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620A - 필러를 겸비한 중간유리를 갖는 진공복층유리 - Google Patents

필러를 겸비한 중간유리를 갖는 진공복층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620A
KR20160101620A KR1020150025190A KR20150025190A KR20160101620A KR 20160101620 A KR20160101620 A KR 20160101620A KR 1020150025190 A KR1020150025190 A KR 1020150025190A KR 20150025190 A KR20150025190 A KR 20150025190A KR 20160101620 A KR20160101620 A KR 20160101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ler
sealing
sides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150025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1620A/ko
Publication of KR20160101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진공유리가 대기압에 눌려서 두 장의 외부판유리가, 서로 들러붙지 않게 하기위한, 간격유지부재인 필러(이하 필러 라 한다)를 포함하는 진공유리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공기배출구를 뚫은, 상판유리와 하판유리를 준비하는 1단계; 상판유리와 하판유리보다 작게 하고, 공기배출구를 뚫은, 또 한 장의 중간유리를 준비하는 2단계; 준비된 중간유리의 양면에 필러를 엇갈리게 배열하여 부착하는 3단계; 상기 중간유리를, 상판유리와 하판유리사이에, 위치시키는 4단계; 상기 중간유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밀착된 상판유리와 하판유리사이에, 실링제를 실링하는 5단계; 실링제 건조 후에, 공기배출구를 통해서 내부 공기를 빼내고, 공기 배출구를 밀봉하는 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러를 겸비한 중간유리를 갖는 진공복층유리{omitted}
진공복층유리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됨에 따라 주거생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건축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실내의 냉난방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창호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되어 왔다.
상기의 요건을 충족하기위해서, 두 장의 유리 사이에 공기 또는 열전도도가 낮은 가스를 주입하는 복층유리를 사용해 왔다.
상기의 복층유리와 함께 구장의 유리사이의 공기를 제거해 대류에 의한 열전도를 차단하는 진공복층유리가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진공유리에 있어서 보다 나은 단열성능을 확보하기위해, 두 장의 외부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는, 필러(간격유지부재)에 의한 실내측의 열기가 실외측의 유리로 직접적으로 전도되는, 열전도를 줄이기 위해서, 두 장의 외부유리 사이에, 또 한 장의 내부유리 양면에 필러를 엇갈리게 배열 부착시켜서, 필러에 의한 직접적인 열전도를, 중간유리를 거쳐서 간접적인 열전도가 이루어지게 하여, 보다 나은 단열성능을 충족시키며, 또한 대형의 진공유리를 제작함에 있어서도, 걸림돌이 없는 진공유리를 만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진공유리가 대기압에 눌려서 두 장의 외부판유리가, 서로 들러붙지 않게 하기위한, 간격유지부재인 필러(이하 필러 라 한다)를 포함하는 진공유리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공기배출구를 뚫은, 상판유리와 하판유리를 준비하는 1단계; 상판유리와 하판유리보다 작게 하고, 공기배출구를 뚫은, 또 한 장의 중간유리를 준비하는 2단계; 준비된 중간유리의 양면에 필러를 엇갈리게 배열하여 부착하는 3단계; 상기 중간유리를, 상판유리와 하판유리사이에, 위치시키는 4단계; 상기 중간유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밀착된 상판유리와 하판유리사이에, 실링제를 실링하는 5단계; 실링제 건조 후에, 공기배출구를 통해서 내부 공기를 빼내고, 공기 배출구를 밀봉하는 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필러를 상판유리와 하판유리사이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중간유리의 양면에, 서로 엇갈리게 배열하여 부착시킴으로 해서, 필러에 의해 직접적으로 전도되는 내부열기가 외부로 아주 더디게 전도됨으로 해서, 보다 더 낳은 단열효과를 가진 진공유리를 제작 할 수 가 있다.
또한, 상판유리와 하판유리사이의 간격을, 중간유리의 두께와 양면에 설치한 두 곳의 필러 두께만큼, 떨어져서 두껍게 실링 할 수 가 있어서,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유리의 수축 팽창에 의한 테두리부분의 응력이, 두꺼운 실링제에 의해 분산됨으로 해서, 보다 더 큰 사이즈의 진공유리를 생산 할 수 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한 진공복층유리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필러를 겸비한 중간유리의 모습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복층의 중간유리를 갖는 진공유리
* 도면에 색깔을 넣은 것은 경계면을 구분하기 쉽게 넣은 것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1 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배출구를 뚫은 뒤, 잘 세정된 상판유리(1)와 하판유리(2)를 준비하는 1단계; 상판유리와 하판유리보다 작게 하고, 공기배출구(9)를 뚫은, 또 한 장의 중간유리(4)를 준비하는 2단계; 준비된 중간유리의 양면에 필러(5)(6)를 엇갈리게 배열하여 부착하는 3단계; 상기 중간유리(4)를, 상판유리(1)와 하판유리(2)사이에, 위치시키는 4단계; 상기 중간유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밀착된 상판유리와 하판유리사이에, 실링제(8)를 실링하는 5단계; 실링제 건조 후에, 공기배출구(9)를 통해서 내부 공기를 빼내고, 공기 배출구를 밀봉하는 6단계; 를 연속으로 실시한다.
1단계에서 6단계까지 단계별로 기술을 실시함에 있어서,
1단계에서는, 두 장의 상하판유리를 필요한 크기에 맞게 절단 하고, 공기배출구(9)를 상판유리(1)에만 뚫은 뒤에, 깨끗이 세정을 하고 건조과정을 거친 뒤, 하판유리를 올려놓는다.
2단계에서 4단계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중간유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는, 상하판용 외부유리보다 실링제(8)를 실링 할 수 있는 폭 만큼, 중간유리를 작게 절단한 뒤에 공기배출구(9)를 뚫고, 역시 세정건조 과정을 마친 뒤에, 중간유리의 양면에, 필러를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부착시킨다.
이때 필러(5)(6)를 배열하여 부착하는 방법은, 도 2 에서처럼, 준비된 중간유리의 양면에 서로 엇갈리게 하여, 규칙적으로 배열을 한다.
상기에 있어서, 필러의 재질은 기존의 진공유리에서와 같이, 금속재질의 미세한 마이크로형의 필러를 배열 부착시키면 되는데, 이때 반드시 중간유리의 양면에, 서로 위치가 중복되지 않게 배열하여 부착하여야한다(도2참조 *필러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색깔을 회색과 빨간색으로 표시하였으나 재질과 모양은 같은 것임 ).
중간유리(4)에 필러(5)(6)를 배열하여 부착함에 있어서, UV경화제(*자외선을 쪼일 경우 순간적으로 경화되는 접착제종류를 말하며 이하 UV경화제라함)를 중간유리의 양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되게 점적(*방울형태로 떨어트리는 것) 한 뒤에, 자외선 조사기(11)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도 할 수 가 있다.
UV경화제를 점적하여 만들어진 필러(5)(6)는 중간유리에 단단하게 밀착되어 부착됨으로, 가공과정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으므로, 취급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UV경화제는, 무색투명하고 경도가 높은 계열을 사용하여, 진공압에 의하여 필러가 찌그러지거나, 또 시야를 가리지 않아야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UV접착제에 의한 필러는, 금속재의 마이크로 필러에 비해서, 유리와 접촉면적은 넓으나, 열전도율이 금속보다 낮고, 또한 중간유리(4)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어서, 열전도율이 극히 낮은 유리를 엇갈리게 통과함으로, 외부로 전도되는 전도율이 극히 제한적이게 되어서, 진공유리의 단열성능을 극단적으로 높여 준다.
보다 더 낳은 단열효과를 위해서는, 필러를 겸비한 진공유리를 한 장 더 설치하면 되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판유리(2)위에, 양면에 필러(5)(6)가 설치된 중간유리를 올려놓고; 기존의 중간유리(4)와 크기가 같고, 기존의 중간유리와 접하는 부분에는 필러(6)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반대편 일면에만 필러(7)가 설치된, 또 한 장의 중간유리(3)를 포갠 뒤; 상판유리(1)를 얹고서 실링(8)하여 마무리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두 장의 중간유리를 넣을 경우, 전도되는 내부의 열은 두 장의 유리를, 엇갈리게 두 번을 통과해야 함으로서, 전도되는 열은 더욱더 줄어들게 된다.
상기에서, 추가로 설치되는 중간유리(3)에도, 공기배출구는 뚫어 주어야한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필러를 겸비한 중간유리(4)는, 주문된 유리의 크기에 상관없이, 평소에 따로 준비해두었다가, 도2에서처럼 필요한 크기만큼 절단(10)하여 사용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상기의 모든 과정이 끝나면, 중간유리(4)를 하판유리(2)의 중심에 맞게 올려놓는다.
그 위에, 상판유리를(1)중심에 맞게 올려놓고, 실링 작업하는 5단계로 넘어간다.
5단계에서는, 상하판유리보다 실링 폭만큼 작게 만들어진 중간유리(4) 때문에, 실링을 상하판유리사이에 움푹 들어간 곳에 실링을 채워주는 형식으로, 할 수 있어서, 실링작업이 쉽고, 깨끗하게 도 된다.
이때 사용되는 실링재에 관해서는, 기존 실링재에 의한 기존의 실링법을 따르거나, 본 원 출원인이 별개로 출원한 방법과, 중복됨으로 별도의 언급을 본원에서는 생략한다.
마지막 6단계; 실링재의 건조과정이 끝나면, 유리사이의 공기를 빼내고, 공기배출구(9)를 막아주면 진공유리의 가공공정이 모두 끝나게된다.
상기 6단계의 과정도, 진공복층유리의 간격유지부재인, 필러의 설치법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어서, 진공유리의 테두리접합법과, 공기배출법의 자세한 언급은 빼기로 한다.
(*본 원 출원인이 별개로 출원한 내용들이 있어, 중복을 표기를 피하기 위해 자세한 언급은 생략한다.)
1:상판유리
2:하판유리
3:중간유리
4:중간유리
5:필러
6:필러
7:필러
8:실링제
9:공기배출구
10:유리절단선
11:자외선조사기

Claims (6)

  1. 진공유리가 대기압에 눌려서 두 장의 외부판유리가, 서로 들러붙지 않게 하기위한, 간격유지부재인 필러를 포함하는 진공유리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공기배출구를 뚫은, 상판유리와 하판유리를 준비하는 1단계; 상판유리와 하판유리보다 작게 하고, 공기배출구를 뚫은, 또 한 장의 중간유리를 준비하는 2단계; 준비된 중간유리의 양면에 필러를 엇갈리게 배열하여 부착하는 3단계; 상기 중간유리를, 상판유리와 하판유리사이에, 위치시키는 4단계; 상기 중간유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밀착된 상판유리와 하판유리사이에, 실링제를 실링하는 5단계; 실링제 건조 후에, 공기배출구를 통해서 내부 공기를 빼내고, 공기 배출구를 밀봉하는 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판유리와 하판유리사이에, 양면에 필러를 엇갈리게 부착한 중간유리를 설치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한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중간유리를 복수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중간유리의 양면 설치하는 필러의 재질이 UV접착제를 점적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청구항2에 있어서,
    중간유리의 크기가, 상하판유리보다 실링재를 실링할수 있는 폭만큼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청구항2에 있어서, 중간유리의 양면에 필러를 엇갈리게 설치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1020150025190A 2015-02-17 2015-02-17 필러를 겸비한 중간유리를 갖는 진공복층유리 KR20160101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190A KR20160101620A (ko) 2015-02-17 2015-02-17 필러를 겸비한 중간유리를 갖는 진공복층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190A KR20160101620A (ko) 2015-02-17 2015-02-17 필러를 겸비한 중간유리를 갖는 진공복층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620A true KR20160101620A (ko) 2016-08-25

Family

ID=5688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190A KR20160101620A (ko) 2015-02-17 2015-02-17 필러를 겸비한 중간유리를 갖는 진공복층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162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0659A (zh) * 2017-05-09 2017-07-07 陈晓明 透光透气的门窗
WO2019161357A1 (en) * 2018-02-19 2019-08-22 Kattmann Elias, LLC Dynamic multi-pane insulating assembly and system
US11161325B2 (en) 2019-02-19 2021-11-02 Kattmann Elias, LLC Dynamic multi-pane insulating assembly and system
KR102628169B1 (ko) * 2023-07-04 2024-01-23 주식회사 대성그라스팜 복층 유리패널을 이용한 유리온실하우스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0659A (zh) * 2017-05-09 2017-07-07 陈晓明 透光透气的门窗
WO2019161357A1 (en) * 2018-02-19 2019-08-22 Kattmann Elias, LLC Dynamic multi-pane insulating assembly and system
US10815719B2 (en) 2018-02-19 2020-10-27 Katmann Elias, LLC Dynamic multi-pane insulating assembly and system
US11459815B2 (en) 2018-02-19 2022-10-04 Kattmann Elias, LLC Dynamic multi-pane insulating assembly and system
US11802437B2 (en) 2018-02-19 2023-10-31 Kattmann Elias, LLC Dynamic multi-pane insulating assembly and system
US11161325B2 (en) 2019-02-19 2021-11-02 Kattmann Elias, LLC Dynamic multi-pane insulating assembly and system
KR102628169B1 (ko) * 2023-07-04 2024-01-23 주식회사 대성그라스팜 복층 유리패널을 이용한 유리온실하우스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1620A (ko) 필러를 겸비한 중간유리를 갖는 진공복층유리
CN101298370B (zh) 低温粘和平板真空玻璃的制作方法及其设备
EP3438399B1 (en) Glass panel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fitting manufacturing method
TWI617732B (zh) 玻璃平板單元及玻璃窗
EP3225602B1 (en) Glass panel unit
EP3357884B1 (en) Glass panel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glass window manufacturing method
EP320272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US20180282210A1 (en) Glass panel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glass window manufacturing method
EP381612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US11162297B2 (en) Glass panel uni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WO2018062072A1 (ja)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ガラス窓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
CN104341094A (zh) 节能板材及其制造方法
EP3786124B1 (en) Glass panel unit assembly, production method for glass panel unit, glass panel unit in process, glass panel unit
US11230878B2 (en) Glass panel uni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KR20140132256A (ko) 다중실링에 의한 진공유리의 테두리 접합법
JP6709964B2 (ja)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窓の製造方法
JP6827222B2 (ja)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窓の製造方法
US20220170313A1 (en) Glass pane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lass panel unit
CA2966027C (en) Energy-sav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60424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window
US20210147291A1 (en) Glass panel unit, work in progress of glass panel unit, glass panel uni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JP2001290163A (ja) 液晶セルの製造方法及び液晶セル用複層ガラス
CN105980319A (zh) 通孔节能板材及其制作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