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287A -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287A
KR20090112287A KR1020080038084A KR20080038084A KR20090112287A KR 20090112287 A KR20090112287 A KR 20090112287A KR 1020080038084 A KR1020080038084 A KR 1020080038084A KR 20080038084 A KR20080038084 A KR 20080038084A KR 20090112287 A KR20090112287 A KR 2009011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lock
breaker
pin
coupl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윤
Original Assignee
문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윤 filed Critical 문병윤
Priority to KR102008003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287A/ko
Publication of KR2009011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8Means for retaining and guiding the tool bit, e.g. chucks allowing axial oscillation of the tool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72Stone, rock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이 쉽고 비용이 저렴하며 백헤드블럭과 실린더블럭 및 프론트블럭을 상호 견고하게 연결하기가 쉽고, 또한 분리가 용이하며 관리와 보수가 용이한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백헤드블럭(100), 실린더블럭(200) 및 프론트블럭(300)로 이루어진 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백헤드블럭(100), 실린더블럭(200) 및 프론트블럭(300)에 형성된 결합홈부(400)에는 다수의 결합공이 구비된 결합판넬이 설치되며 상기한 결합판넬의 결합공과 결합홈부에 구비된 결합공에는 결합핀이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Structare for locking with breaker coupling pin}
본 발명은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이 쉽고 비용이 저렴하며 백헤드블럭과 실린더블럭 및 프론트블럭을 상호 견고하게 연결하기가 쉽고, 또한 분리가 용이하며 관리와 보수가 용이한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커란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장비로, 포크레인의 아암 끝단이나 굴을 파기위한 굴착기(포크레인이라고도 함)등의 앞단에 체결되어 유압을 통해 벽면이나 지반을 부수고 철거하는 작업을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포크레인에 체결되어서는 지반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콘크리트 골조물이나 암반을 부술때 사용되며, 굴을 파기위한 굴착기에 체결되어서는 수평으로 암반을 깨부수며 동굴을 형성시켜 나아가는 장비이다.
참고로 이러한 브레이커란 크게 공압식과 유압식으로 분류되는데 그 특징들 을 간단히 살펴본다.
우선 에어식의 경우 에어를 통해 브레이커를 작동하게 되는데, 에어 콤프레셔는 규정된 압력으로 압축공기를 생산하여 에어 탱크에 저축한다. 압축된 공기는 에어탱크에 설치된 송기 밸브와 에어호스를 따라 자동밸브(리모콘밸브)와 리모콘 페달에 항시 배달된다. 이때 조종석에 있는 리모트 페달을 조종사가 밟으면 설치된 밸브가 열리고 리모콘 밸브는 작동되어 에어탱크 내에 저장된 공기는 브레이커에 보내진다.
브레이커내부에 들어있는 해머는 공기압을 받아 하행하면서 치즐(정)에 충격을 가하고 치즐은 해머(피스톤)의 힘을 받아 하행하면서 목표물을 파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가장 일반화된 유압식의 경우 공압식과 작동의 방식이 유사하나, 그 흐르는 유체의 형태가 공기가 아닌 액체(기름)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즉, 유압식 브레이커는 메인 펌프에서 오일을 공급받아 유압으로 해머를 작동시키고 해머(피스톤)가 치즐을 타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유압식 브레이커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커는 백헤드블럭(100), 실린더블럭(200), 프론트블럭(300)과 피스톤(600) 및 치즐(400)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백헤드블럭(100)은 내측에 가스실을 구비하며, 실린더블럭(200)은 내부에 피스톤(600)이 상하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실린더블럭(200)의 상단 내측에는 피스톤(600)이 삽입 설치되고 하단 내측 에는 치즐(400)이 설치되며, 상기 치즐(400)의 일측부에는 치즐(400)의 자중에 의한 탈거를 방지하도록 가이드홈(410)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410)에는 치즐핀(420)이 삽입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한 백헤드블럭(100), 실린더블럭(200) 및 프론트블럭(300)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면서 끝단에 나사를 형성하고 나사부 사이에는 대경부(520)와 소경부(510)로 이루어진 로드부(530)로 형성된 장볼트(500)를 이용하여 각 블럭을 연결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장볼트는 길이가 길고 가공하기가 어려우며 가공비가 비싸고 또한 블럭 내측에 설치되어 있어 설치가 불편하며 파손이 발생하여도 파손 여부의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과, 헤드,시린더.프런트헤드의 장볼트 홀이 각각 4개씩 또는 8개씩의 가공상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이 간편하고 따라서 가공비도 저렴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파손 및 핀의 탈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백헤드블럭(100), 실린더블럭(200), 프론트블럭(300)과 피스톤(600) 및 치즐(400)로 이루어진 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백헤드블럭(100), 실린더블럭(200) 및 프론트블럭(300)에 형성된 결합홈부(100a)(200a)(300a)에는 다수의 결합공(100b)(200b)(300b)이 구비된 결합판넬(700)이 설치되며 상기한 결합판넬(700)의 결합공(710)과 결합홈부(100a)(200a)(300a)에 구비된 결합공(100b)(200b)(300b)에는 결합핀(800)이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가공이 쉽고 비용이 저렴하며 백헤드블럭과 실린더블럭 및 프론트블럭을 상호 견고하게 연결하기가 쉽고, 또한 분리가 용이하며 관리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브레이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브레이커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백헤드블럭(100), 실린더블럭(200) 및 프론트블럭(300)에 형성된 결합홈부(100a)(200a)(300a)에는 다수의 결합공(100b)(200b)(300b)이 구비된 결합판넬(700)이 설치되며, 상기한 결합판넬(700)의 결합공(710)과 결합홈부(100a)(200a)(300a)에 구비된 결합공(100b)(200b)(300b)에는 결합핀(800)이 삽입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결합핀(80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5에 봉형의 결합핀(800)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핀(900)을 설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핀이 동원 상에 다수개가 겹치어져 설치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백헤드블럭(100), 실린더블럭(200) 및 프론트블럭(300)에 형성된 결합홈부(100a)(200a)(300a)에 결합공(710)이 구비된 결합판넬(700)을 끼워 넣고 결합공(100b)(200b)(300b)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중심을 맞추고 결합핀(800) 또는 스프링핀(900)을 끼워 넣으면 상부의 블럭과 하부의 블럭이 분리되지 아니하고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백헤드블럭(100), 실린더블럭(200) 및 프론트블럭(300)에 형성된 결합홈부(100a)(200a)(300a)는 서로 대향되게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결합홈부(100a)(200a)(300a)에 삽입되는 결합판넬(700) 또한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판넬(700)의 결합공(710)과 결합홈부(100a)(200a)(300a)에 구비된 결합공(100b)(200b)(300b)에 설치되는 결 합핀(80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5에 봉형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프링핀(900)을 같은 중심을 구비하도록 다수 개를 삽입 설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핀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프링핀(900)을 겹치어지게 설치한 구조의 핀을 사용하게 되면 진동에 대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브레이커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브레이커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브레이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브레이커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결합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백헤드블럭 200 : 실린더블럭
300 : 프론트블럭 400 : 치즐
100a,200a,300a : 결합홈부
100b,200b,300b : 결합공
600 : 피스톤 700 : 결합판넬
710 : 결합공 800 : 결합핀
900 : 스프링핀

Claims (4)

  1. 백헤드블럭(100), 실린더블럭(200), 프론트블럭(300)과 피스톤(600) 및 치즐(400)로 이루어진 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백헤드블럭(100), 실린더블럭(200) 및 프론트블럭(300)에 형성된 결합홈부(100a)(200a)(300a)에는 다수의 결합공(100b)(200b)(300b)이 구비된 결합판넬(700)이 설치되며 상기한 결합판넬(700)의 결합공(710)과 결합홈부(100a)(200a)(300a)에 구비된 결합공(100b)(200b)(300b)에는 결합핀(800)이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800)이 봉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800)이 스프링핀(9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핀(900)이 동원 상에 다수개가 겹치어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
KR1020080038084A 2008-04-24 2008-04-24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 KR20090112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084A KR20090112287A (ko) 2008-04-24 2008-04-24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084A KR20090112287A (ko) 2008-04-24 2008-04-24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287A true KR20090112287A (ko) 2009-10-28

Family

ID=4155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084A KR20090112287A (ko) 2008-04-24 2008-04-24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2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877A (ko) * 2016-06-17 2017-12-28 산드빅 마이닝 앤드 컨스트럭션 오와이 충격 유닛에서의 배열체
KR101940634B1 (ko) * 2018-08-23 2019-01-21 정경수 굴착용 공압 해머
IT201900021747A1 (it) * 2019-11-20 2020-02-20 Osa Demolition Equipment S R L Giunto intermedio tra cilindro e testata inferiore per demolitore idraulico senza tiranti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877A (ko) * 2016-06-17 2017-12-28 산드빅 마이닝 앤드 컨스트럭션 오와이 충격 유닛에서의 배열체
KR101940634B1 (ko) * 2018-08-23 2019-01-21 정경수 굴착용 공압 해머
IT201900021747A1 (it) * 2019-11-20 2020-02-20 Osa Demolition Equipment S R L Giunto intermedio tra cilindro e testata inferiore per demolitore idraulico senza tirant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1162Y1 (ko) 굴삭기의 굴착장비 착탈용 커플러
WO2010137826A2 (ko) 유압 브레이커
KR101037919B1 (ko) 치즐 고정장치
KR20090112287A (ko) 결합핀을 이용한 브레이커의 체결구조
CN107558472B (zh) 液压冲击锤系统和方法
KR102195905B1 (ko) 다방향 플라즈마-유압 할암봉을 구비한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할암 방법
KR20150063412A (ko) 굴삭기를 위한 유압식 해머 장치
KR200427346Y1 (ko) 암 파쇄기
KR101183445B1 (ko) 에어 토출형 유압해머를 갖는 대구경 굴착헤드 및 이를 이용한 굴착공법
KR101439974B1 (ko) 암반 파쇄용 잭
KR100893827B1 (ko) 치즐 고정장치
CN213539127U (zh) 一种冲击式多用破碎锤
KR20130032533A (ko) 유압브레이커
KR101355133B1 (ko) 굴착기의 브레이커 구조장치
JP6096275B2 (ja) 複数のチゼル棒を有するブレーカー用チゼルアセンブリー
CN202936830U (zh) 液压破碎器导向套与前缸体连接装置
KR100804751B1 (ko) 자주식 지반 굴착기 및 그 굴착기를 이용한 굴착방법
KR20090016177A (ko) 굴착기의 굴착장비 착탈용 체결핀
KR100291335B1 (ko) 지반굴착용에어해머
CN114411849B (zh) 破碎锤和工程机械
CN204919646U (zh) 多功能液压破碎锤
KR200466211Y1 (ko) 브레이커
EP0927297B1 (en) Blasting device
KR20130107875A (ko) 파일 항타용 브레이커를 구비한 천공 시추기
KR200391032Y1 (ko) 유압 타격기기의 어큐물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