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588A -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 Google Patents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588A
KR20230123588A KR1020220020491A KR20220020491A KR20230123588A KR 20230123588 A KR20230123588 A KR 20230123588A KR 1020220020491 A KR1020220020491 A KR 1020220020491A KR 20220020491 A KR20220020491 A KR 20220020491A KR 20230123588 A KR20230123588 A KR 20230123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member
reinforced concrete
concrete
hydraulic breaker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호메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호메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호메카텍
Priority to KR102022002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588A/ko
Publication of KR2023012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58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인 보 부재에서 콘크리트만 파쇄하고 콘크리트속에 묻혀있는 철근을 외부로 노출시켜 해체되는 보 부재에서 철근을 선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장치에 있어서, 건설장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 부재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건설장비의 구동으로 상기 보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왕복대, 상기 왕복대의 하단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기 보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보 부재의 양측 외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측면 브라켓, 상기 측면 브라켓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의 구동으로 상기 측면 브라켓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 브라켓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보 부재의 외면을 타격하여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치즐로 구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 브레이커로 구성한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The hydraulic breaker for reinforced concrete crushing }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중에서 보부재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보부재를 구성하는 콘크리트만 부분적으로 파쇄하여 철근을 선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브레이커(Hydraulic Breaker)는 굴삭기(Excavator), 로더(Loader) 등의 건설기계(Construction Equipment)에 장착하여 콘크리트나 암반 등의 파쇄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파쇄공구인 치즐을 실린더의 유압력으로 피스톤을 상하강하면서 타격시켜 타격력에 의해 콘크리트 및 암반을 파쇄 시킨다.
이러한 유압 브레이커의 구조를 살펴보면, 피스톤이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치즐과, 상기 본체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케이스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치즐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본체의 저면과 하단 외주면에 측면 및 하부 방진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피스톤은 본체에 공급되는 유압 및 가스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을 반복하며, 이에 종동되어 치즐이 대상물을 타격하게 된다.
상기한 유압 브레이커는 토양을 굴착 또는 굴삭하기 위한 굴삭기의 아암 선단에 장착되어 건물 등의 해체시 건물 파쇄작업, 콘크리트덩어리 분쇄작업을 행하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와 함께 철근의 경우에는 크라샤(Crusher)라 불리우는 장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에 포함된 철근을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브레이커 및 크라샤 등의 장비로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 및 콘크리트를 파쇄 및 분쇄만할 뿐, 재활용이 가능한 철근을 따로 선별하기 위해 콘크리트만 제한적으로 파쇄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 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8-0056283 호 문헌 2: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75856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중에서 보부재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보부재를 구성하는 콘크리트만 부분적으로 파쇄하여 철근을 선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인 보 부재에서 콘크리트만 파쇄하고 콘크리트속에 묻혀있는 철근을 외부로 노출시켜 해체되는 보 부재에서 철근을 선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장치에 있어서, 건설장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 부재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건설장비의 구동으로 상기 보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왕복대, 상기 왕복대의 하단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기 보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보 부재의 양측 외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측면 브라켓, 상기 측면 브라켓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의 구동으로 상기 측면 브라켓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 브라켓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보 부재의 외면을 타격하여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치즐로 구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 브레이커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울 해체하는 과정에서 보 부재를 파쇄할 때, 상기 보 부재의 외면을 포위한 상태에서 보 부재의 외측에서 유압 브레이커가 작동하여 보 부재를 파쇄하도록 함으로서 보 부재를 구성하는 콘크리트만 파쇄하고, 콘크리트 속의 철근은 외부로 노출시켜 철근만 부분적으로 선별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2는 도 1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장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수평 구조재인 보 부재(300)를 해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장치(200)는 왕복대(2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 브레이커(230)로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왕복대(210)는 굴삭기나 크레인 등의 건설장비에 연결되어 상기 건설장비를 통해 해체하고자 하는 보 부재(30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건설장비의 구동으로 상기 보 부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보 부재(Beam)라 함은 기둥 위에서 지붕의 무게를 전달해주는 건축 부재를 지칭한다
상기 왕복대(210)의 상단 네 모서리에는 체인브라켓(218)이 설치되고, 상기 체인브라켓(218)은 건설장비와 체인(250)으로 연결되며 상기 왕복대(210)를 건설장비가 끌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왕복대(210)의 하단 양측면에는 측면브라켓(212)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면 브라켓(212)의 외측면에는 유압 브레이커(230)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브라켓(212)의 사이에는 공간(216)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216)으로는 보 부재(300)가 삽입된다. 즉, 보 부재(300)는 상기 공간(126)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측면브라켓(212)은 상기 보 부재(300)의 양측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유압 브레이커(230)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232)와, 상기 실린더(232)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타격수단인 치즐(234)이 내장된 프론트헤드로 구성하며, 상기 치즐(234)은 실린더(232)로 공급된 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동작하면 상기 측면브라켓(212)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14)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측면브라켓(212) 사이 공간(216)에 삽입되어 있는 보 부재(300)의 양측을 타격하여 보 부재(300)를 파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장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들중에서 보 부재를 해체시키기 위해 사용하도록 한다.
즉, 보 부재(300)의 상면에 왕복대(210)를 위치시켜 상기 왕복대(210)의 측면 브라켓(212) 사이 공간(216)에 보 부재(300)가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 측면브라켓(212)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 브레이커(230)를 작동시키면 각 유압 브레이커(230)의 치즐(234)은 측면브라켓(212)의 구멍(214)을 통과하여 상기 측면브라켓(212)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보 부재(300)를 타격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철근 콘크리 구조물인 보 부재(300)는 콘크리트만 파쇄되고 철근이 외부로 노출되어 지며, 이러한 콘크리트 파쇄과정을 거쳐 보 부재(300)를 해체하더라도 보 부재에 사용된 철근만 선별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210: 왕복대 212: 측면브라켓
216: 공간 218: 체인브라켓
230: 유압 브레이커 232: 실린더
234: 치즐

Claims (1)

  1.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인 보 부재(300)에서 콘크리트만 파쇄하고 콘크리트속에 묻혀있는 철근을 외부로 노출시켜 해체되는 보 부재(300)에서 철근을 선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장치에 있어서,
    건설장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 부재(300)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건설장비의 구동으로 상기 보 부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왕복대(210);
    상기 왕복대(210)의 하단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기 보부재(30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216)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보 부재(300)의 양측 외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측면 브라켓(212);
    상기 측면 브라켓(212)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232);
    상기 실린더(232)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232)의 구동으로 상기 측면 브라켓(212)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14)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 브라켓(212) 사이 공간(216)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보 부재(300)의 외면을 타격하여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치즐(234)로 구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 브레이커(2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장치.


KR1020220020491A 2022-02-17 2022-02-17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KR20230123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491A KR20230123588A (ko) 2022-02-17 2022-02-17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491A KR20230123588A (ko) 2022-02-17 2022-02-17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588A true KR20230123588A (ko) 2023-08-24

Family

ID=8784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491A KR20230123588A (ko) 2022-02-17 2022-02-17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358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56Y1 (ko) 2004-11-24 2005-03-08 안희순 자전거 안장
KR20180056283A (ko) 2016-11-18 2018-05-28 최영규 브레이커용 파편 비산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56Y1 (ko) 2004-11-24 2005-03-08 안희순 자전거 안장
KR20180056283A (ko) 2016-11-18 2018-05-28 최영규 브레이커용 파편 비산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45426A1 (en) Lower damper for demolition hammer
CN109537669B (zh) 连续墙组合矩形锤
KR102195905B1 (ko) 다방향 플라즈마-유압 할암봉을 구비한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할암 방법
KR102340894B1 (ko)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KR20230123588A (ko)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JP2009167734A (ja) 耐震補強工事における補強鋼板の地中貫入方法及び補強鋼板貫入装置
KR20230123589A (ko) 철근 콘크리트 파쇄용 유압 브레이커
CN206694026U (zh) 一种岩石开采装置
KR101355133B1 (ko) 굴착기의 브레이커 구조장치
US53931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ubblizing and breaking concrete
JPH06240889A (ja) 切断機付き油圧ブレーカ
CN108824513B (zh) 一种挖掘机动臂
KR20090112287A (ko)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
KR100252487B1 (ko) 구축물파쇄기및상기구축물파쇄기를이용한구축물해체공법
CN112900534A (zh) 破碎锤钎杆
KR101653192B1 (ko) 유압 브레이커 링타입 치즐 스톱키
KR200362701Y1 (ko) 토목 및 건설공사시 사용되는 파쇄장비의 마모방지보강구조
CN220132992U (zh) 工程机械
KR101193806B1 (ko) 다수의 치즐봉을 갖는 브레이커용 치즐어셈블리
CN217324927U (zh) 一种用于混凝土基层碎石化的锤头破碎机
CN212758947U (zh) 一种钢筋混凝土类固废物分解装置
KR20060041010A (ko) 브레이커 겸용 크라샤
US10399196B2 (en) Device for hydraulic hammer
CN219037783U (zh) 一种桩井爆破过程中的飞石防护装置
JP5955194B2 (ja) 高さが2.5m程度に制限された解体現場での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解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