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133A - 시트의 표면 평활도를 개선하여 표면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 Google Patents

시트의 표면 평활도를 개선하여 표면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133A
KR20230110133A KR1020220018576A KR20220018576A KR20230110133A KR 20230110133 A KR20230110133 A KR 20230110133A KR 1020220018576 A KR1020220018576 A KR 1020220018576A KR 20220018576 A KR20220018576 A KR 20220018576A KR 20230110133 A KR20230110133 A KR 20230110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selectively
unit
layer uni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227B1 (ko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ublication of KR2023011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8Presence of paper
    • C09J2400/286Presence of paper in the pretreated surface to be jo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로 형성되며, 내부에 미리 설정된 섹션을 형성하는 시트 레이어 유닛; 및 시트 레이어 유닛의 하면에 제공되고, 시트 레이어 유닛의 하면에 점착력을 제공하여 오브젝트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점착되는 어드히시브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Sheet layer system improving capable of adjusting tension by selectively managing smoothness}
본 발명은 시트 레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로 형성되는 시트 레이어 유닛과 시트 레이어 유닛에 부분 함침되는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을 통하여 표면의 평활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며, 시트 레이어 유닛의 표면의 텐션이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도록,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눈부신 성장은 인류에게 편리하고 윤택한 삶을 제공했다. 인류는 수십년 간 편리하며 운송에 용이한 형태의 패키징을 위하여 플라스틱 사용을 늘렸으며, 소비자들은 마찬가지로 편한 일회용 패키징 사용에 익숙해져 왔다.
한편 무분별한 패키징은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떠오르며 세계적인 이슈로 부상하였고,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친환경 소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며 전체적 산업 트렌드를 변화시켜 나가고 있다.
환경부는 친환경 포장(Environment Friendly Packaging)을 '환경에 위해를 주는 요소를 최소화시켜 환경 영향이 저감되도록 개발한 포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 포장재는 3R(Reduce(절감), Reuse(재사용), Recycle(재활용)) 가이드라인에 주안점을 두고 설계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IMARC에 따르면 2018년 전 세계 친환경 포장재 시장 규모는 약 168억 달러였으며, 2024년에는 약 286억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다른 시장조사기관의 자료들도 금액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 장기적으로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친환경 포장재의 연구개발 은 종이, 유리, 플라스틱, 캔(금속) 등 현존하는 모든 포장재가 포함된다.
또한, 누적된 폐기물 처리문제, 전 세계적인 환경오염 이슈, 플라스틱 관련 규제 강화 등으로 대체재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많은 기업과 연구기관들이 친환경 플라스틱 포장재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그러나 환경오염 이슈나 규제 강화에 대한 사회적 움직임에 따른 우리나라의 기술적인 발전은 미비한 상황이며, 시장에서의 친환경 포장재의 사용과 발전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들의 다양한 연구 인프라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패키징의 친환경 포장을 위한 기술 중 접착, 점착 관련 선행 특허문헌으로는, "접착력이 향상된 종이테이프(등록번호 제20-0291406호,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고안의 경우, 접착력이 향상된 종이테이프에 관한것으로 수직의 3롤러 사이의 상하롤러는 울페이퍼 롤러로 이루어지고, 중간롤러는 금속롤러로 가열온도는 100~150로 가열된 상태로 10~15㎏/inch 2으로 기재를 가압하는 가압공정과; 가압공정을 거친 기재를 100~110의 온도에서 15g/㎡±2g/㎡로 물에 녹는 수용 성수지를 도포시키는 전처리공정과; 전처리공정을 거친 기재의 배면에 무용제형 실리콘을 150~170의 온도에서 10~12g/㎡으로 도포시키는 배면처리 공정과; 배면처리공정을 거친 기재의 표면에 50%의 고형분이 포함되고, 점도는 1800±100cps, 도포량은 80g/㎡로 도포시키는 점착제 도포공정과; 도포된 점착제가 기재에 부착되도록 제1챔버에서는 60 제2챔버에서는 80 제3챔버에서는 100 제4챔버에서 는 110로 가열시키는 건조공정과; 건조된 기재를 권취시키는 권취공정으로 이루어져 가압공정에서 종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극을 긴밀하게 되도록 가압시켜 종이의 표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종이 내부로 침투 되면서 표면에 부착된 점착제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종이테이프의 접착력을 상승시키고, 종이를 가압시킴으로써 종이의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내마모성, 신장율 등이 증대되어 종이테이프의 특성을 향상시키며, 종이의 가압으로 인하여 종이 표면의 평활도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재활용이 가능한 수용성 아크릴계 점착제 등을 사용함으로써 재활용시에도 재생이 용이하며,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점착제의 접착력 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또한, "접착력을 향상시킨 종이테이프 제조방법(공개번호 제10-2021-0004291호, 인용발명2라 한다.)"도 존재한다.
인용발명2의 경우, 본 발명은 접착력을 향상시킨 종이테이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수직의 3롤러 사이의 상하롤러는 울페이퍼 롤러로 이루어지고, 중간롤러는 금속롤러로 가열온도는 100~150℃로 가열된 상태로 10~15㎏/inch2으로 기재를 가압하는 압착가공공정과; 압착가공공정을 거친 기재를 물에 녹는 수용성 고분자 수지로 도포시키는 전처리공정과; 전처리공정을 거친 기재의 배면에 무용제형 실리콘을 도포시키는 배면처리공정과; 배면처리공정을 거친 기재의 표면에 점착제를 도포시키는 도포공정과; 도포된 점착제가 기재에 부착되도록 가열시키는 건조공정과; 건조된 기재를 권취시키는 권취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인용발명 2에 따르면, 압착가공공정에서 종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극을 긴밀하게 되도록 가압시켜 종이의 표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종이 내부로 침투되면서 표면에 부착된 점착제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종이테이프의 접착력을 상승시키고, 종이를 가압시킴으로써 종이의 강도가 증가되어 종이 테이프의 내마모성, 신장율 등이 향상되고, 종이 표면의 평활도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키며, 재활용이 가능한 수용성 아크릴계 점착제 등을 사용함으로써 재활용시에도 재생이 용이하며,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점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생분해성 합성수지를 함유한 수해리성 점착제용 조성물 (등록번호 제10-2050731호, 인용발명3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인용발명 3의 경우, 물에 잘 녹는 친환경 점착제용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어류나 해조류로부터 추출된 생분해성 합성수지를 첨가함으로써 종이의 해리성을 높이면서 잔류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생분해성 합성수지를 함유한 수해리성 점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용발명 3에 따른 발명은 점착제용 조성물의 수해리성을 향상시키고, 자연분해 가능한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 접착테이프를 생산할 수 있으며, 물에 녹은 후에 잔류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존 공개된 특허문헌들의 경우, 종이테이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거나 생분해성 수지를 첨가하여 친환경적인 포장 테이프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였으나, 종이 포장테이프는 텐션을 제공하지 못하여 점착의 견고함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수분으로부터 해리 또는 분리되는 것이 문제이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등록번호 제20-0291406호 공개번호 제10-2021-0004291호 등록번호 제10-2050731호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불규칙한 표면의 함침 또는 세미 코팅하여 평활도를 개선하며, 평활도 개선과 함께 표면 텐션 혹은 인장력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외부의 습기 또는 물기에 대하여 보호하며, 접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구간 혹은 영역마다 개별적인 점착력에 차등을 두어 오브젝트로부터의 탈거가 선택적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로 형성되며, 내부에 미리 설정된 섹션을 형성하는 시트 레이어 유닛 (sheet layer unit); 및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의 적어도 일면에 제공되고,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오브젝트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점착되는 어드히시브 유닛(adhesive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의 상호 응집과 적층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 사이에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의 밀착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상기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의 간격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의 상기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 내에 부분 제공되어,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의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smoothness layer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은,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에 형성된 상기 미리 설정된 섹션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포되어,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의 상기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섹션에 따라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에 함침과 도포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은, 상기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 내에 부분 함침과 도포 정도에 따라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의 표면 텐션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은,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에 제공되어,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의 상단에 수분이나 산소 투과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블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은,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이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에 선택적 점착을 통해 이탈 또는 변형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은,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의 상단에 제공되어, 소정의 리퀴드 입자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으로 상기 소정의 리퀴드 입자의 임의 이동을 방지하는 인터셉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은, 복수 개의 스티키 입자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티키 입자 상호 간의 소정의 응집력의 조절을 통하여 상기 오브젝트와의 점착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은,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의 하면에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스티키 입자의 소정의 응집력과 상기 복수 개의 스티키 입자의 적층 두께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경우,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은, 상기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에 따라 상기 응집력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탄성이 제공되지 않는 시트 레이어 유닛의 표면의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를 함침 또는 세미 코팅하여 평활도를 개선하며, 시트 레이어 유닛 표면에 텐션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도록 한다.
둘째, 미리 설정된 구간 혹은 영역마다 개별적인 점착력 유무 혹은 개별적인 점착력의 차등화를 둘 수 있다.
셋째,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이 추가적으로 구비한 텐션에 따라 오브젝트의 표면에 밀착성 있는 접착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넷째, 점착 또는 접착력의 차등화를 통하여 시트 레이어 유닛이 오브젝트로부터 탈거될 때 탈거 진행 방향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과 어드히시브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이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의 응집과 적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의 적층에 따라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 간격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상면에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이 적층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미리 설정된 섹션이 형성되고 미리 설정된 섹션 내에 어드히시브 유닛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표면의 거칠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상면에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이 부분 함침되어 도포되어 시트 레이어 유닛의 평활도가 조절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어드히시브 유닛에 본딩 라인이 형성되어 본딩 라인을 따라 어드히시브 유닛의 점착력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어드히시브 유닛의 스티키 입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어드히시브 유닛에 점착력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하면에 어드히시브 유닛이 본딩 라인을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하면에 어드히시브 유닛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커팅 라인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하면에 어드히시브 유닛이 본딩 라인을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또 다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어드히시부 유닛의 상단에 블로킹부와 인터셉션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점착 구간과 비점착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과 어드히시브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이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의 응집과 적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의 적층에 따라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 간격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상면에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이 적층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미리 설정된 섹션이 형성되고 미리 설정된 섹션 내에 어드히시브 유닛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표면의 거칠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상면에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이 부분 함침되어 도포되어 시트 레이어 유닛의 평활도가 조절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어드히시브 유닛에 본딩 라인이 형성되어 본딩 라인을 따라 어드히시브 유닛의 점착력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어드히시브 유닛의 스티키 입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어드히시브 유닛에 점착력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하면에 어드히시브 유닛이 본딩 라인을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하면에 어드히시브 유닛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커팅 라인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시트 레이어 유닛의 하면에 어드히시브 유닛이 본딩 라인을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또 다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어드히시부 유닛의 상단에 블로킹부와 인터셉션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중 점착 구간과 비점착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은 시트 레이어 유닛(100), 어드히시브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 레이어 유닛(sheet layer unit, 100)의 경우,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fiber particle)(10)로 형성되며, 내부에 미리 설정된 섹션(section)(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어드히시브 유닛(adhesive unit, 200)은,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하면에 제공되고,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하면에 점착력을 제공하여 오브젝트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점착될 수 있다.
파이버 파티클(10)의 경우, 목재, 섬유 식물이 세절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셀룰로오스 등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버 파티클(10)의 장방향의 길고 얇은 파티클로 제공되는데, 이러한 파이버 파티클(10)의 길이와 너비는 다양하게 제공되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레이어 유닛(100)과 어드히시브 유닛(200)은 적층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하면에 어드히시브 유닛(200)이 적층되어진다.
어드히시브 유닛(200)의 경우, 점착력을 제공하는데, 오브젝트와 어드히시브 유닛(200)의 점착력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시트 레이어 유닛(100)은,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10) 사이에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penetrating space, 1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11)는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1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다.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10)은 상호 간의 접촉과 물리적 엉김에 의하여 응집이 일어나게 된다.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11)의 경우, 시트 레이어 유닛(100)에 공기유동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장방향의 길고 얇은 파티클로 제공되는 파이버 파티클(10)은 상호 간의 접촉과 엉김으로 응집된다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버 파티클(10) 사이에는 미세한 공간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파이버 파이클(10)의 응집에 따라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11)의 간격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시트 레이어 유닛(100)은,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10)의 밀착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11)의 간격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버 파티클(10)이 적층됨으로 인하여 파이버 파티클(10)의 밀도가 조절되며, 파이버 파티클(10) 사이에 형성되는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11)의 간격도 조절되어진다.
예컨대, 파이버 파티클(10)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11)의 간격은 좁아질 수 있으며,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1)의 간격은 파이버 파티클(10)의 응집력에 따라 좁아질 수도 있다.
파이버 파티클(10)의 적층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질 수 있으며, 파이버 파티클(10)의 적층은 파이버 파티클(10)의 밀도 증가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은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smoothness layer unit, 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은,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11) 내 부분 함침되어,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11)는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표면에 부분 함침 또는 세미 코팅되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표면은 파이버 파티클(10)이 불규칙하게 제공됨으로 인하여, 표면 거칠기가 임의적으로 형성된다.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은 파이버 파티클(10)이 형성한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표면에 대한 거칠기 부분을 부분 함침 또는 세미 코팅을 통하여 조절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을 통하여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표면의 거칠기가 조절되어 표면에 매끄러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은, 시트 레이어 유닛(100) 상에 형성된 미리 설정된 섹션(1)을 따라 선택적으로 분포되어,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섹션(1)의 경우,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표면에 개념적으로 형성되는 것인데, 미리 설정된 섹션(1)은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의 도포됨에 의하여 개념적으로 육안 관찰이 가능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섹션(1)은 전산화된 처리과정을 통하여 구획하고자 하는 영역이 가상으로 설정되는 것이며,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의 도포 이전 단계에서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리 설정된 섹션(1)의 경우, 시트 레이어 유닛(100) 상에서 형태와 위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레이어 유닛(100) 상에 분할되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은, 미리 설정된 섹션(1)에 따라 시트 레이어 유닛(100)에 함침과 도포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은 선택적으로 함침과 분포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의 경우,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함침과 도포 정도가 조절됨을 통하여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표면의 평활도에 차등을 형성할 수 있다.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의 분포 정도의 경우, 도포에 대한 양의 차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도포의 정도 조절을 통하여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이 적층되는 높이가 조절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은,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11) 내 부분 함침과 도포 정도에 따라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표면 텐션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경우 자체적인 탄성을 제공하지 않는데, 예컨대, 시트 레이어 유닛(100)은 외부의 힘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탄성을 가지지 않으며,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11) 내에 수분이 끼어 들어가는 경우, 파이버 파티클(10)의 분리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은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11) 내에 부분 함침되어지며,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표면에 도포됨을 통하여 시트 레이어 유닛(100)에 표면에 선택적으로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을 통하여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표면에 텐션이 형성되는 경우, 시트 레이어 유닛(100)은 오브젝트의 표면에 밀착성이 있는 형태로 접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300)은 외부의 습기로부터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표면을 보호하게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어드히시브 유닛(200)은, 복수 개의 스티키 입자(20)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스티키 입자(20) 상호 간에 소정의 응집력의 조절을 통하여 오브젝트와의 점착력이 조절될 수 있다.
어드히시브 유닛(200)의 경우, 복수 개의 스티키 입자(20)로 형성되어질 수 있는데, 복수 개의 스티키 입자(20)는 접촉되는 오브젝트에 따라 스티키 입자(20)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변동할 수 있다.
스티키 입자(20)의 상호 간의 이격거리의 변동에 따라 오브젝트의 표면에 접착 또는 점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티키 입자(20)의 경우, 비경화된 상태로 제공되며, 끈끈한 입자들로 이루어진 층이 특정한 부위에 붙어진 후 상호 간의 인력에 의하여 목적하는 물체에 점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키 입자(20)의 상호 간의 인력에 의하여 점착력이 제공되는 것으로, 근본적인 힘의 원리나 물리학적인 내용은 "환경친화형 접착, 점착제의 기술동향(공업화학 전망, 제7권 제4호, 2004)", "점착제의 물성해석과 응용실례(접착 및 계면 제7권 제3호, 2006년)"에 대한 점착 원리에 복속시키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어드히시브 유닛(200)은,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하면에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을 형성하며,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을 따라 복수 개의 스티키 입자(20)의 소정의 응집력과 복수 개의 스티키 입자(20)의 적층 두께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하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이 형성되어지는데,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의 경우 가상의 라인(line)에 해당하는 것으로,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컴퓨터 상의 전산적으로 설정된 라인에 해당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의 경우,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 내에 스티키 입자(20)의 적층을 통하여 개념적으로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티키 입자(20)는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하면에 형성된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 내에 적층되며, 스티키 입자(20)의 적층으로 인하여, 시트 레이어 유닛(100)의 하면은 점착력을 형성할 수 있다.
스티키 입자(20)의 소정의 응집력의 경우, 상호 간의 인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소정의 응집력을 통하여 오브젝트의 표면에 점착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스티키 입자(20)는 적층에 대한 두께의 차이를 독립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 내에서 스티키 입자(20)의 적층이 두껍게 혹은 얇게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어드히시브 유닛(200)은,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에 따라 소정의 응집력이 점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정의 응집력은 스티키 입자(20)의 상호 간의 이격거리에 따른 상호 인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스티키 입자(20)의 적층 두께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키 입자(20)의 상호 간의 이격거리가 점진적으로 형성되도록 함을 통하여 소정의 응집력 즉, 점착력이 점진적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점착력이 점진적으로 형성됨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내에서 점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점착력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 내에서 일정하게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점착력이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 시트 레이어 유닛(100)은 본딩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따라 시트 레이어 유닛(100) 중 일부에 해당하는 본딩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만이 선택적으로 탈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또 하나의 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딩을 형성하지 않는 영역에 커팅 라인(cutting line)라인을 형성하여 오브젝트와의 본딩이 유지된 미리 결정된 본딩 라인(2)내에 영역과 커팅 라인을 따라 이탈되는 시트 레이어 유닛(100)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어드히시브 유닛(200)은, 어드히시브 유닛(200)의 상부에 제공되어, 어드히시브 유닛(200)의 상단에 수분 또는 산소 투과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블로킹(bloking)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드히시브 유닛(200)은, 어드히시브 유닛(200)의 상단에 제공되어, 소정의 리퀴드 입자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시트 레이어 유닛(100)으로 소정의 리퀴드 입자의 임의 이동을 방지하는 인터셉션(interception)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셉션부(220)의 경우, 액체 상태로 제공되며 경화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필름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셉션부(220)의 경우, 블로킹부(210)의 상단에 배치되며, 어드히시브부(230)는 블로킹부(210)의 하단에 배치되어질 수 있다.
어드히시브부(230)는 점착력을 형성하여 오브젝트의 표면과 시트 레이어 유닛(100)이 점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의 어드히시브 유닛(200)은, 시트 레이어 유닛(100)이 오브젝트로부터 분리될 때, 어드히시브 유닛(200)에 선택적 점착을 통해 이탈 또는 변형이 선택적으로 조절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미리 설정된 섹션(section)
2: 본딩 라인(bonding line)
3: 비점착구간
10: 파이버 파티클(fiber particle)
11: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penetrating space)
20: 스티키(sticky) 입자
100: 시트 레이어 유닛(sheet layer unit)
200: 어드히시브 유닛(adhesive unit)
210: 블로킹(blocking)부
220: 인터셉션(interception)부
230: 어드히시브부
300: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smoothness layer unit)

Claims (8)

  1.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로 형성되며, 내부에 미리 설정된 섹션을 형성하는 시트 레이어 유닛 (sheet layer unit); 및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의 적어도 일면에 제공되고,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오브젝트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점착되는 어드히시브 유닛(adhesive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의 상호 응집과 적층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 사이에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파이버 파티클의 밀착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상기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의 간격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의 상기 페너트레이팅 스페이스 내에 부분 제공되어,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의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smoothness layer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은,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에 형성된 상기 미리 설정된 섹션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포되어,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의 상기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무스니스 레이어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섹션에 따라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에 함침과 도포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은,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에 제공되어,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에 제공되어, 수분이나 산소 투과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블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은,
    상기 시트 레이어 유닛이 상기 오브젝트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어드히시브 유닛에 선택적 점착을 통해 이탈 또는 변형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평활도를 선택적으로 개선하여 선택적 영역의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레이어 시스템.
KR1020220018576A 2022-01-14 2022-02-14 시트의 표면 평활도를 개선하여 표면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KR102588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862 2022-01-14
KR20220005862 2022-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133A true KR20230110133A (ko) 2023-07-21
KR102588227B1 KR102588227B1 (ko) 2023-10-12

Family

ID=8743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576A KR102588227B1 (ko) 2022-01-14 2022-02-14 시트의 표면 평활도를 개선하여 표면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22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408A (ko) * 1996-07-26 1998-04-30 사이카와 켄조오 점착테이프용 기포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테이프
KR200291406Y1 (ko) 2002-04-16 2002-10-09 (주)영진테이프 접착력이 향상된 종이테이프
JP2013166808A (ja) * 2012-02-14 2013-08-29 Kikui-Shokai Co 再剥離性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80125103A (ko) * 2017-05-12 2018-11-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수분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전기전도성 감압성 점착 테이프
KR102050731B1 (ko) 2019-05-21 2019-12-02 주훈석 생분해성 합성수지를 함유한 수해리성 점착제용 조성물
KR20210004291A (ko) 2019-07-04 2021-01-13 홍윤기 접착력을 향상시킨 종이테이프 제조방법
KR102263434B1 (ko) * 2020-08-27 2021-06-10 라이프앤어스 주식회사 필기성 및 재활용성이 우수한 포장용 종이 테이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408A (ko) * 1996-07-26 1998-04-30 사이카와 켄조오 점착테이프용 기포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테이프
KR200291406Y1 (ko) 2002-04-16 2002-10-09 (주)영진테이프 접착력이 향상된 종이테이프
JP2013166808A (ja) * 2012-02-14 2013-08-29 Kikui-Shokai Co 再剥離性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80125103A (ko) * 2017-05-12 2018-11-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수분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전기전도성 감압성 점착 테이프
KR102050731B1 (ko) 2019-05-21 2019-12-02 주훈석 생분해성 합성수지를 함유한 수해리성 점착제용 조성물
KR20210004291A (ko) 2019-07-04 2021-01-13 홍윤기 접착력을 향상시킨 종이테이프 제조방법
KR102263434B1 (ko) * 2020-08-27 2021-06-10 라이프앤어스 주식회사 필기성 및 재활용성이 우수한 포장용 종이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227B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3508B2 (ja) 構造的紙剥離ライナ、接着剤付き物品組み立て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45319B1 (ko) 재배치성 감압성 접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3756406B2 (ja) 化粧材
US4220490A (en) Method of making a laminate with removable scored paper backing
US20190376292A1 (en) Lightweight roofing shing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1990015673A1 (en) A laminar impressor for coating flat substrates
JP4255943B2 (ja) 化粧材
US3615992A (en) Method of producing adhesive products
KR20230110133A (ko) 시트의 표면 평활도를 개선하여 표면 텐션을 강화하는 시트
CA1130716A (en) Laminate with removable scored paper backing
CA2890617C (en) Method for treating a panel of wood-based material and building panel with a core of wood-based material
KR101146145B1 (ko) 표면에 글씨가 잘 써지는 친환경 크라프트 테이프
US3502207A (en) Flocked protective coverings
JP2006137196A (ja) 化粧材
KR102316616B1 (ko) 개선된 포일 내구성을 지닌 보안 문서
US20130276965A1 (en) Decorative stainless steel rolled sheet with embossed patter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108833B2 (ja) 化粧材の製造法
WO2023234177A1 (ja) 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292852B2 (ja) 層間剥離可能なフィルム
JP3546485B2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3089943A (ja) 剥離紙、その製造方法、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2006749A (ja) 自己剥離性ラベル用粘着紙、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粘着紙を用いたラベル
KR200427164Y1 (ko) 재생성 방수 및 방습지
CN108481946A (zh) 一种全息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JP2020086260A (ja) アテンションラベル、アテンションラベルシート及びアテンションラベル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