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400A -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400A
KR20230115400A KR1020220011698A KR20220011698A KR20230115400A KR 20230115400 A KR20230115400 A KR 20230115400A KR 1020220011698 A KR1020220011698 A KR 1020220011698A KR 20220011698 A KR20220011698 A KR 20220011698A KR 20230115400 A KR20230115400 A KR 20230115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se
console
disposed
conso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801B1 (ko
Inventor
전효경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801B1/ko
Publication of KR2023011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콘솔바디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테이블, 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테이블의 일 측을 지지하는 승강부재,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펼침 샤프트를 중심으로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수납된 테이블은 케이스 또는 콘솔바디로부터 인출되고, 펼쳐지고, 회전됨에 따라 차량의 좁은 내부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CONSOLE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콘솔 어셈블리가 배치된다. 콘솔 어셈블리는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콘솔 어셈블리의 상부면에는 탑승자가 팔을 올려놓고 지지할 수 있는 암레스트가 설치되기도 한다. 또한, 콘솔 어셈블리는 기타 다른 부품들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기도 한다.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2064567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은 테이블 가변형 콘솔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콘솔장치로서, 상방이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서포트; 상기 서포트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테이블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서포트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서포트의 상승 및 하강시 속도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차량 내부는 매우 제한적인 작업 공간을 갖기 때문에, 수납된 테이블을 펼쳐 작업이 수행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테이블을 회전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은 수납된 테이블을 펼치는 구조에 대해서만 개시할 뿐, 테이블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선행문헌의 펼침 구조를 참조하면, 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조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테이블을 회전시킬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456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행문헌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사용시 테이블을 수납하고, 사용시 테이블을 꺼내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수납된 테이블을 펼치거나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는, 콘솔바디 및 상기 콘솔바디에 배치되는 테이블 유닛을 포함한다. 테이블 유닛은, 콘솔바디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테이블, 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테이블의 일 측을 지지하는 승강부재,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펼침 샤프트를 중심으로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회전 샤프트는 승강부재의 승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펼침 샤프트는 승강부재의 승강 방향에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테이블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펼침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케이스는 승강부재의 승강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크를 포함하고, 승강부재는 래크에 연결되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테이블이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케이스는 내측면에서 외측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스토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재는 일 측에서 상기 테이블을 향하여 돌출되는 테이블 안내돌기를 포함하고, 테이블은 일 측에서 내측방으로 함몰되고 회전 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테이블 안내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테이블 안내홈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재는 일 측에서 테이블을 향하여 돌출되는 테이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테이블은 일 측에서 내측방으로 함몰되고 테이블이 일 방향으로 회전된 때 테이블 고정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테이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승강부재는 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테이블의 일 측을 지지하며, 회전부재는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펼침 샤프트를 중심으로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수납된 테이블은 케이스 또는 콘솔바디로부터 인출되고, 펼쳐지고, 회전됨에 따라 차량의 좁은 내부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 테이블은 지면에 평행인 펼침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펼쳐지고, 지면에 수직인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되는 바, 테이블이 여러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셋째, 케이스에 배치된 래크 및 승강부재에 배치되고 래크에 연결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바, 승강부재가 상하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함과 동시에 승강부재에 과도한 힘이 인가된 경우 힘을 감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넷째, 회전 샤프트에 배치된 스토퍼 및 스토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을 포함하는 바, 테이블이 회전한 후 테이블이 임의로 재차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다섯째, 승강부재에 배치된 테이블 고정돌기 및 테이블 고정돌기으 ㅣ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테이블 고정홈을 포함하는 바, 테이블이 회전한 후 테이블이 임의로 재차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제1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제2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3은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제2상태에서의 우측면도,
도 4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제2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서 A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B부분의 단면도,
도 7은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제3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8은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제3상태에서의 우측면도,
도 9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제3상태에서의 승강부재와 테이블의 연결부를 확대한 도,
도 10은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제4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11은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제4상태에서의 우측면도,
도 12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제4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13은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제4상태에서의 승강부재와 테이블의 연결부를 확대한 도,
도 14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의 제3상태와 제4상태에서의 스토퍼 부분을 확대한 도,
도 15a는 도 8의 C부분의 단면도,
도 15b는 도 12의 D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콘솔 어셈블리(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는 차량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에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는 1열 시트 사이의 공간에서 후방에 위치한 2열 시트 사이의 공간에 이르기까지 그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콘솔 어셈블리(10)는 콘솔바디(100), 테이블 유닛(200) 및 가이드 유닛(300)을 포함한다.
콘솔바디(10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소지품 또는 다른 부품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콘솔바디(100)에는 조작패널이 배치될 수 있다.
콘솔바디(100)는 일 측벽이 좌측시트 또는 우측시트에 마주한다. 구체적으로, 콘솔바디(100)의 좌측벽은 좌측 전방시트의 우측단과 마주하고, 콘솔바디(100)의 우측벽은 우측 전방시트의 좌측단과 마주한다.
콘솔바디(100)는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콘솔바디(100)는 가이드 플레이트(310)에 안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콘솔바디(100)는 가이드 플레이트(31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가이드 플레이트(310)의 상부면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콘솔바디(100)는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콘솔바디(100)는 고정바디(101)와 이동바디(102)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바디(101)는 가이드 플레이트(310)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바디(101)에는 컵을 거치할 수 있는 컵홀더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바디(101)에는 테이블 유닛(200)이 배치된다.
이동바디(102)는 가이드 플레이트(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바디(102)는 고정바디(101)의 후면에 배치되고,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바디(102)는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바디(102)의 상부면은 탑승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다.
이동바디(102)의 하부면에는 슬라이딩 부재(340)가 결합된다. 슬라이딩 부재(340)가 가이드홈(31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동바디(102)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는 테이블 유닛(200)을 포함한다. 테이블 유닛(200)은 테이블(220)을 구비하고, 비사용시 테이블(220)을 콘솔바디(100)에 수납하고, 사용시 테이블(220)을 콘솔바디(100)로부터 인출하여 설치한다.
테이블 유닛(200)은 콘솔바디(100)에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테이블 유닛(200)은 고정바디에 배치된다. 또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달리, 테이블 유닛(200)은 이동바디에 배치될 수도 있다.
테이블 유닛(200)은 케이스(210), 테이블(220), 승강부재(230), 회전부재(240) 및 회전 샤프트(250)를 포함한다.
테이블 유닛(200)은 케이스(210)를 포함한다. 케이스(210)는 테이블 유닛(20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스(210)는 콘솔바디(100)에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210)는 콘솔바디(100)와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달리, 케이스(210)는 콘솔바디(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210)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테이블(220)은 케이스(2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로 인출될 수 있다.
테이블 유닛(200)은 테이블(220)을 포함한다. 테이블(220)은 탑승자가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테이블(220)은 케이스(210)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다. 테이블(220)은 비사용시 케이스(210) 내부에 수납되고, 사용시 케이스(210)의 상방으로 인출된다.
테이블(220)은 상단에 절곡부가 형성된다. 탑승자는 테이블(220)의 상단을 파지하고 상방으로 당김으로써 테이블(220)을 케이스(21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상태는 테이블(220)이 케이스(210)에 수납된 상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상태는 테이블(220)이 케이스(210)로부터 인출된 상태이다. 테이블(220)은 승강부재(230) 및 회전부재(240)와 함께 케이의 상방으로 인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상태는 테이블(220)이 펼쳐진 상태이다. 테이블(220)은 펼침 샤프트(241)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테이블(220)은 도 8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펼쳐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4상태는 테이블(220)이 회전된 상태이다. 테이블(220)은 회전 샤프트(25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테이블(220)은 회전 샤프트(250)를 중심으로 약 90도 정도 회전될 수 있다.
테이블 유닛(200)은 승강부재(230)를 포함한다. 승강부재(230)는 테이블(220)을 승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승강부재(230)는 케이스(2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테이블(220)의 일 측을 지지한다.
승강부재(2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승강부재(230)는 정면에서 볼 때 L-형상으로 형성되고, 승강부재(230)에 회전부재(240)가 결합된 경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재(230)의 양 측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10)에는 상기 홈에 마주하는 내측벽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고, 승강부재(230)는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승강부재(230)의 정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10)에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홈을 따라 승강하며, 승강부재(230)는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테이블 유닛(200)은 래크(211)와 피니언(231)을 포함할 수 있다.
래크(211)-피니언(231)은 승강부재(230)가 승강할 때 흔들리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승강부재(230)를 안내한다. 또한, 래크(211)-피니언(231)은 댐퍼의 역할을 하는 바, 승강부재(230)가 강한 힘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힘을 경감시킨다.
래크(211)는 케이스(210)에 배치되고, 승강부재(230)의 승강 방향으로 연장된다.
피니언(231)은 승강부재(230)에 배치되고, 래크(211)에 연결된다. 피니언(231)은 승강부재(23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피니언(231)은 승강부재(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부재(230)의 하단에는 래치결합부(213)가 배치될 수 있다. 래치결합부(213)는 승강부재(230)의 하단을 케이스(210)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승강부재(230)가 홀수회 삽입되는 경우, 래치결합부(213)는 승강부재(230)를 케이스(210)에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승강부재(230)가 한번 더 삽입되는 경우(짝수회 삽입), 래치결합부(213)는 고정을 해제한다.
승강부재(230)의 하단에는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의 일 측은 승강부재(23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케이스(210)에 연결된다. 스프링이 압축되면 승강부재(23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스프링은 승강부재(230)가 짝수회 삽입되는 경우, 승강부재(230)를 밀어내어, ?쒼?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케이스(210)로부터 인출시킨다.
테이블 유닛(200)은 회전부재(240)를 포함한다. 회전부재(240)는 테이블(220)을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회전부재(240)는 회전 샤프트(250)를 중심으로 승강부재(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펼침 샤프트(241)를 중심으로 테이블(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부재(24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50)는 승강부재(230)의 승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펼침 샤프트(241)는 승강부재(230)의 승강 방향에 교차되게 배치된다.
테이블(220)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펼침 샤프트(241)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회전 샤프트(25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전 샤프트(250)는 회전부재(240)의 좌측면에 배치된다. 회전 샤프트(2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체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50)는 회전부재(240)를 승강부재(230)에 연결한다. 회전부재(240)는 좌측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우측단이 후방으로 회전한다.
펼침 샤프트(241)는 회전부재(24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펼침 샤프트(24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체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펼침 샤프트(241)는 테이블(220)을 회전부재(240)에 연결한다. 테이블(220)은 펼침 샤프트(241)를 회전으로 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한다.
케이스(210)의 상방으로 인출된 테이블(220)은 펼침 샤프트(241)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한 후, 회전 샤프트(250)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한다.
테이블 유닛(200)은 스토퍼(252) 및 스토퍼 삽입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52)는 스토퍼 삽입홈(212)에 걸려, 테이블(220) 또는 회전부재(24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과하게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스토퍼(252)는 회전 샤프트(250)에 배치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테이블(220)이 회전 샤프트(250)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스토퍼(252)는 회전 샤프트(25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252)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삽입홈(212)은 케이스(210)의 내측면에서 외측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스토퍼(25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스토퍼 삽입홈(212)은 케이스(210)의 전방 내측면에서 전방으러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삽입홈(212)은 테이블(220)이 케이스(210)의 상방으로 인출된 때에 스토퍼(25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상부에서 바라볼 때, 테이블(220)과 회전부재(240)와 회전 샤프트(2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때, 스토퍼(252)가 스토퍼 삽입홈(212)에 삽입되어 걸리고, 테이블(220)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한다.
테이블 유닛(200)은 테이블 안내돌기(232) 및 테이블 안내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안내돌기(232)는 테이블 안내홈(222)을 따라 이동하며, 테이블(220)이 원만하게 회전하도록 안내한다.
테이블 안내돌기(232)는 승강부재(230)의 일 측에서 테이블(220)을 향하여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테이블 안내돌기(232)는 승강부재(230)의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테이블 안내홈(222)은 테이블(220)의 일 측에서 내측방으로 함몰되고, 회전 샤프트(25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테이블 안내돌기(23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테이블 안내홈(222)은 테이블(220)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테이블 안내홈(222)은 회전 샤프트(25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된다. 테이블 안내홈(222)은 90도 정도 연장될 수 있다.
테이블 유닛(200)은 테이블 고정돌기(233) 및 테이블 고정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고정돌기(233)는 테이블 고정홈(223)에 삽입됨으로써, 탑승자가 테이블(220)을 사용하는 중에 테이블(22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테이블 고정돌기(233)는 승강부재(230)의 일 측에서 테이블(220)을 향하여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테이블 고정돌기(233)는 승강부재(230)의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테이블 고정돌기(233)는 승강부재(230)의 내측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위치 및 제2위치에서 테이블 고정돌기(233)는 승강부재(230)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나, 제3위치에서 테이블 고정돌기(233)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승강부재(23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테이블(220)이 펼쳐질 때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테이블 고정홈(223)은 테이블(220)의 일 측에서 내측방으로 함몰되고, 테이블(220)이 일 방향으로 회전된 때 테이블 고정돌기(23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제3위치에서, 테이블 고정돌기(233)는 승강부재(23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이다. 제4위치에서, 테이블 고정홈(223)은 테이블 고정돌기(233)의 상부에 배치되고, 테이블 고정돌기(233)가 돌출되어 테이블 고정홈(223)에 삽입됨으로써, 테이블(22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탑승자는 고정된 테이블(220)에서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 유닛(300)은 콘솔바디(100)가 이동할 때, 콘솔바디(100)를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이드 유닛(300)은 가이드 플레이트(310) 및 벨트(320)를 포함한다.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콘솔바디(10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이드 플레이트(310)에는 콘솔바디(100)가 안착된다.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차량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차량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유닛(300)은 가이드홈(미도시)을 포함한다. 가이드홈(미도시)은 콘솔바디(100)가 이동할 때, 콘솔바디(100)에 결합된 슬라이딩 부재(미도시)를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이드홈(미도시)은 가이드 플레이트(310)에서 내측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홈(미도시)은 가이드 플레이트(310)의 상부면에서 하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가이드홈(미도시)은 전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홈(미도시)의 연장 방향은 이동바디(102)의 이동방향과 평행한다.
가이드 유닛(300)은 벨트(320)를 포함한다. 벨트(320)는 가이드홈(미도시)을 차폐하여, 가이드홈(미도시)에 신체 일부가 끼이거나 가이드홈(미도시)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벨트(320)는 가이드홈(미도시)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벨트(320)가 가이드홈(미도시)을 커버하여 차폐함으로써, 가이드홈(미도시)의 틈을 메우고, 이물질이 가이드홈(미도시)에 끼이거나, 탑승자의 옷이나 신체가 가이드홈(미도시)에 인입되지 않을 수 있다.
벨트(320)는 가이드 플레이트(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 플레이트(310)에는 적어도 2 이상의 롤러가 배치되고, 벨트(320)는 상기 롤러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벨트(320)는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별도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콘솔 어셈블리
100: 콘솔바디 101: 고정바디
102: 이동바디
200: 테이블 유닛
210: 케이스 211: 래크
212: 스토퍼 삽입홈 213: 래치결합부
220: 테이블 222: 테이블 안내홈
223: 테이블 고정홈
230: 승강부재 231: 피니언
232: 테이블 안내돌기 233: 테이블 고정돌기
240: 회전부재 241: 펼침 샤프트
250: 회전 샤프트 252: 스토퍼
300: 가이드 유닛
310: 가이드 플레이트 311: 가이드홈
320: 벨트

Claims (7)

  1. 콘솔바디 및 상기 콘솔바디에 배치되는 테이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유닛은,
    상기 콘솔바디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테이블;
    상기 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테이블의 일 측을 지지하는 승강부재;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펼침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펼침 샤프트는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 방향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펼침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래크에 연결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테이블이 상기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측면에서 외측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일 측에서 상기 테이블을 향하여 돌출되는 테이블 안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일 측에서 내측방으로 함몰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테이블 안내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테이블 안내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일 측에서 상기 테이블을 향하여 돌출되는 테이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일 측에서 내측방으로 함몰되고, 상기 테이블이 일 방향으로 회전된 때 상기 테이블 고정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테이블 고정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KR1020220011698A 2022-01-26 2022-01-26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KR102662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698A KR102662801B1 (ko) 2022-01-26 2022-01-26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698A KR102662801B1 (ko) 2022-01-26 2022-01-26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400A true KR20230115400A (ko) 2023-08-03
KR102662801B1 KR102662801B1 (ko) 2024-05-14

Family

ID=8756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698A KR102662801B1 (ko) 2022-01-26 2022-01-26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8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180A (ja) * 2001-11-28 2003-08-12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収納テーブル装置
KR20130054749A (ko) * 2011-11-17 2013-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의 테이블 구조
KR20190052863A (ko) * 2017-11-09 2019-05-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콘솔 테이블 장치
KR102064567B1 (ko) 2018-04-12 2020-01-10 현대자동차(주) 테이블 가변형 콘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180A (ja) * 2001-11-28 2003-08-12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収納テーブル装置
KR20130054749A (ko) * 2011-11-17 2013-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의 테이블 구조
KR20190052863A (ko) * 2017-11-09 2019-05-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콘솔 테이블 장치
KR102064567B1 (ko) 2018-04-12 2020-01-10 현대자동차(주) 테이블 가변형 콘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801B1 (ko)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017B1 (ko) 차량용 접이식 테이블 어셈블리
US20160362029A1 (en) Drawer device
WO2002028681A1 (en) Cup holder having a vertically oriented drawer
KR101707393B1 (ko) 차량용 수납장치
CN112055669B (zh) 收纳箱
US20110259906A1 (en) Cup holder
KR20200119944A (ko) 차량용 러기지박스 장치
US6575542B2 (en) Withdrawal mechanism and cup-holder unit using the same
KR20230115400A (ko)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BR102015027386A2 (pt) Table with integrated tray for an motorized vehicle
JP2003072448A (ja) 飲料容器ホルダ
JP2017202732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KR20220102687A (ko) 차량용 암레스트
JP2016078836A (ja) 自動車用パワーアウトレットトレイ
KR20220169521A (ko) 차량용 트레이
KR20230022529A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장치
JP3316443B2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装置
US9796315B1 (en) Container holding system
KR20220102688A (ko) 차량용 암레스트
KR102662800B1 (ko)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DE102016006049A1 (de) Becherhalter für einen Innenraum eines Kraftwagens
JPH0735190U (ja) バン型車両におけるパッケージトレイの支持構造
JP3557897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101439443B1 (ko) 차량용 컵 홀더
JP2018176890A (ja) リヤアームレ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