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485A -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 Google Patents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485A
KR20200024485A KR1020180101217A KR20180101217A KR20200024485A KR 20200024485 A KR20200024485 A KR 20200024485A KR 1020180101217 A KR1020180101217 A KR 1020180101217A KR 20180101217 A KR20180101217 A KR 20180101217A KR 20200024485 A KR20200024485 A KR 20200024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ed module
control unit
occupant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898B1 (ko
Inventor
박철오
Original Assignee
박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오 filed Critical 박철오
Priority to KR102018010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8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electromagneticwaves, e.g. 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ultrason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8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for image processing, e.g. cameras or senso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로서, 유치원 차량, 학원 차량 등과 같은 어린이보호차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차량 탑승자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인원수를 카운트하는 탑승자 센서부; 차량 전후방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문구 표시 LED 모듈과 램프 발광 LED 모듈이 포함된 LED 전광판; 및 차량 도어 오픈이 감지되면, 상기 문구 표시 LED 모듈에 어린이 승하차와 탑승자의 인원수에 대한 문구를 표시하는 제어와, 램프 발광 LED 모듈을 발광하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Safety apparatus for children protection vehicle}
본 발명은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로서, 유치원 차량, 학원 차량 등과 같은 어린이보호차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치원이나 학원에서는 어린이 또는 학생들을 수송하기 위한 셔틀차량을 운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업용 버스 혹은 학원용으로 사용되는 승합 차량은 많은 이용객들이 차량에 승차하거나 하차를 수시로 반복하게 되는데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차량을 도로의 측면인 가장 자리에 정차하려고 노력을 하지만 도로에 정차된 차량 및 도로의 상황에 따라 가장 자리 근처에 정차를 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도로의 가장 자리 근처에 차량을 정차한 후 버스(학원용 버스 포함)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후시경으로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이 진행하는 상황을 파악한 후 스위치를 작동시켜 도어(문)를 오픈시켜 차량으로부터 승객(학원생)이 안전하게 내리게 하였는데도 종종 질주하는 오토바이가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도 승객이 내리는 것인지를 파악하지 못하고 정차한 차량의 측면으로 질주함으로 인해 차량에서 내리던 탑승객과 부딪쳐 교통사고가 종종 발 생하는 등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영업용 버스의 도어에는 도어가 열리면 연동적으로 걸림판이 기립되어 오토바이나 후방에서 진행하는 자동차의 진행을 정지하도록 하거나 비상등을 점등시켜 후방에서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도록 하였는데 상기의 구조는 단순히 후방에서 진행하는 오토바이 운전자 또는 승용차 혹은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단순히 정차할 차량인지, 아니면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내릴 것인지를 전혀 알 수가 없음으로 후방에서 운행하는 오토바이 운전자나 차량 운전자 및 자전거 운전자는 앞쪽에서 진행하는 차량의 현재의 상태를 전혀 파악할 수 없어 차량의 안전 사고의 예방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2834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유치원 차량, 학원 차량 등과 같은 어린이보호차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유치원 차량, 학원 차량 등과 같은 어린이보호차량 주행시 탑승인원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차량 탑승자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인원수를 카운트하는 탑승자 센서부; 차량 전후방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문구 표시 LED 모듈과 램프 발광 LED 모듈이 포함된 LED 전광판; 및 차량 도어 오픈이 감지되면, 상기 문구 표시 LED 모듈에 어린이 승하차와 탑승자의 인원수에 대한 문구를 표시하는 제어와, 램프 발광 LED 모듈을 발광하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탑승자 센서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특정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탑승자의 차량 탑승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차량 제어 유닛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탑승자 센서부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차량 탑승여부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인원수를 상기 차량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1 기능; 상기 차량의 시트에 설치된 하중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하중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차량 탑승여부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인원수를 상기 차량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 기능; 및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모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차량 탑승여부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인원수를 상기 차량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3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탑승자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출입구 또는 천장에 설치된 열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초음파 감지 센서, 인체 감지 센서 또는 RF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소정 시간 간격으로 탑승자의 인원수를 상기 차량 제어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각 다른 접근 경고 거리와 충돌 경고 거리에서의 경고 알람을 다르게 함으로서, 후방 차량에 경각심을 효율적으로 느끼게 하여 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치원 차량, 학원 차량 등과 같은 어린이보호차량 주행시 탑승인원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이 어린이보호차량의 후방면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차를 알람 표시하는 LED 전광판을 도시한 예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근 경고 알람을 문구 표시 LED 모듈을 통해서 문구로 표시하는 LED 전광판을 도시한 예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근 경고 알람을 램프 발광 LED 모듈을 통해서 점멸 표시하는 LED 전광판을 도시한 예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후방 차량이 충돌 경고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예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경적 크락션을 발생시키는 접근 경고 알람의 예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후방 보조 범퍼가 돌출되는 접근 경고 알람의 예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후방 블랙박스 영상을 외부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접근 경고 알람의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전광판이 어린이보호차량의 후방면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차를 알람 표시하는 LED 전광판을 도시한 예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근 경고 알람을 문구 표시 LED 모듈을 통해서 문구로 표시하는 LED 전광판을 도시한 예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근 경고 알람을 램프 발광 LED 모듈을 통해서 점멸 표시하는 LED 전광판을 도시한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탑승자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인원수를 카운트하는 탑승자 센서부와, 차량 전후방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문구 표시 LED 모듈(110)과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이 포함된 LED 전광판(100)과, 차량 도어 오픈이 감지되면 문구 표시 LED 모듈(110)에 어린이 승하차를 문구를 표시하는 제어와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을 점멸하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 유닛(300)과, 차량 후방에 위치하여 차량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접근 감지 센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하기로 한다.
차량 제어 유닛(300)은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의 각부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탑승자 센서부(220)는 차량에 사람의 탑승 여부를 감지해 탑승자의 인원수를 카운트한다.
차량 제어 유닛(300)은 차량 도어 오픈이 감지되면, 문구 표시 LED 모듈(110)이 탑승자 센서부(220)에서 카운트된 탑승자의 인원수에 대응된 서로 다른 표시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 센서부(220)는,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221), 차량의 시트에 설치된 하중 감지 센서(222),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모션 감지 센서(223)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센서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또는 탑승자의 증가나 감소에 대한 감지 상태의 변경이 있을 때마다, 사람의 탑승 여부를 감지해 상기 탑승자의 인원수를 업데이트하여 메모리 등 저장 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221)를 이용하는 경우, 탑승자 센서부(220)는 카메라(221)가 촬영한 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사람의 탑승 여부를 감지해 탑승자의 인원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시보드나 백미러 옆 등 적절히 탑승자들이 모두 촬영될 수 있는 위치에 카메라(221)를 설치하고, 탑승자 센서부(220)는 카메라(221)가 촬영한 영상에서 사람에 대한 특징점 추출 등의 기법을 활용해 영상에 포함된 사람 수를 계산함으로써 탑승자의 인원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시트에 설치된 하중 감지 센서(222)를 이용하는 경우, 탑승자 센서부(220)는 하중 감지 센서(222)로부터 소정의 하중 이상의 착석이나 걸음이 감지되어 발생된 액티브 신호에 따라 탑승자의 인원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도어(도어 차체, 또는 사람이 타고 내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도어 주변의 차체 등)에 설치된 모션 감지 센서(223)를 이용하는 경우, 탑승자 센서부(220)는 모션 감지 센서(223)로부터 사람이 타고 내릴 때 발생하는 신호들에 따라 탑승자의 인원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 센서부(220)는, 차량의 출입구 또는 천장에 설치된 열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초음파 감지 센서, 인체 감지 센서 또는 RF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소정 시간 간격으로 탑승자의 인원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열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초음파 감지 센서, 인체 감지 센서는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를 열, 적외선, 초음파, 모션 등으로 감지하여 탑승여부를 판단하게 하고, RF 모듈은 차량에 부기된 RF리더기를 통하여 탑승자가 구비하는 RF태그를 리드하는 방식으로 탑승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LED 전광판(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린이보호차량 전후방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차량 전후방면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LED 전광판(100)은 어린이보호차량 전후방면에 고정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탈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어린이보호차량 전후방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LED 전광판(100)이 차량 후면에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한 것이고, 해당 LED 전광판(100)이 차량 전면에도 장착될 수도 있다.
LED 전광판(100)은 문구 표시 LED 모듈(110)과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이 포함된 전광판이다. 문구 표시 LED 모듈(110)에는 어린이 승하차와 탑승자의 인원수에 대한 텍스트 문자와 같은 문구가 표시되는 LED 모듈이며,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은 점멸 등의 발광이 이루어지는 LED 모듈이다. 문구 표시 LDE 모듈은 LED 전광판(100)의 중앙에 위치하며,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이 LED 전광판(100)의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유닛(300)은, 차량의 운행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차량 제어 유닛(300)은, 메모리와 MCU(Main Control Unit)을 구비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구동될 수 있다.
차량 제어 유닛(300)은, 차량 도어 오픈이 감지되면, 문구 표시 LED 모듈(110)에 어린이 승하차를 문구를 표시하는 제어와,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을 발광하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한다. 여기서 차량 도어 오픈 감지는, 운전자의 차량 도어 오픈 버튼 눌림이 있거나, 또는 차량 도어로부터 오픈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차량 도어 오픈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차량 도어 오픈 감지 센서를 두어서 차량 도어 오픈 감지 센서로부터 차량 도어 오픈 여부를 수신하여 감지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유닛(300)은, 차량 도어 오픈이 감지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전광판(100)의 문구 표시 LED 모듈(110)에 어린이가 승차 또는 하차하고 있다는 문구를 표시하며, 아울러 LED 전광판(100)의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을 적색 등의 색상으로 발광시킨다. 따라서 어린이보호차량에 접근하는 후방 차량은, LED 전광판(100)의 문구 표시 LED 모듈(110)에 표시되는 어린이 승하차 알람 문구와, LED 전광판(100)의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의 발광을 인지하고 조심하게 된다.
또한, 차량 제어 유닛(300)은, 차량 도어 오픈이 감지되면, 문구 표시 LED 모듈(110)에 카메라(221), 하중 감지 센서(222) 및 모션 감지 센서(2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차량 탑승여부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인원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어린이보호차량의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 차량에게 접근하고 있는 거리를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경고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는, 접근 감지 센서(200)를 포함한다.
접근 감지 센서(200)는, 차량 전후방에 위치하여 차량 전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접근 감지 센서(20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등의 다양한 감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차량 제어 유닛(300)은, 차량 도어 오픈이 감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접근 감지 센서(200)를 통해 측정되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접근 경고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차량 제어 유닛(300)은, 접근을 경고하는 접근 경고 알람을 수행하여 후방 차량에 경고한다. 여기서 접근 경고 거리는, 어린이보호차량과 후방 차량간의 거리가 10m일 수 있다.
이러한 접근 경고 알람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근 경고 알람의 첫 번째 방식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문구 표시 LED 모듈(110)에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안내 “저와 거리가 10m이내 입니다"라고 표시될 수 있으며, 문구 표시 거리는 1m마다 변경되어, 10m, 9m, 8m, 7m, 6m, 5m, 4m, 3m, 2m, 1m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1m 이내일 경우 '아이들이 타고 있어요'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경고 알람의 문구는, 저장체에 저장된 문구가 추출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저장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저장체에 저장된 접근 경고 알람 문구는 수시로 업데이트되어 변경 저장될 수 있다.
접근 경고 알람의 두 번째 방식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을 점멸시키는 알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적색으로 0.3초 주기로서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을 점멸시켜 후방 차량에게 접근을 경고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후방 차량이 접근 경고 거리인 10m 이내로 접근할 때 접근 경고 알람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런데 후방 차량이 졸음 운전을 하거나 휴대폰 등을 사용하여 전방 주시를 태만히 하는 경우 어린이보호차량의 접근 경고 알람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근 경고 거리인 10m보다 더 짧은 예컨대 5m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접근 알람 경고보다 더 강력한 충돌 경고 알람을 수행하여 차량 충돌 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이하 충돌 경고 알람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0과 함께 상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후방 차량이 충돌 경고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예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경적 크락션을 발생시키는 접근 경고 알람의 예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후방 보조 범퍼가 돌출되는 접근 경고 알람의 예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후방 블랙박스 영상을 외부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접근 경고 알람의 예시 그림이다.
차량 제어 유닛(300)은, 차량 도어 오픈이 감지되는 상태에서 접근 감지 센서(200)를 통해 측정되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접근 경고 거리보다 더 짧은 충돌 경고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충돌을 경고하는 충돌 경고 알람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근 경고 거리가 10m로 설정되어 있으며, 충돌 경고 거리가 이보다 짧은 5m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어린이보호차량의 후방으로 접근하는 후방 차량이 접근 경고 거리인 10m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차량 제어 유닛(30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상기 문구 표시 LED 모듈(110)에 표시하거나, 또는/및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을 점멸시키는 접근 알람 경고를 수행한다.
그런데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전방 주시 태만으로 이러한 접근 알람 경고를 인지하지 못하여 충돌 경고 거리인 5m 이내로 후방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 차량 제어 유닛(300)은 충돌을 경고하는 충돌 경고 알람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충돌 경고 알람은, 다섯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하면, 충돌 경고 알람의 첫 번째 방식은, 접근 경고 알람시의 점멸 주기보다 더 빠른 점멸 주기와, 접근 경고 알람시의 점멸 색상보다 더 적색 계열의 색상으로서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을 점멸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접근 경고 알람시의 점멸 주기가 0.3초이며 접근 경고 알람시의 점멸 색상이 주황색인 경우, 충돌 경고 알람시의 점멸 주기는 0.3초보다 빠른 0.1초로서 주황색보다 더 적색인 빨강색으로서 램프 발광 LED 모듈(120)을 점멸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후방 차량 운전자는, 빠른 점멸주기와 강한 적색 점멸을 인식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급브레이크 등의 후방 차량 정차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충돌 경고 알람의 두 번째 방식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돌 경고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후방차량에 크락션 경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는, 차량 전후방에 마련된 경적 크락션(10)를 포함한다. 충돌 경고 알람은, 경적 크락션(10)을 발생시켜 후방 차량에 충돌 위험을 경고하게 된다.
따라서 후방 차량 운전자는, 어린이보호차량의 후방에 마련된 경적 크락션의 소리를 듣게 되어, 전방을 쳐다 보아 충돌 직전 상황임을 즉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충돌 경고 알람의 세 번째 방식은, 차량 내부 스피커를 통해 차량 내부 손잡이를 잡으라는 안내 방송을 출력하는 것이다. 충돌 경고 거리인 5m 이내로 후방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 후방 차량의 충돌 위험성이 높아진 만큼,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들이 손잡이를 꽉 잡도록 유도하여 충돌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충돌 경고 알람의 네 번째 방식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후방 보조 범퍼를 활용하는 것이다.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는, 차량 전후방면에 매립되어 돌출 가능한 범퍼로서, 후방 범퍼(20)와 평행하게 매립되어 있는 후방 보조 범퍼(30)를 포함한다. 충돌 경고 알람은, 후방 보조 범퍼(30)를 차량 전후방면에서 돌출시켜 충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소에는 후방 보조 범퍼가 어린이보호차량의 후방면에 매립되어 있다가, 충돌 경고 거리인 5m 이내로 후방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 후방 보조 범퍼(30)를 차량 전후방면에서 돌출시켜, 혹시라도 후방 차량이 달려와 어린이보호차량의 후방면과 충돌하더라도 충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다만, 후방 보조 범퍼(30)를 돌출시키고 다시 매립시키는 작업은 번거로울 수 있기 때문에, 후방 차량의 접근 속도가 설정된 위험 속도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후방 보조 범퍼(30)를 차량 전후방면에서 돌출시키도록 제한할 수 있다. 접근 감지 센서(200)를 통해 후방 차량의 접근 거리를 시간대별로 파악하면 후방 챠량의 접근 속도를 산출할 수 있는데, 이러한 후방 차량의 접근 속도가 위험 속도 이상인 경우 충돌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후방 보조 범퍼(30)를 차량 전후방면에서 돌출시켜 충돌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충돌 경고 알람의 다섯 번째 방식은, 충돌 직전의 블랙박스 영상을 별도로 외부의 단말에 저장하여 추후 사고 보상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충돌의 경우 충돌 충격으로 인해 블랙박스 영상이 훼손되거나, 블랙박스 영상이 저장될 메모리 공간 부족으로 저장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블랙박스(400)와, 이동 통신망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 처리 유닛(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 통신망은,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밖에 기지국(BTS), 이동교환국(MSC), 홈 위치 등록기(HLR) 이외에, 무선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처리 유닛(5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충돌 경고 알람은, 후방 차량이 충돌 경고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순간부터 촬영되는 후방 블랙박스의 촬영 영상을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가족, 친구, 어린이보호차량 운전자 본인 등의 스마트폰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충돌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충돌 직전의 블랙박스 영상이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블랙박스 영상의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LED 전광판
110:문구 표시 LED 모듈
120:램프 발광 LED 모듈
200:접근 감지 센서
220:탑승자 센서부
221:카메라
222:하중 감지 센서
223:모션 감지 센서
300:차량 제어 유닛

Claims (3)

  1. 차량 탑승자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인원수를 카운트하는 탑승자 센서부;
    차량 전후방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문구 표시 LED 모듈과 램프 발광 LED 모듈이 포함된 LED 전광판; 및
    차량 도어 오픈이 감지되면, 상기 문구 표시 LED 모듈에 어린이 승하차와 탑승자의 인원수에 대한 문구를 표시하는 제어와, 램프 발광 LED 모듈을 발광하는 제어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탑승자 센서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특정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탑승자의 차량 탑승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차량 제어 유닛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센서부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차량 탑승여부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인원수를 상기 차량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1 기능;
    상기 차량의 시트에 설치된 하중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하중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차량 탑승여부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인원수를 상기 차량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 기능; 및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모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차량 탑승여부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인원수를 상기 차량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3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출입구 또는 천장에 설치된 열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초음파 감지 센서, 인체 감지 센서 또는 RF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소정 시간 간격으로 탑승자의 인원수를 상기 차량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KR1020180101217A 2018-08-28 2018-08-28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KR10221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217A KR102219898B1 (ko) 2018-08-28 2018-08-28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217A KR102219898B1 (ko) 2018-08-28 2018-08-28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485A true KR20200024485A (ko) 2020-03-09
KR102219898B1 KR102219898B1 (ko) 2021-03-29

Family

ID=6980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217A KR102219898B1 (ko) 2018-08-28 2018-08-28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8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913A (ko) 2021-01-19 2022-07-2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어린이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8702A (ko) * 2021-02-19 2022-08-26 주식회사 마노 차량의 승하차 안전 보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7963A (ja) * 1993-12-15 1995-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過人数検知センサおよびその連動装置
KR20100004645A (ko) * 2008-07-04 2010-01-13 노상섭 전광판을 이용한 차량의 승하차 안전방법 및 안전장치
KR20130082834A (ko) 2011-12-20 2013-07-22 와이엠디(주) 안심 콜택시 서비스 시스템
KR20140142602A (ko) * 2013-06-04 2014-12-12 서현택 운송차량용 안전시스템
KR101478053B1 (ko) * 2013-09-09 2014-12-31 박용재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7963A (ja) * 1993-12-15 1995-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過人数検知センサおよびその連動装置
KR20100004645A (ko) * 2008-07-04 2010-01-13 노상섭 전광판을 이용한 차량의 승하차 안전방법 및 안전장치
KR20130082834A (ko) 2011-12-20 2013-07-22 와이엠디(주) 안심 콜택시 서비스 시스템
KR20140142602A (ko) * 2013-06-04 2014-12-12 서현택 운송차량용 안전시스템
KR101478053B1 (ko) * 2013-09-09 2014-12-31 박용재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913A (ko) 2021-01-19 2022-07-2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어린이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8702A (ko) * 2021-02-19 2022-08-26 주식회사 마노 차량의 승하차 안전 보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898B1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082B1 (ko) 차량용 표시 시스템
CN206049585U (zh) 碰撞警告系统
CN207257509U (zh) 用于车辆的碰撞警告系统
US8258981B2 (en)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00353862A1 (en) Vehicle front alert system
US20100134266A1 (en) Vehicular system having a warning system to alert motorists that a mobile phone is in use
JP2000339589A (ja) 車両の交通安全補助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SE1451114A1 (sv) Method and system for warning for vulnerable road users in connection to a non-moving vehicle
JP2008062673A (ja) 後続車両用情報伝達装置、追随車両用運転支援装置、およびこれらを備える運転支援システム
US20180037158A1 (en) Motion-indicating license plate frame
CN107415820A (zh) 一种基于全景影像的开门安全系统
KR102219898B1 (ko)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CN203601123U (zh) 一种汽车开门警示系统
CN207773004U (zh) 转向预警系统及车辆
JP6913564B2 (ja) 交通制御システム
CN109643493A (zh) 用于向机动车的周围环境中的交通参与者发出机动车的一个或多个机动车乘员即将下车的警告的设计
KR20180081883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US10486592B2 (en) Pedestrian detection system
CN207602038U (zh) 交通号志灯号转换提醒系统
NL2010694C2 (nl) Benaderings-detectie inrichting voor een vrachtvoertuig.
KR101898277B1 (ko) 어린이보호차량 안전 도우미 장치
JP3211747U (ja) 自動車通知情報板
EP2543544B1 (en) Safety device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 passenger transport vehicle comprising such a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such a device
CN209859292U (zh) 公交车泊车提醒系统
CN106627353A (zh) 具有发光提醒功能的车用防撞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