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905A -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및 그에 적용된 이형부재 - Google Patents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및 그에 적용된 이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905A
KR20230144905A KR1020220044218A KR20220044218A KR20230144905A KR 20230144905 A KR20230144905 A KR 20230144905A KR 1020220044218 A KR1020220044218 A KR 1020220044218A KR 20220044218 A KR20220044218 A KR 20220044218A KR 20230144905 A KR20230144905 A KR 20230144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ape
pocket
adhesive
coating layer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김규섭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905A/ko
Publication of KR2023014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5/00Attaching articles to cards, sheets, strings, webs, or other carriers
    • B65B15/04Attaching a series of articles, e.g. small electrical components, to a continuous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2Articles, e.g. small electrical components, attached to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점착성을 갖는 부품을 수납하고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캐리어 테이프가 개시된다. 캐리어 테이프 본체로부터 움푹 패여 일체로 형성된 포켓(pocket)을 구비하며, 포켓 바닥의 일정 부분에는 이형 부재가 설치되어 점착성을 갖는 대상물이 수납되어도 쉽게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및 그에 적용된 이형부재{Carrier tape for SMT and release unit attached to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carrier tap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점착성을 갖는 부품을 수납하고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캐리어 테이프에 관련한다.
전자 부품 등을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공급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포장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포장재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릴로 된 캐리어 테이프이다.
통상, 캐리어 테이프는, 캐리어 테이프 본체, 및 캐리어 테이프 본체로부터 움푹 패여 일체로 형성된 포켓(pocket)으로 구성되며, 캐리어 테이프 본체 위에 커버 필름이 열에 의해 접착(점착)되어 포켓 위를 밀봉한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 본체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스프로켓 홀(sprocket hole)이 형성되어 릴로 된 캐리어 테이프를 감거나 풀 때 사용된다.
이러한 캐리어 테이프에는 부품이 포켓에 담긴 상태로 공급될 수 있어 취급 또는 이송 중에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커버 필름을 분리하고 진공픽업에 의해 포켓에 수납된 부품을 표면실장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캐리어 테이프는 커버 필름과의 접착(점착)이 용이하고 대향하는 점착제나 점착테이프와 자기점착이 잘 되는 통상의 폴리에스터(PET)나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친수성이 있는 폴리머 필름에 열과 금형으로 움푹 패이게 포켓을 형성한 후 대상물을 포켓에 수납하고 이후 포켓의 위를 커버 필름으로 열 접착(점착)하여 밀봉한다.
그런데 부품, 가령 적어도 하면에 자기점착력을 구비한 열전도성패드 또는 하면에 자기점착력을 구비한 양면 점착테이프를 구비한 EMI 개스킷과 같은 부품이 포켓에 수납되면 자기점착력을 갖는 부품이 포켓의 바닥에 점착되어 부품을 진공픽업으로 포켓에서 꺼내기 어렵다.
예를 들어, 기존의 캐리어 테이프의 재료는 친수성이 있어 통상의 아크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점착제나 점착테이프 등과 이형이 잘 안되고 잘 점착되기 때문에 이들 점착제나 점착테이프를 구비한 부품을 진공픽업에 의해 포켓에서 신뢰성 있고 쉽게 분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985012호에서, 포켓의 바닥으로부터 돌기를 일체로 돌출하여 해당 돌기가 점착제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만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점착제에 관계없이 EMI 개스킷을 포켓으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포켓의 바닥과 대향하는 부품의 하면 전체에 점착테이프가 형성되거나 부품 자체가 자기점착력을 갖는 경우에는 돌기가 점착테이프나 부품에 접촉할 수밖에 없어 상기 특허의 구조로는 원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품 하면의 일부에만 점착테이프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조가 어렵고 부품의 전체적인 자기점착력이 작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점착력을 갖는 대상물을 표면실장 시 진공픽업으로 포켓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캐리어 테이프를 경제성 있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향하는 커버 필름과 열에 의해 접착(점착)이 잘 되는 캐리어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켓 바닥과 유사하게 평면을 이루기 용이한 캐리어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적어도 하면이 자기점착력을 갖으며 상면에서 진공 픽업이 가능한 부품을 수납하는 릴로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로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폴리머 필름으로 된 캐리어 테이프 본체;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 본체에서 일정 간격으로 열에 의해 움푹 패여 일체로 형성된 포켓(pocket)과 상기 캐리어 테이프 본체를 이송하는 스프로켓 홀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의 바닥 부분에 상기 자기점착력에 대응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 본체보다 이형이 잘 되는 이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형부재 및 상기 포켓의 바닥은 평면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형부재는 상기 포켓의 바닥에 상기 이형부재에 대응하는 액상의 이형 코팅액을 분사하고 경화하여 형성한 이형 코팅층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형부재는, 폴리머 필름의 기재; 상기 기재의 상면에 형성된 이형 코팅층; 및 상기 기재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포켓의 바닥에 점착되는 자기점착력을 갖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머 필름은 폴리에스터(PET)이고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 점착제나 실리콘 점착제일 수 있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이형 코팅층이 먼저 형성된 후 나중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형 코팅층은 액상의 불소 또는 불소 화합물의 불소 코팅재료(Fluorine Coating Material)가 코팅된 후 경화되어 형성되고, 상기 불소 코팅재료는 불소계 실란이고, 상기 이형 코팅층의 두께는 0.1㎛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은, 적어도 한 면이 자기점착력을 갖는 3차원 형상의 부품을 수납하는 폴리머 재질로 된 릴 캐리어 테이프의 본체에 구비된 포켓의 바닥에 설치되며, 폴리머 필름의 기재; 상기 기재의 상면에 형성된 불소 또는 불소 화합물 코팅층; 및 상기 기재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포켓의 바닥에 점착되는 자기점착력을 갖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에 적용되는 이형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물의 자기점착제와 접촉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포켓 바닥에 자기점착제와 이형이 잘 되는 이형부재가 설치되어 표면실장을 위한 진공픽업 시 대상물이 포켓의 바닥과 잘 분리되어 픽업이 용이하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는 통상의 커버 필름과 열에 의해 접착(점착)이 잘 되는 통상의 폴리머 필름을 적용하여 경제성이 있다.
또한, 이형부재가 평면을 이루기 용이하고 포켓 바닥에 형성하기 용이하다.
도 1은 릴에 감긴 캐리어 테이프를 보여준다.
도 2(a)와 2(b)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포켓 바닥에 설치된 이형부재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은 포켓 내에 대상물을 수납한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포켓 바닥에 설치된 이형부재의 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릴에 감겨 릴로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를 보여주고, 도 2(a)와 2(b)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포켓 바닥에 설치된 이형부재의 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의 포켓에 수납되는 대상물은 적어도 한 면이 자기점착성을 갖는 3차원 형상을 구비하여 자기점착성이 있는 부분이 포켓 바닥과 접촉하며, 가령 대상물은 다른 면에서 진공픽업에 의해 표면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의 자기점착성은 별도의 점착테이프에 의해 제공되거나 대상물 자체의 자기점착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대상물에서 자기점착력을 구비한 면과 대상물의 자기점착력을 갖는 점착테이프를 합쳐서 점착제라 칭하며, 점착은 접착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대상물은 일정 체적을 구비한 몸체를 구비하는데, 가령 몸체의 두께는 점착제보다 두껍고 점착제의 점착력은 100g/inch 이상인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대상물이 구비한 점착제는 아크릴점착제, 우레탄점착제, 또는 실리콘점착제일 수 있다.
일 예로, 대상물로는 한 면에 점착제가 점착된 개스킷 또는 한 면이 자기점착제인 두께가 얇은 열전도성패드나 금속판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의 다른 면은 진공픽업과 플레이스가 용이하게 평면을 이루며 자기점착력이 없다.
도 1을 보면, 캐리어 테이프(100)는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포켓(111)을 포함하여 릴(200)에 감겨 릴로 공급되는데, 점착제를 구비한 대상물이 포켓(111)에 진공픽업에 의해 수납된 후 커버 필름(120)이 캐리어 테이프 본체(110)에 부착되고 이후 커버 필름(120)이 외력에 의해 벗겨지고 진공픽업에 의해 대상물이 픽업된다.
캐리어 테이프(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캐리어 테이프 본체(110)를 포함한다.
캐리어 테이프 본체(110)는, 잘 알려진 것처럼,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110)에 움푹 패여 일체로 형성된 포켓(pocket)(111)을 구비하고, 본체(110)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스프로켓 홀(116)을 구비한다.
캐리어 테이프 본체(110)는, 가령 PET와 같은 폴리머 필름으로 구성되고, 반전도성으로 정전기 방지처리가 될 수 있다.
통상 폴리머 필름(111)은 친수성을 갖는 통상의 폴리에스터(PET)나 폴리카보네이트(PC)이고, 대략 30㎛ 내지 150㎛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커버 필름(120)는, 가령 통상의 PE로 구성될 수 있으며, 캐리어 테이프 본체(110)에 열 점착되는데, 캐리어 테이프 본체(110)에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프로켓 홀(114)은 덮지 않는다.
캐리어 테이프 본체(110)와의 열 점착을 위해 커버 필름(120)의 대향하는 면은 핫 멜트 처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켓(111) 바닥에는 이형부재가 설치되는데, 이 실시 예에서, 이형부재는 점착제에 대해 이형성을 갖는 이형 코팅층(130)이다.
이형 코팅층(130)의 치수는 포켓(111)의 크기와 깊이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이형 코팅층(130)과 포켓(111) 바닥은 넓은 면적의 점착제를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평면을 이룬다.
또한, 이형 코팅층(130)은 포켓(111)의 측벽을 따라 최대 입구 가장자리까지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지만, 캐리어 테이프 본체(110)의 표면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형 코팅층(130)은 바람직하게 액상의 불소 또는 불소 화합물의 불소 코팅재료(Fluorine Coating Material)가 본체(110) 위에 코팅된 후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불소 코팅재료는 불소계 실란이고, 이형 코팅층(130)의 두께는 0.1㎛ 내지 3㎛일 수 있다.
불소 코팅재료는 가격이 비싸지만 대상물의 점착제가 아크릴점착제, 실리콘점착제 및 우레탄점착제인 경우 모두 이형이 잘된다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 본체(110)와 이형 코팅층(130) 사이에서 폴리머 재질의 본체(110)를 강화처리하여 본체(110)와 이형 코팅층(130)의 점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강화 처리는 화학물질인 프라이머(Primer)를 코팅하거나, 플라즈마 등에 의한 표면처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형 코팅층(130)은 이형 코팅층(130)에 대응하는 액상의 코팅액을 스프레이 또는 디스펜싱에 의해 포켓(111) 바닥에 소량 분사한 후 열이나 자외선 경화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포켓 내에 대상물을 수납한 것을 보여준다.
본체(110)의 포켓(111)에는, 가령 점착제를 구비한 열전도성패드(10)가 수납된다.
열전도성패드(10)의 하면은 자기점착력을 구비하는데, 포켓(111)의 바닥에 형성된 이형 코팅층(130) 위에 접촉하여 놓이고 열전도성패드(10)의 상면은 진공픽업이 용이하게 자기점착력을 구비하지 않고 평면을 이룬다.
이 상태에서, 픽업도구에 의해 열전도성패드(10)가 인출될 때, 열전도성패드(10)의 하면이 자기점착력을 구비하지만, 포켓(111)의 바닥에 형성된 이형 코팅층(130)의 이형력에 의해 열전도성패드(10)의 하면은 포켓(111)의 바닥에서 쉽게 분리되어 인출될 수 있다.
이하,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를 제조하고 대상물을 수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캐리어 테이프에서, 포켓(111)의 바닥에 이형 코팅층(130)에 대응하는 액상의 코팅액을 스프레이 또는 디스펜싱에 의해 분사한 후 열이나 자외선 경화에 의해 이형 코팅층(130)을 형성한다.
이후, 이형 코팅층(130) 위에 대상물의 점착제가 접촉하도록 대상물을 연속하여 수납한다.
다음, 한 면에 핫멜트층이 형성된 커버 필름(120)으로 스프로켓 홀(116)을 덮지 않도록 본체(110)를 덮은 다음, 테이핑 머신의 압착 지그로 커버 필름(120)을 열과 압력으로 눌러 핫멜트층이 본체(110)에 점착하도록 한다.
여기서, 캐리어 테이프(100)는 통상의 캐리어 테이프(100)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친수성이 있는 폴리에스터(PET) 등의 폴리머 재료를 적용하여 커버 필름(120)의 핫멜트층과 열 접착이 잘 된다.
이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00)는 본체(110)의 포켓(111) 바닥에 이형 코팅층(130)이 형성되어, 포켓(111) 바닥 위에 놓인 점착성을 갖는 대상물이 진공픽업에 의해 포켓(111) 밖으로 쉽게 인출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포켓 바닥에 설치된 이형부재(140)의 구조를 보여준다.
이 실시 예에서, 이형부재(140)는 폴리머 필름의 기재(144), 기재(144)의 상면에 형성된 이형 코팅층(146), 및 기재(144)의 하면에 형성된 점착제층(142)으로 구성된다.
이형부재(140)는 포켓(111)의 바닥에 점착되어 설치되는데, 가령 점착체층(142)이 포켓(111)의 바닥에 접촉하여 점착됨으로서 이형부재(140)가 점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재(144)는 폴리에스터(PET) 필름이고, 이형 코팅층(146)은 상기에서 언급한 불소 또는 불소 화합물이고, 점착제층(140)은 통상의 아크릴 점착제 또는 실리콘 점착제이다.
이형부재(140)는 롤로 제조되어 일정한 폭으로 절단된 후 포켓(111) 바닥의 치수보다 약간 작게 절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형부재(140)와 포켓(111) 바닥은 평면을 이루며, 이형부재(140)는 진공픽업과 플레이스에 의해 포켓(111) 바닥에 점착될 수 있다.
이형부재(140)를 제조 시 제조 온도를 반영하여 기재(144)의 상면에 이형 코팅층(146)을 먼저 코팅하여 형성한 후 기재(144)의 하면에 점착제층(142)을 나중에 코팅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이형부재(140)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포켓(111) 바닥의 크기에 경제성 있게 대응이 용이하고 대향하는 점착제와 이형이 잘 된다.
바람직하게, 이형부재(140)의 두께는 0.005mm 내지 0.02mm 이다.
이와 같이 이형부재(140)의 점착제층(140)은 친수성이 있는 폴리머 필름의 기재(144)의 포켓(111) 바닥과 잘 점착하고, 이형 코팅층(146)은 이형 코팅층(146)의 이형력에 의해 대상물의 점착제와 잘 점착하지 않고, 포켓(111) 위는 커버 필름과 열에 의해 잘 접착되므로 대상물을 캐리어 테이프에 수납하기 용이하며 대상물을 진공픽업할 때 대상물은 이형 코팅층(146)에서 잘 분리된다.
도 1에 나타낸 캐리어 테이프에서, 이형부재(140)를 진공픽업하여 포켓(111)의 바닥에 가압 실장함으로써 포켓(111) 바닥에 신뢰성 있게 점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캐리어 테이프
110: 캐리어 테이프 본체
111: 포켓
116: 스프로켓 홀
120: 커버 필름
130: 이형 코팅층
140: 이형부재
200: 릴

Claims (9)

  1. 적어도 하면이 자기점착력을 갖으며 상면에서 진공 픽업이 가능한 부품을 수납하는 릴로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로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폴리머 필름으로 된 캐리어 테이프 본체;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 본체에서 일정 간격으로 열에 의해 움푹 패여 일체로 형성된 포켓(pocket)과 상기 캐리어 테이프 본체를 이송하는 스프로켓 홀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의 바닥 부분에 상기 자기점착력에 대응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 본체보다 이형이 잘 되는 이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2. 청구항 1에서,
    상기 이형부재 및 상기 포켓의 바닥은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3. 청구항 1에서,
    상기 이형부재는 상기 포켓의 바닥에 상기 이형부재에 대응하는 액상의 이형 코팅액을 분사하고 경화하여 형성한 이형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4. 청구항 1에서,
    상기 이형부재는,
    폴리머 필름의 기재;
    상기 기재의 상면에 형성된 이형 코팅층; 및
    상기 기재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포켓의 바닥에 점착되는 자기점착력을 갖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5. 청구항 4에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이형 코팅층이 먼저 형성된 후 나중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6. 청구항 7에서,
    상기 폴리머 필름은 폴리에스터(PET)이고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 점착제나 실리콘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7. 청구항 3 또는 4에서,
    상기 이형 코팅층은 액상의 불소 또는 불소 화합물의 불소 코팅재료(Fluorine Coating Material)가 코팅된 후 경화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8. 청구항 7에서,
    상기 불소 코팅재료는 불소계 실란이고, 상기 이형 코팅층의 두께는 0.1㎛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9. 적어도 한 면이 자기점착력을 갖는 3차원 형상의 부품을 수납하는 폴리머 재질로 된 릴 캐리어 테이프의 본체에 구비된 포켓의 바닥에 설치되며,
    폴리머 필름의 기재;
    상기 기재의 상면에 형성된 불소 또는 불소 화합물 코팅층; 및
    상기 기재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포켓의 바닥에 점착되는 자기점착력을 갖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에 적용되는 이형부재.
KR1020220044218A 2022-04-08 2022-04-08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및 그에 적용된 이형부재 KR20230144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218A KR20230144905A (ko) 2022-04-08 2022-04-08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및 그에 적용된 이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218A KR20230144905A (ko) 2022-04-08 2022-04-08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및 그에 적용된 이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905A true KR20230144905A (ko) 2023-10-17

Family

ID=8855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218A KR20230144905A (ko) 2022-04-08 2022-04-08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및 그에 적용된 이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9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3826B2 (en) Glass substrate comprising an edge web portion
JPH07101461A (ja)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
US9090403B2 (en) Carrier tape
US8323442B2 (en) Carrier tapes having tear-initiated cover tape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TW201420469A (zh) 玻璃基板帶
US10136568B2 (en) Carrier tape and carrier tape assembly
KR20230144905A (ko)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및 그에 적용된 이형부재
US20230303303A1 (en) Method for packing and unpacking flat substrates
US20110233109A1 (en) Insert For Tape And Reel Packaging
JP6662705B2 (ja) チップ部品用包装体
KR20230143894A (ko) 수납 트레이, 표면실장용 캐리어 테이프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JP4088769B2 (ja) 電子部品包装用カバーテープの製造方法
KR100311820B1 (ko) 연성기판의 엠보싱 스페이서
JPH0955402A (ja) 半導体素子用キャリアテープ
JP2007326626A (ja)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巻回体
CN213139815U (zh) 一种载料胶带组件
JPH0936182A (ja) 半導体素子用キャリアテープ
JP3134213U (ja) 表面保護フィルム積層体
KR20090027382A (ko) 전자 부품 이송용 커버 테이프, 상기 커버 테이프를포함하는 전자 부품 이송 테이프, 및 상기 전자 부품 이송테이프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이송 장치
CN117881609A (zh) 承载带以及承载带组件
JP5927042B2 (ja)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および部品収納体
JP2606876Y2 (ja) チップ体搬送用カバーテープ、その捲収体および電子部品連
JPH04142263A (ja) 電子部品収納用キャリアテープ
JP2018193121A (ja) ボトムカバーテープ
JP2005324814A (ja) 部品収納テープ、部品収納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部品収納テープを利用した電子部品の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