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263A -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거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거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263A
KR20230113263A KR1020230094862A KR20230094862A KR20230113263A KR 20230113263 A KR20230113263 A KR 20230113263A KR 1020230094862 A KR1020230094862 A KR 1020230094862A KR 20230094862 A KR20230094862 A KR 20230094862A KR 20230113263 A KR20230113263 A KR 20230113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extract
cough
flower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설웅
김인숙
장덕현
박상용
양정은
황은선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생명공학 filed Critical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to KR102023009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263A/ko
Publication of KR20230113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26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0Expect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4Antitussiv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식물추출물을 사용하여 인체에 매우 안전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도 매우 탁월하여 식품 및 의약품 분야에서 진해 및 거담의 목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이를 통해 호흡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An Antitussive and Expectorant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Hibiscus Syriacus Flower}
본 발명은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침은 우리 몸의 중요한 방어 작용 중 하나로, 세균 등의 해로운 물질이나 다양한 물질이 기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흡입된 이물질이나 기도의 분비물이 기도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항상 기도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기침은 호흡기 질환 환자들이 호소하는 증상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지나친 경우 환자의 삶의 질을 경감시키고 악화시킨다. 따라서 기침을 줄여주기 위한 기침억제 치료가 필요하다.
한편, 객담은 호흡 기도에서 분비되는 점액성 물질로서 기도 상피를 보호하고 외부흡인물질을 제거하는 방어기전의 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의식하지 못하지만 객담은 지속적으로 생성되어 후두를 통과하여 위장관으로 삼키면서 처리되나, 폐 질환 등으로 분비량과 배출량이 증가하면 객담이 기도 내에 저류(retention)되고, 기침, 호흡곤란 등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침 또는 객담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시장에서 요구되어 왔고, 최근에는 황련 등의 천연물 유래의 진해거담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국화인 무궁화(Mugunghwa; Hibiscus syriacus L.)는 국내에서만 약 200여 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무궁화의 뿌리 및 줄기 껍질 부위인 목근피(Hibiscus syriacus bark)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소염, 항균 등의 효능을 가진 약용식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궁화가 우리나라의 국화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무궁화의 재배 및 육종에 관한 연구만 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무궁화를 이용한 다양한 생리활성 연구가 미흡하다. 특히 일상생활 속에 적용 가능한 약제, 식품, 또는 기능성 화장품 등의 원료로서 개발 가능한 연구 결과는 거의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진해 및 거담 효과가 우수한 물질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국내 자생 식물체 중 특히 무궁화 꽃 추출물이 우수한 진해 및 거담 효과를 나타냄을 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0739호,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10-1770606호, 황련 및 펠라고니움 시도이데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거담용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10-1977954호,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궁화 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진해 또는 거담 효과가 우수한 호흡기 질환 치료 및 예방 물질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국내 자생 식물체 중 특히 무궁화 꽃 추출물이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ICR 마우스 및 기니피그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진해 및 거담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호흡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내지 도 3 참조).
본 발명의 용어, "진해"는 기침을 그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어, "거담"은 객담을 배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기도 내 점액질의 저류를 완화,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담은 기도, 예컨대 말초 기도에 있는 객담을 중심 기도로 이동시켜 기침으로 제거하고, 점액 분비를 늘려서 기침을 유발하는 작용을 하며, 점액을 용해하는 등으로 점액질의 점도를 감소시켜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무궁화(Hibiscus syriacus)"는 한반도 전역에서 자생하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낙엽관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무궁화 꽃 추출물은, 무궁화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의 꽃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무궁화 꽃의 추출 처리로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무궁화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추출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궁화 꽃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물,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수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무궁화 꽃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해 및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은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호흡기 질환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호흡기 질환은 기침, 기관지 경련, 호흡곤란, 또는 가래의 제증상을 수반하는 질환, 천식, 또는 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호흡기 질환"이란 기침, 기관지 경련, 호흡곤란, 또는 가래와 같은 제증상을 수반하는 질환을 일컫는 용어로서, 그 예로 기관지염, 천식, 백일해, 폐렴, 기침 또는 가래를 동반하는 폐기종, 감기 및 독감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무궁화 꽃 추출물은 진해 또는 거담 효과를 나타내므로 기침, 가래 등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제증상을 수반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해 및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은 기도(respiratory tract) 감염 환자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도 감염은 급성 또는 만성 비염, 부비동염, 인후염, 중이염 및 기관지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상기도(upper respiratory tract) 감염 또는 하기도(lower respiratory tract) 감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기도 감염"이란 타인이 기침, 재채기 또는 이야기 따위를 할 때 침이나 가래와 섞여 공기 중에 흩어진 병원체를 흡입한 개체의 코나 인두 따위의 점막이 감염되는 현상으로, 상기 기도 감염의 비제한적인 예는 급성 또는 만성 비염, 부비동염, 인후염, 중이염 및 기관지염 등의 상기도감염 또는 하기도 감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궁화 꽃 추출물은 진해 또는 거담 효과를 나타내므로 기침, 가래 등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기도 감염 증상을 완화 또는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객담 생성 또는 축적의 증세 및 기침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객담 생성 또는 축적의 증세 및 기침 증세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예컨대 0.1㎎/-1,000㎎/㎏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궁화 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또는 기도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호흡기 질환 또는 기도 감염 질환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호흡기 질환 또는 기도 감염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제외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호흡기 질환 또는 기도 감염 질환을 억제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무궁화 꽃 추출물을 피험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또는 기도 감염 질환이 있는 피험체의 기침 억제 및 객담 배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피험체"란 소, 개, 돼지, 닭, 양, 말,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투여는 복강 또는 혈관 내 투여, 병변으로의 직접 투여 또는 관절의 활강(Synovial cavity) 내 투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궁화 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무궁화 꽃 추출물"과 용어 "진해" 및 "거담"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무궁화 꽃 추출물 또는 이의 가공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진해 및 거담 기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진해 및 거담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무궁화 꽃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무궁화 꽃 추출물은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진해 및 거담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c)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식물추출물을 사용하여 인체에 매우 안전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도 매우 탁월하여 식품 및 의약품 분야에서 진해 및 거담의 목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이를 통해 호흡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무궁화 꽃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무궁화 꽃 추출물의 객담 배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페놀레드(phenol red)를 주사한 ICR 마우스의 기관에서 채취한 상층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페놀레드의 농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무궁화 꽃 추출물의 진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침 유발제(시트르산, citric acid)를 분무하여 기침을 유발한 기니피그의 기침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무궁화 꽃 추출물의 제조
무궁화의 꽃 0.5kg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고 세말화하여 분말을 얻었다. 분말화된 무궁화 꽃에 10배 중량의 에탄올을 가한 후, 하룻밤 동안 교반시키며 에탄올 용매 추출한 후, 여과하여 그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무궁화 꽃 추출물이 세포성장에 미치는 효과 검증
무궁화 꽃 추출물이 인간각질형성세포(HaCaT, Human immortalized keratinocyte)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우선, 10% FBS(fetal bovine serum, Cambrex)가 포함된 전용 배지인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인간각질형성세포를 24 well 세포 배양 접시에 1×105 농도로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37℃, 5% CO2 습윤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무혈청 DMEM 배지로 희석한 실시예 1의 무궁화 꽃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1 mg/mL의 MTT를 처리하고 2시간 후, 세포에 MTT 처리로 인해 생성된 포마잔(formazan)을 DMSO로 녹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인간각질형성세포에 무궁화 꽃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무궁화 꽃 추출물이 인간각질형성세포의 세포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무궁화 꽃 추출물이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참조).
실시예 3. 무궁화 꽃 추출물의 객담 배출(거담) 활성
무궁화 꽃추출물의 객담 배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Engler 등의 방법(Engler H, Szelenyi I, J.Pharmacol. Moth. 11, 151~157, 1984,, ;Bao-quin Lin et., Pulmon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21, 259~263, 2008.)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에는 ICR 마우스를 정상군(normal), 음성대조군(control, vehicle), 시료 투여군(sample)으로 각각의 군으로 나누어 사용하였고, 군당 7 마리를 사용하였다. 정상군은 식염수(saline)를 kg당 10ml 경구 투여하였고, 시료 투여군은 실시예 1의 무궁화 꽃 추출물을 각각 100mg/kg 및 200mg/kg 농도로 kg당 10ml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시료는 식염수에 녹여 조제하였다.
경구투여 30분 경과 후, 각 실험군을 5% 페놀레드(phenol red)를 500mg/kg 용량으로 복강 주사하였다. 각 실험군의 생쥐는 30분 경과 후 CO2 가스를 이용하여 과마취사 시키고 개복하여 복부 대동맥을 절단하여 방혈시킨 후, 기관(trachea) 전체를 절제하였다.
분리된 기관을 1ml 식염수에 넣어 10분 동안 소니케이션(sonication) 한 후, 원심분리(10,000rpm, 5분, 실온)하였다. 분리된 상층액을 0.9ml 채취하여 0.09ml 1N NaOH 용액을 첨가하여 발색시키고, 흡광도 546nm에서 측정하여 기도로부터 추출된 페놀레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표 1]
실험 결과, 상기 [표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궁화 꽃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페놀레드의 농도가 증가하였고, 대체적으로 무궁화 꽃 추출물의 처리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무궁화 꽃 추출물 처리군은 100mg/kg 농도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해 42.7% 개선된 페놀레드 농도가 관찰되었고, 200mg/kg 농도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해 63.9% 개선된 페놀레드 농도가 관찰되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무궁화 꽃 추출물이 객담 배출에 효과가 있어 거담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참조).
실시예 4. 무궁화 꽃 추출물의 진해 활성
무궁화 꽃 추출물의 진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 및 시료 투여군(sample)으로 나누었다. 음성대조군은 식염수(saline)를 kg당 10ml 경구 투여하였고, 시료 투여군은 실시예 1의 무궁화 꽃 추출물을 각각 50, 100, 150, 및 200mg/kg 농도로 kg당 10ml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시료는 식염수에 녹여 조제하였다. 비교실험을 위해 양성대조군으로는 진해제로 사용되고 있는 테오브로민(Theobromine, Sigma)을 사용하였다.
경구투여 1시간 후, 기니피그를 플레테시스모그래프 챔버(Buxco, U.S.A)에 넣어 안정을 유도한 후, 기침 유발제(시트르산, citric acid)를 분무하여 기침을 유발하였다. 0.2~0.4M 농도의 시트르산에 기니피그를 10분간 노출시켜 기니피그의 기침수를 측정하였고, 시트르산의 분무를 멈춘 후 추가로 5분 정도 기니피그의 기침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 3을 참조하면, 기침 유발제(시트르산, citric acid)를 분무하여 기침을 유발한 음성대조군은 총 25회 정도의 기침이 유발된 것으로 측정되었고, 본 발명의 무궁화 꽃 추출물을 처리한 시험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기침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무궁화 꽃 추출물 처리군은 50, 100, 150, 및 200mg/kg 농도에서 각각 17, 11, 8, 및 5회의 기침수가 측정되었는데, 100, 150, 및 200mg/kg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테오브로민(Theobromine)의 기침수 13회 대비 더욱 우수한 진해 효과가 관찰되어 진해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무궁화 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무궁화 꽃 추출물은 무궁화 꽃의 에탄올 추출물이고,
    상기 무궁화 꽃 추출물이 100 내지 200mg/kg 용량으로 경구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해 및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해 및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기침, 기관지 경련, 호흡곤란, 또는 가래의 제증상을 수반하는 질환, 천식, 또는 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해 및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기도(respiratory tract) 감염 환자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도 감염은 급성 또는 만성 비염, 부비동염, 인후염, 중이염 및 기관지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상기도(upper respiratory tract) 감염 또는 하기도(lower respiratory tract) 감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해 및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
  5. 무궁화 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무궁화 꽃 추출물은 무궁화 꽃의 에탄올 추출물이고,
    상기 무궁화 꽃 추출물이 100 내지 200mg/kg 용량으로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해 및 거담용 식품 조성물.
KR1020230094862A 2020-12-03 2023-07-20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거담용 조성물 KR20230113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4862A KR20230113263A (ko) 2020-12-03 2023-07-20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거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363A KR20220078762A (ko) 2020-12-03 2020-12-03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
KR1020230094862A KR20230113263A (ko) 2020-12-03 2023-07-20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거담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363A Division KR20220078762A (ko) 2020-12-03 2020-12-03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263A true KR20230113263A (ko) 2023-07-28

Family

ID=818533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363A KR20220078762A (ko) 2020-12-03 2020-12-03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
KR1020230094862A KR20230113263A (ko) 2020-12-03 2023-07-20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거담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363A KR20220078762A (ko) 2020-12-03 2020-12-03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20078762A (ko)
WO (1) WO202211935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39B1 (ko) 2008-06-13 2010-07-16 안국약품 주식회사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70606B1 (ko) 2014-10-28 2017-08-25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황련 및 펠라고니움 시도이데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거담용 조성물
KR101977954B1 (ko) 2018-10-26 2019-05-13 (주)에스디생명공학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130716A1 (it) * 2013-12-23 2015-06-24 Aboca Spa Societa Agricola Composizione per uso nel trattamento della tosse persistente
CN105726841A (zh) * 2016-04-15 2016-07-06 宁波优美科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慢性支气管炎的药物
CN105770454A (zh) * 2016-04-29 2016-07-20 徐玉梅 一种用于护理感染性呼吸道炎症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
CN105853562A (zh) * 2016-06-12 2016-08-17 郎益江 一种用于治疗哮喘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
KR102090133B1 (ko) * 2017-09-29 2020-03-17 (주)아모레퍼시픽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39B1 (ko) 2008-06-13 2010-07-16 안국약품 주식회사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70606B1 (ko) 2014-10-28 2017-08-25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황련 및 펠라고니움 시도이데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거담용 조성물
KR101977954B1 (ko) 2018-10-26 2019-05-13 (주)에스디생명공학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9352A1 (ko) 2022-06-09
KR20220078762A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3253B2 (ja) ピスタキア ウェインマニフォリア抽出物、その分画物またはこれらから分離された化合物を含む慢性閉塞性肺疾患(copd)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学的組成物
KR102006738B1 (ko)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46244B1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0860080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130020095A (ko) 멀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770606B1 (ko) 황련 및 펠라고니움 시도이데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거담용 조성물
KR20190043996A (ko) 국화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28920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2189109B1 (ko)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3263A (ko)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거담용 조성물
KR20190083769A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273743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1413771B1 (ko) 잣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WO2015122728A1 (ko)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KR102469733B1 (ko) 치아시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23236A (ko) 아세톤, 또는 아세톤 및 물의 혼합용매로부터 추출된 황련 추출물
JP7407735B2 (ja) 白朮及び五味子の抽出物を含む、鎮咳去痰活性を有する組成物
KR20130029283A (ko) 변비 치료용 조성물
KR20220161908A (ko) 면역증진 또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190045685A (ko) 물 팽윤으로 제조된 황련 추출물
KR20230092710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33272A (ko)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폐질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0877220B1 (ko) 선모운동 활성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KR20210130603A (ko) 녹차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