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985A -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985A
KR20230119985A KR1020220016416A KR20220016416A KR20230119985A KR 20230119985 A KR20230119985 A KR 20230119985A KR 1020220016416 A KR1020220016416 A KR 1020220016416A KR 20220016416 A KR20220016416 A KR 20220016416A KR 20230119985 A KR20230119985 A KR 20230119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ngelica
composition
sample
enhancing immu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미경
정정호
한은혜
이상호
이소연
Original Assignee
고려은단주식회사
고려은단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은단주식회사, 고려은단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은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985A/ko
Publication of KR2023011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9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당귀 추출물과 함께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면역증진 효과를 크게 상승시킨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면역증진용 조성물은,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당귀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당귀의 수 추출물 또는 당귀를 추출한 후 발효시킨 당귀추출발효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역증진의 유효성분으로 당귀 추출물에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당귀 단독 사용 또는 섬쑥부쟁이 단독 사용에 비해 면역증진 효과를 매우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증진용 조성물은, 물로 추출하거나 또는 물 추출 후에 식용 효모로 발효시킨 '당귀 추출물'을 면역증진을 위한 주성분으로 사용하므로,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등의 식품형태로 모두 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Immune-boosting composition comprising Angelica extract and Aster glehni extract}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당귀 추출물과 함께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면역증진 효과를 크게 상승시킨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귀는 산형과(形科, Umbelliferae) 안젤리카(Angelica) 속에 속하는 대표적인 약용 식물로, 예전에는 산에서 채취했으나 최근에는 대부분 재배를 통해 수확하고 있다. 당귀를 약용으로 재배하려면 꽃대를 키우지 않은 당귀를 수확해야 한다. 즉, 여러해살이풀이지만 약초용은 꽃이 피기 전에 모두 캐야 한다. 초기 성장이 아주 더디게 이루어지다가 어느 정도 자라는 6월 이후에는 왕성하게 큰다.
당귀는 기침과 상기를 치료하고, 온성 학질로 생긴 한열과 피부 속이 오싹오싹한 증상, 여성의 자궁출혈과 불임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현대 임상에서는 당귀를 부정맥, 허혈성중풍, 노인성무도병, 뇌동맥경화, 겸상적혈구성빈혈, 부정맥, 혈전폐색성맥관염, 혈관성두통, 고혈압증, 자궁탈수 및 불면증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울릉도의 대표적인 자생식물인 섬쑥부쟁이(Aster glehni)는 다년생 식물로 국화과 개미취속에 속하며 모양은 취나물과 유사하다. 줄기는 1m 정도의 높이로 자라며 온몸에 짧은 털이 붙어있어 껄껄한 촉감을 가진다. 잎은 어긋나게 자라고 잎꼭지가 있으며, 버들잎 모양 또는 넓은 버들잎 모양으로 밑부분은 좁고 끝이 날카로우며 가장자리에 성긴 톱니가 있고 잔털이 성기게 있다. 섬쑥부쟁이는 8월에서 9월에 걸쳐 하얀색의 꽃을 피우며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진다.
울릉도의 섬쑥부쟁이는 육지에서 나는 쑥부쟁이보다 잎이 더 크고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생산량이 많아 오래 전부터 나물로 식용하였으며 국내산 산채류 중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섬쑥부쟁이의 전초는 기침, 이뇨, 천식에 대한 약리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감기의 열을 내리고 편도선염의 거담제 역할을 하는 약용식물로 사용되어 왔다. 특허공개 제10-2018-0120604호에서는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5219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9822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9228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7959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0368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46388호
본 발명자들은 당귀가 지닌 면역증진 효과에 주목했다. 그러나 당귀를 면역증진용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 같은 식품 형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2가지 과제가 있었다. 먼저 분명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면역증진 효과를 크게 향상시켜야 하고, 수(水) 추출이나 식용효모 발효 방법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들은 당귀 추출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때 뛰어난 면역증진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병용 식물과 병용 방법을 찾아 많은 실험과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당귀 추출물에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당귀 추출물 단독이나 섬쑥부쟁이 추출물 단독에 비해 면역증진 효과가 크게 향상된 면역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식품으로 사용할 경우 부적절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물로만 추출한 당귀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면서도 뛰어난 면역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2: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상기 당귀 추출물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당귀의 수(水) 추출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당귀의 열수 추출물이다.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당귀 추출물은 당귀를 추출한 후 발효시킨 당귀추출발효물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당귀 추출물은,
당귀 뿌리를 세척한 후 조분쇄하는 단계;
조분쇄한 당귀에 당귀중량의 8~12배 중량의 물을 가하고 110~13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한 추출물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당귀추출발효물은, 바람직하게는 당귀를 수 추출한 후 발효시켜 얻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당귀를 열수 추출한 후 발효시켜 얻는다. 상기 당귀추출발효물은, 바람직하게는 효모로 발효시킨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당귀추출발효물은,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추출발효물은,
당귀 뿌리를 세척한 후 조분쇄하는 단계;
조분쇄한 당귀에 당귀중량의 8~12배 중량의 물을 가하고 110~13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냉각된 추출액에 추출액 중량의 0.08~0.12중량%로 활성건조효모를 넣고 20~35℃에서 15~3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배양 후 배양액을 살균하는 단계;
살균된 배양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한 배양액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섬쑥부쟁이의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섬쑥부쟁이를 채취하여 세척한 후 절단 또는 조분쇄하는 단계;
상기 절단 또는 조분쇄한 섬쑥부쟁이에 섬쑥부쟁이 중량의 13~17배 중량의 추출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섬쑥부쟁이와 추출용매를 혼합한 후 70~80℃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액을 14~16brix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여과액에 고형분중량 대비 0.8~1.2배 중량의 부형제를 첨가하는 단계;
부형제를 첨가한 후 살균하는 단계; 및
살균 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은 '당귀와 섬쑥부쟁이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과 '당귀와 섬쑥부쟁이를 혼합한 후 함께 추출하여 얻은 혼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 '당귀 추출물'은 당귀를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과 당귀를 용매로 추출한 후 발효시킨 당귀 추출물의 발효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역증진의 유효성분으로 당귀 추출물에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당귀 단독 사용 또는 섬쑥부쟁이 단독 사용에 비해 면역증진 효과를 매우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면역증진용 조성물은, NO 농도의 상승효과 및 iNOS와 COX-2 발현의 상승효과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면역증진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는 당귀 단독 추출물이나 섬쑥부쟁이 단독 추출물에 비해 현저하게 상승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로 추출하거나 또는 물 추출 후에 식용 효모로 발효시킨 당귀 추출물을 면역증진을 위한 주성분으로 사용하므로,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등의 식품형태로 모두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4: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은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는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3은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4: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4는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의 NO 농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5와 16은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 iNOS와 COX-2의 상승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7과 18은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이들을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 iNOS와 COX-2의 상승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면역증진용 조성물은,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은 당귀와 섬쑥부쟁이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얻거나, 또는 먼저 당귀와 섬쑥부쟁이를 혼합한 후 함께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2: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이다. 이때 혼합물은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 각각을 상기 비율로 혼합하여 얻거나, 또는 먼저 당귀와 섬쑥부쟁이를 상기 비율로 혼합한 후 함께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당귀 추출물은 당귀의 수(水) 추출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당귀의 열수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당귀 추출물은 당귀를 추출한 후 발효시킨 당귀추출발효물이다. 상기 당귀의 열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당귀에 물을 가하고 110~130℃에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당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에 기술된다. 상기 당귀추출발효물은, 바람직하게는 당귀를 열수 추출한 후 발효시켜 얻을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효모로 발효시켜 얻을 수 있다. 당귀추출발효물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에 기술된다.
바람직한 실시예: 당귀 추출물의 제조
당귀 뿌리를 세척한 후 조분쇄하여 당귀추출물의 원료로 사용한다.
조분쇄한 당귀에 물을 가하고 수(水) 추출한다. 추출방법으로는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추출, 환류추출, 냉각추출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방법이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귀 중량의 8~12배 중량의 물을 혼합하고, 110~13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다. 이때 추출온도는 115~1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21℃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후 추출물은 60메쉬(mesh) 필터로 여과한다.
여과한 추출물은 분무건조하여 당귀 추출물을 얻는다.
바람직한 실시예: 당귀추출발효물의 제조
당귀 뿌리를 세척한 후 조분쇄한다.
조분쇄한 당귀에 물을 가하고 수(水) 추출한다. 추출방법으로는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추출, 환류추출, 냉각추출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방법이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분쇄한 당귀에 당귀 중량의 8~12배 중량의 물을 가하고, 110~13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다. 이때 추출온도는 115~1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21℃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로 얻어진 추출액에 발효균주를 접종하고 배양 발효시켜 당귀추출발효물을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액을 실온 정도로 냉각한 후 발효균주를 접종하고 배양 발효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7~33℃로 냉각시킨 후 활성건조효모를 넣고 20~35℃에서 15~30시간 동안 배양한다. 활성건조효모는 추출액의 중량에 대하여 0.08~0.12중량%로 첨가한다. 배양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7~33℃에서 18~24시간 동안 실시한다.
배양 후 배양액을 살균한다. 살균에는 통상적인 살균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95~100℃에서 30분~1시간 동안 살균하였다.
살균된 배양액은 60메쉬 필터로 여과한다.
여과한 배양액은 분무건조하여 당귀추출발효물을 얻는다.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섬쑥부쟁이의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이다.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바람직한 실시예: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제조
섬쑥부쟁이는 전초, 잎, 줄기, 꽃 및 뿌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한다. 섬쑥부쟁이의 지상부인 잎, 줄기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쑥부쟁이는 채취하여 세척한 후 절단 또는 조분쇄하여 사용한다.
절단 또는 조분쇄한 섬쑥부쟁이에 섬쑥부쟁이 중량의 13~17배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4~16배 중량의 추출용매를 혼합한다.
섬쑥부쟁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로는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한다. 에탄올 수용액은 50~80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쑥부쟁이와 추출용매를 혼합한 후 70~80℃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한다.
추출방법으로는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추출, 환류추출, 냉각추출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환류추출로 추출하였다. 추출은 1회 또는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14~16 brix로 농축한다.
농축된 여과액에 여과액의 고형분중량 대비 0.8~1.2배 중량의 부형제를 첨가한다. 부형제를 첨가하는 이유는 추출물이 주위의 수분을 흡수하여 단단하게 굳거나 엿처럼 변하는 현상을 막고 지속적으로 분말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여과액의 고형분 중량 대비 동일한 중량의 부형제를 첨가한다. 부형제로는 덱스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형제를 첨가한 후 살균처리한다. 살균처리에는 통상적인 살균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90~100℃에서 50~70분 동안 살균하였다.
살균 후 분무건조하여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면역증진용 조성물은, 위와 같이 얻은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얻는다. 본 발명의 면역증진용 조성물을 얻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바람직한 실시예: 면역증진용 조성물의 제조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면역증진용 조성물을 얻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2: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위에서 얻은 당귀의 열수 추출물의 경우,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4: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5:1의 중량비로 혼합할 경우 면역증진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위에서 얻은 당귀추출발효물의 경우,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2:1 내지 5:1로 혼합하는 범위에서 NO 증진이 2배 이상 크게 상승하고 iNOS 및 COX-2 발현이 100% 이상 크게 상승하는 효과를 보였다. 3:1 내지 5:1의 혼합범위에서는 면역증진효과가 더욱 우수하였으며, 4:1 내지 5:1의 혼합범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당귀 추출물의 제조
당귀 뿌리를 세척하여 조분쇄하였다. 조분쇄한 당귀 뿌리 50kg에 수돗물 500 ℓ를 투입하여 121℃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60메쉬 필터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분무건조하여 당귀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당귀추출발효물의 제조
당귀 뿌리를 세척하여 조분쇄하였다. 조분쇄한 당귀 뿌리 50kg에 수돗물 500 ℓ를 투입하여 121℃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에 활성건조효모를 추출액량의 0.1(w/w)%로 첨가하고 30℃에서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95℃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하였다. 살균 후 60메쉬 필터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분무건조하여 당귀추출발효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제조
섬쑥부쟁이 지상부를 채취하여 조분쇄하였다. 조분쇄한 섬쑥부쟁이 지상부 185kg에 70% 에탄올 수용액 2,000ℓ를 투입하여 7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에 여과보조제를 첨가하여 필터프레스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15brix로 농축하고, 고형분 대비 동량의 덱스트린을 첨가하였다. 덱스트린을 첨가한 후 95℃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하였다. 살균 후 분무건조하여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처리에 의한 NO 농도 분석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처리에 의한 NO 농도 및 그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시험물질로는 실시예 1에서 얻은 '당귀 추출물(ANE)'과 실시예 3에서 얻은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의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의 혼합비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혼합비율
(당귀:섬쑥부쟁이)
혼합물 농도
(㎍/㎖)
당귀 추출물의 농도 (㎍/㎖)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농도 (㎍/㎖)
시료 1
1:5
31.3 5.2 26.1
시료 2 62.5 10.4 52.1
시료 3 125 20.8 104.2
시료 4 250 41.7 208.3
시료 5
1:2
31.3 10.4 20.9
시료 6 62.5 20.8 41.7
시료 7 125 41.7 83.3
시료 8 250 83.3 166.7
시료 9 1:1 31.3 15.6 15.6
시료 10 62.5 31.3 31.3
시료 11 125 62.5 62.5
시료 12 250 125.0 125.0
시료 13
2:1
31.3 20.9 10.4
시료 14 62.5 41.7 20.8
시료 15 125 83.3 41.7
시료 16 250 166.7 83.3
시료 17
3:1
31.3 23.5 7.8
시료 18 62.5 46.9 15.6
시료 19 125 93.8 31.3
시료 20 250 187.5 62.5
시료 21
4:1
31.3 25.0 6.3
시료 22 62.5 50.0 12.5
시료 23 125 100.0 25.0
시료 24 250 200.0 50.0
시료 25
5:1
31.3 26.1 5.2
시료 26 62.5 52.1 10.4
시료 27 125 104.2 20.8
시료 28 250 208.3 41.7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RAW264.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1×105 개 세포씩 분주하였다. 세포를 분주하고 24시간 후 각 시료를 농도별로 단독 및 혼합하여 처리하였다.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후 각 배지를 1.7㎖ 마이크로튜브에 옮긴 후 3,000rpm, 4℃ 조건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취하여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에 100㎕씩 분주하였다. 실험시작 전 미리 제조한 그리스시약(Griess reagent)(1g/25㎖)을 상층액을 분주한 96웰 플레이트에 100㎕씩 첨가하였다.
96웰 플레이트를 차광한 후 상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표준그래프(standard graph)를 통해 NO 농도를 계산하였다.
당귀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대비하여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NO 농도 상승효과를 비교하였다. 당귀 추출물 단독 또는 섬쑥부쟁이 추출물 단독 대비 NO 상승효과를 %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와 도 1 내지 7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의성은 당귀 추출물 단독처리군 (# p < 0.05, ## p < 0.01, ### p < 0.001)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 단독처리군 (* p < 0.05,** p < 0.01,*** p < 0.001)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시료명 혼합비율
(당귀:섬쑥부쟁이)
혼합물 농도
(㎍/㎖)
당귀 추출물
단독대비(%)
섬쑥부쟁이 추출물
단독대비(%)
시료 1 1:5 31.3 18.2 -3.2
시료 2 62.5 38.9 11.8
시료 3 125 52.2 29.4
시료 4 250 24.0 7.7
시료 5 1:2 31.3 54.8 26.7
시료 6 62.5 59.4 28.2
시료 7 125 85.6 57.8
시료 8 250 56.5 36.0
시료 9 1:1 31.3 118.7 79.1
시료 10 62.5 108.5 67.8
시료 11 125 110.7 79.1
시료 12 250 80.3 56.7
시료 13 2:1 31.3 253.9 189.8
시료 14 62.5 176.3 122.3
시료 15 125 138.9 103.1
시료 16 250 93.8 68.4
시료 17 3:1 31.3 411.5 318.8
시료 18 62.5 243.0 175.9
시료 19 125 182.8 140.5
시료 20 250 113.0 85.1
시료 21 4:1 31.3 604.0 476.4
시료 22 62.5 325.3 242.2
시료 23 125 188.8 145.6
시료 24 250 146.6 114.3
시료 25 5:1 31.3 657.5 520.2
시료 26 62.5 345.9 258.7
시료 27 125 300.6 240.5
시료 28 250 189.3 151.4
도 1 내지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당귀 추출물(ANE)을 31.3㎍/㎖, 62.5㎍/㎖, 125㎍/㎖ 및 250㎍/㎖의 농도로 단독처리하였을 때 NO 농도가 정상군 대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31.3㎍/㎖, 62.5㎍/㎖, 125㎍/㎖ 및 250㎍/㎖의 농도로 단독처리하였을 때에도 정상군 대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 1:1, 2:1, 3:1, 4:1 및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 각 물질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에 비해 NO 농도가 증가하여 모든 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승효과가 발생하였다.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4:1 및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에는 모든 농도에서 단독처리군에 비해 2배(100%) 이상 상승하였으며,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 상승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실험예 2>
당귀추출발효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처리에 의한 NO 농도 분석
당귀추출발효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처리에 의한 NO 농도 및 그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시험물질로는 실시예 2에서 얻은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실시예 3에서 얻은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의 당귀추출발효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비율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혼합비율
(당귀:섬쑥부쟁이)
혼합물의
농도 (㎍/㎖)
당귀추출발효물의
농도 (㎍/㎖)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농도 (㎍/㎖)
시료 29 1:5 31.3 5.2 26.1
시료 30 62.5 10.4 52.1
시료 31 125 20.8 104.2
시료 32 250 41.7 208.3
시료 33 1:2 31.3 10.4 20.9
시료 34 62.5 20.8 41.7
시료 35 125 41.7 83.3
시료 36 250 83.3 166.7
시료 37 1:1 31.3 15.6 15.6
시료 38 62.5 31.3 31.3
시료 39 125 62.5 62.5
시료 40 250 125.0 125.0
시료 41 2:1 31.3 20.9 10.4
시료 42 62.5 41.7 20.8
시료 43 125 83.3 41.7
시료 44 250 166.7 83.3
시료 45 3:1 31.3 23.5 7.8
시료 46 62.5 46.9 15.6
시료 47 125 93.8 31.3
시료 48 250 187.5 62.5
시료 49 4:1 31.3 25.0 6.3
시료 50 62.5 50.0 12.5
시료 51 125 100.0 25.0
시료 52 250 200.0 50.0
시료 53 5:1 31.3 26.1 5.2
시료 54 62.5 52.1 10.4
시료 55 125 104.2 20.8
시료 56 250 208.3 41.7
실험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며, 당귀추출발효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대비하여 당귀추출발효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NO 농도 상승효과를 비교하였다. 당귀추출발효물 단독 또는 섬쑥부쟁이 추출물 단독 대비 NO 상승효과를 %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와 도 8 내지 14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의성은 당귀추출발효물 단독처리군 (# p < 0.05, ## p < 0.01, ### p < 0.001)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 단독처리군 (* p < 0.05,** p < 0.01,*** p < 0.001)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시료명 혼합비율
(당귀:섬쑥부쟁이)
혼합물
농도(㎍/㎖)
당귀추출발효물
단독대비(%)
섬쑥부쟁이 추출물
단독대비(%)
시료 29 1:5 31.3 81.8 26.7
시료 30 62.5 14.2 -4.7
시료 31 125 23.8 9.9
시료 32 250 32.6 8.8
시료 33 1:2 31.3 210.5 116.5
시료 34 62.5 101.0 67.8
시료 35 125 75.8 56.0
시료 36 250 77.7 45.8
시료 37 1:1 31.3 231.9 131.4
시료 38 62.5 140.4 100.7
시료 39 125 125.8 100.4
시료 40 250 93.6 58.9
시료 41 2:1 31.3 401.8 249.8
시료 42 62.5 230.5 175.8
시료 43 125 171.3 140.8
시료 44 250 156.9 110.9
시료 45 3:1 31.3 594.8 384.4
시료 46 62.5 364.5 287.7
시료 47 125 243.3 204.7
시료 48 250 198.0 144.6
시료 49 4:1 31.3 916.4 608.6
시료 50 62.5 482.8 386.5
시료 51 125 295.2 250.8
시료 52 250 217.9 160.9
시료 53 5:1 31.3 982.7 654.8
시료 54 62.5 471.8 377.3
시료 55 125 315.7 268.9
시료 56 250 250.1 187.4
도 8 내지 1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당귀추출발효물(FAN)을 31.3㎍/㎖, 62.5㎍/㎖, 125㎍/㎖ 및 250㎍/㎖의 농도로 단독처리하였을 때 NO 농도가 정상군 대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31.3㎍/㎖, 62.5㎍/㎖, 125㎍/㎖ 및 250㎍/㎖의 농도로 단독처리하였을 때에도 정상군 대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 1:5의 중량비로 혼합한 처리군을 제외한 모든 혼합 처리군에서 각 물질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에 비해 NO 농도가 증가하여 모든 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승효과가 발생하였다.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2:1, 3:1, 4:1 및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에는 모든 농도에서 단독처리군에 비해 2배(100%) 이상 상승하였으며,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실험예 3>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처리에 의한 iNOS 및 COX-2의 발현 분석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처리에 의한 iNOS 및 COX-2 발현의 상승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당귀 추출물(ANE)'과 실시예 3에서 얻은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처리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을 이용하여 세포를 파쇄한 후, BCA 분석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정량의 단백질을 로딩한 후 웨스턴 블로팅하여 iNOS와 COX-2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1에서 NO 상승효과가 가장 우수한 혼합물의 농도인 31.3㎍/㎖(1:5, 1:2, 1:1, 2:1, 3:1, 4:1 및 5:1의 중량비로 혼합)와,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단독으로 31.3㎍/㎖ 처리했을 때 iNOS와 COX-2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ANE)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대비하여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iNOS와 COX-2 발현의 상승효과를 비교하였다. 당귀 추출물 단독 또는 섬쑥부쟁이 추출물 단독 대비 iNOS와 COX-2 발현의 상승효과를 %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15와 16에 나타내었다.
혼합비율
(당귀:섬쑥부쟁이)
당귀 추출물
단독대비(%)
섬쑥부쟁이 추출물
단독대비(%)
iNOS 1:5 74.9 26.0
1:2 104.4 47.2
1:1 103.7 46.7
2:1 105.7 48.2
3:1 134.2 68.7
4:1 216.7 128.1
5:1 290.2 181.0
COX-2 1:5 41.3 -7.6
1:2 72.8 13.0
1:1 86.4 21.9
2:1 148.2 62.3
3:1 304.3 164.4
4:1 403.5 229.2
5:1 472.1 274.1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 각 물질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에 비해 iNOS와 COX-2의 발현율이 증가하여 상승효과가 발생하였다. 당귀 추출물(ANE)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4:1 및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에는 모든 농도에서 단독처리군에 비해 2배(100%) 이상 상승하였으며,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실험예 4>
당귀추출발효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처리에 의한 iNOS 및 COX-2의 발현 분석
당귀추출발효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처리에 의한 iNOS 및 COX-2 발현의 상승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실험예 1에서 실시예 2의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실시예 3의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처리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을 이용하여 세포를 파쇄한 후, BCA 분석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정량의 단백질을 로딩한 후 웨스턴 블로팅하여 iNOS와 COX-2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에서 NO 상승효과가 가장 우수한 혼합물의 농도인 31.3㎍/㎖(1:5, 1:2, 1:1, 2:1, 3:1, 4:1 및 5:1의 중량비로 혼합)와, 당귀추출발효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단독으로 31.3㎍/㎖ 처리했을 때의 iNOS와 COX-2 발현을 확인하였다.
당귀추출발효물(FAN)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대비하여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iNOS와 COX-2 발현의 상승효과를 비교하였다. 당귀추출발효물 단독 또는 섬쑥부쟁이 추출물 단독 대비 iNOS와 COX-2 발현의 상승효과를 %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17과 18에 나타내었다.
혼합비율
(당귀:섬쑥부쟁이)
당귀추출발효물
단독대비(%)
섬쑥부쟁이 추출물
단독대비(%)
iNOS 1:5 101.6 59.5
1:2 102.8 60.5
1:1 151.5 99.0
2:1 212.0 146.8
3:1 238.0 167.5
4:1 291.3 209.6
5:1 275.2 196.8
COX-2 1:5 26.4 18.5
1:2 51.1 41.7
1:1 86.5 74.8
2:1 243.5 222.1
3:1 328.8 302.0
4:1 414.0 381.9
5:1 472.6 436.8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 각 물질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에 비해 iNOS와 COX-2의 발현율이 증가하여 모든 농도에서 상승효과가 발생하였다.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2:1, 3:1, 4:1 및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에는 모든 농도에서 단독처리군에 비해 2배(100%) 이상 상승하였다. iNOS 상승효과는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4: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고, COX-2 상승효과는 당귀추출발효물(FAN)과 섬쑥부쟁이 추출물(EAG)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면역증진용 조성물과 여기에 포함되는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2: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섬쑥부쟁이의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섬쑥부쟁이를 채취하여 세척한 후 절단 또는 조분쇄하는 단계;
    상기 절단 또는 조분쇄한 섬쑥부쟁이에 섬쑥부쟁이 중량의 13~17배 중량의 추출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섬쑥부쟁이와 추출용매를 혼합한 후 70~80℃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액을 14~16brix로 농축하는 단계;
    농축된 여과액에 고형분 중량 대비 0.8~1.2배 중량의 부형제를 첨가하는 단계;
    부형제를 첨가한 후 살균하는 단계; 및
    살균 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은 당귀의 수(水)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은 당귀의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의 열수 추출물은 당귀에 물을 가하고 110~130℃에서 추출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은,
    당귀 뿌리를 세척한 후 조분쇄하는 단계;
    조분쇄한 당귀에 당귀중량의 8~12배 중량의 물을 가하고 110~13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한 추출물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4: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은 당귀를 추출한 후 발효시킨 당귀추출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추출발효물은 당귀를 열수 추출한 후 발효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추출발효물은 효모로 발효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추출발효물은,
    당귀 뿌리를 세척한 후 조분쇄하는 단계;
    조분쇄한 당귀에 당귀중량의 8~12배 중량의 물을 가하고 110~13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냉각된 추출액에 추출액 중량의 0.08~0.12중량%로 활성건조효모를 넣고 20~35℃에서 15~3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배양 후 배양액을 살균하는 단계;
    살균된 배양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한 배양액을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0220016416A 2022-02-08 2022-02-08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230119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416A KR20230119985A (ko) 2022-02-08 2022-02-08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416A KR20230119985A (ko) 2022-02-08 2022-02-08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985A true KR20230119985A (ko) 2023-08-16

Family

ID=8784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416A KR20230119985A (ko) 2022-02-08 2022-02-08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998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194B1 (ko) 1997-10-10 2000-04-15 박호군 참당귀에서분리한신규한펙틴질다당류와그분리정제방법및그의면역증강제로서의용도
KR100998225B1 (ko) 2009-03-18 2010-12-07 황성연 녹용, 산수유, 당귀, 구기자, 산약, 진피, 천마, 배초향, 계피, 홍삼, 및 오미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192280B1 (ko) 2010-03-09 2012-10-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참당귀 열수 추출물의 나노입자화를 이용한 소아용 면역 증진용 캔디류 제조방법 및 그 캔디
KR101279598B1 (ko) 2009-11-09 2013-06-27 황성연 녹용, 산수유, 당귀, 진피, 구기자, 연근, 산약, 울금, 천마, 배초향, 계피, 복분자, 오미자 및 홍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303688B1 (ko) 2011-07-29 2013-09-04 광주과학기술원 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Th1-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6388B1 (ko) 2016-04-12 2017-06-14 대한민국 쑥부쟁이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194B1 (ko) 1997-10-10 2000-04-15 박호군 참당귀에서분리한신규한펙틴질다당류와그분리정제방법및그의면역증강제로서의용도
KR100998225B1 (ko) 2009-03-18 2010-12-07 황성연 녹용, 산수유, 당귀, 구기자, 산약, 진피, 천마, 배초향, 계피, 홍삼, 및 오미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279598B1 (ko) 2009-11-09 2013-06-27 황성연 녹용, 산수유, 당귀, 진피, 구기자, 연근, 산약, 울금, 천마, 배초향, 계피, 복분자, 오미자 및 홍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192280B1 (ko) 2010-03-09 2012-10-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참당귀 열수 추출물의 나노입자화를 이용한 소아용 면역 증진용 캔디류 제조방법 및 그 캔디
KR101303688B1 (ko) 2011-07-29 2013-09-04 광주과학기술원 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Th1-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6388B1 (ko) 2016-04-12 2017-06-14 대한민국 쑥부쟁이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981B1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70141497A (ko) 황칠나무와 한약재료의 효소 추출물을 이용하는 탈모개선 샴푸의 제조 방법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710303B1 (ko)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용 약학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329926A (zh) 一种救心菜酵素及其制备方法
KR101978336B1 (ko)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228199B1 (ko) 발효 모링가 고형물을 사용한 모링가 환 제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787337B1 (ko) 항산화 및 면역 효능이 있는 발효사물탕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발효사물탕
KR102298700B1 (ko)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2507651B1 (ko)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KR101496926B1 (ko) 황금, 황련, 황백, 작약 및 루이보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예방 및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3204B1 (ko) 뇌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 음료
KR20180057754A (ko) 항아토피 활성을 가진 발효대사체 조성물
KR20170120053A (ko) 항산화 및 면역 효능이 있는 발효사물탕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발효사물탕
KR20230119985A (ko) 당귀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070057108A (ko) 초임계 유체 추출에 의한 항진균 추출물
KR101375347B1 (ko) 홍삼약초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음료
KR102211523B1 (ko) 건강식품용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1615923B1 (ko) 거북꼬리, 바디나물 및 우엉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64516B1 (ko) 꾸지뽕 잎 추출물, 꾸지뽕 뿌리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