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608A -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608A
KR20210104608A KR1020210104061A KR20210104061A KR20210104608A KR 20210104608 A KR20210104608 A KR 20210104608A KR 1020210104061 A KR1020210104061 A KR 1020210104061A KR 20210104061 A KR20210104061 A KR 20210104061A KR 20210104608 A KR20210104608 A KR 20210104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loss
composition
extract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372B1 (ko
Inventor
김정은
박철승
김도익
구희연
김현진
이유범
김성연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210104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37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탈모를 억제 및 예방하며 육모를 촉진하는 효능이 인정되므로, 약학, 화장품, 식품, 의약외품 및 미용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extract pupae of male bees}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두피로부터 모발이 빠지는 탈모증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유전적인 체질이나 남성 호르몬의 작용과 같은 내적인 요인 또는 일상 생활에서의 정신적인 스트레스, 두피에서의 과산화지질의 축적과 같은 외적인 요인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복잡하게 관여하여 탈모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남성형 탈모뿐만 아니라 여성들의 비만성 탈모를 비롯하여 젊은 층에서의 탈모가 점차 확산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탈모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모발성장 또는 육모제가 시판되고 있다.
모발 성장은 생장기 (anagen phase), 퇴행기 (catagen phase) 및 휴지기 (telogen phase)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생장기에는 모낭의 기저부위인 모구에서 활발한 세포 분열이 일어남으로써 모발이 계속 성장하지만, 퇴행기에는 모구가 급속도로 위축되며 모낭의 생장활동이 정지되어 가고, 휴지기에는 모낭의 생장활동이 완전히 정지되게 된다. 이때, 휴지기 모낭의 기저부에서는 새로이 생장기 모발이 형성되며, 기존의 휴지기 모발은 새로 나온 생장기 모발에 의해서 밀려 탈리되거나 또는 빗질과 같은 기계적 작용에 의해서 탈리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탈모방지 및 양모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휴지기에서 생장기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생장기 유도 효과 및 생장기에서 퇴행기로의 전환을 지연시키는 퇴행기 억제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시판중인 모발성장 또는 육모제에 사용되는 주요 성분으로는 두피에 충분한 혈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염화카프로니움, 미녹시딜 등의 혈관 확장제나 모유두(毛乳頭)에 부착하여 모발을 탈락시키는 남성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에스트로겐, 에스트라지올, 프로게스테론 등의 여성 호르몬제 또는 펜타데칸산, 피나스테라이드 등의 남성 호르몬 활성화 억제제가 있다. 예를 들면, 미국의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탈모치료제로 허가받은 약물은 두 종류로, 바르는 치료제인 미녹시딜은 혈관 확장작용에 의한 것이고 경구용인 프로페시아는 피나스테라이드를 주제로 한 남성 호르몬의 활성화 억제작용에 의해 탈모방지 효과가 우수한 제제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미녹시딜의 경우, 원재료를 전량 해외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흡수에 장시간이 소요되며, 사용 중단시 탈모가 재발되고, 탈모가 완전히 진행된 이후에는 치료 효과가 거의 없다는 단점이 있고, 프로페시아는 성인 남성에게만 처방되어 정자수 감소 및 성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보고되고 있는 등, 기존 제품들의 심각한 문제점들이 부각되고 있다. 더욱이, 기존의 탈모치료제 대부분의 작용기전이 남성 호르몬과 깊은 연관성을 갖기 때문에, 여성에게는 효능이 나타나지 않거나, 기형아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중대한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서, 육모촉진 및 탈모예방을 위한 천연성분에 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31965호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수벌번데기"는 학명이 Apis mellifera인 서양종꿀벌을 이용하여 16~20일령 수벌번데기를 2016년 4월부터 9월초까지 생산하여 얻은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의 건조는 수벌번데기로부터 유용한 성분들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지에서 자연건조의 방법으로 진행되거나, 동결건조 또는 드라이 오븐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파쇄 또는 분쇄는 이후 추출과정에서 수벌번데기의 유용한 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될 수 있을 정도로 파쇄 또는 분쇄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건조와 파쇄 또는 분쇄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순서를 뒤바꿔서 진행하거나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벌번데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벌번데기 5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탈모"는 두피로부터 모발이 탈락하는 현상 또는 모발이 성기거나 가늘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탈모 방지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은 탈모 현상을 예방하고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육모 촉진이라 함은 새로운 모발의 생성의 촉진뿐만 아니라 기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육모는 성장기에서 이루어지며, 휴지기에서 성장기로의 유도 및 성장기에서 퇴행기로의 지연에 의하여 촉진된다. 모발주기는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로 알려져 있는 3개의 주요 단계들로 나눌 수 있다. 성장기에는 세포의 빠른 증식과 함께 피부 안으로 깊이 모낭이 성장하면서 모발형성이 이루어진다. 다음 현상은 퇴행기인데 이것은 세포 분열의 중단이 두드러지는 과도기이며, 이 과정에서 모낭은 점차 퇴행하며 육모가 중단된다. 다음 현상인 휴지기에서는 퇴행 모낭은 조밀하게 찬 모유두(dermal papilla) 세포를 갖는 배(germ)를 포함한다. 휴지기에서 새로운 성장기 현상의 개시는 상기 배에서 빠른 세포 증식, 모유두의 팽창 및 기저막 요소의 합성에 의해 유도된다.
따라서, 성장기의 촉진 또는 연장에 의해 모발의 손실 방지, 즉 탈모를 방지하거나 모발의 재성장을 유발, 즉 육모를 촉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모발이 빠지지 않게 하는 효과, 이미 존재하는 모발을 굵게 하는 등 개선시키는 효과, 및 새로운 모발을 생성하는 효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는 모낭의 기저에 위치한 중배엽유래의 섬유아세포로서, 모낭의 모기질 세포와 상호작용을 통해 모발의 성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Jahoda CA, et al., 1984; Oliver RF, et al., 1986). 또한, Type 2 5α-reductase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는 탈모환자에서 DHT를 감소시켜 탈모를 개선시킨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으며 (Van Neste et al., 2000), 이러한 사실은 5α-reductase가 탈모 치료를 위한 중요한 target임을 말해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수벌번데기 추출물이 인간모유두세포인 HFDPC(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에서 남성형탈모를 유발시키는 DHT(5α-dihydrotestosterone) 처리에 의해 감소된 모유두 세포의 성장을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벌번데기 추출물이 모발성장에 관여하는 cAMP 활성과 IGF-1 생성을 회복시키고 TGF-β1 생성을 억제하여 남성형 탈모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LPS를 처리하여 염증형 탈모를 유도한 모모세포(HaCaT)에서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세포사멸 억제율이 23.6%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의 발현을 억제하고, 모낭의 세포사를 유도하는 caspase-3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성 탈모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모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사분열억제제(TBM, tolbutamide)를 섬유아세포(NIH3T3)에 처리한 후,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섬유아세포(NIH3T3)의 세포사멸 억제율이 25.9%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수벌번데기 추출물이 양모효능과 관련된 collagen type Ⅰ의 생성을 증가시켜 양모(육모) 촉진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모유두세포, 모모세포, 섬유화세포를 활성화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성장을 유도할 수 있으며, 남성형 탈모, 염증성 탈모를 억제하고 양모(육모) 촉진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수벌번데기 추출물이 DPPH와 ABS 라디칼을 소거하는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 역시 가진다.
상기 수벌번데기 추출물은 총 약학적 조성물 중량 대비 0.00001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0.002 중량% 내지 3 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트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적,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외용제 제형으로 피부에 국소적으로 직접 투여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을 들 수 있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국소형 제형 예컨대 크림, 로션, 연고(반고형의 외용약), 마이크로에멀젼, 젤, 페이스트, 경피제제(TTS)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 또는 두피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모발이란, 머리의 모근 및 모낭, 머리카락 및 속눈썹과 겉눈썹, 수염, 겨드랑이, 음모, 신체 전반에 모근 및 모낭이 있는 모든 부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투여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수벌번데기", "추출물", "탈모", "육모"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외용제"는 외용으로 제공되는 제제이고, 외용산제, 외용정제, 외용액제, 연고제, 경고제, 좌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특히 피부 외용에 작용하는 제제는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제제화된 비경구 투여제일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패치, 스프레이, 현탁제 및 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외용제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각 제형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을 기타 피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 대비 유효성분을 0.0001 내지 30%(w/v)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0.0001 %(w/v) 미만으로 포함되면, 탈모 방지 효과를 실질적으로 기대할 수 없다. 반면, 30 %(w/v)을 초과하며 포함할 경우에는 용제로의 용해성 등 조성물의 전체적인 가공성이 떨어져 제형 등 각종 용도로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다른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수벌번데기", "추출물", "탈모", "육모"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두피 모발케어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두피 모발케어 조성물"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두피 및 모발의 손상을 방지 또는 완화해주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샴푸, 린스, 에센스, 영양제, 세럼, 마사지크림, 로션 또는 팩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바르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고, 마이크로 니들 등을 이용하여, 피부 내부로 흡수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폼(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에 도포하기에 적당한 캐리어 또는 캐리어 혼합물을 포함하여 모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캐리어는 용매와 다른 캐리어 또는 모발 보호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히클(vehicle)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은 탈모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9 중량 %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탈모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수벌번데기", "추출물", "탈모", "육모"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의약외품의 제형으로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눈썹발모제, 속눈썹 발모제, 속눈썹 영양제, 또는 애완동물용 샴푸 및 애완동물용 린스 등과 같이 용액,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에어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가발 또는 모자 등의 두피 또는 모발용 기구의 제조나 가공에 사용될 수 도 있으며,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수벌번데기", "추출물", "탈모", "육모"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수벌번데기 추출물이외에도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있으며,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등), 스테비아 추출물(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원료 조성물 중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탈모를 억제 및 예방하며 육모를 촉진하는 효능이 인정되므로, 약학, 화장품, 식품, 의약외품 및 미용 등의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수벌번데기 추출 과정을 나타낸다.
도 2는 HFDPC 세포독성시험 결과이다.
도 3은 수벌번데기 추출물과 DHT 동시처리시 HFDPC 세포증식율을 나타낸다.
도 4는 HaCaT 세포독성시험 결과이다.
도 5는 수벌번데기 추출물과 LPS 동시처리시 HaCaT 세포증식율을 나타낸다.
도 6은 NIH3T3 세포독성시험 결과이다.
도 7은 수벌번데기 추출물과 TBM 동시처리시 NIH3T3 세포증식율을 나타낸다.
도 8은 HFDPC 세포에 DHT와 수벌번데기 추출물 동시처리시 cAMP 활성 회복을 나타낸다.
도 9는 HFDPC 세포에 DHT와 수벌번데기 추출물 동시처리시 TGF-β1 생성 억제를 나타낸다.
도 10은 HFDPC 세포에 DHT와 수벌번데기 추출물 동시처리시 IGF-1 생성 회복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HaCaT 세포에 LPS와 수벌번데기 추출물 동시처리시 TNF-α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HaCaT 세포에 LPS와 수벌번데기 추출물 동시처리시 IL-6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HaCaT 세포에 LPS와 수벌번데기 추출물 동시처리시 caspase-3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수벌번데기 추출물과 TBM 동시처리시 collagen type 1 생성 회복 효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피험자 두피 상태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4> 수벌번데기 추출물 제조
실시예 1
전라남도 곤충잠업연구소에서 사육중인 서양종꿀벌을 이용하여 16~20일령 사이의 수벌번데기를 2016년 4월부터 9월초까지 생산하여 동결건조하였으며 가정용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수벌번데기 분말을 얻었다. 이후, 상기 수벌번데기 분말 100g에 50% 에탄올 용매 2L를 넣고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 추출하였다. 이후 상기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다시 여과된 추출물에 50% 에탄올 용매 2L를 넣고 24시간 동안 4℃에서 반복하여 교반 추출하였다. 이후,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으며,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수벌번데기 5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70% 에탄올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벌번데기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00% 에탄올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벌번데기 10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물(증류수)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벌번데기 물(증류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방법>
1.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1-1. DPPH scavenging activity(%) 측정
시험용액 조제는 건조한 시료에 각각의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40 mg/mL의 농도로 제조한 후 0.45 μm syringe filter로 여과하였다. 여과한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고 대조군으로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0.1 mM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solution을 제조하여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농도별 시험용액 10μL에 0.1 mM DPPH solution 190 μL를 혼합하여 빛이 차단된 상태로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30분 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시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시험용액을 3번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1-2.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7 mM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 sulphonic acid)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를 암소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켜 ABTS working solution을 준비하였다. 준비한 ABTS working solution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10분간 정치한 후 734 nm에서 흡광도가 0.80±0.02가 되도록 조정하여 준비하였다.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농도별 시험용액 10 μL에 ABTS working solution 190μ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동일한 시험용액을 3번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2. 남성형 탈모예방 효능평가
2-1. 세포배양
HFDPC(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는 Promo cell에서 구입하였으며, 전용배지인 Follicle Dermal Papillar Cell Growth Medium(Ready-to-use)(Cat. No. C-26501)을 3일에 한번씩 계대배양 하였다. 세포는 5% CO2가 유지되는 37℃ incubator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2-2. 세포독성시험(MTS assay)
96-well plate에 HFDPC 세포는 1x104cells/ml의 농도로 seeding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료를 농도별(0, 50, 100, 200ug/ml)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에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Reagent (MTS) (Promega, USA) 10㎕를 첨가하여 37℃ incubator에서 2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Microplate reader (EPOCH2, BioTek,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무처리군의 세포 생존률 대비 각 농도별 세포 생존률을 구하였다.
2-3. 세포증식 효능시험(MTS assay)
세포독성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를 배양하여 시료를 농도별(0, 50, 100, 200㎍/ml)로 처리하고 동시에 DHT(5α-dihydrotestosterone)를 10-5M(=10μM)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 후에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Reagent (MTS) (Promega, USA) 10uL를 첨가하여 37℃ incubator에서 2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Microplate reader (EPOCH2, BioTek,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무처리군의 세포 생존률 대비 각 농도별 세포 생존률을 구하였다.
2-4. 모발성장인자 전사체 발현 시험(TGF-β1, IGF-1, cAMP)
6-well plate 에 HFDPC를 1ⅹ106cells/ml의 농도로 seeding하고 well의 세포가 80~90%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10-5M(=10μM)의 DHT(5α-dihydrotestosterone)가 포함된 배지에 시료를 농도별(0, 50, 100, 200㎍/ml)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에 세포 및 배지를 수거하였다. 세포는 Trizol reagent(Invitrogen, USA)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total RNA는 Microplate reader (EPOCH2, BioTek, USA)를 이용하여 260nm및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RT-qPCR은 AccuPower2X GreenStarTM qPCR Master Mix(BioNeer)를 사용하여 Real-time PCR machine(Applied Biosystems, Thermo)을 이용하여 amplification (denaturation: 95℃에서 15초, annealing : 54℃에서 15초, extension: 72℃에서 15초, 40cycle)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로 얻어진 C(t)값은 GADPH의 C(t)값으로 보정하여 음성대조군 대비 유전자 발현량을 상대 정량하였다. PCR에 사용된 primer는 표 1과 같다.
3. 염증성 탈모예방 효능평가
3-1. 세포배양
HaCaT(Human Keratinocyte)는 ATCC (ATCC, USA)를 통해 구입하였으며 10% FBS(fetal bovine serum; Hyclone) 및 1% penicillin-streptomycin(Sigma Aldrich, St. Louis, MO, USA)가 포함된 DMEM 배지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Hyclone, Dallas, TX, USA)에 3일에 한번씩 계대배양하였다. 세포는 5% CO2가 유지되는 37℃ incubator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3-2. 세포독성시험(MTS assay)
96-well plate에 HaCaT 세포는 1x104cells/ml의 농도로 seeding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료를 농도별(0, 500, 1000, 2000㎍/ml)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에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Reagent (MTS) (Promega, USA) 10uL를 첨가하여 37℃ incubator에서 2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Microplate reader (EPOCH2, BioTek,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무처리군의 세포 생존률 대비 각 농도별 세포 생존률을 구하였다.
3-3. 세포증식 효능시험(MTS assay)
세포독성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를 배양하여 시료를 농도별(0, 500, 1000, 2000㎍/ml)로 처리하고 동시에 LPS(Lipopolysaccharide)를 400ng/ml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 후에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Reagent (MTS) (Promega, USA) 10uL를 첨가하여 37℃ incubator에서 2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Microplate reader (EPOCH2, BioTek,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무처리군의 세포 생존률 대비 각 농도별 세포 생존률을 구하였다.
3-4. 모낭세포 파괴 관련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시험(Caspase-3, IL-6, TNF-α)
6-well plate 에 HaCaT를 1ⅹ106cells/ml의 농도로 seeding하고 well의 세포가 80~90%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400ng/ml의 LPS(Lipopolysaccharide)가 포함된 배지에 시료를 농도별(0, 500, 1000, 2000㎍/ml)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에 세포 및 배지를 수거하였다. 세포는 Trizol reagent(Invitrogen, USA)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total RNA는 Microplate reader (EPOCH2, BioTek, USA)를 이용하여 260nm및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RT-qPCR은 AccuPower 2X GreenStarTM qPCR Master Mix(BioNeer)를 사용하여 Real-time PCR machine(Applied Biosystems, Thermo)을 이용하여 amplification (denaturation: 95℃에서 15초, annealing : 54℃에서 15초, extension: 72℃에서 15초, 40cycle)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로 얻어진 C(t)값은 GADPH의 C(t)값으로 보정하여 음성대조군 대비 유전자 발현량을 상대 정량하였다. PCR에 사용된 primer는 표 1과 같다.
4. 양모 효능평가
4-1. 세포배양
NIH3T3(Mouse fibroblast cell)는 ATCC (ATCC, USA)를 통해 구입하였으며 10% FBS(fetal bovine serum; Hyclone) 및 1% penicillin-streptomycin(Sigma Aldrich, St. Louis, MO, USA)가 포함된 DMEM 배지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Hyclone, Dallas, TX, USA)에 3일에 한번씩 계대배양 하였다. 세포는 5% CO2가 유지되는 37℃ incubator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4-2. 세포독성시험(MTS assay)
96-well plate에 NIH3T3 세포는 1x104cells/ml의 농도로 seeding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료를 농도별(0, 100, 200, 400ug/ml)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에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Reagent (MTS) (Promega, USA) 10uL를 첨가하여 37℃ incubator에서 2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Microplate reader (EPOCH2, BioTek,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무처리군의 세포 생존률 대비 각 농도별 세포 생존률을 구하였다.
4-3. 세포증식 효능시험(MTS assay)
세포독성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를 배양하여 시료를 농도별(0, 100, 200, 400㎍/ml)로 처리하고 동시에 TBM(Tolbutamide)를 410mM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 후에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Reagent (MTS) (Promega, USA) 10uL를 첨가하여 37℃ incubator에서 2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Microplate reader (EPOCH2, BioTek,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무처리군의 세포 생존률 대비 각 농도별 세포 생존률을 구하였다.
4-4. 양모관련 인자 발현 시험(collagen type Ⅰ)
6-well plate 에 NIH3T3를 1ⅹ106cells/ml의 농도로 seeding하고 well의 세포가 80~90%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410mM의 TBM(Tolbutamide)가 포함된 배지에 시료를 농도별(0, 100, 200, 400㎍/ml)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에 세포 및 배지를 수거하였다. 세포는 Trizol reagent(Invitrogen, USA)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total RNA는 Microplate reader (EPOCH2, BioTek, USA)를 이용하여 260nm및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RT-qPCR은 AccuPower 2X GreenStarTM qPCR Master Mix(BioNeer)를 사용하여 Real-time PCR machine(Applied Biosystems, Thermo)을 이용하여 amplification (denaturation: 95℃에서 15초, annealing : 54℃에서 15초, extension: 72℃에서 15초, 40cycle)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로 얻어진 C(t)값은 β-actin의 C(t)값으로 보정하여 음성대조군 대비 유전자 발현량을 상대 정량하였다. PCR에 사용된 primer는 표 1과 같다.
탈모예방 효능 평가용 Primer 서열
Gene Sequence for Primers (5'-3')
TGF-β1 Forward GGC TAC TTT GCC AAC TAC TGC
Reverse CTG CTC CAC CTT GTG TTG C
IGF-1 Forward TCG CAT CTC TTC TAT CTG GCC CTG T
Reverse GCA GTA CAT CTC CAG CCT CCT CAG A
cAMP Forward GCA CAG GAG CAC AAC ATC AG
Reverse CTC ATC TAC GTG CTC ATC GTG
caspase-3 Forward CTG CTG GGG ATG GCC ACT GTG
Reverse TCG CCT CGA GGA CAT CGC TCT C
IL-6 Forward GGA GAC TTG CCT GGT GAA AA
Reverse GTC AGG GGT GGT TAT TGC AT
TNF-α Forward CGG GCA GGT CTA CTT TGG AG
Reverse CAG GTC ACT GTC CCA GCA TC
GADPH Forward CCA GGC GCC CAA TAC G
Reverse CCA CAT CGC TCA GAC ACC AT
collagen type Ⅰ(mouse) Forward AGC TTT GTG GAT ACG CGG AC
Reverse TAG GCA CGA AGT TAC TGC AAG
β-Actin(mouse) Forward GAA GCT GTG CTA TGT TGC TCT A
Reverse ATG CCA CAG GAT TCC ATA CCC
5. 자료의 통계처리
실험에서 얻어진 모든 자료들은 평균과 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SPSS (SPSS Version 20.0 Inc. U.S.A.)를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실시 (유의수준: 0.05)한 결과, 유의성이 관찰되면control group에 대한 각 시험 군간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Dunnett's t-test의 다중검정을 실시하였다(유의수준: 단측 0.05). in vitro tyrosinase inhibition assay 결과는 시험군간 차이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유의수준: 양측 0.05).
<실험결과>
<실험예 1>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수벌번데기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아래 표 2 및 3과 같이 항산화 효과(DPPH, ABTS 라디칼 소거능)를 시험한 결과, 물과 5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에서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실험예 2>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세포증식 효과
상기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기 도 2 내지 4와 같이 모유두세포(HFDPC), 모모세포(HaCaT) 및 쥐섬유아세포(NIH3T3) 배양시험 결과, 모유두세포(HFDPC)에서 200㎍/ml까지, 모모세포(HaCaT)에서 2000㎍/ml까지, 쥐섬유아세포(NIH3T3)에서 100㎍/ml까지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내지 4).
DHT(5α-dihydrotestosterone)를 처리하여 남성형 탈모를 유도한 모유두세포(HFDPC)에서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세포사멸 억제율이 3.3% 정도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또한, LPS를 처리하여 염증형 탈모를 유도한 모모세포(HaCaT)에서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세포사멸 억제율이 23.6%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또한, 양모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사분열억제제(TBM, tolbutamide)를 섬유아세포(NIH3T3)에 처리하였으며,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섬유아세포(NIH3T3)의 세포사멸 억제율이 25.9%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수벌번데기 추출물이 남성형 탈모, 염증성 탈모를 개선하며, 양모 효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두피세포에서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남성형 탈모관련 전사체 발현분석
도 8 내지 10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대상으로 남성형 탈모 억제 관련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인간모유두세포인 HFDPC(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에 남성형탈모를 유발시키는 DHT(5α-dihydrotestosterone)를 처리하고 동시에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배양액에 첨가하여 배양한 후 모발성장에 관여하는 cAMP 활성, IGF-1 생성과 TGF-β1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수벌번데기 추출물 처리에 의해 모발성장에 관여하는 cAMP 활성과 IGF-1 생성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도 8, 10), TGF-β1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상기 결과를 통해, 수벌번데기 추출물이 모발성장에 관여하는 cAMP 활성과 IGF-1 생성을 회복시키고 TGF-β1 생성을 억제하여 남성형 탈모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두피세포에서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염증성 탈모 억제관련 유전자 발현시험
도 11 내지 13은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대상으로 염증성 탈모 억제 관련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모모세포인 HaCaT(Human Keratinocyte)에 염증을 유발시키는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고 동시에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배양액에 첨가하여 배양한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해당하는 TNF-α와 IL-6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도 11, 도 12), 모낭의 세포사를 유도하는 caspase-3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3).
상기 결과를 통해, 수벌번데기 추출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의 발현을 억제하고, 모낭의 세포사를 유도하는 caspase-3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성 탈모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쥐섬유아세포에서 수벌번데기 추출물의 양모관련 유전자 발현분석
도 14는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대상으로 양모관련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쥐섬유아세포인 NIH3T3(Mouse fibroblast cell)에 유사분열억제제(TBM)를 처리하고 동시에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배양액에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양모효능과 관련된 collagen type Ⅰ의 생성이 회복되는 것을 수벌번데기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수벌번데기 추출물이 양모효능과 관련된 collagen type Ⅰ의 생성을 증가시켜 양모(육모) 촉진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샴푸, 두피토닉 제형의 관능시험 평가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의 탈모완화용 샴푸를 제조하였다.
탈모완화용 샴푸 조성분
제형 1-샴푸
원료명 한글원료명 원료명 한글원료명
Water 정제수 LDE 라우라하이드디이메이
Jaguar C-13S 구이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EGMS 클라이콕스비아레이트
EDTA2Na 디소듐이디티에이 EtOH 에탄올
Kathon CG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디칠이소치아졸리논
OriStar Propolis 프로폴리스추출물
Glycerin 글리세린 CS-770 디에치콘
리우레스-3
라우레스-20
M-550 폴리쿼터늄-7 pf Lavender oil 라벤더오일
A-428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CM10 ex 서양장미꽃추출물
캐모마일
자스민
로즈힙열매
히비스커스꽃추출물
귤껍질
삼백초
어성초
밤껍질
퉁퉁마디
1ea-525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보기단 인삼추출물
맥문동
질경
감초
황기
생강
Mitain CA 코카이도프로필베타인 DL-Panthenol 판테놀
LES Na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수벌번데기 50% 에탄올 추출물
하기 표 5와 같은 조성의 탈모완화용 두피토닉을 제조하였다.
탈모완화용 두피토닉 조성분
제형 2-두피토닉
원료명 한글원료명 원료명 한글원료명
water 정제수 Apcide-700 황귤나무씨추출물
창포추출물
들깨잎추출물
Tyhol-5 벤조페논-5 MIP-9 1,2-헥산디올
PG 프로필렌글라이콜 1% Red 2 적색2호
CM10 Complex 서양장미꽃추출물
캐모마일
자스민
로즈힙열매
히비스커스꽃추출물
귤껍질
삼백초
어성초
밤껍질
퉁퉁마디
EtOH 에탄올
보기단 인삼추출물
맥문동
질경
감초
황기
생강
OriStar Propolis 프로폴리스
추출물
Copper peptide-1 카퍼트리펩타이드-1 수벌번데기 50% 에탄올 추출물
표 6에서, 샴푸닉 제형의 관능시험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 6과 같이, 샴푸에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1 중량% 포함하는 경우 관능시험 결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5
표 7에서, 두피토닉 제형의 관능시험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 7과 같이, 두피토닉에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1 중량% 포함하는 경우 관능시험 결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6
<실험예 7> 샴푸, 두피토닉 제형의 두피 상태 및 모발두께, 밀도 측정
다음으로, 피험자의 두피 상태 및 모발두께,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벌번데기 50%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샴푸와 두피토닉을 사용한 결과, 4주 경과 후부터는 모발두께와 모발 밀도가 사용 전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수벌번데기 추출물이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표 8 및 도 15).
피험자의 모발두께, 밀도
4주 8주 16주
모발두께(mm) 0.049±0.021 0.066±0.015 0.052±0.006 0.056±0.002
모발밀도(Hairs/㎠) 70.00±12.75 83.00±11.51 85.00±28.94 85.00±29.15

Claims (7)

  1.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탈모는 남성형 탈모 또는 염증성 탈모이고,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타입 I(collagen type Ⅰ)의 생성을 증가시켜 육모를 촉진하는 것인,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벌번데기 추출물은 수벌번데기 5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AMP 활성과 IGF-1 생성을 회복시키고 TGF-β1 생성을 억제하여 남성형 탈모를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의 발현을 억제하고, 모낭의 세포사를 유도하는 카스파제-3(caspase-3)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성 탈모를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탈모는 남성형 탈모 또는 염증성 탈모이고,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타입 I(collagen type Ⅰ)의 생성을 증가시켜 육모를 촉진하는 것인,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5.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상기 탈모는 남성형 탈모 또는 염증성 탈모이고,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타입 I(collagen type Ⅰ)의 생성을 증가시켜 육모를 촉진하는 것인,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6.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의약외품 조성물,
    상기 탈모는 남성형 탈모 또는 염증성 탈모이고,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타입 I(collagen type Ⅰ)의 생성을 증가시켜 육모를 촉진하는 것인,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의약외품 조성물.
  7.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식품 조성물,
    상기 탈모는 남성형 탈모 또는 염증성 탈모이고,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타입 I(collagen type Ⅰ)의 생성을 증가시켜 육모를 촉진하는 것인,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식품 조성물.
KR1020210104061A 2019-08-26 2021-08-06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KR102353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061A KR102353372B1 (ko) 2019-08-26 2021-08-06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496A KR20210025155A (ko) 2019-08-26 2019-08-26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KR1020210104061A KR102353372B1 (ko) 2019-08-26 2021-08-06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496A Division KR20210025155A (ko) 2019-08-26 2019-08-26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608A true KR20210104608A (ko) 2021-08-25
KR102353372B1 KR102353372B1 (ko) 2022-01-20

Family

ID=751796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496A KR20210025155A (ko) 2019-08-26 2019-08-26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KR1020210104061A KR102353372B1 (ko) 2019-08-26 2021-08-06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496A KR20210025155A (ko) 2019-08-26 2019-08-26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251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295B1 (ko) * 2022-10-06 2023-10-12 (주)이엔비리서치 항균성 곤충 분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057A (ko) * 2009-08-21 2011-03-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벌 번데기를 이용한 건강 보조 식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건강 보조식품
KR101431965B1 (ko) 2013-02-26 2014-08-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보볼라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90062691A (ko) * 2017-11-29 2019-06-07 박정우 세리사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057A (ko) * 2009-08-21 2011-03-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벌 번데기를 이용한 건강 보조 식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건강 보조식품
KR101431965B1 (ko) 2013-02-26 2014-08-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보볼라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90062691A (ko) * 2017-11-29 2019-06-07 박정우 세리사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372B1 (ko) 2022-01-20
KR20210025155A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604B1 (ko) 동부 종자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KR10122141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698922B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686008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KR102353372B1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KR102179610B1 (ko) 월견자 및 의이인 정유 혼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54775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506620B1 (ko) 크리소에리올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283012B1 (ko)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438332B1 (ko) 포시티아사이드-에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897720B1 (ko) 갈색거저리 탈지 분획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EP3595627B1 (fr) Association d&#39;extraits aqueux de cresson et de capucine et d&#39;atp dans le traitement de l&#39;alopecie
KR20210131598A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10265299B2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or hair restoration containing psoralidin
JP6607676B2 (ja) Trpv4活性化剤
KR102572769B1 (ko) 초고압 전처리된 메밀새싹 및 캐모마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 자극으로 손상된 두피 케어용 또는 스트레스성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1368B1 (ko) 디다이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JP3647296B2 (ja)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102502972B1 (ko) 시린게틴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588837B1 (ko) 리나린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432873B1 (ko) 인삼 및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602321B1 (ko)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0927B1 (ko) 런시나트사이드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