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888A -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888A
KR20230105888A KR1020220001472A KR20220001472A KR20230105888A KR 20230105888 A KR20230105888 A KR 20230105888A KR 1020220001472 A KR1020220001472 A KR 1020220001472A KR 20220001472 A KR20220001472 A KR 20220001472A KR 20230105888 A KR20230105888 A KR 20230105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verized
chrysanthemum
dried
comparative examp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인
Original Assignee
이재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인 filed Critical 이재인
Priority to KR1020220001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888A/ko
Publication of KR20230105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여 분쇄하고 가공하여, 제조와 보관이 용이하며 신체에 이로운 다양한 효과를 갖도록 한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 {Crushed and dried Keumhwagyu beef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여 분쇄한 것을, 다양한 제형으로 가공하여, 제조와 보관이 용이하며, 탈모방지 효과, 소화개선 효과, 다이어트 효과, 위염 개선 효과 등 신체에 이로운 다양한 효과를 갖도록 한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다수의 남성과 여성에게 발생하여 정서적인 괴로움을 준다. 탈모는 연모(vellus hair)의 증가, 모낭의 축소화 및 성장기 모낭의 감소 등과 같은 특징을 가짐이 밝혀져 있다. 안드로겐성 탈모(androgenetic alopecia, AGA)는 40세 이상의 남성에게 발생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탈모이다. 탈모 인구의 증가로 치료제의 개발 및 그 기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탈모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정확히 알려져있지 않다. 현재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약물로는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와 미녹시딜(minoxidil)이 잘 알려져있다.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type Ⅱ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로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개발되었으며, 안드로겐성 탈모 환자에서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킴이 알려지면서 발모제로 이용되고 있다. 미녹시딜(minoxidil)은 고혈압 치료를 위한 혈관확장제로 개발되었으나, 부작용으로 다모증이 보고되면서 발모제로 이용되고 있다. 미녹시딜(minoxidil)의 발모효과에 대한 작용기전은 현재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KATP-channel oppening 효과, 혈관확장을 통한 영양공급 증가 및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에서 βcatenin 경로의 활성화 등이 모발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미녹시딜(minoxidil)은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세포사멸(apoptosis) 저하를 통해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를 증식함이 알려져있다. 육상식물 및 해조류에서 육모 효능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상업적으로 유용성을 나타내는 것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체지방이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정도로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비만이라고 한다. 음식으로 섭취한 열량이 신체활동으로 소비하는 열량보다 많을 때 체지방으로 축적되는데,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이상일 때,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를 비만이라고 한다. 비만은 체내에 지방이 과다축적 되어있는 상태로서 외관상의 문제뿐 아니라 각종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위험인자이다. 비만은 지방간, 고지혈증, 골관절염, 담석증,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등의 발생요인이다. 또한, 남성은 전립선암, 직장암 및 대장암이 비만과 관련이 있으며, 여성은 유방암, 난소암 및 자궁암이 비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비만은 심장질환의 중요 위험 요소로,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며, 소아기에 비만할수록 심부전증의 위험이 급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건강관리에 있어 비만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만의 원인은 시상하부의 기능 및 에너지 대사의 이상과 같은 질환과 유전적인 요인이 있으나, 대부분의 비만은 과도한 영양섭취와 신체 활동량의 감소로 인한 생활습관으로 발생한다. 최근에는 서구적인 식생활 패턴과 생활의 편리화로 인하여 즉석식품의 섭취가 증가하고 운동부족을 야기하여 비만의 발병율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다. 최근 사회적으로 비만을 질병으로 인식함으로써, 다양한 제약 회사에서 비만을 치료하는 약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방 흡수 저해제인 제니칼(Xenical TM, 로슈제약회사, 스위스)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만 치료제 중 하나이다. 제니칼의 성분이 오르리스타트(orlistat)는 소화된 지방과 결합해 장내에서의 흡수를 억제해 식사 중 지방 성분의 일부를 그대로 배설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밖에 개발된 약물로는 포만감을 증진시키는 리덕틸(Reductil TM, 애보트사, 미국)이나, 엑소리제(Exolise TM, 아토파마, 프랑스)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상업화된 약물들은 간손상, 위장 출혈, 취장염, 신장 결석을 비롯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심장질환, 호흡기 질환, 신경계 질환을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현재 상업화된 비만 치료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안정성 등의 문제로 인해 부작용이 적으면서 비만 개선 효과가 우수한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위는 강산과 단백질을 소화시키는 펩신이라는 소화효소가 분비되며 이러한 물질로부터 상피세포를 보호하기 위하여 위는 일련의 방어기전을 가지고 있다. 이 방어기작으로는 끈적이는 뮤신이나 산을 중화시키는 중탄산이온 (Bicarbonate ion)을 분비하여 산으로부터 상피세포를 보호하며 또한 손상된 상피세포는 계속 새로운 상피세포로 재생되고 미세순환을 조절하여 산소나 유해한 물질을 제거한다. 위염은 산의 분비가 증가하거나 위의 방어기전이 약해질 때 상피세포가 손상되어 발생하며 더 심해지면 위궤양으로 진행되거나 손상이 지속되면 만성적인 위염으로 진행하게 되며 이러한 만성위염은 위암과도 연관이 있다. 위염의 치료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산의 분비를 억제하거나 중화시키는 약물과 위의 상피세포를 산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약물로 나눌 수 있다. 산의 분비를 억제시키는 약물로는 제산제, 히스타민수용체억제제(cimetidine, ranitidine, famotidine, nizatidine), proton pump 억제제(omeprazole, esomeprazole, lansoprazole)가 있으며 상피세포를 보호하는 약제로는 물리화학적 방어와 trophic effect가 있는 sucralfate, 상피세포의 재생을 증가시키는 prostaglandin 제제, 그리고 H. pylori에 효과가 있는 bisthmus 함유제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들은 위염의 증상이 있을 때 사용하여 염증 및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제들이며 위염증상이 있으면 위염이 발견되어 치료를 하지만, 증상이 없는 경우 염증이 심하더라고 치료를 하지 않고 간과하여 만성위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치료를 하더라도 염증 및 증상의 완화를 유도할 수 있으나 재발이 쉽게 일어나 염증을 박멸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또한, 위염은 쉽게 완치되지 않아 치료약제를 장기적으로 사용해야하는데 최근에는 염산 분비를 억제하는 proton pump 억제제를 장기적으로 과량 사용할 경우 암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있다. 위염은 일상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하나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평소에 스트레스에 대한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상피세포의 방어력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예방적으로 섭취한다면 위염의 발생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위염 치료제 개발연구는 식품의약안전청에서 장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원료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주로 대장의 배변기능과 연관된 기능성 원료들이며, 스트레스성 위염에 특이적으로 효과적인 기능성 원료에 대한 정보는 별반 없는 편이다. 따라서 삼백초를 활용하여 위 상피세포의 방어력을 증가시키고 위의 염증을 억제하는 물질을 screening하여 분리하고 이들을 이용한 위염 예방식품으로 개발한다면, 약용작물로서의 삼백초의 부가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탈모, 비만, 위염 등의 현대인의 건강을 해치는 위해요소를 개발하기 위하여 금화규가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금화규는 단독 성분만으로는 그 효과를 충분히 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금화규가 가진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다른 성분을 추가한 가공품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금화규를 추출액 형태로 가공할 경우 보존성과 유통성, 그리고 제조상의 절차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식용 또는 화장료 가공품의 필요성이 커지는 추세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6503호(2018.05.18.공고), "금화규 및 포포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42437호(2021년12월22일)공고,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여 분쇄한 것을 다양한 제형으로 가공하여, 제조와 보관이 용이하며 신체에 이로운 다양한 효과를 갖도록 한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화규와,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여 분쇄하고 로스팅하여 티백 형태로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여 분쇄하고 환형으로 뭉쳐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여 분쇄한 것에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액상차로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금화규는 80.0 ~ 99.8중량%, 하늘마는 0.1 ~ 5.0중량% 및 국화는 0.1 ~ 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은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여 분쇄한 것을 다양한 제형으로 가공하여, 제조와 보관이 용이하며, 탈모방지 효과, 소화개선 효과, 다이어트 효과, 위염 개선 효과 등 신체에 이로운 다양한 효과를 갖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예컨데,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이라함은, 금화규와,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가공한 것을 차로 우리기위한 중간 가공품으로써의 식품조성물일 수 있으며, 금화규와,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가공한 것을 물에 적셔 도포하기 위한 중간 가공품으로써의 화장료조성물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은 금화규 분쇄건조 식품조성물 또는 금화규 분쇄건조 화장료 조성물 모두의 의미를 내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은 금화규(Hibiscus manihot L.)와,하늘마(Dioscorea batatas Decne .) 및 국화(Dendranthema morifolium ( Ramat .) Tzvelev)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화규(Hibiscus manihot L.)는 황금해바라기라고도 불리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뿌리, 줄기, 잎, 꽃을 모두 약용할 수 있다. 상기 금화규는 주로 꽃을 이용하는데, 금화규의 꽃은 7 ~ 8월에 피며, 플라보노이드, 올레산, 비타민E, 셀레늄이 함유되어 있다. 금화규엔 식물성 콜라겐이 가득하게 함유되어 있어 주목받고 있다. 상기 금화규는 보통 꽃을 이용하며, 꽃은 이른 새벽에 펴서 오후가 되면 지는바, 수확에 애로사항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금화규의 줄기, 뿌리 등 다른 부위를 함께 사용하여, 금화규에서 주로 사용되지 않던 부위의 사용률을 늘린다.
상기 하늘마(Dioscorea batatas Decne .)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땅에서 자라는 마가 아닌 넝쿨 줄기에 열리는 열매를 지칭한다. 이러한 재배형태에서 볼 수 있듯이 하늘에 열리는 것 같다 하여, 하늘마라고 불린다. 하늘마는 원기를 보충하고 신장을 튼튼하게 하며, 혈관 내벽에서 산화질소를 생성, 촉진시켜, 혈관을 확장시키는 효능이 있다. 하늘마를 잘랐을 때 끈적이는 성질은 뮤신이라는 성분인데, 뮤신은 위 점막을 코팅하듯이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디아스타아제하는 소화효소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위염 등의 위장 장애를 해소하고 숙취해소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 국화(Dendranthema morifolium ( Ramat .) Tzvelev)는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상기 국화의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1m쯤이며, 줄기 밑부분이 목질화되어 있다. 상기 국화의 잎은 어긋나며, 깃꼴로 갈라진다. 상기 국화의 꽃은 9-10월에 줄기 끝에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가운데는 관모양꽃, 주변부는 혀모양꽃이 있다. 상기 국화의 혀모양꽃은 암술만 가진 단성꽃이며, 관모양꽃은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가진 양성꽃이다. 상기 국화는 감국과 구절초의 교배를 통해 개량화되었으며, 꽃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품종이 있다.
상기 금화규는 80.0 ~ 99.8중량%, 하늘마는 0.1 ~ 5.0중량% 및 국화는 0.1 ~ 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구체적으로, 상기 금화규는 87.0중량%, 하늘마는 3.0중량% 및 국화는 10.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은 금화규 80.0 ~ 99.8중량%, 하늘마 0.1 ~ 5.0중량% 및 국화 0.1 ~ 15.0중량%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혼합분쇄물을 제조하는 분쇄단계(S10) 및,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혼합분쇄물을 일정한 형태로 제조하는 가공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가공단계(S20)는 티백 제조 단계(S21), 환 형 가공품 제조 단계(S22), 또는, 액상차 제조 단계(S23)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분쇄하고 로스팅하여 티백 형태로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을 제공한다.
이는, 티백 형태로써 뜨거운 물을 가해 우려내어 먹는 것을 지칭한다.
티백 형태로 가공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금화규는 80.0 ~ 99.8중량%, 하늘마는 0.1 ~ 5.0중량% 및 국화는 0.1 ~ 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구체적으로, 상기 금화규는 87.0중량%, 하늘마는 3.0중량% 및 국화는 10.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중 티백 형태의 제조방법은 금화규 80.0 ~ 99.8중량%, 하늘마 0.1 ~ 5.0중량% 및 국화 0.1 ~ 15.0중량%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혼합분쇄물을 제조하는 분쇄단계(S10) 및,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혼합분쇄물을 로스팅하고 건조하여 티백 형태로 제조하는 티백 제조 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티백 제조 단계(S21)에서 혼합분쇄물을 로스팅하는 것은 금화규, 하늘마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이취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 티백 제조 단계(S21)에서 혼합분쇄물의 로스팅은, 혼합분쇄물을 80 ~ 90℃에서 10 ~ 30분간 덖어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티백 제조 단계(S21)에서는 덖은 혼합분쇄물을 면포 재질의 주머니에 집어넣어 티백으로 제조한다.
상기 티백 제조 단계(S22)를 거친 티백은 고온의 물에 넣으면 차가 우러나오게 된다. 이러한 티백이 물과 닿으면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의 복합추출물이 우러나오고, 이를 음용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분쇄하고 환형으로 뭉쳐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을 제공한다.
이는, 환형 가공품으로써, 물을 가해 피부에 바르거나 음용할 수 있다.
환 형태로 가공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금화규는 80.0 ~ 99.8중량%, 하늘마는 0.1 ~ 5.0중량% 및 국화는 0.1 ~ 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구체적으로, 상기 금화규는 87.0중량%, 하늘마는 3.0중량% 및 국화는 10.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중 티백 형태의 제조방법은 금화규 80.0 ~ 99.8중량%, 하늘마 0.1 ~ 5.0중량% 및 국화 0.1 ~ 15.0중량%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혼합분쇄물을 제조하는 분쇄단계(S10) 및,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혼합분쇄물을 환 형태로 뭉치고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여 환형 가공품을 제조하는 환 형 가공품 제조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환 형 가공품 제조 단계(S22)에서는 혼합분쇄물을 0.5 ~ 5.0cm의 직경을 갖는 구 형상으로 빚는데, 손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제환기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환 형 가공품 제조 단계(S22)에서 혼합분쇄물을 환 형으로 뭉치는데에는 금화규에서 나오는 진액을 이용할 수 있다. 금화규에서 나오는 진액은 높은 점성을 가지며, 이를 통해 별도의 첨가제 없이 환 형으로 빚을 수 있다. 상기 환 형 가공품 제조 단계(S22)에서 환 형태로 뭉쳐진 혼합분쇄물은 건조기를 이용하여 1 ~ 5일간 60 ~ 90℃의 온도에서 건조한다.
상기 환형 가공품 제조 단계(S22)를 거친 환형 가공품은 건조되면서 매우 높은 경도를 갖게 된다. 상기 환형 가공품 제조 단계(S22)를 거친 환형 가공품은 물과 접촉하면, 다시 식물성 콜라겐을 배출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환형 가공품이 물과 닿으면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의 복합추출물이 우러나오고, 이를 피부에 도포하거나 음용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분쇄한 것에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액상차로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을 제공한다.
이는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여 분쇄하고 글리세린으로 점도를 높인 액상차로써, 뜨거운 물을 가해 음용하는 것을 지칭한다.
액상차로 가공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금화규는 80.0 ~ 99.8중량%, 하늘마는 0.1 ~ 5.0중량% 및 국화는 0.1 ~ 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구체적으로, 상기 금화규는 87.0중량%, 하늘마는 3.0중량% 및 국화는 10.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액상차는, 상기 금화규가 80.0 ~ 99.8중량%, 하늘마가 0.1 ~ 5.0중량% 및 국화가 0.1 ~ 15.0중량%로 포함된 혼합분쇄물과, 글리세린을 3 : 1 내지 4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중 액상차 형태의 제조방법은 금화규 80.0 ~ 99.8중량%, 하늘마 0.1 ~ 5.0중량% 및 국화 0.1 ~ 15.0중량%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혼합분쇄물을 제조하는 분쇄단계(S10) 및,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혼합분쇄물과 글리세린을 3 : 1 내지 4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액상차를 제조하는 액상차 제조 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액상차 제조 단계(S23)에서는 혼합분쇄물과 글리세린을 3 : 1 내지 4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되, 혼합은 5 ~ 40℃의 온도로 1 내지 4시간에 걸쳐 20 ~ 160rpm의 교반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액상차 제조 단계(S23)를 거치면 액상차가 완성된다. 액상차는 고온의 물에 풀어 차로 음용할 수 있으며, 액상차를 고온의 물에 풀면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의 복합추출물이 우러나오고, 이를 음용한다.
실시예 1. 금화규와 ,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분쇄하여 티백 형태로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의 혼합분쇄물을 포함하는 티백을 제조하였다.
분쇄단계(S10): 금화규 87.0중량%, 하늘마 3.0중량% 및 국화 10.0중량%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혼합분쇄물을 제조하였다.
티백 제조 단계(S21):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혼합분쇄물을 85℃에서 20분간 로스팅하고 건조하여 티백 형태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금화규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티백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1의 단독분쇄물을 포함하는 티백을 제조하였다.
분쇄단계(S10): 금화규 100.0중량%를 분쇄하여 단독분쇄물을 제조하였다.
티백 제조 단계(S21):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단독분쇄물을 85℃에서 20분간 로스팅하고 건조하여 티백 형태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하늘마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티백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2의 단독분쇄물을 포함하는 티백을 제조하였다.
분쇄단계(S10): 하늘마 100.0중량%를 분쇄하여 단독분쇄물을 제조하였다.
티백 제조 단계(S21):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단독분쇄물을 85℃에서 20분간 로스팅하고 건조하여 티백 형태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국화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티백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3의 단독분쇄물을 포함하는 티백을 제조하였다.
분쇄단계(S10): 국화 100.0중량%를 분쇄하여 단독분쇄물을 제조하였다.
티백 제조 단계(S21):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단독분쇄물을 85℃에서 20분간 로스팅하고 건조하여 티백 형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금화규와 ,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분쇄하여 환형 가공품으로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2의 혼합분쇄물을 포함하는 환형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분쇄단계(S10): 금화규 87.0중량%, 하늘마 3.0중량% 및 국화 10.0중량%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혼합분쇄물을 제조하였다.
환 형 가공품 제조 단계(S22):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혼합분쇄물을 0.5 ~ 5.0cm의 직경을 갖는 환 형태로 뭉치고 건조기를 통해 2일간 70℃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환형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금화규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환형 가공품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4의 단독분쇄물을 포함하는 환형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분쇄단계(S10): 금화규 100.0중량%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단독분쇄물을 제조하였다.
환 형 가공품 제조 단계(S22):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단독분쇄물을 0.5 ~ 5.0cm의 직경을 갖는 환 형태로 뭉치고 건조기를 통해 2일간 70℃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환형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하늘마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환형 가공품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5의 단독분쇄물을 포함하는 환형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분쇄단계(S10): 하늘마 100.0중량%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단독분쇄물을 제조하였다.
환 형 가공품 제조 단계(S22):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단독분쇄물을 0.5 ~ 5.0cm의 직경을 갖는 환 형태로 뭉치고 건조기를 통해 2일간 70℃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환형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국화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환형 가공품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6의 단독분쇄물을 포함하는 환형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분쇄단계(S10): 국화 100.0중량%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단독분쇄물을 제조하였다.
환 형 가공품 제조 단계(S22):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단독분쇄물을 0.5 ~ 5.0cm의 직경을 갖는 환 형태로 뭉치고 건조기를 통해 2일간 70℃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환형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금화규와 ,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분쇄하여 액상차로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3의 혼합분쇄물을 포함하는 액상차를 제조하였다.
분쇄단계(S10): 금화규 87.0중량%, 하늘마 3.0중량% 및 국화 10.0중량%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혼합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액상차 제조 단계(S23):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혼합분쇄물과 글리세린을 4 : 1의 중량비로, 20℃에서 1시간에 걸쳐 80rpm의 교반속도로 혼합하여 액상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금화규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액상차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7의 단독분쇄물을 포함하는 액상차를 제조하였다.
분쇄단계(S10): 금화규 100.0중량%를 분쇄하여 단독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액상차 제조 단계(S23):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단독분쇄물과 글리세린을 4 : 1의 중량비로, 20℃에서 1시간에 걸쳐 80rpm의 교반속도로 혼합하여 액상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하늘마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액상차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8의 단독분쇄물을 포함하는 액상차를 제조하였다.
분쇄단계(S10): 하늘마 100.0중량%를 분쇄하여 단독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액상차 제조 단계(S23):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단독분쇄물과 글리세린을 4 : 1의 중량비로, 20℃에서 1시간에 걸쳐 80rpm의 교반속도로 혼합하여 액상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9. 국화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액상차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9의 단독분쇄물을 포함하는 액상차를 제조하였다.
분쇄단계(S10): 국화 100.0중량%를 분쇄하여 단독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액상차 제조 단계(S23): 상기 분쇄단계(S10)에서 제조된 단독분쇄물과 글리세린을 4 : 1의 중량비로, 20℃에서 1시간에 걸쳐 80rpm의 교반속도로 혼합하여 액상차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탈모방지 효과 확인 ( in vitro )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를 이용하여 탈모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티백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고 차를 우려내었으며, 실시예 2 및 비교예 4 내지 6의 환형 가공품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어 진액이 우러나오도록 하였고, 실시예 3 및 비교예 7 내지 9의 액상차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고 차를 우려내었다.
실험은 공지된 방법인 Halogenated nucleotides such as the pyrimidine analog bromodeoxyuridine (BrdU)을 통해 수행되었다. (BrdU) 는 살아있는 세포 혹은 조직의 nascent (초기) DNA를 염색하는데 유용하다. 세포 주기 중 핵 내 DNA가 복제되어 DNA량이 두 배가 되는 시기인 "S"기 에서 BrdU는 복제 중인 DNA의 티미딘 대신에 BrdU가 사용되며, 이를 BrdU 항체를 이용한 염색을 통해서 합성된 DNA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을 위하여, cell pellet이 있는 tube에 culture medium 1ml을 넣어 suspension하였다. Haemacytometer (혈구측정기)에 10㎕ 넣어서 현미경으로 cell 수를 관찰하였다. 실험을 위해 96 well에 1×10⁴세포를 seeding 하였다. 이때 well 당 media는 100㎕씩 넣었다. seeding 후 37℃ CO2 incubator안에서 well을 보관하였다. 37℃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보관 후,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를 통해 제조된 시료를 희석하여(1ug/ml, 10ug/ml, 30ug/ml) 처리하고, 37℃ CO2 incubator 안에서 보관하였다. 37℃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보관 후 10X BrdU solution을 10㎕ 넣고 1시간 동안 incubation을 한 다음 medium을 제거하였다. Fixing/ Denaturing solution 100㎕ 넣고 상온에서 30분 둔 후에 Solution을 제거하고 1X Dectection antibody solution을 100㎕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두었다. Washing buffer로 3번 세척하였다. 1X HRP-conjugated secondary antibody solution을 well 당 100㎕로 처리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두었다. Washing buffer로 3번 세척하였다. TMB Substrate를 각 well에 100㎕씩 넣고, 상온에서 30분동안 보관한 후, STOP solution을 각 well에 100㎕씩 넣어주었다.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wave length 450nm에서 각 well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처리 농도에 따른 흡광도 값을 나타낸 것으로, 흡광도가 높을수록 탈모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흡광도 평균값
1ug/ml 10ug/ml 30ug/ml
실시예1 104.3 122.7 138.2
비교예1 83.2 85.5 89.5
비교예2 84.8 86.3 82.3
비교예3 72.3 74.4 77.4
실시예2 102.4 118.2 134.2
비교예4 82.2 85.9 86.5
비교예5 81.6 84.1 85.3
비교예6 71.4 73.3 74.1
실시예3 103.2 115.2 132.2
비교예7 82.1 84.4 88.5
비교예8 81.2 82.5 86.3
비교예9 75.7 77.6 79.8
그 결과, 모든 성분을 조합한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가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9에 비해 흡광도 평균값이 높게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은 물에 우려 음용할 경우 탈모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탈모방지 효과 확인 (도포)
실시예 2 및 비교예 4 내지 6의 환형 가공품을 이용하여 탈모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실시예 2 및 비교예 4 내지 6의 환형 가공품 100g을 15℃의 물에 적셔 준비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4 내지 6의 환형 가공품의 도포에 따른 탈모예방 및 발모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0 ~ 60대의 성인 남녀 20명씩 총 40명의 탈모 증상이 있는 대상자를 선정한 후, 실시예 2 및 비교예 4 내지 6의 환형 가공품을 물에 적셔 나오는 진액을 1일 2회 반복 도포하도록 하였다. 시험기간은 6개월로 하였고, 패널들은 시험 기간 내에도 평상시와 같이 생활하도록 하였고, 설문지에 투여 전을 보통으로 기준하여 머리카락의 굵기(매우굵어짐 5점, 굵어짐 4점, 보통 3점, 얇아짐 2점, 매우 얇아짐 1점) 및 머리카락의 생성(매우많아짐 5점, 많아짐 4점, 보통 3점, 적어짐 2점, 매우 적어짐 1점) 등에 대하여 3개월 단위로 기입하고 설문지에 답변하도록 하였다. 설문지 답변을 산출하여 표 2에 그 결과를 기재하였다.
머리카락 굵기 머리카락 생성
투여전 3개월후 6개월후 투여전 3개월후 6개월후
실시예2 3.0 4.2 4.6 3.0 4.3 4.8
비교예4 3.0 3.3 3.5 3.0 3.2 3.4
비교예5 3.0 3.2 3.3 3.0 3.1 3.2
비교예6 3.0 2.8 2.5 3.0 2.7 2.4
그 결과, 모든 성분을 조합한 실시예 2의 시료가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4 내지 6에 비해 6개월 후 머리카락 굵기 및 머리카락 생성에 있어서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환형 가공품은 물에 적셔 도포 시 탈모방지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소화개선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를 이용하여 소화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티백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고 차를 우려내었으며, 실시예 2 및 비교예 4 내지 6의 환형 가공품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어 진액이 우러나오도록 하였고, 실시예 3 및 비교예 7 내지 9의 액상차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고 차를 우려내었다.
소화불량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겪는 20 ~ 40대 120명을 대상으로 소화불량 개선 효과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단은 10명씩 한 조를 이루어 각각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를 통해 제조된 시료를 일주일간 1일 2회 복용하고, 1주일 경과 후 5점 척도법으로 소화불량 개선 정도(매우좋아짐 5점, 좋아짐 4점, 보통 3점, 나빠짐 2점, 매우나빠짐 1점)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소화불량 개선 정도(평균 점수)
실시예1 4.6
비교예1 3.1
비교예2 3.3
비교예3 2.7
실시예2 4.8
비교예4 3.2
비교예5 3.4
비교예6 2.8
실시예3 4.4
비교예7 3.3
비교예8 3.3
비교예9 2.7
그 결과, 모든 성분을 조합한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가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9에 비해 소화불량 개선 정도의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은 소화불량 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다이어트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를 이용하여 다이어트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티백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고 차를 우려내었으며, 실시예 2 및 비교예 4 내지 6의 환형 가공품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어 진액이 우러나오도록 하였고, 실시예 3 및 비교예 7 내지 9의 액상차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고 차를 우려내었다.
실험은 공지된 3T3-L1 세포를 이용한 항비만 효능 검증을 통해 수행되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를 이용해 제조된 각 시료에 대하여 HSL(hormone sensitive lipase), CPT-1(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의 활성을 증가시키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3T3-L1 세포는 10%의 송아지혈청(calf serum)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BRL, NY, USA)에 100U/㎖ 페니실린(penicillin)과 100㎍/㎖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을 첨가하여 5% CO2, 37℃에서 배양유지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를 위해 6웰 플레이트(wellplate)에 5×105 cell/well의 세포를 분주하여 세포가 충분히 밀집되게 배양하였다. 2일 후, 0.5 mM IBMX(isobutylmethylxanthine) 및 10% FBS을 포함하는 DMEM에서 2일 동안 배양함으로써 분화를 개시한 다음, 10㎍/㎖ 인슐린 및 10% FBS를 포함하는 DMEM으로 교환하여 3일 동안 분화를 진행하였다.
3T3-L1을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분화유도한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를 이용해 제조된 각 시료를 각각 0.1 mg/㎖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중인 배지를 제거한 후, QIAzol Lysis 시약 (Qiagen, Hilden, Germany)을 각 웰(wells)에 1㎖씩 분주하여 세포를 용해(lysis)하였다. 용해물(lysate)은 클로로포름(chloroform) 200㎕를 분주하여 15초간 섞었다. 그 후, 12,000×g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아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500㎕이 들어있는 튜브에 옮겨 섞었다. 다시 12,000×g 10분간 원심분리하였고, 그 상층액을 제거한 후, 100% 에탄올과 0.1% DEPC(diethyl pyrocarbonate water)를 75 : 25로 섞어 만든 75% 에탄올을 각 튜브에 1㎖씩 분주하여 12,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제거한 뒤,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Nuclease free water를 40㎕씩 분주하여 녹인 후, 260nm에서 흡광 측정하여 총 RNA양을 정량하였다.
첫번째 가닥 cDNA(first strand cDNA)는 AmfiRivert cDNA Synthesis Platinum Master Mix(GenDEPOT, Barker, TX, USA)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추출한 RNA(2㎍)와 RNase free water로 9㎕을 맞추고 70℃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2×cDNA synthesis 완충용액 10㎕, cDNA synthesis enzyme mix 1㎕를 섞어 11㎕씩 각 PCR tube에 더한 후, 25℃에서 5분, 42℃에서 60분, 70℃에서 15분간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HSL(hormone sensitive lipase), CPT-1(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의 mRNA 발현량 측정은 Go Tag Green Master(Promega, Madison, WI, USA)를 이용하여 준비된 cDNA를 메뉴얼(manual)에 따라 RT-PCR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프라이머 시퀀스(primer sequense)는 표 4와 같다.
프라이머 Sequence(5'->3') PCR product size
HSL Sense CTCCTCATGGCTCAACTCCTTCC 440bp
Antisense AGGGGTTCTTGACTATGGGTG
CPT-1 Sense CTCCGAAAAGCACCAAAAA 221bp
Antisense CTCCAGCACCCAGATGATTG
185 rRNA Sense GTAACCCGTTGAACCCCATT 393bp
Antisense CCA TCC AAT CGG TAG TAG CG
RT-PCR의 산물은 0.002% 에티듐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를 첨가한 1.0% 아가로스 겔(agarose gel)에 100V에서 30분간 전기영동 후, UV광으로 유전자 발현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밴드의 강도는 image j(National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 정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를 이용해 제조된 각 시료 중 아무것도 넣지 않은 실험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대조군을 기준으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를 이용해 제조된 각 시료에 대한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HSL mRNA 발현(%)
대조군 100.0
실시예1 132.4
비교예1 101.7
비교예2 102.2
비교예3 101.8
실시예2 135.6
비교예4 101.5
비교예5 102.9
비교예6 101.2
실시예3 143.3
비교예7 101.4
비교예8 102.7
비교예9 101.2
CPT-1 mRNA 발현(%)
대조군 100.0
실시예1 128.3
비교예1 101.2
비교예2 100.6
비교예3 100.2
실시예2 126.8
비교예4 101.1
비교예5 100.5
비교예6 100.2
실시예3 142.7
비교예7 101.7
비교예8 100.3
비교예9 100.4
그 결과, 모든 성분을 조합한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가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9에 비해 HSL mRNA 발현 및 CPT-1 mRNA 발현이 현저히 증가함을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은 항비만 효과, 즉, 다이어트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위염개선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를 이용하여 위염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티백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고 차를 우려내었으며, 실시예 2 및 비교예 4 내지 6의 환형 가공품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어 진액이 우러나오도록 하였고, 실시예 3 및 비교예 7 내지 9의 액상차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고 차를 우려내었다.
Mizui 등의 방법[Mizui T., Dodeuchi M. (1983) Effect of polyamines on acidified ethanol-induced gastric lesions in rats, Jpn. J. Pharmacol., 33, 939-945.]에 따라 실험동물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를 이용해 제조한 시료(100 ㎎/㎏) 및 살리드로사이드(10 ㎎/㎏ 및 20 ㎎/㎏)를 2주간 경구투여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상기 추출물 대신 시메티딘(100mg/kg)을 2주간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마지막 날 실험동물을 24시간 절식시킨 후 실험동물에 0.3M HCl (60% 에탄올 용액)을 0.2㎖ 경구투여하고, 절식 및 절수 하에서 1시간 방치 후 에테르로 치사시켜 위를 적출하였다. 적출한 위를 2% 포르말린 수용액 10㎖에 10분간 담그어 고정시키고, 선위부를 절개하여 발생된 손상 길이(mm)를 측정하였다.
병소길이
(ulcerative index) (㎜)
음성대조군 27.6mm
실시예1 3.3mm
비교예1 18.6mm
비교예2 15.3mm
비교예3 21.2mm
실시예2 4.2mm
비교예4 16.8mm
비교예5 14.7mm
비교예6 20.6mm
실시예3 4.5mm
비교예7 17.4mm
비교예8 14.2mm
비교예9 22.3mm
양성대조군(시메티딘) 2.3mm
그 결과, 모든 성분을 조합한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가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9에 비해 병소길이가 현저히 줄어듬을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은 위염개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세포안정성 및 독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하여, 세포 안정성 및 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티백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고 차를 우려내었으며, 실시예 2 및 비교예 4 내지 6의 환형 가공품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어 진액이 우러나오도록 하였고, 실시예 3 및 비교예 7 내지 9의 액상차 100g을 100℃의 1000mL 고온수에 넣고 차를 우려내었다.
세포 3T3(fibroblast cell line)을 96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를 통해 제조된 시료를 투입하고 72시간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티아졸린 블루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배양을 실시한 후,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한 다음 5분간 교반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증식율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 주입량만큼 우태아혈청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 배양을 했으며, 대조군의 세포 증식율을 100%로 기준하여 실험군의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세포증식율(%)
대조군 100%
실시예1 101.3%
비교예1 100.4%
비교예2 100.2%
비교예3 100.5%
실시예2 101.2%
비교예4 100.7%
비교예5 100.3%
비교예6 100.5%
실시예3 100.8%
비교예7 100.1%
비교예8 100.4%
비교예9 100.2%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의 시료는 모두 유의미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티백 형태로 가공한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환형으로 뭉쳐 건조한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혼합하여 분쇄한 것에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액상차로 가공한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의 효과에 대해 확인하였다.
실험예 1의 탈모방지 효과 시험관 내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품을 물에 우려낸 것을 음용하여 탈모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의 탈모방지 효과 도포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품 중 환형으로 뭉쳐 건조한 것은 물에 적셔 도포하여, 탈모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의 소화개선 효과 확인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품을 물에 우려낸 것을 음용하여 소화불량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의 항비만 효능 검증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가공품을 물에 우려낸 것을 음용하여 다이어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의 위염 개선 효과 확인 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가공품을 물에 우려낸 것을 음용하여 위염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의 세포안정성 및 독성 평가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품을 물에 우려낸 것은 유의미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세포 안정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각 실험예에서 공통적으로, 금화규와, 하늘마 및 국화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구성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탈모방지 효과, 소화개선 효과, 다이어트 효과, 위염 개선 효과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이들의 조합에 의해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금화규와,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가공한 것으로, 물에 우려내어 음용하거나 피부에 도포하는 용도의, 식품용 또는 화장료용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S10): 분쇄단계
(S20): 가공단계
(S21): 티백 제조 단계
(S22): 환 형 가공품 제조 단계
(S23): 액상차 제조 단계

Claims (5)

  1. 금화규와,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고 분쇄하여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여 분쇄하고 로스팅하여 티백 형태로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여 분쇄하고 환형으로 뭉쳐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화규, 하늘마 및 국화를 혼합하여 분쇄한 것에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액상차로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화규는 80.0 ~ 99.8중량%, 하늘마는 0.1 ~ 5.0중량% 및 국화는 0.1 ~ 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KR1020220001472A 2022-01-05 2022-01-05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5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472A KR20230105888A (ko) 2022-01-05 2022-01-05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472A KR20230105888A (ko) 2022-01-05 2022-01-05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888A true KR20230105888A (ko) 2023-07-12

Family

ID=8716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472A KR20230105888A (ko) 2022-01-05 2022-01-05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588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503B1 (ko) 2016-11-23 2018-05-18 농업회사법인포포나무 주식회사 금화규 및 포포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342437B1 (ko) 2021-05-04 2021-12-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503B1 (ko) 2016-11-23 2018-05-18 농업회사법인포포나무 주식회사 금화규 및 포포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342437B1 (ko) 2021-05-04 2021-12-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0939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141274A (ko)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CN105360506A (zh) 一种养生茶及其制备方法
CN103751707A (zh) 一种牛蒡子美容祛斑的口服液及其制备方法
AU2018203661A1 (en) Composition for reducing skin wrinkles and improving skin elasticity comprising radish extract
CN104666794B (zh) 一种花粉王浆饮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409079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30048B1 (ko) 가자나무열매추출물 및 암라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60081870A (ko) 항산화 및 항염증에 효능이 있는 가미청기산 조성물
KR102081156B1 (ko)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00359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KR20230105888A (ko) 금화규 분쇄건조 가공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093990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07384680B (zh) 一种百香果龙眼果酒及其酿造方法
CN103181431B (zh) 一种养肝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1706552B1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과 그 추출방법
KR101795261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91691B1 (ko)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KR102240938B1 (ko) 환성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942429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40075643A (ko) 암예방 기능성 한방 식혜의 제조방법 및 그 식혜
CN101360430A (zh) 用于治疗过敏的功能性食物组合物、利用该组合物的天然茶及其制备方法
KR102020644B1 (ko) 스트레스 관련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475985B1 (ko) 대황, 황금 및 황련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3428B1 (ko) 흑생강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 비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