향의 치수 Q가 Y축 방향의 치수 P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결부 K에서는, 변 E 상의 단부점 k1과 피복면 F 상의 단부점 k2를 연결한 직선이 피복면 F와의 사이에 이루는 각도 α가 4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내부 전극(12, 13)의 협폭부(12b, 13b)를 교차부(18)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더욱 유효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내부 전극(12, 13)에서는, 협폭부(12b, 13b)를 인출부(12a, 13a)에 마련하지 않음으로써, 외부 전극(14, 15)에 대한 접속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적층체(16)에 있어서의 내부 전극(12, 13)의 적층수가 많아지는 고배형 구성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세라믹 소체(11)의 Z축 방향의 치수가 Y축 방향의 치수보다 큰 구성에 특히 유효하고, 또한 적층체(16)에 있어서의 내부 전극(12, 13)의 합계의 적층수가 50층 이상인 구성에 특히 유효하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제조 방법]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따라서, 도 7 내지 도 11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스텝 S01: 세라믹 시트 준비)
스텝 S01에서는, 교차부(18) 및 엔드 마진부(19)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세라믹 시트(101, 102)와, 커버부(20)를 형성하기 위한 제3 세라믹 시트(103)를 준비한다. 세라믹 시트(101, 102, 103)는, 유전체 세라믹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소성의 유전체 그린 시트로서 구성된다.
세라믹 시트(101, 102, 103)는, 예를 들어 롤 코터나 닥터 블레이드 등을 사용하여 시트상으로 성형된다. 세라믹 시트(101, 102)의 두께는, 소성 후의 교차부(18)에 있어서의 세라믹층(21)의 두께에 따라서 조정된다. 제3 세라믹 시트(103)의 두께는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도 7은 세라믹 시트(101, 102, 103)의 평면도이다. 이 단계에서는, 세라믹 시트(101, 102, 103)가, 개편화되어 있지 않은 대형의 시트로서 구성된다. 도 7에는, 각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마다 개편화할 때의 절단선으로서, X축에 평행인 제1 절단선 Lx와 Y축에 평행인 제2 절단선 Ly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세라믹 시트(101, 102)에는, 내부 전극(12, 13)에 대응하는 미소성의 제1 및 제2 도체 패턴(112, 113)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전극이 마련되지 않는 커버부(20)에 대응하는 제3 세라믹 시트(103)에는, 미소성의 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체 패턴(112, 113)은, 임의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세라믹 시트(101, 102)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도포 방법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전성 페이스트의 도포에는, 스크린 인쇄법이나 그라비아 인쇄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체 패턴(112, 113)에는, 절단선 Ly를 따른 X축 방향의 간극이, 절단선 Ly 1개 걸러 형성되어 있다. 도체 패턴(112, 113)의 각 간극은 X축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도체 패턴(112)의 간극을 통과하는 절단선 Ly와 제2 도체 패턴(113)의 간극을 통과하는 절단선 Ly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체 패턴(112, 113)에서는, 절단선 Lx와 교차하여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띠상부가, X축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도체 패턴(112, 113)에서는, 각 띠상부에 있어서의 절단선 Lx가 통과하는 부분에, 절결부 K에 대응하는 X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오목해지는 오목부 R이 형성되어 있다.
도체 패턴(112, 113)에서는, 절단선 Lx를 따른 부분에 있어서, 절단선 Lx와 Y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분보다도, 오목부 R의 분만큼 X축 방향을 따른 합계 치수가 작게 되어 있다. 즉, 절단선 Lx를 따른 절단 시에 있어서의 도체 패턴(112, 113)의 절단할 필요가 있는 부분의 길이(절단 길이)가 축소되어 있다.
(스텝 S02: 적층)
스텝 S02에서는, 스텝 S01에서 준비한 세라믹 시트(101, 102, 103)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함으로써 적층 시트(104)를 제작한다. 적층 시트(104)에서는, 교차부(18) 및 엔드 마진부(19)에 대응하는 제1 세라믹 시트(101) 및 제2 세라믹 시트(102)가 Z축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적층 시트(104)에서는, 교대로 적층된 세라믹 시트(101, 102)의 Z축 방향 상하면에 커버부(20)에 대응하는 제3 세라믹 시트(103)가 적층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3 세라믹 시트(103)가 각각 3매씩 적층되어 있지만, 제3 세라믹 시트(103)의 매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적층 시트(104)는, 세라믹 시트(101, 102, 103)를 압착함으로써 일체화된다. 세라믹 시트(101, 102, 103)의 압착에는, 예를 들어 정수압 가압이나 1축 가압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적층 시트(104)를 고밀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S03: 절단)
스텝 S03에서는, 스텝 S02에서 얻어진 적층 시트(104)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선 Lx, Ly를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도 10에 도시한 미소성의 적층체(116)를 제작한다. 적층체(116)는, 소성 후의 적층체(16)에 대응한다. 스텝 S03에서는, 절단날로서 예를 들어 압박 절단날을 사용하여, 적층 시트(104)를 Z축 방향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절단한다.
즉, 스텝 S03에서는, 절단날의 날끝을 각 절단선 Lx, Ly에 순차적으로 맞추어 Z축 방향 하방으로 압박하여 적층 시트(104)에 진입시킴으로써, 적층 시트(104)를 잘라 나눌 수 있다. 그때, 절단날의 날끝에는, 세라믹 시트(101, 102, 103)보다도 단단한 도체 패턴(112, 113)으로부터 큰 응력이 가해진다.
날끝에 큰 응력이 가해진 절단날에서는, 날끝만이 절단선 Lx, Ly로부터 어긋남으로써, 적층 시트(104)에 대한 진입 방향이 Z축 방향에 대하여 기운 경사 방향이 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적층 시트(104)의 절단면이 Z축에 대하여 기움으로써, 얻어지는 적층체(16)의 단부면 및 피복면 F에 Z축에 대한 기울기가 발생한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서는, 교차부(18)를 구성하는 피복면 F에 있어서 단부면을 구성하는 엔드 마진부(19)의 2배의 내부 전극(12, 13)이 적층되어 있다. 따라서, 스텝 S03에서는, 절단선 Lx에 있어서 절단선 Ly보다도 많은 도체 패턴(112, 113)을 절단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스텝 S03에서는, 절단선 Lx를 따른 절단 시에 절단날의 날끝에 특히 큰 응력이 가해지기 쉽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패턴(112, 113)에 오목부 R을 마련하고, 절단선 Lx를 따른 도체 패턴(112, 113)의 절단 길이를 축소함으로써, 절단선 Lx를 따른 절단 시에 절단날의 날끝에 가해지는 응력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절단선 Lx를 따른 절단 시에는, 절단선 Lx에 Y축 방향의 양측에 인접하는 오목부 R의 외측의 도체 패턴(112, 113)이 존재하는 부분이, 절단날을 Y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누르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스텝 S03에서는, 절단날의 적층 시트(104)에 대한 진입 방향이 규제되어, 절단날의 날끝이 Y축 방향으로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패턴(112, 113)에 마련된 오목부 R의 작용에 의해, 절단선 Lx를 따른 절단 시에 있어서의 절단날의 날끝에 가해지는 응력이 억제되고, 또한 절단날의 적층 시트(104)에 대한 진입 방향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적층체(116)의 한 쌍의 피복면 F에 있어서의 X-Z 평면에 대한 기울기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스텝 S04: 사이드 마진부 형성)
스텝 S04에서는, 스텝 S03에서 얻어진 미소성의 적층체(16)의 한 쌍의 피복면 F에 각각 미소성의 한 쌍의 사이드 마진부(117)를 마련한다. 이에 의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소성의 한 쌍의 사이드 마진부(117)에 의해 한 쌍의 피복면 F가 구성된 미소성의 세라믹 소체(111)가 얻어진다.
사이드 마진부(117)는, 임의의 방법으로 형성 가능하다. 사이드 마진부(117)는, 예를 들어 세라믹 슬러리를 시트상으로 성형한 세라믹 시트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세라믹 시트는, 예를 들어 적층체(116)의 피복면 F에서 펀칭하는 것이나, 미리 절단하여 적층체(116)의 피복면 F에 첩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마진부(117)를 형성하기 위해, 미리 시트상으로 성형된 세라믹 시트가 아니라, 성형되어 있지 않은 세라믹 슬러리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라믹 슬러리는, 예를 들어 적층체(116)의 피복면 F를 침지시킴으로써, 적층체(116)의 피복면 F에 도포할 수 있다.
(스텝 S05: 소성)
스텝 S05에서는, 스텝 S04에서 얻어진 도 11에 도시한 세라믹 소체(111)를 소성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세라믹 소체(11)를 제작한다. 즉, 스텝 S05에 의해, 적층체(116)가 적층체(16)가 되고, 사이드 마진부(117)가 사이드 마진부(17)가 된다.
스텝 S05에 있어서의 소성 온도는, 세라믹 소체(111)의 소결 온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타늄산바륨(BaTiO3)계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성 온도는 1000 내지 1300℃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성은, 예를 들어 환원 분위기 하, 또는 저산소 분압 분위기 하에서 행할 수 있다.
(스텝 S06: 외부 전극 형성)
스텝 S06에서는, 스텝 S07에서 얻어진 세라믹 소체(11)의 X축 방향 양단부에 외부 전극(14, 15)을 형성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를 제작한다. 스텝 S06에 있어서의 외부 전극(14, 15)의 형성 방법은, 공지의 방법으로부터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이상에 의해, 적층 세라믹 콘덴서(10)가 완성된다. 이 제조 방법에서는, 도체 패턴(112, 113)이 노출된 적층체(116)의 한 쌍의 피복면 F에 한 쌍의 사이드 마진부(117)가 형성되기 때문에, 세라믹 소체(11)에 있어서의 Z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2층의 내부 전극(12, 13)의 최외 단부의 Y축 방향의 위치가, Y축 방향으로 1.0㎛ 이하의 범위에서 정렬된다.
[절결부 K의 다른 구성예]
도 12 내지 도 19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내부 전극(12, 13)의 절결부 K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에 있어서, 내부 전극(12, 13)의 절결부 K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고, 각 구성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의 A에 도시한 구성 A1에 관한 절결부 K는, 단부점 k1, k2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윤곽을 갖는다. 구성 A1에서는, 협폭부(12b, 13b)가 인출부(12a, 13a)를 향하여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짐으로써, 스텝 S03에 있어서 절단선 Lx를 따른 절단 시에 있어서의 절단날의 날끝의 적층 시트(104)에 대한 진입 방향이 보다 양호하게 규제되어, 적층체(16)의 한 쌍의 피복면 F에 있어서의 기울기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도 12의 B에 도시한 구성 A2에 관한 절결부 K는, 구성 A1에 대해, 단부점 k2에 인접하는 위치에 Y축에 평행인 절단 마진부 Ka가 마련되어 있다. 구성 A2에서는, 스텝 S03에 있어서 절단 위치가 절단선 Lx로부터 Y축 방향으로 약간 어긋난 경우에도, 절단 위치가 절단 마진부 Ka의 범위 내이면 피복면 F에 있어서의 내부 전극(12, 13)이 노출되는 치수가 변화되지 않는다. 구성 A2에서는, 절단 마진부 Ka의 Y축 방향의 치수를 20㎛ 이상 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 A2에서도, 협폭부(12b, 13b)가 피복면 F로부터 150㎛ 이내의 위치에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구성 A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13의 A에 도시한 구성 B1에 관한 절결부 K는, 단부점 k1, k2를 연결하는 볼록상의 만곡 형상의 윤곽을 갖는다. 도 13의 B에 도시한 구성 B2에 관한 절결부 K는, 단부점 k1, k2를 연결하는 오목상의 만곡 형상의 윤곽을 갖는다. 도 13의 C에 도시한 구성 B3에 관한 절결부 K는, 볼록상 및 오목상의 만곡 형상을 조합한 윤곽을 갖는다.
도 14에 도시한 구성 C에 관한 절결부 K는, 단부점 k1측의 제1 부분 Kb1 및 단부점 k2측의 제2 부분 Kb2의 2개의 직사각 형상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 계단상의 윤곽을 갖는다. 구성 C에서는, 부분 Kb1, Kb2의 Y축 방향의 각 치수 p1, p2 및 X축 방향의 각 치수 q1, q2를 적절히 결정 가능하다.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C에 도시한 구성 D1 내지 D3에 관한 절결부 K는, 도 5에 도시한 구성에 대해, 단부점 k2측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경사가 마련된 윤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구성 D1에서는 직선상의 경사가 마련되고, 구성 D2에서는 볼록상으로 만곡하는 경사가 마련되고, 구성 D3에서는 오목상으로 만곡하는 경사가 마련되어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구성 E1에 관한 절결부 K는, 도 5에 도시한 구성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단부점 k1측의 일부에 직선상의 경사가 마련된 윤곽을 갖는다. 또한, 도 16의 B 내지 도 16의 D에 관한 절결부 K는, 구성 E1에 대해, 또한 단부점 k2측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경사가 마련된 윤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구성 E2에서는 직선상의 경사가 마련되고, 구성 E3에서는 볼록상으로 만곡하는 경사가 마련되고, 구성 E4에서는 오목상으로 만곡하는 경사가 마련되어 있다.
도 17의 A에 도시한 구성 F1에 관한 절결부 K는, 도 5에 도시한 구성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단부점 k1측의 일부에 볼록상으로 만곡하는 경사가 마련된 윤곽을 갖는다. 또한, 도 17의 B 내지 도 17의 D에 관한 절결부 K는, 구성 F1에 대해, 또한 단부점 k2측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경사가 마련된 윤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구성 F2에서는 직선상의 경사가 마련되고, 구성 F3에서는 볼록상으로 만곡하는 경사가 마련되고, 구성 F4에서는 오목상으로 만곡하는 경사가 마련되어 있다.
도 18의 A에 도시한 구성 G1에 관한 절결부 K는, 도 5에 도시한 구성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단부점 k1측의 일부에 오목상으로 만곡하는 경사가 마련된 윤곽을 갖는다. 또한, 도 18의 B 내지 도 18의 D에 관한 절결부 K는, 구성 G1에 대해, 또한 단부점 k2측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경사가 마련된 윤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구성 G2에서는 직선상의 경사가 마련되고, 구성 G3에서는 볼록상으로 만곡하는 경사가 마련되고, 구성 G4에서는 오목상으로 만곡하는 경사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의 어느 구성에 관한 절결부 K에 있어서도, 적층체(16)의 피복면 F에 있어서의 기울기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 X축 방향의 치수 Q가 Y축 방향의 치수 P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고, 즉 단부점 k1, k2를 연결한 직선이 피복면 F와의 사이에 이루는 각도 α가 4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협폭부(12b, 13b)는, 내부 전극(12, 13)의 인출부(12a, 13a) 이외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면 되고, 내부 전극(12, 13)의 변 E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한 구성 H와 같이, 절결부 K는, X축 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X축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잘록해진 협폭부(12b, 13b)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구성 H에 관한 절결부 K가 마련된 내부 전극(12, 13)은, 각 피복면 F에 있어서 2개소로 분리되어 노출되지만, 각 피복면 F에 노출되는 X축 방향의 합계의 치수가 축소되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구성 H에 관한 절결부 K에서는, Y축 방향의 치수 P 및 X축 방향의 치수 Q를 적절히 결정 가능하다.
내부 전극(12, 13)의 절결부 K의 윤곽은, 절단날의 날끝이 Y축 방향으로 어긋나기 어려워 적층체(16)의 피복면 F에 있어서의 기울기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 및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보다도, 예를 들어 도 13의 A 내지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의 성분과 Y축 방향의 성분의 양쪽의 성분을 갖고, 즉 X축 및 Y축에 대하여 기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텝 S01에서 세라믹 시트(101, 102)에 마련되는 도체 패턴(112, 113)의 오목부 R의 윤곽은, X축 방향의 성분과 Y축 방향의 성분의 양쪽의 성분을 갖고, 즉 X축 및 Y축에 대하여 기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결부 K의 윤곽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도 13의 A의 단부점 k2측의 단부나, 도 13의 B의 단부점 k1측의 단부나, 도 13의 C의 중앙 부분과 같이, X축 방향의 성분이 Y축 방향의 성분보다도 큰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텝 S01에서 세라믹 시트(101, 102)에 마련되는 도체 패턴(112, 113)의 오목부 R의 윤곽은, X축 방향의 성분이 Y축 방향의 성분보다도 큰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상기 실시 형태의 실시예로서, 내부 전극(12, 13)의 절결부 K의 구성만이 다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10)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각 구성에 대하여, 각 1000개의 샘플의 샘플링 검사를 행하여, 적층체(16)의 피복면 F의 Z축에 대한 각도가 2.5°를 초과한 샘플을 불량으로 판정하고, 불량의 샘플의 비율인 불량률을 구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비교예로서, 내부 전극(12, 13)에 절결부 K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만이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비교예에 관한 구성에 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1000개의 샘플의 샘플링 검사를 행한바, 불량률은 2.2%였다.
표 1 내지 표 3에는, 절결부 K에 대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의 종류, Y축 방향의 치수 P, X축 방향의 치수, 및 치수 Q의 치수 P에 대한 비율 Q/P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표 1 내지 표 3에는, 각 구성에 대하여 구한 불량률이 아울러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표 1 중의 구성 A0은, 도 5에 도시한 절결부 K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구성 C의 절결부 K에서는, 제1 부분 Kb1의 X축 방향의 치수 p1을 30㎛로 하고, 제1 부분 Kb1의 Y축 방향의 치수 q1을 40㎛로 하고, 제2 부분 Kb2의 X축 방향의 치수 q1을 30㎛로 하고, 제2 부분 Kb2의 X축 방향의 치수 q2를 60㎛로 하였다. 표 2의 구성 C에 대응하는 란에는, 치수 P가 치수 p1, p2의 합계로서 나타내어지고, 치수 Q가 치수 q1, q2의 합계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는 대로, 내부 전극(12, 13)에 절결부 K를 마련한 실시예에 관한 어느 구성에 대해서도, 내부 전극(12, 13)에 절결부 K를 마련하지 않는 비교예에 관한 구성보다도 불량률이 낮게 억제되었다. 또한, 비율 Q/P가 1 미만인 구성에서는 모두, 불량률이 1% 미만으로 매우 낮게 억제할 수 있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각 내부 전극(12, 13)의 협폭부(12b, 13b)에서는, 한 쌍의 절결부 K의 구성이 서로 달라도 된다. 또한, 각 내부 전극(12, 13)의 협폭부(12b, 13b)에서는, 절결부 K가 한 쌍의 피복면 F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구성은 필수는 아니고, 한 쌍의 피복면 F 중 어느 한쪽측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10: 적층 세라믹 콘덴서
11: 세라믹 소체
12, 13: 내부 전극
12a, 13b: 인출부
12b, 13b: 협폭부
14, 15: 외부 전극
16: 적층체
17: 사이드 마진부
18: 교차부
19: 엔드 마진부
20: 커버부
21: 세라믹층
F: 피복면
K: 절결부

Claims (14)

  1. 제1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세라믹층과, 상기 복수의 세라믹층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내부 전극과,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에 수직인 한 쌍의 단부면과,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제3 축에 수직인 한 쌍의 피복면을 포함하는 적층체와, 상기 한 쌍의 피복면을 피복하는 한 쌍의 사이드 마진부를 갖는 세라믹 소체와,
    상기 한 쌍의 단부면을 피복하는 한 쌍의 외부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은, 상기 적층체의 상기 한 쌍의 단부면 중 어느 한쪽으로 인출된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보다도 상기 제3 축 방향의 폭이 좁은 협폭부를 갖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 중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2층의 최외 단부의 상기 제3 축 방향의 위치가,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1.0㎛ 이내에 정렬되어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 중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2층의 최외 단부의 상기 제3 축 방향의 위치가,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1.0㎛ 이내에 정렬되어 있는 빈도가 50% 이상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와 상기 사이드 마진부가 따로따로 성형되어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은, 상기 협폭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피복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제3 축 방향의 내측으로 오목해지는 윤곽을 형성하는 절결부를 갖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에서는, 상기 절결부 각각의 상기 제2 축 방향의 치수가 상기 제3 축 방향의 치수보다도 큰 적층 세라믹 콘덴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의 윤곽은, 상기 제2 축 방향의 성분과 상기 제3 축 방향의 성분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의 윤곽에 포함되는 상기 부분에서는, 상기 제2 축 방향의 성분이 상기 제3 축 방향의 성분보다도 큰 적층 세라믹 콘덴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에서는, 상기 협폭부가 상기 제2 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인출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에서는, 상기 협폭부가 상기 제2 축 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의 적층수가 50층 이상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소체의 상기 제1 축 방향의 치수가 상기 제3 축 방향의 치수보다도 큰 적층 세라믹 콘덴서.
  13. 도체 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세라믹 시트를 제1 축 방향으로 적층하여 적층 시트를 제작하는 스텝과,
    상기 적층 시트를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을 따른 제1 절단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절단선을 따라서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제3 축에 수직인 한 쌍의 피복면을 갖는 복수의 적층체로 잘라 나누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적층체의 상기 한 쌍의 피복면에 한 쌍의 사이드 마진부를 형성하는 스텝
    을 포함하고,
    상기 도체 패턴은,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연속하고, 상기 제1 절단선을 따른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선과 상기 제3 축 방향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보다도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른 합계 치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패턴에는, 상기 제1 절단선을 따른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축 방향의 성분이 상기 제3 축 방향의 성분보다도 큰 부분을 포함하는 윤곽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1020230014623A 2022-02-22 2023-02-03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261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25207A JP2023121883A (ja) 2022-02-22 2022-02-22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22-025207 2022-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188A true KR20230126188A (ko) 2023-08-29

Family

ID=8757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623A KR20230126188A (ko) 2022-02-22 2023-02-03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68123A1 (ko)
JP (1) JP2023121883A (ko)
KR (1) KR20230126188A (ko)
CN (1) CN1166461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9539A (ja) 2011-03-14 2012-10-25 Murata Mfg Co Ltd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9539A (ja) 2011-03-14 2012-10-25 Murata Mfg Co Ltd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46180A (zh) 2023-08-25
US20230268123A1 (en) 2023-08-24
JP2023121883A (ja)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6923B2 (en)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10047654B (zh) 层叠陶瓷电容器
KR102444514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US10141114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10010346B (zh) 层叠陶瓷电子部件及其制造方法
JP2019186394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11049660B2 (en)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20053516A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18046086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CN112242245A (zh) 层叠陶瓷电子部件和层叠陶瓷电子部件的制造方法
JP2018029118A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US11024461B2 (en)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having external electrode with base film and electrically conductive thin film
KR20230126188A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JP7359595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回路基板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KR20190132924A (ko)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US20220359122A1 (en) Method for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device with punched out side margin parts
US11694845B2 (en)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7261557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7322240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7328749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7307553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製造用のセラミック積層チップ
JP2023121897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21093552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21158235A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116646178A (zh) 多层陶瓷电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