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511A -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511A
KR20230125511A KR1020220022168A KR20220022168A KR20230125511A KR 20230125511 A KR20230125511 A KR 20230125511A KR 1020220022168 A KR1020220022168 A KR 1020220022168A KR 20220022168 A KR20220022168 A KR 20220022168A KR 20230125511 A KR20230125511 A KR 20230125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plate
vehicl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영 filed Critical 정진영
Priority to KR1020220022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511A/ko
Publication of KR20230125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51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6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istinguishing direction of trave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당 역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역주행을 알려 역주행에 따른 사고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상태인 지면은 물론 경사가 심한 내리막길 또는 오르막길의 경사도에 따라 상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역주행차량검출효율과 주행차량의 속도검출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펄스신호를 송수신하는 라이다 센서로 이루어져 차량의 역주행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역주행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Vehicle reverse running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해당 역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역주행을 알려 역주행에 따른 사고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상태인 지면은 물론 경사가 심한 내리막길 또는 오르막길의 경사도에 따라 상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역주행차량검출효율과 주행차량의 속도검출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휴게소와 인터체인지 및 고가도로 등에는 진입로와 진출로가 구별되어 일방통행로가 설치된다.
그러나, 도로의 담 또는 나무 등의 시야방해물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진 진입출로를 통해 도로로 진입 또는 진출하려는 진입출차량의 가시영역에 한계가 있어 운전자가 안전하다고 판단하고 도로로 진입출하려는 과정중에 주행하던 다른 차량과의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성이 항상 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로나 도로의 주변상황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운전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진입로 차량충돌 방지 지원 시스템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05722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05722호의 경우, 단순하게 다른 주행차량의 주행여부정보를 제공할 뿐 진입출로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주행하는 차량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수단은 제시되어 있지않아 다른 주행차량의 주행여부정보만 인식한 상태로 운전자가 착오로 역주행하게 되어 역주행에 따른 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057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해당 역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역주행을 알려 역주행에 따른 사고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상태인 지면은 물론 경사가 심한 내리막길 또는 오르막길의 경사도에 따라 상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역주행차량검출효율과 주행차량의 속도검출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펄스신호를 송수신하는 라이다 센서로 이루어져 차량의 역주행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역주행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역주행 검출부를 이루는 라이다 센서가 감지한 차량의 주행속도를 표시하는 속도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은 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후측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전측프레임의 상부가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 각각 일측관통구 및 타측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관통구 및 타측관통구 사이의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중간부위에 중간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속도표시부는 상기 일측관통구의 내측 및 상기 타측관통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내부 일측과 전측부 내부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일측인쇄회로기판 및 타측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의 전면 및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구비되고, 빛을 발광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표시하는 다수의 발광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역주행 검출부는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중간관통구를 통해 차량의 역주행 여부와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내부에 투과판이 구비되고, 상기 속도표시부의 일측인쇄회로기판과 타측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일측관통구의 내측 및 타측관통구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투과판의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내부 일측과 전측부 내부 타측에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에 각각 전측부가 고정되고, 후측부가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의 후방방향 및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의 후방방향으로 절곡되는 일측고정프레임 및 타측고정프레임과;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후측부와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후측부 사이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구비되고, 전측부 내측에 상기 역주행 검출부가 구비되는 각도조절프레임과; 상기 각도조절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고 중간부에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하부가이드판과, 상기 하부가이드판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상기 하부가이드판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일측가이드판 및 타측가이드판과, 상기 일측가이드판의 상부에서 상기 타측가이드판의 상부방향으로 수평연장 및 상기 타측가이드판의 상부에서 상기 일측가이드판의 상부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일측상부가이드판 및 타측상부가이드판으로 구성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슬릿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여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노출되고, 상기 볼트부재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각도조절프레임과 함께 상기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에 각각 전측부가 고정되고, 후측부가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의 후방방향 및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의 후방방향으로 절곡되는 일측고정프레임 및 타측고정프레임과;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후측부와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후측부 사이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구비되고, 전측부 내측에 상기 역주행 검출부가 구비되는 각도조절프레임과; 상기 각도조절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고 중간부에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하부가이드판과, 상기 하부가이드판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상기 하부가이드판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일측가이드판 및 타측가이드판과, 상기 일측가이드판의 상부에서 상기 타측가이드판의 상부방향으로 수평연장 및 상기 타측가이드판의 상부에서 상기 일측가이드판의 상부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일측상부가이드판 및 타측상부가이드판으로 구성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슬릿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볼트부재의 상부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부링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부가이드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볼트부재의 상부부위에 형성되는 하부링으로 구성되는 링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노출되고, 상기 볼트부재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각도조절프레임과 함께 상기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이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구비되어 상기 속도표시부로 공급될 전원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차량의 역주행을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역주행 검출부의 차량 역주행을 검출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역주행 검출부가 차량의 역주행을 검출할 경우 해당 역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역주행을 알림부를 통해 알려 역주행에 따른 사고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상태인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경사가 심한 내리막길 또는 오르막길의 경사도에 따라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경사가 심한 내리막길 또는 오르막길에서도 상기 역주행 검출부의 역주행차량검출효율과 주행차량의 속도검출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프레임의 내부를 개방하지 않고도 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프레임의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전측프레임의 배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일예의 각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5는 각도조절프레임에 가이드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나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일예의 각도조절부에 의해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고,
도 19는 다른예의 각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2 및 도 23은 다른예의 각도조절부에 의해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고,
도 24는 지주로부터 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정면도이고,
도 27은 수평상태인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8 및 도 29는 경사가 심한 내리막길 또는 오르막길의 경사도에 따라 속도검출부의 상하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0은 차량의 정주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1은 차량의 역주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2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과 역주행 검출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후측프레임(110)과 전측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프레임(110)의 전측에 상기 전측프레임(120)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측프레임(110) 또는 상기 전측프레임(120)의 분실방지를 위해 상기 후측프레임(110)의 상부에 상기 전측프레임(120)의 상부가 축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전측프레임(120)의 하부는 상기 후측프레임(110)의 하부에 공지된 잠금수단 등에 의해 잠금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프레임의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프레임(120)의 상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측프레임(120)의 하부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후측프레임(11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10)의 내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내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역주행 검출부(20), 후술할 속도표시부 및 후술할 각도도절부의 교체보수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도 4는 전측프레임의 배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역주행 검출부(2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프레임(1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역주행 검출부(20)는 차량으로 펄스신호를 송신 및 차량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운동방향, 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라이다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라이다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역주행 검출부(20)를 통해 시간차를 두고 확인한 상기 프레임(10)과 차량 사이의 거리에 따른 차량의 위치를 통해 차량의 역주행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역주행 검출부(20)를 이룰 수 있는 라이다 센서가 감지한 차량의 주행속도를 표시하는 속도표시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속도표시부(30)는 상기 역주행 검출부(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프레임(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역주행 검출부(20)가 감지한 차량의 주행속도를 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역주행 검출부(20)의 상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프레임(120)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 각각 일측관통구(101) 및 타측관통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프레임(120)의 일측관통구(101) 및 타측관통구(102) 사이의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프레임(120)의 전측부 중간부위에 중간관통구(10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속도표시부(30)는 일예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인쇄회로기판(310), 타측인쇄회로기판(320) 및 다수의 발광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310)이 상기 일측관통구(101)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310)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프레임(120)의 전측부 내부 일측에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310)의 각 모서리부위는 상기 일측관통구(101) 주변의 상기 전측프레임(120)의 전측부 일측 내주면에 볼트고정,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320)이 상기 타측관통구(102)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320)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프레임(120)의 전측부 내부 타측에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320)의 각 모서리부위는 상기 타측관통구(102) 주변의 상기 전측프레임(120)의 전측부 타측 내주면에 볼트고정,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발광부재(330)는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310)의 전면 및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320)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LED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상기 발광부재(330)는 빛을 발광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역주행 검출부(20)는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310) 및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32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속도표시부(30)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프레임(120)의 전측부 내부에 투과판(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과판(11)은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의 아크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속도표시부(30)의 일측인쇄회로기판(310)과 타측인쇄회로기판(320)이 상기 일측관통구(101)의 내측 및 상기 타측관통구(10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310)의 각 모서리부위와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320)의 각 모서리부위는 상기 투과판(11)의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 각각 볼트고정,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프레임(120)의 전측부 내부 일측과 전측부 내부 타측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투과판(11)의 중간 부위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프레임(120)의 중간관통구(103)와 연통되는 중간관통구(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역주행 검출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프레임(120)의 중간관통구(103)와 상기 투과판(11)의 중간관통구(11a)를 통해 차량의 위치, 운동방향, 속도를 확인 및 차량의 역주행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은 일예의 각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일예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고정프레임(410), 타측고정프레임(420), 각도조절프레임(430), 가이드프레임(440), 너트부재(450), 볼트부재(460) 및 각도조절몸체(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프레임(410)의 전측부는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310)의 일측부의 반대측은 타측부 중간부에 볼트고정,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프레임(410)의 후측부는 상기 일측고정프레임(410)의 전측부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310)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프레임(420)의 전측부는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320)의 일측부 중간부에 볼트고정,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프레임(420)의 후측부는 상기 타측고정프레임(420)의 전측부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320)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은 상기 일측고정프레임(410)의 후측부와 상기 타측고정프레임(420)의 후측부 사이에 축부재(431)에 의해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431)는 일예로, 고정볼트(431a)와 너트(43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431a)는 상기 타측고정프레임(420)의 후측부,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후측부 타측,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후측부 일측 및 상기 일측고정프레임(420)의 후측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431b)는 상기 고정볼트(431a)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고정프레임(410)의 후측부 외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전측부 내측에 상기 역주행 검출부(20)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은 하부가이드판(441), 일측가이드판(442), 타측가이드판(443), 일측상부가이드판(444) 및 타측상부가이드판(44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은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10)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의 중간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44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판(442)은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의 일측부에서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판(443)은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의 타측부에서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가이드판(444)은 상기 일측가이드판(442)의 상부에서 상기 타측가이드판(443)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부가이드판(445)은 상기 타측가이드판(443)의 상부에서 상기 일측가이드판(442)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45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450)의 일측부와 타측부는 각각 상기 일측가이드판(442)의 내면과 상기 타측가이드판(443)의 내면에 접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프레임(120)의 전측부의 반대측인 후측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후측프레임(110)의 내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후측프레임(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돌출프레임(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프레임(121)은 사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프레임(110)의 하부 중간부위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프레임(110)의 관통공(111)의 전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460)는 상기 프레임(10)의 후측프레임(110)의 하부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공(111)과 상기 전측프레임(120)의 돌출프레임(121)의 하부 중간부를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로 인입되는 스터드 볼트, 무두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460)의 상부는 상기 너트부재(45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몸체(480)의 상부에는 상기 볼트부재(460)의 하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되는 연결축(481)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481)은 하부는 상기 프레임(10)의 후측프레임(110)의 하부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공(111)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481)의 상부는 상기 돌출프레임(121)의 하부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몸체(480)는 상기 볼트부재(46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볼트부재(460)와 함께 상기 각도조절몸체(480)는 정역회전하여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80)과 함께 상기 역주행 검출부(20)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5는 각도조절프레임에 가이드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나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에 별도의 기자재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을 형성할 필요없이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하부부위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예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저 절단기 등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하부에 절단선(43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단선(432)이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절단선(432)은 일측절단선(432a), 타측절단선(432b) 및 전측절단선(432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절단선(432a)은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하부 일측부에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절단선(432b)은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하부 타측부에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측절단선(432c)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각각 상기 일측절단선(432a)의 전측부와 상기 타측절단선(432b)의 전측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전측절단선(432c)은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하부 전측부에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절단선(432) 내측의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하부 중간 부위가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후측부방향으로 수평절곡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의 하부가이드판(441)을 이룰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 레이저 절단기 등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절단선(441b)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단선(441b)의 형성완료 후 절곡기를 이용하여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의 상부방향으로 각각 수직으로 절곡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의 일측가이드판(442)과 타측가이드판(44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곡기를 이용하여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가이드판(442)의 상부를 상기 타측가이드판(443)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 및 상기 타측가이드판(443)의 상부를 상기 일측가이드판(442)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의 일측상부가이드판(444)과 타측상부가이드판(445)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저 절단기 등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의 중간부위에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원형의 절단선(441c)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원형의 상기 절단선(441c) 내측의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의 중간부위를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으로부터 이탈시켜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의 중간부위에 상기 가이드슬릿(441a)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일예의 각도조절부에 의해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일예의 상기 각도조절부(40)의 볼트부재(460)와 함께 상기 각도조절몸체(48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너트부재(450)가 하강하면서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을 상기 볼트부재(460)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부재(431)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의 후측부가 점차 하강 및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전측과 함께 역주행 검출부(20)가 점차 상승될 수 있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볼트부재(460)와 함께 상기 각도조절몸체(48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너트부재(450)가 상승하면서 상기 일측상부가이드판(444)과 상기 타측상부가이드판(445)을 상기 볼트부재(460)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부재(431)를 기준으로 하강되었던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의 후측부가 점차 상승 및 상승되었던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전측과 함께 역주행 검출부(20)가 점차 하강될 수 있다.
도 19는 다른예의 각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40)는 다른예로서, 도 19 내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일측고정프레임(410), 상기 타측고정프레임(420),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 상기 가이드프레임(440), 상기 볼트부재(460), 링부재(470) 및 상기 각도조절몸체(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460)는 상기 프레임(10)의 후측프레임(110)의 하부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공(111)을 수직관통하여 상기 전측프레임(120)의 돌출프레임(121)의 하부 중간부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링부재(470)는 환형형상의 상부링(471)과 환형형상의 하부링(47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링(471)은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의 가이드슬릿(441a)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볼트부재(460)의 상부부위에 수평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링(472)은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의 하부가이드판(44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볼트부재(460)의 상부부위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몸체(480)는 상기 볼트부재(46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외측에 노출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다른예의 각도조절부에 의해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다른예의 상기 각도조절부(40)의 볼트부재(460)와 함께 상기 각도조절몸체(48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볼트부재(460)와 함께 상기 링부재(470)가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링(471)이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을 상기 볼트부재(460)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부재(431)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의 후측부가 점차 하강 및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전측과 함께 역주행 검출부(20)가 점차 상승될 수 있다.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볼트부재(460)와 함께 상기 각도조절몸체(48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볼트부재(460)와 함께 상기 링부재(470)가 상승하면서 상기 상부링(471)이 상기 일측상부가이드판(444)과 상기 타측상부가이드판(445)을 상기 볼트부재(460)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가압 및 상기 하부링(472)이 상기 하부가이드판(441)을 상기 볼트부재(460)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부재(431)를 기준으로 하강되었던 상기 가이드프레임(440)의 후측부가 점차 상승 및 상승되었던 상기 각도조절프레임(430)의 전측과 함께 역주행 검출부(20)가 점차 하강될 수 있다.
도 24는 지주로부터 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은 지주(5)의 상부 전측에 체결부재(6)에 의해 일정높이로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주(5)는 일방통행로 또는 고속도로 휴게소와 인터체인지 및 고가도로 등의 분기점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6)는 일예로, 체결브라켓(61)과 체결볼트(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브라켓(61)의 전측은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브라켓(61)의 내측에 상기 지주(5)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체결브라켓(61)은 상기 지주(5)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62)는 상기 체결브라켓(61)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후측프레임(1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와 후측 하부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방향의 상기 지주(5)의 상부에는 상기 속도표시부(30)로 공급될 전원을 발생시키는 태양광전지모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태양전지부(7)의 하부 중심부가 축결합,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7은 수평상태인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상태인 지면(1)과 평행을 이루도록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경사가 심한 내리막길 또는 오르막길의 경사도에 따라 속도검출부의 상하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특히,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가 심한 내리막길(2) 또는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가 심한 오르막길(3)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역주행 검출부(20)의 상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경사가 심한 내리막길(2) 또는 오르막길(3)에서도 상기 역주행 검출부(20)의 역주행차량검출효율과 주행차량의 속도검출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각도조절부(40)를 이용하여 상기 역주행 검출부(20)의 상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0은 차량의 정주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한편, 일예로, 라이다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역주행 검출부(20)를 통해 시간차를 두고 확인한 상기 프레임(10)과 차량(V)사이의 거리값이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차 멀어질 경우, 제어부는 차량(V)이 정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1은 차량의 역주행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와 달리, 라이다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역주행 검출부(20)를 통해 시간차를 두고 확인한 상기 프레임(10)과 차량(V)사이의 거리값이 도 31에서 보는 바와 점차 줄어들 경우, 제어부는 차량(V)이 역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2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V)의 역주행을 알리는 알림부(9)와; 상기 역주행 검출부(20)의 차량(V) 역주행을 검출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부(9)를 제어하는 제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9)는 일예로, 빛을 발광하는 경광등 등의 발광부재(91) 또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경보음 출력부재(92)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발광부재(91)와 상기 경보음 출력부재(92)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91)는 일예로,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부(7)와 상기 프레임(10) 사이의 상기 지주(5)의 상부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보음 출력부재(92)는 일예로, 상기 프레임(10)의 후측프레임(110)의 일측 상부 또는 타측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가 차량(V)이 정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9)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가 차량(V)이 역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9)의 발광부재(91)는 태양전지부(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 및 상기 알림부(9)의 경보음 출력부재(92)는 태양전지부(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이렌 소리 등 다양한 종류의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알림부(9)를 통해 해당 역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V)의 역주행을 알려 역주행에 따른 사고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프레임, 20; 역주행 검출부.

Claims (11)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펄스신호를 송수신하는 라이다 센서로 이루어져 차량의 역주행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역주행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역주행 검출부를 이루는 라이다 센서가 감지한 차량의 주행속도를 표시하는 속도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전측프레임의 상부가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 각각 일측관통구 및 타측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관통구 및 타측관통구 사이의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중간부위에 중간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속도표시부는 상기 일측관통구의 내측 및 상기 타측관통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내부 일측과 전측부 내부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일측인쇄회로기판 및 타측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의 전면 및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구비되고, 빛을 발광하여 차량의 주행속도를 표시하는 다수의 발광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역주행 검출부는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중간관통구를 통해 차량의 역주행 여부와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내부에 투과판이 구비되고,
    상기 속도표시부의 일측인쇄회로기판과 타측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일측관통구의 내측 및 타측관통구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투과판의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측부 내부 일측과 전측부 내부 타측에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에 각각 전측부가 고정되고, 후측부가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의 후방방향 및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의 후방방향으로 절곡되는 일측고정프레임 및 타측고정프레임과;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후측부와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후측부 사이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구비되고, 전측부 내측에 상기 역주행 검출부가 구비되는 각도조절프레임과;
    상기 각도조절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고 중간부에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하부가이드판과, 상기 하부가이드판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상기 하부가이드판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일측가이드판 및 타측가이드판과, 상기 일측가이드판의 상부에서 상기 타측가이드판의 상부방향으로 수평연장 및 상기 타측가이드판의 상부에서 상기 일측가이드판의 상부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일측상부가이드판 및 타측상부가이드판으로 구성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슬릿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여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노출되고, 상기 볼트부재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각도조절프레임과 함께 상기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에 각각 전측부가 고정되고, 후측부가 상기 일측인쇄회로기판의 후방방향 및 상기 타측인쇄회로기판의 후방방향으로 절곡되는 일측고정프레임 및 타측고정프레임과;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후측부와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후측부 사이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구비되고, 전측부 내측에 상기 역주행 검출부가 구비되는 각도조절프레임과;
    상기 각도조절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고 중간부에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하부가이드판과, 상기 하부가이드판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상기 하부가이드판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연장되는 일측가이드판 및 타측가이드판과, 상기 일측가이드판의 상부에서 상기 타측가이드판의 상부방향으로 수평연장 및 상기 타측가이드판의 상부에서 상기 일측가이드판의 상부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일측상부가이드판 및 타측상부가이드판으로 구성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슬릿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볼트부재의 상부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부링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부가이드판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볼트부재의 상부부위에 형성되는 하부링으로 구성되는 링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노출되고, 상기 볼트부재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각도조절프레임과 함께 상기 역주행 검출부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구비되어 상기 속도표시부로 공급될 전원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역주행을 알리는 알림부와;
    상기 역주행 검출부의 차량 역주행을 검출여부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KR1020220022168A 2022-02-21 2022-02-21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KR20230125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168A KR20230125511A (ko) 2022-02-21 2022-02-21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168A KR20230125511A (ko) 2022-02-21 2022-02-21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511A true KR20230125511A (ko) 2023-08-29

Family

ID=8780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168A KR20230125511A (ko) 2022-02-21 2022-02-21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5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722B1 (ko) 2001-10-08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진입로 차량충돌 방지 지원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722B1 (ko) 2001-10-08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진입로 차량충돌 방지 지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957B1 (ko) 비상 상황 알림 및 경고장치
CN106652561A (zh) 车辆低速行驶预警的隧道灯系统、车辆行驶预警系统和隧道灯控制方法
JP6802053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の搭載構造
KR101256041B1 (ko)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20160134016A (ko) 시야 사각지대 위험 감지 및 알림 시스템
JP2017107559A (ja) 逆走防止システム、逆行防止システム及び逆走警告装置
KR20090101034A (ko) 비상구 안내장치
KR102409589B1 (ko) 교체설치가 용이한 도로안내표지판
KR101915574B1 (ko)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CN209989654U (zh) 一种长下坡道路预警拦截系统
KR101851189B1 (ko) 자동차도로 및 터널 내 자동차 추돌 방지 시스템
KR20230125511A (ko)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KR102209251B1 (ko) 형광 필름을 구비한 가드레일 구조물
KR102223465B1 (ko) 역주행 사고방지장치
KR102138492B1 (ko) 도로 안전운전 표시장치
KR20170021394A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 안전구역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경광등
CN211079977U (zh) 一种预警一体机系统
KR101491177B1 (ko) 나이트 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00140486A (ko) 레이저빔 라인을 통한 도로상의 주행방향 표시장치
JP2002038428A (ja) 道路反射鏡併用出合い頭事故防止装置
KR20200077289A (ko) 후방 경고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사고 알림 방법
KR101654228B1 (ko) 연쇄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자주식 전광판
JP2019204402A (ja) 障害物表示装置及び車両用灯具システム
JP4921373B2 (ja) 点滅灯内において一体にまとめられた、光学的な、側方の周辺センサーを有する自動車
KR20060102194A (ko) 도로 중앙분리대 사고 방지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