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062A - 측위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측위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062A
KR20230125062A KR1020237026149A KR20237026149A KR20230125062A KR 20230125062 A KR20230125062 A KR 20230125062A KR 1020237026149 A KR1020237026149 A KR 1020237026149A KR 20237026149 A KR20237026149 A KR 20237026149A KR 20230125062 A KR20230125062 A KR 20230125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target terminal
prs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졘샹 리
?캬? 리
징 푸
하이양 취안
다 왕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06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36Assistance data, e.g. base station alman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3Multimode operation in different systems which transmit time stamped messages, e.g. GPS/GLON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7Hybrid positioning
    • G01S5/0268Hybrid positioning by deriving positions from different combinations of signals or of estimated positions in a single positioning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3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each allocating device acting autonomously, i.e. without negotiation with other alloc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9Allocation based on distance or geographical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측위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였으며,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해당 방법은,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요청에 의해,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설정 정보는 목표 단말기가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 및 피측위 단말기가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측위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12월 31일자로 국가 지식재산권국에 출원한 출원 번호202011620018.3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전체 공개 내용은 본 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측위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로서 3GPP 아키텍쳐에서는 Sidelink(직접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 시, 기지국 커버리지에서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도 PRS를 제공할 수 있는 장면을 고려하지 않았다. 현재의 측위 기술로는 실외 커버리지 기지국이 발송한 PRS가 고 정밀도의 측위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으며, 예를 들어, PRS를 발송하는 실외 기지국 수량이 너무 적고, 실외 기지국 분포가 기하학적 연관적으로 배열되고, PRS를 발송하는 해상도가 높지 않는 등은 모두 셀룰러 네트워크에 의한 실외 측위 결과의 정확도를 크게 낮추게 된다. Sidelink 장면에서는 측위 정밀도에 대해 더 높은 요구를 제시하였으며, 종래의 측위 아키텍쳐를 이용할 경우, Sidelink의 측위 정밀도 수요를 온전히 만족시킬 수는 없다.
본 출원은 종래의 측위 프레임에서 Sidelink 장면에서의 측위 정밀도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측위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였다.
상기 기술적 방안은 다음과 같다:
제1 측으로는, 핵심망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측위 방법에 있어서,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PRS가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해 측위을 진행하는 측위 방법을 제공하였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요청이 가지고 있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는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상기 목표 단말기로 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이 가지고 있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는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의 인근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를 상기 목표 단말기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전에,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목표 단말기로 상기 목표 단말기가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제2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
수신된 피드백 메시지가 가지고 있는 상기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의 파라미터 정보도 가지고 있으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해,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의 대역폭, 주파수 포인트 정보, 지속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고;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식별자 ID를 발송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식별자 ID에 대응되는 단말기가 발송한 PRS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보고한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측정 결과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대응되는 PRS ID와 상기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상기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상기 지리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수신된 상기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선별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의 지리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3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보고한 지리 위치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수신된 PRS에 의해 위치 확인하여 얻은 것인 것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PRS의 발송 모드;
PRS의 시간 영역 자원, 주파수 영역 자원 또는 공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
PRS를 발송하는 각 단말기의 식별자 ID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발송 모드는 주기적, 반 지속적, 비주기적을 포함하며,
반 지속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의 간격 주기, 또는 발송을 시작한 시각, 발송이 종료된 시각, 발송의 간격 주기를 지시하고,
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 주기를 지시하고,
비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이 종료된 시각을 지시한다.
제2 측으로는, 핵심망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측위 방법에 있어서,
목표 단말기로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하며;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상기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하는 측위 방법을 제공하였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 ID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단말기로 상기 목표 단말기가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제2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
수신된 피드백 메시지가 가지고 있는 상기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으로는, 피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측위 방법에 있어서,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다수 개의 송신단은 목표 단말기과 상기 목표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PRS에 의해 위치 확인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을 제공하였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PRS에 의해 측위을 진행하는 단계는,
각각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전에,
교정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교정 파라미터에 의해 상기 도달 시간차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대해 교정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도달 시간차, 상기 각 송신단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교정 처리 후의 상기 도달 시간차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교정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한 제1 타임 스탬프, 각 송신단이 PRS를 발송할 시의 제2 타임 스탬프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측위 계산을 진행할 시의 제3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타임 스탬프, 제2 타임 스탬프와 제3 타임 스탬프에 의해, 상기 교정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송신단의 속도 정보 및/또는 상기 각 송신단의 인접 시각의 지리 위치 정보에 의해, 이동하는 송신단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도달 시간차로부터 이동하는 송신단에 대응되는 도달 시간차를 제거하는 단계;
남은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대응되는 송신단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상응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식별자 ID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식별자 ID에 대응되는 단말기가 발송한 PR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로 상기 지리 위치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PRS에 의해 위치 확인을 진행하는 단계는,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보고하여,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가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결과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PRS의 발송 모드;
PRS의 시간 영역 자원, 주파수 영역 자원 또는 공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
PRS를 발송하는 각 단말기의 식별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발송 모드는 주기적, 반 지속적, 비주기적을 포함하며,
반 지속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의 간격 주기, 또는 발송을 시작한 시각, 발송이 종료된 시각, 발송의 간격 주기를 지시하고,
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 주기를 지시하고,
비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이 종료된 시각을 지시한다.
제4 측으로는, 핵심망 디바이스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송수신기;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정보를 발송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메모리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핵심망 디바이스를 제공하였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요청이 가지고 있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는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고; 상기 목표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상기 목표 단말기로 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한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의 인근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를 상기 목표 단말기로 확정한다.
또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고; PRS의 발송하는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제5 측으로는, 핵심망 디바이스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목표 단말기로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하고;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상기 설정 정보를 발송하며,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메모리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핵심망 디바이스를 제공하였다.
제6 측으로는, 단말기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되, 상기 다수 개의 송신단은 목표 단말기와 상기 목표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송수신기;
상기 메모리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 및 상기 송수신기가 수신한 상기 PRS에 의해 측위을 진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하였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고;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각각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추가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보고하여,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가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하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결과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를 포함한다.
제7 측으로는, 핵심망 디바이스에 있어서,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핵심망 디바이스를 제공하였다.
제8 측으로는, 핵심망 디바이스에 있어서,
목표 단말기로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하는 송신 유닛;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상기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해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한다.
제9 측으로는, 단말기에 있어서,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다수 개의 송신단은 목표 단말기와 상기 목표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수신 유닛;
상기 PRS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는 측위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하였다.
제10 측으로는, 프로세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측에 따르는 측위 방법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제2 측에 따르는 측위 방법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제3 측에 따르는 측위 방법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세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관련 기술의 측위 프레임 도면이고;
도 2는 관련 기술에서 Sidelink 통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핵심망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는 상기 실시예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는 시종일관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소자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 "하나", "하나의", "상기"와 "해당"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표현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은 상기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소자 및/또는 조립체의 존재를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정수, 단계, 동작, 소자, 조립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소자가 다른 소자에 "연결" 또는 "체결"되어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소자에 직접 연결 또는 체결되어 있거나, 또는 중간 소자가 존재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연결" 또는 "체결"은 무선 연결 또는 무선 체결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련적인 열거 항목의 전체 또는 임의의 유닛과 전체 조합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방안과 장점이 더 명확해지도록,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 대해 추가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적 방안은 다양한 시스템, 특히 5G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용되는 시스템은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 LTE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시스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시스템, 5G NR(New Radio)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시스템에는 모두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측 디바이스가 포함된다. 시스템에는 핵심망 부분, 예를 들어 EPS(Evloved Packet System), 5G 시스템(5GS)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본 출원에 언급되어 있는 몇 개의 명사에 대해 설명 및 해석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한 단말기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통성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무선 연결 기능을 구비하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기타 처리 디바이스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명칭은 서로 다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5G 시스템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UE(User Equipment)로 칭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 디바이스는 RAN(Radio Access Network)을 통해 하나 또는 다수의 핵심망(Core Network, CN)과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기 디바이스는 모바일 폰(또는 "셀" 폰으로 칭함)과 같은 이동 단말기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컴퓨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휴대용, 포켓형, 핸드헬드형, 컴퓨터 내치형 또는 차량 탑재용 이동 장치일 수 있으며, 이들은 RAN과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예를 들어,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PCS) 전화, 코드리스 전화, SIP(Session Initiated Protocol) 전화기, WLL(Wireless Local Loop) 기지국,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디바이스이다. 무선 단말기 디바이스는 시스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지국(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모바일(mobile), 원격 지국(remote station), 접근점(access point), 원격 단말기(remote terminal), 접근 단말기(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장치(user device)를 칭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해당 기지국은 단말기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 개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사용 장소에 따라, 기지국은 접근점으로 칭하거나, 또는 접속망에서 에어 인터페이스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기타 명칭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수신된 에어 프레임을 IP(Internet Protocol) 패킷과 서로 교환하여, 무선 단말기 디바이스와 접속망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라우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접속망의 나머지 부분은 IP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에어 인터페이스의 속성 관리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Base Transceiver Station,BTS)일 수 있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NodeB)일 수도 있고,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네트워크측 디바이스(evolutional Node B,Enb 또는 e-NodeB), 5G 네트워크 아키텍쳐(next generation system)에서의 5G 기지국(gNB)일 수도 있고, HeNB(Home evolved Node B), 릴레이 노드(relay node), 홈 기지국(femto), 피코 기지국(pico) 등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네트워크 구성에서, 네트워크측 디바이스는 CU(centralized unit) 노드와 DU(distributed unit) 노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CU와 DU는 지리적으로 이격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측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 사이에는 각각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다중 입출력(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전송은 단일 사용자 MIMO(Single User MIMO, SU-MIMO) 또는 멀티 사용자 MIMO(Multiple User MIMO, MU-MIMO)일 수 있다. 루트 안테나 조합의 형태와 수량에 따라, MIMO 전송은 2D-MIMO, 3D-MIMO, FD-MIMO 또는 massive-MIMO일 수 있으며, 다이버시티 전송 또는 프리코딩 전송 또는 빔포밍 전송 등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한 핵심망 디바이스는 측위 서버(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MF)일 수 있으며, 목표 디바이스, 즉 측위된 무선 디바이스의 측위를 관리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엔티티이며, 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action Center)로 칭하는 제어 평면 아키텍쳐에서 측위 방법의 선택과 이에 상응하는 측위 측정의 트리거를 담당하고, 측위 최종 결과와 정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현재로서 5G 접속망 NG-RAN에 적합한 측위 아키텍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여기서, NG-RAN은 PRS를 발송 또는 보조 정보에 의해 측위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기 디바이스 UE는 PRS를 발송 또는 보조 정보에 의해 측위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에 의해 측위 최종 결과와 정밀도를 계산할 수도 있다.
LPP(LTE(Long Term Evolution) Positioning Protocol)에서의 측위 기능은 목표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측위 방법, 어느 하나의 측위 방법에 의해 지원되는 다양한 방면(예를 들어 지원되는 보조 세계 위성 항법 시스템(A-GNSS) 보조 데이터 유형) 및 어느 하나의 측위 방법의 일부 측위에 제한되지 않는 공통적인 특성(예를 들어 다수 개의 LPP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LPP 측위 기능 전송 트랜잭션은 서버 요청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서버가 LPP 요청 기능 메시지를 발송하여, 목표 디바이스의 관련 측위 기능을 요청하거나; 또는 목표 디바이스에 의해 "적극적으로 보고"되며, 구체적으로, 목표 디바이스가 서버로 관련 측위 기능을 전송하여, 기능 정보를 능동적으로 전송하도록 하며, 해당 기능 정보에는 특정된 측위 방법 및 일부 측위 방법의 공통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5G 측위 아키텍쳐에서의 LMF일 수 있다.
직접 통신은 인접하는 단말기가 근거리 범위 내에서 직접 통신 링크(Sidelink라고도 함)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Sidelink에 대응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라고 하며, Sidelink 인터페이스라고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현재로서 3GPP 아키텍쳐에서는 Sidelink(직접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 시, 기지국 커버리지에서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도 PRS를 제공할 수 있는 장면을 고려하지 않았다. 현재의 측위 기술로는 실외 커버리지 기지국이 발송한 PRS가 고 정밀도의 측위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으며, 예를 들어, PRS를 발송하는 실외 기지국 수량이 너무 적고, 실외 기지국 분포가 기하학적 연관적으로 배열되고, PRS를 발송하는 해상도가 높지 않는 등은 모두 셀룰러 네트워크에 의한 실외 측위 결과의 정확도를 크게 낮추게 된다. Sidelink 장면에서는 측위 정밀도에 대해 더 높은 요구를 제시하였으며, 종래의 측위 아키텍쳐를 이용할 경우, Sidelink의 측위 정밀도 수요를 온전히 만족시킬 수는 없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 디바이스와 프로세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종래의 기술에서의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지국이 PRS를 발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 하속의 일부 단말기(기지국 커버리지에서 기지국에 접속된 일부 단말기)도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PRS를 발송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중 PRS의 밀도와 측위 신호를 발송하는 기하학적 분포의 비연관성이 향상되어, 피측위 단말기의 측위 정밀도가 향상되는 측위 방법을 제공한다. 기지국은 LMF 서버로 PRS 리소스 풀을 보고하고, LMF는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PC5 PRS 설정를 발행하여, 목표 단말기로 PC5 인터페이스에서 PRS 신호 및 대응되는 자원 설정를 방송할 수 있는 것을 통지하고, 피측위 단말기로 PC5 인터페이스에서 PRS 신호의 자원 설정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통지한다. 이로써 목표 단말기는 PC5 PRS의 설정를 획득하여, 바로 요구에 따라 PRS를 발송하여, 피측위 단말기가 더 많은 PRS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 및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몇 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동일 또는 유사한 개념 또는 과정에 대해서는 일부 실시예에서 생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측위 방법(10)을 제공하였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10)은 핵심망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며, 예를 들어 측위 서버(LMF)에 의해 수행되며, 해당 방법은,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110);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1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LMF가 수신하는 제1 요청은 피측위 단말기에 의한 측위 업무 요청일 수 있으며, 상기 설정 정보는,
PRS의 발송 모드;
PRS의 시간 영역 자원, 주파수 영역 자원 또는 공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
PRS를 발송하는 각 단말기의 식별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송 모드는 주기적, 반 지속적, 비주기적을 포함한다.
반 지속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의 간격 주기, 또는 발송하기 시작한 시각, 발송이 종료된 시각, 발송의 간격 주기를 지시한다.
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 주기를 지시한다.
비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이 종료된 시각을 지시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LMF는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한 후,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PC5 PRS 설정를 발행하여, 목표 단말기로 PC5 인터페이스에서 PRS 신호 및 대응되는 자원 설정를 방송할 수 있는 것을 통지하고, 피측위 단말기로 PC5 인터페이스에서 PRS 신호의 자원 설정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통지한다. 이로써 목표 단말기는 PC5 PRS의 설정를 획득하여, 바로 요구에 따라 PRS를 발송하여, 피측위 단말기가 더 많은 PRS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측위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이 PRS를 발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 하속의 일부 단말기도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PRS를 발송할 수 있으며, 이로써 네트워크 중 PRS의 밀도와 측위 신호를 발송하는 기하학적 분포의 비연관성이 향상되어, 피측위 단말기의 측위 정밀도가 향상되어, Sidelink 장면에서의 측위 정밀도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실시예에서 목표 단말기는 설정 정보가 지시하는 자원에서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PRS를 발송할 수 있다. LMF는 설정 정보를 LPP 메시지를 통해 피측위 단말기로 발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120)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21: 상기 제1 요청이 가지고 있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는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고;
122: 상기 목표 단말기에게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하고;
123: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상기 목표 단말기로 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단계(121)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의 인근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를 상기 목표 단말기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핵심망 디바이스는 측위 단말기(측위 단말기는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요청하는 단말기)가 발송한 제1 요청을 수신한 후, 제1 요청이 가지고 있는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피측위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획득하여,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와 기지국의 인근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를 목표 단말기로 확정하고, 다음으로 목표 단말기에게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한 후,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완료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고, 목표 단말기는 수신된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고, 피측위 단말기는 수신된 설정 정보에 의해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를 수신하여,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120)는 단계(122) 전에,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단계(123)는, PRS의 발송하는 지원하는 단말기에게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단계(124)는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단말기로 상기 목표 단말기가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제2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
수신된 목표 단말기의 피드백 메시지가 가지고 있는 상기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메시지에 상기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의 파라미터 정보가 더 포함될 경우, 단계(123)는 구체적으로,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해,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에게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의 대역폭, 주파수 포인트 정보, 지속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PRS를 발송하는 효율 및 자원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요청이 가지고 있는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목표 단말기를 확정한 후, PRS 발송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를 선별하고, 다음으로 이러한 단말기의 구체적인 기능에 의해, 그에게 상응하는 PRS 자원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측위 방법(100)을 더 제공하였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100)은 핵심망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며, 예를 들어 측위 서버(LMF)에 의해 수행되며, 해당 방법(100)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01: 목표 단말기로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하고;
102: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103: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상기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PRS를 발송하는 설정 정보를 전체 네트워크 단말기로 미리 발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체 네트워크 단말기에게 동일한 PRS 자원을 설정함으로써, 제1 요청을 수신했을 경우, 단말기가 PRS를 즉시 발송하도록 격려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방송 방식을 통해 전체 네트워크 단말기로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LMF가 LPP 메시지를 통해 설정 정보를 각 단말기로 직접 발송하거나; 또는 LMF가 기지국으로 설정 정보를 발송하여, 기지국이 메시지 방송을 통해 각 단말기로 발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술한 측위 방법(100)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4: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고;
105: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식별자 ID를 발송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식별자 ID에 대응되는 단말기가 발송한 PRS를 수신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단계(104)는,
상기 목표 단말기로 상기 목표 단말기가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제2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
수신된 목표 단말기의 피드백 메시지가 가지고 있는 상기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어느 단말기들이 PRS 발송 기능을 구비하고, 어느 단말기들이 PRS 발송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지 확인할 수 없고, PRS 발송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능을 구비하는지도 확인할 수 없으므로, 목표 단말기가 보조 측위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문의함으로써,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고, 이러한 단말기들의 식별자 ID를 피측위 단말기로 발송하여, 피측위 단말기가 설정 정보에 의해 식별자 ID에 대응되는 단말기가 발송한 PRS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자원 낭비를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술한 측위 방법(10) 및/또는 측위 방법(100)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30: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보고한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며, 상기 측정 결과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를 포함하고;
140: 상기 측정 결과에 대응되는 PRS ID와 상기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고;
150: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고;
160: 상기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상기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단계(150)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51: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수신된 상기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선별하거나; 또는
152: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의 지리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3 요청을 발송하고;
153: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LMF는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와 수신된 측정 결과에 대응되는 PRS ID에 의해, PRS ID에 대응되는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고, 다음으로 수신된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확정된 목표 단말기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얻을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실시예에서, LMF는 상술한 정보를 획득한 후, 종래의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얻을 수 있으며, 간편한 설명을 위해,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측위 방법(10) 및/또는 측위 방법(100)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70: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를 수신하되, 상기 보고한 지리 위치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수신된 PRS에 의해 위치 확인하여 얻은 것이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LMF는 피측위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를 직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측위 계산을 통해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할 필요가 없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의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측위 방법(20)을 더 제공하였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은 측위 과정에서의 피측위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며, 해당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210: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220: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되, 상기 다수 개의 송신단은 목표 단말기과 상기 목표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230: 상기 PRS에 의해 위치 확인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정보는,
PRS의 발송 모드;
PRS의 시간 영역 자원, 주파수 영역 자원 또는 공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
PRS를 발송하는 각 단말기의 식별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송 모드는 주기적, 반 지속적, 비주기적을 포함한다.
반 지속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의 간격 주기, 또는 발송하기 시작한 시각, 발송이 종료된 시각, 발송의 간격 주기를 지시한다.
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 주기를 지시한다.
비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이 종료된 시각을 지시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피측위 단말기는 LMF가 발행한 PC5 PRS 설정를 수신하여, PC5 인터페이스에서 PRS 신호의 자원 설정를 수신한 것을 알 수 있으며, 기지국이 발송한 PRS를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정에 의해 기지국 하속의 일부 단말기가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송한 PRS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PRS를 수신할 수 있어, 네트워크 중 PRS의 밀도와 측위 신호를 발송하는 기하학적 분포의 비연관성이 향상되어, 피측위 단말기의 측위 정밀도가 향상되어, Sidelink 장면에서의 측위 정확도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실시예에서, 피측위 단말기는 LMF가 발송한 LPP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설정 정보를 얻으며, 이로써 설정 정보가 지시하는 자원에서 상응하는 PRS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계(230)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31: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고;
232: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피측위 단말기는 측정하여 얻은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자신의 지리 위치를 확정할 수 있으며, 관련 정보를 LMF로 발송하여 LMF에 의해 측위 계산을 진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계(230)는 단계(231) 전에,
교정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단계(232)는,
상기 교정 파라미터에 의해 상기 도달 시간차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대해 교정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도달 시간차, 상기 각 송신단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교정 처리 후의 상기 도달 시간차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더 정확한 지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교정 측위 과정에서 존재할 수 있는 시차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단계(240)는,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한 제1 타임 스탬프, 각 송신단이 PRS를 발송할 시의 제2 타임 스탬프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측위 계산을 진행할 시의 제3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타임 스탬프, 제2 타임 스탬프와 제3 타임 스탬프에 의해, 상기 교정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는, 존재할 수 있는 2 종류의 시차에 대해 교정이 필요하며, 하나는 피측위 단말기 자체에 의한 것이며, 예를 들어,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는 시각과 측위 계산을 진행하는 시각 사이에 시차가 존재할 경우, 측위 계산을 진행하는 시각에 대해 교정이 필요하며; 다른 하나는 네트워크에 의한 것이며, 예를 들어, 각 송신단이 PRS를 발송하는 시간이 비동기화일 경우, 각 송신단이 발송하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에 오차가 존재하므로, 이것도 교정이 필요하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단계(232)는,
상기 각 송신단의 속도 정보 및/또는 상기 각 송신단의 인접 시각의 지리 위치 정보에 의해, 이동하는 송신단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도달 시간차로부터 이동하는 송신단에 대응되는 도달 시간차를 제거하는 단계;
남은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대응되는 송신단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상응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해당 실시예에서, 더 정확한 지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이동하는 단말기에 대응되는 정보(예를 들어,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제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측위 계산을 진행할 시 측위 결과에 오차의 존재를 일으키는 요소를 제거하였으므로, 측위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실시예에서, 남은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대응되는 송신단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상응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할 경우, 먼저 획득한 교정 파라미터에 의해, 남은 도달 시간차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대해 교정 처리를 진행한 후, 측위 계산을 진행하여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최종적으로 측위 결과는 더 정확해지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위 방법(20)은 단계(220) 전에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50: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식별자 ID를 수신한다.
이에 단계(2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식별자 ID에 대응되는 단말기가 발송한 PRS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위 방법(20)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60: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로 상기 지리 위치를 보고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단계(230)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33: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고;
234: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보고하여,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가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하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결과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도 3 내지 도 5를 결합하여 각각 핵심망 디바이스와 피측위 단말기의 각도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측위 방법의 기술적 방안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8를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측위 방법의 구현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의 데이터/시그널링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당 측위 방법(30)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310: LMF가 제1 요청(예를 들어, 측위 업무 요청)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LMF가 측위 단말기에 의한 제1 요청을 수신하며, 해당 제1 요청에는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어,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며, 피측위 단말기가 측위 업무를 진행 중인 것을 지시할 수 있고, 지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측위 단말기는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요청하는 단말기이다.
또한, 설명해야 할 것은, LMF가 제1 요청을 수신한 후, 해당 제1 요청의 업무 유형에 따라 대응되는 QoS 지수 요구, 예를 들어 측위 정밀도 요구와 측위 완벽성 요구 등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320: LMF가 제1 요청에 의해 목표 단말기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요청이 가지고 있는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해당 피측위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확정하고; 다음으로 기지구 하속의 단말기와 기기죽의 인근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를 목표 단말기로 확정할 수 있다.
330: LMF가 목표 단말기에게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확정된 목표 단말기에게 동일한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목표 단말기에게 동일한 PRS 자원을 주며, 즉 각 목표 단말기가 PRS를 발송하는 시간 영역, 주파수 영역, 공간 영역 자원은 동일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PRS를 발송하는 자원을 설정할 경우, 기지국이 보고한 PRS 리소스 풀 중의 자원에 의해 진행되어야 한다.
일부 상황에서, LMF는 단계(330) 전에, 목표 단말기에 대한 선별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PRS 발송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를 선별하여 PRS의 발송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301: LMF가 핵심망 디바이스 AMF로 제1 요청을 발송하며, 해당 제1 요청에는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ID가 포함되어, AMF가 목표 단말기를 페이징하여 측위 프로세스에 진입하게 요청할 수 있다.
302: AMF가 제1 요청에 응답하여 목표 단말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발송하여, 측위 프로세스에 진입할 수 있는 목표 단말기를 페이징한다.
303: AMF가 측위 프로세스에 진입할 수 있는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목표 단말기가 페이징을 수신한 것을 나타낸다.
304: AMF가 LMF로 페이징을 수신한 목표 단말기의 ID(제1 목표 단말기로 기재함)를 피드백한다.
305: LMF가 제1 목표 단말기로 제1 목표 단말기가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제2 요청을 발송하며, 해당 제2 요청은 제1 목표 단말기가 보조 측위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보조 측위 요청일 수 있다.
306: LMF가 제1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피드백 메시지가 가지고 있는 제1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제1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제2 목표 단말기로 기재함)를 선별한다.
이에, 단계(330)는,
LMF가 피드백 메시지에 포함되는,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의 파라미터 정보에 의해, 제2 목표 단말기에게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의 대역폭, 주파수 포인트 정보, 지속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목표 단말기는 3개로, 각각의 제2 목표 단말기가 자신이 발송한 PRS의 대역폭, 주파수 포인트 정보, 지속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피드백할 경우, 각각의 제2 목표 단말기가 피드백한, 발송한 PRS의 파라미터에 의해, 각각의 제2 목표 단말기에게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이로써, 목표 단말기의 기능에 의해 정확한 설정를 구현하여, PRS의 발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340: LMF가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완료된 설정 정보를 발송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목표 단말기가 선별되지 않았을 경우, 각각의 목표 단말기에게 동일하게 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고; 목표 단말기가 선별을 통해 획득한 제2 목표 단말기일 경우, 각각의 제2 목표 단말기에게 설정된, 각각의 제2 목표 단말기와 대응되는 설정 정보를 발송한다.
350: 목표 단말기가 수신된 설정 정보에 의해, 해당 설정 정보가 지시하는 상응 자원 위치에 PRS를 발송한다.
360: 피측위 단말기가 수신된 설정 정보에 의해, 해당 설정 정보가 지시하는 상응 자원 위치에서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를 수신하며, 각각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측정한다. 송신단은 목표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기지국이 PRS를 발송하는 과정은 종래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간결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상응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370: 피측위 단말기가 LPP 시그널링을 통해 LMF로 측정 결과를 발송하며, 측정 결과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송신단은 목표 단말기(1, 2, 3, 4)와 기지국(5)을 포함하며, 여기서, 1, 2, 3, 4, 5 각각은 대응되는 송신단의 식별자이며, 이에 각각의 송신단이 발송하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는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1]
380: LMF가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LMF는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와 수신된 측정 결과에 대응되는 PRS ID에 의해, PRS ID에 대응되는 목표 단말기(제3 목표 단말기로 기재함)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결과가 t1-t3일 경우, 대응되는 PRS ID가 1, 3으로, 대응되는 목표 단말기 1, 3이 확정된다.
하나의 상황으로는, 수신된 목표 단말기가 자동적으로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로부터 제3 목표 단말기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선별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이러한 상황에서, LMF가 구체적으로 어느 시간에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는지는 제3 목표 단말기가 확정되었는지 여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계(380)의 수행은 단계 번호의 순서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또 하나의 상황으로는, 제3 목표 단말기로 제3 요청을 적극적으로 발송하여 제3 목표 단말기의 지리 위치 정보를 요청하며, 다음으로 제3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수신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이러한 상황에서, 필요한 목표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해서는, 제3 목표 단말기가 확정된 후에, 제3 목표 단말기로 상응하는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적극적으로 요청해야 한다.
390: LMF가 수신된 측정 결과와 보고한 정보에 의해,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LMF는 수신된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제3 목표 단말기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LMF는 상술한 정보를 획득한 후, 종래의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간결한 설명을 위해,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의 데이터/시그널링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당 측위 방법(40)과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측위 방법(30)의 상이한 점은 다음과 같다:
피측위 단말기는 수신된 설정 정보에 의해, 해당 설정 정보가 지시하는 상응 자원 위치에서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를 수신하고, 각각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측정하여 획득한 후에는, 측정 결과를 LMF로 발송하여 LMF에 의해 측위 계산을 진행하여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를 확정하는 것이 아니라, LMF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후, 자신이 측정한 정보를 결합시켜 자체에 의해 위치 확인을 진행한다.
다시 말하면, 도 7에 도시된 측위 방법(40)에 포함되는 단계(410 내지 460)의 구체적인 구현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측위 방법(30)에 포함되는 단계(310 내지 360)의 구체적인 구현 과정과 유사하며, 간결한 설명을 위해,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2개의 실시예의 상이한 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방법(40)은 단계(460) 후에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470: LMF가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고, 보고된 정보를 피측위 단말기로 발송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실시예에서, 단계(470)의 수행은 단계 번호의 순서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480: 피측위 단말기는 측정하여 획득한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LMF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더 정확한 지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하의 2 방식을 통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정보에 대한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제1 방식은: 각 송신단의 속도 정보 및/또는 각 송신단의 인접 시각의 지리 위치 정보에 의해, 이동하는 송신단을 확정하고, 다음으로, 도달 시간차로부터 이동하는 송신단에 대응되는 도달 시간차를 제거하고, 다음으로 남은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대응되는 송신단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상응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다시 말하면, 측위를 진행할 경우, 이동하는 단말기에 대응되는 정보(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포함함)를 제거하지 않으며, 측위 결과에 비교적으로 큰 오차가 존재하게 된다.
제2 방식은: 획득한 교정 파라미터에 의해, 도달 시간차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대해 교정 처리를 진행하고, 다음으로, 도달 시간차에 의해, 각 송신단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교정 처리 후의 도달 시간차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교정 파라미터는 다음의 방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한 제1 타임 스탬프, 각 송신단이 PRS를 발송할 시의 제2 타임 스탬프 및 피측위 단말기가 측위 계산을 진행할 시의 제3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고; 제1 타임 스탬프, 제2 타임 스탬프와 제3 타임 스탬프에 의해, 교정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다시 말하면, 측위 과정에서, 존재할 수 있는 2 종류의 시간차에 대한 교정이 필요하며, 하나는 피측위 단말기 자체에 의한 것이며, 예를 들어: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의 시각과 측위 계산을 진행한 시각 사이에 시차가 존재하는 것이 수신되면, 측위 계산을 진행하는 시각에 대해 교정이 필요하며; 다른 하나는 네트워크에 의한 것이며, 예를 들어: 각 송신단이 PRS를 발송하는 시간이 비동기화일 경우,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에 오차가 존재하게 되며, 이도 교정이 필요하다.
설명해야 할 것은, 교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처리한 후에는, 상술한 제1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단말기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거한 후, 측위 계산을 진행할 수도 있다.
490: 피측위 단말기가 LMF로 획득한 지리 위치를 발송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의 데이터/시그널링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당 측위 방법(50)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510: LMF가 메시지 방송 방식을 통해 전체 네트워크 단말기로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LMF가 LPP 메시지를 통해 설정 정보를 각 단말기로 직접 발송하거나; 또는 LMF가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 발송하고, 기지국이 메시지 방송을 통해 각 단말기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10) 전에는 LMF가 미리 전체 네트워크 단말기에게 PRS를 발송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단말기들이 PRS 발송 기능을 구비하고, 어떤 단말기들이 PRS 발송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지 확인할 수 없고, PRS 발송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기능을 구비하는지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전체 네트워크 단말기에게 동일한 PRS 자원을 설정할 수 있으며, 즉, 각 단말기가 PRS를 발송하는 시간 영역, 주파수 영역, 공간 영역 자원은 동일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구체적으로 PRS 자원을 설정할 경우, 기지국이 보고한 PRS 리소스 풀 중의 자원에 의해 진행되어야 한다.
520: LMF가 제1 요청(예를 들어: 측위 업무 요청)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LMF가 측위 단말기에 의한 제1 요청을 수신하며, 해당 제1 요청에는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어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며, 피측위 단말기가 측위 업무를 진행 중인 것을 지시할 수 있고, 지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설명해야 할 것은, LMF가 제1 요청을 수신한 후에는, 해당 요청의 업무 유형에 따라 대응되는 QoS 지수 요구, 예를 들어 측위 정밀도 요구와 측위 완벽성 요구 등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530: LMF가 제1 요청에 의해,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목표 단말기를 확정한다.
일부 상황에서, 단계(530) 전에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501: LMF가 핵심망 디바이스 AMF로 제1 요청을 발송하며, 해당 제1 요청에는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ID가 포함되어, AMF가 목표 단말기를 페이징하여 측위 프로세스에 진입하게 요청할 수 있다.
502: AMF가 제1 요청에 응답하여, 목표 단말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발송하여, 측위 프로세스에 진입할 수 있는 목표 단말기를 페이징한다.
503: AMF가 측위 프로세스에 진입할 수 있는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목표 단말기가 페이징을 수신한 것을 나타낸다.
504: AMF가 LMF로 페이징을 수신한 목표 단말기의 ID(제1 목표 단말기로 기재함)를 피드백한다.
505: LMF가 제1 목표 단말기로 제1 목표 단말기가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제2 요청을 발송하며, 해당 제2 요청은 제1 목표 단말기가 보조 측위 기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보조 측위 요청일 수 있다.
506: LMF가 제1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며, 해당 피드백 메시지에는 제1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이에 단계(530)는,
LMF가 해당 피드백 메시지에 포함되는 제1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제1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제2 목표 단말기로 기재함)를 선별할 수 있다.
540: LMF가 피측위 단말기로 제2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ID를 발송한다.
550: 제2 목표 단말기는 수신된 설정 정보에 의해, 해당 설정 정보가 지시하는 상응 자원 위치에서 PRS를 발송한다.
560: 피측위 단말기는 수신된 설정 정보에 의해, 해당 설정 정보가 지시하는 상응 자원 위치에서 제2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를 수신하며, 각각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측정한다. 송신단은 목표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해당 실시예에서, 피측위 단말기는 수신된 설정 정보에 의해, 해당 설정 정보가 지시하는 상응 자원 위치에서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를 수신하고, 각각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측정하여 획득하며, 그 후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를 확정할 경우, 2 종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방식은 측정 결과를 LMF로 발송하여, LMF에 의해 측위 계산을 수행하여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를 확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구체적인 구현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측위 방법(30)에 포함되는 단계(370 내지 390)의 구현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한 설명을 위해,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하나의 방식은 피측위 단말기가 LMF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이 측정한 정보를 결합시켜 자체 측위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구체적인 구현 과정은 도 7에 도시된 측위 방법(40)에 포함되는 단계(470 내지 490)의 구현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한 설명을 위해,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의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핵심망 디바이스를 제공하였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핵심망 디바이스(60)는 메모리(601), 송수신기(602)와 프로세서(603)를 포함한다.
메모리(601)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송수신기(602)는, 상기 프로세서(603)의 제어에 의해,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한다.
프로세서(603)는 상기 메모리(601) 중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상기 송수신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요청이 가지고 있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는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고; 상기 목표 단말기에게 상응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상기 목표 단말기로 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의 인근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를 상기 목표 단말기로 확정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고; PRS의 발송하는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에게 상응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핵심망 디바이스(6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10)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핵심망 디바이스(60)가 달할 수 있는 유익한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10)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도 9의 버스 아키텍쳐는 임의의 수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03)를 대표로 하는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601)를 대표로 하는 메모리의 각 종 회로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쳐는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와 출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기타 회로를 일체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출원에서 이에 대해 추가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602)는 다수 개의 소자일 수 있으며,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며, 전송 매체에서 다양한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하며, 이러한 전송 매체는 무선 채널, 유선 채널, 케이블 등 전송 매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03)는 버스 아키텍쳐의 관리와 통상적인 처리를 담당하고, 메모리(601)는 프로세서(603)가 동작 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603)는 CPU,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멀티 코어 아키텍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의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핵심망 디바이스를 제공하였으며, 해당 핵심망 디바이스는 메모리, 송수신기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목표 단말기로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하고;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상기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한다.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상기 송수신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핵심망 디바이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100)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핵심망 디바이스가 달할 수 있는 유익한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100)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핵심망 디바이스의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의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하였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70)는 메모리(701), 송수신기(702)와 프로세서(703)를 포함한다.
메모리(701)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송수신기(702)는, 상기 프로세서(703)의 제어에 의해,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다수 개의 송신단은 목표 단말기과 상기 목표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프로세서(703)는 상기 메모리(701)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상기 송수신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 및 상기 송수신기가 수신한 상기 PRS에 의해 위치 확인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각각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고,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각각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한다.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보고하여,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가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하도록 한다. 상기 측정 결과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기(7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20)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기가 달할 수 있는 유익한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20)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도 10의 버스 아키텍쳐는 임의의 수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703)를 대표로 하는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701)를 대표로 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쳐는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와 출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기타 회로를 일체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출원에서 이에 대해 추가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702)는 다수 개의 소자일 수 있으며,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며, 전송 매체에서 다양한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하며, 이러한 전송 매체는 무선 채널, 유선 채널, 케이블 등 전송 매체를 포함한다. 상이한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704)는 필요한 디바이스를 외부/내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연결되는 디바이스는 키패드, 모니터,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703)는 버스 아키텍쳐의 관리와 통상적인 처리를 담당한다. 메모리(701)는 프로세서(703)가 동작 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는, 프로세서(703)는 CPU,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멀티 코어 아키텍쳐를 이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함으로써, 획득한 수행 가능한 명령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상기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의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핵심망 디바이스를 더 제공하였으며, 해당 핵심망 디바이스는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한다.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핵심망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요청이 가지고 있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는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고; 상기 목표 단말기에게 상응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에,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상기 목표 단말기로 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의 인근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를 상기 목표 단말기로 확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고;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에게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단말기로 상기 목표 단말기가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제2 요청을 발송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구체적으로, 수신된 목표 단말기의 피드백 메시지가 가지고 있는 상기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피드백 메시지가 가지고 있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의 파라미터 정보에 의해,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에게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의 대역폭, 주파수 포인트 정보, 지속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핵심망 디바이스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보고한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결과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측정 결과에 대응되는 PRS ID와 상기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고; 상기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상기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수신된 상기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선별하거나; 또는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로 제3 요청을 발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의 지리 위치 정보를 요청하도록 한다.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를 수신하되, 상기 보고한 지리 위치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수신된 PRS에 의해 위치 확인하여 얻은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정 정보는,
PRS의 발송 모드;
PRS의 시간 영역 자원, 주파수 영역 자원 또는 공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
PRS를 발송하는 각 단말기의 식별자 ID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송 모드는 주기적, 반 지속적, 비주기적을 포함한다.
반 지속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의 간격 주기, 또는 발송하기 시작한 시각, 발송이 종료된 시각, 발송의 간격 주기를 지시한다.
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 주기를 지시한다.
비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이 종료된 시각을 지시한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의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핵심망 디바이스를 더 제공하였으며, 해당 핵심망 디바이스는 송신 유닛과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송신 유닛은 목표 단말기로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한다.
수신 유닛은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상기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핵심망 디바이스는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더 포함한다.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식별자 ID를 발송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식별자 ID에 대응되는 단말기가 송신한 PRS를 수신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단말기로 상기 목표 단말기가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제2 요청을 발송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구체적으로, 수신된 목표 단말기의 피드백 메시지가 가지고 있는 상기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한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의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더 제공하였으며, 해당 단말기는 수신 유닛과 측위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다수 개의 송신단은 목표 단말기과 상기 목표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측위 유닛은 상기 PRS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위 유닛은 구체적으로, 각각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고;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실시예에서, 측위 유닛은 구체적으로, 획득한 교정 파라미터에 의해, 상기 도달 시간차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대해 교정 처리를 진행하고; 상기 도달 시간차, 상기 각 송신단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교정 처리 후의 상기 도달 시간차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교정 파라미터는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한 제1 타임 스탬프, 각 송신단이 PRS를 발송할 시의 제2 타임 스탬프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측위 계산을 진행할 시의 제3 타임 스탬프에 의해, 확정되어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측위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각 송신단의 속도 정보 및/또는 상기 각 송신단의 인접 시각의 지리 위치 정보에 의해, 이동하는 송신단을 확정하고;
상기 도달 시간차로부터 이동하는 송신단에 대응되는 도달 시간차를 제거하고;
남은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대응되는 송신단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상응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식별자 ID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식별자 ID에 대응되는 단말기가 발송한 PRS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로 상기 지리 위치를 보고하는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측위 유닛은 구체적으로,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한다.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보고하여,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가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하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결과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를 포함한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설정 정보는,
PRS의 발송 모드;
PRS의 시간 영역 자원, 주파수 영역 자원 또는 공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
PRS를 발송하는 각 단말기의 식별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송 모드는 주기적, 반 지속적, 비주기적을 포함한다.
반 지속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의 간격 주기, 또는 발송하기 시작한 시각, 발송이 종료된 시각, 발송의 간격 주기를 지시한다.
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 주기를 지시한다.
비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이 종료된 시각을 지시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였으며,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어,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컴퓨터가 전술한 측위 방법(10), 또는 측위 방법(100), 또는 측위 방법(20)에 대응되는 실시예 중 상응하는 내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기술에 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측위 방법은 기지국이 PRS를 발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 하속의 일부 단말기도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PRS를 발송할 수 있으며, 이로써 네트워크 중 PRS의 밀도와 측위 신호를 발송하는 기하학적 분포의 비연관성이 향상되어, 피측위 단말기의 측위 정밀도가 향상되어, Sidelink 장면에서의 측위 정밀도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유닛에 대한 구획은 예시적인 것으로, 단지 논리적 기능의 구획일 뿐, 실제 구현 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 유닛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술한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경우, 하나의 프로세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의해,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의 기술에 대해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방안의 전체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몇 개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디바이스(PC,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의 상기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이동식 디스크,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온전한 하드웨어 실시예, 온전한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결합인 실시예의 형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컴퓨터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컴퓨터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자기 디스크 메모리와 광학 메모리 등을 포함)에서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디바이스(시스템)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컴퓨터 수행 가능한 명령에 의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의 각 절차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의 절차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수행 가능한 명령을 일반 컴퓨터, 전문 컴퓨터, 삽입식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을 생산하도록 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명령을 통해 흐름도의 하나의 절차 또는 다수 개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또는 다수 개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를 생산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가 특정된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가이드하는 프로세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 프로세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산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하나의 절차 또는 다수 개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또는 다수 개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에 로딩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디바이스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싱이 발생하도록 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하나의 절차 또는 다수 개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또는 다수 개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방식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몇 번의 개선과 윤색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개선과 윤색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해당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Claims (35)

  1. 핵심망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측위 방법에 있어서,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PRS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해 위치 확인을 진행하기 위한 것인 것을 포함하는 측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요청이 가지고 있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는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상기 목표 단말기로 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이 가지고 있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는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의 인근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를 상기 목표 단말기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전에,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목표 단말기로 상기 목표 단말기가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제2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
    수신된 피드백 메시지가 가지고 있는 상기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의 파라미터 정보를 더 가지고 있으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해,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에게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발송한 PRS의 대역폭, 주파수 포인트 정보, 지속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보고한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측정 결과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대응되는 PRS ID와 상기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상기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상기 지리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수신된 상기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선별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의 지리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3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보고한 지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보고한 지리 위치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수신된 PRS에 의해 위치 확인하여 얻은 것인 것을 더 포함하는 측위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PRS의 발송 모드;
    PRS의 시간 영역 자원, 주파수 영역 자원 또는 공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
    PRS를 발송하는 각 단말기의 식별자 ID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발송 모드는 주기적, 반 지속적, 비주기적을 포함하며,
    반 지속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의 간격 주기, 또는 발송을 시작한 시각, 발송이 종료된 시각, 발송의 간격 주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 주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비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이 종료된 시각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측위 방법.
  12. 핵심망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측위 방법에 있어서,
    목표 단말기로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하며;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상기 설정 정보를 발송하는 단계-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PRS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기 위한 것인 것을 포함하는 측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 ID를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위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단말기로 상기 목표 단말기가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제2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
    수신된 피드백 메시지가 가지고 있는 상기 목표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15. 피측위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측위 방법에 있어서,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다수 개의 송신단은 목표 단말기와 상기 목표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PRS에 의해 위치 확인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PRS에 의해 위치 확인을 진행하는 상기 단계는,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상기 단계 전에,
    교정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교정 파라미터에 의해, 상기 도달 시간차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대해 교정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도달 시간차, 상기 각 송신단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교정 처리 후의 상기 도달 시간차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교정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한 제1 타임 스탬프, 각 송신단이 PRS를 발송할 시의 제2 타임 스탬프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측위 계산을 진행할 시의 제3 타임 스탬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타임 스탬프, 제2 타임 스탬프와 제3 타임 스탬프에 의해, 상기 교정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각 송신단의 속도 정보 및/또는 상기 각 송신단의 인접 시각의 지리 위치 정보에 의해, 이동하는 송신단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도달 시간차로부터 이동하는 송신단에 대응되는 도달 시간차를 제거하는 단계;
    남은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대응되는 송신단의 지리 위치 정보와 이에 상응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식별자 ID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는 상기단계는,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식별자 ID에 대응되는 단말기가 발송한 PR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21.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로 상기 지리 위치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위 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PRS에 의해 위치 확인을 진행하는 상기 단계는,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보고하여,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가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결과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를 포함하는 측위 방법.
  23.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PRS의 발송 모드;
    PRS의 시간 영역 자원, 주파수 영역 자원 또는 공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
    PRS를 발송하는 각 단말기의 식별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발송 모드는 주기적, 반 지속적, 비주기적을 포함하며,
    반 지속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의 간격 주기, 또는 발송을 시작한 시각, 발송이 종료된 시각, 발송의 간격 주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 주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비주기적인 PRS의 시간 영역 자원의 지시 정보는, PRS의 발송을 시작한 시각, 지속 시간, 발송이 종료된 시각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측위 방법.
  24.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정보를 동시에 발송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상기 메모리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상기 송수신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핵심망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요청이 가지고 있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는 목표 단말기를 확정하고; 상기 목표 단말기에게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상기 목표 단말기로 설정된 설정 정보를 동시에 발송하도록 구성되는 핵심망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피측위 단말기의 식별자 정보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의 인근 기지국 하속의 단말기를 상기 목표 단말기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핵심망 디바이스.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단말기로부터 PRS의 발송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선별하고; PRS의 발송하는 지원하는 상기 단말기에게 상응하는 설정 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핵심망 디바이스.
  28.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목표 단말기로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하고;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상기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상기 메모리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상기 송수신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핵심망 디바이스.
  29.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다수 개의 송신단은 목표 단말기와 상기 목표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상기 메모리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 및 상기 송수신기가 수신한 상기 PRS에 의해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고;
    상기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 및 수신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의 각 송신단로부터의 지리 위치 정보, 속도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의해, 지리 위치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각 송신단이 발송한 PRS 간의 도달 시간차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기는 추가로,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를 보고하여, 상기 핵심망 디바이스가 피측위 단말기의 지리 위치를 확정하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결과는 PRS 간의 도달 시간차와 이에 대응되는 PRS ID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32.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와 목표 단말기로 설정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 및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핵심망 디바이스.
  33. 목표 단말기로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발송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목표 단말기가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발송하도록 지시하는 송신 유닛;
    피측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1 요청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로 상기 설정 정보를 발송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피측위 단말기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PRS를 수신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하는 핵심망 디바이스.
  34. 핵심망 디바이스가 발송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다수 개의 송신단이 발송한 PRS를 수신하며, 여기서, 상기 다수 개의 송신단은 목표 단말기와 상기 목표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상기 PRS에 의해, 상기 피측위 단말기에 대한 위치 확인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측위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
  35. 프로세서가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측위 방법을 수행하거나, 제 15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의 측위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세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37026149A 2020-12-31 2021-12-09 측위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20230125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620018.3 2020-12-31
CN202011620018.3A CN114698097A (zh) 2020-12-31 2020-12-31 定位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PCT/CN2021/136892 WO2022143091A1 (zh) 2020-12-31 2021-12-09 定位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062A true KR20230125062A (ko) 2023-08-28

Family

ID=8213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149A KR20230125062A (ko) 2020-12-31 2021-12-09 측위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74264A4 (ko)
JP (1) JP2024501719A (ko)
KR (1) KR20230125062A (ko)
CN (1) CN114698097A (ko)
WO (1) WO2022143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1642A1 (zh) * 2022-07-15 2024-01-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Sl prs配置协商方法、装置
CN117676796A (zh) * 2022-08-09 2024-03-0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用于sl定位的方法及系统、基站
CN115623588A (zh) * 2022-09-27 2023-01-17 浪潮通信技术有限公司 终端定位校准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5701140A (zh) * 2022-09-28 2023-02-07 联想(北京)有限公司 定位方法及终端
WO2024098305A1 (zh) * 2022-11-09 2024-05-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参考信号的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8098B (zh) * 2015-01-15 2019-09-06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定位终端的方法和网元
WO2018107380A1 (zh) * 2016-12-14 2018-06-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系统及相关设备
CN109511083A (zh) * 2017-09-11 2019-03-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位置信息上报、获取方法及装置
US20190230618A1 (en) * 2018-01-23 2019-07-25 Nokia Technologies Oy Using sidelink information in radio-based positioning
CN110535578B (zh) * 2018-05-25 2021-08-0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及装置
WO2020037660A1 (zh) * 2018-08-24 2020-02-27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10958686B (zh) * 2018-09-27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3873632A (zh) * 2019-02-01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号的方法和装置
CN111526581B (zh) * 2019-02-03 2022-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定位的方法、网元、系统及存储介质
CN111562546B (zh) * 2019-02-14 2022-10-2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装置、系统、终端、lmf实体及介质
CN111669257B (zh) * 2019-03-07 2021-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Prs的频域资源映射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0251318A1 (ko) * 2019-06-13 2020-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서버 단말의 prs 전송에 기반한 사이드링크 포지셔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4264A4 (en) 2024-01-24
JP2024501719A (ja) 2024-01-15
EP4274264A1 (en) 2023-11-08
CN114698097A (zh) 2022-07-01
WO2022143091A1 (zh)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5062A (ko) 측위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WO2022143092A1 (zh) 定位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265736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NR,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device
KR102079615B1 (ko) Fd mimo 시스템의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방법 및 관련 장치
US20220007148A1 (en) Apparatus And User Equipment Positioning Method
JP2020509664A (ja) 通信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CN114125692A (zh) 定位方法、装置、终端、接入网设备及核心网设备
CN111034258A (zh) 无线设备、网络节点及其执行的用于处理对小区集合的测量的方法
CN114867099A (zh) 一种定位方法及装置
JP2023543067A (ja) アップリンク基準信号関連付け方法および通信装置
CN114071500A (zh) 用于定位的测量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4513740B (zh) 一种定位方法、装置、终端及设备
CN115087089A (zh) 相对定位授权方法、装置、终端及目标设备
CN115225227A (zh) 一种直通链路定位参考信号的传输方法及装置
CN116711414A (zh) 一种定位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US20240063985A1 (en) Determining baseband processing capability using channel bandwdith multiplied by layers
CN114554539B (zh) 业务处理方法、装置、网络设备及存储介质
EP4319342A1 (e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40137900A1 (en) Relative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5767712A (zh) 信息传输方法、装置及设备
CN115623586A (zh) 定位方法、主节点、辅节点及可读存储介质
CN115550904A (zh) 信息发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6782118A (zh) 定位方法及相关设备
CN117202087A (zh) 定位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333589A (zh) 下行出发角确定方法、网络侧、定位端、装置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