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274A -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274A
KR20140141274A KR1020130062844A KR20130062844A KR20140141274A KR 20140141274 A KR20140141274 A KR 20140141274A KR 1020130062844 A KR1020130062844 A KR 1020130062844A KR 20130062844 A KR20130062844 A KR 20130062844A KR 20140141274 A KR20140141274 A KR 20140141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fermented
fermenta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엘디 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엘디 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엘디 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30062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1274A/ko
Publication of KR2014014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2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Abstract

본 발명은 두메부추 추출물, 지황 추출물, 녹차 추출물, 괄루근 추출물, 일당귀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천문동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도인 추출물, 홍화 추출물, 황기 추출물, 승마 추출물, 자몽씨 추출물, 쌀 발효 추출물, 보리씨 발효 추출물, 콩 발효 추출물, 호박 발효 추출물, 석류 발효 추출물, 마치현 발효 추출물, 포도 발효 추출물, 목련나무 껍질 추출물, 및 캐모마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Composition for enhancing hair growth or preventing hair loss}
본 발명은 두메부추 추출물, 지황 추출물, 녹차 추출물, 괄루근 추출물, 일당귀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천문동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도인 추출물, 홍화 추출물, 황기 추출물, 승마 추출물, 자몽씨 추출물, 쌀 발효 추출물, 보리씨 발효 추출물, 콩 발효 추출물, 호박 발효 추출물, 석류 발효 추출물, 마치현 발효 추출물, 포도 발효 추출물, 목련나무 껍질 추출물, 및 캐모마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두피의 성모가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탈모의 원인은 스트레스, 자극적인 식사, 흡연, 심리적인 불안감 등이 있고, 유전적인 원인이나 체내 호르몬의 변화로도 기인한다.
이러한 탈모는 성인 70%가 질환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회생활에 직간접적 손해를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있다. 아울러 성인의 약 23%가 탈모를 경험하고, 주로 20~30대에 시작해서 전체 인구의 약 10~15% 정도가 환자군 및 잠재적 환자군으로 분류되고 있다.
기존 탈모의 치료를 위해서 상품화된 약품으로는 미녹시딜 성분의 제품과 피나스테라이드 성분의 제품이 있다.
미녹시딜은 원래 고혈압 치료제로 개발 중 부작용으로 발모 효과가 발견되어 탈모치료제로 개발된 것으로 두피에 도포하는 형태이며, 발모 메카니즘은 일산화질소(Nitric oxide) 작용기에 의한 혈관 확장을 통해 모낭으로 혈류량 증대 및 이를 통한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작용기전이다. 그러나 눈의 통증, 도포부위 발진, 홍반 등의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으며, 미성년자는 사용이 불가하고 여성은 3% 농도 이상의 제품은 사용할 수 없는 등, 사용상의 제한이 크고 심각한 알러지 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상 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기본적으로 화학 제품이기 때문에 다양한 부작용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피나스테라이드 성분의 제품 역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개발 중 부작용으로 모발성장이 발견되어 탈모치료제로 개발된 것으로, 경구투여하는 제품이다. 발모 메카니즘은 제2형 5-알파-리덕타제(5-alpha-reductase) 효소 작용을 차단시켜 남성호르몬에 작용하여 탈모를 억제한다. 본격적으로 호르몬에 작용하므로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될 수도 있다. 즉, 남성호르몬에 직접 작용하므로 남성 전용으로, 여성은 사용과 접촉조차 금지된다. 여성이 이 성분에 노출시 가임 여성의 경우 불임을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한 남성의 경우 발기부전을 초래할 수 있고 성기능 감퇴가 우려된다. 따라서 3개월 이상 연속 사용이 어려우며, 효과는 일시적으로 중단시 다시 탈모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효과가 우수한 탈모방지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즉, 성별에 구분 없이 사용가능하고 부작용 및 인체독성이 없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17874호에는 두메부추의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두메부추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학명은 Allium senescens이다. 주로 울릉도나 백두대간 고산지대에 분포하는 야생종으로 일반 부추보다 비타민 A를 2배 정도 함유하고 있으며, 영양성분이 탁월히 많이 분포되어 있다. 한의학에서는 위장을 튼튼히 하고 간을 보호하며 협심증에 속효성으로 작용한다고 되어 있는 등 약용식물로 유용하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 따르면, 두메부추의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두메부추를 두메부추의 1 내지 2배 부피의 20 내지 40%(v/v) 에탄올 용액에 침지하고 상온에서 3개월 이상 유지하여야 하며, 추출기간이 3개월을 넘지 못하면 발모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하므로, 상기 조성물은 상업적으로 적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화학합성품보다는 천연에서 유래되는 제품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가 신속히 나타나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검토한 결과, 두메부추 추출물에 후술하는 생약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물이 제조가 용이하면서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가 보다 우수함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메부추 추출물, 지황 추출물, 녹차 추출물, 괄루근 추출물, 일당귀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천문동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도인 추출물, 홍화 추출물, 황기 추출물, 승마 추출물, 자몽씨 추출물, 쌀 발효 추출물, 보리씨 발효 추출물, 콩 발효 추출물, 호박 발효 추출물, 석류 발효 추출물, 마치현 발효 추출물, 포도 발효 추출물, 목련나무 껍질 추출물, 및 캐모마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메부추 추출물, 지황 추출물, 녹차 추출물, 괄루근 추출물, 일당귀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천문동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도인 추출물, 홍화 추출물, 황기 추출물, 승마 추출물, 자몽씨 추출물, 쌀 발효 추출물, 보리씨 발효 추출물, 콩 발효 추출물, 호박 발효 추출물, 석류 발효 추출물, 마치현 발효 추출물, 포도 발효 추출물, 목련나무 껍질 추출물, 및 캐모마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두메부추 추출물 70.0 내지 95.0 중량%, 지황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녹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괄루근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일당귀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오미자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천문동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맥문동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도인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홍화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황기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승마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자몽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쌀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보리씨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콩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호박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석류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마치현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포도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목련나무 껍질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및 캐모마일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판테놀, 살리실산, 니아신아미드, 초산토코페롤, 및 L-멘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판테놀 0.1 내지 2.0 중량부, 살리실산 1.0 내지 3.0 중량부, 니아신아미드 1.0 내지 3.0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1 내지 1.0 중량부, 및 L-멘톨 1.0 내지 2.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두메부추(Allium senescens)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어린 잎은 식용하고 민간에서는 비늘줄기를 이뇨제, 강장제 등으로 약용한다. 경상북도(울릉도), 함경북도(백두산, 관모봉) 등지에 분포한다.
지황(Rehmannia glutinosa)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한방에서는 뿌리의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고 한다. 숙지황은 보혈제로 쓰이고 생리불순, 허약 체질, 어린이의 발육 부진, 치매, 조루증, 발기부전에 사용하며, 생지황은 허약 체질, 토혈, 코피, 자궁 출혈, 생리불순, 변비에 사용하고, 건지황은 열병 후에 생기는 갈증과 장기 내부의 열로 인한 소갈증에 효과가 있으며 토혈과 코피를 그치게 한다.
녹차는 동백나무과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을 발효시키지 않고 가공한 것으로서, 차 잎을 화열(火熱, 중국식) 또는 증기(일본식)로 가열하여 차 잎 속의 효소를 불활성화시켜 산화를 방지하고 고유의 녹색을 보존시킨 차이다. 녹차에는 비타민 C와 폴리페놀(polyphenol)이 풍부하며, 항산화작용, 콜레스테롤 제거효과, 혈압상승 억제작용, 항암효과 등을 갖고 있다.
괄루근은 박과의 하눌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또는 노랑하눌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 var. japonica Kitamura)의 피층을 벗긴 뿌리를 말한다. 약리작용으로 악성포도태와 상피세포암종 억제, 자궁평활근 흥분, 간암 억제 효과, 혈당강하,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일당귀는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ieb. & Zuc.) Kitagawa)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서, 효능은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작용(補血作用)이다.
오미자는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Baillon)의 열매를 말린 약재로서, 약리작용으로 대뇌피질 흥분작용, 혈압 강하작용, 거담, 진해 작용, 호흡 흥분 작용, 강심작용, 당 대사 촉진과 당분해작용, 세포 면역 기능 증강작용, 자궁 흥분 작용, 담즙 분비 촉진 작용, 위액 분비 조절 작용, 억균작용이 보고되었다.
천문동은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의 덩이뿌리로서, 진해, 이뇨, 강장제로 사용한다.
맥문동은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또는 소엽맥문동(Ophiopogon japonicus Ker-Gawler)의 뿌리의 팽대부(膨大部)를 말려서 만든 한약재로서, 약리효과는 항산화작용, 혈류량촉진, 심장수축력증가, 진정, 면역증강, 혈당강하,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도인은 복숭아나무(Prunus persica Batsch) 또는 산복사(Prunus persica Franchet var. davidiana Maximowicz)의 씨로 만든 약재로서, 약리작용으로 혈관확장작용, 혈류량증가, 자궁수축 및 자궁지혈작용 촉진, 배변작용, 항염증작용, 진해작용, 진통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항종양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홍화는 국화과에 속한 일년생 초본인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의 꽃과 씨를 말하며, 혈(血)을 잘 순환하게 하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어혈(瘀血)을 제거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약재이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 지한(止汗), 이뇨(利尿),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피로권태, 기혈허탈(氣血虛脫), 탈항(脫肛), 자궁탈, 내장하수, 식은땀, 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승마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 또는 동속 식물의 뿌리줄기로 만든 약재로서, 약리작용은 해열, 항염, 진통, 항경련, 해독, 심장억제, 혈압강하, 장관 및 자궁억제,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마치현은 쇠비름과의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의 전초를 말하며,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자궁평활근 수축력 증강으로 인한 장관 연동작용, 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캐모마일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풀로서, 정유는 긴장을 완화시키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두통, 편두통, 신경통 등 통증과 염증에도 효능이 있으며, 위장장애가 있을 경우 차로 마시면 효과가 있고, 베개 속에 넣어두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두메부추 추출물, 지황 추출물, 녹차 추출물, 괄루근 추출물, 일당귀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천문동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도인 추출물, 홍화 추출물, 황기 추출물, 승마 추출물, 자몽씨 추출물, 목련나무 껍질 추출물, 및 캐모마일 추출물은 각각의 원료를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1차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기용매는 C1-C4의 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1-C4의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코올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코올로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공정은 각각의 원료의 무게에 대하여 약 1 내지 20배의 상기 1차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매로는 약 10 내지 95%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은 공지된 추출방법, 예컨대 냉침,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추출 온도는 당업자가 추출방법에 적절한 다양한 온도 범위를 채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 내지 8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 시간은 추출방법에 따라 상이하며, 당업자가 적절한 추출 시간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으나 약 1 시간 내지 3 일의 범위에서 단회 또는 복수회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추출용매로 추출을 수행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하거나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액상 형태로 얻거나, 얻어진 액상 형태의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농축액 또는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공정은 필요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은 분획물을 얻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1차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물에 분산시킨 후, 적절한 2차 추출용매, 예컨대 수포화 부탄올로 추출함으로써, 생성되는 추출물 중의 유효성분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쌀 발효 추출물, 보리씨 발효 추출물, 콩 발효 추출물, 호박 발효 추출물, 석류 발효 추출물, 마치현 발효 추출물, 및 포도 발효 추출물은 각각의 원료 또는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각각의 원료 또는 추출물을 약 1 내지 20배의 물에 분산시키고 유산균을 접종한 다음, 상온에서 3 내지 10 일 동안 배양하여 수행할 수 있다.
수득한 발효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하거나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액상 형태로 얻거나, 얻어진 액상 형태의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한 두메부추 추출물 70.0 내지 95.0 중량%, 지황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녹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괄루근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일당귀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오미자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천문동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맥문동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도인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홍화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황기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승마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자몽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쌀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보리씨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콩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호박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석류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마치현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포도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목련나무 껍질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및 캐모마일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혼합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판테놀 0.1 내지 2.0 중량부, 살리실산 1.0 내지 3.0 중량부, 니아신아미드 1.0 내지 3.0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1 내지 1.0 중량부, 및 L-멘톨 1.0 내지 2.0 중량부를 부가하고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유효성분들의 혼합물을 약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유효성분의 함량은 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파우더,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스프레이, 헤어로션, 헤어토닉, 헤어팩, 샴푸, 린스, 비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나 모발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경피 투여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적으로(예를 들면, 복용 또는 흡입) 또는 비경구적으로(예를 들면, 주사, 침착, 이식, 좌약) 투여될 수 있으며, 주사는 예를 들면, 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내주사 또는 복강내주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따라, 정제, 캡슐제, 과립제, 파인 서브틸래(fine subtilae), 분제, 설하 정제, 좌약, 연고, 주사제, 유탁액제, 현탁액제, 시럽제, 분무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여러 가지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각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를 사용하여 공지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disintegrating agent), 윤활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장제(isotonic agent), 완충제, 피막제, 감미제, 용해제, 기제(base), 분산제, 습윤제, 현탁화제, 안정제, 착색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한 유효성분들의 혼합물을 약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투여량은 치료되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종류, 체중, 성별,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하루에 체중 1 kg 당 활성성분 10 내지 200 mg이 투여된다. 상기 총 일일 투여량은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한번에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제, 에멀젼, 시럽제 등의 경구형 제제 형태이거나, 캔디, 과자, 껌, 아이스크림, 면류, 빵, 음료 등 일반적인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형태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부형제 등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적절히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한 유효성분들의 혼합물의 함량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약 0.01 내지 50 중량%의 농도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하며, 유효성분으로 천연물에서 유래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독성이 없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야생에서 채취된 두메부추를 절단기를 이용하여 3~5 cm 정도로 분쇄하고 전자 저울을 사용하여 400 kg를 3 mt 스테인레스 스틸 반응기에 맨홀을 통해 상단 투입하였다. 이때 반응기는 교반 속도가 조절되고 냉각 및 승온 장치가 부착된 것을 사용하였다.
식용 에탄올(95% 에탄올) 800 kg와 증류수 800 kg를 반응기에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반응물을 10℃/시간의 속도로 승온시켰다. 50℃에 도달하면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유효물질을 추출하였다. 추출 진행은 매 6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농도를 분석하였다.
추출이 완료되면 25℃까지 10℃/시간의 속도로 냉각하고 누체 필터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걸러내고 다른 3 mt 스테인레스 스틸 반응기로 이송하였다. 이때 반응기는 교반기, 냉각 및 승온 장치, 열교환기, 및 회수 장치가 부착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송된 추출물을 10~30 mmHg의 진공하, 40~50℃ 사이의 온도에서 감압 증류하여 에탄올과 물을 제거하며 농축시켜 갈색의 농축액을 수득하였다.
농축은 LOD(Loss on Drying)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고형분 함량이 20%가 될 때까지 진행하여 완료하였다. 약 50 kg의 갈색 점성 액체를 얻었다.
제조예 2-14: 지황 추출물, 녹차 추출물, 괄루근 추출물, 일당귀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천문동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도인 추출물, 홍화 추출물, 황기 추출물, 승마 추출물, 자몽씨 추출물, 목련나무 껍질 추출물, 및 캐모마일 추출물의 제조
지황, 녹차, 괄루근, 일당귀, 오미자, 천문동, 맥문동, 도인, 홍화, 황기, 승마, 자몽씨, 목련나무 껍질, 및 캐모마일을 각각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15: 쌀 발효 추출물의 제조
쌀을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물에 5 mg/ml 농도로 녹이고, 5 mg/ml 농도의 유산균(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배양균체를 넣어 37℃에서 3일 동안 배양하여 발효시켰다. 그런 다음, 발효액을 여과하고 농축시켜 발효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16-21: 보리씨 발효 추출물, 콩 발효 추출물, 호박 발효 추출물, 석류 발효 추출물, 마치현 발효 추출물, 및 포도 발효 추출물의 제조
보리씨, 콩, 호박, 석류, 마치현, 및 포도를 각각 제조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추출하여 각각의 발효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3: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들을 고형분 기준 하기에 기재된 함량(중량%)으로 혼합하여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두메부추 추출물 20 19.4 19.4 17.9 17.9 15.8
지황 추출물 0.00 0.05 0.05 0.10 0.10 0.20
녹차 추출물 0.00 0.05 0.05 0.10 0.10 0.20
괄루근 추출물 0.00 0.05 0.05 0.10 0.10 0.20
일당귀 추출물 0.00 0.05 0.05 0.10 0.10 0.20
오미자 추출물 0.00 0.05 0.05 0.10 0.10 0.20
천문동 추출물 0.00 0.05 0.05 0.10 0.10 0.20
맥문동 추출물 0.00 0.05 0.05 0.10 0.10 0.20
도인 추출물 0.00 0.05 0.05 0.10 0.10 0.20
홍화 추출물 0.00 0.05 0.05 0.10 0.10 0.20
황기 추출물 0.00 0.05 0.05 0.10 0.10 0.20
승마 추출물 0.00 0.05 0.05 0.10 0.10 0.20
자몽씨 추출물 0.00 0.05 0.05 0.10 0.10 0.20
쌀 발효 추출물 0.00 0.00 0.00 0.10 0.10 0.20
보리씨 발효 추출물 0.00 0.00 0.00 0.10 0.10 0.20
콩 발효 추출물 0.00 0.00 0.00 0.10 0.10 0.20
호박 발효 추출물 0.00 0.00 0.00 0.10 0.10 0.20
석류 발효 추출물 0.00 0.00 0.00 0.10 0.10 0.20
마치현 발효 추출물 0.00 0.00 0.00 0.10 0.10 0.20
포도 발효 추출물 0.00 0.00 0.00 0.10 0.10 0.20
목련나무 추출물 0.00 0.00 0.00 0.10 0.10 0.20
캐모마일 추출물 0.00 0.00 0.00 0.10 0.10 0.20
살리실산 0.00 0.00 0.25 0.00 0.25 0.50
니아신아미드 0.00 0.00 0.50 0.00 0.50 0.50
초산토코페롤 0.00 0.00 0.10 0.00 0.10 0.10
L-멘톨 0.00 0.00 0.25 0.00 0.25 0.25
판테놀 0.00 0.00 0.00 0.00 0.10 0.20
에탄올 0.00 0.00 0.00 0.00 15.0 20.0
증류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1: 발모 효과 평가
생후 5주 된 수컷 마우스(C57BL/6)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순화 기간을 거친 후 각 시료별로 7마리 총 56마리의 수컷 마우스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시료는 증류수, 대조시료로 미녹시딜 제제(5%),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마우스의 등 부분의 털을 전기면도기로 제거하고 제거된 부위에 시료를 0.2 ml/일씩 고르게 도포하여 1주간 간격으로 총 4주간 관찰하였다.
평가는 제거된 부위의 털 복원 정도를 전체 면적당 복원 면적의 비율(%)로 평가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기간 증류수 대조 시료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0주 0 0 0 0 0 0 0 0
1주 0 10 2 5 6 6 11 12
2주 3 35 15 20 20 30 38 40
3주 4 50 25 35 40 50 55 65
4주 6 80 50 55 60 85 90 95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두메부추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또는 일부 유효성분만을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발모 촉진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6)

  1. 두메부추 추출물, 지황 추출물, 녹차 추출물, 괄루근 추출물, 일당귀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천문동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도인 추출물, 홍화 추출물, 황기 추출물, 승마 추출물, 자몽씨 추출물, 쌀 발효 추출물, 보리씨 발효 추출물, 콩 발효 추출물, 호박 발효 추출물, 석류 발효 추출물, 마치현 발효 추출물, 포도 발효 추출물, 목련나무 껍질 추출물, 및 캐모마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두메부추 추출물 70.0 내지 95.0 중량%, 지황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녹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괄루근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일당귀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오미자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천문동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맥문동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도인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홍화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황기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승마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자몽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쌀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보리씨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콩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호박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석류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마치현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포도 발효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목련나무 껍질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 및 캐모마일 추출물 0.1 내지 1.5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판테놀, 살리실산, 니아신아미드, 초산토코페롤, 및 L-멘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판테놀 0.1 내지 2.0 중량부, 살리실산 1.0 내지 3.0 중량부, 니아신아미드 1.0 내지 3.0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1 내지 1.0 중량부, 및 L-멘톨 1.0 내지 2.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헤어스프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프레이.
KR1020130062844A 2013-05-31 2013-05-31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40141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844A KR20140141274A (ko) 2013-05-31 2013-05-31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844A KR20140141274A (ko) 2013-05-31 2013-05-31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274A true KR20140141274A (ko) 2014-12-10

Family

ID=5245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844A KR20140141274A (ko) 2013-05-31 2013-05-31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127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20B1 (ko) 2018-03-13 2018-09-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탈지 분획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974868B1 (ko) * 2017-11-20 2019-05-03 박병희 미강 및 오미자 혼합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WO2019066601A3 (ko) * 2017-09-29 2019-05-23 유씨엘 주식회사 두피염증 예방 및 완화, 및 탈모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0174A (ko) * 2018-06-22 2020-01-02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2578B1 (ko) * 2019-06-26 2020-04-21 코스맥스 주식회사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6733A (ko) * 2020-01-29 2021-08-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캡슐을 사용한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KR20220001386A (ko) * 2020-06-29 2022-01-0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피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601A3 (ko) * 2017-09-29 2019-05-23 유씨엘 주식회사 두피염증 예방 및 완화, 및 탈모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4868B1 (ko) * 2017-11-20 2019-05-03 박병희 미강 및 오미자 혼합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KR101897720B1 (ko) 2018-03-13 2018-09-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탈지 분획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200000174A (ko) * 2018-06-22 2020-01-02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2578B1 (ko) * 2019-06-26 2020-04-21 코스맥스 주식회사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6733A (ko) * 2020-01-29 2021-08-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캡슐을 사용한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KR20220001386A (ko) * 2020-06-29 2022-01-0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피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1274A (ko)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758998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2137252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 j2k- 27 균주를 이용한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혼합 발효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그 혼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573787A (zh) 含有天然提取物的组合物
KR102326660B1 (ko) 한방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모발 굵기 증대용 조성물
KR20180110939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9757B1 (ko)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JP2006176436A (ja) Scf発現阻害剤
KR101167589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900647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JP6267957B2 (ja) 皮脂合成抑制剤
JP6527715B2 (ja) 黒生姜含有組成物
KR20130013856A (ko) MeJA 처리된 메밀새싹을 함유하는 항비만 또는 체지방감소용 조성물
CN102724959A (zh) 防止脱发并刺激头发生长的组合物
AU2016201841B2 (en) Medical Composition Containing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4685B1 (ko) 신선초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2431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CN111465403A (zh) 用于预防或治疗前列腺肥大症的草药组合物
KR102598042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자가면역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5044747A (ja) Pde3阻害剤
KR101185903B1 (ko) 등골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2411893B1 (ko) 밤나무 총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2284805B1 (ko) 레드비트 및 양배추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