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809A -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 - Google Patents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809A
KR20230113809A KR1020237023013A KR20237023013A KR20230113809A KR 20230113809 A KR20230113809 A KR 20230113809A KR 1020237023013 A KR1020237023013 A KR 1020237023013A KR 20237023013 A KR20237023013 A KR 20237023013A KR 20230113809 A KR20230113809 A KR 20230113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tator
coils
base plat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왈리스코
베른트 귄터만
미하엘 하크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1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8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에 관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이고 그 내측에 그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고 그 단면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코일 웹을 가지는 고정자 요크를 가지는 고정자 코어로서, 도체선은 상기 코일 웹 주위에 권선되어 적어도 3개의 위상들로 구분되는 코일을 생성하고, 베이스 절연체는 상기 고정자 코어와 상기 권선된 코일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권선된 코일들 각각은 또는 상기 코일들 중 수 개가 직렬로 코일 가닥에 연결된 경우 각 코일 가닥은 상기 고정자 요크의 원주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기 고정자의 베이스 절연체를 돌출시키는 2개의 와이어 단부를 가지는, 고정자 코어; 및 연결 요소를 위한 지지 요소로서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연결 요소를 통해 각 코일 가닥 또는 각 코일의 제1 와이어 단부에 연결되어 모든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 연결 요소,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추가적인 연결 요소들로서, 각각은 위상의 상기 코일 가닥 또는 코일의 제2 와이어 단부(6b)에 연결되어 이 위상의 모든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요소를 가지는 추가적인 연결 요소들을 가지는, 코일 연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절연체와 상기 코일 연결 장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상기 코일 연결 장치는 상기 권선된 코일 또는 상기 코일 가닥의 와이어 단부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
본 발명은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화학 냉매 및 천연 냉매용 냉매 압축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고정자의 개별 코일 및 위상(位相)의 이전의 접촉은 일반적으로 다른 고정자 부품에 견고하게 연결된 코일 분배기 링을 사용했다. 고정자가 모터 제어 장치(인버터)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 이러한 유형의 강성 코일 분배기 링을 사용할 수 없다. 이 경우, 접촉을 위한 필요한 축 방향 및 측면 공차 보상을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을 위한 필요한 축 방향 및 측면 공차 보상을 생성할 수 있는 고정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는, 실질적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이고 그 내측에 그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고 그 단면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코일 웹을 가지는 고정자 요크(yoke)를 가지는 고정자 코어(3)로서, 도체선은 상기 코일 웹 주위에 권선되어 적어도 3개의 위상들로 구분되는 코일을 생성하고, 베이스 절연체는 상기 고정자 코어와 상기 권선된 코일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권선된 코일들 각각은 또는 상기 코일들 중 수 개가 직렬로 코일 가닥(strand)에 연결된 경우 각 코일 가닥은 상기 고정자 요크의 원주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기 고정자의 베이스 절연체를 돌출시키는 2개의 와이어 단부를 가지는, 고정자 코어; 및 연결 요소를 위한 지지 요소로서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연결 요소를 통해 각 코일 가닥 또는 각 코일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축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상기 와이어 단부들의 제1 와이어 단부에 연결되어 모든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 연결 요소,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추가적인 연결 요소들로서, 각각은 위상의 상기 코일 가닥 또는 코일의 제2 와이어 단부에 연결되어 이 위상의 모든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요소를 가지는 추가적인 연결 요소들을 가지는, 코일 연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절연체와 상기 코일 연결 장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상기 코일 연결 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축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상기 권선된 코일 또는 상기 코일 가닥의 와이어 단부에 연결된다.
체결 유형 및 스위칭 링과 베이스 절연체 사이의 남은 간격은 축 방향 및 측면 공차 보상 모두를 허용하므로 코일 연결 장치는 "부동(floating)" 코일 연결 장치로도 지칭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동" 코일 연결 링이라고도 한다.
축 방향 및 측면 공차의 장점으로 인해 고정자와 모터 제어부(인버터)의 직접 접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이 위상의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요소들 각각은 모터 제어부(인버터)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라인 요소에 동일한 위상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를 가진다. 따라서 이 연결부는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의 와이어 단부들과 상기 모터 제어부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전기 라인 요소들 사이의 전기 연결을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코일 연결 장치는 포팅(potting) 재료로 채워진다. 구성 요소들을 냉매로부터 또한 서로 간에 절연시키기 위해, 상기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을 상기 연결 요소들에 감고 연결시킨 후에 미리 장착된 부동 코일 연결 장치에서 포팅이 발생한다. 포팅은 개별 통전 요소들 사이의 연결점들을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은 스타 연결 및 각 위상의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을 통해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고 각 통전부 사이의 완전한 절연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상기 고정자의 코일 또는 코일 가닥 각각은 병렬로 작동되는 고정자의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에 스타 포인트 연결로서 제1 연결 요소를 통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위상의 각 코일 또는 각 코일 가닥을 서로 다른 코일 또는 서로 다른 코일 가닥에 연결하여 상기 스타 포인트 연결을 형성하는 버스바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스바는 개방된 원호의 기본 형상을 가지며 그 원주 또는 호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고 각각이 코일 또는 코일 가닥의 상기 제1 와이어 단부를 수용하는 외부 단부를 가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수 개의 연결 요소를 가진다. 이 경우, 이러한 버스바의 연결 요소의 전체 개수는 상기 고정자의 코일 또는 코일 가닥의 전체 개수에 해당하므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연결 요소를 통해 상기 고정자의 모든 코일 또는 코일 가닥과 접촉할 수 있어서 이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킨다.
상기 추가적인 연결 요소는 마찬가지로 각각이 개방된 원호의 기본 형상을 가지며 그 원주 또는 호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고 각각이 코일의 상기 제2 와이어 단부를 수용하는 외부 단부를 가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수 개의 연결 요소들을 가지는 버스바들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버스바들은 각각이 위상의 모든 코일 또는 코일 가닥의 연결을 생성하도록 설계되어 상기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이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이들 3개의 버스바는 바람직하게는 모터 구동 제어부인 인버터로의 연결을 위해 각각 전기 라인 요소에 대한 연결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각 위상의 상기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을 서로 연결하는 버스바들의 경우, 상기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에 이르는 상기 연결 요소의 전체 개수는 이 위상의 코일 또는 코일 가닥의 전체 개수에 해당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다양한 버스바들의 원호 형상들의 반지름들은 상이하고 상기 버스바들은 상기 다양한 버스바들의 원호 형상들이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거나 상기 원호 형상들의 중심점들이 적어도 상기 원호 형상의 평면에 수직인 동일한 축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자의 모든 코일을 서로 연결하여 스타 포인트 연결을 나타내는 상기 버스바는 반경 방향으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고 결과적으로 또한 다른 모든 버스바들보다 더 큰 반경과 더 큰 원주 또는 더 큰 호 길이를 각각 가진다. 또한, 이 버스바의 원호 형상 부분의 개방된 원호는 다른 버스바들의 개방된 원호들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중심점 각도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더 큰 원주 각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 포인트 연결용 버스바도 원형으로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반경 방향으로 더 안쪽에 위치하는 다른 버스바들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버스바의 각각의 연결 요소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연결 요소들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다음 사항이 적용된다. 각각의 버스바들이 보다 안쪽으로 배치되고 버스바의 개방된 원호의 반경이 작을수록, 각 위상에 속하는 코일의 또는 각 위상에 속하는 코일 가닥의 제2 와이어 단부에의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 요소들은 더 길어져야 한다.
더욱이, 위상의 상기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을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버스바들은 각각 모터 구동 제어부인 인버터로의 연결을 위해 각각 전기 전도체에 대한 연결을 허용하도록 유리하게 설계된다. 이를 위해, 상술된 연결 요소들에 더하여, 이러한 각 버스바들은 상기 모터 구동 제어부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전기 라인 요소에 대한 각 위상의 반경 방향 내향 연결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에 환형 연결 단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요소들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별도의 수용 공간들을 제공하도록 그리고 적절한 경우, 상기 모터 구동 제어부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상기 라인 요소들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연결부들을 위한 수용 공간들 또한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버스바들에 대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호 형상인 측벽들을 가지는 대응하는 원호 형상 수용 공간들은 함몰부에 의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호 형상인 측벽들이 2개의 인접한 버스바들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면, 동시에 상기 측벽들은 상기 각각 인접한 버스바들 사이의 격벽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들의 연결 단부들을 위한 수용 공간들을 가질 수 있다. 측벽은 유리하게는 상기 연결 요소들 및 연결부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이러한 버스바들에 대해 하나 이상의 버스바 위로 반경 방향으로 안내되는 연결 요소들 및 연결부들에 대한 스페이서(spacer)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 공간들의 측벽들에는 상기 연결 요소들 및/또는 연결부들을 지지하기 위한 홈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 자체는 외부 링이 위치하는 외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환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외부 링은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한 부품이므로 상기 와이어 단부들이 상기 외부 링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조립하기 전에 각각 연결 요소 또는 버스바로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링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부 가장자리 사이를 통과하여 와이어 단부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위치하는 연결 요소들과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조립 후에는, 상기 외부 링은 경계벽 역할을 하여 상기 외부 링으로 둘러싸인 전체 영역을 수지로 포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형 베이스 플레이트는 반경 방향으로 안쪽을 향하는 3개의 볼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내부 가장자리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 원주에 있는 이들 볼록 돌출부 각각은, 내부 측벽의 대응하는 구부러진 부분과 함께, 상기 모터 구동 제어부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전기 라인 요소에 대한 상기 연결부들 중 하나의 환형 연결 단부에 대한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플로팅(floating, 부동)" 코일 연결 링의 바람직한 설계 개념은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각 위상의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3단계로 나누어진 이러한 복잡한 코일 또는 코일 가닥의 연결을 실현하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버스바를 사용하여 모든 코일 또는 코일 가닥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모터 제어부(인버터)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라인 요소에 개별 위상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계하는 것이었다. 제1 버스바는 각 코일 또는 각 코일 가닥의 측면에 연결되어 모든 코일에 대한 스타 포인트 연결 기능을 한다. 그것은 모든 코일 또는 코일 가닥이 각각 이 요소를 통해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이 버스바가 각 위상의 각 코일 또는 각 코일 가닥을 서로 다른 코일 또는 서로 다른 코일 가닥에 각각 연결하도록 설계되었음을 의미한다. 나머지 다른 버스바들, 삼상(三相)의 경우의 3개의 버스바들은 위상에 할당된 연결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버스바들은 위상의 모든 코일 또는 코일 가닥을 동시에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을 뿐만 아니라 모터 구동 제어부에 연결된 전기 도체에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유형의 배선 패턴의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가 있는 코일 연결 링이 유리한 설계 해결책을 나타낸다. 제거 가능한 외부 링이 바람직하게 부착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코일 또는 코일 가닥의 연결 요소 및 상기 모터 제어부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전기 라인 요소를 위한 지지 요소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튜브는 전기 라인 요소,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자와 상기 인버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전기 연결핀(E-pin)이 각각 삽입되는 코일 연결 장치에 삽입된다. 상기 밀봉 튜브의 효과는 밀폐된 환경 내에서 상기 라인 요소를 절연시키는 것이고 밀폐된 환경 내부를 인버터에 밀봉하기 위한 O-링을 위한 안착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코일 연결 장치가 있는 고정자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고정자 코일의 와이어 단부에 연결된 코일 연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스타 포인트 연결(star point connection)용 버스바(busbar)를 도시한다.
도 4는 위상의 각 코일에 대한 3개의 버스바 및 전기 전도체에 대한 연결을 도시한다.
도 5는 외부링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를 도시한다.
도 6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일 부품으로서의 외부링을 도시한다.
도 7은 전기 연결핀(E-Pin)용 밀봉 튜브를 도시한다.
도 8은 전기 라인 요소로서 전기 연결핀(E-Pin)을 도시한다.
도 9는 포팅 재료(potting material)는 없고 모터 제어부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 부착된 라인 요소를 가지는 코일 연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포팅 후의 코일 연결 장치를 도시한다.
도 11은 포팅 후 코일 연결 장치를 가지고 모터 제어부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 라인 요소를 가지는 완성된 고정자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냉매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의 고정자(1)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이 고정자에는 부동(浮動, floating) 코일 연결 링이라고도 하는 코일 연결 장치(2)가 있다. 고정자(1)는 고정자 요크(yoke)를 가지는 고정자 코어(3)를 포함하고, 고정자 코어는 실질적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이고 그 내측에 그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고 그 단면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코일 웹을 가진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코일 웹의 균일하게 분포된 배열 때문에 고정자 코어의 둘레를 따라 분포되는 상기 코일 웹 주위에 도체선이 감기어 코일(4)을 생성한다. 도 1에 도시된 코일(4)의 분포는 고정자 코어 내부에 총 12개의 코일이 배열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코일(4)은 삼상(三相)(4.1, 4.2, 4.3)으로 구분되어 각 위상은 4개의 코일로 구성된다. 베이스(base) 절연체(5)는 고정자 코어(3)와 권선 코일(4) 사이에 형성되며, 각각의 권선 코일(4)은 속이 빈 원통형상인 고정자 요크의 실린더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고정자(1)의 베이스 절연체(5)를 돌출시키는 2개의 와이어(wire) 단부들(6)을 가진다. 코일 연결 장치(2)는 정의된 간격(7)이 베이스 절연체(5)와 코일 연결 장치(2)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베이스 절연체를 축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권선 코일(4)의 와이어 단부들(6)에 연결된다. 직렬로 연결되는 여러 코일과의 상호 연결도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이러한 구성에서, 모든 코일이 베이스 절연체를 축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2개의 와이어 단부를 가지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각 코일 가닥(strand)을 가진다.
코일 연결 장치(2)는 코일의 축 방향으로 돌출된 와이어 단부들(6)에 연결되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연결 요소를 위한 지지 요소로서 실질적으로 환형인 베이스 플레이트(8)를 포함한다. 여기서, 와이어 단부들(6)은 코일 연결 장치(2)의 둘레를 제한하는 외부 링(9)과 베이스 플레이트(8)의 외부 가장자리 사이를 통과하여, 와이어 단부들(6)이 베이스 플레이트(8)에 위치하는 연결 요소들과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외부 링(9)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8)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부분으로 설계되어, 코일 연결 장치(2)를 장착할 때, 외부 링(9)이 베이스 플레이트(8)의 외부 가장자리에 부착되기 전에 와이어 또는 와이어 단부들(6) 각각은 우선 베이스 플레이트(8)의 코일의 외부 가장자리를 지나 연결 요소들에 쉽게 가이드될 수 있다. 코일 연결 장치(2)의 조립 후, 외부 링(9)은 외부 링(9)에 의해 둘러싸인 전체 영역의 수지 포팅(potting)을 위한 경계벽 역할도 한다.
도 2는 고정자(1)의 전면 및 고정자 코일의 와이어 단부(6)에 연결된 코일 연결 장치(2)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코일 연결 링의 형태로 형성된다. 부동(浮動, floating) 코일 연결 링(2)의 설계 개념은 각 위상의 코일을 가장 간단하고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삼상(三相)(4.1, 4.2, 4.3)으로 분리되는 코일의 이와 같은 복잡한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가장 직접적인 경로는 버스바(busbar, 母線)(10, 11.1, 11.2, 11.3)를 연결 요소로서 사용하는 데 있고 버스바를 사용하여 모든 코일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그리고 각 위상(4.1, 4.2, 4.3)이 모터 제어부(인버터)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라인(line) 요소에 연결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8)를 설계하는 데에 있다.
버스바들(10, 11.1, 11.2, 11.3) 각각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결 요소들(12, 13.1, 13.2, 13.3)을 가지는 개방된 원호의 형상을 가지며, 다양한 버스바들(10, 11.1, 11.2)의 원호 형상들의 반경들은 상이하다. 버스바들(10, 11.1, 11.2, 11.3)은 다양한 버스바들(10, 11.1, 11.2, 11.3)의 원호 형상들이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거나 원호 형상들의 중심점들이 적어도 도 2에 도시된 평면에 수직인 동일한 축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도 2에 따르면, 방사상으로 돌출된 연결 요소들(12, 13.1, 13.2, 13.3)은 각각 포크(fork)형 단부를 가지는 연결 요소들에 의해 형성된다. 반경 방향으로 가장 바깥 쪽에 배치된 버스바(10)는 모든 다른 버스바들(11.1, 11.2, 11.3)에 비해 각각 더 큰 반경 및 더 큰 원주 또는 더 큰 호 길이를 가진다. 또한, 이 버스바(10)의 원호 형상 부분의 개방된 원호는 다른 버스바들(11.1, 11.2, 11.3)의 개방된 원호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중심점 각도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더 큰 원주 각도를 가진다. 전체적으로, 총 12개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 요소들(12)이 외부 버스바(10)에 각각 버스바(10)의 원주 또는 호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다. 대응되게 배치된 코일의 와이어 단부에서 버스바(10)는 총 12개의 코일 각각의 일측에 연결된다. 도 2에 따르면, 외부 버스바(10)의 각 연결 요소(12)는 포크형 단부를 가지고, 와이어 단부(6a)는 버스바(10)에 연결될 때 연결 요소(12)의 포크형 단부에 수용된다. 코일의 감는 방향과 관련하여, 이것은 항상 코일의 동일한 와이어 단부(6a)이다. 도 2의 표현에 따르면, 이것은 항상 우측 와이어 단부(6a)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 버스바(10)는 고정자의 모든 12개 코일에 대해 소위 스타 포인트(star point) 연결을 형성한다. 이는 이 버스바(10)가 각 위상의 각 코일을 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경 방향으로 더 안쪽에 위치한 상기 3개의 다른 버스바들(11.1, 11.2, 11.3)은 위상(4.1, 4.2, 4.3)과 관련된 연결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이 버스바들(11.1, 11.2, 11.3)은 각각이 위상의 모든 코일들의 연결을 생성하도록 설계되어, 코일들이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들 버스바들(11.1, 11.2, 11.3) 각각은 4개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 요소들(13.1, 13.2, 13.3)를 가지는데, 이 연결 요소들 각각은 대응하는 버스바들(11.1, 11.2, 11.3)의 원호 형상 영역의 원주 또는 호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러한 연결 요소들(13.1, 13.2, 13.3)는 각각의 경우에 외부 버스바(10)의 총 12개의 연결 요소들(12) 각각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위상들(4.1, 4.2, 4.3)의 버스바들(11.1, 11.2, 11.3) 각각은 개별 버스바들(11.1, 11.2, 11.3)의 각 인접 연결 요소들(13.1, 13.2, 13.3)이 90°의 각도로 서로 정렬되도록 각 버스바들(11.1, 11.2, 11.3)의 연결 요소들(13.1, 13.2, 13.3)이 분포되도록 설계된다. 각각의 버스바들(11.1, 11.2, 11.3)이 보다 안쪽으로 배치되고 버스바의 개방된 원호의 반경이 작을수록, 각 위상(4.1, 4.2, 4.3)에 속하는 코일의 와이어 단부(6b)에의 연결-좌측에 위치한-을 생성하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 요소들(12, 13.1, 13.2, 13.3)은 더 길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코일의 각각의 좌측 와이어 단부(6b)는 위상(4.1, 4.2, 4.3)의 코일들을 연결하는 버스바들(11.1, 11.2, 11.3) 중 하나의 대응하는 연결 요소들(13.1, 13.2, 13.3)의 포크형 단부에 수용된다. 또한, 이들 3개의 버스바들(11.1, 11.2, 11.3)은 모터 구동 제어부인 인버터로의 연결을 위해 각각 전기 전도체에 대한 연결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이러한 각 버스바들(11.1, 11.2, 11.3)은 모터 구동 제어부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전기 라인 요소에 대한 각 위상의 반경 방향 내향 연결부(14.1, 14.2, 14.3)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들(14.1, 14.2, 14.3)은 도 2에 따른 환형 연결 단부를 가진다. 베이스 플레이트(8)는 함몰부에 의해 버스바들(10, 11.1, 11.2, 11.3)에 대한 해당 원호 형상 수용 공간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며, 버스바들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호 형상인 측벽들(15a, 15b, 15c, 15d, 15e)은 중앙 측벽들(15b, 15c, 15d)과 같이 2개의 인접한 버스바들(11.1, 11.2; 11.2, 11.3) 사이에 위치하는 한, 동시에, 각 인접하는 버스바들 사이의 격벽들(15b, 15c, 15d)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는 연결부들(14.1, 14.2, 14.3)의 환형 연결 단부에 대하여 해당 수용 공간(16.1, 16.2, 16.3)을 가진다. 도 2에 따른 평면도에서, 베이스 플레이트 자체는 본질적으로 제거 가능한 외부 링(9)이 위치하는 외부 가장자리와 반경 방향으로 안쪽을 향하는 3개의 볼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내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원형 링 형상을 가진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 원주에 있는 이들 볼록 돌출부 각각은, 축방향으로 정렬된 내부 측벽(15e)의 대응하는 구부러진 부분과 함께, 연결부들(14.1, 14.2, 14.3) 중 하나의 환형 연결 단부에 대한 수용 공간(16.1, 16.2, 16.3)을 형성한다.
도 3은 개별 부품으로서의 스타 포인트 연결용 버스바(10)의 사시도이다. 버스바(10)는 총 12개의 코일에 대한 스타 포인트 연결 기능을 하며, 이들 모두는 이 개별 부품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개방된 원호의 기본 형상으로부터 시작하여, 버스바(10)는 각각 버스바(10)의 원주 또는 호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며, 하나의 와이어 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포크형 단부들을 가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총 12개의 연결 요소들(12)을 가진다. 원호를 따른 연결 요소의 균일한 분포는 각각의 경우에 원호의 2개의 개방 단부에서 서로 마주 보는 연결 요소(12a, 12b)를 포함하여 버스바(10)의 인접한 연결 요소들(12)이 30°의 각도로 서로 정렬되는 결과를 낳는다. 사시도에 있어서, 버스바(10)의 원호 형상 영역의 상부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처음에는 우세하게 축방향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부로서 연결 요소들(12)은 볼록 곡률에 따라 변경되어 버스바(10)의 상측과 직접 인접한다. 연결 요소(12)의 포크형 단부(17)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단부가 아래로부터 즉, 고정자 코어의 코일로부터 시작되어 포크형 단부(17)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정렬된다. 이 경우, 포크형 단부(17)는 버스바(10)의 원호 형상 영역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 않고 오히려 약간 위에 위치한다. 버스바(10)의 원호 형상 영역 위의 연결 요소(12)의 위치는 버스바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용 공간에 위치할 때 하나 이상의 측벽 또는 격벽을 가로질러 연결 요소(1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도 4는 3개의 버스바(11.1, 11.2, 11.3) 배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각 버스바는 위상의 4개의 코일 모두에 대해 4개의 연결 요소들(13.1, 13.2, 13.3)을 가지고, 각 위상은 또한 전기 전도체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들(14.1, 14.2, 14.3)을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버스바들(11.1, 11.2, 11.3)은 각각이 위상과 관련된 연결을 생성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이들 코일을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해 위상의 모든 코일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들 버스바들(11.1, 11.2, 11.3) 각각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결 요소들(13.1, 13.2, 13.3)을 가지는 개방된 원호의 형상을 가진다. 버스바들(11.2, 11.2, 13.3)의 원호 형상 영역은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고, 다양한 버스바들(11.1, 11.2, 11.3)의 원호 형상 반경은 상이하다. 버스바들(11.1, 11.2, 11.3)의 반경이 작을수록, 연결 요소들(13.1, 13.2, 13.3)이 반경 방향으로 더 길어진다. 또한, 다양한 버스바들(11.1, 11.2, 11.3)의 원호 형상 영역들은 원주 방향으로 또는 호 방향으로 각각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둘 모두는 연결 요소들(13.1, 13.2, 13.3)의 총 12개의 포크형 단부들(18.1, 18.2, 18.3)의 배열이 360°의 원주각을 가지는 가상의 원호의 원주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각 버스바들(11.1, 11.2, 11.3)의 원호 형상 영역의 상부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연결 요소들(13.1, 13.2, 13.3) 각각은 처음에는 우세하게 축방향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부로서 볼록 곡률에 따라 변경되어 각 버스바(11.1, 11.2, 11.3)의 상측과 직접 인접한다. 연결 요소(13.1, 13.2, 13.3)들의 포크형 단부들(18.1, 18.2, 18.3)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단부들이 아래로부터 즉, 고정자 코어의 코일로부터 시작되어 포크형 단부들(18.1, 18.2, 18.3)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정렬된다. 이 경우, 포크형 단부들(18.1, 18.2, 18.3)은 각 버스바(11.1, 11.2, 11.3)의 원호 형상 영역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 않고 오히려 위에 위치한다. 버스바들(11.1, 11.2, 11.3)의 원호 형상 영역 위의 연결 요소(13.1, 13.2, 13.3)의 위치는 모든 버스바들(10, 11.1, 11.2, 11.3)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용 공간에 위치한다면 하나 이상의 측벽 또는 격벽에 걸쳐서 연결 요소들(13.1, 13.2, 13.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버스바들 각각은 추가적인 연결 요소로서 환형 단부를 가진 반경 방향 내향의 연결부들(14.1, 14.2, 14.3)을 가진다. 이는 각 위상에 대한 환형 연결을 제공하여, 모터 구동 제어부인 인버터에 연결될 수 있는 전기 라인 요소에 이 위상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3개의 연결부들(14.1, 14.2, 14.3)은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 원주의 절반 미만 영역에만 분포한다. 도 4의 표현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되고 그 원호 영역이 여기에서 가장 큰 반경을 가지는 버스바의 연결부(14.1)는 이 배열 내에서 중앙에 배치된다.
도 5는 외부 링(9)과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8)의 사시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8)는 전술한 버스바들 및 인버터에의 연결을 위한 전기 라인 요소들에 대한 지지 요소의 기능을 수행한다.
베이스 플레이트(8)는 외측 링(9)이 배치되는 외부 가장자리와 반경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3개의 볼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내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원형 링 형상을 본질적으로 가진다. 내부 측벽(15e)의 상응하는 곡선부와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 원주에 있는 이들 각각의 볼록한 돌출부는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각 라인 요소에 위상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의 환형 연결 단부를 위한 수용 공간(16.1, 16.2, 16.3)을 형성하는데, 각 라인 요소는 모터 제어부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 제공된다. 각 수용 공간(16.1, 16.2, 16.3) 내에서, 각 라인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원형 구멍들(19.1, 19.2, 19.3)이 형성된다. 3개의 수용 공간들(16.1, 16.2, 16.3)은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 원주의 절반 미만 영역에만 분포한다. 중앙에 위치하는 수용 공간(16.1)은 해당하는 연결 단부를 가지는 3개의 버스바들 중 원호 형상 영역의 가장 큰 반경을 가지고 이에 따라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버스바의 환형 연결 단부를 위해 구비된다.
중심점이 동일한 원호 형상의 버스바들(10, 11.1, 11.2, 11.3)에 대한 총 4개의 원호 형상의 수용 공간들(20, 21.1, 21.2, 21.3)이 베이스 플레이트(8)에 형성된다. 제1 외부 수용 공간(20)은 외부 버스바(10)를 위해 구비된다(도 2 참조). 제1 수용 공간(20)의 내부에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고 위상의 코일을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제2 외부 수용 공간(21.1)은, 보다 작은 중심각을 가짐으로써 제1 수용 공간(20)의 원호보다 작은 원주각을 가지는 원호를 형성하여, 제1 원호 형상 수용 공간(20)은 역시 원호 형상인 제2 수용 공간(21.1) 옆의 전체 호의 길이를 따라 위치하지 않는다.수용 공간들(20, 21.1)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영역에서, 이들은 서로 분리되고 원호 형상 격벽(15b)에 의해 이격된다. 제2 수용 공간(21.1)의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고 위상의 코일을 연결하기 위한 추가 버스바를 수용하기 위해 구비되는 추가적인 제3 수용 공간(21.2)은 제2 수용 공간(21.1)에 대해 원주 방향 또는 호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되어, 원호 형상 수용 공간들(21.1, 21.2)은 전체 호 길이를 따라 서로 옆에 위치하지 않는다. 제2 수용 공간(21.1)과 제3 수용 공간(21.2)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영역에서, 이들은 서로 분리되고 원호 형상 격벽(15c)에 의해 이격된다. 제3 수용 공간(21.2)의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고 위상의 코일을 연결하기 위한 추가 버스바를 수용하기 위해 구비되는 추가적인 제4 수용 공간(21.3)은 제3 원호 형상 수용 공간(21.2) 및 제2 수용 공간(21.1)에 대해 원주 방향 또는 호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제3 수용 공간(21.2)과 제4 수용 공간(21.3)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영역에서, 이들은 서로 분리되고 원호 형상 격벽(15d)에 의해 이격된다.
또한,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연결 요소들 및 연결부들의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부분들을 위한 다수의 함몰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각각이 측벽(15a, 15b, 15c, 15d)에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홈(22)에 의해 또는 반경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된 수 개의 이격 홈들에 의해 형성되는 이들 함몰부들은 기본적으로 수 개의 격벽들(15a, 15b, 15c, 15d)에 형성된다. 일부 홈들(22)은 전기 라인 요소에 위상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부들의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영역들을 배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베이스 플레이트(8)에 연결하기 위해, 전체 원주에 걸쳐 규칙적으로 분포되고 내측으로 폭이 감소하는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인 표면을 가지는 반경 방향 내측 돌출 래칭(latching) 요소들(23)을 외부 링(9)은 그 하부 가장자리에서 가진다. 그러나, 래칭 요소들(23) 각각은 그 가장자리들 중 하나에서 오목 만곡부(24)를 가진다. 오목 만곡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홈과 함께 고정자의 코일의 와이어 단부에 대한 피드스루(feed-through) 개구부(25)를 제공한다.
도 6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일 부품으로서의 외부 링(9)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외부 링(9)은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제거 가능하여 와이어가 버스바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으로 설계된다. 코일 연결 링을 조립한 후, 외부 링(9)은 전체 영역을 포팅(potting)하는 수지용 경계벽 역할도 한다.
오목 만곡부(24)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대응하는 반대 영역과 함께 축방향으로 정렬된 와이어 단부용 피드스루 개구부를 형성하고 또한 외부 링(9)의 전체 원주를 따라 규칙적으로 분포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래칭 요소(23)의 개수는 코일 개수의 두 배에 해당하므로 코일의 와이어 단부의 전체 개수인 총 24개에 해당한다.
도 7은 전기 연결핀용 밀봉 튜브(26)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전기 연결핀(E-pin)은 전기 라인 요소의 일 실시예로서 밀봉 튜브(26) 중 하나에 안착된다. 밀봉 튜브(26)의 효과는 밀폐된 환경 내에서 전기 연결핀(E-pin)을 절연시키는 것이고 밀폐된 환경 내부를 인버터에 밀봉하기 위한 O-링을 위한 안착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 연결 핀들(E-pin)(27) 중 하나가 도 8에 제시되어 있다. 전기 연결 핀(27)은 고정자와 모터 구동 시스템, 즉 인버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전기 전도체이다.
외부 링(9)과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8)의 해당 사시도인 도 5와는 달리, 도 9는 포팅 및 와이어 단부는 없고 삽입된 버스바들(10, 11.1, 11.2, 11.3), 밀봉 튜브(26) 및 전기 연결 핀(27)이 있는 전체 코일 연결 장치(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버스바들(10, 11.1, 11.2, 11.3) 및 인버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핀(27)을 위한 지지 요소로서의 베이스 플레이트(8)는 전기 전도성 버스바들(10, 11.1, 11.2, 11.3), 연결 요소들(12, 13.1, 13.2, 13.3) 또는 연결부들(14.1, 14.2, 14.3)의 지지 및 상호 이격을 위한 필요한 함몰부들(20, 21.1, 21.2, 21.3) 및 홈들(22) 뿐만 아니라 연결부들(14.1, 14.2, 14.3)의 환형 단부 및 전기 라인 요소로서 연결핀(27)을 위한 필요한 수용 공간(16.1, 16.2, 16.3)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일들은 스타 연결 및 각 위상의 코일을 통해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고 각 통전부 사이의 완전한 절연이 보장된다.
도 10은 포팅 재료(potting material)(28)가 구성 요소들을 냉매로부터 또한 서로 간에 절연시키기 위해 권선 후에 미리 장착된 부동 코일 연결 링으로 주조된 이후의 코일 연결 장치(2)를 도시한다. 포팅은 개별 통전 요소들 사이의 연결점들을 강화한다. 이 경우 라인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들(19.1, 19.2, 19.3)은 자유롭도록 유지된다. 또한, 외부 링(9)은 외부 링에 의해 둘러싸인 전체 영역의 수지 포팅을 위한 외부 경계벽 역할도 한다. 내부 측벽(15e)은 수지 포팅을 위한 내부 경계벽 역할을 한다.
포팅 재료(28)로 채워진 원통형 고정자 코어(3) 및 코일 연결 장치(2)를 가지는 완성된 고정자(1)의 사시도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이 밀봉 튜브(26)에 삽입되는 3개의 연결핀들(27)이 포팅된 코일 연결 장치로 밀봉 튜브(26)와 함께 유입되어 개별 위상의 버스바의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일 연결 링(2)의 도시된 실시예의 형태의 코일 연결 장치(2)는 베이스 절연체(5)를 축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권선 코일의 와이어 단부(6)와 연결된다. 베이스 절연체(5)와 코일 연결 장치(2) 사이의 해당하는 간격(7)은 축 방향 공차 보상을 허용한다. 동시에, 이러한 유형의 체결은 측면 공차 보상도 생성한다.
1: 고정자
2: 코일 연결 장치, 코일 연결 링
3: 고정자 코어
4: 코일
4.1: 위상, 위상의 코일
4.2: 위상, 위상의 코일
4.3: 위상, 위상의 코일
5: 베이스 절연체
6: 와이어 단부
6a: 와이어 단부 (스타 포인트 연결용)
6b: 와이어 단부(위상 연결용)
7: 간격
8: 베이스 플레이트
9: 외부 링
10: 버스바, 스타 포인트 연결
11.1: 버스바
11.2: 버스바
11.3: 버스바
12: 연결 요소
12a: 개방된 원호의 단부에서의 연결 요소
12b: 개방된 원호의 단부에서의 연결 요소
13.1: 연결 요소
13.2: 연결 요소
13.3: 연결 요소
14.1: 연결부
14.2: 연결부
14.3: 연결부
15a: 측벽
15b: 측벽, 격벽
15c: 측벽, 격벽
15d: 측벽
15e: 측벽, 내부 측벽
16.1: 수용 공간
16.2: 수용 공간
16.3: 수용 공간
17: 버스바(10)의 포크형 단부
18.1: 버스바(11.1)의 포크형 단부
18.2: 버스바(11.2)의 포크형 단부
18.3: 버스바(11.3)의 포크형 단부
19.1: 라인 요소 수용 구멍
19.2: 라인 요소 수용 구멍
19.3: 라인 요소 수용 구멍
20: 버스바(10) 수용 공간
21.1: 버스바(11.1) 수용 공간
21.2: 버스바(11.2) 수용 공간
21.3: 버스바(11.3) 수용 공간
22: 측벽의 홈
23: 외부 링(9)의 래칭 요소
24: 래칭 요소(23)의 오목 만곡부
25: 와이어 단부용 피드스루 개구부
26: 밀봉 튜브
27: 라인 요소; 전기 연결핀; E-pin
28: 포팅 재료

Claims (10)

  1.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1)로서, 상기 고정자는,
    실질적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이고 그 내측에 그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고 그 단면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코일 웹을 가지는 고정자 요크(yoke)를 가지는 고정자 코어(3)로서, 도체선은 상기 코일 웹 주위에 권선되어 적어도 3개의 위상들로 구분되는 코일을 생성하고, 베이스 절연체(5)는 상기 고정자 코어와 상기 권선된 코일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권선된 코일들 각각은 또는 상기 코일들 중 수 개가 직렬로 코일 가닥(strand)에 연결된 경우 각 코일 가닥은 상기 고정자 요크의 원주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기 고정자의 베이스 절연체를 돌출시키는 2개의 와이어 단부(6a, 6b)를 가지는, 고정자 코어(3); 및
    연결 요소를 위한 지지 요소로서의 베이스 플레이트(8),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연결 요소(12)를 통해 각 코일 가닥 또는 각 코일(4)의 제1 와이어 단부(6a)에 연결되어 모든 코일들(4) 또는 코일 가닥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 연결 요소,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에 설치되는 추가적인 연결 요소들로서, 각각은 위상(4.1, 4.2, 4.3)의 상기 코일 가닥 또는 코일의 제2 와이어 단부(6b)에 연결되어 이 위상(4.1, 4.2, 4.3)의 모든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요소(13.1, 13.2, 13.3)를 가지는 추가적인 연결 요소들을 가지는, 코일 연결 장치(2)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절연체(5)와 상기 코일 연결 장치(2) 사이에 간격(7)이 존재하도록 상기 코일 연결 장치(2)는 상기 권선된 코일(4) 또는 상기 코일 가닥의 와이어 단부(6a, 6b)에 연결되는,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1).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이 위상(4.1, 4.2, 4.3)의 코일들 또는 코일 가닥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상기 연결 요소들 각각은 모터 제어부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라인 요소(27)에 동일한 위상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4.1, 14.2, 14.3)를 가지는,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연결 장치(2)는 포팅(potting) 재료로 채워져 전기 전도성 구성 요소들을 냉매로부터 또한 서로 간에도 절연시키는,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요소는, 개방된 원호의 기본 형상을 가지며 그 원주 또는 호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고 각각이 코일(4)의 상기 제1 와이어 단부(6a)를 수용하는 외부 단부를 가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수 개의 연결 요소(12)를 가지는 버스바(10)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버스바(10)의 연결 요소(12)의 전체 개수는 상기 고정자의 코일(4) 또는 코일 가닥의 전체 개수에 해당하는,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연결 요소들은, 각각이 개방된 원호의 기본 형상을 가지며 그 원주 또는 호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고 각각이 코일(4)의 상기 제2 와이어 단부(6b)를 수용하는 외부 단부를 가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수 개의 연결 요소(13.1, 13.2, 13.3)를 가지는 버스바들(11.1, 11.2, 11.3)로서 형성되고, 연결 요소(13.1, 13.2, 13.3)의 전체 개수는 위상(4.1, 4.2, 4.3)의 코일 또는 코일 가닥의 전체 개수의 각 버스바(11.1, 11.2, 11.3)에 해당하는,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버스바들(10, 11.1, 11.2, 11.3)의 원호 형상들의 반지름들은 상이하고 상기 버스바들(10, 11.1, 11.2, 11.3)은 상기 다양한 버스바들(10, 11.1, 11.2, 11.3)의 원호 형상들이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거나 상기 원호 형상들의 중심점들이 적어도 상기 원호 형상의 평면에 수직인 동일한 축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는 상기 연결 요소들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별도의 수용 공간들(20, 21.1, 21.2, 21.3)을 제공하도록 그리고 적절한 경우, 상기 모터 구동 제어부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상기 라인 요소들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연결부들(14.1, 14.2, 14.3)을 위한 수용 공간들(16.1, 16.2, 16.3) 또한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는 상기 코일 연결 장치(2)의 원주를 한정하는 제거 가능한 외부 링(9)이 부착되는 외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원형 링 형상을 가지는,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1).
  9. 제8항에 있어서,
    이 경우에, 상기 와이어 단부(6a, 6b)는 상기 외부 링(9)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의 외부 가장자리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 단부(6a, 6b)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 요소들과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1).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베이스 플레이트(8)는 위상의 개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반경 방향 내향 볼록 돌출부들이 형성되는 내부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 원주에 있는 이들 볼록 돌출부 각각은, 내부 측벽(15e)의 대응하는 구부러진 부분과 함께, 상기 모터 구동 제어부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전기 라인 요소에 대한 상기 연결부들(14.1, 14.2, 14.3) 중 하나의 환형 연결 단부에 대한 상기 수용 공간(16.1, 16.2, 16.3)을 형성하는,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1).
KR1020237023013A 2021-08-31 2022-08-24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 KR202301138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22482.9A DE102021122482A1 (de) 2021-08-31 2021-08-31 Stator von einem elektrischen Motor zum Antrieb eines Kältemittelverdichters
DE102021122482.9 2021-08-31
PCT/KR2022/012687 WO2023033451A1 (en) 2021-08-31 2022-08-24 Stator of an electric motor for driving a refrigerant compres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809A true KR20230113809A (ko) 2023-08-01

Family

ID=8517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013A KR20230113809A (ko) 2021-08-31 2022-08-24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30113809A (ko)
CN (1) CN116848759A (ko)
DE (1) DE102021122482A1 (ko)
WO (1) WO202303345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5586B2 (en) 2002-10-29 2004-11-30 Remy, Inc. One piece stator lead and terminal insulator
JP5217117B2 (ja) * 2006-06-05 2013-06-19 日本電産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JP5740930B2 (ja) * 2010-03-03 2015-07-01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及びモータ
DE112010006096B4 (de) * 2010-12-28 2021-03-18 Denso Corporation Stator und mit diesem Stator ausgerüstete rotierende elektrische Maschine
JP6033582B2 (ja) * 2012-06-22 2016-11-3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ステータ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US20140015349A1 (en) * 2012-07-11 2014-01-16 Remy Technologies, Llc Interlocking coil isolators for resin retention in a segmented stator assembly
DE102013113363A1 (de) 2013-12-03 2015-06-03 Pierburg Gmbh Stator für einen elektronisch kommutierten Gleichstrommotor
DE102015117112A1 (de) 2015-10-07 2017-04-13 Pierburg Gmbh Stator für einen elektronisch kommutierten Gleichstrommotor
JP2017208871A (ja) 2016-05-16 2017-11-24 Kyb株式会社 バスバーユニット及び回転電機
US20210281138A1 (en) 2018-07-19 2021-09-09 Sew-Eurodrive Gmbh & Co. Kg Electric motor having an interconnection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 motor having an interconnectio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451A1 (en) 2023-03-09
CN116848759A (zh) 2023-10-03
DE102021122482A1 (de)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74462B (zh) 用于电机的定子和制造方法
JP6465203B2 (ja) ステータ
US10389198B2 (en) Stator for electric rotary machine
US20170025907A1 (en) Stator for electric rotary machine
US10944304B2 (en)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790603B2 (ja) 集配電リング及び電動機
JP6979464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
EP3944467A1 (en) Winding structure for electric motor and electric motor
JPH104645A (ja) 電動機のステータ
CN114128086B (zh) 分裂铁芯组装体以及包括其的定子
US20220052575A1 (en) Stator for an electric machine
WO2021074565A1 (en) A stator assembly
KR100345890B1 (ko) 무브러시 직류 전동기용 고정자
US10476338B2 (en) Stator for electric rotary machine
US11777355B2 (en) Stator and electric rotating machine
KR20230113809A (ko) 냉매 압축기 구동용 전기 모터의 고정자
KR101904287B1 (ko) 단순한 버스바 구조를 갖는 브러쉬리스 모터의 결선방법
JP5853875B2 (ja) 集配電リング及び電動機
CN112531932A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CN115833420A (zh) 定子组件及电机
JP4940815B2 (ja) 回転電機用バズバ
CN111564920A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CN111478476A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CN112332564A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CN215870942U (zh) 一种定子及电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