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555A -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재배방법 - Google Patents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555A
KR20230106555A KR1020230085172A KR20230085172A KR20230106555A KR 20230106555 A KR20230106555 A KR 20230106555A KR 1020230085172 A KR1020230085172 A KR 1020230085172A KR 20230085172 A KR20230085172 A KR 20230085172A KR 20230106555 A KR20230106555 A KR 20230106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el
weight
parts
cultivation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3030B1 (ko
Inventor
이찬중
박혜성
이은지
공원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3008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030B1/ko
Publication of KR20230106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곰보버섯의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곰보버섯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배양할 경우, 자실체 배양이 어려웠던 곰보버섯의 자실체를 배양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노지재배, 하우스재배 또는 상자재배 등 재배방법에 관계없이 곰보버섯의 생장 효율이 우수하여 곰보버섯을 저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비 절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Medium composition for culturing morel and the culturing method for morel thereby}
본 발명은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 버섯의 종류는 약 15,000여종이며, 먹을 수 있는 버섯은 1,000∼2,000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 자생 버섯류는 약 1,500여종으로 식용은 350여종, 독버섯은 약 90여종 알려져 있고, 국내에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버섯 종류는 약 30여종이며, 주로 느타리, 양송이, 팽이, 큰느타리, 표고, 영지버섯 등의 비중이 95% 이상으로 집중되어 있으며, 기후변화와 웰빙, 기능성 등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따른 다양한 새로운 버섯 품목의 개발과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곰보버섯은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식용균의 하나이며, 고급 웰빙 영양식품으로 높은 유기 게르마늄(Ge) 함유로 신장보호 및 정신을 맑게 하고, 성기능 쇠약, 위장염, 소화불량, 식욕부진, 암, 감기예방효과, 면역력 증가 등에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비타민 및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고, 단백질 함량은 목이버섯의 약 2배, 표고버섯의 1.5배이다.
곰보버섯의 인공재배는 1883년에 영국, 미국, 프랑스 및 독일 등에서 시작하였지만, 자실체의 대량재배는 모두 실패하였으며, 1958년 발효탱크에서 처음으로 곰보버섯의 균사체를 성공적으로 인공배양 하였지만 그 후에 30년간 계속 균사체생산단계에서 멈추었다.
곰보버섯은 특별한 풍미를 가지므로 프랑스와 이태리에서 고급요리에 이용하며, 유럽과 미국에서는 음식재료, 초콜릿, 와인 등에 폭넓게 활용하고 있으며, 양질의 웰빙 먹거리 확보와 고부가가치 농산물 생산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 위해 곰보버섯의 대량 재배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실체 배양이 어려웠던 곰보버섯의 자실체를 배양할 수 있는 배지 조성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10-160271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곰보버섯 균사체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곰보버섯 균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곰보버섯 자실체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곰보버섯 자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참나무 발효톱밥;
부엽토; 및
밀, 왕겨 및 옥수수가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톱밥과 미강으로 혼합한 배지에 곰보버섯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배양된 곰보버섯균을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접종된 곰보버섯균을 20 내지 25℃의 배양온도, 60 내지 70%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25 내지 30일간 배양하여 곰보버섯균으로부터 균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2의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참나무 발효톱밥, 부엽토, 및 밀, 왕겨 및 옥수수가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 2의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생석회, 석고, KH2PO4 및 백설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보버섯 균사체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곰보버섯 균사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톱밥과 미강으로 혼합한 배지에 곰보버섯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배양된 곰보버섯균을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접종된 곰보버섯균을 20 내지 25℃의 배양온도, 60 내지 70%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25 내지 30일간 배양하여 곰보버섯균으로부터 균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형성된 균핵으로부터 곰보버섯 자실체를 생육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2의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참나무 발효톱밥, 부엽토, 및 밀, 왕겨 및 옥수수가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 2의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생석회, 석고, KH2PO4 및 백설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보버섯 자실체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곰보버섯 자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곰보버섯의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곰보버섯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배양할 경우, 자실체 배양이 어려웠던 곰보버섯의 자실체를 배양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배지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노지재배, 하우스재배 또는 상자재배 등 재배방법에 관계없이 곰보버섯의 생장 효율이 우수하여 곰보버섯을 저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비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a)폴리프로필렌병 또는 (b)비닐봉지에서 곰보버섯 종균배양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는 배지혼합비에 따른 곰보버섯균의 균사생육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3은 곰보버섯 재배시 자실체 형성 및 생육과정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는 곰보버섯 상자재배시 자실체 형성 및 생육과정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는 곰보버섯 하우스재배시 자실체 형성 및 생육과정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에서 수확한 곰보버섯 자실체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7은 수확한 곰보버섯 자실체의 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본 발명은 참나무 발효톱밥; 부엽토; 및 밀, 왕겨 및 옥수수가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생석회, 석고, KH2PO4 및 백설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 생석회 1 내지 2 중량부, 석고 1.5 내지 2.5 중량부, KH2PO4 0.005 내지 0.015 중량부 및 백설탕 2.5 내지 7.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참나무 발효톱밥은 참나무 생톱밥에 장시간 수분을 첨가하고 뒤집기를 하면서 야외 발효시킨 발효물로 수지 및 유해성분을 유출시키고, 부숙시킨 후 보습력을 높여 버섯균이 이용하기 용이한 상태로 만든 톱밥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9 내지 48 중량부 및 밀 23 내지 63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38 내지 48 중량부 및 밀 52 내지 63 중량부를 포함하거나,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9 내지 20 중량부 및 밀 23 내지 34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38 내지 48 중량부 및 옥수수가루 52 내지 62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28 내지 40 중량부, 밀 95 내지 105 중량부 및 왕겨 95 내지 10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35 내지 50 중량부, 밀 20 내지 40 중량부 및 옥수수가루 20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곰보버섯 균사체의 재배방법
본 발명은 톱밥과 미강으로 혼합한 배지에 곰보버섯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배양된 곰보버섯균을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접종된 곰보버섯균을 20 내지 25℃의 배양온도, 60 내지 70%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25 내지 30일간 배양하여 곰보버섯균으로부터 균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2의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참나무 발효톱밥, 부엽토, 및 밀, 왕겨 및 옥수수가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 2의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생석회, 석고, KH2PO4 및 백설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보버섯 균사체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참나무 발효톱밥은 참나무 생톱밥에 장시간 수분을 첨가하고 뒤집기를 하면서 야외 발효시킨 발효물로 수지 및 유해성분을 유출시키고, 부숙시킨 후 보습력을 높여 버섯균이 이용하기 용이한 상태로 만든 톱밥이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100 중량부 기준 생석회 1 내지 2 중량부, 석고 1.5 내지 2.5 중량부, KH2PO4 0.005 내지 0.015 중량부 및 백설탕 2.5 내지 7.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9 내지 48 중량부 및 밀 23 내지 63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38 내지 48 중량부 및 밀 52 내지 63 중량부를 포함하거나,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9 내지 20 중량부 및 밀 23 내지 34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38 내지 48 중량부 및 옥수수가루 52 내지 62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28 내지 40 중량부, 밀 95 내지 105 중량부 및 왕겨 95 내지 10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35 내지 50 중량부, 밀 20 내지 40 중량부 및 옥수수가루 20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곰보버섯 균사체의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곰보버섯 균사체를 제공한다.
곰보버섯 자실체의 재배방법
본 발명은 톱밥과 미강으로 혼합한 배지에 곰보버섯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배양된 곰보버섯균을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접종된 곰보버섯균을 20 내지 25℃의 배양온도, 60 내지 70%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25 내지 30일간 배양하여 곰보버섯균으로부터 균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형성된 균핵으로부터 곰보버섯 자실체를 생육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2의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참나무 발효톱밥, 부엽토, 및 밀, 왕겨 및 옥수수가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 2의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생석회, 석고, KH2PO4 및 백설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보버섯 자실체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참나무 발효톱밥은 참나무 생톱밥에 장시간 수분을 첨가하고 뒤집기를 하면서 야외 발효시킨 발효물로 수지 및 유해성분을 유출시키고, 부숙시킨 후 보습력을 높여 버섯균이 이용하기 용이한 상태로 만든 톱밥이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100 중량부 기준 생석회 1 내지 2 중량부, 석고 1.5 내지 2.5 중량부, KH2PO4 0.005 내지 0.015 중량부 및 백설탕 2.5 내지 7.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9 내지 48 중량부 및 밀 23 내지 63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38 내지 48 중량부 및 밀 52 내지 63 중량부를 포함하거나,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9 내지 20 중량부 및 밀 23 내지 34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38 내지 48 중량부 및 옥수수가루 52 내지 62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28 내지 40 중량부, 밀 95 내지 105 중량부 및 왕겨 95 내지 10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는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35 내지 50 중량부, 밀 20 내지 40 중량부 및 옥수수가루 20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형성된 균핵을 상자재배, 노지재배 또는 하우스 재배하여 균핵으로부터 곰보버섯 자실체를 생육할 수 있다.
상기 상자재배의 경우, 토양을 상자에 일정량 넣고 상기 단계 3의 균핵을 뿌려 균사체를 생육시킨 뒤, 토양표면에 균사체 생육이 만연하게 되면 생석회, 석고, KH2PO4 또는 백설탕과 같은 영양원을 처리하고 10 내지 20℃의 온도, 60 내지 95% 상대습도 및 800 내지 1000ppm 이산화탄소 농도로 조절하여 곰보버섯 자실체를 재배할 수 있고, 상기 노지재배 또는 하우스재배의 경우, 상기 단계 3의 균핵을 뿌려 균사체를 생육시킨 뒤, 토양표면에 균사체 생육이 만연하게 되면 생석회, 석고, KH2PO4 또는 백설탕과 같은 영양원을 처리하고 5 내지 20℃의 온도 및 80 내지 90% 상대습도로 조절하여 곰보버섯 자실체를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곰보버섯 자실체의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곰보버섯 자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1> 시험균주 및 종균의 준비
시험에 사용한 균주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에 보관하고 있는 곰보버섯(Morchella sp.)을 시험균주로 사용하였다.
<준비예 2> 접종원 배양
상기 준비예 1의 균주를 PDA(potato dextrose agar) 평판배지에서 7일간 배양 후, 미송톱밥과 미강혼합배지(80:20, v/v)를 250ml 삼각플라스크에 100ml 가량을 담아 121℃에서 40분간 살균한 배지에 곰보버섯균을 접종하여 20일간 배양한 후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준비예 3>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의 준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를 준비하였다.
준비예 배지혼합비율(%)
3-1 참나무톱밥75+석고1+밀기울25+과인산석회1
3-2 면실박75+석고2+밀기울20+과인산석회2
3-3 볏짚분말70+밀기울15+과인산석회2
3-4 콘코브80+미강20+석고2+과인산석회1
3-5 참나무톱밥80+쌀겨15+밀기울5+석고1.5+KH2PO4 2
3-6 참나무 발효톱밥80+쌀겨15+밀기울5+석고1.5+KH2PO4 2
3-7 밀28.5+ 참나무 발효톱밥 50+부엽토21.5+생석회1.5+석고2+KH2PO4 0.01+백설탕5
3-8 밀20+ 참나무 발효톱밥 70+부엽토10+생석회1.5+석고2+KH2PO4 0.01+백설탕5
3-9 밀30+ 참나무 발효톱밥 30+왕겨30+부엽토10+생석회1.5+석고2+KH2PO4 0.01+백설탕5
3-10 참나무 발효톱밥 40+왕겨25+옥수수가루25+부엽토10+생석회1.5+석고2+KH2PO4 0.01+백설탕5
3-11 밀15+콘코브30+볏짚20+옥수수가루20+부엽토15+생석회1.5+석고2+KH2PO4 0.01+백설탕5
3-12 옥수수가루28.5+ 참나무 발효톱밥 50+부엽토21.5+생석회1.5+석고2+KH2PO4 0.01+백설탕5
3-13 밀15+옥수수가루15+참나무 발효톱밥 49+부엽토21+생석회1.5+석고2+KH2PO4 0.01+백설탕5
<실시예 1> 곰보버섯 종균 배양
<1-1>
상기 준비예 3-1의 배지를 수분함량을 65% 내외로 조절하였고, PP(Polyproylene)병과 비닐봉지에 목까지 동일한 압력으로 배지를 담아서 121℃에서 90분간 고압살균 후 20℃ 내외로 냉각하고 준비된 접종원을 접종하였다(도 1 참조). 접종된 배지는 배양 온도 20∼25℃, 상대습도 60∼70%로 조절된 배양실에서 25∼30일간 배양하였다. 배양기간 중에는 혼합배지별 잡균의 오염여부를 조사하여 오염된 배지를 즉시 제거하였다.
<1-2 내지 1-13>
상기 준비예 3-2 내지 3-13의 배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건에서 곰보버섯 종균 배양하였다.
<실시예 2> 곰보버섯 종균 접종 및 곰보버섯 자실체 생육관리
상자재배는 온도 및 습도조절이 가능하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위한 환풍시설을 구비하고 있는 재배시설을 이용하여 토양을 상자에 일정량을 넣고 배양이 종료된 실시예 1-7 내지 1-9의 종균을 뿌리고 토양으로 복토를 하여 곰보버섯 균사를 생육시키는 단계 후 토양표면이 균사로 만연하게 되면 영양원을 처리하여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서 버섯 발생작업을 한다. 곰보버섯 재배시설의 환경은 온도 10∼20℃, 상대습도 60∼95%, CO2농도 1000ppm이하로 관리하여 곰보버섯 자실체의 생육을 유도하였다.
하우스재배는 일반 노지에 비닐 및 차광망을 씌어 재배하는 방법과 기존의 비닐하우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일반 비닐하우스에 측창의 개방이 가능하고 차광망을 씌워 직사광선이 비치지 않는 시설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노지 및 하우스재배는 재배 토양을 트랙터로 일정한 깊이로 갈고난 후 실시예 1-7 내지 1-9의 종균을 뿌리고 일정기간 배양을 거쳐 토양표면에 곰보버섯 균사가 만연하면 영양원을 처리하고 토양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서 버섯 발생작업을 한다. 곰보버섯 재배시설의 환경은 생육온도를 5∼20℃로 관리하면서 버섯 발생시에는 상대습도를 80∼90%을 유지하면서 곰보버섯 자실체의 생육을 유도하였다(도 3 및 도 6 참조).
곰보버섯 수확은 버섯 발생 후 7∼10일이 되면 자실체가 성숙하게 되어 수확이 가능하고 수확후 바로 건조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온도는 45∼50℃에서 4∼5시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1> 배지혼합비율에 따른 균사 생장량 및 균사밀도 측정
상기 실시예 1-1 내지 1-13의 배지혼합비율에 따른 균사 생장량 및 균사밀도를 도 2의 컬럼을 이용하여 생장시켜 조사하였고, 시험관은 20 mm×200 mm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혼합배지를 충진하여 고압살균하고 종균 접종 후 25℃ 항온실에서 배양시키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균사 생장길이를 측정하여 균사 생장량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2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사 생장량은 배양 11일 후 실시예 1-7의 배지와 실시예 1-9의 배지의 혼합비율에서 150mm로 균사생장이 가장 빨랐다. 배지혼합비율에 따른 균사밀도는 실시예 1-4와 실시예 1-5의 배지에서 가장 낮았고, 균사생장이 빨랐던 실시예 1-7과 실시예 1-9의 배지에서는 높은 균사밀도를 보였다. 균핵형성 정도는 실시예 1-7과 실시예 1-8의 배지에서 가장 높았고, 실시예 1-9, 실시예 1-12 및 실시예 1-13의 배지에서도 중간정도의 균핵형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지혼합비율에 따른 곰보버섯의 균사생육 및 균핵형성 정도
실시예 균사 생육
(mm)/11일
균사
밀도*
균핵
형성*
1-1 50.5 +++ -
1-2 43.4 +++ -
1-3 41.6 ++ -
1-4 28.6 + -
1-5 28.2 + -
1-6 37.0 ++ -
1-7 150.0 +++ +++
1-8 132.6 +++ +++
1-9 150.0 +++ ++
1-10 115.5 +++ +
1-11 61.8 ++ -
1-12 128.0 +++ ++
1-13 126.5 +++ ++
*균사밀도 및 균핵형성 : +, 약; ++, 중; +++, 강
상기 결과로 인해 본 발명의 배지 조성에서 배양된 곰보버섯의 균사생육, 균사밀도 및 균핵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곰보버섯 생육 및 자실체 특성 확인
상자재배(도 4, 표 3)에서 곰보버섯 재배 결과 자실체의 평균 무게는 33.2g이였고, 길이는 133.9mm, 갓길이는 73mm, 대길이는 52.2mm였고, 노지 및 하우스재배(도 5, 표 4)에서는 평균 무게는 32.2g이였고, 길이는 132.7mm, 갓길이는 63.7mm, 대길이는 57.0mm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실체의 육안적 특성은 형태가 갓은 뾰족한 타원형, 색깔은 갈색 및 황갈색이며 윗부분은 원형이며 짙은 갈색을 띄었으며, 대는 표면이 긁고 큰주름이 있으며 매끄럽고 색깔은 담황백색인 것을 확인하였다(표 5, 도7).
곰보버섯 상자재배 자실체 특성
Figure pat00001
곰보버섯 노지 및 하우스재배 자실체 특성
Figure pat00002
곰보버섯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
Figure pat00003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를 사용할 경우, 노지재배, 하우스재배 또는 상자재배 등 재배방법에 관계없이 곰보버섯 자실체의 생장 효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톱밥과 미강으로 혼합한 배지에 곰보버섯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배양된 곰보버섯균을 곰보버섯 자실체 인공재배용 배지 조성물에 접종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접종된 곰보버섯균을 20 내지 25℃의 배양온도, 60 내지 70%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25 내지 30일간 배양하여 곰보버섯균으로부터 균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형성된 균핵을 상자 재배 및 하우스 재배 중 어느 하나의 버섯 재배 환경 조건의 토양에 접종한 후, 토양 표면에 균사체 생육이 만연하게 되면 영양원을 처리하고, 곰보버섯 자실체를 생육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2의 곰보버섯 자실체 인공재배용 배지 조성물은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40.85-45.15 중량부, 밀 54.15-59.85 중량부, 생석회 2.85-3.15 중량부, 석고 3.8-4.2 중량부, KH2PO4 0.019-0.21 중량부 및 백설탕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계 4의 상자 재배의 경우 영양원을 처리하고 10 내지 20℃의 온도, 60 내지 95% 상대습도 및 800 내지 1000ppm 이산화탄소 농도로 조절하여 곰보버섯 자실체를 생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계 4의 하우스 재배의 경우 영양원을 처리하고 5 내지 20℃의 온도 및 80 내지 90% 상대습도로 조절하여 곰보버섯 자실체를 생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계 4의 영양원은 생석회 1.5 중량부 기준, 석고 1.5-2.5 중량부, KH2PO4 0.005-0.015 중량부 및 백설탕 2.5-7.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보버섯 자실체의 재배방법.
  2. 톱밥과 미강으로 혼합한 배지에 곰보버섯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배양된 곰보버섯균을 곰보버섯 자실체 인공재배용 배지 조성물에 접종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접종된 곰보버섯균을 20 내지 25℃의 배양온도, 60 내지 70%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25 내지 30일간 배양하여 곰보버섯균으로부터 균핵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형성된 균핵을 상자 재배 및 하우스 재배 중 어느 하나의 버섯 재배 환경 조건의 토양에 접종한 후, 토양 표면에 균사체 생육이 만연하게 되면 영양원을 처리하고, 곰보버섯 자실체를 생육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2의 곰보버섯 자실체 인공재배용 배지 조성물은 참나무 발효톱밥 100 중량부 기준, 부엽토 13.56-14.99 중량부, 밀 27.14-29.99 중량부, 생석회 2.03-2.24 중량부, 석고 2.70-2.99 중량부, KH2PO4 0.013-0.015 중량부 및 백설탕 6.78-7.4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계 4의 상자 재배의 경우 영양원을 처리하고 10 내지 20℃의 온도, 60 내지 95% 상대습도 및 800 내지 1000ppm 이산화탄소 농도로 조절하여 곰보버섯 자실체를 생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계 4의 하우스 재배의 경우 영양원을 처리하고 5 내지 20℃의 온도 및 80 내지 90% 상대습도로 조절하여 곰보버섯 자실체를 생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계 4의 영양원은 생석회 1.5 중량부 기준, 석고 1.5-2.5 중량부, KH2PO4 0.005-0.015 중량부 및 백설탕 2.5-7.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보버섯 자실체의 재배방법.
KR1020230085172A 2019-12-11 2023-06-30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KR102663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172A KR102663030B1 (ko) 2019-12-11 2023-06-30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573A KR20210073849A (ko) 2019-12-11 2019-12-11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KR1020220030269A KR20220036929A (ko) 2019-12-11 2022-03-10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KR1020230085172A KR102663030B1 (ko) 2019-12-11 2023-06-30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269A Division KR20220036929A (ko) 2019-12-11 2022-03-10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555A true KR20230106555A (ko) 2023-07-13
KR102663030B1 KR102663030B1 (ko) 2024-05-03

Family

ID=7659987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573A KR20210073849A (ko) 2019-12-11 2019-12-11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KR1020220030269A KR20220036929A (ko) 2019-12-11 2022-03-10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KR1020230085172A KR102663030B1 (ko) 2019-12-11 2023-06-30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573A KR20210073849A (ko) 2019-12-11 2019-12-11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KR1020220030269A KR20220036929A (ko) 2019-12-11 2022-03-10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073849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8622A (zh) * 2013-04-03 2013-06-26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梯棱羊肚菌的栽培方法
KR20150108064A (ko) * 2014-03-17 2015-09-25 주식회사 앤코스메슈 모렐버섯의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물
KR20150140145A (ko) * 2014-06-05 2015-12-15 전라북도 곰보버섯 균사체 대량 생산을 위한 인공배양방법
KR101602718B1 (ko) 2015-01-13 2016-03-11 농업회사법인 대자연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WO2017056059A1 (en) * 2015-10-01 2017-04-06 Bagnato Maurizio Method of producing mushrooms
US20180000013A1 (en) * 2016-02-26 2018-01-04 Functional Fungi, Llc Enhanced Mycelium Growth Medium and Method
US20230309468A1 (en) * 2022-02-24 2023-10-05 Kismet Labs, Inc. Growth system and method for fungal biomas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8622A (zh) * 2013-04-03 2013-06-26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梯棱羊肚菌的栽培方法
KR20150108064A (ko) * 2014-03-17 2015-09-25 주식회사 앤코스메슈 모렐버섯의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물
KR20150140145A (ko) * 2014-06-05 2015-12-15 전라북도 곰보버섯 균사체 대량 생산을 위한 인공배양방법
KR101602718B1 (ko) 2015-01-13 2016-03-11 농업회사법인 대자연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WO2017056059A1 (en) * 2015-10-01 2017-04-06 Bagnato Maurizio Method of producing mushrooms
US20180000013A1 (en) * 2016-02-26 2018-01-04 Functional Fungi, Llc Enhanced Mycelium Growth Medium and Method
US20230309468A1 (en) * 2022-02-24 2023-10-05 Kismet Labs, Inc. Growth system and method for fungal biom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030B1 (ko) 2024-05-03
KR20210073849A (ko) 2021-06-21
KR20220036929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370B1 (ko) 표고버섯 재배를 위한 톱밥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US4472907A (en) Method of cultivating Ganoderma lucidum (Fr.) Karst.
CN105165513B (zh) 一种果园套种香菇的生产方法
CN104126414B (zh) 黑木耳的人工栽培方法
CN103583225A (zh) 一种利用木薯杆栽培优质高产秀珍菇的方法
CN104335819A (zh) 一种平菇与葡萄的套种方法
WO2018068456A1 (zh) 一种利用食用菌菌渣作为种子二次发酵制备的可生物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
Chen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on synthetic logs
CN113099946A (zh) 一种赤松茸的栽培方法
CN107047068B (zh) 设施温室香菇增产栽培方法
CN102893805A (zh) 一种使白灵菇高产的栽培方法
CN104982178A (zh) 甘蔗地套种猪肚菇的方法
CN109769592A (zh) 一种灵芝的栽培方法
KR101687892B1 (ko) 새송이버섯의 재배방법 및 배지조성물
KR20130087224A (ko)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
KR102663030B1 (ko)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CN105594455B (zh) 云芝栽培方法
KR101687891B1 (ko) 목이버섯의 재배방법 및 배지조성물
JP2015062380A (ja) マゴジャクシの人工栽培方法
KR101637164B1 (ko) 용기(容器)을 이용한 잎새버섯 원기 유도방법
CN112703966A (zh) 一种利用保水材料高效栽培卵孢小奥德蘑的方法
KR102333307B1 (ko) 좀나무싸리버섯 인공재배 방법
Yamanaka Commercial cultivation of Lyophyllum shimeji.
CN105409575A (zh) 一种山地香菇的栽培方法
CN104206176A (zh) 一种灵芝的野生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