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691A - 완충기 및 주파수 감응 기구 - Google Patents

완충기 및 주파수 감응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691A
KR20230118691A KR1020237024906A KR20237024906A KR20230118691A KR 20230118691 A KR20230118691 A KR 20230118691A KR 1020237024906 A KR1020237024906 A KR 1020237024906A KR 20237024906 A KR20237024906 A KR 20237024906A KR 20230118691 A KR20230118691 A KR 20230118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hamber
piston
seal
pi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나가야마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69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15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plastics, elastomeric or porous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for attachment of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2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the annular discs being incorporated within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이 완충기는, 실린더(2) 내에 감합되어 실린더(2) 내부를 구획하는 피스톤(18)과,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안의 작동 유체가 유동하는 제1 통로(210)와, 제1 통로(210)에 설치되어 작동 유체의 유동에 의해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감쇠 밸브(63)와,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되는 제2 통로(181)와,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연통되는 제3 통로(173)와, 제2 통로(181)와 제3 통로(173)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부(171)와, 통로부(171)에 설치되는 고무 탄성을 가진 탄성 부재(73)를 갖는다. 탄성 부재(73)는, 제2 통로(181)에서 제3 통로(173)로의 작동 유체의 유동을 억제하는 시일부(191, 192)와 제2 통로(181)의 압력을 수압하는 수압부(19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완충기 및 주파수 감응 기구
본 발명은 완충기 및 주파수 감응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1년 5월 27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21-08888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이 가변으로 되는 완충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18/163868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표 2018-533703호 공보
완충기에 있어서 구조의 간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완충기 및 주파수 감응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완충기는, 실린더 내에 감합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부의 작동 유체가 유동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어 작동 유체의 유동에 의해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감쇠 밸브와, 상기 감쇠 밸브의 상류 측에 스로틀을 통해 연통되는 제2 통로와, 상기 감쇠 밸브의 하류 측에 연통되는 제3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와 상기 제3 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에 설치되는 고무 탄성을 가진 탄성 부재를 갖는다.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통로에서 상기 제3 통로로의 작동 유체의 유동을 억제하는 시일부와, 상기 제2 통로의 압력을 수압하는 수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완충기는, 실린더 내에 감합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부의 작동 유체가 유동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어 작동 유체의 유동에 의해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감쇠 밸브와, 상기 감쇠 밸브의 상류 측에 스로틀을 통해 연통되는 제2 통로와, 상기 감쇠 밸브의 하류 측에 연통되는 제3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와 상기 제3 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실과, 상기 시일실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통로에서 상기 제3 통로로의 작동 유체의 유동을 억제하는 시일부를 구비한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통로에 연통되어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감쇠 밸브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힘을 생기게 하는 파일럿실을 형성하는 파일럿 케이스를 갖는다. 상기 파일럿 케이스에는, 축방향에 있어서 중첩하는 위치에 상기 파일럿실과 상기 시일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주파수 감응 기구는, 실린더 내에 감합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부의 작동 유체가 유동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어 작동 유체의 유동에 의해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감쇠 밸브와, 상기 감쇠 밸브의 상류 측에 스로틀을 통해 연통되는 제2 통로를 갖는 완충기에 설치되는 주파수 감응 기구이며, 상기 감쇠 밸브의 하류 측에 연통되는 제3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와 상기 제3 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통로에서 상기 제3 통로로의 작동 유체의 유동을 억제하는 시일부와, 상기 제2 통로의 압력을 수압하는 수압부를 구비하는 고무 탄성을 가진 탄성 부재를 갖는다.
상기한 완충기 및 주파수 감응 기구에 의하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도시하는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피스톤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피스톤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 및 종래의 완충기의 감쇠력 특성을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피스톤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감쇠력 특성을 도시하는 리사주 파형 선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를 도시하는 하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를 도시하는 하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부재를 도시하는 하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피스톤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피스톤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피스톤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피스톤 주변 부분을 도시하는 유압 회로도이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Shock absorber)에 관해서 도 1~도 5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도 3, 도 6, 도 8, 도 10, 도 12, 도 14, 도 17, 도 18, 도 20, 도 21, 도 23에서의 상측을 「상」으로 하고, 도면에서의 하측을 「하」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소위 복통형 유압 완충기이다. 완충기(1)는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도시하지 않음)이 봉입되는 실린더(2)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2)는 내통(3)과 외통(4)을 갖고 있다. 내통(3)은 원통형이다. 외통(4)은 바닥을 가진 원통형이다. 외통(4)의 내경은 내통(3)의 외경보다 대직경이다. 내통(3)은 외통(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내통(3)의 중심 축선과 외통(4)의 중심 축선은 일치한다. 내통(3)과 외통(4) 사이는 리저버실(6)로 되어 있다. 완충기(1)는 커버(7)와 메인 브래킷(8)과 스프링 시트(9)를 갖고 있다. 커버(7)는 외통(4)의 상부 개구 측을 덮고 있다. 메인 브래킷(8) 및 스프링 시트(9)는 모두 외통(4)의 외주 측에 고정되어 있다.
외통(4)은 몸통부(11)와 실린더 바닥부(12)를 갖고 있다. 몸통부(11)는 원통형이다. 실린더 바닥부(12)는 몸통부(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바닥부(12)는 몸통부(11)의 하부를 폐색하고 있다. 몸통부(11)와 실린더 바닥부(12)는 하나의 소재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완충기(1)는 피스톤(18)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18)은 실린더(2)의 내통(3) 내에 감합되어 있다. 피스톤(18)은 실린더(2)에 대하여 실린더(2)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피스톤(18)은 내통(3) 내부를 상실(19)과 하실(20)의 2개의 실로 구획하고 있다. 상실(19) 내 및 하실(20) 내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이 봉입되어 있다. 내통(3)과 외통(4) 사이의 리저버실(6) 내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과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완충기(1)는 피스톤 로드(21)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피스톤 로드(21)의 축방향에서의 일단 측이 실린더(2)의 내통(3)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이 일단 측이 피스톤(18)에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피스톤 로드(21)의 축방향에서의 상기 일단 측과는 반대쪽의 타단 측이 실린더(2)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온다. 피스톤(18) 및 피스톤 로드(21)는 일체로 이동한다. 완충기(1)는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의 돌출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행정이 신장 행정이다. 완충기(1)는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의 돌출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행정이 축소 행정이다. 완충기(1)는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18)이 상실(19) 측으로 이동한다. 완충기(1)는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18)이 하실(20) 측으로 이동한다.
내통(3)의 상단 개구 측 및 외통(4)의 상단 개구 측에는 로드 가이드(22)가 감합되어 있다. 외통(4)에는 로드 가이드(22)보다 상측에 시일 부재(23)가 감합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2)와 시일 부재(23) 사이에는 마찰 부재(24)가 마련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2), 시일 부재(23) 및 마찰 부재(24)는 모두 원환형이다. 피스톤 로드(21)는 이들 로드 가이드(22), 마찰 부재(24) 및 시일 부재(23) 각각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이들 로드 가이드(22), 마찰 부재(24) 및 시일 부재(23) 각각에 대하여 이들의 축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21)는 실린더(2) 내부로부터 시일 부재(23)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다.
로드 가이드(22)는 피스톤 로드(21)가 피스톤 로드(21)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로드 가이드(22)에 피스톤 로드(21)가 감합되며 또한 피스톤(18)이 실린더(2)의 내통(3) 내에 감합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실린더(2)의 중심 축선이 일치한다. 로드 가이드(22)는 피스톤 로드(21)를 피스톤 로드(21)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시일 부재(23)는 그 외주부가 외통(4)에 밀착된다. 시일 부재(23)는 그 내주부가 피스톤 로드(21)의 외주부에 밀착된다. 피스톤 로드(21)는 시일 부재(23)에 대하여 시일 부재(23)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23)는 내통(3) 안의 오일액과 리저버실(6)의 고압 가스 및 오일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한다. 마찰 부재(24)는 그 내주부가 피스톤 로드(21)의 외주부에 접촉한다. 피스톤 로드(21)는 마찰 부재(24)에 대하여 마찰 부재(24)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찰 부재(24)는 피스톤 로드(21)에 대한 마찰 저항을 발생시킨다.
로드 가이드(22)는 그 외주부가 하부보다 상부 쪽이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2)는 소직경의 하부에 있어서 내통(3)의 상단의 내주부에 감합한다. 로드 가이드(22)는 대직경의 상부에 있어서 외통(4)의 상부의 내주부에 감합한다. 외통(4)의 실린더 바닥부(12) 상에는 베이스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25)는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구획하고 있다. 베이스 밸브(25)에 내통(3) 하단의 내주부가 감합되어 있다. 외통(4)의 상단부는 외통(4)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에 코킹되어 있다. 시일 부재(23)는 이 코킹 부분과 로드 가이드(22)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주축부(27)와 부착 축부(28)를 갖고 있다. 부착 축부(28)는 그 외경이 주축부(27)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다. 부착 축부(28)는 실린더(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부착 축부(28)에는 피스톤(18)이 부착되어 있다. 주축부(27)는 축단부(軸段部)(29)를 갖고 있다. 축단부(29)는 주축부(27)의 부착 축부(28) 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축단부(29)는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넓어져 있다. 부착 축부(28)의 외주부에는 통로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30)은 부착 축부(28)의 축방향 중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30)은,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장방형, 정방형, D자형의 어느 하나를 이룬다. 부착 축부(28)의 외주부를 부착 축부(28)의 중심 축선에 평행한 평면형으로 절결하여 통로 홈(30)을 형성하여도 좋다. 부착 축부(28)에는 부착 축부(28)의 축방향에서의 주축부(27)와는 반대쪽 단부의 외주부에 수나사(31)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에는 원환형의 스토퍼 부재(32)와 한 쌍의 원환형의 완충체(33)와 코일 스프링(34)이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32), 한 쌍의 완충체(33) 및 코일 스프링(34)은 모두 주축부(27)의 피스톤(18)과 로드 가이드(22) 사이의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32)는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가 삽입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32)는 코킹되어 주축부(27)에 고정되어 있다. 주축부(27)에는, 스토퍼 부재(32)보다 로드 가이드(22) 측에, 스토퍼 부재(32) 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한쪽의 완충체(33), 코일 스프링(34) 및 다른 쪽의 완충체(3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완충체(33) 및 코일 스프링(34)은 스토퍼 부재(32)와 로드 가이드(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완충기(1)는 예컨대 피스톤 로드(21)의 실린더(2)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이 상부에 배치되어 차량의 차체에 연결된다. 이때, 완충기(1)는 실린더(2) 측에 마련된 메인 브래킷(8)이 하부에 배치되어 차량의 차륜 측에 연결된다. 완충기(1)는 이와는 반대로 실린더(2) 측이 차체에 연결되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완충기(1)는 피스톤 로드(21)가 차륜 측에 연결된다.
차량에 있어서는 그 주행에 동반하여 차체에 대하여 차륜이 진동한다. 그러면, 완충기(1)는 이 진동에 동반하여 실린더(2)와 피스톤 로드(21)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화된다. 이 변화는 완충기(1)에 형성된 유로의 유체 저항에 의해 억제된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이, 완충기(1)에 형성된 유로의 유체 저항은 상기한 진동의 속도나 진폭에 따라 다르게 만들지고 있다. 완충기(1)가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이 개선된다.
또한, 차량에 있어서는, 실린더(2)와 피스톤 로드(21) 사이에, 차륜이 차체에 대하여 발생시키는 진동 외에, 차량의 주행에 동반하여 차체에 발생하는 관성력이나 원심력도 작용한다. 예컨대 핸들 조작에 의해 주행 방향이 변화됨으로써 차체에 원심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이 원심력에 기초한 힘이 실린더(2)와 피스톤 로드(21) 사이에 작용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완충기(1)는 차량의 주행에 동반하여 차체에 발생하는 힘에 기초한 진동에 대하여 양호한 특성을 갖고 있다. 완충기(1)에 의해서 차량에 높은 주행 안정성이 얻어진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피스톤(18)은 피스톤 본체(35)와 미끄럼 이동 부재(36)를 갖고 있다. 피스톤 본체(35)는 금속제이며 원환형이다. 피스톤(18)은 피스톤 본체(35)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접촉한다. 미끄럼 이동 부재(36)는 합성수지제이며 원환형이다. 미끄럼 이동 부재(36)는 피스톤 본체(35)의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18)은 미끄럼 이동 부재(36)가 내통(3)에 접촉한다.
피스톤 본체(35)에는 통로 구멍(37)과 통로 홈(38)과 통로 구멍(39)과 통로 홈(40)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37)은 피스톤 본체(35)에 피스톤 본체(35)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도 2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한 곳만 도시)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38)은 피스톤 본체(35)에 피스톤 본체(35)의 원주 방향으로 원환형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39)은 피스톤 본체(35)에 피스톤 본체(35)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도 2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한 곳만 도시)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40)은 피스톤 본체(35)에 피스톤 본체(35)의 원주 방향으로 원환형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에는 피스톤 본체(35)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통로 구멍(37)과 통로 구멍(39)이 한 곳씩 교대로 등(等)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38)은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에서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40)은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에서의 통로 홈(38)과는 반대쪽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모든 통로 구멍(37)은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에서의 단부가 통로 홈(38)에 개구되어 있다. 모든 통로 구멍(39)은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에서의 단부가 통로 홈(40)에 개구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7)은 피스톤(18)의 축방향에서의 통로 홈(38)과는 반대쪽의 단부가 피스톤(18)의 직경 방향에서의 통로 홈(40)보다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9)은 피스톤(18)의 축방향에서의 통로 홈(40)과는 반대쪽의 단부가 피스톤(18)의 직경 방향에서의 통로 홈(38)보다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완충기(1)는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 및 통로 홈(38) 안의 통로에 대하여 설치된 감쇠력 발생 기구(41)를 갖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 및 통로 홈(38) 안의 통로를 개폐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피스톤(18)의 축방향에 있어서 피스톤(18)의 하실(20) 측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 및 통로 홈(38) 안의 통로는 피스톤(18)의 상실(19) 측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 나오는 통로가 된다. 바꿔 말하면,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 및 통로 홈(38) 안의 통로는 완충기(1)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 나오는 신장 측 통로가 된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 및 통로 홈(38) 안의 통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이다.
완충기(1)는 복수의 통로 구멍(39) 안의 통로 및 통로 홈(40) 안의 통로에 대하여 설치된 감쇠력 발생 기구(42)를 갖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복수의 통로 구멍(39) 안의 통로 및 통로 홈(40) 안의 통로를 개폐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피스톤(18)의 축방향에 있어서 피스톤(18)의 상실(19) 측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9) 안의 통로 및 통로 홈(40) 안의 통로는 피스톤(18)의 하실(20) 측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 나오는 통로가 된다. 바꿔 말하면, 복수의 통로 구멍(39) 안의 통로 및 통로 홈(40) 안의 통로는 완충기(1)의 축소 행정에 있어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 나오는 축소 측 통로가 된다.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복수의 통로 구멍(39) 안의 통로 및 통로 홈(40) 안의 통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축소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 및 통로 홈(38) 안의 통로는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상실(19)과 하실(20) 사이를 오일액이 흐르도록 연통된다. 복수의 통로 구멍(39) 안의 통로 및 통로 홈(40) 안의 통로는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하실(20)과 상실(19) 사이를 오일액이 흐르도록 연통된다.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 및 통로 홈(38) 안의 통로는 피스톤 로드(21) 및 피스톤(18)이 신장 측(도 2의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오일액이 통과한다. 복수의 통로 구멍(39) 안의 통로 및 통로 홈(40) 안의 통로는 피스톤 로드(21) 및 피스톤(18)이 축소 측(도 2의 하측)으로 이동할 때에 오일액이 통과한다.
피스톤 본체(35)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스톤 본체(35)는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서의 중앙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감합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에는 감합 구멍(45)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가 감합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 하실(20) 측의 단부에는 내측 시트부(46) 및 밸브 시트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시트부(46)는 원환형이다. 밸브 시트부(47)도 원환형이다. 내측 시트부(46)는 통로 홈(38)의 하실(20) 측의 개구보다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47)는 통로 홈(38)의 하실(20) 측의 개구보다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47)는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일부이다.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 상실(19) 측의 단부에는 내측 시트부(48) 및 밸브 시트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시트부(48)는 원환형이다. 밸브 시트부(49)도 원환형이다. 내측 시트부(48)는 통로 홈(40)의 상실(19) 측의 개구보다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49)는 통로 홈(40)의 상실(19) 측의 개구보다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49)는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일부이다.
피스톤 본체(35)에는,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서의 밸브 시트부(47)의 통로 홈(38)과는 반대쪽에 모든 통로 구멍(39) 안의 하실(20) 측의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에는,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서의 밸브 시트부(49)의 통로 홈(40)과는 반대쪽에 모든 통로 구멍(37)의 상실(19) 측의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피스톤(18)에는, 피스톤(18)의 축방향에서의 하실(20) 측에 피스톤(18) 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의 디스크(61)와 하나의 디스크(62)와 하나의 감쇠 밸브(63)와 하나의 디스크(64)가 겹쳐져 있다. 피스톤 본체(35)는 내측 시트부(46)가 디스크(61)의 내주 측에 접촉한다.
디스크(64)에는, 디스크(64)의 축방향에서의 피스톤(18)과는 반대쪽에 디스크(64) 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의 케이스 부재(71)와 하나의 시트 부재(72)가 겹쳐져 있다. 케이스 부재(71)와 시트 부재(72) 사이에는 시일 부재(73)(탄성 부재, 이동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와 시트 부재(72)가 파일럿 케이스(75)를 구성한다. 시일 부재(73)는 파일럿 케이스(75) 내에 마련되어 있다.
시트 부재(72)에는, 시트 부재(72)의 축방향에서의 케이스 부재(71)와는 반대쪽에 시트 부재(72) 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의 디스크(81)와 여러 개의 디스크(82)와 여러 개의 디스크(83)가 겹쳐져 있다. 디스크(82)는 구체적으로 2개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83)는 구체적으로는 3개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83)에는, 디스크(83)의 축방향에서의 피스톤(18)과는 반대쪽에 디스크(83) 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의 디스크(84)와 하나의 디스크(85)와 하나의 디스크(86)와 하나의 디스크(87)와 하나의 환상 부재(88)가 겹쳐져 있다.
디스크(61, 62, 64, 81~87), 케이스 부재(71), 시트 부재(72) 및 환상 부재(88)는 모두 금속제이다. 케이스 부재(71)는 소결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시트 부재(72)는 소결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 및 시트 부재(72)는 적어도 어느 한쪽을 깎아내기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디스크(61, 62, 64, 81~87)는 모두 일정 두께의 평판형이며 모두 원환형이다. 디스크(61, 62, 64, 81~87)는 모두 판재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디스크(61, 62, 64, 81~87) 및 환상 부재(88)는 모두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키고 있다. 디스크(61, 62, 64, 81~87)는 모두 휘어짐이 가능하다. 감쇠 밸브(63), 케이스 부재(71) 및 시트 부재(72)는 모두 원환형이다. 감쇠 밸브(63), 케이스 부재(71) 및 시트 부재(72)는 모두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키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는 피스톤 로드(21)의 축방향에 있어서 부착 축부(28)의 통로 홈(30)과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통로 홈(30) 내부는 로드실(90)로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는 부재 본체부(91)와 돌출부(92)를 갖고 있다. 부재 본체부(91)는 원환형이다. 돌출부(92)도 원환형이다. 돌출부(92)는 부재 본체부(91)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의 중심 축선과 돌출부(92)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이들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의 중심 축선으로 된다. 돌출부(92)는 케이스 부재(71)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91)의 일단 측의 면부(95)로부터 시트 부재(72)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면부(95)는 부재 본체부(91)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여 넓어져 있다. 케이스 부재(71)는 케이스 부재(71)의 축방향에서의 돌출부(92)의 부재 본체부(91)와는 반대쪽의 단부면이 디스크(64)에 접촉한다.
케이스 부재(71)에는, 관통 구멍(101)과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과 피스톤 측 환상 홈(103)과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과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은 케이스 부재(71)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은 케이스 부재(71)를 케이스 부재(71)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01)은 부재 본체부(91)의 내주면과 돌출부(92)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는 내주면이 원통면 형상이다. 부재 본체부(91)는 외주면도 원통면 형상이다. 관통 구멍(101)은 그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부재 본체부(91)에는, 부재 본체부(91)의 축방향에서의 면부(95)와는 반대쪽의 면부(96)에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면부(96)는 부재 본체부(91)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은 면부(96)로부터 부재 본체부(91)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은 관통 구멍(101)을 부재 본체부(91)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은 원환형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은 벽면부(121)와 벽면부(122)와 바닥면부(123)를 갖고 있다. 벽면부(122)는 부재 본체부(9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21)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21)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1)는 부재 본체부(9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22)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2)는 부재 본체부(9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23)는 벽면부(121)의 면부(96)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22)의 면부(96)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23)는 면부(96)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21)의 중심 축선, 벽면부(122)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23)의 중심 축선이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의 중심 축선이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은 부재 본체부(91)의 면부(95)로부터 부재 본체부(91)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은 부재 본체부(9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을 부재 본체부(91)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은 원환형이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은 벽면부(131)와 벽면부(132)와 바닥면부(133)를 갖고 있다. 벽면부(132)는 부재 본체부(9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31)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31)는 부재 본체부(91)의 축방향에서의 면부(95)와는 반대쪽 부분이 R 챔퍼링된 대략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31)는 부재 본체부(9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32)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32)는 부재 본체부(9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33)는 벽면부(131)의 면부(95)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32)의 면부(95)와는 반대쪽이 되는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33)는 면부(95)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31)의 중심 축선, 벽면부(132)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33)의 중심 축선이 피스톤 측 환상 홈(103)의 중심 축선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의 바닥면부(123) 측의 일부와 피스톤 측 환상 홈(103)의 바닥면부(133) 측의 일부가 케이스 부재(71)의 축방향에 있어서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과 피스톤 측 환상 홈(103)이 케이스 부재(7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위치를 달리 하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과 피스톤 측 환상 홈(103)은 케이스 부재(71)의 축방향에서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은 부재 본체부(91)의 면부(96)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은 면부(96)로부터 부재 본체부(91)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은 면부(96)로부터의 깊이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의 면부(96)로부터의 깊이보다 얕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을 케이스 부재(71)의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은 내측 홈부(141)와 외측 홈부(142)를 갖고 있다. 내측 홈부(141)는 부재 본체부(91)의 내주면에서부터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의 벽면부(121)까지 연장되어 있다. 외측 홈부(142)는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의 벽면부(122)에서부터 부재 본체부(91)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내측 홈부(141)는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은 돌출부(92)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은 케이스 부재(71)의 축방향에서의 돌출부(92)의 부재 본체부(91)와는 반대쪽의 선단면으로부터 케이스 부재(71)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은 돌출부(92)의 내주면에서부터 돌출부(92)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은 돌출부(92)를 돌출부(92)의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은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 안의 통로는 로드실(90)에 연통되는 스로틀(106)로 되어 있다.
시트 부재(72)는 원환형이다. 시트 부재(72)는 부재 본체부(151)와 돌출부(152)와 밸브 시트부(153)를 갖고 있다. 부재 본체부(151)는 원환형이다. 돌출부(152)도 원환형이다. 밸브 시트부(153)도 원환형이다. 돌출부(152)는 부재 본체부(151)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153)는 시트 부재(7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부재 본체부(151)의 돌출부(152)보다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151)의 중심 축선과 돌출부(152)의 중심 축선과 밸브 시트부(153)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이들 중심 축선이 시트 부재(72)의 중심 축선으로 된다. 돌출부(152)는 시트 부재(72)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151)의 일단 측의 면부(155)로부터 시트 부재(72)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밸브 시트부(153)는 부재 본체부(151)의 면부(155)로부터 시트 부재(72)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시트 부재(72)에는 관통 구멍(161)과 직경 방향 홈(16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61)은 시트 부재(72)의 직경 방향에서의 시트 부재(72)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61)은 시트 부재(72)를 시트 부재(72)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61)은 부재 본체부(151)의 내주면과 돌출부(152)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151)는 내주면이 원통면 형상이다. 부재 본체부(151)는 외주면도 원통면 형상이다. 관통 구멍(161)은 그 중심 축선이 시트 부재(72)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직경 방향 홈(162)은 돌출부(152)에 형성되어 있다. 직경 방향 홈(162)은 시트 부재(72)의 축방향에서의 돌출부(152)의 부재 본체부(151)와는 반대쪽의 선단면으로부터 시트 부재(72)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직경 방향 홈(162)은 돌출부(152)의 내주면에서부터 돌출부(152)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직경 방향 홈(162)은 돌출부(152)를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직경 방향 홈(162)은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151)는 맞댐면(165)을 갖고 있다. 맞댐면(165)은 시트 부재(72)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151)의 돌출부(152) 및 밸브 시트부(153)와는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맞댐면(165)은 부재 본체부(151)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케이스 부재(71) 및 시트 부재(72)는 함께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감합되면 서로의 중심 축선을 일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시트 부재(72)는 그 맞댐면(165)이 케이스 부재(71)의 면부(96)에 겹쳐 면접촉한다. 그러면, 케이스 부재(71)와 시트 부재(72)가 시일실(171)(통로부)과 스로틀(172)과 하실 측 통로(173)(제3 통로)를 형성한다.
시일실(171)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은 벽면부(121)와 벽면부(122)와 바닥면부(123)와 맞댐면(165)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은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실(171)의 중심 축선과 관통 구멍(101, 161)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스로틀(172)은 내측 홈부(14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172)은 내측 홈부(141)와 맞댐면(165)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172)은 일단이 시일실(171)에 개구되고 타단이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스로틀(172)은 시일실(171)과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로드실(90)과 스로틀(172)이 상실 측 통로(181)(제2 통로)로 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는 외측 홈부(14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는 외측 홈부(142)와 맞댐면(165)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는 일단이 시일실(171)에 개구되고 타단이 하실(20)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는 시일실(171)과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시일실(171)은 하실 측 통로(173)와 상실 측 통로(181)의 스로틀(172)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는 원환형이다. 시일 부재(73)는 그 중심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원형인 O 링이다. 시일 부재(73)는 고무 탄성을 가진 탄성 부재이다. 시일 부재(73)는 시일실(171)에 수납되어 있다. 시일 부재(73)는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의 바닥면부(123)와 시트 부재(72)의 맞댐면(165)에 동시에 접촉한다. 이때, 시일 부재(73)는 시일 부재(73)의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시일 부재(73)는 시일실(171) 내에서 시일 부재(73)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73)는 시일실(171) 내에서 시일 부재(73)의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시일 부재(73)는 시일실(171) 내에서 시일 부재(73)의 직경 방향으로 적어도 내경이 확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는 시일실(171) 내에서 시일 부재(73)의 직경 방향으로 적어도 외경이 축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는 시일부(191)와 시일부(192)와 수압부(193)와 수압부(194)를 갖고 있다. 시일부(191)는 맞댐면(165)에 접촉하여 맞댐면(165)과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192)는 바닥면부(123)에 접촉하여 바닥면부(123)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191, 192)도 시일실(171)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는 시일부(191, 192)가 스로틀(172)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 측에서 하실 측 통로(173)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한다. 시일부(191, 192)는 하실 측 통로(173) 측에서 상실 측 통로(181)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도 억제한다. 수압부(193)는 시일 부재(73)의 벽면부(121) 측에 있다. 수압부(193)는 상실 측 통로(181)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수압부(194)는 시일 부재(73)의 벽면부(122) 측에 있다. 수압부(194)는 하실 측 통로(173)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73)는 상실 측 통로(181)에 연통되는 상실 연통실(185)과 하실 측 통로(173)에 연통되는 하실 연통실(186)로 시일실(171) 내부를 구획하는 시일 기능을 갖는다. 시일 부재(73)는 이 시일 기능과 탄성 변형하는 특성을 더불어 갖는다.
시일실(171)과 스로틀(172)과 하실 측 통로(173)와 시일 부재(73)가 피스톤(18)의 왕복동의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는 파일럿 케이스(75) 내에 설치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는 시일실(171), 스로틀(172) 및 하실 측 통로(173)가 케이스 부재(71)와 시트 부재(72)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61)는 그 외경이 내측 시트부(46)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1)는 그 외경이 밸브 시트부(47)의 내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1)에는 내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디스크(61)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절결(197)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197) 안의 통로는 스로틀(198)로 되어 있다. 스로틀(198)은 피스톤(18)의 통로 홈(38) 안의 통로와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 및 통로 홈(38) 안의 통로는 스로틀(198)을 통해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디스크(62)는 그 외경이 디스크(61)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2)는 그 외경이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7)의 내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감쇠 밸브(63)는 디스크(201)와 시일부(202)를 갖고 있다. 디스크(201)는 금속제이다. 시일부(202)는 고무제이다. 시일부(202)는 디스크(201)에 고착되어 있다. 디스크(201)는 일정 두께의 평판형이며 원환형이다. 디스크(201)는 판재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디스크(201)는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키고 있다. 디스크(201)는 휘어짐이 가능하다. 디스크(201)는 그 외경이 밸브 시트부(47)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시일부(202)는 원환형이다. 시일부(202)는 감쇠 밸브(63)의 축방향에 있어서 디스크(201)의 피스톤(18)과는 반대쪽에 고착되어 있다. 시일부(202)는 감쇠 밸브(6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디스크(201)의 외주 측에 고착되어 있다. 시일부(202)의 중심 축선과 디스크(201)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케이스 부재(71)의 축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71)의 피스톤 측 환상 홈(103) 측에 감쇠 밸브(63)가 배치된다. 감쇠 밸브(63)는 디스크(201)가 밸브 시트부(47)에 접촉한다. 감쇠 밸브(63)는 디스크(201)가 밸브 시트부(47)에 접촉함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 및 통로 홈(38) 안의 통로를 닫는다. 감쇠 밸브(63)는 디스크(201)가 밸브 시트부(47)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 및 통로 홈(38) 안의 통로를 연다. 감쇠 밸브(63)는 디스크(201)가 밸브 시트부(47)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 및 통로 홈(38) 안의 통로를 하실(20)에 연통시킨다.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 및 통로 홈(38) 안의 통로는 피스톤 통로(210)(제1 통로)를 구성한다. 피스톤 통로(210)는 피스톤(18)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통로(210)는 디스크(201)가 밸브 시트부(47)로부터 이좌(離座)했을 때에 생기는 디스크(201)와 밸브 시트부(47) 사이의 통로를 포함한다. 피스톤 통로(210)는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내통(3) 안의 오일액이 유동한다. 감쇠 밸브(63)는 피스톤 통로(210)에 설치되어 있다. 감쇠 밸브(63)는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오일액의 유동에 의해 피스톤 통로(210)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킨다. 디스크(61)의 스로틀(198)은 피스톤 통로(210)에 연통된다.
디스크(64)는 케이스 부재(71)의 돌출부(92)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4)는 감쇠 밸브(63)의 디스크(201)와 케이스 부재(71)의 돌출부(92)에 접촉한다.
감쇠 밸브(63)는 시일부(202)가 케이스 부재(71)의 벽면부(132)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또한 액밀하게 감합되어 있다. 시일부(202)는 감쇠 밸브(63)와 벽면부(132)의 간극을 항상 시일한다. 감쇠 밸브(63)와 케이스 부재(71)와 디스크(64)가 파일럿실(211)을 형성한다. 바꿔 말하면, 케이스 부재(71)에는 파일럿실(211)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실(211)은 피스톤 측 환상 홈(103)의 내측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파일럿실(211)은 감쇠 밸브(63)에 피스톤(18)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실(211)은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와 밸브 시트부(47) 사이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힘을 감쇠 밸브(63)에 생기게 한다.
파일럿실(211)은 케이스 부재(71)의 스로틀(106)을 통해 상실 측 통로(181)의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에는, 파일럿 케이스(7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시일실(171)과 파일럿실(211)의 피스톤 측 환상 홈(103)의 내측 부분이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에는, 파일럿 케이스(75)의 축방향에 있어서 일부가 중첩하는 위치에 파일럿실(211)과 시일실(171)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의 축방향에 있어서 파일럿실(211)의 바닥면부(123) 측의 일부와 시일실(171)의 바닥면부(133) 측의 일부가 위치를 겹치고 있다.
감쇠 밸브(63)는 피스톤(18)과는 반대쪽에 파일럿실(211)이 마련된 파일럿 타입의 감쇠 밸브이다. 이들 감쇠 밸브(63) 및 파일럿실(211)은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감쇠 밸브(63) 및 파일럿실(211)을 구비하고 있고 압력 제어형 밸브 기구로 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47)는 감쇠 밸브(63)와의 사이에 고정 오리피스(215)를 갖고 있다. 고정 오리피스(215)는 피스톤 통로(210)의 일부를 구성한다. 피스톤 통로(210)는 고정 오리피스(215)가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고 있다. 고정 오리피스(215)는 감쇠력 발생 기구(41)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통로 구멍(37) 안의 통로와 통로 홈(38) 안의 통로와 감쇠 밸브(63) 및 밸브 시트부(47) 사이의 통로가 피스톤 통로(210)를 구성한다. 이 피스톤 통로(210)는, 피스톤(18)의 상실(19) 측으로의 이동, 즉 완충기(1)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한쪽의 상실(19)로부터 다른 쪽의 하실(20)로 향해서 오일액이 흘러 나오는 신장 측 통로가 된다. 밸브 시트부(47)와 감쇠 밸브(63)를 포함하는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이 피스톤 통로(210)에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감쇠 밸브(63)로 이 피스톤 통로(210)를 개폐하여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06)을 통해 파일럿실(211)에 도입한다.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파일럿실(211)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의 밸브 개방을 제어한다.
로드실(90)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된다. 상실 측 통로(181)는 시일실(171)의 상실 연통실(185)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173)는 시일실(171)의 하실 연통실(186)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173)는 하실(20)에 연통된다. 하실(20)은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하실 측 통로(173)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연통된다.
디스크(81)는 케이스 부재(71)의 밸브 시트부(153)의 내경보다 소직경이며 또한 돌출부(78)의 외경보다 대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1)는 케이스 부재(71)의 돌출부(78)에 접촉한다. 여러 개의 디스크(82)는 밸브 시트부(153)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1) 측의 디스크(82)가 밸브 시트부(153)에 착좌(着座)한다. 디스크(83)는 디스크(82)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4)는 디스크(83)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5)는 디스크(84)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6)는 디스크(85)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7)는 디스크(84)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또한 디스크(85)의 외경보다 대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환상 부재(88)는 디스크(85)의 외경보다 대직경이며 또한 디스크(87)의 외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환상 부재(88)는 디스크(81~87)보다 두께가 얇다. 환상 부재(88)는 디스크(81~87)보다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디스크(82~85)가 밸브 시트부(153)에 이좌·착좌 가능한 하드 밸브(221)를 구성하고 있다. 하드 밸브(221)는 시트 부재(72)와의 사이에 바이패스 통로(225)를 형성한다. 하드 밸브(221)는 디스크(82)에 있어서 밸브 시트부(153)에 착좌한다. 바이패스 통로(225)는 시트 부재(72)의 직경 방향 홈(162) 안의 통로를 통해 상실 측 통로(181)의 로드실(90)에 연통된다. 바이패스 통로(225)는 하드 밸브(221)가 밸브 시트부(153)로부터 이좌하면 하실(20)에 연통된다.
하드 밸브(221)는 완충기(1)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밸브 시트부(153)로부터 이좌한다. 그러면, 바이패스 통로(225)는 하드 밸브(221)와 밸브 시트부(153) 사이의 통로가 열려 하실(20)에 연통된다. 이때, 하드 밸브(221)는 바이패스 통로(225)에서 하실(20)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한다. 완충기(1)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하실(20)은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보다 하류 측에 있다. 바이패스 통로(225)는 밸브 시트부(153)에 착좌하는 하드 밸브(221)에 밸브 시트부(15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하드 밸브(221)는 바이패스 통로(225)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달했을 때에 밸브 시트부(153)로부터 이좌하여 바이패스 통로(225)를 연다. 그러면, 바이패스 통로(225)로부터 하실(20)에 오일액이 흐른다. 하드 밸브(221) 및 밸브 시트부(153)는 이때에 오일액의 유동에 저항력을 부여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하드 밸브(221)는 밸브 시트부(153)와 함께 감쇠력 발생 기구(231)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231)는 바이패스 통로(225)에 설치되어 있다. 하드 밸브(221)는 바이패스 통로(225)에서의 오일액의 유동에 의해 바이패스 통로(225)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킨다. 감쇠력 발생 기구(231)는 바이패스 통로(225)에서의 오일액의 유동에 의해 감쇠력을 생기게 한다. 디스크(87) 및 환상 부재(88)는 하드 밸브(221)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의 변형 시에 하드 밸브(221)에 접촉하여 하드 밸브(221)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억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피스톤(18)의 상실(19) 측에는, 피스톤(18)의 축방향에 있어서 피스톤(18) 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하나의 디스크(241)와 하나의 디스크(242)와 하나의 디스크(243)와 하나의 디스크(244)와 하나의 디스크(245)와 하나의 디스크(246)와 하나의 환상 부재(250)가 겹쳐져 있다. 디스크(241~246) 및 환상 부재(250)는 모두 금속제이다. 디스크(241~246) 및 환상 부재(250)는 모두 일정 두께의 평판형이며 모두 원환형이다. 디스크(241~246)는 판재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디스크(241~246) 및 환상 부재(250)는 모두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킨다. 디스크(242~244)는 모두 휘어짐이 가능하다.
디스크(241)는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8)의 외경보다 대직경이며 또한 밸브 시트부(49)의 내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242)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9)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242)는 밸브 시트부(49)에 접촉해 있다. 디스크(242)는 밸브 시트부(49)에 대하여 이격 및 접촉함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9) 안의 통로 및 통로 홈(40) 안의 통로를 개폐한다. 디스크(243)는 디스크(242)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244)는 디스크(243)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245)는 디스크(244)의 외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246)는 디스크(244)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환상 부재(250)는 디스크(246)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또한 디스크(245)의 외경보다 대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환상 부재(250)는 디스크(241~246)보다 두껍고 고강성으로 되어 있다. 이 환상 부재(250)는 피스톤 로드(21)의 축단부(29)에 접촉한다.
디스크(242~244)가 디스크 밸브(255)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255)는 밸브 시트부(49)에 이좌·착좌 가능하다. 디스크 밸브(255)는 디스크(242)가 밸브 시트부(49)에 접촉함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9) 안의 통로 및 통로 홈(40) 안의 통로를 닫는다. 디스크 밸브(255)는 디스크(242)가 밸브 시트부(49)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9) 안의 통로 및 통로 홈(40) 안의 통로를 연다. 디스크 밸브(255)는 디스크(242)가 밸브 시트부(49)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9) 안의 통로 및 통로 홈(40) 안의 통로를 상실(19)에 연통시킨다.
복수의 통로 구멍(39) 안의 통로 및 통로 홈(40) 안의 통로는 피스톤 통로(260)를 구성하고 있다. 피스톤 통로(260)는 피스톤(18)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통로(260)는 디스크(242)가 밸브 시트부(49)로부터 이좌했을 때에 생기는 디스크(242)와 밸브 시트부(49) 사이의 통로도 포함한다. 피스톤 통로(260)는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내통(3) 안의 오일액이 유동한다. 디스크 밸브(255)는 피스톤 통로(260)에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255)는 피스톤 통로(260)에서의 오일액의 유동에 의해 피스톤 통로(260)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킨다.
디스크 밸브(255)와 밸브 시트부(49)가 축소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2)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피스톤 통로(260)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49)는 디스크 밸브(255)와의 사이에 고정 오리피스(265)를 갖고 있다. 고정 오리피스(265)는 피스톤 통로(260)에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 통로(260)는 고정 오리피스(265)에 의해서 하실(20)과 상실(19)을 연통시킨다. 고정 오리피스(265)는 감쇠력 발생 기구(42)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상기 부품을 조립해 붙이는 조립 부착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부착 축부(28)를 각각의 내주 측에 삽입하면서 축단부(29)에 환상 부재(250)와 디스크(246)와 디스크(245)와 디스크(244)와 디스크(243)와 디스크(242)와 디스크(241)를 이 순서로 겹친다. 이어서, 부착 축부(28)를 각각의 내주 측에 삽입하면서 디스크(241)에 피스톤(18)과 디스크(61)와 디스크(62)와 감쇠 밸브(63)와 디스크(64)를 이 순서로 겹친다. 이어서, 부착 축부(28)를 내주 측에 삽입하며 또한 피스톤 측 환상 홈(103)에 시일부(202)를 감합시키면서 디스크(64)에 케이스 부재(71)를 겹친다. 이어서, 케이스 부재(71)의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 내에 시일 부재(73)를 배치한다. 이어서, 부착 축부(28)를 내주 측에 삽입하면서 케이스 부재(71) 및 시일 부재(73)에 시트 부재(72)를 겹친다. 이어서, 부착 축부(28)를 각각의 내주 측에 삽입하면서 시트 부재(72)에 디스크(81)와 여러 개의 디스크(82)와 여러 개의 디스크(83)와 디스크(84)와 디스크(85)와 디스크(86)와 디스크(87)와 환상 부재(88)를 이 순서로 겹친다.
이와 같이 부품을 배치한 상태에서, 환상 부재(88)로부터 돌출하는 부착 축부(28)의 수나사(31)에 너트(271)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환상 부재(88, 250), 디스크(61, 62, 64, 81~87, 241~246), 피스톤(18), 감쇠 밸브(63), 케이스 부재(71) 및 시트 부재(72)는 축단부(29)와 너트(271)에 협지된다. 이때, 환상 부재(88, 250), 디스크(61, 62, 64, 81~87, 241~246), 피스톤(18), 감쇠 밸브(63), 케이스 부재(71) 및 시트 부재(72)는 각각 적어도 내주 측이 축방향으로 클램프된다. 이에 따라, 파일럿 케이스(75)는 감쇠 밸브(63)를 피스톤(18)과 함께 협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에 따라, 환상 부재(88, 250), 디스크(61, 62, 64, 81~87, 241~246), 피스톤(18), 감쇠 밸브(63), 케이스 부재(71) 및 시트 부재(72)는 각각의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시일 부재(73)는 시일 부재(73)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으로 피스톤 로드(21)가 지나가는 상태가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의 피스톤(18)의 주변 부분의 유압 회로도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완충기(1)에는 상실(19)과 하실(20)을 연결하여 피스톤 통로(210)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통로(210)에는, 모두 감쇠력 발생 기구(41)를 구성하는 감쇠 밸브(63) 및 고정 오리피스(215)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상실(19)은 스로틀(198)을 통해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로드실(90)은 스로틀(106)을 통해 파일럿실(211)에 연통되어 있다. 이 파일럿실(211)의 압력이 감쇠 밸브(63)에 작용한다. 완충기(1)에는 로드실(90)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에 시일실(171)의 상실 연통실(185)이 연통되어 있다. 상실 측 통로(181)에는 스로틀인 스로틀(172)이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172)은 로드실(90)과 시일실(171)의 상실 연통실(185)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실(171)의 상실 연통실(185)과 하실 연통실(186)은 시일 부재(73)로 구획되어 있다. 시일실(171)은 하실 연통실(186)이 하실 측 통로(173)를 통해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로드실(90)에 바이패스 통로(225)가 연통되어 있다. 바이패스 통로(225)에는 하드 밸브(221)를 포함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2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실(20)과 상실(19)을 연결하여 피스톤 통로(260)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통로(260)에는 모두 감쇠력 발생 기구(42)를 구성하는 디스크 밸브(255) 및 고정 오리피스(265)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내통(3)과 외통(4)의 실린더 바닥부(12) 사이에는 상기한 베이스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 밸브(25)는 베이스 밸브 부재(281)와 디스크(282)와 디스크(283)와 부착 핀(284)을 갖고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81)는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구획하고 있다. 디스크(282)는 베이스 밸브 부재(281)의 하측, 즉 리저버실(6) 측에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283)는 베이스 밸브 부재(281)의 상측, 즉 하실(20) 측에 마련되어 있다. 부착 핀(284)은 베이스 밸브 부재(281)에 디스크(282) 및 디스크(283)를 부착한다.
베이스 밸브 부재(281)는 원환형이다. 베이스 밸브 부재(281)에는 직경 방향 중앙에 부착 핀(284)이 삽입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281)에는 복수의 통로 구멍(285)과 복수의 통로 구멍(286)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285)은 하실(20)과 리저버실(6) 사이에서 오일액을 유통시킨다. 복수의 통로 구멍(286)은 하실(20)과 리저버실(6) 사이에서 오일액을 유통시킨다. 복수의 통로 구멍(286)은 베이스 밸브 부재(28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통로 구멍(285)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리저버실(6) 측의 디스크(282)는 하실(20)로부터 통로 구멍(285)을 통한 리저버실(6)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한다. 디스크(282)는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로의 통로 구멍(285)을 통한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한다. 디스크(283)는 리저버실(6)로부터 통로 구멍(286)을 통한 하실(20)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한다. 디스크(283)는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로의 통로 구멍(286)을 통한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한다.
디스크(282)는 베이스 밸브 부재(281)와 함께 감쇠력 발생 기구(287)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287)는 완충기(1)의 축소 행정에 있어서 밸브를 열어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에 오일액을 흘린다. 감쇠력 발생 기구(287)는 이때에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감쇠력 발생 기구(287)는 축소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이다. 디스크(283)는 베이스 밸브 부재(281)와 함께 석션 밸브(288)를 구성하고 있다. 석션 밸브(288)는 완충기(1)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밸브를 열어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 안으로 오일액을 흘린다. 또한, 석션 밸브(288)는 주로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 뻗어 나옴으로 인해서 생기는 액의 부족분을 보충하도록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에 오일액을 흘린다. 이때, 석션 밸브(288)는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오일액을 흘리는 기능을 한다.
이어서, 완충기(1)의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피스톤(18)의 이동 속도를 피스톤 속도라고 한다. 또한, 이하에서 피스톤(18)의 왕복동의 주파수를 피스톤 주파수라고 부른다.
완충기(1)에 주파수 감응 기구(195)가 없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피스톤 로드(21)가 신장 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 피스톤 속도가 제1 소정치보다 느린 미저속 영역에서는, 상실(19)로부터의 오일액이 도 3에 도시하는 감쇠 밸브(63)를 열지 않고서 피스톤 통로(210)를 통해 하실(20)로 흐른다. 이때, 상실(19)로부터의 오일액은 고정 오리피스(215)로 교축되어 하실(20)로 흐른다. 이에 따라, 완충기(1)에는 오리피스 특성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오리피스 특성은 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의 2승에 거의 비례하는 특성이다. 이때,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비교적 감쇠력의 상승율이 높은 하드한 특성으로 된다.
피스톤 속도가 제1 소정치 이상의 저속 영역으로 되면, 상실(19)로부터의 오일액은 감쇠 밸브(63)를 열면서 피스톤 통로(210)를 통해 하실(20)로 흐른다. 그러면, 완충기(1)에는 밸브 특성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밸브 특성은 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하는 특성이다. 저속 영역에서는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감쇠력의 상승율이 미저속 영역의 상승율보다 내려간다. 저속 영역에서는 감쇠력이 미저속 영역보다 소프트한 특성으로 된다.
피스톤 속도가 제1 소정치보다 높은 제2 소정치 이상의 중속 영역이 되면, 상실(19)로부터의 오일액은, 감쇠 밸브(63)를 열면서 피스톤 통로(210)를 통한 하실(20)로의 흐름에 더하여, 스로틀(198), 로드실(90) 및 바이패스 통로(225)로 흐른다. 상실(19)로부터 바이패스 통로(225)로 흐르는 오일액은 감쇠력 발생 기구(231)의 하드 밸브(221)를 열면서 하실(20)로 흐른다. 이에 따라, 감쇠력의 상승이 저속 영역보다 억제된다. 이 때문에, 중속 영역에서는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감쇠력의 상승율이 저속 영역보다 내려간다. 중속 영역에서는 감쇠력이 저속 영역보다 소프트한 특성으로 된다.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보다 높은 제3 소정치 이상의 고속 영역이 되면, 감쇠 밸브(63)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는, 통로 홈(38) 안의 통로로부터 가해지는 열림 방향의 힘이 파일럿실(211)로부터 가해지는 닫힘 방향의 힘보다 커진다. 이로써, 이 영역에서는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동반하여 감쇠 밸브(63)가 피스톤(18)의밸브 시트부(47)로부터 상기한 바 보다도 떨어져 열린다. 그러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하드 밸브(221)를 열면서 바이패스 통로(225)를 지나가는 하실(20)로의 오일액의 흐름에 더하여, 감쇠 밸브(63)를 더 열어 피스톤 통로(210)를 통해 하실(20)로 오일액이 흐른다. 이 때문에, 감쇠력의 상승이 한층 더 억제된다. 이로써, 고속 영역에서는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감쇠력의 상승율이 중속 영역보다 내려간다. 고속 영역에서는 감쇠력이 중속 영역보다 소프트한 특성으로 된다.
피스톤 로드(21)가 축소 측으로 이동하는 축소 행정에서는,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보다 느린 미저속 영역에서는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이 디스크 밸브(255)를 열지 않고서 피스톤 통로(260)를 통해 상실(19)로 흐른다. 이때,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고정 오리피스(265)로 교축되어 상실(19)로 흐른다. 이에 따라, 완충기(1)에는 오리피스 특성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때,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비교적 감쇠력의 상승율이 높아져 하드한 특성으로 된다.
또한, 제4 소정치보다 피스톤 속도가 빨라지면,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이 디스크 밸브(255)를 열어 피스톤 통로(260)를 통해 상실(19)로 흐른다. 이에 따라, 완충기(1)에는 밸브 특성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감쇠력의 상승율은 미저속 영역보다 내려간다. 이로써, 이때는 감쇠력이 미저속 영역보다 소프트한 특성으로 된다.
이상이 주파수 감응 기구(195)가 없다고 가정한 경우의 완충기(1)의 작동이다. 이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서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가 피스톤 속도가 동일한 경우라도 피스톤 주파수에 따라서 감쇠력을 가변으로 한다.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 피스톤(18)의 진폭은 작다. 이와 같이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실(19)의 압력이 높아지면, 피스톤 통로(210)로부터 스로틀(198) 및 상실 측 통로(181)를 통해 시일실(171)의 상실 연통실(185)에 상실(19)로부터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이에 따라서, 시일실(171)에 마련된 시일 부재(73)가 시일부(191, 192)로 상실 측 통로(181)와 하실 측 통로(173)의 연통을 차단한 채로, 수압부(193)로 상실 측 통로(181) 측의 오일액의 압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73)가 시일실(171) 내에서 내경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변형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는 시일실(171)의 벽면부(122)에 접촉하여 벽면부(122) 측으로 압축 변형된다. 이때, 시일 부재(73)는 시일실(171)의 하실 연통실(186)에 있던 오일액을 하실 측 통로(173)로부터 하실(20)에 배출시킨다. 즉, 시일 부재(73)는 시일실(171)의 하실(20) 측으로 다가가도록 변형하여 상실 연통실(185)의 용적을 확대한다. 또한, 이때 시일 부재(73)는 상실 측 통로(181)와 하실 측 통로(173)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실 측 통로(181)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이 배출되는 일은 없다.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는, 신장 행정 때마다 이와 같이 시일 부재(73)가 변형함으로써 용적이 확대되는 상실 연통실(185)에 상실(19)로부터 오일액을 도입한다. 그 결과, 상실(19)로부터 감쇠력 발생 기구(41)를 열면서 피스톤 통로(210)를 통해 하실(20)에 흐르는 오일액의 유량이 감소한다. 아울러, 상실 연통실(185)에 상실(19)로부터 오일액을 도입함으로써, 상실 연통실(185)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파일럿실(211)의 압력 상승이 억제되고,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감쇠 밸브(63)가 밸브 개방 방향으로 변형하기 쉽게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의 신장 측의 감쇠력이 소프트로 된다. 이때, 하드 밸브(221)를 포함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231)는 밸브를 열지 않는다.
다른 한편,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 피스톤(18)의 진폭은 크다. 이와 같이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의 신장 행정에서는 시일 부재(73)의 변형의 주파수도 추종하여 낮아진다. 그리고, 신장 행정 초기에, 피스톤 통로(210)로부터 스로틀(198) 및 상실 측 통로(181)를 통해 시일실(171)의 상실 연통실(185)에 오일액이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보다 많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가 시일실(171) 내에서 하실(20) 측으로 다가가도록 크게 변형한다. 그리고, 시일 부재(73)가 시일실(171)의 벽면부(122)에 접촉하여 벽면부(122) 측으로 압축 변형되어 이동 및 변형이 정지한다. 그러면, 상실(19)로부터 상실 연통실(185)에 오일액이 흐르지 않게 된다. 또한, 이때도 시일 부재(73)는 상실 측 통로(181)와 하실 측 통로(173)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실 측 통로(181)로부터 하실(20)에 오일액이 배출되는 일은 없다. 상실 연통실(185)에 상실(19)로부터 오일액이 흐르지 않게 되면, 상실 연통실(185)의 압력이 상승하고, 상실 연통실(185)에 연통되는 파일럿실(211)의 압력도 상승하여,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감쇠 밸브(63)의 밸브 개방을 억제하는 상태가 된다. 즉,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감쇠 밸브(63)가 열리지 않고서 고정 오리피스(215)를 통해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리는 상태가 된다. 이로써,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의 신장 측의 감쇠력이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의 신장 측의 감쇠력보다 하드로 된다.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 더욱 파일럿실(211)의 압력이 상승하면 로드실(90)을 흐르는 오일액은 감쇠력 발생 기구(231)의 하드 밸브(221)를 연다. 그러면, 로드실(90)을 흐르는 오일액은 하드 밸브(221)와 밸브 시트부(153)의 간극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통로(225)를 지나 하실(20)로 흐른다. 더욱 파일럿실(211)의 압력이 상승하면, 오일액은 바이패스 통로(225)를 지나는 흐름에 더하여,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감쇠 밸브(63)를 열리게 하여 피스톤 통로(210)로부터 하실(20)로 흐른다.
또한,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의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20)의 압력이 높아지면, 하실 측 통로(173)를 통해 시일실(171)의 하실 연통실(186)에 하실(20)로부터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실(171)에 마련된 시일 부재(73)가 시일부(191, 192)로 하실 측 통로(173)와 상실 측 통로(181)의 연통을 차단한 채로, 수압부(194)로 하실 측 통로(173)의 오일액의 압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73)가 외경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변형하면서 이동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는 시일실(171)의 벽면부(121)에 접촉하여 벽면부(121) 측으로 압축 변형된다. 이때, 시일 부재(73)는 시일실(171)의 상실 연통실(185)에 있던 오일액을 상실 측 통로(181)로부터 스로틀(198) 및 피스톤 통로(210)를 통해 상실(19)에 배출시킨다. 즉, 시일 부재(73)는 시일실(171)의 상실(19) 측으로 다가가도록 변형한다. 또한, 이때도 시일 부재(73)는 하실 측 통로(173)와 상실 측 통로(181)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실(20)로부터 상실 측 통로(181)에 오일액이 도입되는 일은 없다.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는 축소 행정 때마다 이와 같이 시일 부재(73)가 변형함으로써 하실 연통실(186)에 하실(20)로부터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 결과, 하실(20)로부터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디스크 밸브(255)를 열면서 피스톤 통로(260)를 통해 상실(19)에 흐르는 오일액의 유량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의 축소 측의 감쇠력이 소프트로 된다.
다른 한편,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의 축소 행정에서는 시일 부재(73)의 변형의 주파수도 추종하여 낮아진다. 그리고, 축소 행정 초기에, 하실 측 통로(173)를 통해 하실 연통실(186)에 오일액이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보다 많이 흘러 시일 부재(73)를 크게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73)가 시일실(171)의 벽면부(121)에 접촉하여 벽면부(121) 측으로 압축 변형되어 이동 및 변형이 정지한다. 그러면, 하실(20)로부터 하실 연통실(186)에 오일액이 흐르지 않게 된다. 이때도 시일 부재(73)는 하실 측 통로(173)와 상실 측 통로(181)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실(20)로부터 상실 측 통로(181)에 오일액이 도입되는 일은 없다. 하실 연통실(186)에 하실(20)로부터 오일액이 흐르지 않게 되면,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디스크 밸브(255)를 열면서 피스톤 통로(260)를 통해 상실(19)로 흐르는 오일액의 유량이 감소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의 축소 측의 감쇠력이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의 축소 측의 감쇠력보다 하드로 된다.
또한, 스로틀(106)는 파일럿실(211)과 로드실(90)을 동압(同壓)으로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스로틀(172)은 시일실(171)의 시일 부재(73)보다 로드실(90)의 부분과 로드실(90)을 동압으로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 2의 완충기에는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부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2의 주파수 감응부는 부품 점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안의 오일액이 유동하는 피스톤 통로(210)에 오일액의 유동에 의해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감쇠 밸브(6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되는 상실 측 통로(181)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되는 하실 측 통로(173)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는, 상실 측 통로(181)와 하실 측 통로(173)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실(171)을 갖고 있다. 그리고, 완충기(1)는 시일실(171)에 고무 탄성을 가진 시일 부재(7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시일 부재(73)는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실 측 통로(181)에서 하실 측 통로(173)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는 시일부(191, 192)와,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실 측 통로(181)의 압력을 수압하는 수압부(193)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시일 부재(73)를 시일실(171) 내에서 이동 및 변형시킴으로써 피스톤 통로(210)로부터의 오일액의 일부를 시일실(171)에 도입할 수 있다. 그 결과, 피스톤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 밸브(63)를 열어 흐르는 오일액의 유량을 가변으로 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할 수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가 시일 부재(73)를 시일실(171) 내에서 이동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완충기(1)는 상실 측 통로(181)에 연통되어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와 밸브 시트부(47) 사이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힘을 생기게 하는 파일럿실(211)을 갖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에 더하여 파일럿실(211)을 갖는 구조에서도 파일럿실(211)을 상실 측 통로(181)에 연통시킴으로써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완충기(1)는, 상실 측 통로(181)와,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을 연통하는 바이패스 통로(225)와, 바이패스 통로(225)에 설치되는 감쇠력 발생 기구(231)를 갖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에 더하여 감쇠력 발생 기구(231)를 갖는 구조에서도 바이패스 통로(225)를 상실 측 통로(181)에 연통시킴으로써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완충기(1)는 파일럿실(211)이 형성되는 파일럿 케이스(75)가 감쇠 밸브(63)를 피스톤(18)과 함께 협지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감쇠 밸브(63)의 부착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완충기(1)는 시일실(171) 안을 시일 부재(73)가 시일 부재(73)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주파수 감응 기구(195)의 축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완충기(1)는 파일럿 케이스(75)에 파일럿 케이스(75)의 축방향에 있어서 중첩하는 위치에 파일럿실(211)과 시일실(17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일럿 케이스(75)의 축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완충기(1)는 시일실(171)과 하실 측 통로(173)가 케이스 부재(71)와 시트 부재(72)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일실(171) 및 하실 측 통로(173)를 간소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시일실(171)에 시일 부재(73)를 조립해 넣기도 용이하게 된다.
도 5는 피스톤 속도가 같은 속도인 상태에서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완충기의 주파수 특성과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도 5의 종축은 감쇠력(DF)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횡축은 주파수(f)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의 스로틀(198)의 유로 면적과 동등한 유로 면적의 스로틀을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완충기에 설치한 경우이다. 또한,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의 스로틀(198) 이외의 스로틀(106, 172)의 유로 면적을 스로틀(198)보다 넓게 한 경우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완충기의 주파수 특성은 X1이고,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의 주파수 특성은 X2이다. 도 5로부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완충기에 대하여 구조가 간소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라도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완충기와 동등한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완충기(1)의 컷오프 주파수는 스로틀(198)의 면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주로 도 6 및 도 7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는 파일럿 케이스(75) 대신에 파일럿 케이스(75A)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A)는 케이스 부재(71)와는 다른 케이스 부재(71A)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A)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시트 부재(72)를 갖고 있다. 완충기(1A)는 파일럿 케이스(75A) 내에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73)와는 크기가 다른 시일 부재(73A)(탄성 부재, 이동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도 O 링이다. 시일 부재(73A)도 고무 탄성을 가진 탄성 부재이다.
케이스 부재(71A)는 금속제이다. 케이스 부재(71A)는 소결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A)를 깎아내기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케이스 부재(71A)는 원환형이다. 케이스 부재(71A)는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키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A)는 파일럿 케이스(75A)의 축방향에 있어서 부착 축부(28)의 통로 홈(30)과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71A)는 부재 본체부(91A)와 돌출부(92A)를 갖고 있다. 부재 본체부(91A)는 원환형이다. 돌출부(92A)도 원환형이다. 돌출부(92A)는 부재 본체부(91A)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A)의 중심 축선과 돌출부(92A)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이들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A)의 중심 축선이 된다. 돌출부(92A)는 케이스 부재(71A)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91A)의 일단 측의 면부(95A)로부터 케이스 부재(71A)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면부(95A)는 케이스 부재(71A)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여 넓어지고 있다. 케이스 부재(71A)는 케이스 부재(71A)의 축방향에서의 돌출부(92A)의 부재 본체부(91A)와는 반대쪽의 단부면이 디스크(64)에 접촉한다.
케이스 부재(71A)에는 관통 구멍(101A)과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과 피스톤 측 환상 홈(103A)과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A)과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A)과 통로 구멍(301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A)은 케이스 부재(71A)의 직경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A)은 케이스 부재(71A)를 케이스 부재(71A)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01A)은 부재 본체부(91A)의 내주면과 돌출부(92A)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A)는 내주면이 원통면 형상이다. 부재 본체부(91A)는 외주면도 원통면 형상이다. 관통 구멍(101A)은 그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A)의 중심 축선과 일치한다.
부재 본체부(91A)에는 부재 본체부(91A)의 축방향에서의 면부(95A)와는 반대쪽의 면부(96A)에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이 형성되어 있다. 면부(96A)는 부재 본체부(91A)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은 면부(96A)로부터 부재 본체부(91A)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은 관통 구멍(101A)을 부재 본체부(91A)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은 원환형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A)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은 벽면부(121A)와 벽면부(122A)와 바닥면부(123A)를 갖고 있다. 벽면부(122A)는 부재 본체부(91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21A)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21A)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1A)는 부재 본체부(91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22A)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2A)는 부재 본체부(91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23A)는 벽면부(121A)의 면부(96A)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22A)의 면부(96A)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23A)는 면부(96A)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21A)의 중심 축선, 벽면부(122A)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23A)의 중심 축선이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의 중심 축선이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A)은 부재 본체부(91A)의 면부(95A)로부터 부재 본체부(91A)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A)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보다 부재 본체부(91A)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틀어져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A)은 원환형이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A)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A)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A)은 벽면부(131A)와 벽면부(132A)와 바닥면부(133A)를 갖고 있다. 벽면부(132A)는 부재 본체부(91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31A)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31A)는 부재 본체부(91A)의 축방향에 있어서 면부(95A)에 근접할수록 소직경으로 되는 경사면이다. 벽면부(131A)는 부재 본체부(91A)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32A)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32A)는 부재 본체부(91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33A)는 벽면부(131A)의 면부(95A)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32A)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33A)는 면부(95A)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31A)의 중심 축선, 벽면부(132A)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33A)의 중심 축선이 피스톤 측 환상 홈(103A)의 중심 축선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의 벽면부(122A) 측의 일부와 피스톤 측 환상 홈(103A)의 벽면부(131A)의 일부가 케이스 부재(71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과 피스톤 측 환상 홈(103A)은 케이스 부재(71A)의 축방향에서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A)은 부재 본체부(91A)의 면부(96A)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A)은 면부(96A)로부터 부재 본체부(91A)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A)은 면부(96A)로부터의 깊이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의 면부(96A)로부터의 깊이보다 얕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A)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에서부터 케이스 부재(71A)의 직경 방향 외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A)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의 벽면부(122A)에서부터 부재 본체부(91A)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A)은 로드실(90)에는 개구되지 않는다.
통로 구멍(301A)은 부재 본체부(91A)의 축방향을 따르고 있다. 통로 구멍(301A)은 부재 본체부(91A)의 면부(95A)에서부터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의 바닥면부(123A)까지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301A)은 부재 본체부(91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바닥면부(123A)의 중앙보다 벽면부(121A) 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통로 구멍(301A)은 부재 본체부(91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의 내측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301A) 안의 통로는 스로틀(302A)을 구성한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A)은 돌출부(92A)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A)은 케이스 부재(71A)의 축방향에서의 돌출부(92A)의 부재 본체부(91A)와는 반대쪽의 선단면으로부터 케이스 부재(71A)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A)은 돌출부(92A)의 내주면에서부터 돌출부(92A)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A)은 돌출부(92A)를 돌출부(92A)의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A)은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A) 안의 통로는 로드실(90)에 연통되는 스로틀(106A)로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A) 및 시트 부재(72)는 함께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감합되면 서로의 중심 축선을 일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 부재(71A)는 그 면부(96A)가 시트 부재(72)의 맞댐면(165)에 겹쳐 면접촉한다. 그러면, 케이스 부재(71A)와 시트 부재(72)가 시일실(171A)(통로부)과 하실 측 통로(173A)(제3 통로)를 형성한다.
시일실(171A)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A)은 벽면부(121A)와 벽면부(122A)와 바닥면부(123A)와 맞댐면(165)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A)은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실(171A)의 중심 축선과 관통 구멍(101A, 161)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스로틀(302A)은 시일실(171A)에 연통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A)는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A)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A)는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A)과 맞댐면(165)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A)는 일단이 시일실(171A)에 개구되고 타단이 하실(20)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A)는 시일실(171A)과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시일실(171A)은 하실 측 통로(173A)와 스로틀(302A)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A)의 축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71A)의 피스톤 측 환상 홈(103A) 측에 감쇠 밸브(63)가 배치된다. 이때, 디스크(64)가 감쇠 밸브(63)의 디스크(201)와 케이스 부재(71A)의 돌출부(92A)에 접촉한다. 감쇠 밸브(63)는 시일부(202)가 케이스 부재(71A)의 벽면부(132A)에 전체 둘레에 걸쳐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액밀하게 감합되어 있다. 시일부(202)는 감쇠 밸브(63)와 벽면부(132A)의 간극을 항상 시일한다. 감쇠 밸브(63)와 케이스 부재(71A)와 디스크(64)가 파일럿실(211A)을 형성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 케이스(75A)는 그 케이스 부재(71A)에 파일럿실(211A)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실(211A)은 피스톤 측 환상 홈(103A)의 내측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파일럿실(211A)은 감쇠 밸브(63)에 피스톤(18)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실(211A)은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와 밸브 시트부(47) 사이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힘을 감쇠 밸브(63)에 생기게 한다.
파일럿실(211A)은 스로틀(106A)을 통해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A)에는 파일럿 케이스(75A)의 축방향에 있어서 시일실(171A)과 파일럿실(211A)이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시일실(171A)과 파일럿실(211A)은 위치가 중첩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는, 감쇠력 발생 기구(41)에 대하여 파일럿실(211)과는 다른 파일럿실(211A)을 갖는다는 점이 상이한 감쇠력 발생 기구(41A)를 갖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A)도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피스톤 통로(210)에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A)도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이다.
스로틀(302A)은 일단이 시일실(171A)에 개구되고 타단이 파일럿실(211A)에 개구되어 있다. 스로틀(302A)은 시일실(171A)과 파일럿실(211A)에 연통되어 있다. 로드실(90), 스로틀(106A, 302A) 및 파일럿실(211A)이 상실 측 통로(181A)(제2 통로)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A)에 수납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A)의 바닥면부(123A)와 시트 부재(72)의 맞댐면(165)에 동시에 접촉한다. 이때, 시일 부재(73A)는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A)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A)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직경 방향으로 변형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A)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직경 방향으로 적어도 내경이 확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A)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직경 방향으로 적어도 외경이 축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그 시일부(191A)가 맞댐면(165)에 접촉하여 맞댐면(165)과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 부재(73A)는 그 시일부(192A)가 바닥면부(123A)에 접촉하여 바닥면부(123A)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191A, 192A)도 시일실(171A)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부(191A, 192A)가 스로틀(106A, 302A)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A) 측에서 하실 측 통로(173A)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한다. 시일부(191A, 192A)는 하실 측 통로(173A) 측에서 상실 측 통로(181A)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도 억제한다. 시일 부재(73A)는 그 벽면부(121A) 측에 있는 수압부(193A)가 상실 측 통로(181A)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73A)는 그 벽면부(122A) 측에 있는 수압부(194A)가 하실 측 통로(173)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73A)는 상실 측 통로(181A)에 연통되는 상실 연통실(185A)과 하실 측 통로(173A)에 연통되는 하실 연통실(186A)로 시일실(171A) 내부를 구획하는 시일 기능을 갖는다. 시일 부재(73A)는 이러한 시일 기능과 탄성 변형하는 특성을 더불어 갖는다.
시일실(171A)과 스로틀(106A, 302A)과 파일럿실(211A)과 하실 측 통로(173A)와 시일 부재(73A)가 피스톤(18)의 왕복동의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A)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A)는 파일럿 케이스(75A) 내에 설치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A)는 시일실(171A), 하실 측 통로(173A) 및 스로틀(302A)이 케이스 부재(71A)와 시트 부재(72)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A)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06A)을 통해 파일럿실(211A)에 도입한다. 감쇠력 발생 기구(41A)는 파일럿실(211A)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의 밸브 개방을 제어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A)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06A)과 파일럿실(211A)과 스로틀(302A)을 통해 시일실(171A)의 상실 연통실(185A)에 도입한다.
로드실(90)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A)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된다. 상실 측 통로(181A)는 시일실(171A)의 상실 연통실(185A)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173A)는 시일실(171A)의 하실 연통실(186A)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173A)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된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상기 부품을 조립해 붙이는 경우, 케이스 부재(71) 대신에 케이스 부재(71A)를 조립해 붙인다. 또한, 시일 부재(73) 대신에 시일 부재(73A)를 조립해 붙인다. 이들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조립해 붙인다. 이에 따라, 파일럿 케이스(75A)는 감쇠 밸브(63)를 피스톤(18)과 함께 협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에 따라, 케이스 부재(71A)가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A)의 피스톤(18)의 주변 부분의 유압 회로도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완충기(1A)에서는 로드실(90)이 스로틀(106A)을 통해 파일럿실(211A)에 연통된다. 이 파일럿실(211A)은 스로틀(302A)을 통해 시일실(171A)의 상실 연통실(185A)에 연통된다. 상실 측 통로(181A)는 로드실(90), 스로틀(106A, 302A) 및 파일럿실(211A)로 이루어져 있다. 스로틀(302A)은 파일럿실(211A)과 시일실(171A)의 상실 연통실(185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A)은 하실 연통실(186A)이 하실 측 통로(173A)를 통해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A)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 통로(210)로부터 스로틀(198) 및 상실 측 통로(181A)를 통해 시일실(171A)의 상실 연통실(185A)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직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A)의 하실 연통실(186A)로부터 하실 측 통로(173A)를 통해 오일액이 하실(20)로 배출된다. 완충기(1A)는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 측 통로(173A)를 통해 하실(20)로부터 시일실(171A)의 하실 연통실(186A)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 및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A)의 상실 연통실(185A)로부터 상실 측 통로(181A) 및 스로틀(198)을 통해 오일액이 피스톤 통로(210), 즉 상실(19)로 배출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A)에 있어서의 이들 이외의 작동은 완충기(1)와 거의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되는 상실 측 통로(181A)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A)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되는 하실 측 통로(173A)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A)는 상실 측 통로(181A)와 하실 측 통로(173A)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실(171A)을 갖고 있다. 그리고, 완충기(1A)는 시일실(171A)에 고무 탄성을 가진 시일 부재(73A)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완충기(1A)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A)가 시일 부재(73A)를 시일실(171A) 내에서 이동 및 변형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완충기(1A)는 파일럿실(211A)이 상실 측 통로(181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A)는 바이패스 통로(225)가 상실 측 통로(181A)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A)는 파일럿실(211A)이 형성되는 파일럿 케이스(75A)가 감쇠 밸브(63)를 피스톤(18)과 함께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A)는 시일실(171A)과 하실 측 통로(173A)가 케이스 부재(71A)와 시트 부재(72)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완충기(1A)는 완충기(1)와 마찬가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기(1A)에서는 돌출부(92A)의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A)을 없애고 디스크(61)와 같은 식의 스로틀 형성 디스크를 돌출부(92A)와 감쇠 밸브(63) 사이에 두어도 좋다. 이에 따라, 스로틀(106A)을 절결(197)과 마찬가지로 스로틀 형성 디스크의 절결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스로틀 형성 디스크의 교환으로 스로틀(106A)의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시일실(171A)로의 오일액의 유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주로 도 8 및 도 9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B)는 파일럿 케이스(75) 대신에 파일럿 케이스(75B)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B)는 케이스 부재(71)와는 다른 케이스 부재(71B)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B)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시트 부재(72)를 갖고 있다. 완충기(1B)는 파일럿 케이스(75B) 내에 제1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73)와는 크기가 다른 시일 부재(73B)(탄성 부재, 이동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B)도 O 링이다. 시일 부재(73B)도 고무 탄성을 가진 탄성 부재이다.
케이스 부재(71B)는 금속제이다. 케이스 부재(71B)는 소결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B)를 깎아내기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케이스 부재(71B)는 원환형이다. 케이스 부재(71B)는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키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B)는 파일럿 케이스(75B)의 축방향에 있어서 부착 축부(28)의 통로 홈(30)과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71B)는 케이스 부재(71B)의 축방향에서의 일단 측의 면부(95B)가 디스크(64)에 접촉한다. 면부(95B)는 케이스 부재(71B)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여 넓어져 있다. 케이스 부재(71B)에는 관통 구멍(101B)과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과 피스톤 측 환상 홈(103B)과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B)과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B)은 케이스 부재(71B)의 직경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B)은 케이스 부재(71B)를 케이스 부재(71B)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01B)은 대직경 구멍부(311B)와 소직경 구멍부(312B)를 갖고 있다. 대직경 구멍부(311B)의 중심 축선과 소직경 구멍부(312B)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대직경 구멍부(311B)의 내경은 소직경 구멍부(312B)의 내경보다 대직경이다. 소직경 구멍부(312B)는 관통 구멍(101B)의 축방향에 있어서 대직경 구멍부(311B)보다 면부(95B) 측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B)은 케이스 부재(71B)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B)는 내주면이 단차가 있는 원통면 형상이다. 케이스 부재(71B)는 외주면이 원통면 형상이다. 관통 구멍(101B)은 그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B)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케이스 부재(71B)는 소직경 구멍부(312B)에 부착 축부(28)가 감합한다.
케이스 부재(71B)에는 케이스 부재(71B)의 축방향에서의 면부(95B)와는 반대쪽의 면부(96B)에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이 형성되어 있다. 면부(96B)는 케이스 부재(71B)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은 면부(96B)로부터 케이스 부재(71B)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은 관통 구멍(101B)을 케이스 부재(71B)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은 원환형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B)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은 벽면부(121B)와 벽면부(122B)와 바닥면부(123B)를 갖고 있다. 벽면부(122B)는 케이스 부재(71B)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21B)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21B)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1B)는 케이스 부재(71B)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22B)는 케이스 부재(71B)의 축방향에서의 면부(96B)와는 반대쪽의 부분이 R 챔퍼부(315B)로 된 대략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2B)는 케이스 부재(71B)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23B)는 벽면부(121B)의 면부(96B)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22B)의 면부(96B)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23B)는 면부(96B)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21B)의 중심 축선, 벽면부(122B)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23B)의 중심 축선이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의 중심 축선이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B)은 케이스 부재(71B)의 면부(95B)로부터 케이스 부재(71B)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케이스 부재(71B)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피스톤 측 환상 홈(103B)의 위치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의 위치는 중첩되어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B)은 원환형이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B)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B)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B)은 벽면부(131B)와 벽면부(132B)와 바닥면부(133B)를 갖고 있다. 벽면부(132B)는 케이스 부재(71B)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31B)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31B)는 케이스 부재(71B)의 축방향에서의 면부(95B)와는 반대쪽의 부분이 R 챔퍼링된 대략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31B)는 케이스 부재(71B)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32B)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32B)는 케이스 부재(71B)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33B)는 벽면부(131B)의 면부(95B)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32B)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33B)는 면부(95B)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31B)의 중심 축선, 벽면부(132B)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33B)의 중심 축선이 피스톤 측 환상 홈(103B)의 중심 축선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과 피스톤 측 환상 홈(103B)은 케이스 부재(71B)의 축방향에서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B)은 케이스 부재(71B)의 면부(96B)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B)은 면부(96B)로부터 케이스 부재(71B)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B)은 면부(96B)로부터의 깊이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의 면부(96B)로부터의 깊이보다 얕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B)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을 케이스 부재(71B)의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B)은 내측 홈부(141B)와 외측 홈부(142B)를 갖고 있다. 내측 홈부(141B)는 케이스 부재(71B)의 대직경 구멍부(311B)에서부터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의 벽면부(121B)까지 연장되어 있다. 외측 홈부(142B)는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의 벽면부(122B)에서부터 케이스 부재(71B)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내측 홈부(141B)는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B)은 케이스 부재(71B)의 면부(95B)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B)은 면부(95B)로부터 케이스 부재(71B)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B)은 케이스 부재(71B)의 내주면에서부터 피스톤 측 환상 홈(103B)의 벽면부(131B)까지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B)은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B) 안의 통로는 로드실(90)에 연통되는 스로틀(106B)로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B) 및 시트 부재(72)는 함께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감합되면 서로의 중심 축선을 일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 부재(71B)는 그 면부(96B)가 시트 부재(72)의 맞댐면(165)에 겹쳐 면접촉한다. 그러면, 케이스 부재(71B)와 시트 부재(72)가 시일실(171B)(통로부)와 스로틀(172B)과 하실 측 통로(173B)(제3 통로)를 형성한다.
시일실(171B)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B)은 벽면부(121B)와 벽면부(122B)와 바닥면부(123B)와 맞댐면(165)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B)은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실(171B)의 중심 축선과 관통 구멍(101B, 161)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스로틀(172B)은 내측 홈부(141B)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172B)은 내측 홈부(141B)와 맞댐면(165)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172B)은 일단이 시일실(171B)에 개구되고 타단이 대직경 구멍부(311B) 안의 통로에 개구되어 있다. 대직경 구멍부(311B) 안의 통로는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스로틀(172B)은 시일실(171B)과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로드실(90), 대직경 구멍부(311B) 안의 통로 및 스로틀(172B)이 상실 측 통로(181B)(제2 통로)로 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B)는 외측 홈부(142B)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B)는 외측 홈부(142B)와 맞댐면(165)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B)는 일단이 시일실(171B)에 개구되고 타단이 하실(20)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B)는 시일실(171B)과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시일실(171B)은 하실 측 통로(173B)와 상실 측 통로(181B)의 스로틀(172B)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B)는 시일실(171B)에 수납되어 있다. 시일 부재(73B)는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B)의 바닥면부(123B)와 시트 부재(72)의 맞댐면(165)에 동시에 접촉한다. 이때, 시일 부재(73B)는 시일 부재(73B)의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시일실(171B) 내부가 일정한 압력일 때, 시일 부재(73B)가 벽면부(122B)의 R 챔퍼부(315B)와 면접촉하도록 R 챔퍼부(315B)의 곡률이 정해져 있다. 시일 부재(73B)는 시일실(171B) 내에서 시일 부재(73B)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73B)는 시일실(171B) 내에서 시일 부재(73B)의 직경 방향으로 변형한다. 시일 부재(73B)는 시일실(171B) 내에서 시일 부재(73B)의 직경 방향으로 적어도 내경이 확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B)는 시일실(171B) 내에서 시일 부재(73B)의 직경 방향으로 적어도 외경이 축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B)는 그 시일부(191B)가 맞댐면(165)에 접촉하여 맞댐면(165)과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 부재(73B)는 그 시일부(192B)가 바닥면부(123B)에 접촉하여 바닥면부(123B)과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 부재(73B)는 시일부(191B, 192B)가 시일실(171B)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B)는 시일부(191B, 192B)가 스로틀(172B)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B) 측에서 하실 측 통로(173B)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한다. 시일부(191B, 192B)는 하실 측 통로(173B) 측에서 상실 측 통로(181B)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도 억제한다. 시일 부재(73B)는 그 벽면부(121B) 측에 있는 수압부(193B)가 상실 측 통로(181B)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73B)는 그 벽면부(122B) 측에 있는 수압부(194B)가 하실 측 통로(173B)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73B)는 상실 측 통로(181B)에 연통되는 상실 연통실(185B)과 하실 측 통로(173B) 측에 연통되는 하실 연통실(186B)로 시일실(171B) 내부를 구획하는 시일 기능을 갖는다. 시일 부재(73B)는 이러한 시일 기능과 탄성 변형하는 특성을 더불어 갖는다.
시일실(171B)과 스로틀(172B)과 하실 측 통로(173B)와 시일 부재(73B)가 피스톤(18)의 왕복동의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B)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B)는 파일럿 케이스(75B) 내에 설치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B)는 시일실(171B), 스로틀(172B) 및 하실 측 통로(173B)가 케이스 부재(71B)와 시트 부재(72)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B)의 축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71B)의 피스톤 측 환상 홈(103B) 측에 감쇠 밸브(63)가 배치된다. 이때, 디스크(64)가 감쇠 밸브(63)의 디스크(201)와 케이스 부재(71B)의 면부(95B)에 접촉한다. 감쇠 밸브(63)는 시일부(202)가 케이스 부재(71B)의 벽면부(132B)에 전체 둘레에 걸쳐 미끄림 이동 가능하면서 액밀하게 감합되어 있다. 시일부(202)는 감쇠 밸브(63)와 벽면부(132B)와의 간극을 항상 시일한다. 감쇠 밸브(63)와 케이스 부재(71B)와 디스크(64)가 파일럿실(211B)을 형성한다. 바꿔 말하면, 케이스 부재(71B)에는 파일럿실(211B)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실(211B)은 피스톤 측 환상 홈(103B)의 내측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파일럿실(211B)은 감쇠 밸브(63)에 피스톤(18)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실(211B)은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와 밸브 시트부(47) 사이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힘을 감쇠 밸브(63)에 생기게 한다.
파일럿실(211B)은 스로틀(106B)을 통해 상실 측 통로(181B)의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B)에는 파일럿 케이스(75B)의 축방향에 있어서 시일실(171B)과 파일럿실(211B)이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B)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시일실(171B)과 파일럿실(211B)은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B)는, 감쇠력 발생 기구(41)에 대하여 파일럿실(211)과는 다른 파일럿실(211B)를 갖는다는 점이 상이한 감쇠력 발생 기구(41B)를 갖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B)도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피스톤 통로(210)에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B)도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이다.
감쇠력 발생 기구(41B)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06B)을 통해 파일럿실(211B)에 도입한다. 감쇠력 발생 기구(41B)는 파일럿실(211B)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의 밸브 개방을 제어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B)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72B)을 통해 시일실(171B)의 상실 연통실(185B)에 도입한다.
로드실(90)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B)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된다. 상실 측 통로(181B)는 시일실(171B)의 상실 연통실(185B)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173B)는 시일실(171B)의 하실 연통실(186B)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173B)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된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상기 부품을 조립해 붙이는 경우, 케이스 부재(71) 대신에 케이스 부재(71B)를 조립해 붙인다. 또한, 시일 부재(73) 대신에 시일 부재(73B)를 조립해 붙인다. 이들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조립해 붙인다. 이에 따라, 파일럿 케이스(75B)는 감쇠 밸브(63)를 피스톤(18)과 함께 협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에 따라, 케이스 부재(71B)가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B)의 피스톤(18)의 주변 부분의 유압 회로도는 도 4에 도시하는 완충기(1)의 유압 회로도와 같은 식으로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B)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 통로(210)로부터 스로틀(198) 및 상실 측 통로(181B)를 통해 시일실(171B)의 상실 연통실(185B)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이때, 시일 부재(73B)는 벽면부(122B)의 R 챔퍼부(315B)와 면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73B)는 바로 시일 부재(73B)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 압축 변형을 시작한다. 완충기(1B)는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 측 통로(173B)를 통해 하실(20)로부터 시일실(171B)의 하실 연통실(186B)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B)는 직경이 축소하도록 이동하면서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B)의 상실 연통실(185B)로부터 상실 측 통로(181B) 및 스로틀(198)을 통해 오일액이 피스톤 통로(210), 즉 상실(19)로 배출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B)에 있어서의 이들 이외의 작동은 완충기(1)와 거의 동일하다.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B)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되는 상실 측 통로(181B)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B)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되는 하실 측 통로(173B)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B)는 상실 측 통로(181B)와 하실 측 통로(173B)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실(171B)을 갖고 있다. 그리고, 완충기(1B)는 시일실(171B)에 고무 탄성을 가진 시일 부재(73B)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완충기(1B)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B)가 시일 부재(73B)를 시일실(171B) 내에서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완충기(1B)는 파일럿실(211B)이 상실 측 통로(181B)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B)는 바이패스 통로(225)가 상실 측 통로(181B)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B)는 파일럿실(211B)이 형성되는 파일럿 케이스(75B)가 감쇠 밸브(63)를 파일럿 케이스(75B)와 피스톤(18)에 의해서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B)는 시일실(171B)과 하실 측 통로(173B)가 케이스 부재(71B)와 시트 부재(72)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완충기(1B)는 완충기(1)와 마찬가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기(1B)는 시일실(171B) 내부를 시일 부재(73B)가 시일 부재(73)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완충기(1B)는 완충기(1)와 마찬가지로 주파수 감응 기구(195B)의 축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기(1B)는 시일 부재(73B)가 시일실(171B)의 벽면부(122B)의 R 챔퍼부(315B)에 면접촉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완충기(1B)는 시일 부재(73B)와 시일실(171B)의 R 챔퍼부(315B)와의 간극을 없애고 있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73B)가 벽면부(122B)와의 빈틈을 메우도록 이동하는 강성보다도 시일 부재(73B)가 선형 압축하는 강성 쪽이 커진다. 도 9에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의 리사쥬 파형 Y1과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B)의 리사쥬 파형 Y2를 도시한다. 도 9에서 횡축은 변위(DP)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의 리사쥬 파형 Y1과 비교하여 완충기(1B)의 리사쥬 파형 Y2 쪽이 감쇠력이 소프트에서부터 하드까지의 기울기가 커진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주로 도 10 및 도 11에 기초하여 제1,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제2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C)는 파일럿 케이스(75, 75A) 대신에 파일럿 케이스(75C)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C)는 케이스 부재(71, 71A)와는 일부 다른 케이스 부재(71C)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C)는 시트 부재(72)와는 일부 다른 시트 부재(72C)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C) 내에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시일 부재(73A)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C) 및 시트 부재(72C)는 모두 금속제이다. 케이스 부재(71C) 및 시트 부재(72C)는 모두 소결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C) 및 시트 부재(72C)는 적어도 어느 한쪽을 깎아내기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케이스 부재(71C) 및 시트 부재(72C)는 모두 원환형이다. 케이스 부재(71C) 및 시트 부재(72C)는 모두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키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C)는 피스톤 로드(21)의 축방향에 있어서 부착 축부(28)의 통로 홈(30)과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71C)는 부재 본체부(91C)와 돌출부(92C)를 갖고 있다. 부재 본체부(91C)는 원환형이다. 돌출부(92C)는 부재 본체부(91C)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C)의 중심 축선과 돌출부(92C)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이들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C)의 중심 축선으로 된다. 돌출부(92C)는 케이스 부재(71C)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91C)의 일단 측의 면부(95C)로부터 케이스 부재(71C)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면부(95C)는 케이스 부재(71C)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여 넓어져 있다. 케이스 부재(71C)는 케이스 부재(71C)의 축방향에서의 돌출부(92C)의 부재 본체부(91C)와는 반대쪽의 단부면이 디스크(64)에 접촉한다.
케이스 부재(71C)에는 관통 구멍(101C)과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과 피스톤 측 환상 홈(103C)과 시트 부재 측 내측 홈(141C)과 시트 부재 측 외측 홈(142C)과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C)은 케이스 부재(71C)의 직경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C)은 케이스 부재(71C)를 케이스 부재(71C)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01C)은 부재 본체부(91C)의 내주면과 돌출부(92C)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C)는 내주면이 원통면 형상이다. 부재 본체부(91C)는 외주면도 원통면 형상이다. 관통 구멍(101C)은 그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C)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부재 본체부(91C)는 면부(321C) 및 면부(322C)를 갖고 있다. 면부(321C) 및 면부(322C)는 모두 케이스 부재(71C)의 축방향에 있어서 부재 본체부(91C)의 면부(95C)와는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면부(322C)는 면부(321C)보다 외측에 있다. 부재 본체부(91C)의 축방향에 있어서 면부(322C)는 면부(321C)보다 면부(95C) 측에 있다. 면부(321C, 322C)는 모두 부재 본체부(91C)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면부(321C)와 면부(322C) 사이에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은 면부(321C)와 면부(322C)로부터 부재 본체부(91C)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은 관통 구멍(101C)을 부재 본체부(91C)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은 원환형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C)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은 벽면부(121C)와 벽면부(122C)와 바닥면부(123C)를 갖고 있다. 벽면부(122C)는 부재 본체부(91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21C)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21C)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1C)는 부재 본체부(91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22C)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2C)는 부재 본체부(91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23C)는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의 축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21C)의 면부(321C)와는 반대쪽이 되는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22C)의 면부(322C)와는 반대쪽이 되는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23C)는 면부(321C, 322C)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21C)의 중심 축선, 벽면부(122C)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23C)의 중심 축선이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의 중심 축선이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C)은 부재 본체부(91C)의 면부(95C)로부터 부재 본체부(91C)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C)은 부재 본체부(91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C)은 원환형이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C)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C)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C)은 벽면부(131C)와 벽면부(132C)와 바닥면부(133C)를 갖고 있다. 벽면부(132C)는 부재 본체부(91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31C)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31C)는 부재 본체부(91C)의 축방향에 있어서 면부(95C)에 근접할수록 소직경으로 되는 경사면이다. 벽면부(131C)는 부재 본체부(91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32C)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32C)는 부재 본체부(91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33C)는 벽면부(131C)의 면부(95C)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32C)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33C)는 면부(95C)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31C)의 중심 축선, 벽면부(132C)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33C)의 중심 축선이 피스톤 측 환상 홈(103C)의 중심 축선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의 벽면부(122C) 측의 일부와 피스톤 측 환상 홈(103C)의 벽면부(131C) 측의 일부가 부재 본체부(91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과 피스톤 측 환상 홈(103C)은 케이스 부재(71)의 축방향에서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내측 홈(141C)은 부재 본체부(91C)의 면부(321C)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내측 홈(141C)은 면부(321C)로부터 부재 본체부(91C)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시트 부재 측 내측 홈(141C)은 면부(321C)로부터의 깊이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의 면부(321C)로부터의 깊이보다 얕다. 시트 부재 측 내측 홈(141C)은 부재 본체부(91C)의 내주면에서부터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의 벽면부(121C)까지 연장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내측 홈(141C)은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외측 홈(142C)은 면부(322C)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 측 외측 홈(142C)은 면부(322C)로부터 부재 본체부(91C)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시트 부재 측 외측 홈(142C)은 면부(322C)로부터의 깊이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의 면부(322C)로부터의 깊이보다 얕다. 시트 부재 측 외측 홈(142C)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의 벽면부(122C)에서부터 부재 본체부(91C)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C)은 돌출부(92C)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C)은 케이스 부재(71C)의 축방향에서의 돌출부(92C)의 부재 본체부(91C)와는 반대쪽의 선단면으로부터 케이스 부재(71C)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C)은 돌출부(92C)의 내주면에서부터 돌출부(92C)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C)은 돌출부(92C)를 돌출부(92C)의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C)은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C) 안의 통로는 로드실(90)에 연통되는 스로틀(106C)로 되어 있다.
시트 부재(72C)는 원환형이다. 시트 부재(72C)는 부재 본체부(151C)와 돌출부(152C)와 밸브 시트부(153C)를 갖고 있다. 부재 본체부(151C)는 원환형이다. 돌출부(152C)도 원환형이다. 돌출부(152C)는 부재 본체부(151C)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151C)의 중심 축선과 돌출부(152C)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이들 중심 축선이 시트 부재(72C)의 중심 축선으로 된다. 돌출부(152C)는 시트 부재(72C)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151C)의 일단 측의 면부(155C)로부터 시트 부재(72C)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시트 부재(72C)는 돌출부(152C) 및 밸브 시트부(153C)가 디스크(82)에 접촉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밸브 시트부(153C)는 원환형이 아니다. 밸브 시트부(153C)는 돌출부(152C)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시트 구성부(331C)를 갖고 있다. 시트 구성부(331C)는 한 쌍의 직경 방향 연장부(332C)와 둘레 방향 연장부(333C)를 갖고 있다. 직경 방향 연장부(332C)는 돌출부(152C)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부(152C)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한 쌍의 직경 방향 연장부(332C)는 돌출부(152C)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 연장부(333C)는 돌출부(152C)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둘레 방향 연장부(333C)는 한 쌍의 직경 방향 연장부(332C)의 돌출부(152C)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밸브 시트부(153C)는 부재 본체부(151C)의 면부(155C)로부터 부재 본체부(151C)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시트 부재(72C)에는 관통 구멍(161C)과 직경 방향 홈(162C)과 통로 구멍(335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61C)은 시트 부재(72C)의 직경 방향에서의 시트 부재(72C)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61C)은 시트 부재(72C)를 시트 부재(72C)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61C)은 부재 본체부(151C)의 내주면과 돌출부(152C)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151C)는 내주면이 원통면 형상이다. 부재 본체부(151C)는 외주면도 원통면 형상이다. 관통 구멍(161C)은 그 중심 축선이 시트 부재(72C)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직경 방향 홈(162C)은 돌출부(152C)에 형성되어 있다. 직경 방향 홈(162C)은 시트 부재(72C)의 축방향에서의 돌출부(152C)의 부재 본체부(151C)와는 반대쪽의 선단면으로부터 시트 부재(72C)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직경 방향 홈(162C)은 돌출부(152C)의 내주면에서부터 돌출부(152C)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직경 방향 홈(162C)은 돌출부(152C)를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직경 방향 홈(162C)은 돌출부(152C)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시트 구성부(331C)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직경 방향 연장부(332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직경 방향 홈(162C)은 대응하는 시트 구성부(331C) 내에 개구되어 있다. 직경 방향 홈(162C)은 도 10에 도시하는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트 구성부(331C) 내부는 로드실(90)과 동압으로 된다. 시트 구성부(331C) 내부는 로드실(90)에 연통되는 바이패스 통로(225C)가 된다. 직경 방향 홈(162C) 안의 통로는 바이패스 통로(225C)를 구성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부재 본체부(151C)는 맞댐면(341C)과 맞댐면(342C)과 벽면부(343C)를 갖고 있다. 맞댐면(341C) 및 맞댐면(342C)은 시트 부재(72C)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151C)의 돌출부(152C)와는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C)의 축방향에 있어서 맞댐면(341C)은 맞댐면(342C)보다 돌출부(152C) 측에 있다. 부재 본체부(151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맞댐면(342C)은 맞댐면(341C)보다 외측에 있다. 맞댐면(341C, 342C)은 모두 부재 본체부(151C)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343C)는 맞댐면(341C)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맞댐면(342C)의 내주 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벽면부(343C)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343C)는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61C)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벽면부(343C)는 벽면부(122C)와 동일 직경이다.
부재 본체부(151C)에 통로 구멍(335C)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335C)은 부재 본체부(151C)를 부재 본체부(151C)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통로 구멍(335C)은 부재 본체부(151C)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335C)은 그 일단이 부재 본체부(151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맞댐면(341C)의 벽면부(343C) 근방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통로 구멍(335C)은 그 타단이 면부(155C)에 개구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통로 구멍(335C)은 시트 부재(72C)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시트 구성부(331C)와 시트 구성부(331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통로 구멍(335C)은 바이패스 통로(225C)에 대하여 시트 구성부(331C)를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케이스 부재(71C) 및 시트 부재(72C)는 함께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감합되면 서로의 중심 축선을 일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시트 부재(72C)는 그 맞댐면(341C)이 케이스 부재(71C)의 면부(321C)에 겹쳐 면접촉한다. 그와 더불어, 시트 부재(72C)는 그 맞댐면(342C)이 케이스 부재(71C)의 면부(322C)에 겹쳐 면접촉한다. 그와 더불어, 시트 부재(72C)는 그 벽면부(343C)가 케이스 부재(71C)의 벽면부(122C)와 동일한 원통면에 배치된다. 그러면, 케이스 부재(71C)와 시트 부재(72C)가 시일실(171C)(통로부)과 스로틀(172C)과 하실 측 통로(173C)(제3 통로)를 형성한다.
시일실(171C)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C)은 벽면부(121C)와 벽면부(122C)와 벽면부(343C)와 바닥면부(123C)와 맞댐면(341C)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C)은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실(171C)의 중심 축선과 관통 구멍(101C, 161C)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스로틀(172C)은 시트 부재 측 내측 홈(141C)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172C)은 시트 부재 측 내측 홈(141C)과 맞댐면(341C)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172C)은 일단이 시일실(171C)에 개구되고 타단이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스로틀(172C)은 시일실(171C)과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로드실(90) 및 스로틀(172C)이 상실 측 통로(181C)(제2 통로)로 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C)는 시트 부재 측 외측 홈(142C)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C)는 시트 부재 측 외측 홈(142C)과 맞댐면(342C)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C)는 일단이 시일실(171C)에 개구되고 타단이 하실(20)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C)는 시일실(171C)과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시트 부재(72C)의 통로 구멍(335C) 안의 통로는 하실 측 통로(345C)(제3 통로)로 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45C)는 일단이 시일실(171C)에 개구되고 타단이 하실(20)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45C)는 시일실(171C)과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시일실(171C)은 하실 측 통로(173C, 345C)와 상실 측 통로(181C)의 스로틀(172C)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C)에 수납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C)의 바닥면부(123C)와 시트 부재(72C)의 맞댐면(341C)에 동시에 접촉한다. 이때, 시일 부재(73A)는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C)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C)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직경 방향으로 변형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C)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직경 방향으로 적어도 내경이 확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C)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직경 방향으로 적어도 외경이 축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그 시일부(191A)가 맞댐면(341C)에 접촉하여 맞댐면(341C)과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 부재(73A)는 그 시일부(192A)가 바닥면부(123C)에 접촉하여 바닥면부(123C)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191A, 192A)도 시일실(171C)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부(191A, 192A)가 스로틀(172C)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C) 측에서 하실 측 통로(173C, 345C)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한다. 시일부(191A, 192A)는 하실 측 통로(173C, 345C) 측에서 상실 측 통로(181C)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도 억제한다. 시일 부재(73A)는 그 벽면부(121C) 측에 있는 수압부(193A)가 상실 측 통로(181C)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73A)는 그 벽면부(122C, 343C) 측에 있는 수압부(194A)가 하실 측 통로(173C, 345C)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73A)는 상실 측 통로(181C)에 연통되는 상실 연통실(185C)과 하실 측 통로(173C, 345C)에 연통되는 하실 연통실(186C)로 시일실(171C) 내부를 구획하는 시일 기능을 갖는다. 시일 부재(73A)는 이러한 시일 기능과 탄성 변형하는 특성을 더불어 갖는다.
시일실(171C)과 스로틀(172C)과 하실 측 통로(173C, 345C)와 시일 부재(73A)가 피스톤(18)의 왕복동의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C)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C)는 파일럿 케이스(75C) 내에 설치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C)는 시일실(171C), 스로틀(172C), 하실 측 통로(173C)가 케이스 부재(71C)와 시트 부재(72C)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C)의 축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71C)의 피스톤 측 환상 홈(103C) 측에 감쇠 밸브(63)가 배치된다. 이때, 디스크(64)가 감쇠 밸브(63)의 디스크(201)와 케이스 부재(71C)의 돌출부(92C)에 접촉한다. 감쇠 밸브(63)는 시일부(202)가 케이스 부재(71C)의 벽면부(132C)에 전체 둘레에 걸쳐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액밀하게 감합되어 있다. 시일부(202)는 감쇠 밸브(63)와 벽면부(132C)의 간극을 항상 시일한다. 감쇠 밸브(63)와 케이스 부재(71C)와 디스크(64)가 파일럿실(211C)을 형성한다. 바꿔 말하면, 케이스 부재(71C)에는 파일럿실(211C)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실(211C)은 피스톤 측 환상 홈(103C)의 내측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파일럿실(211C)은 감쇠 밸브(63)에 피스톤(18)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실(211C)은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와 밸브 시트부(47) 사이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힘을 감쇠 밸브(63)에 생기게 한다.
파일럿실(211C)은 스로틀(106C)을 통해 상실 측 통로(181C)의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C)의 축방향에 있어서 시일실(171C)과 파일럿실(211C)은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시일실(171C)과 파일럿실(211C)은 위치가 중첩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1C)는, 감쇠력 발생 기구(41)에 대하여 파일럿실(211)과는 다른 파일럿실(211C)을 갖는다는 점이 상이한 감쇠력 발생 기구(41C)를 갖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C)도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피스톤 통로(210)에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C)도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이다. 감쇠력 발생 기구(41C)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06C)을 통해 파일럿실(211C)에 도입한다. 감쇠력 발생 기구(41C)는 파일럿실(211C)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의 밸브 개방을 제어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C)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72C)을 통해 시일실(171C)의 상실 연통실(185C)에 도입한다.
로드실(90)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C)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된다. 상실 측 통로(181C)는 시일실(171C)의 상실 연통실(185C)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173C)는 시일실(171C)의 하실 연통실(186C)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173C)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된다.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1C)는, 감쇠력 발생 기구(231)에 대하여 밸브 시트부(153)와는 다른 형상의 밸브 시트부(153C)를 갖는다는 점이 상이한 감쇠력 발생 기구(231C)를 갖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231C)는 바이패스 통로(225C)를 하드 밸브(221)로 개폐한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상기 부품을 조립해 붙이는 경우, 케이스 부재(71) 대신에 케이스 부재(71C)를 조립해 붙인다. 또한, 시일 부재(73) 대신에 시일 부재(73A)를 조립해 붙인다. 또한, 시트 부재(72) 대신에 시트 부재(72C)를 조립해 붙인다. 이들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조립해 붙인다. 이에 따라, 파일럿 케이스(75C)는 감쇠 밸브(63)를 피스톤(18)과 함께 협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 부재(71C) 및 시트 부재(72C)가 각각의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C)의 피스톤(18)의 주변 부분의 유압 회로도는 도 4에 도시하는 완충기(1)의 유압 회로도와 같은 식으로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C)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 통로(210)로부터 스로틀(198) 및 상실 측 통로(181C)를 통해 시일실(171C)의 상실 연통실(185C)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직경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C)의 하실 연통실(186C)로부터 하실 측 통로(173C, 345C)를 통해 오일액이 하실(20)로 배출된다. 완충기(1C)는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 측 통로(173C, 345C)를 통해 하실(20)로부터 시일실(171C)의 하실 연통실(186C)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C)의 상실 연통실(185C)로부터 상실 측 통로(181C) 및 스로틀(198)을 통해 오일액이 피스톤 통로(210), 즉 상실(19)로 배출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C)에 있어서의 이들 이외의 작동은 완충기(1)와 거의 동일하다.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1C)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되는 상실 측 통로(181C)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C)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되는 하실 측 통로(173C, 345C)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C)는 하실 측 통로(173C, 345C)와 상실 측 통로(181C)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실(171C)을 갖고 있다. 그리고, 완충기(1C)는 시일실(171C)에 고무 탄성을 가진 시일 부재(73A)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완충기(1C)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C)가 시일 부재(73A)를 시일실(171C) 내에서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완충기(1C)는 파일럿실(211C)이 상실 측 통로(181C)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C)는 바이패스 통로(225C)가 상실 측 통로(181C)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C)는 파일럿실(211C)이 형성되는 파일럿 케이스(75C)가 감쇠 밸브(63)를 피스톤(18)과 함께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C)는 시일실(171C)과 스로틀(172C)과 하실 측 통로(173C, 345C)가 케이스 부재(71C)와 시트 부재(72C)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완충기(1C)는 완충기(1)와 마찬가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기(1C)는 하실 측 통로(173C, 345C)에 의해서 하실(20)과 시일실(171C)의 하실 연통실(186C)을 연통시킨다. 이 때문에, 하실(20)과 하실 연통실(186C)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이 원활하게 된다.
[제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주로 도 12 및 도 13에 기초하여 제1, 제2, 제4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제2, 제4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1D)는 파일럿 케이스(75, 75A, 75C) 대신에 파일럿 케이스(75D)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D)는 케이스 부재(71, 71A, 71C)와는 일부 다른 케이스 부재(71D)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D)는 시트 부재(72, 72C)와는 일부 다른 시트 부재(72D)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D) 내에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시일 부재(73A)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D) 및 시트 부재(72D)는 모두 금속제이다. 케이스 부재(71D) 및 시트 부재(72D)는 모두 소결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D) 및 시트 부재(72D)는 적어도 어느 한쪽을 깎아내기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케이스 부재(71D) 및 시트 부재(72D)는 모두 원환형이다. 케이스 부재(71D) 및 시트 부재(72D)는 모두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키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D)는 피스톤 로드(21)의 축방향에 있어서 부착 축부(28)의 통로 홈(30)과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71D)는 부재 본체부(91D)와 돌출부(92D)를 갖고 있다. 부재 본체부(91D)는 원환형이다. 돌출부(92D)도 원환형이다. 돌출부(92D)는 부재 본체부(91D)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D)의 중심 축선과 돌출부(92D)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이들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D)의 중심 축선이 된다. 돌출부(92D)는 케이스 부재(71D)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91D)의 일단 측의 면부(95D)로부터 케이스 부재(71D)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면부(95D)는 케이스 부재(71D)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여 넓어져 있다. 케이스 부재(71D)는 케이스 부재(71D)의 축방향에서의 돌출부(92D)의 부재 본체부(91D)와는 반대쪽의 단부면이 디스크(64)에 접촉한다.
케이스 부재(71D)에는 관통 구멍(101D)과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과 피스톤 측 환상 홈(103D)과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D)과 통로 구멍(301D)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D)은 케이스 부재(71D)의 직경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D)은 케이스 부재(71D)를 케이스 부재(71D)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01D)은 부재 본체부(91D)의 내주면과 돌출부(92D)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D)는 내주면이 원통면 형상이다. 부재 본체부(91D)는 외주면도 원통면 형상이다. 관통 구멍(101D)은 그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D)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부재 본체부(91D)에는 부재 본체부(91D)의 축방향에서의 면부(95D)와는 반대쪽의 면부(96D)에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이 형성되어 있다. 면부(96D)는 부재 본체부(91D)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은 면부(96D)로부터 부재 본체부(91D)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은 관통 구멍(101D)을 부재 본체부(91D)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은 원환형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D)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은 벽면부(121D)와 벽면부(122D)와 바닥면부(123D)를 갖고 있다. 벽면부(122D)는 부재 본체부(91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21D)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21D)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1D)는 부재 본체부(91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22D)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2D)는 부재 본체부(91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23D)는 벽면부(121D)의 면부(96D)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22D)의 면부(96D)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23D)는 면부(96D)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21D)의 중심 축선, 벽면부(122D)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23D)의 중심 축선이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의 중심 축선이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D)은 부재 본체부(91D)의 면부(95D)로부터 부재 본체부(91D)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D)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보다 부재 본체부(91D)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틀어져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D)은 원환형이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D)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D)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D)은 벽면부(131D)와 벽면부(132D)와 바닥면부(133D)를 갖고 있다. 벽면부(132D)는 부재 본체부(91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31D)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31D)는 부재 본체부(91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31D)는 테이퍼면이다. 벽면부(131D)는 부재 본체부(91D)의 축방향에 있어서 면부(95D)에 근접할수록 외경이 소직경으로 된다. 벽면부(132D)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32D)는 부재 본체부(91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33D)는 벽면부(131D)의 면부(95D)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32D)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33D)는 면부(95D)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31D)의 중심 축선, 벽면부(132D)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33D)의 중심 축선이 피스톤 측 환상 홈(103D)의 중심 축선이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의 바닥면부(123D) 측의 일부와 피스톤 측 환상 홈(103D)의 바닥면부(133D)의 일부가 부재 본체부(91D)의 축방향에 있어서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과 피스톤 측 환상 홈(103D)은 케이스 부재(71D)의 축방향에서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301D)은 부재 본체부(91D)의 축방향을 따르고 있다. 통로 구멍(301D)은 부재 본체부(91D)의 면부(95D)에서부터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의 바닥면부(123D)까지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301D)은 부재 본체부(91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바닥면부(123D)의 중앙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통로 구멍(301D) 안의 통로는 스로틀(302D)을 구성한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D)은 돌출부(92D)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D)은 케이스 부재(71D)의 축방향에 있어서 돌출부(92D)의 부재 본체부(91D)와는 반대쪽의 선단면으로부터 케이스 부재(71D)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D)은 돌출부(92D)의 내주면에서부터 돌출부(92D)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D)은 돌출부(92D)를 돌출부(92D)의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D)은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D) 안의 통로는 로드실(90)에 연통되는 스로틀(106D)로 되어 있다.
시트 부재(72D)는 원환형이다. 시트 부재(72D)는 부재 본체부(151D)를 갖고 있다. 시트 부재(72D)는 제4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돌출부(152C)와 제4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밸브 시트부(153C)를 갖고 있다. 부재 본체부(151D)는 원환형이다. 돌출부(152C)도 원환형이다. 돌출부(152D)는 부재 본체부(151D)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151D)의 중심 축선과 돌출부(152D)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이들 중심 축선이 시트 부재(72D)의 중심 축선으로 된다. 돌출부(152C)는 시트 부재(72D)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151D)의 일단 측의 면부(155D)로부터 시트 부재(72D)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돌출부(152C)에는 직경 방향 홈(162C)이 형성되어 있다. 직경 방향 홈(162C)은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시트 부재(72D)는 돌출부(152C) 및 밸브 시트부(153C)가 디스크(82)에 접촉한다.
시트 부재(72D)에는 관통 구멍(161D)과 통로 구멍(350D)과 통로 구멍(351D)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61D)은 시트 부재(72D)의 직경 방향에서의 시트 부재(72D)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61D)은 시트 부재(72D)를 시트 부재(72D)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61D)은 부재 본체부(151D)의 내주면과 돌출부(152C)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151D)는 내주면이 원통면 형상이다. 부재 본체부(151D)는 외주면도 원통면 형상이다. 관통 구멍(161D)은 그 중심 축선이 시트 부재(72D)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부재 본체부(151D)는 맞댐면(165D)을 갖고 있다. 맞댐면(165D)은 시트 부재(72D)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151D)의 돌출부(152C) 및 밸브 시트부(153C)와는 반대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맞댐면(165D)은 부재 본체부(151D)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부재 본체부(151D)에 통로 구멍(350D, 351D)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350D, 351D)은 모두 부재 본체부(151D)를 부재 본체부(151D)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통로 구멍(350D, 351D)은 모두 부재 본체부(151D)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350D, 351D)은 모두 일단이 부재 본체부(151D)의 맞댐면(165D)에 개구되어 있다. 통로 구멍(350D, 351D)은 모두 타단이 면부(155D)에 개구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통로 구멍(350D, 351D)은 시트 부재(72D)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시트 구성부(331C)와 시트 구성부(331C) 사이의 위치에 모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통로 구멍(350D, 351D)은 모두 바이패스 통로(225C)에 대하여 시트 구성부(331C)를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151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통로 구멍(350D)은 통로 구멍(351D)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케이스 부재(71D) 및 시트 부재(72D)는 함께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감합되면 서로의 중심 축선을 일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시트 부재(72D)는 그 맞댐면(165D)이 케이스 부재(71D)의 면부(96D)에 겹쳐 면접촉한다. 그러면, 케이스 부재(71D)와 시트 부재(72D)가 시일실(171D)(통로부)을 형성한다.
시일실(171D)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D)은 벽면부(121D)와 벽면부(122D)와 바닥면부(123D)와 맞댐면(165D)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D)은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실(171D)의 중심 축선과 관통 구멍(101D, 161D)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스로틀(302D)은 시일실(171D)에 개구되어 있다.
시트 부재(72D)의 통로 구멍(350D) 안의 통로가 하실 측 통로(355D)(제3 통로)로 되어 있다. 시트 부재(72D)의 통로 구멍(351D) 안의 통로가 하실 측 통로(356D)(제3 통로)로 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5D, 356D)는 모두 일단이 시일실(171D)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5D, 356D)는 모두 타단이 하실(20)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5D)는 시일실(171D)에 있어서의 벽면부(121D)의 근방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6D)는 시일실(171D)에 있어서의 벽면부(122D)의 근방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6D)는 시일실(171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하실 측 통로(355D)보다 외측에 있다. 시일실(171D)은 하실 측 통로(355D, 356D)와 스로틀(302D)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D)의 축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71D)의 피스톤 측 환상 홈(103D) 측에 감쇠 밸브(63)가 배치된다. 이때, 디스크(64)가 감쇠 밸브(63)의 디스크(201)와 케이스 부재(71D)의 돌출부(92D)에 접촉한다. 감쇠 밸브(63)는 시일부(202)가 케이스 부재(71D)의 벽면부(132D)에 전체 둘레에 걸쳐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액밀하게 감합되어 있다. 시일부(202)는 감쇠 밸브(63)와 벽면부(132D)의 간극을 항상 시일한다. 감쇠 밸브(63)와 케이스 부재(71D)와 디스크(64)가 파일럿실(211D)을 형성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 케이스(75D)에는 케이스 부재(71D)에 파일럿실(211D)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실(211D)은 피스톤 측 환상 홈(103D)의 내측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파일럿실(211D)은 감쇠 밸브(63)에 피스톤(18)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실(211D)은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와 밸브 시트부(47) 사이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힘을 감쇠 밸브(63)에 생기게 한다.
스로틀(106D)은 파일럿실(211D)와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파일럿실(211D)은 스로틀(106D)을 통해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D)의 축방향에 있어서 시일실(171D)의 바닥면부(123D) 측의 일부와 파일럿실(211D)의 바닥면부(133D) 측의 일부가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시일실(171D)과 파일럿실(211D)은 파일럿 케이스(75D)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위치가 중첩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1D)는, 감쇠력 발생 기구(41)에 대하여 파일럿실(211)과는 다른 파일럿실(211D)을 갖는다는 점이 상이한 감쇠력 발생 기구(41D)를 갖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D)도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피스톤 통로(210)에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D)도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이다.
스로틀(302D)은 일단이 시일실(171D)에 개구되고 타단이 파일럿실(211D)에 개구되어 있다. 스로틀(302D)은 시일실(171D)과 파일럿실(211D)에 연통되어 있다. 로드실(90), 스로틀(106D, 302D) 및 파일럿실(211D)이 상실 측 통로(181D)(제2 통로)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D)에 수납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D)의 벽면부(121D)와 벽면부(122D)에 동시에 접촉한다. 이때, 시일 부재(73A)는 시일 부재(73A)의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D)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D)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으로 변형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A) 내에서 적어도 바닥면부(123D) 측이 하실 측 통로(355D, 356D) 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D) 내에서 적어도 맞댐면(165D) 측이 스로틀(302D) 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부(191D)와 시일부(192D)와 수압부(193D)와 수압부(194D)를 갖고 있다. 시일부(191D)는 벽면부(121D)에 접촉하여 벽면부(121D)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192D)는 벽면부(122D)에 접촉하여 벽면부(122D)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191D, 192D)도 시일실(171D)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부(191D, 192D)가 상실 측 통로(181D) 측에서 하실 측 통로(355D, 356D)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한다. 시일부(191D, 192D)는 하실 측 통로(355D, 356D) 측에서 상실 측 통로(181D)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도 억제한다. 수압부(193D)는 시일 부재(73A)의 바닥면부(123D) 측에 있다. 수압부(193D)는 상실 측 통로(181D)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수압부(194D)는 시일 부재(73A)의 맞댐면(165D) 측에 있다. 수압부(194D)는 하실 측 통로(355D, 356D)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73A)는 상실 측 통로(181D)에 연통되는 상실 연통실(185D)와 하실 측 통로(355D, 356D)에 연통되는 하실 연통실(186D)로 시일실(171D) 내부를 구획하는 시일 기능을 갖는다. 시일 부재(73A)는 이러한 시일 기능과 탄성 변형하는 특성을 더불어 갖는다.
시일실(171D)과 스로틀(106D, 302D)과 파일럿실(211D)과 하실 측 통로(355D, 356D)와 시일 부재(73A)가 피스톤(18)의 왕복동의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D)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D)는 파일럿 케이스(75D)에 설치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D)는 시일실(171D), 하실 측 통로(355D, 356D) 및 스로틀(302A)이 케이스 부재(71D)와 시트 부재(72D)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D)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06D)을 통해 파일럿실(211D)에 도입한다. 감쇠력 발생 기구(41D)는 파일럿실(211D)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의 밸브 개방을 제어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D)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06D)과 파일럿실(211D)과 스로틀(302D)을 통해 시일실(171D)의 상실 연통실(185D)에 도입한다.
로드실(90)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D)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된다. 상실 측 통로(181D)는 시일실(171D)의 상실 연통실(185D)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355D, 356D)는 모두 시일실(171D)의 하실 연통실(186D)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355D, 356D)는 모두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355D)와 하실 측 통로(356D) 중 한쪽만을 형성하여도 좋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상기 부품을 조립해 붙이는 경우, 케이스 부재(71) 대신에 케이스 부재(71D)를 조립해 붙인다. 또한, 시일 부재(73) 대신에 시일 부재(73A)를 조립해 붙인다. 또한, 시트 부재(72) 대신에 시트 부재(72D)를 조립해 붙인다. 이들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조립해 붙인다. 이에 따라, 파일럿 케이스(75D)는 감쇠 밸브(63)를 파일럿 케이스(75D)와 피스톤(18)에 의해 협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 부재(71D)가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또한, 시트 부재(72D)가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D)의 피스톤(18)의 주변 부분의 유압 회로도는 도 7에 도시하는 완충기(1A)의 유압 회로도와 같은 식으로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D)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 통로(210)로부터 스로틀(198) 및 상실 측 통로(181D)를 통해 시일실(171D)의 상실 연통실(185D)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을 따라 피스톤(18)과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D)의 하실 연통실(186D)로부터 하실 측 통로(355D, 356D)를 통해 오일액이 하실(20)로 배출된다. 완충기(1D)는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 측 통로(355D, 356D)를 통해 하실(20)로부터 시일실(171D)의 하실 연통실(186D)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을 따라 피스톤(18) 측으로 이동하여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D)의 상실 연통실(185D)로부터 상실 측 통로(181D) 및 스로틀(198)을 통해 오일액이 피스톤 통로(210), 즉 상실(19)로 배출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D)에 있어서의 이들 이외의 작동은 완충기(1A)와 거의 동일하다.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1D)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되는 상실 측 통로(181D)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D)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되는 하실 측 통로(355D, 356D)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D)는 상실 측 통로(181D)와 하실 측 통로(355D, 356D)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실(171D)을 갖고 있다. 그리고, 완충기(1D)는 시일실(171D)에 고무 탄성을 가진 시일 부재(73A)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완충기(1D)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D)가 시일 부재(73A)를 시일실(171D) 내에서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완충기(1D)는 파일럿실(211D)이 상실 측 통로(181D)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완충기(1D)는 바이패스 통로(225C)가 상실 측 통로(181D)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D)는 파일럿실(211D)이 형성되는 파일럿 케이스(75D)가 감쇠 밸브(63)를 파일럿 케이스(75D)와 피스톤(18)에 의해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D)는 시일실(171D)과 하실 측 통로(355D, 356D)가 케이스 부재(71D)와 시트 부재(72D)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완충기(1D)는 완충기(1)와 마찬가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완충기(1D)는 파일럿 케이스(75D)에 파일럿 케이스(75D)의 축방향에 있어서 중첩하는 위치에 파일럿실(211D)과 시일실(171D)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일럿 케이스(75D)의 축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기(1D)에서는 돌출부(92D)의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D)을 없애고 디스크(61)와 같은 식의 스로틀 형성 디스크를 돌출부(92D)와 감쇠 밸브(63) 사이에 두어도 좋다. 이에 따라, 스로틀(106D)을 절결(197)과 마찬가지로 스로틀 형성 디스크의 절결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스로틀 형성 디스크의 교환으로 스로틀(106D)의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시일실(171D)로의 오일액의 유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제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주로 도 14~도 16에 기초하여 제1, 제2, 제4, 제5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제2, 제4, 제5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1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1E)는 파일럿 케이스(75) 대신에 파일럿 케이스(75E)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E)는 케이스 부재(71)와는 일부 다른 케이스 부재(71E)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E)는 하나의 덮개 디스크(361E)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E) 내에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시일 부재(73A)가 마련되어 있다. 완충기(1E)는 하나의 디스크(362E)와 여러 개의 디스크(363E)와 하나의 디스크(364E)를 갖고 있다.
케이스 부재(71E), 덮개 디스크(361E), 디스크(362E), 여러 개의 디스크(363E) 및 디스크(364E)는 모두 금속제이다. 케이스 부재(71E)는 소결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E)를 깎아내기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덮개 디스크(361E), 디스크(362E), 여러 개의 디스크(363E) 및 디스크(364E)는 모두 판재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스 부재(71E), 덮개 디스크(361E), 디스크(362E), 여러 개의 디스크(363E) 및 디스크(364E)는 모두 일정 두께의 평판형이며 모두 원환형이다. 케이스 부재(71E), 덮개 디스크(361E), 디스크(362E), 여러 개의 디스크(363E) 및 디스크(364E)는 모두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킨다. 파일럿 케이스(75E)는 피스톤 로드(21)의 축방향에 있어서 부착 축부(28)의 통로 홈(30)과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71E)는 부재 본체부(91E)를 갖고 있다. 케이스 부재(71E)는 제4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돌출부(152C)와 제4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밸브 시트부(153C)를 갖고 있다. 부재 본체부(91E)는 원환형이다. 돌출부(152C)는 부재 본체부(91E)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E)의 중심 축선과 돌출부(92C)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이들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E)의 중심 축선으로 된다. 돌출부(152C)는 케이스 부재(71E)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91E)의 일단 측의 면부(155E)로부터 케이스 부재(71E)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밸브 시트부(153C)도 부재 본체부(91E)의 면부(155E)로부터 케이스 부재(71E)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면부(155E)는 케이스 부재(71E)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여 넓어져 있다. 케이스 부재(71E)는 돌출부(152C) 및 밸브 시트부(153C)가 디스크(82)에 접촉한다.
케이스 부재(71E)에는 관통 구멍(101E)과 내측 환상 홈(102E)과 외측 환상 홈(103E)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E)에는 내측 홈부(365E)와 외측 홈부(366E)와 통로 구멍(350E)과 통로 구멍(351E)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E)은 케이스 부재(71E)의 직경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E)은 케이스 부재(71E)를 케이스 부재(71E)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01E)은 부재 본체부(91E)의 내주면과 돌출부(152C)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E)는 내주면이 원통면 형상이다. 부재 본체부(91E)는 외주면도 원통면 형상이다. 관통 구멍(101E)은 그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E)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부재 본체부(91E)에는 부재 본체부(91E)의 축방향에서의 면부(155E)와는 반대쪽의 면부(95E)에 내측 환상 홈(102E)이 형성되어 있다. 면부(95E)는 부재 본체부(91E)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내측 환상 홈(102E)은 면부(95E)로부터 부재 본체부(91E)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내측 환상 홈(102E)은 관통 구멍(101E)을 부재 본체부(91E)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내측 환상 홈(102E)은 원환형이다. 내측 환상 홈(102E)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E)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내측 환상 홈(102E)은 벽면부(121E)와 벽면부(122E)와 바닥면부(123E)를 갖고 있다. 벽면부(122E)는 부재 본체부(91E)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21E)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21E)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1E)는 부재 본체부(91E)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22E)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2E)는 부재 본체부(91E)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23E)는 벽면부(121E)의 면부(95E)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22E)의 면부(95E)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23E)는 면부(95E)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21E)의 중심 축선, 벽면부(122E)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23E)의 중심 축선이 내측 환상 홈(102E)의 중심 축선이다.
외측 환상 홈(103E)은 부재 본체부(91E)의 면부(95E)로부터 부재 본체부(91E)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외측 환상 홈(103E)은 부재 본체부(91E)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 환상 홈(102E)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환상 홈(103E)은 내측 환상 홈(102E)을 부재 본체부(91E)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외측 환상 홈(103E)은 원환형이다. 외측 환상 홈(103E)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E)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외측 환상 홈(103E)은 벽면부(131E)와 벽면부(132E)와 바닥면부(133E)를 갖고 있다. 벽면부(132E)는 부재 본체부(91E)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31E)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31E)는 부재 본체부(91E)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31E)는 테이퍼면이다. 벽면부(131E)는 부재 본체부(91E)의 축방향에 있어서 면부(95E)에 근접할수록 외경이 소직경으로 된다. 벽면부(132E)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32E)는 부재 본체부(91E)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33E)는 벽면부(131E)의 면부(95E)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32E)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33E)는 면부(95E)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31E)의 중심 축선, 벽면부(132E)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33E)의 중심 축선이 외측 환상 홈(103E)의 중심 축선이다.
내측 환상 홈(102E)과 외측 환상 홈(103E)은 케이스 부재(71E)의 축방향에 있어서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내측 환상 홈(102E)과 외측 환상 홈(103E)은 케이스 부재(71E)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위치를 변위시키고 있다. 내측 환상 홈(102E)과 외측 환상 홈(103E)은 케이스 부재(71E)의 축방향에서의 동일한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E)에 통로 구멍(350E, 351E)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350E, 351E)은 모두 부재 본체부(91E)를 부재 본체부(91E)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통로 구멍(350E, 351E)은 모두 부재 본체부(91E)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350E, 351E)은 모두 일단이 내측 환상 홈(102E)의 바닥면부(123E)에 개구되어 있다. 통로 구멍(350E, 351E)은 모두 타단이 면부(155E)에 개구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통로 구멍(350E, 351E)은 케이스 부재(71E)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시트 구성부(331C)와 시트 구성부(331C) 사이의 위치에 모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통로 구멍(350E, 351E)은 바이패스 통로(225C)에 대하여 시트 구성부(331C)를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151E)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통로 구멍(350E)은 통로 구멍(351E)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내측 홈부(365E) 및 외측 홈부(366E)는 모두 면부(95E)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홈부(365E) 및 외측 홈부(366E)는 모두 면부(95E)로부터 부재 본체부(91E)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내측 홈부(365E)는 관통 구멍(101E)에서부터 내측 환상 홈(102E)의 벽면부(121E)까지 연장되어 있다. 내측 홈부(365E)는 일단이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내측 홈부(365E)는 타단이 내측 환상 홈(102E)에 개구되어 있다. 외측 홈부(366E)는 내측 환상 홈(102E)의 벽면부(122E)에서부터 외측 환상 홈(103E)의 벽면부(131E)까지 연장되어 있다. 외측 홈부(366E)는 일단이 내측 환상 홈(102E)에 개구되어 있다. 외측 홈부(366E)는 타단이 외측 환상 홈(103E)에 개구되어 있다.
덮개 디스크(361E)는 그 외경이 벽면부(131E)의 면부(95E) 측의 단부의 외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E) 및 덮개 디스크(361E)는 함께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감합되면 서로의 중심 축선을 일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덮개 디스크(361E)는 덮개 디스크(361E)의 축방향에서의 일측의 맞댐면(371E)에 있어서 부재 본체부(91E)의 면부(95E)에 면접촉한다. 그러면, 케이스 부재(71E)와 덮개 디스크(361E)가 스로틀(172E, 302E)과 시일실(171E)(통로부)을 형성한다.
스로틀(172E)은 내측 홈부(365E)와 맞댐면(371E)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172E)은 로드실(90)에 연통된다. 스로틀(302E)은 외측 홈부(366E)와 맞댐면(371E)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E)은 내측 환상 홈(102E)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E)은 벽면부(121E)와 벽면부(122E)와 바닥면부(123E)와 맞댐면(371E)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E)은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실(171E)의 중심 축선과 관통 구멍(101E)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스로틀(172E, 302E)은 모두 시일실(171E)에 연통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E)의 통로 구멍(350E) 안의 통로가 하실 측 통로(355E)(제3 통로)로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E)의 통로 구멍(351E) 안의 통로가 하실 측 통로(356E)(제3 통로)로 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5E, 356E)는 모두 일단이 시일실(171E)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5E, 356E)는 모두 타단이 하실(20)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5E)는 시일실(171E)에 있어서의 벽면부(121E)의 근방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6E)는 시일실(171E)에 있어서의 벽면부(122E)의 근방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6E)는 시일실(171E)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하실 측 통로(355E)보다 외측에 있다. 시일실(171E)은 하실 측 통로(355E, 356E)와 스로틀(172E, 302E)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덮개 디스크(361E)와 디스크(64) 사이에 덮개 디스크(361E) 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디스크(362E)와 여러 개의 디스크(363E)와 디스크(364E)가 겹쳐져 있다. 디스크(362E)는 그 외경이 덮개 디스크(361E)의 외경과 동등하다. 디스크(363E)는 그 외경이 디스크(362E)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다. 디스크(363E)의 수는 구체적으로는 3장이다. 디스크(364E)는 그 외경이 디스크(363E)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면서 또한 디스크(64)의 외경보다 대직경이다.
케이스 부재(71E)의 축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71E)의 외측 환상 홈(103E) 측에 감쇠 밸브(63)가 배치된다. 감쇠 밸브(63)는 시일부(202)가 케이스 부재(71E)의 벽면부(132E)에 전체 둘레에 걸쳐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액밀하게 감합되어 있다. 시일부(202)는 감쇠 밸브(63)와 벽면부(132E)의 간극을 항상 시일한다. 감쇠 밸브(63)와 케이스 부재(71E)와 덮개 디스크(361E)와 디스크(64, 362E~364E)가 파일럿실(211E)을 형성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 케이스(75E)는 그 케이스 부재(71E)에 파일럿실(211E)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실(211E)은 외측 환상 홈(103E)의 내측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파일럿실(211E)은 감쇠 밸브(63)에 피스톤(18)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실(211E)은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와 밸브 시트부(47) 사이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힘을 감쇠 밸브(63)에 생기게 한다.
파일럿실(211E)은 스로틀(302E)을 통해 시일실(171E)에 연통되어 있다. 시일실(171E)은 스로틀(172E)을 통해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E)의 축방향에 있어서 파일럿실(211E)의 바닥면부(133E) 측의 일부가 시일실(171E)과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E)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파일럿실(211E)과 시일실(171E)이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1E)는, 감쇠력 발생 기구(41)에 대하여 파일럿실(211)과는 다른 파일럿실(211E)을 갖는다는 점이 상이한 감쇠력 발생 기구(41E)를 갖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E)도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피스톤 통로(210)에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E)도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이다.
스로틀(302E)은 일단이 시일실(171E)에 개구되고 타단이 파일럿실(211E)에 개구되어 있다. 스로틀(302E)은 시일실(171E)과 파일럿실(211E)에 연통되어 있다. 로드실(90) 및 스로틀(172E)이 상실 측 통로(181E)(제2 통로)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E)에 수납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내측 환상 홈(102E)의 벽면부(121E)와 벽면부(122E)에 동시에 접촉한다. 이때, 시일 부재(73A)는 시일 부재(73A)의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E)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E)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으로 변형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E) 내에서 적어도 맞댐면(371E) 측이 하실 측 통로(355E, 356E) 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E) 내에서 적어도 바닥면부(123E) 측이 스로틀(172E, 302E) 측으로 변형 가능하다.
시일 부재(73A)는 그 시일부(191D)가 벽면부(121E)에 접촉하여 벽면부(121E)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 부재(73A)는 그 시일부(192D)가 벽면부(122E)에 접촉하여 벽면부(122E)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191D, 192D)도 시일실(171E)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부(191D, 192D)가 상실 측 통로(181E) 측에서 하실 측 통로(355E, 356E)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한다. 시일부(191D, 192D)는 하실 측 통로(355E, 356E) 측에서 상실 측 통로(181E)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도 억제한다. 시일 부재(73A)는 그 맞댐면(371E) 측에 있는 수압부(193D)가 상실 측 통로(181E)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73A)는 그 바닥면부(123E) 측에 있는 수압부(194D)가 하실 측 통로(355E, 356E)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73A)는 상실 측 통로(181E)에 연통되는 상실 연통실(185E)과 하실 측 통로(355E, 356E)에 연통되는 하실 연통실(186E)로 시일실(171E) 내부를 구획하는 시일 기능을 갖는다. 시일 부재(73A)는 이러한 시일 기능과 탄성 변형하는 특성을 더불어 갖는다.
시일실(171E)과 스로틀(172E, 302E)과 파일럿실(211E)과 하실 측 통로(355E, 356E)와 시일 부재(73A)가 피스톤(18)의 왕복동의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E)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E)는 파일럿 케이스(75E) 내에 설치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E)는 시일실(171E), 하실 측 통로(355E, 356E) 및 스로틀(172E, 302E)이 케이스 부재(71E)와 덮개 디스크(361E)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E)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72E)을 통해 시일실(171E)의 상실 연통실(185E)에 도입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E)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72E)과 시일실(171E)의 상실 연통실(185E)과 스로틀(302E)을 통해 파일럿실(211E)에 도입한다. 감쇠력 발생 기구(41E)는 파일럿실(211E)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의 밸브 개방을 제어한다.
로드실(90)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E)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된다. 상실 측 통로(181E)는 시일실(171E)의 상실 연통실(185E)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355E, 356E)는 모두 시일실(171E)의 하실 연통실(186D)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355E, 356E)는 모두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355E)와 하실 측 통로(356E) 중 한쪽만을 형성하여도 좋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상기 부품을 조립해 붙이는 경우, 케이스 부재(71) 및 시트 부재(72) 대신에 디스크(362E~364E), 덮개 디스크(361E) 및 케이스 부재(71E)를 조립해 붙인다. 이때, 미리 케이스 부재(71E)에 시일 부재(73A)를 조립해 붙여 놓는다. 이들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조립해 붙인다. 이에 따라, 파일럿 케이스(75E)는 감쇠 밸브(63)를 파일럿 케이스(75E)와 피스톤(18)에 의해 협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 부재(71E)가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또한, 덮개 디스크(361E)가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완충기(1E)에서는 덮개 디스크(361E)의 시트면이 되는 케이스 부재(71E)의 면부(95E)에 스로틀(172E, 302E)이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172E)은 로드실(90)과 시일실(171E)을 연통시키고 있다. 스로틀(302E)은 시일실(171E)와 파일럿실(211E)을 연통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로드실(90)에서부터 파일럿실(211E)까지가 동압으로 되어, 덮개 디스크(361E)는 밸브로서의 기능을 갖지 않는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E)의 피스톤(18)의 주변 부분의 유압 회로도를 도 16에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완충기(1E)에서는 로드실(90)이 스로틀(172E)을 통해 시일실(171E)의 상실 연통실(185E)에 연통되어 있다. 상실 연통실(185E)은 스로틀(302E)을 통해 파일럿실(211E)에 연통되어 있다. 상실 측 통로(181E)는 로드실(90) 및 스로틀(172E)을 갖고 있다. 스로틀(302E)은 파일럿실(211E)과 시일실(171E)의 상실 연통실(185E)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실(171E)의 하실 연통실(186E)은 하실 측 통로(355E, 356E)를 통해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E)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 통로(210)로부터 스로틀(198) 및 상실 측 통로(181E)를 통해 시일실(171E)의 상실 연통실(185E)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을 따라 피스톤(18)과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E)의 하실 연통실(186E)로부터 하실 측 통로(355E, 356E)를 통해 오일액이 하실(20)로 배출된다. 완충기(1E)는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 측 통로(355E, 356E)를 통해 하실(20)로부터 시일실(171E)의 하실 연통실(186E)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을 따라 피스톤(18) 측으로 이동하여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E)의 상실 연통실(185E)로부터 상실 측 통로(181E) 및 스로틀(198)을 통해 오일액이 피스톤 통로(210), 즉 상실(19)로 배출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E)에 있어서의 이들 이외의 작동은 완충기(1A)와 거의 동일하다.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1E)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되는 상실 측 통로(181E)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E)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되는 하실 측 통로(355E, 356E)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E)는 상실 측 통로(181E)와 하실 측 통로(355E, 356E)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실(171E)을 갖고 있다. 그리고, 완충기(1E)는 시일실(171E)에 고무 탄성을 가진 시일 부재(73A)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완충기(1E)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E)가 시일 부재(73A)를 시일실(171E) 내에서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완충기(1E)는 파일럿실(211E)이 상실 측 통로(181E)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E)는 바이패스 통로(225C)가 상실 측 통로(181E)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E)는 파일럿실(211E)이 형성되는 파일럿 케이스(75E)가 감쇠 밸브(63)를 파일럿 케이스(75E)와 피스톤(18)에 의해서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E)는 시일실(171E)과 하실 측 통로(355E, 356E)가 케이스 부재(71E)와 덮개 디스크(361E)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단조(鍛造) 부품에 의해 단조에 의해 시일실을 형성하는 구성인 데 비하여, 이 제6 실시형태는 하나의 단조 부품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스 부재(71E)와 단조로 형성되는 부품보다 저렴하며 생산성이 우수한 덮개 디스크(361E)에 의해서 시일실을 형성한다. 즉, 통로부는 탄성 부재로서의 시일 부재(73A)가 수납되는 시일실(171E)을 포함하고, 시일실(171E)은 시일 부재(73A)를 수납할 수 있는 단조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스 부재(71E)와 케이스 부재(71E)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덮개 부재로서의 덮개 디스크(361E)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완충기(1E)는 완충기(1)와 마찬가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완충기(1E)는 파일럿 케이스(75E)에 파일럿 케이스(75E)의 축방향에 있어서 중첩하는 위치에 파일럿실(211E)과 시일실(171E)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일럿 케이스(75E)의 축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완충기(1E)는 파일럿 케이스(75E)에 판재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덮개 디스크(361E)를 이용한다. 이 때문에, 파일럿 케이스(75E)를 구성하는 부품이 양쪽 모두 소결에 의해 형성되는 부품 혹은 절삭에 의해 형성되는 부품인 경우와 비교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주로 도 17~도 19에 기초하여 제6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6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1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7 실시형태의 완충기(1F)는 파일럿 케이스(75E) 대신에 파일럿 케이스(75F)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F)는 케이스 부재(71)와는 일부 다른 케이스 부재(71F)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F)는 덮개 디스크(361E)와는 크기가 다른 덮개 디스크(361F)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F) 내에, 모두 제6 실시형태의 시일 부재(73A)와는 크기가 다른 시일 부재(73F)(탄성 부재, 이동 부재)와 시일 부재(380F)(탄성 부재, 이동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F, 380F)는 모두 O 링이다. 시일 부재(73F, 380F)는 모두 고무 탄성을 가진 탄성 부재이다. 완충기(1F)는 여러 장, 구체적으로는 4장의 디스크(363E)와 한 장의 디스크(364E)를 갖고 있다. 덮개 디스크(361F)는 덮개 디스크(361E)에 대하여 덮개 디스크(361E)의 외경보다 외경이 대직경이라는 점이 상이하다.
케이스 부재(71F)는 금속제이다. 케이스 부재(71F)는 소결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F)를 깎아내기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케이스 부재(71F)는 원환형이다. 케이스 부재(71F)는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키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F)는 피스톤 로드(21)의 축방향에 있어서 부착 축부(28)의 통로 홈(30)과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71F)는 부재 본체부(91F)를 갖고 있다. 케이스 부재(71E)는 제4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돌출부(152C)와 제4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밸브 시트부(153C)를 갖고 있다. 부재 본체부(91F)는 원환형이다. 돌출부(152C)는 부재 본체부(91F)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F)의 중심 축선과 돌출부(92C)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이들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F)의 중심 축선으로 된다. 돌출부(152C)는 케이스 부재(71F)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91F)의 일단 측의 면부(155F)로부터 케이스 부재(71F)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밸브 시트부(153C)도 부재 본체부(91F)의 면부(155F)로부터 케이스 부재(71F)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면부(155F)는 케이스 부재(71F)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여 넓어져 있다. 케이스 부재(71F)는 돌출부(152C)가 디스크(82)에 접촉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케이스 부재(71F)에는 관통 구멍(101F)과 내측 환상 홈(102F)과 중간 환상 홈(381F)과 외측 환상 홈(103F)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F)에는 내측 홈부(365F)와 중간 홈부(382F)와 외측 홈부(366F)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F)에는 통로 구멍(350F)과 통로 구멍(351F)과 통로 구멍(385F)과 통로 구멍(386F)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F)은 케이스 부재(71F)의 직경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F)은 케이스 부재(71F)를 케이스 부재(71F)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01F)은 부재 본체부(91F)의 내주면과 돌출부(152C)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F)는 내주면이 원통면 형상이다. 부재 본체부(91F)는 외주면도 원통면 형상이다. 관통 구멍(101F)은 그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F)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부재 본체부(91F)에는 부재 본체부(91F)의 축방향에서의 면부(155F)와는 반대쪽의 면부(95F)에 내측 환상 홈(102F)이 형성되어 있다. 면부(95F)는 부재 본체부(91F)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내측 환상 홈(102F)은 면부(95F)로부터 부재 본체부(91F)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내측 환상 홈(102F)은 관통 구멍(101F)을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내측 환상 홈(102F)은 원환형이다. 내측 환상 홈(102F)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F)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내측 환상 홈(102F)은 벽면부(121F)와 벽면부(122F)와 바닥면부(123F)를 갖고 있다. 벽면부(122F)는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21F)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21F)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1F)는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22F)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2F)는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23F)는 벽면부(121F)의 면부(95F)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22F)의 면부(95F)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23F)는 면부(95F)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21F)의 중심 축선, 벽면부(122F)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23F)의 중심 축선이 내측 환상 홈(102F)의 중심 축선이다.
부재 본체부(91F)에는 면부(95F)에 중간 환상 홈(381F)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환상 홈(381F)은 면부(95F)로부터 부재 본체부(91F)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중간 환상 홈(381F)은 내측 환상 홈(102F)을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중간 환상 홈(381F)은 원환형이다. 중간 환상 홈(381F)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F)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중간 환상 홈(381F)은 벽면부(391F)와 벽면부(392F)와 바닥면부(393F)를 갖고 있다. 벽면부(392F)는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391F)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391F)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391F)는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392F)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392F)는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393F)는 벽면부(391F)의 면부(95F)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392F)의 면부(95F)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393F)는 면부(95F)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391F)의 중심 축선, 벽면부(392F)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393F)의 중심 축선이 중간 환상 홈(381F)의 중심 축선이다.
외측 환상 홈(103F)은 부재 본체부(91F)의 면부(95F)로부터 부재 본체부(91F)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외측 환상 홈(103F)은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간 환상 홈(381F)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환상 홈(103F)은 중간 환상 홈(381F)을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외측 환상 홈(103F)은 원환형이다. 외측 환상 홈(103F)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F)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외측 환상 홈(103F)은 벽면부(131F)와 벽면부(132F)와 바닥면부(133F)를 갖고 있다. 벽면부(132F)는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31F)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31F)는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31F)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32F)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32F)는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33F)는 벽면부(131F)의 면부(95F)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32F)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33F)는 면부(95F)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31F)의 중심 축선, 벽면부(132F)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33F)의 중심 축선이 외측 환상 홈(103F)의 중심 축선이다.
내측 환상 홈(102F)과 중간 환상 홈(381F)과 외측 환상 홈(103F)은 케이스 부재(71F)의 축방향에 있어서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내측 환상 홈(102F)과 중간 환상 홈(381F)과 외측 환상 홈(103F)은 케이스 부재(71F)의 축방향에서의 동일한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F)에 통로 구멍(350F, 351F)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350F, 351F)은 모두 부재 본체부(91F)를 부재 본체부(91F)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통로 구멍(350F, 351F)은 모두 부재 본체부(91F)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350F, 351F)은 모두 일단이 내측 환상 홈(102F)의 바닥면부(123F)에 개구되어 있다. 통로 구멍(350F, 351F)은 모두 타단이 면부(155F)에 개구되어 있다. 통로 구멍(350F, 351F)은 케이스 부재(71F)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시트 구성부(331C)와 시트 구성부(331C) 사이의 위치에 모두 배치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통로 구멍(350F)은 통로 구멍(351F)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F)에 통로 구멍(385F, 386F)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385F, 386F)은 모두 부재 본체부(91F)를 부재 본체부(91F)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통로 구멍(385F, 386F)은 모두 부재 본체부(91F)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385F, 386F)은 모두 일단이 중간 환상 홈(381F)의 바닥면부(393F)에 개구되어 있다. 통로 구멍(385F, 386F)은 모두 타단이 면부(155F)에 개구되어 있다. 통로 구멍(385F, 386F)은 케이스 부재(71F)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시트 구성부(331C)와 시트 구성부(331C) 사이의 위치에 모두 배치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통로 구멍(385F)은 통로 구멍(386F)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통로 구멍(385F)은 통로 구멍(351F)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내측 홈부(365F), 중간 홈부(382F) 및 외측 홈부(366F)는 모두 면부(95F)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홈부(365F), 중간 홈부(382F) 및 외측 홈부(366F)는 모두 면부(95F)로부터 부재 본체부(91F)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내측 홈부(365F)는 관통 구멍(101F)에서부터 내측 환상 홈(102F)의 벽면부(121F)까지 연장되어 있다. 내측 홈부(365F)는 일단이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내측 홈부(365E)는 타단이 내측 환상 홈(102F)에 개구되어 있다. 중간 홈부(382F)은 내측 환상 홈(102F)의 벽면부(122F)에서부터 중간 환상 홈(381F)의 벽면부(391F)까지 연장되어 있다. 중간 홈부(382F)는 일단이 내측 환상 홈(102E)에 개구되어 있다. 중간 홈부(382F)는 타단이 중간 환상 홈(381F)에 개구되어 있다. 외측 홈부(366F)는 중간 환상 홈(381F)의 벽면부(392F)에서부터 외측 환상 홈(103F)의 벽면부(131F)까지 연장되어 있다. 외측 홈부(366F)는 일단이 중간 환상 홈(381F)에 개구되어 있다. 외측 홈부(366F)는 타단이 외측 환상 홈(103F)에 개구되어 있다.
덮개 디스크(361F)는 그 외경이 중간 환상 홈(381F)의 벽면부(392F)의 내경보다 대직경이며 또한 외측 환상 홈(103F)의 벽면부(131F)의 외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F) 및 덮개 디스크(361F)는 함께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감합되면 서로의 중심 축선을 일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덮개 디스크(361F)는 덮개 디스크(361F)의 축방향에서의 일측의 맞댐면(371F)에 있어서 부재 본체부(91F)의 면부(95F)에 면접촉한다. 그러면, 케이스 부재(71F)와 덮개 디스크(361F)가 스로틀(172F, 401F, 302F)과 시일실(171F)(통로부)과 시일실(411F)(통로부)을 형성한다.
스로틀(172F)은 내측 홈부(365F)와 맞댐면(371F)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172F)은 로드실(90)에 연통된다. 스로틀(401F)은 중간 홈부(382F)와 맞댐면(371F)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302F)은 외측 홈부(366F)와 덮개 디스크(361F)로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F)은 내측 환상 홈(102F)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F)은 벽면부(121F)와 벽면부(122F)와 바닥면부(123F)와 맞댐면(371F)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F)은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실(171F)의 중심 축선과 관통 구멍(101F)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스로틀(172F)은 시일실(171F)에 연통되어 있다.
시일실(411F)은 중간 환상 홈(381F)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411F)은 벽면부(391F)와 벽면부(392F)와 바닥면부(393F)와 맞댐면(371F)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411F)은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실(411F)의 중심 축선과 관통 구멍(101F)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스로틀(401F)은 시일실(171F, 411F)에 연통되어 있다. 스로틀(302F)은 시일실(411F)에 연통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F)의 통로 구멍(350F) 안의 통로가 하실 측 통로(355F)(제3 통로)로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F)의 통로 구멍(351F) 안의 통로가 하실 측 통로(356F)(제3 통로)로 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5F, 356F)는 모두 일단이 시일실(171F)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5F, 356F)는 모두 타단이 하실(20)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5F)는 시일실(171F)에 있어서의 벽면부(121F)의 근방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6F)는 시일실(171F)에 있어서의 벽면부(122F)의 근방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6F)는 시일실(17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하실 측 통로(355F)보다 외측에 있다. 시일실(171F)은 하실 측 통로(355F, 356F)와 스로틀(172F, 401F)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F)의 통로 구멍(385F) 안의 통로가 하실 측 통로(415F)(제3 통로)로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F)의 통로 구멍(386F) 안의 통로가 하실 측 통로(416F)(제3 통로)로 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415F, 416F)는 모두 일단이 시일실(411F)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415F, 416F)는 모두 타단이 하실(20)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415F)는 시일실(411F)에 있어서의 벽면부(391F)의 근방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416F)는 시일실(411F)에 있어서의 벽면부(392F)의 근방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416F)는 시일실(411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하실 측 통로(415F)보다 외측에 있다. 시일실(411F)은 하실 측 통로(415F, 416F)와 스로틀(401F, 302F)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덮개 디스크(361F)와 디스크(64) 사이에 덮개 디스크(361F) 측에서부터 순차 여러 장의 디스크(363E)와 디스크(364E)가 겹쳐져 있다. 디스크(363E)의 수는 구체적으로는 4개이다.
케이스 부재(71F)의 축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71F)의 외측 환상 홈(103F) 측에 감쇠 밸브(63)가 배치된다. 감쇠 밸브(63)는 시일부(202)가 케이스 부재(71F)의 벽면부(132F)에 전체 둘레에 걸쳐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액밀하게 감합되어 있다. 시일부(202)는 감쇠 밸브(63)와 벽면부(132F)의 간극을 항상 시일한다. 감쇠 밸브(63)와 케이스 부재(71F)와 덮개 디스크(361F)와 디스크(64, 363E, 364E)가 파일럿실(211F)을 형성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 케이스(75F)는 그 케이스 부재(71F)에 파일럿실(211F)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실(211F)은 외측 환상 홈(103F)의 내측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파일럿실(211F)은 감쇠 밸브(63)에 피스톤(18)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실(211F)은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와 밸브 시트부(47) 사이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힘을 감쇠 밸브(63)에 생기게 한다.
파일럿실(211F)은 스로틀(302F)을 통해 시일실(411F)에 연통되어 있다. 시일실(411F)은 스로틀(401F)을 통해 시일실(171F)에 연통되어 있다. 시일실(171F)은 스로틀(172F)을 통해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F)의 축방향에 있어서 파일럿실(211F)의 바닥면부(133F) 측의 일부와 시일실(171F, 411F)이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파일럿실(211F)과 시일실(171F, 411F)이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F)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시일실(171F)과 시일실(411F)은 위치를 다르게 하고 있다.
제7 실시형태의 완충기(1F)는, 감쇠력 발생 기구(41E)에 대하여 파일럿실(211E)과는 다른 파일럿실(211F)을 갖는다는 점이 상이한 감쇠력 발생 기구(41F)를 갖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F)도 감쇠력 발생 기구(41E)와 마찬가지로 피스톤 통로(210)에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F)도 감쇠력 발생 기구(41E)와 마찬가지로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이다.
스로틀(302F)은 일단이 시일실(411F)에 개구되고 타단이 파일럿실(211F)에 개구되어 있다. 스로틀(302F)은 시일실(411F)과 파일럿실(211F)에 연통되어 있다. 스로틀(401F)은 일단이 시일실(411F)에 개구되고 타단이 시일실(171F)에 개구되어 있다. 스로틀(401F)은 시일실(411F)과 시일실(171F)에 연통되어 있다. 로드실(90) 및 스로틀(172F)가 상실 측 통로(181F)(제2 통로)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F)는 시일실(171F)에 수납되어 있다. 시일 부재(73F)는 내측 환상 홈(102F)의 벽면부(121F)와 벽면부(122F)에 동시에 접촉한다. 이때, 시일 부재(73F)는 시일 부재(73F)의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시일 부재(73F)는 시일실(171F) 내에서 시일 부재(73F)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73F)는 시일실(171F) 내에서 시일 부재(73F)의 축방향으로 변형한다. 시일 부재(73F)는 시일실(171F) 내에서 하실 측 통로(355F) 및 하실 측 통로(356F) 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F)는 시일실(171F) 내에서 스로틀(172F, 401F) 측으로 변형 가능하다.
시일 부재(73F)는 시일부(191F)와 시일부(192F)와 수압부(193F)와 수압부(194F)를 갖고 있다. 시일부(191F)는 벽면부(121F)에 접촉하여 벽면부(121F)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192F)는 벽면부(122F)에 접촉하여 벽면부(122F)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191F, 192F)도 시일실(171F)에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73F)는 시일부(191F, 192F)가 스로틀(172F, 401F) 측에서 하실 측 통로(355F, 356F)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한다. 시일부(191F, 192F)는 하실 측 통로(355F, 356F) 측에서 스로틀(172F, 401F)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도 억제한다. 수압부(193F)는 시일 부재(73F)의 맞댐면(371F) 측에 있다. 수압부(193F)는 상실 측 통로(181F)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수압부(194F)는 시일 부재(73F)의 바닥면부(123F) 측에 있다. 수압부(194F)는 하실 측 통로(355F, 356F)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73F)는 상실 측 통로(181F)에 연통되는 상실 연통실(185F)과 하실 측 통로(355F, 356F)에 연통되는 하실 연통실(186F)로 시일실(171F) 내부를 구획하는 시일 기능을 갖는다. 시일 부재(73F)는 이러한 시일 기능과 탄성 변형하는 특성을 더불어 갖는다.
시일 부재(380F)는 그 내경이 시일 부재(73F)의 외경보다 대직경이다. 시일 부재(380F)는 시일실(411F)에 수납되어 있다. 시일 부재(380F)는 중간 환상 홈(381F)의 벽면부(391F)와 벽면부(392F)에 동시에 접촉한다. 이때, 시일 부재(380F)는 시일 부재(380F)의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시일 부재(380F)는 시일실(411F) 내에서 시일 부재(380F)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380F)는 시일실(411F) 내에서 시일 부재(380F)의 축방향으로 변형한다. 시일 부재(380F)는 시일실(411F) 내에서 하실 측 통로(415F) 및 하실 측 통로(416F) 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380F)는 시일실(411F) 내에서 스로틀(302F, 401F) 측으로 변형 가능하다.
시일 부재(380F)는 시일부(421F)와 시일부(422F)와 수압부(423F)와 수압부(424F)를 갖고 있다. 시일부(421F)는 벽면부(391F)에 접촉하여 벽면부(391F)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422F)는 벽면부(392F)에 접촉하여 벽면부(392F)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421F, 422F)도 시일실(411F)에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380F)는 시일부(421F, 422F)가 스로틀(302F, 401F) 측에서 하실 측 통로(415F, 416F)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한다. 시일부(421F, 422F)는 하실 측 통로(415F, 416F) 측에서 스로틀(302F, 401F)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도 억제한다. 수압부(423F)는 시일 부재(380F)의 맞댐면(371F) 측에 있다. 수압부(423F)는 상실 측 통로(181F)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수압부(424F)는 시일 부재(380F)의 바닥면부(393F) 측에 있다. 수압부(424F)는 하실 측 통로(415F, 416F)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380F)는 시일실(171F) 및 스로틀(401F)을 통해 상실 측 통로(181F)에 연통되는 상실 연통실(425F)과 하실 측 통로(415F, 416F)에 연통되는 하실 연통실(426F)로 시일실(411F) 내부를 구획하는 시일 기능을 갖는다. 시일 부재(380F)는 이러한 시일 기능과 탄성 변형하는 특성을 더불어 갖는다.
시일실(171F, 411F)과 스로틀(172F, 401F, 302F)과 파일럿실(211F)과 하실 측 통로(355F, 356F, 415F, 416F)와 시일 부재(73F, 380F)가 피스톤(18)의 왕복동의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F)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F)는 파일럿 케이스(75F)에 설치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F)는 시일실(171F, 411F), 하실 측 통로(355F, 356F, 415F, 416F) 및 스로틀(172F, 401F, 302F)이 케이스 부재(71F)와 덮개 디스크(361F)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F)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72F)을 통해 시일실(171F)의 상실 연통실(185F)에 도입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F)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72F)과 상실 연통실(185F)과 스로틀(401F)을 통해 시일실(411F)의 상실 연통실(425F)에 도입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F)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72F)과 상실 연통실(185F)과 스로틀(401F)과 상실 연통실(425F)과 스로틀(302F)을 통해 파일럿실(211F)에 도입한다. 감쇠력 발생 기구(41F)는 파일럿실(211F)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의 밸브 개방을 제어한다.
로드실(90)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F)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된다. 상실 측 통로(181F)는 시일실(171F)의 상실 연통실(185F)에 연통된다. 상실 측 통로(181F)는 상실 연통실(185F)과 스로틀(401F)을 통해 시일실(411F)의 상실 연통실(425F)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355F, 356F)는 모두 시일실(171F)의 하실 연통실(186F)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415F, 416F)는 모두 시일실(411F)의 하실 연통실(426F)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355F, 356F, 415F, 416F)는 모두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355F)와 하실 측 통로(356F) 중 한쪽만을 형성하여도 좋다. 하실 측 통로(415F)와 하실 측 통로(416F) 중 한쪽만을 형성하여도 좋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상기 부품을 조립해 붙이는 경우, 덮개 디스크(361E) 대신에 덮개 디스크(361F)를 조립해 붙인다. 또한, 케이스 부재(71E) 대신에 케이스 부재(71F)를 조립해 붙인다. 이때, 미리 케이스 부재(71F)에 시일 부재(73F, 380F)를 조립해 붙여 놓는다. 이들 이외에는 제6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조립해 붙인다. 이에 따라, 파일럿 케이스(75F)는 감쇠 밸브(63)를 파일럿 케이스(75F)와 피스톤(18)에 의해 협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 부재(71F)가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또한, 덮개 디스크(361F)가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완충기(1F)에서는 덮개 디스크(361F)의 시트면이 되는 케이스 부재(71F)의 면부(95F)에 스로틀(172F, 401F, 302F)이 형성되어 있다. 스로틀(172F)은 로드실(90)과 시일실(171F)을 연통시키고 있다. 스로틀(401F)은 시일실(171F)과 시일실(411F)을 연통시키고 있다. 스로틀(302F)은 시일실(411F)과 파일럿실(211F)을 연통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로드실(90)에서부터 파일럿실(211F)까지가 동압으로 되어 덮개 디스크(361F)는 밸브로서의 기능을 갖지 않는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F)의 피스톤(18)의 주변 부분의 유압 회로도를 도 19에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완충기(1F)에서는 로드실(90)이 스로틀(172F)을 통해 시일실(171F)의 상실 연통실(185F)에 연통되어 있다. 상실 연통실(185E)은 스로틀(401F)을 통해 시일실(411F)의 상실 연통실(425F)에 연통되어 있다. 상실 연통실(425F)은 스로틀(302F)을 통해 파일럿실(211F)에 연통되어 있다. 상실 측 통로(181F)는 로드실(90) 및 스로틀(172F)로 이루어져 있다. 시일실(171F)의 하실 연통실(186F)은 하실 측 통로(355F, 356F)를 통해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시일실(411F)의 하실 연통실(426F)은 하실 측 통로(415F, 416F)를 통해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F)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 통로(210)로부터 스로틀(198) 및 상실 측 통로(181F)를 통해 시일실(171F)의 상실 연통실(185F)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이와 더불어 상실 연통실(185F)로부터 스로틀(401F)을 통해 시일실(411F)의 상실 연통실(425F)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F)가 시일 부재(73F)의 축방향을 따라 피스톤(18)과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F)의 하실 연통실(186F)로부터 하실 측 통로(355F, 356F)를 통해 오일액이 하실(20)로 배출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시일 부재(380F)가 시일 부재(380F)의 축방향을 따라 피스톤(18)과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411F)의 하실 연통실(426F)로부터 하실 측 통로(415F, 416F)를 통해 오일액이 하실(20)로 배출된다. 완충기(1F)는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 측 통로(355F, 356F)를 통해 하실(20)로부터 시일실(171F)의 하실 연통실(186F)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F)가 시일 부재(73F)의 축방향을 따라 피스톤(18) 측으로 이동하여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F)의 상실 연통실(185F)로부터 상실 측 통로(181F) 및 스로틀(198)을 통해 오일액이 피스톤 통로(210), 즉 상실(19)로 배출된다. 또한, 완충기(1F)는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 측 통로(415F, 416F)를 통해 하실(20)로부터 시일실(411F)의 하실 연통실(426F)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380F)가 시일 부재(380F)의 축방향을 따라 피스톤(18) 측으로 이동하여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411F)의 상실 연통실(425F)로부터 스로틀(401F), 상실 연통실(185F), 상실 측 통로(181F) 및 스로틀(198)을 통해 오일액이 피스톤 통로(210), 즉 상실(19)로 배출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F)에 있어서의 이들 이외의 작동은 완충기(1A)와 거의 동일하다.
제7 실시형태의 완충기(1F)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되는 상실 측 통로(181F)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F)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되는 하실 측 통로(355F, 356F, 415F, 416F)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F)는 상실 측 통로(181F)와 하실 측 통로(355E, 356E, 415F, 416F)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실(171F, 411F)을 갖고 있다. 그리고, 완충기(1F)는 시일실(171F)에 고무 탄성을 가진 시일 부재(73F)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F)는 시일실(411F)에 고무 탄성을 가진 시일 부재(380F)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완충기(1F)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F)가 시일 부재(73F)를 시일실(171F) 내에서, 시일 부재(380F)를 시일실(411F) 내에서 각각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완충기(1F)는 파일럿실(211F)이 상실 측 통로(181F)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F)는 바이패스 통로(225C)가 상실 측 통로(181F)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F)는 파일럿실(211F)이 형성되는 파일럿 케이스(75F)가 감쇠 밸브(63)를 파일럿 케이스(75F)와 피스톤(18)에 의해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F)는 시일실(171F, 411F)과 하실 측 통로(355F, 356F, 415F, 416F)가 케이스 부재(71F)와 덮개 디스크(361F)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완충기(1F)는 완충기(1)와 마찬가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완충기(1F)는 파일럿 케이스(75F)에 파일럿 케이스(75F)의 축방향에 있어서 중첩하는 위치에 파일럿실(211F)과 시일실(171F, 411F)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일럿 케이스(75F)의 축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완충기(1F)는 파일럿 케이스(75F)에 판재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덮개 디스크(361F)를 이용한다. 이 때문에, 파일럿 케이스(75F)를 구성하는 부품을 양쪽 모두 소결에 의해 형성되는 부품 혹은 절삭에 의해 형성되는 부품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완충기(1F)는 시일실(171F, 411F)을 병렬로 설치하여 이들 사이에 스로틀(401F)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로틀(401F)을 조정함으로써 시일 부재(73F) 및 시일 부재(380F) 각각의 압력을 컨트롤할 수 있다. 그 결과, 피스톤 주파수가 고주파일 때의 감쇠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시일 부재(73F) 및 시일 부재(380F) 각각의 특성을 바꿈으로써 피스톤 주파수가 고주파일 때의 감쇠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완충기(1F)는 덮개 디스크(361F)의 외경을 시일실(411F)의 벽면부(392F)보다 대직경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시일 부재(73F) 및 시일 부재(380F)를 1개의 덮개 디스크(361F)로 케이스 부재(71F) 내에 고정해 둘 수 있다.
[제8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주로 도 20에 기초하여 제2, 제5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2, 제5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2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1G)는 파일럿 케이스(75D) 대신에 파일럿 케이스(75G)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G)는 케이스 부재(71D)와는 일부 다른 케이스 부재(71G)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G)는 시트 부재(72D) 대신에 덮개 디스크(361G)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G) 내에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시일 부재(73A)가 마련되어 있다. 완충기(1G)는 제5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디스크(64)가 여러 개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64)는 구체적으로는 3개 겹쳐져 있다. 완충기(1G)는 디스크(431G) 및 디스크(432G)를 갖고 있다.
케이스 부재(71G), 덮개 디스크(361G) 및 디스크(431G, 432G)는 모두 금속제이다. 케이스 부재(71G)는 깎아내기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덮개 디스크(361G) 및 디스크(431G, 432G)는 판재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G), 덮개 디스크(361G) 및 디스크(431G, 432G)는 모두 원환형이다. 케이스 부재(71G), 덮개 디스크(361G) 및 디스크(431G, 432G)는 모두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를 감합시키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G)는 피스톤 로드(21)의 축방향에 있어서 부착 축부(28)의 통로 홈(30)과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71G)는 부재 본체부(91G)와 돌출부(92G)를 갖고 있다. 부재 본체부(91G)는 원환형이다. 돌출부(92G)도 원환형이다. 돌출부(92G)는 부재 본체부(91G)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G)의 중심 축선과 돌출부(92G)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이들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G)의 중심 축선으로 된다. 돌출부(92G)는 케이스 부재(71G)의 축방향에서의 부재 본체부(91G)의 일단 측의 면부(95G)로부터 케이스 부재(71G)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면부(95G)는 케이스 부재(71G)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여 넓어져 있다. 케이스 부재(71G)는 케이스 부재(71G)의 축방향에서의 돌출부(92G)의 부재 본체부(91G)와는 반대쪽의 단부면이 디스크(64)에 접촉한다.
케이스 부재(71G)에는 관통 구멍(101G)과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과 피스톤 측 환상 홈(103G)과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G)과 통로 구멍(301G)과 통로 구멍(441G)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G)은 케이스 부재(71G)의 직경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01G)은 케이스 부재(71G)를 케이스 부재(71G)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101G)은 부재 본체부(91G)의 내주면과 돌출부(92G)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G)는 내주면이 원통면 형상이다. 부재 본체부(91G)는 외주면도 원통면 형상이다. 관통 구멍(101G)은 그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71G)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부재 본체부(91G)에는 부재 본체부(91G)의 축방향에서의 면부(95G)와는 반대쪽에 면부(96G) 및 면부(445G)를 갖고 있다. 면부(445G)는 부재 본체부(91G)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면부(96G)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면부(96G)는 부재 본체부(91G)의 축방향에 있어서 면부(445G)보다 면부(95G) 측에 배치되어 있다. 부재 본체부(91G)에는 면부(96G)에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이 형성되어 있다. 면부(96G, 445G)는 모두 케이스 부재(71G)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여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은 면부(96G)로부터 부재 본체부(91G)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은 관통 구멍(101G)을 부재 본체부(91G)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은 원환형이다.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G)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은 벽면부(121G)와 벽면부(122G)와 바닥면부(123G)를 갖고 있다. 벽면부(122G)는 부재 본체부(91G)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21G)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21G)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1G)는 부재 본체부(91G)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22G)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22G)는 부재 본체부(91G)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23G)는 벽면부(121G)의 면부(96G)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22G)의 면부(96G)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23G)는 면부(96G)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21G)의 중심 축선, 벽면부(122G)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23G)의 중심 축선이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의 중심 축선이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G)은 부재 본체부(91G)의 면부(95G)로부터 부재 본체부(91G)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G)은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보다 부재 본체부(91G)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틀어져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G)은 원환형이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G)은 그 중심 축선이 관통 구멍(101G)의 중심 축선과 일치해 있다.
피스톤 측 환상 홈(103G)은 벽면부(131G)와 벽면부(132G)와 바닥면부(133G)를 갖고 있다. 벽면부(132G)는 부재 본체부(91G)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31G)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132G)는 부재 본체부(91G)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131G)는 테이퍼면이다. 벽면부(131G)는 부재 본체부(91G)의 축방향에 있어서 면부(95G)에 근접할수록 외경이 소직경으로 된다. 벽면부(132G)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132G)는 부재 본체부(91G)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133G)는 벽면부(131G)의 면부(95G)와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132G)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133G)는 면부(95G)와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131G)의 중심 축선, 벽면부(132G)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133G)의 중심 축선이 피스톤 측 환상 홈(103G)의 중심 축선이다.
통로 구멍(301G)은 부재 본체부(91G)의 축방향을 따르고 있다. 통로 구멍(301G)은 부재 본체부(91G)의 면부(95G)에서부터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의 바닥면부(123G)까지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301G)은 부재 본체부(91G)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바닥면부(123G)의 중앙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통로 구멍(301G) 안의 통로는 스로틀(302G)을 구성한다.
통로 구멍(441G)은 부재 본체부(91G)의 직경 방향을 따르고 있다. 통로 구멍(441G)은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의 벽면부(122G)에서부터 부재 본체부(91G)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통로 구멍(441G)은 부재 본체부(91G)의 축방향에 있어서 벽면부(122G)의 바닥면부(123G)와는 반대쪽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통로 구멍(441G) 안의 통로는 하실 측 통로(173G)(제3 통로)를 구성한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G)은 돌출부(92G)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G)은 케이스 부재(71G)의 축방향에서의 돌출부(92G)의 부재 본체부(91G)와는 반대쪽의 선단면으로부터 케이스 부재(71G)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G)은 돌출부(92G)의 내주면에서부터 돌출부(92G)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G)은 돌출부(92G)를 돌출부(92G)의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G)은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G) 안의 통로는 로드실(90)에 연통되는 스로틀(106G)로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G)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밸브 시트부(153)를 갖고 있다. 밸브 시트부(153)는 부재 본체부(91G)의 면부(445G)로부터 부재 본체부(91G)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해 있다. 밸브 시트부(153)에 하드 밸브(221)의 디스크(82)가 접촉한다. 하드 밸브(221)와 시트 부재(72) 사이는 로드실(90)에 연통되는 바이패스 통로(225G)로 되어 있다.
덮개 디스크(361G)는 그 축방향에서의 일단 측에 맞댐면(165G)을 갖고 있다. 덮개 디스크(361G)는 맞댐면(165G)이 케이스 부재(71G)의 면부(96G)에 면접촉한다. 그러면, 케이스 부재(71G)와 덮개 디스크(361G)가 시일실(171G)(통로부)를 형성한다.
디스크(431G)는 그 외경이 덮개 디스크(361G)의 외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432G)는 그 외경이 덮개 디스크(361G)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또한 디스크(431G)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431G)는 덮개 디스크(361G)와 디스크(432G) 사이에 있으며 이들에 접촉한다. 디스크(432G)는 디스크(431G)와 디스크(82) 사이에 있으며 이들에 접촉한다. 디스크(432G)에는 내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디스크(432G)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절결(451G)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451G) 안의 통로는 스로틀(452G)로 되어 있다. 스로틀(452G)은 바이패스 통로(225G)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스로틀(452G)은 로드실(90)에 개구되어 있다. 스로틀(452G)은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시일실(171G)은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G)은 벽면부(121G)와 벽면부(122G)와 바닥면부(123G)와 맞댐면(165G)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실(171G)은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실(171G)의 중심 축선과 관통 구멍(101G)의 중심 축선은 일치해 있다. 스로틀(302G)은 시일실(171G)에 연통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G)는 일단이 시일실(171G)에 연통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G)는 타단이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시일실(171G)은 하실 측 통로(173G)와 스로틀(302G)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G)의 축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71G)의 피스톤 측 환상 홈(103G) 측에 감쇠 밸브(63)가 배치된다. 이때, 여러 개의 디스크(64)가 감쇠 밸브(63)의 디스크(201)와 케이스 부재(71G)의 돌출부(92G) 사이에 배치된다. 감쇠 밸브(63)는 시일부(202)가 케이스 부재(71G)의 벽면부(132G)에 전체 둘레에 걸쳐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액밀하게 감합되어 있다. 시일부(202)는 감쇠 밸브(63)와 벽면부(132G)의 간극을 항상 시일한다. 감쇠 밸브(63)와 케이스 부재(71G)와 여러 장의 디스크(64)가 파일럿실(211G)을 형성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 케이스(75G)는 그 케이스 부재(71G)에 파일럿실(211G)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실(211G)은 피스톤 측 환상 홈(103G)의 내측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파일럿실(211G)은 감쇠 밸브(63)에 피스톤(18)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실(211G)은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와 밸브 시트부(47) 사이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힘을 감쇠 밸브(63)에 생기게 한다.
파일럿실(211G)은 스로틀(106G)을 통해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75G)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시일실(171G)과 파일럿실(211G)이 위치를 중첩하고 있다.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1G)는 감쇠력 발생 기구(41)에 대하여 파일럿실(211)과는 다른 파일럿실(211G)을 갖는다는 점이 상이한 감쇠력 발생 기구(41G)를 갖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G)도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피스톤 통로(210)에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G)도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마찬가지로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이다.
스로틀(302G)은 일단이 시일실(171G)에 개구되고 타단이 파일럿실(211G)에 개구되어 있다. 스로틀(302G)은 시일실(171G)과 파일럿실(211G)에 연통되어 있다. 로드실(90), 스로틀(106G, 302G) 및 파일럿실(211G)이 상실 측 통로(181G)(제2 통로)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G)에 수납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덮개 디스크 측 환상 홈(102G)의 벽면부(121G)와 벽면부(122G)에 동시에 접촉한다. 이때, 시일 부재(73A)는 시일 부재(73A)의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G)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G) 내에서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으로 변형한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G) 내에서 하실 측 통로(173G) 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실(171G) 내에서 스로틀(302G) 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부(191D)와 시일부(192D)와 수압부(193D)와 수압부(194D)를 갖고 있다. 시일부(191D)는 벽면부(121G)에 접촉하여 벽면부(121G)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192D)는 벽면부(122G)에 접촉하여 벽면부(122G)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191D, 192D)도 시일실(171G)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A)는 시일부(191D, 192D)가 상실 측 통로(181G) 측에서 하실 측 통로(173G)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한다. 시일부(191D, 192D)는 하실 측 통로(173G) 측에서 상실 측 통로(181G) 측으로의 오일액의 유동도 억제한다. 수압부(193D)는 시일 부재(73A)의 바닥면부(123G) 측에 있다. 수압부(193D)는 상실 측 통로(181G)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수압부(194D)는 시일 부재(73A)의 맞댐면(165G) 측에 있다. 수압부(194D)는 하실 측 통로(173G) 측의 압력을 수압한다. 시일 부재(73A)는 상실 측 통로(181G)에 연통되는 상실 연통실(185G)과 하실 측 통로(173G)에 연통되는 하실 연통실(186G)로 시일실(171G) 내부를 구획하는 시일 기능을 갖는다. 시일 부재(73A)는 이러한 시일 기능과 탄성 변형하는 특성을 더불어 갖는다.
시일실(171G)과 스로틀(106G, 302G)과 파일럿실(211G)과 하실 측 통로(173G)와 시일 부재(73)가 피스톤(18)의 왕복동의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G)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G)는 파일럿 케이스(75G)에 설치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G)는 시일실(171G), 하실 측 통로(173G) 및 스로틀(302G)이 케이스 부재(71G)와 덮개 디스크(361G)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G)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06G)을 통해 파일럿실(211G)에 도입한다. 감쇠력 발생 기구(41G)는 파일럿실(211G)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63)의 밸브 개방을 제어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G)는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 흐름의 일부를 스로틀(198)과 로드실(90)과 스로틀(106G)과 파일럿실(211G)과 스로틀(302G)을 통해 시일실(171G)의 상실 연통실(185G)에 도입한다.
로드실(90)을 포함하는 상실 측 통로(181G)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된다. 상실 측 통로(181G)는 시일실(171G)의 상실 연통실(185G)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173G)는 시일실(171G)의 하실 연통실(186G)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173G)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된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상기 부품을 조립해 붙이는 경우, 1장의 디스크(64)가 아니라 4장의 디스크(64)를 조립해 붙인다. 그와 더불어, 케이스 부재(71D) 대신에 케이스 부재(71G)를 조립해 붙이며 또한 시트 부재(72D) 대신에 덮개 디스크(361G)를 조립해 붙인다. 추가로 디스크(431G, 432G)를 조립해 붙인다. 이들 이외에는 제5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조립해 붙인다. 이에 따라, 파일럿 케이스(75G)는 감쇠 밸브(63)를 파일럿 케이스(75G)와 피스톤(18)에 의해 협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 부재(71G)가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또한, 덮개 디스크(361G)가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G)의 피스톤(18)의 주변 부분의 유압 회로도는 도 7에 도시하는 완충기(1A)의 유압 회로도와 같은 식으로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G)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 통로(210)로부터 스로틀(198) 및 상실 측 통로(181G)를 통해 시일실(171G)의 상실 연통실(185G)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을 따라 피스톤(18)과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G)의 하실 연통실(186G)로부터 하실 측 통로(173G)를 통해 오일액이 하실(20)로 배출된다. 완충기(1G)는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 측 통로(173G)를 통해 하실(20)로부터 시일실(171G)의 하실 연통실(186G)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을 따라 피스톤(18) 측으로 이동하여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G)의 상실 연통실(185G)로부터 상실 측 통로(181G) 및 스로틀(198)을 통해 오일액이 피스톤 통로(210), 즉 상실(19)로 배출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G)에 있어서의 이들 이외의 작동은 완충기(1A)와 거의 동일하다.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1G)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상류 측에 스로틀(198)을 통해 연통되는 상실 측 통로(181G)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G)는 신장 행정에서의 피스톤 통로(210)의 오일액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되는 하실 측 통로(173G)를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1G)는 상실 측 통로(181G)와 하실 측 통로(173G)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실(171G)을 갖고 있다. 그리고, 완충기(1G)는 시일실(171G)에 고무 탄성을 가진 시일 부재(73A)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완충기(1G)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G)가 시일 부재(73A)를 시일실(171G) 내에서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완충기(1G)는 파일럿실(211G)이 상실 측 통로(181G)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완충기(1G)는 바이패스 통로(225G)가 상실 측 통로(181G)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G)는 파일럿실(211G)이 형성되는 파일럿 케이스(75G)가 감쇠 밸브(63)를 파일럿 케이스(75G)와 피스톤(18)에 의해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1G)는 시일실(171G)과 하실 측 통로(173G)가 케이스 부재(71G)와 덮개 디스크(361G)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완충기(1G)는 완충기(1)와 마찬가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기(1G)에서는 돌출부(92G)의 피스톤 측 직경 방향 홈(105G)을 없애고 디스크(61)와 같은 식의 스로틀 형성 디스크를 돌출부(92G)와 감쇠 밸브(63) 사이에 두어도 좋다. 이에 따라, 스로틀(106G)을 절결(197)과 마찬가지로 스로틀 형성 디스크의 절결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스로틀 형성 디스크의 교환으로 스로틀(106G)의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스로틀(106G)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제9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주로 도 21 및 도 22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2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9 실시형태의 완충기(1H)는 파일럿 케이스(75) 대신에 파일럿 케이스(75H)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H)는 케이스 부재(71)와는 일부 다른 케이스 부재(71H)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H)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시트 부재(72)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H) 내에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시일 부재(73)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71H)는 케이스 부재(71H)의 직경 방향에서의 폭이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보다 넓은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H)을 갖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H)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벽면부(121)를 갖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H)은 케이스 부재(71H)의 직경 방향에서의 위치가 제1 실시형태의 벽면부(122)보다 외측에 있는 벽면부(122H)를 갖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H)은 케이스 부재(71H)의 직경 방향에서의 폭이 제1 실시형태의 바닥면부(123)보다 큰 바닥면부(123H)를 갖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H)의 케이스 부재(71H)의 직경 방향에서의 폭이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보다 넓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H)의 폭이 넓어진 만큼 면부(96)에 대하여 면적이 좁은 면부(96H)를 케이스 부재(71H)는 갖고 있다. 시트 부재 측 환상 홈(102H)의 폭이 넓어진 만큼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에 대하여 짧은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H)을 갖고 있다. 시트 부재 측 직경 방향 홈(104H)은 외측 홈부(142)에 대하여 짧은 외측 홈부(142H)를 갖고 있다.
이로써, 파일럿 케이스(75H)는 케이스 부재(71H)의 직경 방향에서의 폭이 시일실(171)보다 넓은 시일실(171H)을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H)는 케이스 부재(71H)의 직경 방향에서의 길이가 하실 측 통로(173)보다 짧은 하실 측 통로(173H)를 갖고 있다.
시일실(171H) 내에 시일 부재(73)가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73)는 시일부(191)가 맞댐부(165)와의 간극을 시일한다. 시일 부재(73)는 시일부(192)가 바닥면부(123H)와의 간극을 시일한다. 이로써, 시일 부재(73)는 시일실(171H)을 상실 연통실(185H)과 하실 연통실(186H)로 구획하고 있다. 상실 연통실(185H)은 스로틀(172)을 통해 로드실(90)에 연통되어 있다. 하실 연통실(186H)은 하실 측 통로(173H)를 통해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완충기(1H)는 시일실(171H) 내에 압박 부재(461H)가 마련되어 있다. 압박 부재(461H)는 금속제이며 시일실(171H)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시일 부재(73)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압박 부재(461H)는 시일 부재(73)가 직경이 확장될 때 이것에 추종하여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때, 압박 부재(461H)는 시일 부재(73)를 시일 부재(73)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으로 압박시킨다. 압박 부재(461H)는 원환을 일부 파단한 C자형의 링이다. 압박 부재(461H)로서는 띠판을 스파이럴 형으로 감은 스파이럴 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압박 부재(461H)는 케이스 부재(71H)의 축방향에서의 길이가 시일실(171H)의 동일 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즉, 압박 부재(461H)는 시일실(171H) 내부를 구획하지 않는다.
스로틀(172)과 시일실(171H)과 하실 측 통로(173H)와 시일 부재(73)와 압박 부재(461H)가 피스톤(18)의 왕복동의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H)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H)는 파일럿 케이스(75H) 내에 마련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H)는 그 시일실(171H), 하실 측 통로(173H) 및 스로틀(172)이 케이스 부재(71H)와 시트 부재(72)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173H)는 시일실(171H)의 하실 연통실(186H)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173H)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된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상기 부품을 조립해 붙이는 경우, 케이스 부재(71) 대신에 케이스 부재(71H)를 조립해 붙인다. 또한, 시일 부재(73)에 더하여 압박 부재(461H)를 조립해 붙인다. 이들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조립해 붙인다. 이에 따라, 케이스 부재(71H)가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H)의 피스톤(18)의 주변 부분의 유압 회로도를 도 22에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완충기(1H)에서는 시일 부재(73)의 강성이 시일 부재(73)의 스프링 상수와 압박 부재(461H)의 스프링 상수의 합으로 표시된다는 점이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와 상이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H)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 통로(210)로부터 스로틀(198) 및 상실 측 통로(181)를 통해 시일실(171H)의 상실 연통실(185H)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가 시일 부재(73)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변형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가 압박 부재(461H)를 시일 부재(73)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변형시킨다. 이때, 시일실(171H)의 하실 연통실(186H)로부터 하실 측 통로(173H)를 통해 오일액이 하실(20)로 배출된다. 완충기(1H)는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 측 통로(173H)를 통해 하실(20)로부터 시일실(171H)의 하실 연통실(186H)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가 시일 부재(73)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H)의 상실 연통실(185H)로부터 상실 측 통로(181) 및 스로틀(198)을 통해 오일액이 피스톤 통로(210), 즉 상실(19)로 배출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H)에 있어서의 이들 이외의 작동은 완충기(1)와 거의 동일하다.
제9 실시형태의 완충기(1H)는 시일실(171H) 내에 시일 부재(73)와는 별도로 시일 부재(73)를 압박시키는 압박 부재(461H)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73)의 스프링 상수보다 압박 부재(461H)의 스프링 상수를 크게 함으로써, 피스톤 주파수가 고주파일 때의 신장 행정에서의 감쇠력 특성을 압박 부재(461H)의 이동에 지배적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시일 부재(73)의 온도에 의한 스프링 특성 변화의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제10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주로 도 23 및 도 24에 기초하여 제5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2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0 실시형태의 완충기(1J)는 파일럿 케이스(75D) 대신에 파일럿 케이스(75J)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J)는 시트 부재(72D)와는 일부 다른 시트 부재(72J)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J)는 제5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케이스 부재(71D)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J) 내에 제5 실시형태와 같은 식의 시일 부재(73A)가 마련되어 있다.
시트 부재(72J)는 부재 본체부(151J)가 부재 본체부(151D)와는 일부 다르다. 부재 본체부(151J)에는 맞댐면(165D) 대신에 맞댐면(165J)이 형성되어 있다. 맞댐면(165J)도 부재 본체부(151J)의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넓어져 있다. 부재 본체부(151J)는 맞댐면(165J)이 케이스 부재(71D)의 면부(96D)에 면접촉한다. 부재 본체부(151J)에는 맞댐면(165J)으로부터 시트 부재(72J)의 축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는 케이스 부재 측 환상 홈(471J)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 측 환상 홈(471J)은 벽면부(481J)와 벽면부(482J)와 바닥면부(483J)를 갖고 있다. 벽면부(482J)는 부재 본체부(151J)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벽면부(481J)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벽면부(481J)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481J)는 부재 본체부(151J)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있다. 벽면부(482J)는 원통면 형상이다. 벽면부(482J)는 부재 본체부(151J)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있다. 바닥면부(483J)는 벽면부(481J)의 맞댐면(165J)과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와 벽면부(482J)의 맞댐면(165J)과는 반대쪽의 단가장자리부를 잇고 있다. 바닥면부(483J)는 맞댐면(165J)과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벽면부(481J)의 중심 축선, 벽면부(482J)의 중심 축선 및 바닥면부(483J)의 중심 축선이 케이스 부재 측 환상 홈(471J)의 중심 축선이다.
케이스 부재(71D) 및 시트 부재(72J)가 피스톤 로드(21)에 조립해 붙여지면 면부(96D)와 맞댐면(165J)이 면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벽면부(121D, 481J)가 동일한 원통면에 배치되고 벽면부(122D, 482J)가 동일한 원통면에 배치된다.
이로써, 파일럿 케이스(75J)는 파일럿 케이스(75J)의 축방향에서의 길이가 제5 실시형태의 시일실(171D)보다 긴 시일실(171J)을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J)는 파일럿 케이스(75J)의 축방향에서의 길이가 제5 실시형태의 통로 구멍(350D)보다 짧은 통로 구멍(350J)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J)는 파일럿 케이스(75J)의 축방향에서의 길이가 제5 실시형태의 통로 구멍(351D)보다 짧은 통로 구멍(351J)을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J)는 파일럿 케이스(75J)의 축방향에서의 길이가 제5 실시형태의 하실 측 통로(355D)보다 짧은 하실 측 통로(355J)를 갖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75J)는 파일럿 케이스(75J)의 축방향에서의 길이가 제5 실시형태의 하실 측 통로(356D)보다 짧은 하실 측 통로(356J)를 갖고 있다. 시일실(171J)을 시일 부재(73A)가 상실 연통실(185J)과 하실 연통실(186J)로 구획하고 있다. 상실 연통실(185J)은 스로틀(302D)을 통해 파일럿실(211D)에 연통되어 있다. 하실 연통실(186J)은 하실 측 통로(355J, 356J)를 통해 하실(20)에 연통되어 있다.
제10 실시형태의 완충기(1J)는 시일실(171J) 내에 시일 부재(73A)에 더하여 압박 부재(461J)가 설치되어 있다. 압박 부재(461J)는 금속제이며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에 있어서 시일 부재(73A)에 대하여 피스톤(18)과는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압박 부재(461J)는 시일 부재(73A)가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에 있어서 피스톤(18)과는 반대쪽으로 이동할 때에 이것에 추종하여 압박 부재(461J)의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때, 압박 부재(461J)는 시일 부재(73A)를 시일실(171F)의 축방향에서의 피스톤(18) 측으로 압박시킨다. 압박 부재(461J)는 원환형의 접시스프링이다. 압박 부재(461J)는 변형 시에도 시일실(171J)의 직경에 있어서의 폭이 시일실(171J)의 같은 방향의 폭보다 짧게 되도록 되어 있다. 즉, 압박 부재(461J)는 시일실(171J) 내부를 구획하지 않는다.
스로틀(302D)과 시일실(171J)과 하실 측 통로(355J, 356J)와 시일 부재(73A)와 압박 부재(461J)가 피스톤(18)의 왕복동의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J)를 구성하고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J)는 파일럿 케이스(75J) 내에 설치되어 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J)는 스로틀(302D), 시일실(171J) 및 하실 측 통로(355J, 356J)가 케이스 부재(71D)와 시트 부재(72J)의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하실 측 통로(355J, 356J)는 시일실(171J)의 하실 연통실(186J)에 연통된다. 하실 측 통로(355J, 356J)는 신장 행정에서의 오일액의 피스톤 통로(210)에서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감쇠 밸브(63)의 하류 측에 있는 하실(20)에 연통된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21)의 부착 축부(28)에 상기 부품을 조립해 붙이는 경우, 시트 부재(72D) 대신에 시트 부재(72J)를 조립해 붙인다. 또한, 시일 부재(73A)에 더하여 압박 부재(461J)를 조립해 붙인다. 이들 이외에는 제5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조립해 붙인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72J)가 중심 축선을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과 일치시킨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J)의 피스톤(18)의 주변 부분의 유압 회로도는 도 24에 도시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완충기(1J)에서는 시일 부재(73A)의 강성이 시일 부재(73A)의 스프링 상수와 압박 부재(461J)의 스프링 상수의 합으로 표시된다는 점이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1D)와 상이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완충기(1J)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 통로(210)로부터 스로틀(198) 및 상실 측 통로(181D)를 통해 시일실(171J)의 상실 연통실(185J)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에서의 피스톤(18)과는 반대쪽으로 이동하도록 변형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압박 부재(461J)를 시일 부재(73)의 축방향에서의 피스톤(18)과는 반대쪽으로 이동하도록 변형시킨다. 이때, 시일실(171J)의 하실 연통실(186J)로부터 하실 측 통로(355J, 356J)를 통해 오일액이 하실(20)로 배출된다. 완충기(1J)는 축소 행정에서는 하실 측 통로(355J, 356J)를 통해 하실(20)로부터 시일실(171J)의 하실 연통실(186J)에 오일액이 도입된다. 그러면, 시일 부재(73A)가 시일 부재(73A)의 축방향에서의 피스톤(18) 측으로 이동하도록 변형한다. 이때, 시일실(171J)의 상실 연통실(185J)로부터 상실 측 통로(181D) 및 스로틀(198)을 통해 오일액이 피스톤 통로(210), 즉 상실(19)로 배출된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J)에 있어서의 이들 이외의 작동은 완충기(1)와 거의 동일하다.
제10 실시형태의 완충기(1J)는, 시일실(171J) 내에 시일 부재(73A)와는 별도로 시일 부재(73A)를 압박시키는 압박 부재(461J)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73A)의 스프링 상수보다 압박 부재(461J)의 스프링 상수를 크게 함으로써 피스톤 주파수가 고주파일 때의 신장 행정에서의 감쇠력 특성을 압박 부재(461J)의 이동에 지배적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시일 부재(73A)의 온도에 의한 스프링 특성 변화의 영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제1~제10 실시형태에서는 시일 부재(73, 73A, 73B, 73F, 380F)가 O 링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시일 부재(73, 73A, 73B, 73F, 380F)를 각각의 중심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X자 형상인 X 패킹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제1~제10 실시형태에서는 시일 부재(73, 73A, 73B, 73F, 380F)가 각각의 직경 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시일 부재(73, 73A, 73B, 73F, 380F)가 각각 축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 경우, 시일실(171, 171A~171H, 171J, 411F)을 시일 부재(73, 73A, 73B, 73F, 380F)의 축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형성한다.
또한, 이상의 제1~제10 실시형태에서는 주파수 감응 기구(195, 195A~195H, 195J)를 피스톤 로드(21)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주파수 감응 기구(195, 195A~195H, 195J)를 베이스 밸브(25)에 설치하여도 좋다. 혹은 외통(4)의 외주부에 부착되는 밸브 기구를 갖는 경우, 이 밸브 기구에 주파수 감응 기구(195, 195A~195H, 195J)를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한 완충기 및 주파수 감응 기구에 의하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1, 1A~1H, 1J: 완충기 2: 실린더
18: 피스톤 19: 상실
20: 하실 63: 감쇠 밸브
71, 71A~71H, 71J: 케이스 부재 72, 72C, 72D, 72J: 시트 부재
73, 73A, 73B, 73F, 380F: 시일 부재(탄성 부재, 이동 부재)
75, 75A~75H, 75J: 파일럿 케이스
171, 171A~171H, 171J: 시일실(통로부)
173, 173A~173C, 173G, 345C, 355D~355F, 355J, 356D~356F, 356J, 415F, 416F: 하실 측 통로(제3 통로)
181, 181A~181G: 상실 측 통로(제2 통로)
191, 191A, 191B, 191D, 191F, 192, 192A, 192B, 192D, 192F: 시일부
193, 193A, 193B, 193D, 193F: 수압부
195, 195A~195H, 195J: 주파수 감응 기구
198: 스로틀 210: 피스톤 통로(제1 통로)
211, 211A, 211D~211G: 파일럿실 225, 225C: 바이패스 통로
231, 231C: 감쇠력 발생 기구 361E~361G: 덮개 디스크
461H, 461J: 압박 부재

Claims (11)

  1.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감합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부의 작동 유체가 유동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어 작동 유체의 유동에 의해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감쇠 밸브와,
    상기 감쇠 밸브의 상류 측에 스로틀을 통해 연통되는 제2 통로와,
    상기 감쇠 밸브의 하류 측에 연통되는 제3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와 상기 제3 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에 설치되는, 고무 탄성을 가진 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통로에서 상기 제3 통로로의 작동 유체의 유동을 억제하는 시일부와,
    상기 제2 통로의 압력을 수압(受壓)하는 수압부
    를 구비하는 것인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에 연통되며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감쇠 밸브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힘을 생기게 하는 파일럿실을 갖는 완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와 상기 감쇠 밸브의 하류 측을 연통하는 바이패스 통로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에 설치되어 작동 유체의 유동에 의해 감쇠력을 생기게 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
    를 갖는 완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는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쇠 밸브의 유로 면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의 힘을 생기게 하는 파일럿실이 형성되는 파일럿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파일럿 케이스는 상기 감쇠 밸브를 상기 파일럿 케이스와 상기 피스톤에 의해 협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완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탄성 부재가 수납되는 시일실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실 내부를 상기 탄성 부재가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인 완충기.
  6.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감합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부의 작동 유체가 유동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어 작동 유체의 유동에 의해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감쇠 밸브와,
    상기 감쇠 밸브의 상류 측에 스로틀을 통해 연통되는 제2 통로와,
    상기 감쇠 밸브의 하류 측에 연통되는 제3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와 상기 제3 통로 사이에 마련되는 시일실과,
    상기 시일실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통로에서 상기 제3 통로로의 작동 유체의 유동을 억제하는 시일부를 구비한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통로에 연통되며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감쇠 밸브의 유로 면적이 감소하는 방향의 힘을 생기게 하는 파일럿실을 형성하는 파일럿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케이스에는 축방향에 있어서 중첩하는 위치에 상기 파일럿실과 상기 시일실이 형성되는 것인 완충기.
  7.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감합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부의 작동 유체가 유동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어 작동 유체의 유동에 의해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감쇠 밸브와,
    상기 감쇠 밸브의 상류 측에 스로틀을 통해 연통되는 제2 통로
    를 포함하는 완충기에 설치되는 주파수 감응 기구로서,
    상기 감쇠 밸브의 하류 측에 연통되는 제3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와 상기 제3 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에 설치되는, 고무 탄성을 가진 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통로에서 상기 제3 통로로의 작동 유체의 유동을 억제하는 시일부와,
    상기 제2 통로의 압력을 수압하는 수압부
    를 구비하는 것인 주파수 감응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인 주파수 감응 기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로 및 상기 통로부가 2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주파수 감응 기구.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와는 별도로 상기 탄성 부재를 압박시키는 압박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주파수 감응 기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탄성 부재가 수납되는 시일실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실은, 상기 탄성 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덮개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주파수 감응 기구.
KR1020237024906A 2021-05-27 2022-01-25 완충기 및 주파수 감응 기구 KR202301186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88881 2021-05-27
JPJP-P-2021-088881 2021-05-27
PCT/JP2022/002714 WO2022249542A1 (ja) 2021-05-27 2022-01-25 緩衝器および周波数感応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691A true KR20230118691A (ko) 2023-08-11

Family

ID=8422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906A KR20230118691A (ko) 2021-05-27 2022-01-25 완충기 및 주파수 감응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51290A1 (ko)
JP (1) JP7462839B2 (ko)
KR (1) KR20230118691A (ko)
CN (1) CN117043490A (ko)
DE (1) DE112022002771T5 (ko)
WO (1) WO202224954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3868A (ja) 2017-03-27 2018-10-1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材、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及び非水系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9940A (ja) 2006-09-15 2008-03-27 Fuji Latex Kk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1655499B1 (ko) * 2012-12-21 2016-09-07 주식회사 만도 충격 감응식 댐퍼
JP2015090212A (ja) * 2013-11-07 2015-05-11 株式会社ショーワ ピストンシリンダ装置
US11047447B2 (en) * 2014-02-10 2021-06-29 Fox Factory, Inc. Valve assembly
DE102015220707B4 (de) 2015-10-23 2022-06-02 Zf Friedrichshafen Ag Steueranordnung für eine frequenzabhängige Dämpfventileinrichtung eines Schwingungsdämpfers, sowie Verfahren zur plastischen Verformung des Topfbodens der Steueranordnung.
KR102232127B1 (ko) 2017-03-10 2021-03-25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JP7038613B2 (ja) 2018-06-27 2022-03-18 日立Astemo株式会社 緩衝器
JP2021088881A (ja) 2019-12-05 2021-06-10 三協立山株式会社 建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3868A (ja) 2017-03-27 2018-10-1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材、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及び非水系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043490A (zh) 2023-11-10
US20240151290A1 (en) 2024-05-09
WO2022249542A1 (ja) 2022-12-01
JP7462839B2 (ja) 2024-04-05
JPWO2022249542A1 (ko) 2022-12-01
DE112022002771T5 (de)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71438B2 (ja) 緩衝器のバルブ構造
US7743895B2 (en) Vibration damper
JP7224383B2 (ja) 緩衝器
KR102159890B1 (ko) 완충기
JP2009014019A (ja) 緩衝器
JP2018105378A (ja) 緩衝器
JP2019183918A (ja) バルブ及び緩衝器
JP2022186977A (ja) 緩衝器
JP6339716B1 (ja) 圧力緩衝装置
KR20230118691A (ko) 완충기 및 주파수 감응 기구
EP3333446B1 (en) Valve structure for buffer
JPWO2020137207A1 (ja) 緩衝器
JP2020016288A (ja) 緩衝器
JPH10339345A (ja) 液圧緩衝装置
JP3198843B2 (ja) 減衰力可変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WO2024009629A1 (ja) 減衰力発生機構
US12031606B2 (en) Shock absorber
WO2023037713A1 (ja) 緩衝器
JP2023039001A (ja) 緩衝器
CN117980622A (zh) 阻尼力产生机构
JP2024008421A (ja) 減衰バルブおよび緩衝器
JP2003083387A (ja)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