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493A -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493A
KR20230117493A KR1020220013826A KR20220013826A KR20230117493A KR 20230117493 A KR20230117493 A KR 20230117493A KR 1020220013826 A KR1020220013826 A KR 1020220013826A KR 20220013826 A KR20220013826 A KR 20220013826A KR 20230117493 A KR20230117493 A KR 2023011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nscreen
adhesive
paper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현
Original Assignee
이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현 filed Critical 이광현
Priority to KR102022001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7493A/ko
Publication of KR2023011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abels or tags
    • B31D1/021Making adhesive labels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e.g. provided on carrier web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3Adhe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성 점착제를 포함하는 라벨지를 구비하여 간단히 수용성 점착제층을 이용한 접착을 통하여 부착 및 라벨지작업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특히 자외선차단층 등에 의하여 방수특성에 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손상을 방지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라벨지를 제조하는 라벨지제조장치에 있어서, 라벨지 제조용 지재(11)를 공급하는 지재롤공급부(21); 상기 지재롤공급부(21)로부터 공급되는 지재(11) 일면에 대해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점착층형성부(30); 상기 점착층형성부(30)에 의하여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지재(11)의 타면으로 감열지층(12)을 형성하는 감열지층형성부(50); 상기 지재(11)에서 감열지층(12)을 형성한 상태에서 자외선차단제층(13)을 형성하는 자외선차단제층형성부(60); 및 상기 자외선차단제층(13)이 형성된 상태에서 실리콘층(14)을 형성하는 UV실리콘층형성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ANUFACTORY APPARATUS OF LABEL SHEET WITH ULTRAVIOLET BLOCKING LAYER AND MANUFACTORY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라벨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성 점착제를 포함하는 라벨지를 구비하여 간단히 수용성 점착제층을 이용한 접착을 통하여 부착 및 라벨지작업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특히 자외선차단층 등에 의하여 방수특성에 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손상을 방지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벨지는 택배 포장 등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라벨지 상면으로는 택배 등의 정보가 인쇄되고, 반대 면으로는 포장상자 등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에 이러한 라벨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라벨지에 정보의 인쇄과정을 이루고, 이후 포장상자에 대해서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된 측의 이형지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이형지는 특성상, 접착제와는 쉽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필름(또는 종이재질)에 접착제와 쉽게 떨어질 수 있는 소재가 도포된 것이다. 따라서 인쇄과정에서는 접착제에 의해 다른 인쇄장치 등에 부착됨이 없고, 포장상자에 부착하고자 할 경우 손쉽게 이형지를 제거함으로써 라벨지를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라벨지를 이용하여 택배 상자 등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우선 수많은 양의 택배 상자마다 구별되게 라벨지를 부착하기에 앞서, 이형지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에 이형지 자체도 라벨지와 구분없이 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라벨지에서 이형지를 제거하기가 용이한 것은 아닌 것이다.
따라서 라벨지에서 이형지를 제거하는 과정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이형지 제거 과정에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다. 특히 수많은 택배 상자에 라벨지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이형지 제거 시간도 상당히 소요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형지에는 접착제와의 접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필름층을 형성한 것이고, 반면 이형지 기재는 일반 종이와 같이 때문에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된 것이어서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을 갖는 것이다.
특히 상자 등에 라벨지가 부착된 상태에서 햇볕 등에 노출되면 라벨지가 손상되기도 하며, 이에 더하여 냉동창고나 냉장창고에 보관하게 되면서 온습도 영향으로 라벨지의 내구성이 약화되어 손상될 우려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제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등록특허번호 제10-0486770호(2005년 05월 03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111212호(2012년 02월 15일 공고)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56442호(2011년 10월 31일 공고) 공개특허번호 제10-2021-0060645호(2021년 05월 26일 공개) 공개특허번호 제10-2014-0132256호(2014년 11월 17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벨지에 수용성 점착제를 구비한 것으로써, 손쉽게 수용성 점착제에 수분을 도포하기만 하면 손쉽게 택배 상자 등에 라벨지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이형지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이형지 제거과정없이 라벨지 부착을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이형지 제거가 없기 때문에 이형지에 의한 환경파괴 우려가 없는 친환경 라벨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열지층을 구비하는 것으로, 고온으로 건조하는 점착제층 형성과정을 감열층 형성과정보다 앞서 수행하고 건조함으로써 감열지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외선차단제층을 형성하여 햇볕 등에 노출되어도 라벨지 손상을 방지하며, 또한 UV실리콘층에 의하여 냉동창고나 냉동창고 등에 보관되어 온도 및 습도 상황이 좋지 않더라도 변형됨없이 내구성을 향상한 라벨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벨지를 제조하는 라벨지제조장치에 있어서, 라벨지 제조용 지재(11)를 공급하는 지재롤공급부(21); 상기 지재롤공급부(21)로부터 공급되는 지재(11) 일면에 대해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점착층형성부(30); 상기 점착층형성부(30)에 의하여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지재(11)의 타면으로 감열지층(12)을 형성하는 감열지층형성부(50); 상기 지재(11)에서 감열지층(12)을 형성한 상태에서 자외선차단제층(13)을 형성하는 자외선차단제층형성부(60); 및 상기 자외선차단제층(13)이 형성된 상태에서 실리콘층(14)을 형성하는 UV실리콘층형성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형성부(30)는, 점착제가 내부에 담겨진 점착제탱크(31); 상기 점착제탱크(31) 내의 점착제에 아래 부분이 잠겨져 회전에 의하여 점착제를 상향으로 옮기는 점착제펌핑롤러(32); 및 상기 점착제펌핑롤러(32)와의 사이로 지나는 지재(11)에 대해 상향으로 옮겨진 점착제가 지재(11)에 도포되어 수용점착층(15)이 형성되도록 하는 점착제펌핑롤러(32)와 함께 대응되어 회전되는 점착제도포롤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형성부(30)에 의하여 수용점착층(15)이 형성된 상태에서 지재(11)에 대해 건조과정을 이루는 점착층건조부(40); 및 상기 점착층건조부(40)를 지난 지재(11)에 대하여 냉각하는 점착층냉각부(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열지층형성부(50)는, 감열제가 내부에 담겨진 감열제탱크(51); 상기 감열제탱크(51) 내의 감열제에 아래 부분이 잠겨져 회전에 의하여 감열제를 상향으로 옮기는 감열제펌핑롤러(52); 및 상기 감열제펌핑롤러(52)와의 사이로 지나는 지재(11)에 대해 상향으로 옮겨진 감열제가 지재(11)의 타측에 도포되어 감열지층(12)이 형성되도록 하는 감열제도포롤러(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열지층형성부(50)에 의하여 감열지층(12)이 형성된 지재(11)에 대하여 건조과정을 이루는 감열지건조부(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제층형성부(60)는, 자외선차단제가 내부에 담겨진 자외선차단제탱크(61); 상기 자외선차단제탱크(61) 내의 감열제에 아래 부분이 잠겨져 회전에 의하여 자외선차단제를 상향으로 옮기는 자외선차단제펌핑롤러(62); 및 상기 자외선차단제펌핑롤러(62)와의 사이로 지나는 지재(11)에 대해 상향으로 옮겨진 자외선차단제가 지재(11)에 도포된 감열지층(12) 상에 도포되어 자외선차단제층(13)이 형성되도록 하는 자외선차단제도포롤러(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제층형성부(60)에 의하여 자외선차단제층(13)을 형성한 지재(11)에 대하여 건조과정을 이루는 자외선차단제층건조부(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UV실리콘층형성부(70)는, UV실리콘제가 내부에 담겨진 UV실리콘제탱크(71); 상기 UV실리콘제탱크(71) 내의 UV실리콘제에 아래 부분이 잠겨져 회전에 의하여 UV실리콘제를 상향으로 옮기는 UV실리콘제펌핑롤러(72); 및 상기 UV실리콘제펌핑롤러(72)와의 사이로 지나는 지재(11)에 대해 상향으로 옮겨진 UV실리콘제가 지재(11)에 도포된 자외선차단제층(13) 상에 도포되어 실리콘층(14)이 형성되도록 하는 UV실리콘제도포롤러(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UV실리콘층형성부(70)에 의하여 실리콘층(14)을 형성한 지재(11)에 대하여 건조과정을 이루는 UV실리콘층건조부(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라벨지를 제조하는 라벨지제조방법에 있어서, 지재롤공급부(21)로부터 지재(11)를 연속으로 공급하는 지재공급단계(S20); 상기 지재공급단계(S20)에 의해 공급되는 지재(11) 일면에 대해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점착층형성단계(S30); 상기 점착층형성단계(S30)에 의하여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지재(11)의 타면으로 감열지층(12)을 형성하는 감열지층형성단계(S50); 상기 감열지층형성단계(S50)에 의하여 자외선차단제층(13)을 형성하는 자외선차단제층형성단계(S60); 상기 자외선차단제층형성단계(S60)에 의하여 실리콘층(14)을 형성하는 UV실리콘층형성단계(S70); 및 상기 UV실리콘층형성단계(S70)에 의하여 실리콘층(14)이 형성된 상태의 연속 공급되는 라벨지를 라벨지권취롤부(80)에 권취하는 라벨지권취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형성단계(S30) 이후, 지재(11)에 수용점착층(15)이 도포된 상태에서 건조과정을 거치는 점착층건조단계(S41); 및 상기 점착층건조단계(S41)를 거친 지재(11)에 대하여 냉각하는 점착층냉각단계(S42)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형성단계(S30)는, 점착제탱크(31) 내에 담겨진 점착제에 아래가 잠겨진 점착제펌핑롤러(32)의 회전에 의하여 상향으로 점착제를 옮기는 점착제펌핑단계(S31); 및 상기 점착제펌핑단계(S31)에 의하여 상향으로 점착제가 옮겨지는 중에, 상기 점착제펌핑롤러(32)와 함께 회전하는 점착제도포롤러(33) 사이를 지나는 지재(11)에 대하여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도포단계(S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열층형성단계(S50)는, 감열제탱크(51) 내에 담겨진 감열제에 아래가 잠겨진 감열제펌핑롤러(52)의 회전에 의하여 상향으로 감열제를 옮기는 감열제펌핑단계(S51); 상기 감열제펌핑단계(S51)에 의하여 상향으로 감열제가 옮겨지는 중에, 상기 감열제펌핑롤러(52)와 함께 회전하는 감열제도포롤러(53) 사이를 지나는 지재(11)에 대하여 감열제를 도포하는 감열제도포단계(S52); 및 지재(11)에 감열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감열제를 건조냉각하는 감열층건조냉각단계(S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층형성단계(S60)는, 자외선차단제탱크(61) 내에 담겨진 자외선차단제에 아래가 잠겨진 자외선차단제펌핑롤러(62)의 회전에 의하여 상향으로 자외선차단제를 옮기는 자외선차단제펌핑단계(S61); 상기 자외선차단제펌핑단계(S61)에 의하여 상향으로 자외선차단제가 옮겨지는 중에, 상기 자외선차단제펌핑롤러(62)와 함께 회전하는 자외선차단제도포롤러(63) 사이를 지나는 지재(11)에 대하여 자외선차단제를 도포하는 자외선차단제도포단계(S62); 및 지재(11)에 자외선차단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자외선차단제를 건조냉각하는 자외선차단층건조냉각단계(S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UV실리콘층형성단계(S70)는, UV실리콘제탱크(71) 내에 담겨진 UV실리콘제에 아래가 잠겨진 UV실리콘제펌핑롤러(72)의 회전에 의하여 상향으로 UV실리콘제를 옮기는 UV실리콘제펌핑단계(S71); 상기 UV실리콘제펌핑단계(S71)에 의하여 상향으로 UV실리콘제가 옮겨지는 중에, 상기 UV실리콘제펌핑롤러(72)와 함께 회전하는 UV실리콘제도포롤러(73) 사이를 지나는 지재(11)에 대하여 UV실리콘제를 도포하는 UV실리콘제도포단계(S72); 및 지재(11)에 UV실리콘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UV실리콘제를 건조냉각하는 UV실리콘층건조냉각단계(S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라벨지에 수용성 점착제를 구비한 것으로써, 손쉽게 수용성 점착제에 수분을 도포하기만 하면 손쉽게 택배 상자 등에 라벨지를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별도의 이형지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이형지 제거과정없이 라벨지 부착을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이형지 제거가 없기 때문에 이형지에 의한 환경파괴 우려가 없는 친환경 라벨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감열지층을 구비하는 것으로, 고온으로 건조하는 점착제층 형성과정을 감열층 형성과정보다 앞서 수행하고 건조함으로써 감열지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자외선차단제층을 형성하여 햇볕 등에 노출되어도 라벨지 손상을 방지하며, 또한 UV실리콘층에 의하여 냉동창고나 냉동창고 등에 보관되어 온도 및 습도 상황이 좋지 않더라도 변형됨없이 내구성을 향상한 라벨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지제조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지제조장치에서 점착층형성부 및 감열지층형성부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지제조장치에서 자외선차단제층형성부 및 UV실리콘층형성부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지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된 라벨지에 대한 단면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지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지제조방법 중에서 자외선차단층형성단계 및 UV실리콘층형성단계에 대한 세부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6 등에서와 같이, 수용성 점착층과 함께 자외선차단제층 및 UV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라벨지를 제조하는 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라벨지를 제조하는 라벨지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라벨지는 수용성 점착제에 의하여 포장상자 등에 부착하는 것으로, 별도의 이형지가 없는 라벨지(10)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서 자외선을 차단하고 실리콘층에 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라벨지(10)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구성 및 제조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제조장치에 있어서, 라벨지(10)를 제조하는 라벨지제조장치(20)에 관한 것으로, 라벨지 제조용 지재(11)를 공급하는 지재롤공급부(21)를 공급한다.
이에 이러한 라벨지를 제조하는 라벨지제조방법에 있어서, 우선 지재롤공급부(21)로부터 지재(11)를 연속으로 공급하는 지재공급단계(S20)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지재(紙材)는 대체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플라스틱 필름이나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 다양한 소재의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소재들이 또한 종이 재질과 합성에 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지재(紙材)에 대한 성분이나 함량 등은 실시되는 양태에 알맞게 정하여져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재(紙材)에 대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기술 사항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재롤공급부(21)로부터 공급되는 지재(11) 일면에 대해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점착층형성부(3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점착층형성부(30)는, 세부 구성을 보면 도 1, 도 2에서와 같이 점착제가 내부에 담겨진 점착제탱크(31)를 구비한다.
이에 이러한 상기 점착제탱크(31) 내의 점착제에 아래 부분이 잠겨져 회전에 의하여 점착제를 상향으로 옮기는 점착제펌핑롤러(32)가 마련된다. 즉 점착제펌핑롤러(32) 표면에 묻어 점착제탱크(31) 내의 점착제가 상향의 지재(11) 측 상부로 옮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펌핑롤러(32)와의 사이로 지나는 지재(11)에 대해 상향으로 옮겨진 점착제가 지재(11)에 도포되어 수용점착층(15)이 형성되도록 하는 점착제펌핑롤러(32)와 함께 대응되어 회전되는 점착제도포롤러(33)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점착제펌핑롤러(32)와 점착제도포롤러(33) 사이를 지나는 지재(11) 일측면에 수용성 점착제가 도포되어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지재공급단계(S20)에 의해 공급되는 지재(11) 일면에 대해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점착층형성단계(S30)를 수행한다.
이러한 점착층형성단계(S30)의 상세 단계를 보면, 점착제탱크(31) 내에 담겨진 점착제에 아래가 잠겨진 점착제펌핑롤러(32)의 회전에 의하여 상향으로 점착제를 옮기는 점착제펌핑단계(S31)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펌핑단계(S31)에 의하여 상향으로 점착제가 옮겨지는 중에, 상기 점착제펌핑롤러(32)와 함께 회전하는 점착제도포롤러(33) 사이를 지나는 지재(11)에 대하여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도포단계(S32)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지재(11) 일측으로 수용성 점착제층이 도포된 상태에서 건조 및 냉각과정을 거쳐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점착층형성부(30)에 의하여 수용점착층(15)이 형성된 상태에서 지재(11)에 대해 건조과정을 이루는 점착층건조부(40)를 구비한다.
이에 상기 점착층형성단계(S30) 이후, 지재(11)에 수용점착층(15)이 도포된 상태에서 건조과정을 거치는 점착층건조단계(S41)를 수행한다.
대체로 이러한 점착층건조부(40)에 의한 점착층건조단계(S41)의 수행에서의건조 과정은 대체로 120℃ ~ 200℃ 정도의 고온에서 건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점착층건조부(40)를 지난 지재(11)에 대하여 냉각하는 점착층냉각부(45)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점착층건조단계(S41)를 거친 지재(11)에 대하여 냉각하는 점착층냉각단계(S42)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냉각 과정은 대체로 상온으로 냉각하는 것으로, 대체로 20℃ ~ 50℃ 정도로 냉각하게 된다.
이처럼 지재(11)에 형성된 수용점착층(15)은 대략 18 ~ 22 ㎛ 정도의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18 ㎛ 이하의 두께일 경우에는 점착 특성이 약화될 수 있고, 22 ㎛ 이상일 경우에는 점착 특성에 비하여 두께가 두꺼워 라벨지 이용이 불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재재(11)에 대하여 감열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점착층형성부(30)에 의하여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지재(11)의 타면으로 감열지층(12)을 형성하는 감열지층형성부(5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감열지층형성부(50)의 세부 구성을 보면, 감열제가 내부에 담겨진 감열제탱크(51)가 마련된다.
이에 상기 감열제탱크(51) 내의 감열제에 아래 부분이 잠겨져 회전에 의하여 감열제를 상향으로 옮기는 감열제펌핑롤러(52)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감열제펌핑롤러(52)와의 사이로 지나는 지재(11)에 대해 상향으로 옮겨진 감열제가 지재(11)의 타측에 도포되어 감열지층(12)이 형성되도록 하는 감열제도포롤러(53)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이처럼 상기 감열지층형성부(50)에 의하여 감열지층(12)이 형성된 지재(11)에 대하여 건조과정을 이루는 감열지건조부(55)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포된 감열제가 지재에 건조되어 감열지층(12)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라벨지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점착층형성단계(S30)에 의하여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지재(11)의 타면으로 감열지층(12)을 형성하는 감열지층형성단계(S50)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감열층형성단계(S50)의 세부 단계를 살펴보면, 감열제탱크(51) 내에 담겨진 감열제에 아래가 잠겨진 감열제펌핑롤러(52)의 회전에 의하여 상향으로 감열제를 옮기는 감열제펌핑단계(S51)를 수행한다. 즉 감열제탱크(51) 내의 감열제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열제펌핑단계(S51)에 의하여 상향으로 감열제가 옮겨지는 중에, 상기 감열제펌핑롤러(52)와 함께 회전하는 감열제도포롤러(53) 사이를 지나는 지재(11)에 대하여 감열제를 도포하는 감열제도포단계(S52)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로서 지재에 감열제가 도포되는 것이다.
이후 지재(11)에 감열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감열제를 건조냉각하는 감열층건조냉각단계(S53)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포된 감열제가 건조되어 감열지층(12)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감열지건조부(55)에 의한 감열층건조냉각단계(S53)에서는 건조 및 냉각 온도가 대체로 50 ~ 60℃ 정도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건조 및 냉각 온도가 60℃보다 높은 고온에서 진행되면 감열제에서 감열 반응이 일어나 향후 감열제의 특성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반면 50℃ 이하의 경우에서는 냉각이나 건조 과정이 오래 걸릴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감열층형성부(30) 및 감열층형성단계(S50)에 의하여 지재(11)에 형성된 감열지층(12)은, 대체로 3 ~ 5 ㎛ 정도 두께를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3㎛ 이하의 두께일 경우 감열 반응이 제대로 일어나기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라벨지제조장치(20)에서 상기 지재(11)에서 감열지층(12)을 형성한 상태에서 자외선차단제층(13)을 형성하는 자외선차단제층형성부(6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자외선차단제층형성부(60)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도 3 등에서와 같이 자외선차단제가 내부에 담겨진 자외선차단제탱크(61)를 구비한 것이고, 또한 상기 자외선차단제탱크(61) 내의 감열제에 아래 부분이 잠겨져 회전에 의하여 자외선차단제를 상향으로 옮기는 자외선차단제펌핑롤러(62)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차단제펌핑롤러(62)와의 사이로 지나는 지재(11)에 대해 상향으로 옮겨진 자외선차단제가 지재(11)에 도포된 감열지층(12) 상에 도포되어 자외선차단제층(13)이 형성되도록 하는 자외선차단제도포롤러(63)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상기 자외선차단제층형성부(60)에 의하여 자외선차단제층(13)을 형성한 지재(11)에 대하여 건조과정을 이루는 자외선차단제층건조부(65)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지재에 자외선차단제층(13)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라벨지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감열지층형성단계(S50)에 의하여 자외선차단제층(13)을 형성하는 자외선차단제층형성단계(S60)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자외선차단층형성단계(S60)의 세부 단계를 살펴보면, 자외선차단제탱크(61) 내에 담겨진 자외선차단제에 아래가 잠겨진 자외선차단제펌핑롤러(62)의 회전에 의하여 상향으로 자외선차단제를 옮기는 자외선차단제펌핑단계(S61)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자외선차단제탱크(61) 내의 자외선차단제가 상향으로 옮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차단제펌핑단계(S61)에 의하여 상향으로 자외선차단제가 옮겨지는 중에, 상기 자외선차단제펌핑롤러(62)와 함께 회전하는 자외선차단제도포롤러(63) 사이를 지나는 지재(11)에 대하여 자외선차단제를 도포하는 자외선차단제도포단계(S62)를 수행한다. 이로써 자외선차단제가 지재(11)에 도포되는 것이다.
아울러 지재(11)에 자외선차단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자외선차단제를 건조냉각하는 자외선차단층건조냉각단계(S63)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포된 자외선차단제가 건조되어 자외선차단제층(13)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자외선차단제층건조부(65)에 의한 자외선차단층건조냉각단계(S63)에서는 건조 및 냉각 온도가 대체로 50 ~ 60℃ 정도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건조 및 냉각 온도가 60℃보다 높은 고온에서 진행되면 이전 과정에서 함께 도포된 감열제에서 감열 반응이 일어나 향후 감열제의 특성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반면 50℃ 이하의 경우에서는 냉각이나 건조 과정이 오래 걸릴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자외선차단제층형성부(60) 및 자외선차단층형성단계(S60)에 의하여 지재(11)에 형성된 자외선차단제층(13)은, 대체로 1 ~ 2 ㎛ 정도 두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1 ㎛ 이하의 두께일 경우 자외선차단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특히 자외선차단제층(13)이 1.5 ㎛ 정도 두께를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라벨지제조장치(20)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제층(13)이 형성된 상태에서 실리콘층(14)을 형성하는 UV실리콘층형성부(7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UV실리콘층형성부(70)의 세부 구성을 보면, UV실리콘제가 내부에 담겨진 UV실리콘제탱크(71)를 구비한 것이고, 또한 상기 UV실리콘제탱크(71) 내의 UV실리콘제에 아래 부분이 잠겨져 회전에 의하여 UV실리콘제를 상향으로 옮기는 UV실리콘제펌핑롤러(72)를 구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UV실리콘제펌핑롤러(72)와의 사이로 지나는 지재(11)에 대해 상향으로 옮겨진 UV실리콘제가 지재(11)에 도포된 자외선차단제층(13) 상에 도포되어 실리콘층(14)이 형성되도록 하는 UV실리콘제도포롤러(73)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로써 지재(11)에 대하여 UV실리콘제가 도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UV실리콘층형성부(70)에 의하여 실리콘층(14)을 형성한 지재(11)에 대하여 건조과정을 이루는 UV실리콘층건조부(75)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실리콘층(14)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이러한 라벨지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자외선차단제층형성단계(S60)에 의하여 실리콘층(14)을 형성하는 UV실리콘층형성단계(S70)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UV실리콘층형성단계(S70)에 의하여 실리콘층(14)이 형성된 상태의 연속 공급되는 라벨지를 라벨지권취롤부(80)에 권취하는 라벨지권취단계(S80)를 수행하여 제조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에 이러한 UV실리콘층형성단계(S70)의 세부 단계에 대해서 살펴보면, UV실리콘제탱크(71) 내에 담겨진 UV실리콘제에 아래가 잠겨진 UV실리콘제펌핑롤러(72)의 회전에 의하여 상향으로 UV실리콘제를 옮기는 UV실리콘제펌핑단계(S71)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UV실리콘제펌핑단계(S71)에 의하여 상향으로 UV실리콘제가 옮겨지는 중에, 상기 UV실리콘제펌핑롤러(72)와 함께 회전하는 UV실리콘제도포롤러(73) 사이를 지나는 지재(11)에 대하여 UV실리콘제를 도포하는 UV실리콘제도포단계(S72)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지재(11) 및 자외선차단제층(13) 상면으로 UV실리콘제를 도포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지재(11)에 UV실리콘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UV실리콘제를 건조냉각하는 UV실리콘층건조냉각단계(S73)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로서 지재(11) 및 자외선차단제층(13) 상에 건조된 UV의 실리콘층(1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UV실리콘층건조부(75)에 의한 UV실리콘층건조냉각단계(S73)에서는 건조 및 냉각 온도가 대체로 50 ~ 60℃ 정도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건조 및 냉각 온도가 60℃보다 높은 고온에서 진행되면 이전 과정에서 함께 도포된 감열제에서 감열 반응이 일어나 향후 감열제의 특성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반면 50℃ 이하의 경우에서는 냉각이나 건조 과정이 오래 걸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UV실리콘층형성부(70) 및 UV실리콘층형성단계(S70)에 의하여 지재(11)에 형성된 UV의 실리콘층(14)은, 대체로 1 ~ 2 ㎛ 정도 두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1 ㎛ 이하의 두께일 경우 실리콘층에 의한 방수 등ㅇ의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특히 실리콘층(14)이 1.5 ㎛ 정도 두께를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UV 실리콘층(14)에 의하여, 라벨지(10)가 부착된 상자가 냉동창고나 냉장창고에 보관되어 장시간 경과되더라도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 요인으로 인하여 라벨지의 형태나 인쇄 내용이 변형되거나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라벨지 11 : 지재
12 : 감열지층 13 : 자외선차단제층
14 : 실리콘층 15 : 수용점착층
20 : 라벨지제조장치 21 : 지재롤공급부
30 : 점착층형성부 40 : 점착층건조부
50 : 감열지층형성부 60 : 자외선차단제층형성부
70 : UV실리콘층형성부 80 : 라벨지권취롤부

Claims (7)

  1. 라벨지를 제조하는 라벨지제조장치에 있어서,
    라벨지 제조용 지재(11)를 공급하는 지재롤공급부(21);
    상기 지재롤공급부(21)로부터 공급되는 지재(11) 일면에 대해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점착층형성부(30);
    상기 점착층형성부(30)에 의하여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지재(11)의 타면으로 감열지층(12)을 형성하는 감열지층형성부(50);
    상기 지재(11)에서 감열지층(12)을 형성한 상태에서 자외선차단제층(13)을 형성하는 자외선차단제층형성부(60); 및
    상기 자외선차단제층(13)이 형성된 상태에서 실리콘층(14)을 형성하는 UV실리콘층형성부(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형성부(30)는,
    점착제가 내부에 담겨진 점착제탱크(31);
    상기 점착제탱크(31) 내의 점착제에 아래 부분이 잠겨져 회전에 의하여 점착제를 상향으로 옮기는 점착제펌핑롤러(32); 및
    상기 점착제펌핑롤러(32)와의 사이로 지나는 지재(11)에 대해 상향으로 옮겨진 점착제가 지재(11)에 도포되어 수용점착층(15)이 형성되도록 하는 점착제펌핑롤러(32)와 함께 대응되어 회전되는 점착제도포롤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지층형성부(50)는,
    감열제가 내부에 담겨진 감열제탱크(51);
    상기 감열제탱크(51) 내의 감열제에 아래 부분이 잠겨져 회전에 의하여 감열제를 상향으로 옮기는 감열제펌핑롤러(52); 및
    상기 감열제펌핑롤러(52)와의 사이로 지나는 지재(11)에 대해 상향으로 옮겨진 감열제가 지재(11)의 타측에 도포되어 감열지층(12)이 형성되도록 하는 감열제도포롤러(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제층형성부(60)는,
    자외선차단제가 내부에 담겨진 자외선차단제탱크(61);
    상기 자외선차단제탱크(61) 내의 감열제에 아래 부분이 잠겨져 회전에 의하여 자외선차단제를 상향으로 옮기는 자외선차단제펌핑롤러(62); 및
    상기 자외선차단제펌핑롤러(62)와의 사이로 지나는 지재(11)에 대해 상향으로 옮겨진 자외선차단제가 지재(11)에 도포된 감열지층(12) 상에 도포되어 자외선차단제층(13)이 형성되도록 하는 자외선차단제도포롤러(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V실리콘층형성부(70)는,
    UV실리콘제가 내부에 담겨진 UV실리콘제탱크(71);
    상기 UV실리콘제탱크(71) 내의 UV실리콘제에 아래 부분이 잠겨져 회전에 의하여 UV실리콘제를 상향으로 옮기는 UV실리콘제펌핑롤러(72); 및
    상기 UV실리콘제펌핑롤러(72)와의 사이로 지나는 지재(11)에 대해 상향으로 옮겨진 UV실리콘제가 지재(11)에 도포된 자외선차단제층(13) 상에 도포되어 실리콘층(14)이 형성되도록 하는 UV실리콘제도포롤러(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6. 라벨지를 제조하는 라벨지제조방법에 있어서,
    지재롤공급부(21)로부터 지재(11)를 연속으로 공급하는 지재공급단계(S20);
    상기 지재공급단계(S20)에 의해 공급되는 지재(11) 일면에 대해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점착층형성단계(S30);
    상기 점착층형성단계(S30)에 의하여 수용점착층(15)을 형성하는 지재(11)의 타면으로 감열지층(12)을 형성하는 감열지층형성단계(S50);
    상기 감열지층형성단계(S50)에 의하여 자외선차단제층(13)을 형성하는 자외선차단제층형성단계(S60);
    상기 자외선차단제층형성단계(S60)에 의하여 실리콘층(14)을 형성하는 UV실리콘층형성단계(S70); 및
    상기 UV실리콘층형성단계(S70)에 의하여 실리콘층(14)이 형성된 상태의 연속 공급되는 라벨지를 라벨지권취롤부(80)에 권취하는 라벨지권취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형성단계(S30) 이후, 지재(11)에 수용점착층(15)이 도포된 상태에서 건조과정을 거치는 점착층건조단계(S41); 및
    상기 점착층건조단계(S41)를 거친 지재(11)에 대하여 냉각하는 점착층냉각단계(S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방법.
KR1020220013826A 2022-01-31 2022-01-31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30117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826A KR20230117493A (ko) 2022-01-31 2022-01-31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826A KR20230117493A (ko) 2022-01-31 2022-01-31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493A true KR20230117493A (ko) 2023-08-08

Family

ID=8756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826A KR20230117493A (ko) 2022-01-31 2022-01-31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749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770B1 (ko) 2002-11-14 2005-05-03 (주)득영 방수테이프용 수용성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456442Y1 (ko) 2009-06-01 2011-10-31 지킹 리 접착라벨
KR101111212B1 (ko) 2009-06-30 2012-02-15 영진산업 주식회사 내수성이 향상된 합지벽지용 수성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32256A (ko) 2013-05-07 2014-11-17 김진수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
KR20210060645A (ko) 2018-10-15 2021-05-26 (주)두와이즈켐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 나노셀룰로오스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770B1 (ko) 2002-11-14 2005-05-03 (주)득영 방수테이프용 수용성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456442Y1 (ko) 2009-06-01 2011-10-31 지킹 리 접착라벨
KR101111212B1 (ko) 2009-06-30 2012-02-15 영진산업 주식회사 내수성이 향상된 합지벽지용 수성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32256A (ko) 2013-05-07 2014-11-17 김진수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
KR20210060645A (ko) 2018-10-15 2021-05-26 (주)두와이즈켐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 나노셀룰로오스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2848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release liner
US9605183B2 (en) Adhesive articles utilizing release agents free of silicon and fluorine, and related methods
US9902130B2 (en) Methods of processing a glass substrate and glass apparatus
KR20130042475A (ko) 재구성 가능한 다층 라미네이트 및 방법
KR20230117493A (ko)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4074293B2 (ja) 電子回路用基板の塗料塗布保護フィルム付き塗膜形成方法及びその塗膜形成装置
JPH0729569U (ja) 易剥離性タックラベル
CN102941707A (zh) 一种软性镭射不干胶标签薄膜及其制备方法
KR100891125B1 (ko) 홀로그램 부착 장치 및 방법
CN106144105A (zh) 射频识别标签转移装置及工艺
KR100838111B1 (ko) 발포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JP2016186037A (ja)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及び該シートを備えたラベル
CN109016788A (zh) 压纹胶层车身贴的制作工艺
TW201506119A (zh) 無襯墊自黏材料
EP1081672A2 (en) Self-adhesive article for the obtainment of labels and similar items and the process for obtaining a self-adhesive article for the obtainment of labels and similar items
JPH0740531U (ja) カバーテープ
KR20230102984A (ko) 이형지가 없는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3177672A (ja) シュリンク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024239A1 (en) Application of Linerless Labels
JP2010173669A (ja) ラベル付き容器
TWI276537B (en) Supporting sheet for micro-capsu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45259B1 (ko) 저평량 수용성코팅랩지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생산되는 수용성 코팅랩지
JP2010094616A (ja) 基材のクリーニング方法
KR20230144905A (ko)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및 그에 적용된 이형부재
EA039215B1 (ru) Боковая пассива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