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881A -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881A
KR20230125881A KR1020220022655A KR20220022655A KR20230125881A KR 20230125881 A KR20230125881 A KR 20230125881A KR 1020220022655 A KR1020220022655 A KR 1020220022655A KR 20220022655 A KR20220022655 A KR 20220022655A KR 20230125881 A KR20230125881 A KR 20230125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vehicle
main body
unit
no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수
민선기
장영훈
Original Assignee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881A/ko
Publication of KR2023012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88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1Alarm cancelling procedures or alarm forwarding decisions, e.g. based on absence of alarm confi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가 게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동바퀴를 구비하는 바퀴부(20,25)와; 상기 본체부(10)에서 자동차 방면을 향해 설치되어 자동차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와 상태를 감지하고 차선을 유지하기 위한 이동 센서부(30,35)와; 상기 본체부(10)에 일체로 연결되어 도로 및 주행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40); 및 상기 상기 본체부(1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펼쳐짐으로써 전방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삼각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A mobile notification Apparatus for a Car Acciden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고를 경고하기 위한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 발생시 바퀴 달린이동체를 자동차의 외부로 이동시켜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표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범퍼가드 겸용 안전삼각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후방을 주행하는 차량 및 주위에 경고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범퍼가드 겸용 안전삼각대를 설치하곤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는 운전자 또는 보조자가 범퍼가드 겸용 안전삼각대를 차량의 트렁크 또는 내부에 보관하고 있다가 사고 발생시에 수동으로 설치를 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안전삼각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추가의 이중사고가 발생하는 등으로 인명을 위험하게 빠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출원번호/일자 2020160004484 (2016.08.03)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자동차가 사고발생시 차량에 보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는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는, 자동차에 사고 발생시 이동하여 자동차의 주위에서 경보장치를 돌출시킴으로써 사고발생을 경고하고 안전운행을 유도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알림장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동바퀴를 구비하는 바퀴부(20,25)와; 상기 본체부(10)에서 자동차 방면을 향해 설치되어 자동차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와 상태를 감지하고 차선을 유지하기 위한 이동 센서부(30,35)와; 상기 본체부(10)에 일체로 연결되어 도로 및 주행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40); 및 상기 상기 본체부(1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펼쳐짐으로써 전방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삼각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센서부(30,35)는, 자동차 본체와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으로 멀어지게 되면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는 스피커(60)와, 상기 스피커(60)가 경보음을 발생하면 긴급상황으로 인식하여 원격지로 구난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송신부(65)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가 사고발생시 차량에 보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는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추가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범퍼가드 겸용 안전삼각대를 도시하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는, 자동차에 사고 발생시 이동하여 자동차의 주위에서 경보장치를 돌출시킴으로써 사고발생을 경고하고 안전운행을 유도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알림장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동바퀴를 구비하는 바퀴부(20,25)와; 상기 본체부(10)에서 자동차 방면을 향해 설치되어 자동차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와 상태를 감지하고 차선을 유지하기 위한 이동 센서부(30,35)와; 상기 본체부(10)에 일체로 연결되어 도로 및 주행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40); 및 상기 상기 본체부(1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펼쳐짐으로써 전방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삼각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서 도면의 부호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는 이동형 알림장치의 중심을 잡으며, 그 재질은 가벼운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 등의 금속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바퀴부(20,25)는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동바퀴를 구비하는 작동수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바퀴를 상기 본체부(10)의 양측에 설치하였으나, 스스로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자이로센서 등을 채용한다면 1개의 바퀴 구성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센서부(30,35)는, 상기 본체부(10)에서 자동차 방면을 향해 설치되어 자동차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와 상태를 감지하고 차선을 유지하기 위한 수신처리 장치이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행중인 자동차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와 무선으로 이동 및 작동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신호송수신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신호송수신 장치는 발명의 대상이 아니므로 그 세부적인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부(40)는 상기 본체부(10)에 일체로 연결되어 도로 및 주행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이다. 상기 카메라부(40)는 전방 또는 후방의 도로 상태 및 주행하는 자동차 등의 정보를 촬영하여 상기 이동 센서부(30,35)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삼각대(50)는 상기 상기 본체부(1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펼쳐짐으로써 전방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경고 및 알람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가 자동차의 후방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삼각대(50)를 펼침으로써 후방에 주행하는 차량 및 운전자에게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게 된다. 이때, 상기 삼각대(50)를 펼치는 작용은 별도의 제어 및 구동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춤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는 사고 발생시 자동차에서 바퀴를 이용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여서 삼각대(50)를 펼침으로써 사고가 발생한 것을 알림으로써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센서부(30,35)는, 자동차 본체와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으로 멀어지게 되면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는 스피커(60)와, 상기 스피커(60)가 경보음을 발생하면 긴급상황으로 인식하여 원격지로 구난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송신부(65)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피커(60)는\ 자동차 본체와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으로 멀어지게 되면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는 장치이고, 무선송신부(65)는 상기 스피커(60)가 경보음을 발생하면 긴급상황으로 인식하여 원격지로 구난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신호송수신 장치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면서 소정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었을 때는 경고 알람을 발생하면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자동차가 사고발생시 차량에 보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는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추가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해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그 기술적인 사상이 동일 또는 유사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형, 및 부가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것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10: 본체
20,25: 바퀴
30,35: 이동 센서부
40: 카메라
50: 삼각대
60: 스피커
65: 무선송신부

Claims (3)

  1. 자동차에 사고 발생시 이동하여 자동차의 주위에서 경보장치를 돌출시킴으로써 사고발생을 경고하고 안전운행을 유도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알림장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동바퀴를 구비하는 바퀴부(20,25)와; 상기 본체부(10)에서 자동차 방면을 향해 설치되어 자동차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와 상태를 감지하고 차선을 유지하기 위한 이동 센서부(30,35)와; 상기 본체부(10)에 일체로 연결되어 도로 및 주행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40); 및 상기 상기 본체부(1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펼쳐짐으로써 전방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삼각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센서부(30,35)는, 자동차 본체와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으로 멀어지게 되면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는 스피커(60)와, 상기 스피커(60)가 경보음을 발생하면 긴급상황으로 인식하여 원격지로 구난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송신부(65)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

    10: 본체부
    20,25: 바퀴부
    30,35: 이동 센서부
    40: 카메라
    50: 삼각대
    60: 스피커
KR1020220022655A 2022-02-22 2022-02-22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 KR20230125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655A KR20230125881A (ko) 2022-02-22 2022-02-22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655A KR20230125881A (ko) 2022-02-22 2022-02-22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881A true KR20230125881A (ko) 2023-08-29

Family

ID=8780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655A KR20230125881A (ko) 2022-02-22 2022-02-22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88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484U (ko) 2015-06-18 2016-12-28 김석진 서랍형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484U (ko) 2015-06-18 2016-12-28 김석진 서랍형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049585U (zh) 碰撞警告系统
US8669857B2 (en) Hand-held device integration for automobile safety
US201402471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signal warning
KR101643249B1 (ko)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안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차량 안전 장치
KR20140034724A (ko) 차량에 대한 위험 경고 시스템
CZ299159B6 (cs) Zarízení pro projekci svazku laserových paprsku zvozidla do jeho okolí
JP6416288B2 (ja) 操作制御装置
CN106660482A (zh) 自动停车警告系统
US200401557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tor vehicle-based emergency/hazard detection
KR101681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장치
SE1451114A1 (sv) Method and system for warning for vulnerable road users in connection to a non-moving vehicle
US20200282908A1 (en) Vehicle advancing monitoring system
JP2014019390A (ja) 緊急退避装置
KR20160147580A (ko)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KR20180059663A (ko) 긴급차량 접근 알림 신호 시스템
KR101573767B1 (ko) 비상 주차 차량의 안전 확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329039A1 (en) Blinker-activated warning system for vehicles
KR101103357B1 (ko)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측방충돌방지 경보시스템
KR20160112667A (ko) 2차 도로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 신호장치
KR101689080B1 (ko)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
KR20230125881A (ko) 자동차 사고발생 이동형 알림 장치
US9643557B1 (en) Multifunctional airbag triggering system
KR102219898B1 (ko)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KR20110013874A (ko) 스쿨존에서의 자동 감속 및 경보발생장치
JP2007193577A (ja) ドライブレコーダ活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