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256A - 광학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256A
KR20230107256A KR1020237017018A KR20237017018A KR20230107256A KR 20230107256 A KR20230107256 A KR 20230107256A KR 1020237017018 A KR1020237017018 A KR 1020237017018A KR 20237017018 A KR20237017018 A KR 20237017018A KR 20230107256 A KR20230107256 A KR 20230107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tical film
polycarbonate
less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히로 마쓰모토
마사히로 요시자와
마사키 구스하라
기요히로 스기하라
Original Assignee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07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연신 배율이 높은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연신 배율 2.5배 이상)과 용이접착층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 벗겨지기 어려운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필름과, 수지 필름의 한쪽 표면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용이접착층을 갖는 광학 필름이며, 용이접착층은,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포함하고,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Description

광학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필름과, 그의 한쪽 표면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용이접착층을 갖는 광학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당해 광학 필름을 구비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유기 전기발광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등의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에서는 보호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등에, 각종의 수지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은, 내열성이 높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함과 함께, 저광탄성 계수이기 때문에 복굴절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광학 특성도 우수한 소재인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있다.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은, 극성기가 없거나, 혹은 극성기가 극히 적은 비극성인 필름이기 때문에, 밀착성이 부족해서, 용이접착층 등의 피복층을 적층하고, 피복층을 개재시켜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 첩합(貼合)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신 필름 상에 건조 상태에서의 단체(單體) 피막 신도가 300%∼1000%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으로 이루어지는 용이접착층을 마련한 복층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와 높은 박리 강도로 접착되는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수지 필름 상에 유리 전이 온도(Tg)가 -16℃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으로 이루어지는 용이접착층을 마련한 광학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9-116640 WO2018/079627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 상에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으로 이루어지는 용이접착층을 형성한 바, 연신 배율이 높은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연신 배율 2.5배 이상)에 있어서는, 상기의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으로 이루어지는 용이접착층이더라도,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과 용이접착층의 밀착성이 부족하여,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과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의 박리가 생기기 쉽다는 과제가 있는 것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연신 배율이 높은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연신 배율 2.5배 이상)과 용이접착층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 벗겨지기 어려운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연신 배율이 높은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할 수 있는 용이접착층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 150℃ 이하인 분자 구조에 카보네이트 골격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으로 이루어지는 용이접착층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연신 배율이 2.5배 이상인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이더라도 용이접착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1)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필름과, 상기 수지 필름의 한쪽 표면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용이접착층을 갖는 광학 필름이며, 상기 용이접착층은,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이 제공되고,
(2) 상기 수지 필름은, 연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광학 필름이 제공되고,
(3) 상기 연신 필름은, 연신 배율이 면적비로 2.5배 이상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광학 필름이 제공되고,
(4)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영률이 570MPa 이상 1300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이 제공되고,
(5)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파단 신도가 3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이 제공되고,
(6)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산가가 25mgKOH/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이 제공되고,
(7)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상기 수지 필름과 상기 용이접착층의 박리 강도가 2.0N/2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이 제공되고,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과, 접착제층과, 편광자가, 상기 용이접착층이 상기 접착제층에 접하도록 하고,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이 제공되고,
(9) (8)에 기재된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되며,
(10) 수계 용매와,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막을 건조하여 용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용이접착층을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분자 구조에 카보네이트 골격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연신 배율이 높은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연신 배율 2.5배 이상)이더라도,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과 용이접착층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형태로 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의 개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필름의 한쪽 표면에,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용이접착층을 갖는다.
[수지 필름]
수지 필름은,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주성분」이란,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성분 중, 구성 비율이 50중량% 이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5중량% 이상이다.
수지 필름은, 연신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실시되어 있지 않아도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연신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처리는,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연신 배율은 면적비로 2.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수지 필름을 연신한 경우, 연신에 의한 수지 중의 중합체 분자의 배향에 의해, 연신 전에 랜덤한 방향을 향하고 있던 중합체 분자의 극성기가 필름 표면의 평행한 면에 배열된다. 특히,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 등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에서는, 벌키한 지환식 구조의 배열에 의해 극성기가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용이접착층을 형성하는 폴리유레테인 등의 극성기와의 액세스빌리티가 부족해서, 밀착성의 저하를 야기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 밀착성의 저하는, 고연신(연신 배율 2.5배 이상)일수록 현저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서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용이접착층에 의해 높은 밀착성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이 연신 처리가 실시된 수지 필름(연신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구비하는 것은, 해결이 곤란했던 종래의 과제를 유효하게 해결할 수 있는 태양이며, 본 발명의 효과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중합체의 구조 단위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이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주쇄에 지환식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측쇄에 지환식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주쇄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포화 지환식 탄화수소(사이클로알케인) 구조, 불포화 지환식 탄화수소(사이클로알켄, 사이클로알킨)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면 기계 강도,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사이클로알케인 구조 및 사이클로알켄 구조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사이클로알케인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는, 하나의 지환식 구조당,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개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의 범위이다. 지환식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를 이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당해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의 기계 강도, 내열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에 있어서, 지환식 구조를 갖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에 있어서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에 있어서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구조 단위의 비율이 이 범위에 있으면, 당해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의 투명성 및 내열성이 양호해진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 중에서도,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는, 사이클로올레핀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구조를 갖는 중합체이다. 또한, 사이클로올레핀 단량체는, 탄소 원자로 형성되는 환 구조를 갖고, 또한 해당 환 구조 중에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개환 중합 등의 중합 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로올레핀 단량체의 환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단환, 다환, 축합 다환, 가교결합된 환 및 이들을 조합한 다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유전 특성 및 내열성 등의 특성을 고도로 균형시키는 관점에서, 다환의 사이클로올레핀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노보넨계 중합체, 단환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환상 공액 다이엔계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노보넨계 중합체는,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특히 적합하다.
노보넨계 중합체의 예로서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 및 그의 수소 첨가물;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및 그의 수소 첨가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의 예로서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1종류의 단량체의 개환 단독중합체, 노보넨 구조를 갖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 및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 및 이것과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추가로,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의 예로서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1종류의 단량체의 부가 단독중합체, 노보넨 구조를 갖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 및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 및 이것과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은, 성형성, 내열성, 저흡습성, 치수 안정성,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특히 적합하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바이사이클로[2.2.1]헵트-2-엔(관용명: 노보넨), 트라이사이클로[4.3.0.12,5]데카-3,7-다이엔(관용명: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7,8-벤조트라이사이클로[4.3.0.0.12,5]데카-3-엔(관용명: 메타노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렌), 테트라사이클로[4.4.0.12,5.17,10]도데카-3-엔(관용명: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 및 이들 화합물의 유도체(예를 들면, 환에 치환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기, 알킬렌기, 극성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치환기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복수개가 환에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극성기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를 갖는 원자단 등을 들 수 있다. 헤테로 원자로서는, 예를 들면,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규소 원자, 할로젠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극성기의 구체예로서는, 카복실기, 카보닐기, 옥시카보닐기, 에폭시기, 하이드록실기, 옥시기, 에스터기, 실란올기, 실릴기, 아미노기, 나이트릴기, 설폰산기 등을 들 수 있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개환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헵텐, 사이클로옥텐 등의 모노 환상 올레핀류 및 그의 유도체; 사이클로헥사다이엔, 사이클로헵타다이엔 등의 환상 공액 다이엔 및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개환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는, 예를 들면, 단량체를 개환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 중합 또는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부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등의 탄소 원자수 2∼20의 α-올레핀 및 이들의 유도체; 사이클로뷰텐,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등의 사이클로올레핀 및 이들의 유도체; 1,4-헥사다이엔, 4-메틸-1,4-헥사다이엔, 5-메틸-1,4-헥사다이엔 등의 비공액 다이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부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는, 예를 들면, 단량체를 부가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 중합 또는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개환 중합체 및 부가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은, 예를 들면, 개환 중합체 및 부가 중합체의 용액에 있어서, 니켈, 팔라듐 등의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수소 첨가 촉매의 존재하에서,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수소 첨가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노보넨계 중합체 중에서도, 구조 단위로서, X: 바이사이클로[3.3.0]옥테인-2,4-다이일-에틸렌 구조와, Y: 트라이사이클로[4.3.0.12,5]데케인-7,9-다이일-에틸렌 구조를 갖고, 이들 구조 단위의 양이, 노보넨계 중합체의 구조 단위 전체에 대해서 90중량% 이상이고, 또한 X의 비율과 Y의 비율의 비가, X:Y의 중량비로 100:0∼4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합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당해 노보넨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을, 장기적으로 치수 변화가 없고, 광학 특성의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단환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헵텐, 사이클로옥텐 등의 단환을 갖는 환상 올레핀계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환상 공액 다이엔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1,3-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공액 다이엔계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를 환화 반응하여 얻어지는 중합체; 사이클로펜타다이엔, 사이클로헥사다이엔 등의 환상 공액 다이엔계 모노머의 1,2- 또는 1,4-부가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통상 3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5,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 이하이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용이접착층에 의해 수지 필름의 응집 파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광학 필름과 편광자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수지 필름의 기계적 강도 및 성형 가공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상기 범위에 들어가게 하는 것에 의해, 광학 필름의 응집력, 기계적 강도 및 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9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연신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 이외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 이외의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에터설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다른 수지 성분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0∼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20중량%이다.
수지 필름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의 첨가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가소제; 형광 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미립자;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첨가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5중량%이다.
수지 필름의 1mm 두께 환산으로의 전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전광선 투과율은, JIS K0115에 준거하고, 분광 광도계(니혼 분광사제,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V-57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의 1mm 두께 환산으로의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0.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이다. 헤이즈를 상기 범위 내에 들어가게 하는 것에 의해, 광학 필름을 편광자와 첩합한 경우에, 편광 해소를 방지할 수 있다. 헤이즈는, JIS K7361-1997에 준거하고, 닛폰 덴쇼쿠 공업사제 「탁도계 NDH-300A」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μ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μ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μm 이하이다. 수지 필름의 두께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수지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수지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용이접착층]
용이접착층은,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이와 같은 특성을 만족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에 의해, 고연신(연신 배율 2.5배 이상)된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필름이더라도 밀착성이 우수하여,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이 이유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유리 전이 온도(Tg)가 상기 범위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밀착성에 기여하는 하드 세그먼트(결정성 부분)의 비율이 비교적 많아, 항장력(인장에 의해 재료 파괴하는 장력)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유레테인은, 카보닐기 등의 극성기가 중합체의 주쇄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의 극성기와 상호 작용을 얻기 쉬워, 높은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한편, 폴리에스터계 폴리유레테인 등도 카보닐기 등의 극성기를 중합체 중에 갖지만, 폴리에스터계 폴리유레테인은 카보닐기의 탄소의 옆에 탄화수소를 갖기 때문에 벌키하여,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과 비교해서 수지 필름의 극성기와 상호 작용을 얻기 어려운 것이라고 추측된다.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100℃ 이상 150℃ 이하이다. 유리 전이 온도(Tg)는, 115℃ 이상 1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 이상 1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0℃ 이상 14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Tg)가 상기 범위이면, 고연신(연신 배율 2.5배 이상)된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유리 전이 온도(Tg)는,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유리 전이 온도(Tg)를 측정하는 경우,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의 수분산체를 고형분 30중량%가 되도록 조제하고, 건조 후의 폴리유레테인의 막 두께가 약 300μm가 되도록 샬레 등의 용기에 나누어 담아, 실온에서 15시간 건조 후, 80℃에서 6시간, 추가로 120℃에서 20분간 건조시켜 제작한 폴리유레테인 필름을,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제 「DMA7100」)를 이용하여 동적 점탄성을 측정하고, 동적 점탄성에 있어서의 손실 탄성률(E")이 극대가 되었을 때의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Tg)로 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건조 피막의 영률이 570MPa 이상 13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영률은, 580MPa 이상 1000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90MPa 이상 850MPa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600MPa 이상 800MPa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영률이 상기 범위이면, 고연신(연신 배율 2.5배 이상)된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영률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먼저,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의 수분산체를 고형분 30중량%가 되도록 조제하고, 건조 후의 유레테인 수지의 막 두께가 약 300μm가 되도록 샬레 등의 용기에 나누어 담아, 실온에서 15시간 건조 후, 80℃에서 6시간, 추가로 120℃에서 20분간 건조시켜, 폴리유레테인 필름을 제작한다. 이어서, 이 폴리유레테인 필름을 15mm×18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샘플을 잘라낸 후, 당해 샘플을, JIS K 7127에 준거하고, 인장 속도 5mm/분, 척간 거리를 50m로 하여 측정한다. 측정 온도는 23℃이다.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건조 피막의 파단 신도가 3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단 신도는, 200%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미만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50%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의 파단 신도가 상기 범위이면, 고연신(연신 배율 2.5배 이상)된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파단 신도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먼저,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의 수분산체를 고형분 30중량%가 되도록 조제하고, 건조 후의 유레테인 수지의 막 두께가 약 300μm가 되도록 샬레 등의 용기에 나누어 담아, 실온에서 15시간 건조 후, 80℃에서 6시간, 추가로 120℃에서 20분간 건조시켜, 폴리유레테인 필름을 제작한다. 이어서, 이 폴리유레테인 필름을 15mm×18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샘플을 잘라낸 후, 중앙부에 20mm의 간격으로 표점을 기재한 샘플을 작성한다. 그리고, 당해 샘플을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여, 척간 거리 50mm로 하고, 인장 속도 5mm/분의 속도로 파단될 때까지 측정하여, 하기의 계산 방법에 의해 산출한다. 측정 온도는 23℃이다.
파단 신도(%)=((파단 시의 표점간 거리-시험 전의 표점간 거리)/(시험 전의 표점간 거리))×100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분자 구조에 카보네이트 골격을 갖는 폴리유레테인이며, 1분자 중에 평균 2개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과, 1분자 중에 평균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유레테인이다.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예를 들면, 아이소사이아네이트에 대해서 불활성으로, 물과 상용하는 유기 용제 중에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반응시켜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말단 프리폴리머를 형성한 후, 유리된 카복실기를 갖는 쇄신장제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선상 유레테인 프리폴리머를, 중화제의 존재하 수중에서, 물로 쇄신장시킴과 동시에 수성화하여 얻을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수성화란, 수지를 수중에 안정하게 분산 혹은 유화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분자 중에 카복실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복실기를 갖는 것에 의해, 고연신(연신 배율 2.5배 이상)된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식 HO-R-(O-C(O)-O-R)X-OH(단, 식 중, R은 탄소 원자수 1∼12의 포화 지방산 폴리올 잔기를 나타낸다. 또한, X는 분자의 구조 단위의 수를 나타내고, 통상 5∼50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은, 예를 들면, 포화 지방족 폴리올과 치환 카보네이트를, 수산기가 과잉된 조건에서 반응시키는 에스터 교환법; 포화 지방족 폴리올과 포스젠을 반응시키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그 후 추가로 포화 지방족 폴리올을 반응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때, 치환 카보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 다이에틸, 다이페닐 카보네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지환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및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탄소 원자수 1∼12의 지방족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2,4-트라이메틸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HDI)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탄소 원자수 4∼18의 지환식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4-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메틸사이클로헥실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IPDI), 다이사이클로헥실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HMDI)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방향족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TDI), 4,4'-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유리된 카복실기를 갖는 쇄신장제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하이드록시카복실산, 다이하이드록시석신산 등을 들 수 있다. 다이하이드록시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메틸올알칸산(예를 들면, 다이메틸올아세트산, 다이메틸올뷰탄산, 다이메틸올프로피온산, 다이메틸올뷰티르산, 다이메틸올펜탄산) 등의 다이알킬올알칸산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중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N-메틸모폴린, 트라이에틸아민, 다이메틸에탄올아민, 메틸다이에탄올아민, 트라이에탄올아민, 모폴린, 트라이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트라이아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추가로, 다른 사용 가능한 쇄신장제로서는, 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1,4-뷰테인다이올, 네오펜틸 글라이콜, 퓨란다이메탄올,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트라이에틸렌 글라이콜, 테트라에틸렌 글라이콜 등의 저분자량 다이올 화합물 및 이들에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부가 중합시킨 폴리에터 다이올 화합물; 상기 저분자량 다이올 화합물과 (무수) 석신산, 아디프산, (무수) 프탈산 등의 다이카복실산 및 이들의 무수물로부터 얻어지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터 다이올; 트라이메틸올에테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등의 다가 알코올; 모노에탄올아민, 다이에탄올아민, 트라이에탄올아민 등의 아미노알코올; 에틸렌다이아민, 프로필렌다이아민, 뷰틸렌다이아민, 헥사메틸렌다이아민, 페닐렌다이아민, 톨루엔다이아민, 자일렌다이아민, 아이소포론다이아민 등의 다이아민 화합물; 물, 암모니아, 하이드라진, 이염기산 하이드라자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의 산가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25mgKOH/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가는, 5mgKOH/g 이상 20mgKOH/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mgKOH/g 이상 20mgKOH/g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산가가 상기 범위이면, 고연신(연신 배율 2.5배 이상)된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의 수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5,000 이상 1,0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상 60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00 이상 400,0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수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이면, 고연신(연신 배율 2.5배 이상)된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용이접착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 이외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 이외의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에스터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유레테인,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에터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유레테인,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에터·에스터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유레테인,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아크릴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유레테인,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아크릴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용이접착층은, 고온 고습하에 있어서의 내습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교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가교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가교제를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요소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실란올 화합물,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고형분 환산으로,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0.1∼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5∼3중량부이다. 한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 이외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다른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가교제를 배합하면 된다.
용이접착층은, 기능에 맞추어 임의의 적절한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수분산성의 미립자이다. 미립자로서는, 무기계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타이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 산화물, 탄산 칼슘, 탤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 칼슘, 수화 규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규산 마그네슘, 인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계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메트)아크릴로나이트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실리카계 미립자는, 블로킹 억제능이 우수하고, 또한 투명성이 우수하여, 헤이즈를 일으키지 않고, 착색도 없으므로, 용이접착층이 광학 특성에 주는 영향이 보다 작다.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용이접착층의 투명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350nm, 더 바람직하게는 100∼300nm이다. 이와 같은 입자경의 미립자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용이접착층 표면에 적절히 요철을 형성하여, 수지 필름과 용이접착층 및/또는 용이접착층끼리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어,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미립자의 함유량은, 고형분 환산으로,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0.1∼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5∼3중량부이다. 한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 이외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다른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미립자를 배합하면 된다.
용이접착층은,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분산 안정제, 요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포제, 증점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촉매, 활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용이접착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0.05μm 이상 1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μm 이상 5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μm 이상 3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0.3μm 이상 1.5μ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용이접착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밀착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광학 필름]
도 1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광학 필름(1)은,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필름(2)의 한쪽 표면에,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용이접착층(3)을 갖는다. 수지 필름(2) 및 용이접착층(3)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한편, 용이접착층(3)은 수지 필름(2)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수지 필름(2)의 쌍방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광학 필름은, 광학 부재로서의 기능을 안정되게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선 투과율은, JIS K0115에 준거하고, 분광 광도계(니혼 분광사제,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V-57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의 헤이즈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헤이즈는, JIS K7361-1997에 준거하고, 닛폰 덴쇼쿠 공업사제 「탁도계 NDH-300A」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및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는, 광학 필름의 용도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면내 리타데이션 Re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50nm 이상 200nm 이하이다. 또한, 구체적인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는, 바람직하게는 50nm 이상 300nm 이하이다.
광학 필름은 수지 필름과 용이접착층의 박리 강도가 2.0N/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강도는 2.5N/2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N/25m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박리 강도가 상기 범위이면, 광학 필름이 편광자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 높은 박리 강도로 접착되기 때문에, 실용면에 있어서 광학 필름과 편광자를 접착제를 개재시켜 접착한 편광판 등을 터치 패널 등에 조립했을 때에 광학 필름과 편광자가 박리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박리 강도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먼저, 광학 필름의 용이접착층 측에,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접착제 조성물(미쓰비시 케미컬 주식회사제 「고센엑스(등록상표) Z-200」)을 도포하고, 당해 접착제 조성물을 개재시켜 두께 60μm의 아이오딘계 편광자와 적층한 후, 열풍 건조기(80℃)에 투입해서 10분 건조하여, 편광자와 첩합한 적층체를 제작한다. 이어서, 당해 적층체로부터 25mm×250mm의 치수의 샘플편을 잘라내고, 광학 필름의 표면에 점착 가공을 실시하여, 유리판에 첩부한다. 그리고, 적층체의 편광자를 잡고, 일본 접착제 공업 규격 JAI 13-1996의 부동 롤러법에 준하여, 90도에서의 박리 강도를 측정한다.
광학 필름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8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μ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5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μ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μm 이하이다. 광학 필름의 총 두께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광학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광학 필름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용이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과 반대 측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의 기능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능층은, 예를 들면, 대전 방지층, 점접착제층, 접착층, 용이접착층, 방현(논글레어)층, 광촉매층 등의 방오층, 반사 방지층, 하드 코팅층, 자외선 차폐층, 열선 차폐층, 전자파 차폐층, 가스 배리어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예를 들면, 편광자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광확산 필름,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방현 필름, 휘도 향상 필름, 터치 패널용 도전 필름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광학적으로 등방인 필름이어도 되고, 광학적으로 이방성을 갖는(예를 들면, 위상차와 같은 복굴절을 발현하는) 필름이어도 된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수계 용매와,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도막을 건조 혹은 경화시켜 용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하기의 제 1 제조 방법 또는 제 2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광학 필름의 제 1 제조 방법은, 수계 용매와,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도막을 건조 혹은 경화시켜 용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얻는 공정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 1 제조 방법에서는,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을 행한다.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은, 연신 처리가 실시되는 것에 의해 연신 필름이 되는 원반 필름이며,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제한은 없다.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용융 성형법 및 용액 유연법 등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를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용융 성형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융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압출 성형법, 및 프레스 성형법, 사출 성형법, 블로 성형법 및 연신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도, 기계 강도 및 표면 정밀도가 우수한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압출 성형법이 바람직하다.
도막이 형성되는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의 면에는, 수지 필름과 용이접착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표면 개질 처리에서는, 통상, 처리된 면의 친수성을 향상시켜, 그 면의 평균 수접촉각, 및 수접촉각의 표준 편차를 원하는 범위로 한다. 원하는 평균 수접촉각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2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5°, 더 바람직하게는 20°∼50°이다. 또한, 원하는 수접촉각의 표준 편차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0.01°∼5°이다. 표면 개질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에너지선 조사 처리 및 약품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에너지선 조사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전자선 조사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처리 효율의 점 등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 및 플라즈마 처리가 바람직하고, 코로나 방전 처리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약품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비누화 처리, 및 중크로뮴산 칼륨 용액 및 농황산 등의 산화제 수용액 중에 필름을 침지하고, 그 후, 물로 세정하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제조 방법에서는, 수계 용매와,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행한다. 연신 전의 수지 필름에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포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와이어 바 코팅법, 딥법, 스프레이법, 스핀 코팅법, 롤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커튼 코팅법, 슬라이드 코팅법, 익스트루전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제조 방법에서는,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의 면에 도막을 형성한 후, 이 도막을 건조 혹은 경화시켜, 용이접착층을 얻는 공정을 행한다. 통상은, 도포액에 포함되는 용매를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도막을 경화시킨다. 이때, 도막에 있어서 가교 반응 등의 반응을 신속하게 진행시키는 관점에서,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은, 가공 반응 등의 원하는 반응이 진행되는 범위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제 1 제조 방법에서는,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의 표면에 용이접착층을 형성한 후에 있어서,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얻는 공정을 행한다. 연신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롤 사이의 주속(周速)의 차를 이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1축 연신하는 방법(종 1축 연신); 텐터를 이용하여 폭 방향으로 1축 연신하는 방법(횡 1축 연신); 종 1축 연신과 횡 1축 연신을 차례로 행하는 방법(축차 2축 연신); 종 연신과 횡 연신을 동시에 행하는 방법(동시 2축 연신); 연신 전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경사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경사 방향」이란, 연신 전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평행도 아니고, 수직도 아닌 방향을 의미한다.
연신 시의 수지 필름 온도는, 연신 필름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T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Tg+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Tg+8℃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Tg+3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g+3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Tg+25℃ 이하이다. 연신 시의 수지 필름 온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연신 필름층에 있어서 과대한 리타데이션이 발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연신 필름층과 용이접착층의 계면에서의 밀착성을 양화(良化)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연신 필름층의 막 두께 정밀도가 양화되어, 연신 필름층의 전체면에 균일한 리타데이션을 안정되게 발현시킬 수 있다.
연신 시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배 이하이다. 여기에서, 연신을 2회 이상의 공정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각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의 곱이, 상기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연신 필름의 막 두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연신 필름의 전체면에 균일한 리타데이션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용이접착층의 두께 불균일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광학 필름의 밀착성의 면내에서의 격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제 1 제조 방법에서는, 도막을 건조 혹은 경화시켜 용이접착층을 얻는 공정과,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얻는 공정은, 어느 공정을 먼저 행해도 되고, 양 공정을 동시에 행해도 된다. 연신 필름과 용이접착층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도막을 건조 혹은 경화시켜 용이접착층을 얻는 공정과,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얻는 공정은, 동시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양 공정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 통상은,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을 연신할 때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도막이 가열되어, 도포액의 층의 건조 혹은 경화가 진행된다. 전술한 공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연신 필름과, 당해 연신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마련된 용이접착층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이 얻어진다.
광학 필름의 제조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광학 필름은 장척의 필름으로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을 장척의 필름으로서 제조하는 경우, 장척의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을 준비하고, 이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당해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의 면에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건조 혹은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용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장척의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이 연신 장치에 공급되기 직전에,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의 면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연신 장치의 예열 존 및 연신 존에 있어서 도막의 건조 및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의 연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광학 필름의 제 2 제조 방법은, 수계 용매와,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도막을 건조 혹은 경화시켜 용이접착층을 얻는 공정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 2 제조 방법에서는, 연신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을 행한다. 연신 필름은, 제 1 제조 방법의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준비한 연신 전의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막이 형성되는 연신 필름의 면에는, 연신 필름과 용이접착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의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이어서, 수계 용매와,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연신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행한다. 도포법으로서는, 상기의 도포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 후, 연신 필름의 면에 형성된 도포액의 층을 건조 혹은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접착층을 얻는다. 이때, 통상은, 도포액에 포함되는 용매를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도막을 경화시킨다. 이 경화 시,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제 2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도막은 이미 연신에 의해 발현된 리타데이션을 갖는 연신 필름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용이접착층을 경화시킬 때의 온도는, 연신 필름이 갖는 리타데이션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필름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를 기준으로 하여, 도막을 건조 혹은 경화시킬 때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Tg-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Tg-4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Tg+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g+10℃) 이하이다. 이와 같은 온도로 하는 것에 의해, 연신 필름에 있어서 배향 완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리타데이션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공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연신 필름과, 당해 연신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마련된 용이접착층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이 얻어진다. 제 1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 2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광학 필름의 제조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광학 필름은 장척의 필름으로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학 부재의 일례로서, 편광판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 부재의 일례인 편광판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편광판(10)은,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필름(2)의 한쪽 표면에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용이접착층(3)을 갖는 광학 필름(4)의 용이접착층 측의 표면에 접착제(5)를 개재시켜, 편광자(6)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시하지 않지만, 편광판은, 편광자의 광학 필름과 반대 측에, 접착제층을 개재시켜 적층된 다른 편광자 보호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편광판은,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필름의 표면에 용이접착층을 갖는 광학 필름의 용이접착층 표면에 접착제층을 개재시켜 편광자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당해 광학 필름에 형성된 용이접착층은, 용이접착층의 강도 및 용이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편광자와 광학 필름의 밀착성이 우수한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편광자로서는,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 부분 폼알화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아이오딘이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것, 폴리바이닐 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 바이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필름에 아이오딘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편광자가, 편광 2색비가 높아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80μm 정도이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를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은,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구비한다. 화상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서는, 전기발광(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와 같은 자발광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LCD)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LCD)는, 액정 셀과, 당해 액정 셀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된 상기 편광판을 갖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료로서는 하기의 것을 이용했다. 또한, 수분산성 유레테인 수지의 특성치에 대하여 유리 전이 온도, 영률을 표 1에 기재한다.
<수분산성 유레테인 수지>
· 수분산성 유레테인 수지의 에멀션(1)[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 고형분 30중량%]
· 수분산성 유레테인 수지의 에멀션(2)[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제, 슈퍼플렉스(등록상표) 420, 고형분 32중량%]
· 수분산성 유레테인 수지의 에멀션(3)[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제, 슈퍼플렉스(등록상표) 420NS, 고형분 32중량%]
· 수분산성 유레테인 수지의 에멀션(4)[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제, 슈퍼플렉스(등록상표) 460, 고형분 38중량%]
· 수분산성 유레테인 수지의 에멀션(5)[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제, 슈퍼플렉스(등록상표) 460NS, 고형분 38중량%]
· 수분산성 유레테인 수지의 에멀션(6)[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제, 슈퍼플렉스(등록상표) 470, 고형분 38중량%]
· 수분산성 유레테인 수지의 에멀션(7)[폴리에스터계 폴리유레테인,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제, 슈퍼플렉스(등록상표) 210, 고형분 35중량%]
· 수분산성 유레테인 수지의 에멀션(8)[폴리에터계 폴리유레테인,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제, 슈퍼플렉스(등록상표) 870, 고형분 30중량%]
Figure pct00001
(용이접착 조성물의 제조)
표 1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이온 교환수를 사용해서 고형분량은 8중량%가 되도록 조제하여, 용이접착 조성물(1) 내지 (8)을 제조했다.
(실시예 1)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 A[유리 전이 온도: 120℃, 두께: 115μm]의 한쪽 표면에, 상기에서 얻어진 용이접착 조성물(1)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열풍 건조기에 투입해서 100℃에서 90초간 건조하여, 두께 115μm의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 A의 표면에 두께 0.3μm의 용이접착층을 갖는 광학 필름을 제조했다.
(실시예 2)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 A[유리 전이 온도: 120℃, 두께: 115μm]를 테이블 연신기를 이용하여 표 2에 나타내는 연신 배율로 횡 1축 연신하여 연신 필름으로 하고, 당해 연신 필름의 한쪽 표면에, 상기에서 얻어진 용이접착 조성물(1)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열풍 건조기에 투입해서 100℃에서 90초간 건조하여, 연신된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의 표면에 두께 0.3μm의 용이접착층을 갖는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3 및 4)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 A[유리 전이 온도: 120℃, 두께: 115μm]의 연신 배율을 표 2에 나타내는 연신 배율로 변경한 것 이외에,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5)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 B[유리 전이 온도: 135℃, 두께: 125μm]를 이용하여 표 2에 나타내는 연신 배율로 변경한 것 이외에,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1 내지 7)
표 2에 나타내는 용이접착 조성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비교예 8)
표 2에 나타내는 용이접착 조성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박리 강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의 용이접착층 측에, 폴리바이닐 알코올계 접착제 조성물(미쓰비시 케미컬 주식회사제, 「고센엑스(등록상표) Z-200」)을 도포하고, 당해 접착제 조성물을 개재시켜 두께 60μm의 아이오딘계 편광자와 적층한 후, 열풍 건조기(80℃)에 투입해서 10분 건조하여, 편광자와 첩합한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25mm×250mm의 치수의 샘플편을 잘라내고, 광학 필름의 표면에 점착 가공을 실시하여, 유리판에 첩부했다. 그 후, 적층체의 편광자를 잡고, 일본 접착제 공업 규격 JAI 13-1996의 부동 롤러법에 준하여, 90도에서의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한편, 박리 강도의 단위를 (N/25mm)로서 나타냈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 상에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용이접착층을 갖는 실시예 1 내지 5의 광학 필름은,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과 용이접착층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편광자와의 박리 강도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5의 광학 필름은,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용이접착층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고연신된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이더라도 용이접착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편광자와의 박리 강도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미만인 폴리유레테인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용이접착층을 갖는 비교예 1 내지 7의 광학 필름은,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과 용이접착층의 밀착성이 부족하여, 편광자와의 박리 강도가 부족한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비교예 7과 비교예 8은, 기재에 있어서 연신 처리가 실시된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인지, 미연신된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인지에서 상이하지만, 연신 처리가 실시된 사이클로올레핀계 필름이 용이접착층과의 밀착성이 뒤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1: 광학 필름
2: 수지 필름
3: 용이접착층
4: 광학 필름
5: 접착제층
6: 편광자
10: 편광판

Claims (10)

  1.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필름과, 상기 수지 필름의 한쪽 표면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용이접착층을 갖는 광학 필름이며, 상기 용이접착층은, 주성분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은, 연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필름은, 연신 배율이 면적비로 2.5배 이상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영률이 570MPa 이상 1300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파단 신도가 3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산가가 25mgKOH/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은, 상기 수지 필름과 상기 용이접착층의 박리 강도가 2.0N/2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과, 접착제층과, 편광자가, 상기 용이접착층이 상기 접착제층에 접하도록 하고,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9. 제 8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수계 용매와, 유리 전이 온도(Tg)가 100℃ 이상 150℃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유레테인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막을 건조하여 용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37017018A 2020-11-27 2021-11-24 광학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30107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96561 2020-11-27
JP2020196561 2020-11-27
PCT/JP2021/042985 WO2022114000A1 (ja) 2020-11-27 2021-11-24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256A true KR20230107256A (ko) 2023-07-14

Family

ID=8175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018A KR20230107256A (ko) 2020-11-27 2021-11-24 광학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114000A1 (ko)
KR (1) KR20230107256A (ko)
CN (1) CN116490291A (ko)
TW (1) TW202229431A (ko)
WO (1) WO2022114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233A1 (ja) * 2022-09-29 2024-04-04 大倉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WO2024095968A1 (ja) * 2022-11-05 2024-05-10 大倉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627A1 (ja) 2016-10-31 2018-05-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多層フィルム
JP2019116640A (ja) 2019-04-26 2019-07-1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複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4511A (ja) * 2013-07-24 2015-02-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複層フィルム、偏光板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2017015743A (ja) * 2013-11-14 2017-01-19 株式会社トクヤマ 光学物品用プライマー組成物、該光学物品用プライマー組成物の硬化体を含むフォトクロミック積層体
JP6383796B2 (ja) * 2014-09-24 2018-08-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
JP6728650B2 (ja) * 2015-11-27 2020-07-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積層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8221466A1 (ja) * 2017-05-31 2018-12-06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眼鏡レンズ、プライマー層形成用組成物、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7073809B2 (ja) * 2018-03-16 2022-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クリア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インク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JP2020196255A (ja) * 2019-05-28 2020-12-10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用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627A1 (ja) 2016-10-31 2018-05-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多層フィルム
JP2019116640A (ja) 2019-04-26 2019-07-1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複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90291A (zh) 2023-07-25
JPWO2022114000A1 (ko) 2022-06-02
TW202229431A (zh) 2022-08-01
WO2022114000A1 (ja)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0313B (zh) 多層膜、偏光板及多層膜的製造方法
TWI635155B (zh) 複層膜及其製造方法
KR20230107256A (ko) 광학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82903B1 (ko) 접착 용이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JP5573708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3015928B (zh) 光学层叠体和具备该光学层叠体的图像显示装置
JP2010224345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0176022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TWI729212B (zh) 多層薄膜、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JP6586721B2 (ja) 積層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5845891B2 (ja) 複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20038B2 (ja) 複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
JP5716571B2 (ja) 複層フィルム、複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JP5573707B2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169333A (ja) 偏光板
JP5168427B2 (ja) 積層フィルム、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2124076A1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844651B2 (ja) 複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
JP2009237388A (ja) 偏光板
KR20200035260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201733683A (zh) 多層膜的製造方法及製造裝置
JP2018083302A (ja) フィルム巻層体
JP2008026516A (ja) 偏光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8051894A (ja) 積層フィルム及び偏光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