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256A -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 - Google Patents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256A
KR20140132256A KR1020130051931A KR20130051931A KR20140132256A KR 20140132256 A KR20140132256 A KR 20140132256A KR 1020130051931 A KR1020130051931 A KR 1020130051931A KR 20130051931 A KR20130051931 A KR 20130051931A KR 20140132256 A KR20140132256 A KR 20140132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ealing
rim
vacuum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130051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256A/ko
Publication of KR20140132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4Glass
    • C09J2400/143Glass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진공유리를 제작할 때 두 장의 판유리를 접합함에 있어서, 두 장의 유리를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 뒤 테두리를 금속재나 저융점의 유리를 녹여서 접합하기 때문에, 테두리부의 접합을 한 겹으로 밖에 할 수 밖에 없었으며, 또한 두 장의 유리를 진공 가열챔버 안에서 가열접합하고 진공시켜야 함으로 제작공정이 까다롭고 공정이 복잡해서 생산성이 떨어지게 될뿐더러, 그리고 또한 대형 창이나 벽체를 통유리로 마감할 때 사용되는 대형사이즈의 진공유리는,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하여 실외측에 유리는 수축을 하고 실내측에 유리는 팽창을 하게 되는데, 그 최종 팽창계수가 높이나 폭의 크기에 비례함으로서, 두 장의 유리가 접합된 접합부위에 균열이나 깨짐 현상으로 인해, 대형사이즈의 진공유리 제작에는 기술적 한계가 있어왔다.
본 발명은 두 장의 판유리중의 한 장에 먼저 테두리를 따라서 실링작업을 일회 이회 삼회 등 필요한 횟수만큼 다중(多重;여러 겹)으로 실시한 뒤에, 나머지 판유리를 아직 경화되지 않은 실링상부면에 합체하는 순서로 작업을 진행함으로서, 요구조건(판유리의 사이즈와 무게의 증가에 따른 접합강도의 증대를 위해서나, 아니면 테두리부분의 밀봉력을 높이고자할 경우)에 따라 실링횟수를 자유롭게 늘릴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하였다.

Description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omitted}
본 발명은 창호에 있어서 보다 나은 단열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진공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장의 판유리중 한 장에 진공작업을 위한 배기구를 미리 뚫고, 이 판유리와 또 다른 판유리사이에 간격유지부재를 골고루 위치시키고, 테두리접합부재로서 두 유리사이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밀봉 시키고, 두 유리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갇힌공기를 두 장의 유리를 접합하기 전에 미리 뚫어 놓은 배기구를 통해서 빼낸 뒤, 배기구를 밀봉해서 최종 완성되는 진공유리에서, 테두리 접합과정에 있어서의 그 수단, 즉 진공유리에서의 테두리 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 방법을 선행특허기술들을 참고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참고문헌1의 초록정보내용; 「 한 쌍의 유리판을 간극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양 유리판의 테두리부를 단일 금속재료로 직접 접합하여 상기 간극부를 기밀하게 봉지하는 것 」
※ 참고문헌2의 청구항1의 내용; 「 금속 납땜법을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 컴파운드 유리 플레이트들 사이의 기밀 조인트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플레이트의 컴파운드 실링 방법 」
※ 참고문헌3의 초록정보내용; 「 본 발명은 판유리 사이의 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복수의 판유리를 겹쳐서 만든 진공유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진공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판유리를 저 융점 프릿 유리를 사용한 밀봉 접합시킴에 있어 수축 팽창이 자유로운 형상의 금속 박판을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판유리 양단의 온도차이에 의해 양단의 판유리가 서로 달리 수축과 팽창을 하더라도 stress가 발생치 않아, 진공 유리 양단에서의 온도 차이가 크더라도 양단 유리의 수축과 팽창을 금속박판이 흡수함으로써 진공 유리의 휨 및 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
상기 인용한 세 문헌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에는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방법은, 두 장의 유리를 간격유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 뒤, 금속재나 저융점의 유리를 사용하여 가열 용융시켜서 테두리를 밀봉하여왔으며, 또한 마주보며 접합된 두 장의 유리가 서로의 온도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축과 팽창에 의한 접합부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판을 부착하여 흡수하는 형식이었다.
출원번호(AN)/일자(AD) 1020017012196 키프리스검색
출원번호(AN)/일자(AD) 1020127013449 키프리스검색
출원번호(AN)/일자(AD) 1020090026941 키프리스검색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진공유리를 제작할 때 두 장의 판유리를 접합함에 있어서, 두 장의 유리를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 뒤 테두리를 금속재나 저융점의 유리를 녹여서 접합하기 때문에, 테두리부의 접합을 한 겹으로 밖에 할 수 밖에 없었으며, 또한 두 장의 유리를 진공 가열챔버 안에서 가열접합하고 진공시켜야 함으로 제작공정이 까다롭고 공정이 복잡해서 생산성이 떨어지게 될뿐더러, 그리고 또한 대형 창이나 벽체를 통유리로 마감할 때 사용되는 대형사이즈의 진공유리는,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하여 실외측에 유리는 수축을 하고 실내측에 유리는 팽창을 하게 되는데, 그 최종 팽창계수가 높이나 폭의 크기에 비례함으로서, 두 장의 유리가 접합된 접합부위에 균열이나 깨짐 현상으로 인해, 대형사이즈의 진공유리 제작에는 기술적 한계가 있어왔다.
종래의 기술들은 진공유리의 테두리를 접합함에 있어서, 두 장의 유리를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 뒤 테두리를 금속재나 저융점의 유리를 녹여서 접합하는 순서로 하기 때문에 테두리부의 접할을 한 겹으로 밖에 할 수가 없었으므로 테두리접합부분을 필요에 따라 더 보강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두 장의 판유리중의 한 장에 먼저 테두리를 따라서 실링작업을 일회 이회 삼회 등 필요한 횟수만큼 다중(多重;여러 겹)으로 실시한 뒤에, 나머지 판유리를 아직 경화되지 않은 실링상부면에 합체하는 순서로 작업을 진행함으로서, 요구조건(판유리의 사이즈와 무게의 증가에 따른 접합강도의 증대를 위해서나, 아니면 테두리부분의 밀봉력을 높이고자할 경우)에 따라 실링횟수를 자유롭게 늘릴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하였는데, 그 내용을 첨부한 도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방법에 있어서,
진공유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판유리중의 한 장(19)에 진공배기를 위해 테두리쪽에 제일배기구(5)를 뚫고, 조금 더 안쪽으로 제이배기구(6)를 뚫은 뒤에;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하게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를 부착시키고;
상기 판유리의 중심 쪽으로도 내측간격유지부재(16)를 골고루 부착시키고;
상기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와 제일배기구(5) 바깥으로 테두리를 따라서 일정하게 실링함에 있어서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보다 높이가 높게 UV실리콘을 끊김 없이 연결되게 제일실링(1)을 하고;
상기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와 제이배기구(6)사이로 테두리를 따라서 일정하게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보다 높이가 높게 UV실리콘을 끊김 없이 연결되게 제이실링(2)을 하고;
상기와 같이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의 안팎으로 테두리를 따라 다중으로 실링이 된 판유리(19)를 수평으로 놓고서;
수평으로 놓여진 상기의 판유리에 또 다른 판유리(18)를 간격유지부재(17)에 근접할 때까지 천천히 수평으로 접근시켜서, 아직 경화되지 않은 다중 실링부분의 상부면이 접근하는 판유리(18)면에 달라붙게 해서 두 장의 판유리(19)(18) 사이에 제일진공실(11)과 중심진공실(14)을 형성시키고;
상기 형성된 제일진공실(11)과 중심진공실(14)에 갇힌공기(20)가 제일배기구(5)와 제이배기구(6)를 통해서 천천히 빠져나갈 수 있게 판유리(18)를 아주 천천히 간격유지부재(17)의 상부면 쪽에 근접 시켜서;
상기와 같이 경화되지 않은 다중의 실링재를 사이에 두고 판유리(19)와 판유리(18)의 테두리부분을 서로 접착되게 한 뒤에;
자외선램프(15)를 켜서 테두리를 따라서 다중으로 실링된 UV실링제(UV실리콘)가 자외선에 의해 순간 경화되게 하여서, 진공유리의 테두리를 접합과 동시에 다중으로 밀봉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공유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판유리중 한 장에 먼저 배기구를 뚫고 테두리를 따라서 다중의 실링한 뒤 나머지 판유리를 합체하는 순서로 진행하는 테두리 접합법이 특징점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두 장의 판유리를 합체한 후에 테두리를 단 한번 실링하고 접합하는 기존의 테두리 접합법과는 달리, 진공유리의 테두리접합부의 실링횟수를 진공유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판유리중의 한 장에 다중으로 자유롭게 늘려줄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주로 대형사이즈의 진공유리에서, 합체된 두 장의 판유리가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으키는 테두리부분에서의 수축과 팽창현상을 유연성이 좋은 다중의 UV실리콘이 휘어짐으로 흡수하여, 진공유리의 테두리접합부분에서 발생하는 균열 등의 문제를 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이다.
기대되는 효과로는 이중 삼중 혹은 그 이상으로도 다중의 실링이 상온에서 가능함으로서, 주로 대형사이즈의 진공유리에서 합체된 두 장의 유리가 서로 반대로 일으키는 수축과 팽창에 의한 테두리면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균열 등의 문제를, 유연성이 있는 다중의 실링층이 휘어짐으로 흡수하여 해결함으로 해서, 그 동안 제작이 어려웠던 대형사이즈의 진공유리를 별도의 가열챔프 없이 손쉽게 상온제작 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원에 의한 다중실링 진공유리의 정면도 우측단면도 저면단면도와 일부분 확대그림.
도2는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 정면도 우측단면도,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 시 실링부의 모양변화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그림.
도3은 실링작업이 완료된 판유리에 나머지 판유리를 합체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와 확대그림
도4는 테두리 간격유지부재 없이 제작한 진공유리
도5는 다중의 실링을 중심부 쪽으로 배분하여 간격유지부재 없이 제작한 진공유리
도6은 본원 발명의 활용법으로, 비 진공에 의한 일반 복층유리로 활용했을 때의 제작법
도7은 다중 실링면이 위치한쪽에 단열필름을 부착했을 때의 그림
도8은 참조용으로 첨부한 CNC자동실링기와 회전노즐에 의해 연속적으로 실링된 실링모습들
※ 도1 도2 도3 도6에서 단면부의 사선은 도면의 이해에 방해가 되어서 긋지 않았음.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와 같이 진공유리 제작을 위해서 동일한 치수로 잘려진 두 장의 판유리중의 한 장(19)에, 진공배기를 위해 테두리쪽에 제일배기구(5)를, 그리고 조금 더 안쪽으로 제이배기구(6)를 각각 뚫고서, 세척과 건조과정을 마친다.
상기의 배기구는 테두리를 접합완료한 후 진공작업을 할 때 진공배기구로 사용되며, 또한 실링작업 후 두 장의 유리를 합체할 때는 제일실링층(1)과 제이실링층(2) 안쪽에 갇힌공기(20)가 빠져 나가는(21) 통로로도 사용되기도 하는데, 뚫는 위치는 제일실링층(1)과 제이실링층(2)이 지나가는 가상의 선 안쪽으로 사전에 계산된 위치에 뚫어주어야 하며, 구지 실링 작업을 하는 판유리(19)에 뚫지 않고 마주 보는 판유리(18)에 뚫어 주어도 된다.
※ 본 원 출원서에서 실링이라 함은 실리콘과 같은 점성의 접착제를 연결되게 끊어짐 없이 일정하고 도톰하게 분배해 놓은 형상을 말하는 것이며, 사용된 실링제는 UV실링재임(도8참조).
상기 판유리에 테두리를 따라 실링재를 실링할 수 있는 자리를 피해, 조금 안쪽으로 일정하게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를 부착시키고, 상기 판유리의 중심 쪽으로도 내측간격유지부재(16)를 골고루 부착시킨다.
상기의 간격유지부재는 햇빛에 부식되지 않는 투명한 재질이어야 하며, 진공유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판유리중 한쪽 판유리에만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간격유지부재의 아래쪽 면에만 점적제를 도포하고 고정시켜 주도록 해서, 진공유리가 완성된 뒤 은도차에 의해 두 장의 유리가 팽창과 수축작용을 반복할 때, 미세하게나마 미끄러져 줄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간격유지부재가 부착이 완료된 후,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의 안팎으로 테두리를 따라서 일정하게 그리고 간격유지부재보다 높이가 높게 UV실리콘을 끊김 없이 연결되게 다중으로, 제일실링(1)과 제이실링(2)을 한다.
상기와 같이 실링을 할 때는 반드시 제일배기구와(5)와 제이배기구(6)가 뚫려져 있는 바깥쪽으로 제일실링(1)과 제이실링(2)을 해주어서 배기구(5)(6)가 실링층에 덮여서 막히는 일이 없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서 일정하게 UV실리콘을 실링하려면 도 8에서처럼 CNC실링기(※컴퓨터 수치제어에 의한 자동실링기)에 의해서 가능하며, 사전 입력된 수치에 의해서 실링하여야 하며, 실링부분의 단면부 높이는 도 1의 그림(가)에서와 같이 간격유지부재(17)의 높이보다 보다 최소 30% 이상 높게 실링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UV실리콘은 실리콘을 기본 베이스로 한 UV접착제의 한 종류로, 자외선을 조사받을 경우 급속히 경화하는 제품이며, 실리콘을 베이스로 하였기 때문에 자외선에 의해 순간경화한 후에도 실리콘 특유의 유연성과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본 원 출원서에서는, UV실리콘 혹은 UV실링재로 호칭하며 뜻은 같다.
※상기의 UV실리콘의 색상은 도6과 도 8에서는 구분하기 쉽게 진한 갈색으로 표현하였으나, 실제로 사용되는 색상은 빛의 투과가 잘되는 무색의 반투명의 반고체형 UV접착제임을 밝혀 둔다.
상기와 같이 판유리(19)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의 안팎으로, 다중 실링(1)(2)이 완료되면, 또 다른 판유리(18)를 간격유지부재(16)(17)에 근접할 때까지 천천히 접근시켜서, 아직 경화되지 않은 실링부의 상부면이 근접하는 판유리(18)면에 달라붙으면서 두 장의 판유리(19)(18)가 실링제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되게 한다.
이 때 두 장의 판유리(19)(18)를 너무 빠르게 근접시켜서 합체시킬 경우에는, 제일실링층(1)과 제이실링층(2) 안에 갇힌공기(20)가 작은 직경의 제일배기구(5)와 제이배기구(6)를 통해서 미쳐 빠져 나가지 못하고, 아직 경화되지 않은 실링벽을 밀치고 나감으로 해서 실링벽이 뚫려지게 됨으로, 도 3에서와 같이 판유리(18)를 흡착기(22)로 부착을 한 뒤, 실링작업이 완료된 판유리(19)에 수평으로 아주 천천히 아래로 이동시켜서, 직경이 작은 배기구(5)(6)를 통해서 갇힌공기(20)가 원활하게 빠져나가게(21) 아주 천천히 이동 시켜주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판유리(18)를 간격유지부재의 상부면까지 도달시킨다.
상기와 같이 두 장의 판유리가 근접이 완료되면, 자외선램프(15)를 켜서 테두리를 따라서 실링된 실링제(UV실리콘)가 자외선에 의해 순간 경화되게 하여, 진공유리의 테두리를 접합과 동시에 다중 밀봉을 완료시킨다.
자외선램프는 자외선 조사기능을 담당하며, 자외선램프에 의해 일차 경화 후 유리흡착기(22)를 떼어낸 뒤에, 다시 한 번 골고루 충분한 시간으로 실링부를 비춰서 미쳐 경화되지 않은 부분이 없도록 해준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두 장의 판유리를 합체하면, 제일실링(1)과 제이실링(2)사이에는 제일진공실(11)이 만들어지고, 제이실링층(2)의 안쪽으로는 중심진공실(14)이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이 각각 독립되게 만들어진 제일진공실(11)과 중심진공실(14)은 아직 진공작업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진공실 내에 공기(20)가 차있고 배기구(5)(6)가 열려있는 상태이므로 아직 완성된 진공유리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배기구(5)(6)를 통해서 두 진공실에 갇힌공기를 빼내고 배기구(5)(6)를 밀봉시켜줘야 비로소 완전한 진공유리가 완성될 수 있다.
다중실링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진공실은 테두리쪽의 제일실링(1)이 손실되어서 테두리쪽의 제일진공실(11)이 손실이 되더라도 중심진공실(14)은 그대로 보존이 되기 때문에 진공유리의 기능유지에는 문제가 없다.
※ 본 발명은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에 관한 발명이므로, 진공실 안의 공기를 빼내는 과정과 이후 배기구를 밀봉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기술치 않기로 한다.
이렇게 하면 대형사이즈의 진공유리에서, 합체된 두 장의 판유리가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각각 반대 방향으로 일으키는 수축과 팽창현상을, 유연성이 좋은 다중의 UV실리콘 실링재가 휘어짐으로 흡수하여(도2의 그림(마)참조), 진공유리의 테두리접합부분에서의 균열에 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대형 창이나 벽체를 통유리로 마감할 때 사용되는 대형사이즈의 진공유리는, 판유리의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서 판유리의 두께도 두꺼워져서 자연히 판유리의 자체 중량도 증가하게 되고, 또 실내외의 온도 차이에 의해서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수축과 팽창작용이 일어남으로, 그에 상응하는 판유리간의 강한접착력이 없으면, 판유리에 실링된 접착부위가 서서히 박리되면서, 진공유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진공유리를 구성하는 두 판유리간의 접착력을 높여주기 위해서, 두 장의 판유리를 결속시켜주는 실링횟수를 도2에서와 같이 더 늘려주면 된다.
상기 내용을 도2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유리를 구성하는 한 장의 판유리(19)에, UV실링재가 실링되는 가상의 선 안쪽으로 제일배기구(5) 제이배기구(6) 제삼배기구(7) 제사배기구(8)를 차례로 뚫고, 테두리를 따라서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를 부착하고 또 중심 쪽으로는 내측간격유지부재(16)를 부착한 뒤,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와 제일배기구(5) 바깥쪽으로 테두리를 따라서 제일실링(1)을 하고,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와 제이배기구(6)사이의 테두리를 따라서 제이실링(2)을 하고, 제삼배기구(7) 밖으로 테두리를 따라서 제삼실링(3)을 하고, 제사배기구(8) 밖으로 제사실링(4)을 테두리를 따라서 한 뒤, 진공유리를 구성하는 나머지 판유리(18)를 테두리간격유지부재에 닿을 때까지 천천히 접근시켜서, 아직 경화되지 않은 실링부의 상부면이 판유리(18)면에 달라붙게 해서 합체한 뒤, 자외선램프를 켜서 UV실링재를 순간경화 시키면, 테두리쪽으로부터 제일진공실(11) 제이진공실(12) 제삼진공실(13) 중심진공실(14)이 차례로 각각 독립되게 형성되면서 진공유리의 테두리는 다중으로 접합되고 중심진공실(14)은 밀봉도 다중의 진공실에 감싸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다수개의 진공실에서 공기를 빼내고 진공을 시켜 밀봉을 시켜주면, 중심진공실(14)은 다수의 진공실 안쪽으로 감싸이게 되어서, 더욱 확실하게 중심진공층이 보호되는 효과와 함께 늘어난 실링횟수 만큼 두 판유리간의 결속력도 증가하기 때문에, 대형사이즈의 진공유리도 반영구적으로 진공유리로서의 기능을 변함없이 유지 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의 과정 중에서 다중으로 실링된 UV실링재의 두께(판유리와 판유리사이의 거리)는, 판유리(19)에 부착되어진 간격유지부재(17)의 상단높이보다 10% 정도 높은 위치에서 고정을 시키고(도3의 그림(사)참조), 자외선램프(15)를 켜서 테두리를 따라서 실링된 UV실링제(UV실리콘)가 자외선에 의해 순간 경화되게 하여서, 경화된 후의 실링재의 두께가 테두리간격유지부재의 두께보다 10%정도 두껍게 되도록 해 준다.
상기와 같이 경화되지 않은 다중 실링재의 두께를 테두리간격유지부재의 높이보다 약간 더 두껍게 한 상태에서 자외선에 의해 순간 경화시켜줄 경우, 진공작업 후 진공유리가 완성이 된 뒤에 두 판유리 사이의 내부진공압이 대기압(25)에 눌려져서, 두 장의 판유리사이에 접착 경화된 실링재가 더욱 세게 눌려져서 더욱 높은 밀봉력을 줄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의 눌림에 의해 압축된 실링 단면부는, 진공유리가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해서 수축과 팽창을 할 때에, 실링부가 대각선으로 밀리면서 실링단면부의 길이가 대각선 방향으로 늘어남으로, 늘어나는 길이만큼 압축되어진 길이가 다시 늘어나서 보완을 해줌으로 해서, 실링부가 판유리에서 쉽게 박리되지 않게 해주기도 한다.
도4에서와 같이, 진공유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판유리중의 한 장에, 테두리 가까운 쪽으로 제일배기구(5)와 제이배기구(6)를 뚫고서, 제일배기구의 바깥으로 테두리를 따라서 제일실링(1)하고, 제이배기구와 제일배기구 사이의 테두리를 따라서 제이실링(2)을 한 뒤에, 나머지 한 장의 판유리를 상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합체하여 자외선에 의해 테두리 접합부의 실링부를 순간 경화시켜, 진공유리를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테두리간격유지부재를 설치 않고서 테두리를 따라서 다중으로 실링된 실링부가 경화된 후, 이 실링부가 두 장의 판유리간의 간격유지부재의 역할을 겸하게 하였다.
도5에서처럼, 테두리쪽에 집중된 실링층을 판유리의 중심 쪽으로 고르게 배분한 뒤, 진공실을 구성할 수 있을 만큼(3-5밀리미터) 간격을 유지 한 상태에서 유리흡착기로 들어서, 실링부를 자외선에 의해 순간 경화시켜서 진공유리를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간격유지부재 없이 다중의 실링층을 진공유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판유리의 중심쪽과 테두리쪽에 골고루 배분되게 다중의 실링을 함으로서, 실링재가 자외선에 의해 순간경화 한 뒤에 이 다중의 실링부가 두 장의 판유리를 접합하면서, 동시에 간격유지부재의 역할을 겸하게 하였다.
이 때 배기구 역시 미리 뚫어주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의한 방법 즉 예를 들면, 두 장의 유리중 한 장에 먼저 배기구를 뚫고 테두리를 따라서 실링한 뒤 나머지 판유리를 합체하는 순서로 진행하는 테두리 접합법에 의한 것을, 일반 복층유리의 제작법에도 활용할 수 있다.
도6에서처럼 복층유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유리중의 한 장에 먼저 배기구(9)를 뚫고, 이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서 연속되게 끊김 없이 도톰하게 UV실링재를 실링(1)하고, 여기에 나머지 판유리를 수평으로 적당한 간격(3-5밀리미터)을 두고 고정시킨 뒤, UV실링재에 자외선을 조사시켜서 UV실링재를 순간경화 시켜서, 두 장의 판유리(19)(18)를 접합과동시에 밀봉하고 간격유지가 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때 미리 뚫어 놓은 배기구(9)는 두 장의 판유리가 합체할 때 갇힌공기가 빠져나가는 통로로 사용되면 이후 실링부가 경화된 후에는 막아서 공기가 유통되지 않도록 해주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일반복층유리를 쉽게 제작할 수가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진공유리의 테두리쪽에 집중하여 설치된 실링부분 쪽에 단열필름(24)를 부착하면 실링부를 따라서 전도되는 냉기를 일부 차단할 수 있다.

Claims (8)

  1. 본 발명은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방법에 있어서,
    진공유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판유리중의 한 장(19)에 진공배기를 위해 테두리쪽에 제일배기구(5)를 뚫고, 조금 더 안쪽으로 제이배기구(6)를 뚫은 뒤에;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하게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를 부착시키고;
    상기 판유리의 중심 쪽으로도 내측간격유지부재(16)를 골고루 부착시키고;
    상기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와 제일배기구(5) 바깥으로 테두리를 따라서 일정하게 실링함에 있어서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보다 높이가 높게 UV실리콘을 끊김 없이 연결되게 제일실링(1)을 하고;
    상기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와 제이배기구(6)사이로 테두리를 따라서 일정하게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보다 높이가 높게 UV실리콘을 끊김 없이 연결되게 제이실링(2)을 하고;
    상기와 같이 테두리간격유지부재(17)의 안팎으로 테두리를 따라 다중으로 실링이 된 판유리(19)를 수평으로 놓고서;
    수평으로 놓여진 상기의 판유리에 또 다른 판유리(18)를 간격유지부재(17)에 근접할 때까지 천천히 수평으로 접근시켜서, 아직 경화되지 않은 다중 실링부분의 상부면이 접근하는 판유리(18)면에 달라붙게 해서 두 장의 판유리(19)(18) 사이에 제일진공실(11)과 중심진공실(14)을 형성시키고;
    상기 형성된 제일진공실(11)과 중심진공실(14)에 갇힌공기(20)가 제일배기구(5)와 제이배기구(6)를 통해서 천천히 빠져나같 수 있게 판유리(18)를 아주 천천히 간격유지부재(17)의 상부면 쪽에 근접 시켜서;
    상기와 같이 경화되지 않은 다중의 실링재를 사이에 두고 판유리(19)와 판유리(18)의 테두리부분을 서로 접착되게 한 뒤에;
    자외선램프(15)를 켜서 테두리를 따라서 다중으로 실링된 UV실링제(UV실리콘)가 자외선에 의해 순간 경화되게 하여서, 진공유리의 테두리를 접합과 동시에 다중으로 밀봉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접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진공유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판유리중 한 장에 먼저 배기구를 뚫고 테두리를 따라서 다중의 실링한 뒤 나머지 판유리를 합체하는 순서로 진행하는 테두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접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테두리접합부의 실링횟수를 다중으로 자유롭게 늘려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접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경화되지 않은 다중 실링재의 두께를 테두리간격유지부재의 높이보다 약간 더 두껍게 한 상태에서 실링재를 자외선에 의해 순간 경화시켜준 것이 특징인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테두리간격유지부재를 설치 않고서 테두리를 따라서 다중으로 실링된 실링부가 경화된 후, 이 실링부가 두 장의 판유리간의 간격유지부재의 역할을 겸하게 한 것이 특징인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접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간격유지부재 없이 다중의 실링층을 진공유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판유리의 중심쪽과 테두리쪽에 골고루 배분되게 다중의 실링을 함으로서, 실링재가 자외선에 의해 순간경화 한 뒤에 이 다중의 실링부가 두 장의 판유리를 접합하면서, 동시에 간격유지부재의 역할을 겸하게 한 것이 특징인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접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층유리를 구성하는 두 장의 유리중의 한 장에 먼저 배기구(9)를 뚫고, 이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서 연속되게 끊김 없이 도톰하게 UV실링재를 실링(1)하고, 여기에 나머지 판유리를 수평으로 적당한 간격(3-5밀리미터)을 두고 고정시킨 뒤, UV실링재에 자외선을 조사시켜서 UV실링재를 순간경화 시켜서, 두 장의 판유리(19)(18)를 접합과동시에 밀봉하고 간격유지가 되도록 한 것이 특징인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접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테두리쪽에 집중하여 설치된 실링부분 쪽에 단열필름(24)를 부착하여 실링부를 따라서 전도되는 냉기를 차단하게 한 것이 특징인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
KR1020130051931A 2013-05-07 2013-05-07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 KR20140132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931A KR20140132256A (ko) 2013-05-07 2013-05-07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931A KR20140132256A (ko) 2013-05-07 2013-05-07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256A true KR20140132256A (ko) 2014-11-17

Family

ID=5245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931A KR20140132256A (ko) 2013-05-07 2013-05-07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2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837B1 (ko) * 2019-01-14 2020-02-18 (주)옵토네스트 진공 윈도우 패널 제조방법
KR20230117493A (ko) 2022-01-31 2023-08-08 이광현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837B1 (ko) * 2019-01-14 2020-02-18 (주)옵토네스트 진공 윈도우 패널 제조방법
KR20230117493A (ko) 2022-01-31 2023-08-08 이광현 자외선차단제층을 구비한 라벨지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8527B1 (en) Method for producing two or more vacuum glass panels
TWI617732B (zh) 玻璃平板單元及玻璃窗
EP3357884B1 (en) Glass panel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glass window manufacturing method
JP6528343B2 (ja)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窓の製造方法
AU2015403299B2 (en) Glazing unit for underwater objects
JP6505254B2 (ja) 三層複層ガラス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MX2019010245A (es) Acristalamiento laminado que comprende una pila de capas.
MX2019007527A (es) Vidrio laminado de color.
KR20140132256A (ko)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
KR20160101620A (ko) 필러를 겸비한 중간유리를 갖는 진공복층유리
JP6735509B2 (ja)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窓の製造方法
CN104341094A (zh) 节能板材及其制造方法
CN105415808B (zh) 一种真空玻璃及其制备方法
EP3632870B1 (en) Method for producing glass panel unit
JP6827222B2 (ja)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窓の製造方法
US20230392434A1 (en) Vacuum insulated glass and method of making same
GB2504837A (en) Apparatus comprising spaced sheets of toughened glass
US20220259916A1 (en) Heat-insulating glass panel
US202303748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insulating glass with gas
EP360424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window
US20200263484A1 (en) Vacuum insulated glass unit with a polymer spacer matrix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881072B1 (ko) 샤시용 진공유리 제조방법
WO2016074200A1 (zh) 通孔节能板材及其制作方法
ITPD20100182A1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guarnizione perimetrale su di un vetro multistrato, attrezzatura per la realizzazione di un tale procedimento, guarnizione perimetrale realizzata con tale procedimento, e vetro multistrato dotato di una tale g
JP2010163809A (ja) 複層化された主板ガラス及び複層化された主板ガラ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