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578B1 -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2578B1 KR102102578B1 KR1020190076570A KR20190076570A KR102102578B1 KR 102102578 B1 KR102102578 B1 KR 102102578B1 KR 1020190076570 A KR1020190076570 A KR 1020190076570A KR 20190076570 A KR20190076570 A KR 20190076570A KR 102102578 B1 KR102102578 B1 KR 1021025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thenol
- menthol
- hair
- composition
- glycyrrhetic ac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4—Amides, e.g. hydroxamic acids of a carboxylic acid with an aminoalcohol, e.g. ceram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18β-글리시레틴 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증가시키고, 모발 생장을 유도하는 성장인자인 VEGF 및 FGF의 유전자 발현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어, 발모 및 육모를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모근 강화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및 약학 조성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모 촉진 또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있어서 모발은 두피에 있는 모낭에서 자라나며, 일생 동안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 등의 주기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며 생성, 성장, 탈락을 거치게 된다(Paus et al., J Invest Dermatol. 113, pp523-532,1999). 모낭의 퇴행기에는 모낭의 성장이 중단되고, 세포사멸 및 세포외 기질의 재구성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모낭의 퇴행기 및 휴지기 상태의 모낭세포가 많아질수록 머리카락이 빠지고 다시 자라나지 않는 탈모 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모발은 눈에 보이는 모간부와 눈에 보이지 않는 모근부로 나누어 지며, 모근부 중 모발이 자라는 뿌리를 모구(Hair bulb)라고 부르며, 그 아랫부분에 움푹 들어간 부분을 모유두라고 한다(도 1). 모유두는 모발의 발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혈관과 신경이 있어 영양분과 성장인자를 전달하여 모발의 성장을 촉진한다. 모유두세포의 사멸 및 생장 감소로 인해 모발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모발의 유지 및 증가를 위해서는 모유두세포의 증식이 필요하다.
혈관 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혈관 내피 세포의 성장을 유도하여 혈관 신생을 촉진시키는 당단백이다. VEGF는 모유두에 존재하는 VEGF 수용체- 2(VEGFR-2)에 붙어 VEGF-2/ERK pathway를 활성화함으로써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유도한다(Exp Cell Res. 2012 318(14):1633-40, 2012). 더불어,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7: FGF 7)는 모낭 바깥 부분과 두피 표면으로 드러나는 모발 부분의 생장에 관여함으로써 모발 생성 주기를 조절하는 증식 인자이다(GENES & DEVELOPMENT. 1996, 10:165-175). 따라서 모유두세포에서 VEGF 및 FGF7의 유전자 발현의 증가는 모발 생장을 유도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최근 환경 오염 및 도시 스트레스가 심각해지면서 탈모증을 가진 현대인이 많아짐에 따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모근부 중 모발 생성의 시작을 담당하는 모유두세포의 성장인자 발현을 증가시켜 모발의 생장을 유도하여 모근을 강화하고 탈모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물질을 발명하고자 하였다.
한편,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은 백색에서 유백색의 결정성 분말로, 감초의 뿌리에 포함된 글리시진산을 가수분해해서 얻을 수 있는 물질로, 뛰어난 항염증 작용으로 피부에서 자극을 완화시켜 주며, 과잉한 피지분비 억제에 그 유효성이 알려져 있다. 더불어 D-판테놀(Panthenol)은 침투성이 있는 보습제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와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주고, 손상 모발의 회복을 증가시켜 주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멘톨(Menthol)은 혈행 개선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모발의 굵기를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British J. Dermatol. 165. s3: 24-30, 2011. J Cosmet Dermatol. 4(4):258-61, 2005.),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 성분을 혼합한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일 양상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또는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또는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또는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또는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18β-글리시레틴 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또는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18β-글리시레틴 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또는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18β-글리시레틴산은 감초 뿌리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으로서 글리시르리틴의 배당체로,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같은 항염증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판테놀(Panthenol)은 침투성이 있는 보습제로, 피부와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주며 손상 모발의 회복을 증가시킬 수 있음이 알려져 있고, 멘톨은 두피에서 혈행을 개선한다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또는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발생하는 인간 모유두세포(Human Follicular Dermal Papilla Cells: HFDPC)의 세포 증식능이 확연하게 증가하고, 모발의 생장을 촉진하는 성장인자인 VEGF 및 FGF7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여 효과적인 발모 또는 육모 촉진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D-판테놀(Panthenol) 및/또는 멘톨(Menthol)을 예를 들면 1: 0.5 내지 3의 농도비로, 1 : 0.7 내지 2의 농도비, 또는 1 : 1의 농도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또는 멘톨(Menthol)을 예를 들면 1 : 5 내지 25 : 5 내지 25의 농도비로, 1 : 6 내지 23 : 6 내지 23의 농도비로, 1 : 7 내지 20 : 7 내지 20의 농도비로, 1 : 7.5 내지 20 : 7.5 내지 20 농도비로, 또는 1: 10 내지 20 : 10 내지 20의 농도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멘톨(Menthol)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예를 들면, 1 : 10 내지 60 : 10 내지 60: 10 내지 60의 농도비로, 1 : 20 내지 50 : 20 내지 50 : 20 내지 50의 농도비로, 또는 1 : 25 내지 40 : 25 내지 40 : 25 내지 40의 농도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18β-글리시레틴산은 감초 뿌리 추출물 유래의 18β-글리시레틴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초 뿌리 추출물 유래의 18β-글리시레틴산의 수득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8β-글리시레틴산은 물, 탄소수 1 내지의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용해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99%의 에탄올에 용해한 5 중량%의 18β-글리시레틴산의 용해물을 상기 조성물로 포함하였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면 0.001 내지 30 중량%, 또는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중 유효성분인 18β-글리시레틴 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또는 멘톨(Menthol)은 그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우며, 3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화가 어렵고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은 외인성 요인 또는 내인성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탈모 개선에 효과적이다. 상기 외인성 요인은 여러 가지 외부 요인, 예컨대 자외선을 말하고 내인성 요인은 시간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요인으로 텔로미어에 의한 모유두세포의 세포사와 세포 기능 저하에 따른 산화 스트레스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육모 촉진”은 모발의 생성 및 성장을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전체 모발에서 성장기 모발의 비중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성장기 모발의 비중이 감소함에 따라 유발되는 탈모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탈모 개선”, “탈모 예방” 및 “탈모 치료”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므로 본 명세서 내에서 자유롭게 혼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은 인간 모유두세포(Human Follicular Dermal Papilla Cells: HFDPC)를 효과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으며, 혈관 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7(Fibroblast growth factor7: FGF7)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어 모유두 세포로의 영양분 전달 촉진, 모근부 세포의 생장을 유도함으로써 모근 강화 뿐 아니라 육모 및 발모의 효과적인 촉진이 가능하므로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탈모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고, 용제로는 헥산디올, 정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샴푸, 클렌져,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헤어팩, 린스, 두피팩, 토닉, 에센스, 로션, 크림, 오일, 미스트, 스프레이, 또는 헤어젤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양상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또는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탈모(Alopecia)"는 두피로부터 모발이 탈락하는 현상 또는 모발이 성기거나 가늘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탈모 예방 또는 개선"이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은 탈모를 예방하고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육모 촉진 또는 발모 촉진"이라 함은 새로운 모발의 생성 촉진뿐 아니라 기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탈모는 원형 탈모증(Alopecia Areata), 유전성 안드로겐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 휴지기 탈모증(Telogen Effluvium), 외상성 탈모증, 발모벽(Trichotillomania), 압박성 탈모증(Pressure Alopecia), 생장기 탈모증, 비강성 탈모증, 매독성 탈모증(Alopecia Syphlltiac), 지루 탈모증(Alopecia Seborrhecia), 증후성 탈모증, 반흔성 탈모증, 선천성 탈모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 이외에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 형태로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두피에 국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 1㎍/kg 내지 200mg/kg, 다른 일 측면에서 50㎍/kg 내지 50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으로서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간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증가시키고, 모발 생장을 유도하는 성장인자인 VEGF 및 FGF7의 유전자 발현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어, 발모 및 육모를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모근 강화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및 약학 조성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모발의 구조 및 모유두(Papilla) 세포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및 멘톨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의 증식능 상승을 확인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및 멘톨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의 모유두세포의 혈관 내피 세포 성장인자(VEGF) 유전자 발현 증가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및 멘톨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의 모유두세포의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7(FGF7)유전자 발현 증가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 는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의 증식능 상승을 확인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의 모유두세포의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VEGF) 유전자 발현 증가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 은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의 모유두세포의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7(FGF7)유전자 발현 증가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및 멘톨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의 증식능 상승을 확인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및 멘톨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의 모유두세포의 혈관 내피 세포 성장인자(VEGF) 유전자 발현 증가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및 멘톨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의 모유두세포의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7(FGF7)유전자 발현 증가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 는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의 증식능 상승을 확인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의 모유두세포의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VEGF) 유전자 발현 증가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 은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의 모유두세포의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7(FGF7)유전자 발현 증가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의 제조
마루젠에서 구매한 18β-글리시레틴산을 5 중량 %로 99% 에탄올에 녹인 뒤, Promocell사에서 구입한 인간 모유두세포(Human Follicular Dermal Papilla Cells: HFDPC)의 증식 효능 평가 및 VEGF, FGF7 성장인자 유전자 발현 증가 효능 평가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및 멘톨 혼합용액의 HFDPC 증식능 상승 효능 평가
실시예 1의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에 D-판테놀 및 멘톨의 각각의 비율을 다르게 처리한 경우, 어떤 비율의 원료 혼합물이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현저하게 유도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조건으로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HFDPC를 96웰 플레이트에 2x104의 수만큼 분주한 후, 37°C,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은 배지와 0.5ppm의 18β-글리시레틴산(β-GA), 20ppm의 D-판테놀, 20ppm의 멘톨, 10ppm의 D-판테놀과 10ppm의 멘톨(농도비 1:1)의 혼합물, 그리고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한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혼합 용액(syn 1, 2, 3, 4, 5)를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해 준 다음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하고 Dulbecco's 인산염완충식염수(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DPBS)를 이용한 워싱 과정을 1회 거친 다음 각 웰당 500μl의 0.5mg/mL MTT 테트라졸륨 (Sigma-aldrich, St. Louis, USA)를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하고 37°C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빅터 3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사용한 혼합 용액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모발 발육 촉진제로 알려진 10ppm의 미녹시딜(Minoxidil: MXD)을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세포의 생존율은 아무 것도 포함하지 않은 배지를 처리한 경우를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이의 평균 흡광도 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HFDPC 증식능을 측정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미녹시딜 | 18β-글리시레틴산 | D- 판테놀 | 멘톨 | |
MXD | 10ppm | - | - | - |
β-GA | - | 0.5ppm | - | - |
판테놀 | - | - | 20ppm | - |
멘톨 | - | - | - | 20ppm |
판테놀+ 멘톨 |
- | - | 10ppm | 10ppm |
Syn1 | - | 0.25 ppm | 5ppm | 5ppm |
Syn2 | - | 0.33 ppm | 3.3ppm | 3.3ppm |
Syn3 | - | 0.375 ppm | 2.5ppm | 2.5ppm |
Syn4 | - | 0.165 ppm | 6.6ppm | 6.6ppm |
Syn5 | - | 0.125 ppm | 7.5ppm | 7.5ppm |
도 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용액 미처리군인 음성 대조군 대비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의 단일성분을 처리한 군과 D-판테놀과 멘톨 혼합물(고시원료 혼합물)을 처리한 군에서 세포 증식이 일정한 정도로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한 Syn1, Syn2, Syn3, Syn4 및 Syn5를 처리한 군에서는 양성 대조군 보다도 더 현저할 정도의 HFDPC 세포 증식능 촉진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상기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혼합 용액을 처리한 군에서 우수한 세포 증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상기 혼합군(Syn 1, 2, 3, 4, 5)은 18β-글리시레틴산 및 D-판테놀의 개별 처리군의 처리 용량인 20ppm보다 작은 용액 함량을 처리한 경우임을 고려해 볼 때 최적 농도비의 혼합 용액에서 나타나는 우수한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및 멘톨 혼합용액의 HFDPC 성장인자(VEGF 및 FGF7) 발현 증가 효능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및 멘톨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모발 생장을 유도하는 성장인자인 VEGF 및 FGF7의 발현이 유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을 수행하였다. 인간모유두세포(HFDPC)를 6웰 플레이트에 3x105 세포/웰씩 분주한 후, 세포 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이후 배지를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배지 보충물을 포함하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여 세포를 기아 상태로 만들어 준 후, 다음날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은 배지와 0.5ppm의 18β-글리시레틴산(β-GA), 20ppm의 D-판테놀, 20ppm의 멘톨, 10ppm의 D-판테놀과 10ppm의 멘톨(농도비 1:1)의 혼합물, 그리고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한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혼합 용액(syn 1, 2, 3, 4, 5)를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해 준 후,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이 후, RNeasy Mini Kit(Qiagen)을 이용하여 세포에서 RNA를 분리한 뒤, 나노드롭(nanodrop)을 이용하여 260nm에서 RNA를 정량 한 후, 각각 2㎍의 RNA를 사용하여 증폭기(C1000 Thermal Cycler, Bio-Rad, 미국)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에 타겟 단백질인 VEGF, FGF7 프라이머와 시아닌 염료인 사이버그린(SYBR Green supermis, Applied Biosystems, 미국)을 첨가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real-time PCR 기계에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VEGF, FGF7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프라이머의 서열과 반응 조건은 하기 표3과 같으며, 유전자의 발현량은 β-actin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VEGF 유전자 발현 정도는 도 3에 나타내었고, FGF7 유전자의 발현 정도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혼합 용액의 조성을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모발 발육 촉진제로 알려진 10ppm의 미녹시딜(Minoxidil: MXD)을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아무 것도 포함하지 않은 배지를 처리한 경우를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프라이머 서열 | 서열 | 반응 조건 | |
VEGF | F | 5'-GTGCCCACTGAGGAGTTCAAC-3' | 94℃, 5분 동안 중합 효소 활성화 후, 95℃ 30초, 60℃ 30초, 72℃ 30초 조건에서 40사이클로 중합반응 |
R | 5'-CCCTATGTGCTGGCCTTGAT-3' | ||
FGF7 | F | 5'-TCCTGCCAACTTTGCTCTACA-3' | |
R | 5'-CAGGGCTGGAACAGTTCACAT-3' | ||
β-actin | F | 5'-GGCCATCTCTTGCTCGAAGT-3' | |
R | 5'-GAGACCTTCAACACCCCAGC-3' |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용액 미처리군인 음성 대조군 대비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의 단일 성분을 처리한 군과 D-판테놀과 멘톨 혼합물(고시원료 혼합물)을 처리한 군에서 성장인자 증식이 일정 정도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한 Syn1, Syn2, Syn3, Syn4, Syn5를 처리한 군에서는 양성 대조군 보다도 더 현저할 정도의 VEGF 및 FGF7 유전자 발현 촉진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 대비 Syn1, Syn2, Syn3, Syn4, Syn5를 처리한 군은 약 2.5배 정도의 VEGF 발현양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 대비 Syn1, Syn2, Syn3, Syn4, Syn5를 처리한 군은 평균적으로 4배 이상의 FGF-7 발현양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상기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혼합 용액을 처리한 군에서 우수한 모발 생장을 유도하는 성장인자인 VEGF 및 FGF7의 발현 유도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상기 혼합군(Syn 1, 2, 3, 4, 5)은 18β-글리시레틴산 및 D-판테놀의 개별 처리군의 처리 용량인 20ppm보다 작은 용액 함량을 처리한 경우임에도 모발 생장 인자가 평균적으로 2배 이상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여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의 혼합물로 발생하는 현저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더 추가한 경우 혼합용액의 HFDPC 증식능 상승 효능 평가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더 추가한 경우 모유두세포의 증식이 더 증가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의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에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의 비율을 다르게 처리한 경우, 어떤 비율의 원료 혼합물이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현저하게 유도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조건으로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HFDPC를 96웰 플레이트에 2x104의 수만큼 분주한 후, 37°C,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은 배지와 0.5ppm의 18β-글리시레틴산(β-GA), 20ppm의 D-판테놀, 20ppm의 멘톨, 20ppm의 나이아신아마이드, 6.7ppm의 D-판테놀과 6.7ppm의 멘톨과 6.7ppm의 나이아신아마이드(농도비 1:1:1)의 혼합물, 그리고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한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혼합 용액(syn 6)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해 준 다음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하고 Dulbecco's 인산염완충식염수(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DPBS)를 이용한 워싱 과정을 1회 거친 다음 각 웰당 500μl의 0.5mg/mL MTT 테트라졸륨 (Sigma-aldrich, St. Louis, USA)를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하고 37°C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빅터 3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사용한 혼합 용액의 조성을 표 3에 나타내었으며, 모발 발육 촉진제로 알려진 10ppm의 미녹시딜(Minoxidil: MXD)을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세포의 생존율은 아무 것도 포함하지 않은 배지를 처리한 경우를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이의 평균 흡광도 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HFDPC 증식능을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미녹시딜 | 18β-글리시레틴산 | D- 판테놀 | 멘톨 | 나이아신 아마이드 |
|
MXD | 10ppm | - | - | - | - |
β-GA | - | 0.5ppm | - | - | - |
판테놀 | - | - | 20ppm | - | - |
멘톨 | - | - | - | 20ppm | - |
나이아신 아마이드 |
- | - | - | - | 20ppm |
고시원료 혼합물(판테놀+ 멘톨+나이아신아마이드) |
- | - | 6.7ppm | 6.7ppm | 6.7ppm |
Syn6 | - | 0.165 ppm | 4.44ppm | 4.44ppm | 4.44ppm |
도 5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용액 미처리군인 음성 대조군 대비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의 단일성분을 처리한 군과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혼합물(고시원료 혼합물)을 처리한 군에서 세포 증식이 일정한 정도로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특정 비율로 혼합한 Syn6을 처리한 군에서는 양성 대조군과 비슷한 정도의 HFDPC 세포 증식능 촉진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상기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혼합 용액을 처리한 군에서 우수한 세포 증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혼합군(Syn 6)은 18β-글리시레틴산 및 D-판테놀의 개별 처리군의 처리 용량인 20ppm보다 작은 용액 함량을 처리한 경우임을 고려해 볼 때 최적 농도비의 혼합 용액에서 나타나는 우수한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더 추가한 경우 혼합용액의 HFDPC 성장인자(VEGF 및 FGF7) 발현 증가 효능 평가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더 추가한 경우에 모유두세포의 증식이 더 증가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8β-글리시레틴산 용액,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과 이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모발 생장을 유도하는 성장인자인 VEGF 및 FGF7의 발현이 유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을 수행하였다. 인간모유두세포(HFDPC)를 6웰 플레이트에 3x105 세포/웰씩 분주한 후, 세포 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이후 배지를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배지 보충물을 포함하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여 세포를 기아 상태로 만들어 준 후, 다음날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은 배지와 0.5ppm의 18β-글리시레틴산(β-GA), 20ppm의 D-판테놀, 20ppm의 멘톨, 20ppm의 나이아신아마이드, 6.7ppm의 D-판테놀과 6.7ppm의 멘톨과 6.7ppm의 나이아신아마이드(농도비 1:1:1)의 혼합물, 그리고 특정 비율로 혼합한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혼합 용액(syn 6)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해 준 다음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이 후, RNeasy Mini Kit(Qiagen)을 이용하여 세포에서 RNA를 분리한 뒤, 나노드롭(nanodrop)을 이용하여 260nm에서 RNA를 정량 한 후, 각각 2㎍의 RNA를 사용하여 증폭기(C1000 Thermal Cycler, Bio-Rad, 미국)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에 타겟 단백질인 VEGF, FGF7 프라이머와 시아닌 염료인 사이버그린(SYBR Green supermis, Applied Biosystems, 미국)을 첨가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real-time PCR 기계에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VEGF, FGF7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프라이머의 서열과 반응 조건은 상기 표 3과 같으며, 유전자의 발현량은 β-actin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VEGF 유전자 발현 정도는 도 6에 나타내었고, FGF7 유전자의 발현 정도는 도 7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혼합 용액의 조성을 표 3에 나타내었으며, 모발 발육 촉진제로 알려진 10ppm의 미녹시딜(Minoxidil: MXD)을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아무 것도 포함하지 않은 배지를 처리한 경우를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도 6 및 도 7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용액 미처리군인 음성 대조군 대비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의 단일 성분을 처리한 군과 고시원료 혼합물을 처리한 군에서 성장 인자 증식이 일정 정도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특정 농도 비율로 혼합한 Syn6을 처리한 군에서는 양성 대조군 대비 현저히 우수한 정도의 VEGF 및 FGF7 유전자 발현 촉진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상기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혼합 용액을 처리한 군에서 우수한 모발 생장을 유도하는 성장인자인 VEGF 및 FGF7의 발현 유도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상기 혼합군(Syn 6)은 18β-글리시레틴산 및 D-판테놀의 개별 처리군의 처리 용량인 20ppm보다 작은 용액 함량을 처리한 경우임에도 성장인자 VEGF가 평균적으로 5배 이상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8β-글리시레틴산, 상기 혼합군(Syn 6)은 18β-글리시레틴산 및 멘톨의 개별 처리군의 처리 용량인 20ppm보다 작은 용액 함량을 처리한 경우임에도 성장인자 FGF7이 평균적으로 6배 이상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기에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멘톨 및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혼합물로 발생하는 현저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10> Cosmax INC.
<120> Cosmetic composition for strengthening hair bulb comprising
mixture of 18 beta-Glycyrrhetic acid, D-panthenol and Menthol as
effective component
<130> pn127199
<160> 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ward primer sequence of VEGF
<400> 1
gtgcccactg aggagttcaa c 21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VEGF
<400> 2
ccctatgtgc tggccttgat 20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ward primer sequence of FGF7
<400> 3
tcctgccaac tttgctctac a 21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FGF7
<400> 4
cagggctgga acagttcaca t 21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sequence of beta-actin
<400> 5
ggccatctct tgctcgaagt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sequence of beta-actin
<400> 6
gagaccttca acaccccagc 20
Claims (13)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 을 1 : 5 내지 60 : 5 내지 60의 농도(w/v)비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상기 조성물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 을 1 : 5 내지 60 : 5 내지 60의 농도(w/v)비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삭제
삭제
청구항 1에 있어서,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멘톨(Menthol)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1 : 25 내지 40 : 25 내지 40: 25 내지 40의 농도(w/v)비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8β-글리시레틴산은 물, 탄소수 1 내지의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용해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간 모유두세포(Human Follicular Dermal Papilla Cells: HFDPC)를 증식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관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7(Fibroblast growth factor7: FGF7)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샴푸, 클렌져,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헤어팩, 린스, 두피팩, 토닉, 에센스, 로션, 크림, 오일, 미스트, 스프레이, 또는 헤어젤 제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 을 1 : 5 내지 60 : 5 내지 60의 농도(w/v)비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상기 조성물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 을 1 : 5 내지 60 : 5 내지 60의 농도(w/v)비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 을 1 : 5 내지 60 : 5 내지 60의 농도(w/v)비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상기 조성물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 을 1 : 5 내지 60 : 5 내지 60의 농도(w/v)비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 을 1 : 5 내지 60 : 5 내지 60의 농도(w/v)비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상기 조성물은 18β-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D-판테놀(Panthenol), 및 멘톨(Menthol) 을 1 : 5 내지 60 : 5 내지 60의 농도(w/v)비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6570A KR102102578B1 (ko) | 2019-06-26 | 2019-06-26 |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CN202010556154.4A CN112137910A (zh) | 2019-06-26 | 2020-06-17 | 一种用于强化毛根的化妆品组合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6570A KR102102578B1 (ko) | 2019-06-26 | 2019-06-26 |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2578B1 true KR102102578B1 (ko) | 2020-04-21 |
Family
ID=7045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6570A KR102102578B1 (ko) | 2019-06-26 | 2019-06-26 |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2578B1 (ko) |
CN (1) | CN112137910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15055A1 (ko) * | 2020-07-14 | 2022-01-2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KR102386625B1 (ko) * | 2021-04-16 | 2022-04-14 | (주)바이오신펩 |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WO2023043111A1 (ko) | 2021-09-14 | 2023-03-23 | 코스맥스 주식회사 | 두피 마이크로바이옴 콤플렉스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
KR102516717B1 (ko) | 2022-09-05 | 2023-03-30 | 주식회사 크로파세 | 판테놀 및 니오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20230089726A (ko) * | 2021-12-14 | 2023-06-21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멘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22378A (ko) | 2011-01-31 | 2014-02-24 | 가부시끼가이샤 기꾸보시 |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 |
KR20140141274A (ko) * | 2013-05-31 | 2014-12-10 | 주식회사 씨엘디 테크놀러지 |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
KR101509608B1 (ko) * | 2014-12-29 | 2015-04-07 | 비오엠코스메틱 주식회사 |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
KR20150066811A (ko) | 2013-12-09 | 2015-06-1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KR20170045275A (ko) * | 2014-10-31 | 2017-04-26 | 가부시키 가이샤 파마푸즈 | 발모 및 육모 촉진제 및 이들의 이용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79439A (ja) * | 1997-03-31 | 1998-10-20 | Kureha Chem Ind Co Ltd | 発毛育毛剤 |
CN101160114B (zh) * | 2004-12-29 | 2013-02-06 | 株式会社·R-技术上野 | 头皮和毛发处理组合物及方法 |
JP2007169233A (ja) * | 2005-12-26 | 2007-07-05 | Lion Corp | 養育毛剤組成物 |
-
2019
- 2019-06-26 KR KR1020190076570A patent/KR1021025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6-17 CN CN202010556154.4A patent/CN112137910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22378A (ko) | 2011-01-31 | 2014-02-24 | 가부시끼가이샤 기꾸보시 |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 |
KR20140141274A (ko) * | 2013-05-31 | 2014-12-10 | 주식회사 씨엘디 테크놀러지 |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
KR20150066811A (ko) | 2013-12-09 | 2015-06-1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양모ㆍ육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KR20170045275A (ko) * | 2014-10-31 | 2017-04-26 | 가부시키 가이샤 파마푸즈 | 발모 및 육모 촉진제 및 이들의 이용 |
KR101509608B1 (ko) * | 2014-12-29 | 2015-04-07 | 비오엠코스메틱 주식회사 |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15055A1 (ko) * | 2020-07-14 | 2022-01-2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KR20220008790A (ko) * | 2020-07-14 | 2022-01-2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KR102675966B1 (ko) * | 2020-07-14 | 2024-06-1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KR102386625B1 (ko) * | 2021-04-16 | 2022-04-14 | (주)바이오신펩 |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WO2023043111A1 (ko) | 2021-09-14 | 2023-03-23 | 코스맥스 주식회사 | 두피 마이크로바이옴 콤플렉스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
KR20230089726A (ko) * | 2021-12-14 | 2023-06-21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멘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
KR102717256B1 (ko) | 2021-12-14 | 2024-10-14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멘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
KR102516717B1 (ko) | 2022-09-05 | 2023-03-30 | 주식회사 크로파세 | 판테놀 및 니오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2137910A (zh) | 2020-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2578B1 (ko) |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30022471A (ko) |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493443B1 (ko) | 친환경 천연 공융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330889B1 (ko) |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 |
KR101698922B1 (ko) |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 |
KR102144568B1 (ko) | 상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 |
JP5329830B2 (ja) | Scf分泌抑制剤、及び皮脂分泌抑制剤 | |
KR102719515B1 (ko) |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 |
KR102675966B1 (ko) |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
KR20210058772A (ko) |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
EP3357486B1 (en) | Hair restoration and/or hair growth promoting composition containing soyasaponin | |
KR20140056990A (ko) |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
KR102708620B1 (ko) |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 |
KR20150117609A (ko) | 니코틴산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인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제 | |
CN112584820A (zh) | 含有百里香复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湿用化妆品组合物 | |
KR20230024456A (ko) | 인삼 열매와 녹용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 |
KR20210104608A (ko) |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 |
EP4183404A1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extract of above-ground part of carrots | |
KR20220096261A (ko) |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 |
KR20210086456A (ko) | 에스신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
KR102691624B1 (ko) | 카르니틴, 아르기닌, 크레아틴, 및 비타민 c 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 | |
WO2007032561A1 (ja) | 新規血管内皮増殖因子発現阻害剤 | |
KR102703532B1 (ko) | 디하이드로에보디아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681157B1 (ko) | 아미노산을 이용한 식물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 |
KR102602321B1 (ko) |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