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769A -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769A
KR20190083769A KR1020180001605A KR20180001605A KR20190083769A KR 20190083769 A KR20190083769 A KR 20190083769A KR 1020180001605 A KR1020180001605 A KR 1020180001605A KR 20180001605 A KR20180001605 A KR 20180001605A KR 20190083769 A KR20190083769 A KR 20190083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
compositio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항구
천성남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알리코제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코제약(주) filed Critical 알리코제약(주)
Priority to KR102018000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3769A/ko
Publication of KR20190083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0Expect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4Antitussiv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거담 활성, 진해 활성 및 항히스타민 활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Lionicerae Flower extract}
본 발명은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침은 해소 중추의 흥분에 의해 생기는 기도의 방어 현상이다. 호흡에 의한 기관 내 기류의 속도는 보통 초속 6~7미터 정도이지만, 기침할 때에는 200~300미터에 이르는 경우도 있어 기침에 의해 기도 안에 쌓인 가래나 이물질이 배출된다. 기침은 뇌, 몇 개의 근육, 호흡기, 가슴과 복부 등 인체의 여러 기관이 연결되어 일어나는 일종의 반사반응이다.
기침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한데 많은 호흡 기관 중 어느 한 곳이라도 자극을 받으면 기침을 하게 된다. 감기 환자에게 있어 기침을 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콧물로 인한 후비루와 인후부에 생긴 가래 등의 분비물이다. 기침은 감기 이외에 기관지염이나 폐렴 및 천식을 비롯한 각종 하부 호흡기 질환으로 발생할 때가 더 많다. 이와 더불어 알레르기에 의한 기침일 경우도 있다. 천식은 만성 기침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인자 중에 하나이며, 폐결핵도 객혈이나 가래를 동반하는 만성 기침을 일으킬 수 있다.
기침은 후두, 식도, 기관지의 상피세포 내에 있는 감각경로가 자극을 받아 시작된다. 이때 활성화된 구심성 신경의 수와 활성화의 강도가 기침 역치에 영향을 미친다. 후두부와 근위부의 큰 기도에 있는 수용체는 기계적 자극에 민감한 반면, 후두의 수용체는 화학적 자극에 더 민감하다. 연수에 존재하는 기침 중추는 감각신경을 통해 들어온 신호를 처리하여 운동성 원심신경을 자극한다. 자발성 기침은 대뇌피질에 의해 통제되며, 바이러스는 알 수 없는 다른 방식으로 기침을 촉진한다.
기침은 습성 기침과 건성 기침으로 분류되다. 습성기침은 하기도로부터 분비물을 몰아내는 것인데 만일 하기도의 분비물이 배출되지 않으면 환기는 물론 감염에 저항하는 폐의 능력을 손상시킬 수 있다. 습성 기침은 효율적일 수 있고 비효율적일 수도 있다. 기관지염의 경우 분비물이 맑고, 세균에 감염된 경우에는 화농성을 띠게 되며, 혐기성 세균에 감염된 경우에는 나쁜 냄새가 난다. 건성 기침은 바이러스 감염, 비정형 세균감염, 위·식도 역류질환, 심장질환 및 일부 약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기침의 일반적인 합병증으로는 피로, 불면증, 근골격계 통증, 목쉼, 진땀, 요실금 등이 있으며, 드물지만 부정맥, 실신, 뇌졸중, 늑골골절도 발생할 수 있다.
호흡기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에는 거담제, 기관지 확장제, 진해제, 항스타민제를 처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주요 작용과 약물은 다음과 같다.
① 거담제
정상적인 기관지 점액은 기관지 표면을 살짝 덮어 항상 촉촉하게 유지함으로써 기관지를 물리적 자극으로부터 보호할 뿐 아니라, 면역글로불린 A(Immunoglobulin A : IgA)와 같은 면역물질들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병원균이 호흡점막에 부착되는 것을 막고 여러 독성물질을 불활성화시킴으로써 많은 해로운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방어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관지 점액분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게 되면, 기관지 내 이물감, 기관지 폐쇄, 그로 인한 환기 장애 및 호흡 곤란 등이 나타나기 때문에 가래라는 형태로 배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거담제라고 사용되는 약물들은 기관지 상피세포의 섬모운동에 의해 점액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의 약물과 점액을 용해하여 점성을 떨어뜨려서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Guaifenesin, iodides, bromhexine 등은 위장관 자극으로 위와 기도 분비물이 늘도록 하는 약물이다. N-acetylcysteine은 점액 모노머를 연결하는 이황화물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점액 당단백질 올리고머를 분해하고, 알부민과 secretory IgA 같은 다른 단백질들에 점액 당단백이 결합하는 이황화(disulfide) 가교를 분해 감소시켜서 점액의 농도를 떨어뜨린다. Sulfhydril기를 끊는 약물로는 S-carboxymethylcysteine, bromhexine, ambroxol, letocysteine 등이 있으나 경구 투여시 객담으로의 투과가 잘되지 않아 객담 용해능이 떨어진다. Erdosteine은 경구 투여 시 흡수되면서 간에서 N-thiodiylglycolylhomocystein, N-acetylhomocystein과 Homocystein으로 대사되어 효능을 나타내므로 시스테인(cysteine) 제제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② 기관지 확장제
β-adrenergic agonists (sympathomimetics), theophylline (methylxanthines), anticholinergic drugs 등이 있다. β2-agonists는 기도 평활근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뿐 아니라 간접적으로는 염증세포로부터 기관지 수축 화학매체(mediators)의 분비와 기도 신경으로부터 기관지 수축 neurotransmitters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기도 확장을 일으킨다. β2-agonists는 이외에도 1) 비만세포(mast cell) 화학매개체 분비를 억제하고, 2) 히스타민(histamine)과 leukotriene D4 같은 화학매체들에 노출된 후 미세혈관 누출(microvascular leakage)를 억제함으로써 기관지 점막 부종의 발생을 억제하며, 3) 점막하선으로부터의 점액분비를 증가시키고 기도 상피의 ion transport를 증가시킴으로써 mucociliary clearance를 증가시키고, 4) 기침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③ 진해제
기침을 억제시키는 진해제는 단일 성분의 약물과 항히스타민제를 포함한 여러 약제의 복합제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객담을 동반하는 기침에 사용하는 진해제는 guaifenesin를 포함한 약물을 사용하고, 객담을 동반하지 않는 기침은 dextromethorphan(opiate agonist인 levorphanol의 derivative), camphor/menthol ointments, steam inhalants, oral menthol, codeine(phenanthrene-derivative opiate)을 사용하게 된다.
마약(opiates)은 연수 기침 중추(medullary cough center)에 작용하는 중심성 기전뿐 아니라 근위부 기도에 있는 기침 반사 수용체에 부가적인 말초 작용을 가지고 있다. Codeine과 pholcodine이 흔히 사용되지만 임상적으로 효과적인지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다. Morphine과 methadone은 기침 억제에 효과적이지만 폐암에서 동반된 극심한 기침에서만 사용한다. Levotuss는 levodropropizine 성분의 진해제로 기침의 경로 중 C-fiber를 억제하여 기침을 억제하는 순수 진해제로 쓰인다. 또한 건조된 ivy leaf 추출물로서 hederocoside C가 주성분인 프로스판®이라는 약제는 진해작용과 거담작용이 있다.
④ 항히스타민제
면역반응에 의하여 세포나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는 과민반응은 I, II, III, IV형으로 분류된다. I, II, III형은 항체가 관여하는 체액성(humoral) 면역반응이고, 이중 I형과 II형은 세포표면에서 반응이 일어나지만 III형은 세포외액에서 일어난다. IV형은 주로 T세포와 대식세포(macrophage)가 관여하는 세포매개 (cell-mediated) 면역반응으로 항원에 노출된 후 대체로 수일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지연형 반응이다.
히스타민의 작용은 H1-, H2-, H3-receptors를 경유하여 나타나는데 H1-receptor는 혈관, 기도와 위장관계 평활근, 심장,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며, H2-receptor는 위점막, 자궁, 심장, 중추신경계, H3-receptor는 중추신경계, 기도, 위장관계에 존재한다. 이중 H1-receptor를 자극하면 혈관 내피(vascular endothelium)에서 nitric oxide의 분비를 유도하여 guanalyl cyclase를 자극함으로써 혈관 평활근에서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GMP) 수준을 증가시켜서 혈관확장과 혈장 삼출(plasma exudation)을 일으키는데 이것이 감각 신경(type C nociceptive nerve fiber)의 자극을 통해 소양감과 재채기를 유발하고 혈관 확장을 통해 콧물과 충혈을 일으키며 하기도의 평활근 수축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H1-antagonists는 전통적으로 alkylamines, ethanolamines, ethylenediamines, phenothiazines, piperazines, piperidines 등 6가지 그룹으로 분류한다. 각 그룹에 속한 H1-antagonists는 peripheral과 central H1 blockade를 일으키는 능력이 매우 다양하다. H1-antagonists는 낮은 농도에서 H1-receptors에 결합하여 히스타민의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H1 반응을 봉쇄하는 항길항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호흡기 질환에 사용되는 진해, 기관지 확장제, 거담제, 항히스타민제들은 화합물 또는 식물체에서 유래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거담제로 사용되는 시스테인 유도체들은 만족할 효력을 나타내지 못하고 시스테인염산류의 경우 독성이 있고 화학적으로 불안전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화학적 안정성이 있으면서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우수한 약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임상약학회, 약물치료학, 조윤커뮤니케이션; 2015: 175-217 Kim S K, Chang J. Respiratory Symptoms Relievers - Antitussives, Mucolytics, Antihistamines,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06; 60(3): 261-269 Motomu Tanaka and Kei Maruyama. J. Pharmacol. Sci. 93, 465~470, 2003 Daoui, Cognon, Naline et.,Am. J. Respir. Crit. Care. Med. 158, 42~48, 1998. Engler H, Szelenyi I. J.Pharmacol. Moth. 11, 151-157, 1984, Bao-quin Lin et. Pulmon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21, 259-263, 2008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진해, 기관지 확장, 거담, 히스타민 억제에 필요한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항균, 항염 작용과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하는 항히스타민작용, 항산화 작용 등을 지니고 있는 새로운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로 사용될 수 있는 생약 추출물을 연구하던 중 금은화 추출물이 진해, 거담 활성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거담제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진해제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히스타민제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진해, 거담 활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며 부작용과 독성이 적은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페놀레드 배출법 실험에 의한 금은화 추출물과 분획물 및 대표 성분의 객담 배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생약인 금은화(金銀花, Lonicerae Flos)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erg)의 꽃봉오리 또는 막 피기 시작한 꽃이다. 인동덩굴은 줄기 또는 잎이 부착한 줄기를 인동(忍冬)이라 한다. 중국에서는 인동(忍冬, L. japonic Thunb)의 꽃봉오리를 금은화로 쓰며 회전모인동(灰氈毛忍冬, L. macranthoides), 홍선인동(紅腺忍冬, L. Hypoglauca), 화남인동(華南忍冬, L. confusa), 황갈모인동(黃褐毛忍冬, L. fulvotomentosa)은 산은화(山銀花)로 사용한다. 한국내에서는 전국 각지의 길섶, 산기슭, 개울가에 잘 자란다. 6, 7월경에 흰색의 꽃이 나중에 노란꽃이 된다고 하여 금은화(金銀花)라고 하며 초여름에 꽃봉오리가 맺혀 개화되기전 상태로 모아 그늘에 건조하여 사용한다. 꽃봉오리는 작은 막대모양을 한 꽃봉오리와 입술모양의 꽃이 섞여 있으며 길이는 15~35mm 정도이고, 위부분은 직경 약 3mm, 아래부분은 직경 약 1.5mm이다. 바깥면은 황백색 또는 녹백색이고 오래 저장한 것일수록 색은 진하다. 확대경으로 보면 연한 갈색의 털이 밀생하고 꽃받침은 녹색으로 끝이 5개로 갈라져 있고 갈라진 조각은 털이 있고 길이가 약 2mm이다. 수술은 5개로 황색이고 암술은 1개이며 자방에는 털이 없다. 맛은 담배하고 쓰며 특유한 냄새가 난다.
금은화의 주요 활성 물질에는 다양한 작용기를 가진 페놀성 화합물(phenolic compounds), 이리돌리스(iridoli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등이 있다.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함유된 천연물질 중에서 생리활성과 함량이 우수한 물질로는 페놀성 화합물 중 chrologenic acid, 3,5-dicaffeoylquinic acid, 이리돌리스 중 swerosids와 (E)-aldosecologanin, 그리고 플라보노이드 중 luteolin-7-O-glucoside 등이 보고되어 있다.
금은화는 몸의 열증(熱症)을 제거하고 독성 물질의 작용을 없애는 약성을 가지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종기, 매독, 임질, 치질, 맥관염 등에 널리 활용하고 있다. 약리적으로는 이질균,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대장균, 백일해균, 디프테리아균, 결핵균, 포도구균, 용혈성 연쇄구균 등에 비교적 강력한 염증 억제 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및 혈액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중화시키는 약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금은화 추출물 등이 진해, 거담, 항히스타민 활성에 대해선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금은화의 용매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즉 분획물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 6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10 ~ 70%(V/V)의 에탄올 수용액 또는 수포화 부틸알코올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을 물로 현탁시키고, 탄소수 1 ~ 6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수포화 부틸알코올로 분획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획물은 상기 분획물을 추가로 메틸렌글로라이드와 메탄올(30 : 1 ~ 7(V/V)의 혼합용매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수득하는 분획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금은화의 추출물은, 건조된 금은화를 세절하여 무게(Kg)의 3배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5배 내지 15배의 물, C1 내지 C6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10 내지 70%(V/V)의 에탄올 수용액 또는 수포화 부틸알코올로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의 추출온도에서 약 0.5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시간 동안 냉침, 열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법을 이용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모으고, 다시 잔사에 생약 원료 중량의 4 내지 7배의 물, 알코올 수용액 또는 수포화 부틸알코올 가하여 가온 후 2 ~ 5시간 재추출하고 여과하여 이전의 여액과 혼합함으로써 추출효율을 높인다. 본 발명에서는 1차 추출 후 다시 재추출하는 방법을 택하였는데, 생약 추출물을 대량 생산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여과를 한다 하더라도 생약 자체의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1차 추출만으로는 추출 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금은화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을 2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배 부피의 물로 현탁시킨 후 수포화 부틸알코올과 같은 극성 용매를 현탁액의 0.5 내지 3배, 바람직하게는 동량 내지 2배 가하여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3회 동안 극성용매 가용 층을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제조한다. 층 분리 후 얻어진 저급 알코올 분획물을 50 ~ 60℃로 감압 농축하여 시료 중에 잔존하는 용매를 제거한다. 얻어진 농축물은 농축물 총량의 25~50배의 물로 2~3회 공비 농축하고 재차 동량의 물을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다.
상기와 같이 1, 2차에 걸쳐 물, C1 내지 C6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은 여과 및 농축한 다음, 여액 중에 함유된 불필요한 단백질, 다당류 및 지방산 등의 불순물을 정제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여액과 동량의 저급 알코올로 2 내지 4회 층 분리를 실시하여 용매 분획을 얻음으로써 불순물을 정제한다. 이때 저급 알코올로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로서, 바람직하게는 부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하며, 저급 알콜 사용량이 여액에 비하여 적을 경우에는 지방산 등의 불필요한 성분들에 의한 미립자가 형성되어 층 분리가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효활성성분의 추출 함량이 낮아지게 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한, 상기에서 수득한 금은화 분획물 추가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30 : 1 ∼ 7 : 1(v/v))의 혼합 용매로 분획하여 수득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용매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5개의 소분획으로 나누어 각 분획에 대한 생리활성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활성분획 및 성분들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 루틴(rutin), 로가닌(loganin), 카페익산(caffeic acid), 로니세린(lonicerin)이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 루틴(rutin), 로가닌(loganin), 카페익산(caffeic acid), 로니세린(lonicerin)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클로로제닉산 0.1 내지 50.0 중량부, 루틴 0.01 내지 15.0 중량부, 로가닌 0.01 내지 5.0 중량부, 카페익산 0.01 내지 3.0 중량부 및 로니세린 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 루틴(rutin), 로가닌(loganin), 카페익산(caffeic acid) 및 로니세린(lonicer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 루틴(rutin), 로가닌(loganin), 카페익산(caffeic acid) 및 로니세린(lonicerin)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클로로제닉산 0.1 내지 50.0 중량부, 루틴 0.01 내지 15.0 중량부, 로가닌 0.01 내지 5.0 중량부, 카페익산 0.01 내지 3.0 중량부 및 로니세린 0.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호흡기 질환'은 기침 또는 가래를 동반하는 폐기종,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기관지선종, 고립성폐결절, 폐결핵, 농흉, 폐농양, 감기, 독감 또는 폐의 조직구 증식증, 바람직하게는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폐렴, 감기, 독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거담제, 진해제 또는 항히스타민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약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0.00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약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탤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상기 유효성분은 1일 1mg/kg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50 mg/kg 내지 5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mg/kg 내지 3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약제는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의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은화 추출물 제조
1-1. 금은화 수 추출물(LF- EA )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금은화를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한 후, 건조된 금은화 100 g을 600 mL의 물로, 80 ℃에서 3시간씩 2회 열수 추출한 뒤, 추출액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금은화 수 추출물 21.0 g (원생약 대비 21% 수율)을 얻었고, 이를 이하, ‘LF-EA’라 명명하였으며, 하기 실시예 1-2에서 사용하였다.
1-2. 금은화 분획물 (LF- EA - 1)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얻은 LF-EA 21 g에 150mL의 물을 가해 현탁시키고, 여기에 수포화 부틸알코올 300mL를 가하여, 2회 층 분리한 후, 수포화 부틸알코올 분획만을 모아 건조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대부분의 부틸알코올과 물이 증발된 상태에서 150 mL의 물을 가해 공비 농축한 후, 다시 2회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100 mL의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 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금은화 분획물 6.2 g (원생약 대비 6.2% 수율)을 얻었으며, 이를 이하, ‘LF-EA-1’이라 명명하였고,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금은화 추출물의 제조
2-1. 금은화 에탄올 추출물 (LF- EB )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금은화를,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한 후, 건조된 금은화 100 g을 800 mL의 5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80 ℃에서 3시간씩 2회 환류 추출한 뒤, 추출액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 19.5 g(원생약 대비 19.5% 수율)을 얻었고, 이를 이하,‘LF-EB’라 명명하였으며, 하기 실시예 2-2에서 사용하였다.
2-2. 금은화 분획물 (LF- EB - 1)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에서 얻은 LF-EB 19.5 g에 150 mL의 물을 가해 현탁시키고, 여기에 수포화 부틸알코올 300 mL를 가하여, 2회 층 분리한 후, 부틸알코올 분획만을 모아 건조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대부분의 부틸알코올과 물이 증발된 상태에서 0.2 L의 물을 가해 공비 농축한 후, 다시 2회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100 mL의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금은화 분획물 6.8 g(원생약 대비 6.8% 수율)을 얻었으며, 이를 이하, ‘LF-EB-1’이라 명명하였고,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금은화 수포화 부틸알코올 추출물(LF- EC )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금은화를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한 후, 건조된 금은화 100 g을 1 L의 수포화 n-부틸알코올로, 85 ℃에서 3시간씩 2회 환류 냉각 추출한 뒤, 추출액을 여과 후 감압 농축한 후, 대부분의 부틸알코올이 증발된 상태에서 100L의 물을 가해 공비 농축한 후, 다시 2회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100 mL의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 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수포화 부틸알코올 추출물 7.3 g (원생약 대비 7.3%)을 얻었고, 이를 이하,‘LF-EC’라 명명하였으며, 하기 실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금은화 추출물의 소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LF-EB-1 10 g 취하여 오픈 컬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open column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시행하여 5개의 소분획물을 얻었다. 이때, 사용된 용매는 메틸렌클로라이드 : 메탄올을 30 : 1에서 7:1(v/v)의 비율로 하였다.
상기 분획은 Fr. 1은 0.4 g(이하, ‘Fr. 1’), Fr. 2는 1.7 g(이하, ‘Fr. 2’), Fr. 3은 5.6 g(이하, ‘Fr. 3’), Fr. 4는 1.8 g(이하, ‘Fr. 4’), Fr. 5는 0.5 g(이하, ‘Fr. 5’)이며,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금은화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4의 금은화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성분의 함량을 하기의 조건으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HPLC)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컬 럼 : Capcellpak C18, 4.6×250 mm, 5 ㎛
- 유 속 : 1.2 mL/분
- 검출 파장 : UV 254 nm
- 주 입 량 : 20 ㎕
- 오븐 온도 : 40 ℃
- 이 동 상
이동상 A : 인산 : 물 = 0.5 : 99.5%(V/V)
이동상 B : 인산 : 아세토니트릴 = 0.5 : 99.5%(V/V)
Figure pat00001
구 분 성분별 함량(%)
chlorogenic acid rutin loganin caffeic acid Lonicerin
실시예 1 LF-EA 19.5 1.4 0.8 0.1 0.1
LF-EA-1 23.6 2.4 1.0 0.3 0.1
실시예 2 LF-EB 22.3 0.6 0.4 0.1 0.1
LF-EB-1 24.3 3.4 1.3 0.3 0.1
실시예 3 LF-EC 25.7 1.5 0.6 0.3 0.2
실시예 4 Fr 1 0.9 1.3 0.8 0.3 0.1
Fr 2 12.4 3.6 2.5 0.5 0.1
Fr 3 45.2 10.6 4.2 2.6 1.6
Fr 4 3.2 4.8 1.1 0.2 0.3
Fr 5 0.1 이하 0.1 이하 0.1 이하 0.1 이하 0.1 이하
실시예 1~4의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는 chlorogenic acid, rutin, loganin, caffeic acid, Lonicerin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 금은화 추출물 및 분획물의 거담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금은화 추출물 및 분획물의 거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Engler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Engler H, Szelenyi I, J. Pharmacol . Moth . 11, 151~157, 1984; Bao-quin Lin et., Pulmon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21, 259~263, 2008.)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양성대조약물 (Ambroxol) 및 시험약물(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금은화 추출물 및 분획물)을 경구 투여하고 30분 후, 페놀레드를 복강 주사하였다 (500 mg/kg 용량으로 투여하며, 페놀레드는 생리 식염수에 녹인다). 30분 후, 디에틸이더(diethyl ether)를 이용해 마취시키고 복부 대동맥을 절단하여 방혈시킨 후, 기관 (trachea) 전체를 절제하였다. 분리된 기관을 1 ml의 생리 식염수에 넣어 30분 동안 세척하였고, 10,000 rpm으로 5분간 상온에서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에 1 N 수산화나트륨 (NaOH)를 첨가 (상등액 1 ml당 1N NaOH 0.1 ml 첨가)한 후에 546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페놀레드의 농도로서 거담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투여량(mg/Kg) 객담배출율(%)
실시예 1 LF-EA 500 32
LF-EA-1 500 37
실시예 2 LF-EB 500 35
LF-EB-1 500 43
실시예 3 LF-EC 500 39
대조약물(Ambroxol) 500 35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2의 LF-EB-1의 객담 배출능이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의 LF-EB-1의 투여 용량별(50, 100, 150, 200, 500 mg/kg)로 활성을 측정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투여량(mg/Kg) 객담배출율(%)
실시예 2 LF-EB-1 50 8
100 12
150 21
200 24
500 43
대조약물(Ambroxol) 250 28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LF-EB-1의 투여용량이 500 mg/kg일 때, 객담 배출능이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금은화 추출물 및 분획물의 진해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금은화 추출물 및 분획물의 진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Tanaka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Motomu Tanaka and Kei Maruyama., J. Pharmacol. Sci . 93, 465~470, 2003., Daoui, Cognon, Naline et.,Am. J. Respir . Crit. Care . Med . 158, 42~48, 1998.),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컷 기니피그(6주령)에 시험약물을 경구 투여하고 1시간 후 기니피그를 플레티시스모그래프 챔버(Buxco, U.S.A.)에 넣은 후, 기침 유발제인 시트르산(Citric acid, Sigma)을 분무하여 기침을 유발시켰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진해제로 사용되고 있는 테오브로민(Theobromine)을 사용하였으며, 2M의 시트르산에 기니피그를 10분간 노출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기침수를 15분간 측정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투여량(mg/Kg) 기침억제율(%)
실시예 1 LF-EA 200 35
LF-EA-1 200 48
실시예 2 LF-EB 200 38
LF-EB-1 200 55
실시예 3 LF-EC 200 47
대조약물(Theobromine) 50 55
상기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2의 LF-EB-1의 기침 억제 효과에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의 LF-EB-1의 투여 용량별(50, 100, 150, 200 mg/kg)로 활성을 측정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 분 투여량(mg/Kg) 기침 억제율(%)
실시예 2 LF-EB-1 50 5
100 23
150 41
200 55
대조약물(Theobromine) 250 55
상기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LF-EB-1의 투여용량이 200 mg/kg일 때, 기침 억제 효과에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금은화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히스타민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금은화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히스타민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Honuchi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Masako Honuchi and Yoshiyuki Seyama, J. Health Sci ., 52(6), 711~717, 2006., Naoki Inagaki et. Biol . Pharm . Bull . 24(7), 829~834, 2001.), 하기와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난백알부민으로 감작시킨 수컷 랫드 (7주령, 샘타코 바이오 코리아)의 복강세포를 이용하여 항히스타민 효과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케토티펜(Ketotifen)을 사용하였다. 난백알부민으로 감작시킨 랫드에게 시험약물을 경구 투여하고 약물을 사흘간 경구 투여한 후, 복강 비만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복강 비만세포 (2×105 cells/ml)에 다시 약물을 처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비면역학적인 방법으로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유도하여 히스타민을 분비시키는 물질인 컴파운드 48/80 (compound 48/80)을 10 ㎍/ml의 농도로 동일하게 처리하고, 이때 비만세포로부터 유리된 히스타민의 양을 정량하여 시험 물질들이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를 억제시키는가를 확인하였다. 아무 약물도 투여하지 않은 랫드의 비만세포로부터 유리된 히스타민의 양에 대한 상대적인 양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 분 경구투여량
(mg/Kg)
비만세포처리농도
(mg/ml)
히스타민방출량
(%)
실시예 1 LF-EA 200 0.0 43
0.1 38
1.0 35
10.0 27
LF-EA-1 200 0.0 43
0.1 37
1.0 31
10.0 24
실시예 2 LF-EB 200 0.0 42
0.1 36
1.0 34
10.0 28
LF-EB-1 200 0.0 44
0.1 35
1.0 31
10.0 20
실시예 3 LF-EC 200 0.0 43
0.1 36
1.0 34
10.0 23
양성대조군(Ketotifen) 5 0.0 42
0.1 37
1.0 29
10.0 19
상기 표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2의 LF-EB-1의 항히스타민 효과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의 LF-EB-1의 투여 용량별(100, 200, 400 mg/kg)로 활성을 측정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 분 경구투여량
(mg/Kg)
비만세포처리농도
(mg/ml)
히스타민방출량
(%)
실시예 2 LF-EB-1 100 0.0 50
0.1 41
1.0 34
10.0 29
LF-EB-1 200 0.0 44
0.1 35
1.0 31
10.0 20
LF-EB-1 400 0.0 32
0.1 27
1.0 24
10.0 18
양성대조군(Ketotifen) 5 0.0 42
0.1 37
1.0 28
10.0 19
상기 표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LF-EB-1의 투여용량이 400 mg/kg일 때, 항히스타민 효과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활성 소분획의 진해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5개의 소분획에 대한 진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해 활성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분 투여용량(mg/Kg) 기침억제능(%)
Fr 1 60 35
Fr 2 60 42
Fr 3 60 65
Fr 4 60 38
Fr 5 60 18
양성대조군(Theobromine) 50 55
상기 표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Fr.3의 진해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활성 소분획의 항히스타민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5개의 소분획에 대한 진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 분 경구투여량
(mg/Kg)
비만세포처리농도
(mg/ml)
히스타민방출량
(%)
Fr 1 60 0.0 54
0.1 48
1.0 38
10.0 35
Fr 2 60 0.0 57
0.1 55
1.0 46
10.0 43
Fr 3 60 0.0 39
0.1 28
1.0 23
10.0 17
Fr 4 60 0.0 55
0.1 47
1.0 43
10.0 38
Fr 5 60 0.0 68
0.1 60
1.0 57
10.0 54
양성대조군(Ketotifen) 5 0.0 42
0.1 37
1.0 29
10.0 19
상기 표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Fr.3의 항히스타민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Chlorogenic acid 거담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2, 실시예 3의 금은화 추출물, 분획물, 실시예 4에서 제조된 5개의 소분획에 대한 거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거담 활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분 투여용량(mg/Kg) 기침억제능(%)
Fr 1 125 21
Fr 2 125 25
Fr 3 125 42
Fr 4 125 23
Fr 5 125 15
실시예 2의 LF-EB 125 34
실시예 2의 LF-EB-1 125 39
실시예 3의 LF-EC 125 37
Chlorogenic acid 125 40
양성대조군(Ambroxol) 250 30
상기 표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Chlorogenic acid의 기침 억제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7. 금은화 추출물 및 분획물의 독성시험
본 발명의 물질에 대한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6주령의 특정 병원체 부재(SPF, specific pathogens free) Sprague Dawley(SD)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되기 전 1주일 정도 순화시켰다. 실험동물용 사료 및 음수는 멸균한 후 공급하였으며 자유 섭취시켰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LF-EA-1, LF-EB-1, LF-EC를 멸균증류수에 희석하여 5,000 mg/kg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은 멸균증류수를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후 7일 동안 다음과 같이 부작용 또는 치사 여부를 관찰하였다. 즉, 투여 당일은 투여 후 1시간, 4시간, 8시간, 12시간 뒤에, 그리고 투여 익일부터 7일째까지는 매일 오전, 오후 1회 이상씩 일반증상의 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상기와 같은 급성 독성실험 결과, 시료를 투여한 모든 마우스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폐사된 마우스도 없었으며, 또한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금은화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모든 마우스에서 5,000 mg/k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 투여 최소 치사량(LD50)이 5,000 m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금은화 추출물(실시예 1) 20.0 mg
유당 280.0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금은화 추출물(실시예 2) 20.0 mg
유당 100.0 mg
미결정셀룰로오스 100.0 m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0.0 mg
크로스포비돈 10.0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5.0 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적인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금은화 추출물(실시예 3) 20.0 mg
유당 100.0mg
미결정셀룰로오스 50.0mg
크로스포비돈 10.0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5.0mg
상기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적인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공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금은화 추출물(실시예 1) 200.0 mg
말티톨 5.0 g
디-소르비톨액 20.0 g
시트르산 300.0 mg
정제수 적량
통상적인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다음 유리병에 충전, 씰링한 다음 저온살균 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건강식품의 제조
금은화 추출물 (실시예 1) 10.0mg
비타민 B1 5.0 mg
비타민 B2 5.0 mg
비타민 B6 10.0 mg
비타민 C 250.0 mg
유당 100.0 mg
이산화규소 5.0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5.0 mg
상기의 성분을 통상적인 건강식품 제조법에 따라 혼합하여,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6. 건강음료의 제조
금은화 추출물(실시예 1) 100.0 mg
고과당 15.0 g
올리고당 5.0 g
매실 농축액 3.0 g
비타민 C 500.0 mg
구연산 100.0 mg
구연산나트륨 50.0 mg
정제수 적량
상기 성분을 통상적인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80℃ 가온한 정제수에 가하여 용해 시킨 다음, 여과한 다음 100 mL 유리용기에 충전, 씰링한 다음 저온 살균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14)

  1.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화 추출물은 금은화를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기 금은화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키고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로 분획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추가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30 : 1 내지 7 : 1(V/V)의 혼합용매로 분획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클로로제닉산, 루틴, 로가닌, 카페익산 및 로니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클로로제닉산, 루틴, 로가닌, 카페익산 및 로니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클로로제닉산 0.1 내지 50.0 중량부, 루틴 0.01 내지 15.0 중량부, 로가닌 0.01 내지 5.0 중량부, 카페익산 0.01 내지 3.0 중량부 및 로니세린 0.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기침 또는 가래를 동반하는 감기, 독감, 기관지 천식,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기관지 선종, 고립성 폐결절, 폐결핵, 농흉, 폐농양 또는 폐의 조직구 증식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시럽제, 현탁액, 에멀젼, 경피제, 좌제, 에어로졸 또는 주사제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이 0.0001 내지 99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거담제.
  12. 제 1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진해제.
  13. 제 1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히스타민제.
  14. 금은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80001605A 2018-01-05 2018-01-05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3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605A KR20190083769A (ko) 2018-01-05 2018-01-05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605A KR20190083769A (ko) 2018-01-05 2018-01-05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69A true KR20190083769A (ko) 2019-07-15

Family

ID=6725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605A KR20190083769A (ko) 2018-01-05 2018-01-05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37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230B1 (ko) * 2021-03-10 2022-01-19 엔비케이제약(주) 복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65970A3 (ko) * 2020-09-28 2022-05-19 한국한의학연구원 천연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o-quin Lin et. Pulmon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21, 259-263, 2008
Daoui, Cognon, Naline et.,Am. J. Respir. Crit. Care. Med. 158, 42~48, 1998.
Engler H, Szelenyi I. J.Pharmacol. Moth. 11, 151-157, 1984,
Kim S K, Chang J. Respiratory Symptoms Relievers - Antitussives, Mucolytics, Antihistamines,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06; 60(3): 261-269
Motomu Tanaka and Kei Maruyama. J. Pharmacol. Sci. 93, 465~470, 2003
한국임상약학회, 약물치료학, 조윤커뮤니케이션; 2015: 175-21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970A3 (ko) * 2020-09-28 2022-05-19 한국한의학연구원 천연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53230B1 (ko) * 2021-03-10 2022-01-19 엔비케이제약(주) 복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2653C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содержащий очищенный экстракт (atc2), выделенный из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с высо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воспаления, аллергии и астмы
KR101103393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70739B1 (ko)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US10172900B2 (en) Composition with improved bioavailabilty of saponi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bioavailability of saponin
KR102006738B1 (ko)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2450046A1 (en) A medicin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bronchitis and preparation thereof
KR100860080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JP2008542363A (ja) 抗炎、抗アレルギーおよび抗喘息活性を有するPseudolysimachionlongifolium抽出物およびこれから分離されたカタルポ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薬学組成物
KR20120014255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90043996A (ko) 국화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6151454B2 (ja) モノアセチル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化合物を有効性分として含有する慢性閉塞性肺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1770606B1 (ko) 황련 및 펠라고니움 시도이데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거담용 조성물
KR20060125499A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긴산꼬리풀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카탈폴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474125B1 (ko) 황기, 방풍, 강활, 황금 및 백출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기관지염 또는 폐렴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3769A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9109B1 (ko)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13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758639B1 (ko) 인동등, 우방자 및 황금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90023236A (ko) 아세톤, 또는 아세톤 및 물의 혼합용매로부터 추출된 황련 추출물
KR102353230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2122B1 (ko) 백출 및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해거담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469733B1 (ko) 치아시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19352A1 (ko) 무궁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해 및 거담용 조성물
KR101794929B1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