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604B1 - 동부 종자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부 종자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604B1
KR101906604B1 KR1020127016056A KR20127016056A KR101906604B1 KR 101906604 B1 KR101906604 B1 KR 101906604B1 KR 1020127016056 A KR1020127016056 A KR 1020127016056A KR 20127016056 A KR20127016056 A KR 20127016056A KR 101906604 B1 KR101906604 B1 KR 101906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astern
weight
seed
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5007A (ko
Inventor
필립 므시까
알렉 소냐
소피 르끌레르-비앙페
까롤렝 보두엥
Original Assignee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filed Critical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Publication of KR2012010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4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tan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부 종자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학적, 약학적, 피부과학적 또는 기능식품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부 종자 추출물 제조방법 및 생성된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점막 또는 부속기관에 영향을 주는 장애 또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혈관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지방조직 변형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인 이러한 하나의 조성물 또는 이러한 하나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부속기관 또는 점막의 상태 또는 외관 개선을 위하여 이러한 하나의 조성물 또는 이러한 하나의 추출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학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부 종자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VIGNA UNGUICULATA SEED EXTRACT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본 발명은 동부 종자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동부 종자의 펩티드 및 배당체 (oside) 추출물이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학적, 약학적, 피부과학적 또는 기능식품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부 종자 추출물 제조방법 및 생성된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점막 또는 부속기관에 영향을 주는 장애 및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혈관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지방조직 변형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인 이러한 하나의 조성물 또는 이러한 하나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부속기관 또는 점막의 상태 또는 외관 개선을 위하여 이러한 하나의 조성물 또는 이러한 하나의 추출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학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부는 열대성 콩과 식물이며 여러 수종들이 식용으로 널리 경작되고 있다. 본 작물은 5,000 또는 6,000 년 전부터 수수 및 기장과 함께 아프리카에서 경작된 가장 오래된 작물 중 하나이다. 본 작물에 대한 지역 명칭에 대하여 문헌들 및 작품들에 혼동이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동부 (VIGNA UNGUICULATA): 식물
학명은 비그나 운귀쿠라타 (L.) 왈프이고, 동부는 계통적으로 콩목 및 콩과에 속하고, 콩과 식물들의 특징적 기관들을 가진다. 그러나, 재배품종마다 형태적인 차이가 있다. 영어로는 동부 및 기타 아종들을 “강두(cowpea)”라고도 한다 (본 식물은 불어로는 Niebe, pois a vache, cornille, dolique a œil noir 및 haricot indigene로 알려져 있다).
동부는 늘어지거나 긴 덩굴 초본식물이고 평균 높이는 30-60 cm (극단적으로는: 15-80 cm). 잎들은 어긋나기의 삼출엽이며 엽병은 길이가 5-25 cm이다. 측소엽들은 대향하고 비대칭적이지만 중엽은 대칭적, 타원형이고 때로는 더 크다. 크기 및 형상은 다르다. 이들은 부드럽고, 탁하거나 광택이 있고, 연모는 거의 없다.
화서는 흰색, 크림색, 노란색 담자색 또는 진홍색 꽃들에 달린 긴 화경들을 가지는 가지형이다.
콩과 식물의 전형적 꽃들은 곤충들을 불러모으는 꿀이 있다. 각각의 화경에 둘, 셋 또는 이상 군집된 꼬투리들은 단단하고 굳고, 원통형으로, 종자들 사이에 눌려있고, 선형에서 약한 곡선을 띠고 있으며 길이는 10-25 cm이다. 꼬투리는 10-15개의 종자를 가진다. 씨앗이 익으면, 꼬투리 색이 변하고, 통상은 녹색, 노란색 또는 보라색으로 변색된다. 종자가 마르면, 꼬투리는 적갈색 또는 갈색을 띤다.
동부는 북위35º 내지 남위 30º 사이 적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경작된다. 습윤열대지역에 적합한 하절기에 수확된다. 토양에 특이적이지 않다.
종자 특성
종자는 꼬투리에 눌려 다소 길쭉한 형상의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 느슨한 꼬투리에서는 신장 형태이고, 눌린 상태에서는 다소 구형이다. 색상은 크게 변한다: 흰색, 아이보리, 녹색, 담황색, 적색, 갈색 또는 검은색. 씨앗들은 작은 반점들이 있거나 다른 색들로 얼룩덜룩하고 콩에서 ‘눈’ 이라고 불리는 꼭지 주위에 특이하게 검은 반점이 있다 (이로부터 지역적으로는 검은눈콩으로 불린다).
종피는 유연하고 주름이 있다. 종자 크기는 길이가 6-10 mm, 폭이 4-7 mm이다. 100개의 종자들은 무게가 11-26 그램 (Henshaw, 2008)이다.
문헌에 나타난 단백질 함량은 높다. 19.5% 내지 27.3% w/w이다. 아미노산 관점에서, 동부 종자는 필수 아미노산이 균형 잡힌 것으로 1959년 인정되었다 (Busson 등, 1959). 그러나, 최근 자료에 따르면, 모든 콩과 식물들에 대하여, FAO/WHO 추천에 따라 동물 단백질과 비교하여 함황 아미노산 (메티오닌 및 시스틴)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Olivera-Castillo 등, 2007; Maia 등, 2000; Hussain MA, Basahy, 1998). 본 종자에 대하여 이들 두 필수 함황 아미노산은 2 내지 5세 아동들에게 제1 제한적 요인으로 보인다 (Maia 등, 2000).
1980년, 대다수가 분자량 170,000인 다종의 글로블린들이 보고되었다 (Khan 등, 1980). 글로블린은 본 종자 단백질의 51%를 차지하고 알부민은 약 45%에 해당된다. 전기영동 또는 음이온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글로블린들이 3 주요 성분들로 분할된다, α-, β- 및 γ-비그닌 (Freitas 등, 2004). Freitas 등, 2004에는 더욱 상세한 이들 단백질 특성들이 기재된다 (화학적 특성, 침강계수, 면역적 분석, 적혈구응집).
강두 종자의 탄수화물 함량은 식물 씨앗에 대하여 통상적인 바와 같이 단백질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발표되었다.
단당류 (단량체 또는 이량체):
-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만니톨, 이노시톨 (Hussain and Basahy, 1998).
- 나이지리아에서 얻은 10개의 시료들로부터 수크로오스 (0.7-4.6%). (Nwinuka 등, 1997).
올리고당들:
- 나이지리아에서 얻은 10개의 시료들로부터 스타키오스 (2.4-4.1%) 및 라피노오스 (1.2-6.8%) (Nwinuka 등, 1997; Onigbinde and Akinyele, 1983).
- 베르바스코오스 (Hussain and Basahy, 1998).
종자의 지방 함량은 낮고, 5%를 넘지 않는다.
종자의 기타 성분:
- 식이섬유:
1.7-4.5% (나이지리아에서 얻은 6종들 - Onwuliri and Obu, 2002)
2.6% (멕시코에서 얻은 시료 - Rivas-Vega 등, 2006)
15.8%; 13.1% 불용성, 2.7% 가용성 (Kahlon and Shao, 2004)
- 탄닌:
0-0.2% (나이지리아에서 얻은 6종들 - Onwuliri and Obu, 2002)
0.12-0.14% (나이지리아에서 얻은 종들 - Ene-Obong, 1995)
- 옥살레이트:
0.8-1.71% (나이지리아에서 얻은 6종들 - Onwuliri and Obu, 2002)
- 파이테이트:
0.24-1.41% (나이지리아에서 얻은 종들 - Onwuliri and Obu, 2002)
0.84-0.99% 나이지리아에서 얻은 종들 - Ene-Obong, 1995)
- 무기염:
3.3-4.2% (Henshaw, 2008)
다양한 무기염의 공통 내용물. 건조된 씨앗에서 잘-알려진 철 성분들 5.6-15 mg/100 g (Singh 등, 2002) 및 5-15 mg/100 g (Oluwatosin, 1998)이 언급되고, 터키에서 얻은 시료는 1.6 mg/100 g (Kabas 등, 2007).
- 우레이드:
연구에 의하면, 알란토인 및 알란토인산은 영양생장 및 생식기의 강두 (비그나 운귀쿠라타 (L.) 왈프. cv. Caloona) 뿌리 결절의 용해성 질소 저장소 (pool) 주요 성분들이다. 줄기 및 엽병들은 우레이드 축적의 주요 부위이고, 특히 조생 열매의 경우 그러하다 (농도는 보고되지 않았다). 기타 콩과 식물들에서, 우레이드는 종자에 풍부하다 (예를들면: Phaseolus mungo L., Dolichos spp., Glycine max [L.] M).
본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여러 종자들에 대한 영양 분석은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 22% 섬유
- 22% 단백질
- 1% 지방
- 3.4% 수크로오스
선행기술
전통적 용도
전세계적으로 강두 종자는 전통적으로 음식으로서 주로 사용되었다.
인간에 의한 소비 (Singh 등, 2002)
동부 종자는 열대 기후에 사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영양학적 식품이다. 예를들면, 나이지리아 국민들은 강두를 식용하고 1인당 소비량은 매년 거의 25-30 kg에 이른다. 브라질에서의 1인당 소비는 매년 20 kg이다.
미국에서는, 강두 및 자색눈콩 (purple-eye seed)를 세척하고 포장하여 식품으로 판매한다. 또한, 미국에서 보존제 또는 비누 또는 다른 야채들과 혼합하여 사용된다.
아프리카에서는, 건조 종자는 통상 분말로 예를들면 포리지, 빵 및 이유기 아동과 같은 여러 아프리카 전통 음식으로 소비되거나 프리터로 가공 소비된다. 이러한 전통적인 용도는 Mr. Ouetian Bognounou, 관리 및 국가훈장 기사장, 아카데미 훈장 기사장, 부르키나파소 INERA의 산림학자 및 국가식물학 연구관, 국가식물학 전문가인 Mr. Marc Olivier와의 공동저자, 보고서에 완전하게 기록된다.
어린 잎들과 미성숙 꼬투리 역시 열대국가들에서 야채로 이용된다.
동물 사료 (Singh 등, 2002)
많은 열대 지역에서, 식물 그 자체는 가축 사육에 이용도는 유일한 고품질 사료이다. 종자 수확 후 줄기와 같은 식물의 녹색 부분은 토끼 사료로 이용된다. 이들은 단백질 (17-30% / DM), 섬유질 (18-29% 조질 섬유 / DM) 공급원이다. 탈곡 후 얻어진 빈 꼬투리 역시 바람직한 섬유질 공급원이지만 (32-35% 조질 섬유 / DM), 단백질 함량 (12-14% / DM)은 더 낮다 (Djago 등, 2007).
전통 의학적 용도
종자 없는 꼬투리 및 식물에 비하여 중국에서, 본 종자는 의약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Duke and Ayensu, 1985).
아프리카에서, 특히 부르키나파소에서는 잎이 소정의 피부병 및 종창에 대한 찜질제로 이용된다.
본 출원인은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과 같은 동부 종자 추출물이 이전에 전혀 기록되지 않은 화장학적 및 피부과학적 특성들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동부의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의 이러한 특정한 성질들을 적용하는 것은 최초이다.
본 발명은 펩티드 및/또는 당, 바람직하게는 펩티드 및 당의 혼합물을 함유한 동부 종자추출물, 및 선택적으로 적합한 부형제와 혼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학적, 약학적, 피부과학적 또는 기능식품적인 특성을 가진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외용 국소적 또는 경구적으로 투여되도록 제형 된다.
바람직하게는, 동부 종자추출물은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이다.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이란 대부분이, 또는 실질적으로 펩티드 및 당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동부 종자추출물은 실질적으로 펩티드 및 당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동부 종자추출물에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임의의 잔류 천연단백질이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전형적으로, 동부 종자추출물에는 유리 아미노산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총 추출물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0 중량%의 펩티드 및 10 내지 90 중량%의 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본 추출물은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 중량%, 전형적으로는 20 내지 40 중량%, 특히 30 내지 40 중량%의 펩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본 추출물은 2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 특히 50 내지 60 중량%의 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은 30-40 중량%, 예를들면 30 중량%의 펩티드 및 50-60 중량%, 예를들면 60 중량%의 당을 포함한다. 이들 백분율은 예를들면 선택적 건조 지지체 (drying support)를 부가하기 전에 추출물의 총 활성물질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특정 특성에 의하면, 추출물의 펩티드/당 비율은 1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범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에 의하면, 본 조성물은 건조 추출물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전형적으로 0.01 내지 5 중량%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부 종자의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동부 종자의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 동부 종자 분쇄 단계,
- 분쇄된 동부 종자를 물 또는 수상에,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pH 및 20 내지 90℃에서 분산시키는 단계,
- 상기 분산액의, 바람직하게는 효소적, 가수분해 및
-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의 회수.
본 발명에 의한 특히 바람직한 방식에서, 수상에 분산시키고, 상기 분산액에 대한 효소적 및/또는 화학적 가수분해와 같은 가수분해가 진행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효소적 가수분해가 진행된다.
전형적으로, 효소적 가수분해는 본 분야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최적 pH 및 온도, 예를들면 pH 3.0 내지 9.0 및 전형적으로 20 내지 90℃에서 하나 이상의 적당한 효소,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하나의 카르보히드라아제 예를들면 아밀라제 또는 펙티나아제 또는 셀루라아제 및/또는 프로테아제 및 카르보히드라아제, 예를들면 펙티나아제, 셀루라아제, 아라바나아제, 헤미셀루라아제, 자일라나아제 및 β-글루카나아제의 혼합물에 의해 진행된 후,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이 회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가수분해는 최소한 하나의 프로테아제 또는 카르보히드라아제에 의한 효소적 가수분해이다.
분산액에 대한 효소적 가수분해 이후 필요하다면 효소 변성을 위한, 전형적으로 80℃ 내지 100℃의 열처리가 이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가수분해 단계는 동부 종자에 있는 천연 단백질을 펩티드로 전환 또는 “절단 (cut up)”시키므로 매우 중요하다. 본 단계에서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동부 종자에 존재하는 다당류가 올리고당 또는 단당류로 전환 또는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방식에 의하면, 효소적 가수분해와 같은 가수분해, 및 이후 잠재적으로 알레르기성 단백질 및 잠재적 효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10000 달톤 내지 15000 달톤의 차단 포인트에서의 초여과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의하면, 또한 본 방법은 초여과 단계 이후 유리 아미노산 또는 무기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100 달톤 내지 300 달톤,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300 달톤, 전형적으로 200 달톤 내지 300 달톤의 차단 포인트에서의 나노-여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에 의하면, 분산액에 대한 가수분해 이후 및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회수 이전에, 여과 또는 원심분리가 수행되고, 선택적으로 초여과, 정용여과, 및/또는 나노여과가 이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예를들면,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은 다음 방법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a) 물에 분쇄된 종자 (건량 10%) 용해화;
b) 효소 활성이 최적인 pH 및 온도 조건에서 아밀라제 (예를들면 Lyven 회사의 Amylyve AN30) 및 아라바나아제, β 글루카나아제, 헤미셀루라아제, 자일라나아제 (예를들면 Novozymes 회사의 Viscozyme L)와 같은 보충적 작용을 가지는 카르보히드라아제의 다른 혼합물과 조합적 작용에 의한 탄수화물의 효소적 가수분해;
c) 알칼리성 프로테아제 (예를들면 Lyven 회사의 Prolyve 1000)에 의한 가수분해;
d) 효소 변성을 위한 열처리;
e) 잠재적 알레르기성 잔류 단백질 제거를 위한 15 kDa 막에서의 원심분리, 초여과 및/또는 정용여과;
f) 예를들면 무기염 또는 유리 아미노산을 제거하기 위한 200 Da 막에서의 나노여과.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회수 이후, 다음과 같은 최소한 하나의 단계가 수행된다:
- 예를들면 활성탄소 존재에서 또는 본 분야의 기술자게 의해 공지된 임의의 기타 수단으로, 얻어진 추출물에 대한 탈색, 및
- 지지체 상에서 또는 지지체 없이, 얻어진 추출물을 건조.
바람직하게는,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은 본 분야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법으로 건조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전형적으로 추출물 액상에서 얻어진 건조물에 대하여 0% 내지 80%의 지지체 비율로 변동되는 말토텍스트린 또는 아까시아 유형의 섬유질 (Fibregum®, CNI 회사) 존재 또는 부재에서; 및 바람직하게는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50% 건조물 및 50% 동결건조 지지체 (support)의 최종 분말로 획득하기 위한 동결건조 방식으로 건조될 수 있다.
액상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의 예시:
1. 물리-화학적 분석 (% / 총 건조물)
건조 추출물 (2h, 105°C, 환기 오븐): 8.9%
pH: 4.0
α-아미노질소(OPA, 류신 동량): 13%
펩티드 (켈달, N x 6.25): 28%
가용성 당 (HPLC): 60%
총 애쉬: 7%
2. 가용성 펩티드 분자량 분포에 따른 분류
130 Da 미만 : 24%
130 - 300 Da: 14%
300 - 1200 Da: 48%
1200 - 3500 Da: 13%
3500 Da 초과: ≤ 1%
3. 특정 올리고당 분석 (% / 총 건조물)
라피노오스: 5.9%
스타키오스: 2.4%
베르바스코오스: 3.15%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따라 획득된 동부 종자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중량%의 펩티드 및 10 내지 90 중량%의 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추출물은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 특히 30 내지 40중량%의 펩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추출물은 2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 특히 50 내지 60 중량%의 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은 30% 내지 40 중량%, 예를들면 30 중량%의 펩티드 및 50-60 중량%, 예를들면 60 중량%의 당을 포함한다.
특정한 특정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의 펩티드/당 비율은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의 범위이다.
전형적으로, 추출물의 당은 단당류 또는 올리고당, 예를들면 라피노오스, 스타키오스 및 베르바스코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특히, 추출물의 당은 라피노오스, 스타키오스 및 베르바스코오스의 혼합물로 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추출물 중 펩티드는 분자량이 3500 달톤 이하이다. 특히, 추출물 중 펩티드의 분자량은 1200 달톤 이하, 전형적으로 300 내지 1200 달톤이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은 잠재적 알레르기성 잔류 단백질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은 유리 아미노산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조성물은 동부 종자추출물 이외에 최소한 하나의 기타 활성 화합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화합물은 하기 모든 화합물 및 이들의 기능적 동등 화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타 화합물은 예를들면 피부연화제, 보습활성제, 각질조절인자, 각질용해제, 피부장벽 재구성제, 퍼옥시좀 증식인자 활성화 수용체 작용제 (PPAR), RXR 또는 LXR 작용제, 비타민 D 또는 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작용제, 각질세포분화 활성제 (레티노이드, Calcidone®, 칼슘), 피지조절제, 항-자극제, 진정제, 항-염증제, 항산화제 및 항-노화제와 같은 전형적으로 피부과학 또는 화장품에서 사용되는 활성제에서 특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타 화합물은 보충적 치료 작용을 가지는 활성제, 예를들면 항생제, 프리바이오틱스 및 프로바오이틱스, 항균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보존제, 면역조절제 (타크로리무스 또는 피메크로리무스), 옥사졸린, 성장인자, 상처 아물기 또는 부영양 분자, 색소 또는 저-침착제, 지방분해제 또는 지방형성 억제제 또는 항-부분비만제 또는 체중감소제, 무기 또는 유기 태양광 필터 및 차단제 (색소 또는 초미세), 종래 또는 기능성 식품: 혈당상승제 또는 혈당강하제, 항-지방 또는 항-부분비만 영양제, 항-콜레스테롤, 항산화제, 활력, 강장제, 폐경 이차징후에 영향을 주는 것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타 화합물은 천연식물추출물 (수상 또는 유상에서 추출되는 식물성분: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기타 펩티드 및 당, 등), 식물성오일 불검화물 함유 화합물, 스테놀 불검화물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생성물 (식물성 오일 불검화물, 특히 대두유 불검화물, 식물성버터 또는 버터성 재료 및 혼합물, 천연왁스 불검화물, 오일추출물 불검화물, 공업용오일부산물 불검화물, 동물성 지방추출물 불검화물, 해양성 동물오일불검화물, 유지방추출물 불검화물, 단세포 유기체 추출 지방의 불검화물, 조류 및 해양유기체 지방의 불검화물), 스테놀, 스타놀, 피토스테롤, 피토스타놀, 토코페롤, 해바라기, 평지씨 및/또는 팜 오일 농축물, 미량원소들, 비타민, 오메가-3, -6, 또는 -9 지방산, 혈당강하제 또는 혈당상승제 또는 감미식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습/피부연화 활성제는 글리세린 또는 이의 유도체, 요소,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및 이의 유도체, 임의의 분자량을 가지는 히알루론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 임의의 기타 해양, 식물 또는 생물공학적 기원 다당류 예를들면, 잔탄검, Fucogel®, 소정의 지방산 예를들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오메가-3, -6, -7 및 -9 유형의 다중불포화 및 단일불포화 지방산 예를들면 리놀레산 및 팔리톨레산, 해바라기 유지증류액(oleodistillate), 아보카도 펩티드, 쿠푸아수 버터(cupuacu butter)이다.
조합적으로 사용가능한 표피 분화 조절제는 (각질층 또는 과립층의 주요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레티노이드, 루핀 펩티드, 아보카도 당, 퀴노아 펩티드 추출물이다.
가장 일반적인 항-염증제/항-자극제 및 진정제는 글리시레틴산 (감초 유도체)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리포산, 베타-카로텐, 비타민 B3 (니아신아미드, 니코틴아미드), 비타민 E, 비타민 C, 비타민 B12, 플라보노이드 (녹차, 케르세틴, 등), 리코펜 또는 루테인, 아보카도 당, 아보카도 유지증류액, 아라비노갈락탄, 루핀 펩티드, 루핀 총 추출물, 퀴노아 펩티드 추출물, Cycloceramide® (옥사졸린 유도체), 이소플라본 예를들면, 예를들면, 제니스테인/제니스틴, 다이드제인/다이드진, 온천수 또는 열 온천수 (Avene 수, La Roche Posay 수, Saint Gervais 수, Uriage 수, Gamarde 수), 고지 추출물 (영하구기자(Lycium barbarum)), 식물성 아미노산 펩티드 또는 복합체, 국소 다프손(dapsone), 또는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약물 (AID) 예를들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약물 (NSAID)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질조절인자/각질용해제는: 열매의 알파-히드록시산 (AHA) (시트르산, 글리콜산, 말산, 젖산, 등), AHA 에스테르, AHA 및 기타 분자들의 조합 예를들면 말산 및 아몬드 단백질의 조합 (Keratolite®), 글리콜산 또는 젖산의 아르기닌과의 조합 또는 히드록시산 및 지질 분자들의 조합 예를들면 LHA® (리포-히드록시산), 양쪽성 히드록시산 복합체 (AHCare), 아젤라산 및 염 및 이의 에스테르, 버드나무 껍질 (Salix alba 수피 추출물), 살리실산 (베타-히드록시산, 또는 BHA)및 이의 유도체 예를들면 카프릴로일 살리실산 또는 다른 분자들과의 조합 예를들면 살리실산 및 다당류의 조합, 타자로텐, 아다팔렌, 레티노이드 계열 분자들, 예를들면 트레티노인, 레틴알데히드, 이소트레티노인 및 레티놀을 포함한다.
조합적으로 사용가능한 피지조절제는 바람직하게는 5-α-환원효소 억제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예를들면, 활성제 5-α Avocuta®에서 선택된다. 아연 (및 이의 글루콘산염, 살리실산염 및 피로글루탐산) 역시 피지-억제 활성을 가진다. 또한 스피로노락톤, 항-안드로겐 및 알도스테론 길항제를 언급할 수 있으며, 이들은 피지 분비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기타 분자들 예를들면, 호박씨에서 추출된 Cucurbita pepo, 호박씨 오일 및 야자양배추는 5-α-환원효소 전사 및 활성을 저해하여 피지 생성을 제한한다. 피지에 작용하는 지질 유래 기타 피지조절제 예를들면 리놀레산 역시 흥미롭다.
조합적으로 사용가능한 성장인자는, 바람직하게는 베카플라민 및 TGF-베타, ECG, NGF, VEGF이다.
‘항산화제’는 다른 화학 물질의 산화를 감소 또는 방지하는 분자를 언급한다. 조합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티올 및 페놀, 감초 유도체 예를들면 글리시레틴산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알파-비사볼롤, 은행나무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Cycloceramide® (옥사졸린 유도체), 아보카도 펩티드, 미량원소들 예를들면 구리, 아연 및 셀레늄, 리포산, 비타민 B12, 비타민 B3 (니아신아미드, 니코틴아미드), 비타민 C, 비타민 E, 조효소 Q10, 크릴, 글루타티온,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BHA), 리코펜 또는 루테인, 베타-카로텐, 큰 유형의 폴리페놀 예를들면 탄닌, 페놀산,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예를들면, 녹차, 레드 베리, 코코아, 포도, 시계꽃, 감귤 추출물, 또는 이소플라본 예를들면, 제니스테인/제니스틴 및 다이드제인/다이드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항산화제 군은 또한 항-당화 제제 예를들면 카르노신 또는 소정의 펩티드, N-아세틸-시스테인, 항산화제 또는 자유-라디칼 포획 효소 예를들면 과산화물제거효소 (SOD), 카탈라아제, 글루타티온 페록시다아제, 티오레독신 환원효소 및 이의 작용제를 더욱 포함한다.
피부 장벽기능을 치료/ 회복하고 표피의 주요 지질 합성을 자극하는, 조합적으로 사용 가능한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판테놀 (비타민 B5), 아보카도 당, 루페올, 마카 펩티드 추출물, 퀴노아 펩티드 추출물, 아라비노갈락탄, 산화아연, 마그네슘, 규소, 마데카스산 또는 아시아트산, 덱스트란 황산염, 조효소 Q10, 글루코사민 및 이의 유도체, 콘드로이틴 황산염 및 일반적인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AG), 덱스트란 황산염, 세라미드, 콜레스테롤, 스쿠알란, 인지질, 발효 또는 미-발효 대두 펩티드, 식물 펩티드, 해양성, 식물 또는 생물공학적 다당류 예를들면 조류 추출물 또는 양치류 추출물, 미량원소들, 타닌이 풍부한 식물 추출물 예를들면 오배자 (gall nut)에서 처음 발견된 갈릭 또는 가수분해성 탄닌으로 불리는 갈산에서 유래한 탄닌, 및 (아카시아) 아선약에 의해 공급되는 모델이 된 플라반 단위들의 중합으로 생성되는 카테킨 탄닌이다. 사용 가능한 미량원소는 바람직하게는 구리, 마그네슘, 망간, 크롬, 셀레늄, 규소, 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해바라기 농축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놀산 해바라기 농축물 역시 사용될 수 있고 예를들면 Laboratoires Expanscience에서 판매되는 Soline®, 식물성 오일 불검화물, 예를들면 Avocadofurane®, PPAR 작용제 (로지글리타존, 피오글리타존), RXR 및 LXR이 적용될 수 있다.
성인 여드름 치료를 위하여 조합적으로 작용되는 항-노화제는 항산화제 및 특히 비타민 C, 비타민 A, 레티놀, 레티날, 임의 분자량의 히알루론산, Avocadofurane®, 루핀 펩티드 및 마카 펩티드 추출물이다.
조합적으로 사용 가능한 항진균제는 바람직하게는 에코나졸 및 케토코나졸이다.
조합적으로 사용 가능한 방부 보존제는 예를들면 트리클로산, 클로르헥시딘, 제4급 암모늄화합물이다.
조합적으로 사용가능한 항생제는, 바람직하게는 푸시딕산, 페니실린, 테트라사이클린, 프리스티나마이신, 에리트로마이신, 클린다마이신, 무피로신, 미노사이클린 및 독시사이클린이다. 조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는, 바람직하게는 아시클로비어 및 발아시클로비어이다.
조합적으로 사용가능한 보존제는, 예를들면, 화장품 또는 기능식품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으로, 항균 활성을 가지는 분자들 (의사(pseudo)-보존제) 예를들면 카프릴 유도체, 예를들면, 카프릴로일 글리신 및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예를들면 헥산디올 및 소듐 레불리네이트, 아연 및 구리 유도체 (글루콘산염 및 PCA), 피토스핑고신 및 이의 유도체, 벤조일 페록사이드, 피록톤올아민, 아연 피리치온 및 셀레늄 황화물이다.
조합적으로 사용가능한 햇빛 보호 활성제는 UVB 및/또는 UVA 선 필터 또는 차단제, 또는 보호 정도에 따라 선택 및 농도를 적용할 수 있는 본 분야의 숙련가에게 알려진 임의의 무기 및/또는 유기 차단제 또는 필터를 포함한다.
햇빛 보호 활성제 예시로는 특히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상표: Tinosorb M)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상표: Tinosorb S), 옥토크릴렌,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테레프탈릴리덴 디캄포 술폰산, 4-메틸벤질리덴 캄포, 벤조페논,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 디메틸 PABA 및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이 언급된다.
조합적으로 사용가능한 체중감량제는 바람직하게는 카페인, 랙(wrack), 식물 추출물 (예를들면: 담쟁이, 코코아, 가라나, 녹차, 마테, 산초(Sichuan pepper) 및 너도밤나무 추출물), 병풀, 카르니틴, 글라우신, 에스신, 버처스 브룸(butchers-broom) (루스쿠스), 이소플라본 예를들면, 제니스테인, 은행나무, 포스콜린, 레티놀 및 기타 레티노이드, 플로리진 및 바다 회향풀 (sea fennel) 이다.
모발 상실 방지제 및/또는 모발 및 손톱 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피토스테롤, 이소플라본 예를들면, 대두 이소플라본, RTH16®, Aminexil®, Minoxidil®, 레티놀, 아연 및 이의 유도체, 네오루스신(neoruscine), 비타민 E,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6, 비타민 PP, 비타민 B5 (판테놀, 베판텐), 비타민 B8 (비타민 H 또는 비오틴), 비타민 B9 (엽산), 알파 히드록시산, 퀴닌 및 소성의 아미노산 예를들면 시스테인, 시스틴 및 메티오논이다. 조합적으로 사용가능한 기타 화합물은 5-α-환원효소 억제제 예를들면, 피나스테라이드, 두타스테라이드, 톱 야자(Serenoa serrulata) 또는 레펜스(repens), 호박(Cucurbita pepo) 추출물 또는 소성의 피토스테롤을 포함한다. 케라틴, 미량원소들, 무기염, 소성의 식물 단백질 또는 지질 추출물, 예를들면, 파피아(Pfaffia), 세이지, 레몬, 인삼, 기나나무(quinquina), 호호바(jojoba), 너도밤나무, 벌꿀, 밀, 쐐기풀, 에키나시아(echinea) 또는 코코넛 추출물도 조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항-비듬제 (두피용)는 바람직하게는 한련(Nasturtium) 추출물, 비타민 F, 티몰, 클레이, 아연 피리치온, 아연-PCA, 글루콘산아연, 황산아연, 캄포, 머틀 추출물, 살리실산, 비타민 B5, 클림바졸, 이히티올(ichthyol), 셀레늄 및 이의 유도체, 호박씨 추출물, 홍화추출물, 멜라루카 오일 추출물, 보리지 및 미모사 오일, 프로폴리스, 케티올, 글리콜산, 케루아미드, 시클로피록솔라민, 피록톤올아민(piroctone olamine), 카프릴로일 글리신 및 5-α 아보쿠타에서 선택된다.
조합적으로 사용 가능한 약물 또는 화장학적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국소적 또는 경구로 투여되기에 적합한 약물 또는 화장학적 제제이다: 아토피/습진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를들면 히드로코르티손, 데소나이드,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국소 면역조절제, 칼시뉴린-저해제 예를들면 타크로리무스 및 피메크로리무스, 시클로스포린,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비타민 B12, 항균성 분자, 항히스타민 예를들면 히드록시진 및 디펜히드라민, 항생제, 프리- 및 프로바이오틱스, 날트렉손, 알파PPAR 작용제 예를들면 해바라기 유지증류액, 세라미드 또는 기타 주요 표피지질을 함유하는 피부연화제), 여드름 (항생제, 벤조일 페록사이드, 레티노이드, 아젤라산, 비타민 PP, 비타민 B3, 아연, 사이클린), 주사 (페르메톨, 제니스테인, 에스쿨로시드, 덱스트란 황산염, 헤스페리딘 메틸칼콘, 레티노이드, 리코칼콘, 옥시메타졸린, 키네틴, 감초 추출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프로시아니딘 (녹차), 비타민 P-유사, 버처스 브룸 추출물,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풍년화 추출물 및 항생제 예를들면 독시사이클린) 또는 건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칼시포트리올, 칼시트리올, 타자로텐, 노간주나무 (cade) 오일, 아시트레틴 및 PUVA 요법).
조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면역조절제는 바람직하게는 타크로리무스, 피메크로리무스 및 옥사졸린이다. 조합하여 사용 가능한 옥사졸린은 바람직하게는 2-운데실-4-히드록시메틸-4-메틸-l,3-옥사졸린, 2-운데실-4,4-디메틸-1,3-옥사졸린, (E)-4,4-디메틸-2-헥타데크-8-엔일-l,3-옥사졸린, 4-히드록시메틸-4-메틸-2-헥타데실l-1,3-옥사졸린, (E)-4-히드록시메틸-4-메틸-2-헥타데크-8-엔일-l,3-옥사졸린, 및 2-운데실-4-에틸-4-히드록시메틸-l,3-옥사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옥사졸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옥사졸린은 2-운데실-4,4-디메틸-l,3-옥사졸린이며, OX-100 또는 Cyclocramide®으로 불린다.
조합적으로 사용가능한 저침착제 또는 미백제는, 바람직하게는 히드로퀴논 및 이의 유도체, 알부틴, 레티노산, 레티놀, 레틴알데히드, 트레티노인, 히드로퀴논, 코르티코이드, 코직산, 아젤라산, 엘라그산, 피루브산, 글리콜산, 비타민 B3 (니아신아미드) 또는 PP, 비타민 C, Cycloceramide®, 레졸시놀 유도체, 레스베라트롤, 감초 또는 흰 뽕나무 추출물, 알파-리포산, 리놀레산, 인도메타신, 양성자-킬레이트제 예를들면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대두 추출물 예를들면 제니스테인을 포함한다. 또한 Seppic회사에서 판매되는 화장학적 미백제 Sepiwhite®(N-운데실레노일-L-페닐알라닌)도 언급될 수 있다.
조합적으로 사용가능한 색소제로는 예를들면 디히드록시아세톤 및 멜라닌과 같은 피부색제; 천연색소침착과정을 자극하는 제제 예를들면 피부과학에서 치료적 특성을 가지는 프소라렌 (8-메톡시프소라렌, 5-메톡시프소라렌, 4,5’,8-트리메틸프소라렌 또는 Psorelea corylifolia 및 Ammi majus의 식물 추출물), 카로티노이드 (리코펜, 칸타크산틴), 시클릭 AMP 경로 자극 약제 (1. cAMP 유사체, 예를들면 8-브롬-cAMP 또는 디부티릴-cAMP, 2. 포르스코린, 3. 이소부틸-메틸-크산틴 또는 테오필린), 단백질 키나제 C 활성제 (디아실글리세롤, 특히 올레일-아세틸-글리세롤), 지방족 또는 환형 디올 (1,2-프로판디올, 5-노르볼난-2,2-디메탄올, 노르볼난-2,2-디메탄올), 바이시클릭 모노테르펜 디올, 티로신 유도체 (L-티로신, L-DOPA), 디메틸설폭사이드, 리소모트로픽 제제, 티미딘 디뉴클레오티드, DNA 단편, 멜라닌 세포-자극 호르몬 유사체, 3-이소부틸-1-메틸크산틴, 질산 공여체 (Brown,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B: biology 63 (2001) 148-161); 또는 식물 추출물 예를들면 쌀 펩티드, 및 친-멜라닌 활성을 보이는 조류: Laminaria digitata (Codif의 Thalitan®).
본 발명에 의한 특히 바람직한 조합은 동부 종자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및 식물성 및 동물성 불검화물 예를들면, 아보카도 및 대두 불검화물, 및 불검화물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 농축물 예를들면, 해바라기 또는 야자 오일 농축물, 또는 불검화물을 함유한 식물성 오일 예를들면, 대두 및 평지씨 오일, 및 불검화물 유도체 예를들면 아보카도 푸란, 스테롤 불검화물, 스테롤 에스테르 및 비타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스테놀’ 불검화물은 스테놀, 메틸스테놀 및 트리테르펜 알코올이 불검화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45 중량% 내지 65중량%로 구성된 불검화물이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바람직한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아보카도 당 (예를들면 출원 WO2005/115421에 기재)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장벽 회복 및 염증 치료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바람직한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아보카도 펩티드 (예를들면 국제출원 WO2005/105123에 기재)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자극 및 염증 치료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아보카도 오일 (예를들면 국제출원들 WO2004/012496, WO2004/012752, WO2004/016106, WO2007/057439에 기재) 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Avocadofurane® (국제출원 WO01/21605에 기재된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는 아보카도 푸란) 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염증 치료, 상처 아물기를 촉진, 노화 방지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5-α Avocuta® (부틸 아보카데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5-α-환원효소 (WO01/52837 및 WO02/06205 참조) 저해 및 여드름 및 비듬에서 증가되는 피지 분비를 조절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아보카도 및 대두 불검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조합적으로 사용가능한 아보카도 및 대두 불검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아보카도 푸란 불검화물 및 대두 불검화물 혼합물이며, 비율은 약 1:3-2:3이다. 아보카도 및 대두 불검화물은 Laboratoires Expanscience에서 판매되는 Piascledine® 제품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해바라기 유지증류액,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놀산 해바라기 농축물, 예를들면 Laboratoires Expanscience에서 판매되는, Soline® (국제출원 WO01/21150 참조)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염증 및 피부 장벽 회복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예를들면 국제출원 WO01/51596에 의한 방법으로 획득되는 대두 불검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루페올 (FR 2 822 821, FR 2 857 596)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상처 아물기 촉진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출원 WO2005/102259에 기재된 방법으로 획득되는 루핀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염증 치료에 특히 적합하고 노화 방지 특성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총 루핀 추출물 (국제출원 WO2005/102259 참고)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자극 치료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루핀 오일, 바람직하게는 국제출원 WO98/47479에 기재된 부드러운 백색 루핀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마카 펩티드 추출물 (국제출원 WO2004/112742 참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특히 상처 아물기 및 항-노화 특성이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바람직한 조합은 동부 종자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및 쌀 펩티드 (국제출원 WO2008/009709 참조)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형성 자극 및 멜라닌 전이 특성이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국제출원들 WO2004/050052, WO2004/050079 및 WO2004/112741에 기재된 Cycloceramide® (옥사졸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염증반응 치료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퀴노아 추출물, 특히 펩티드 추출물 (국제출원 WO2008/080974 참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염증 치료 및 피부 장벽 회복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쿠푸아수 버터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보습 특성이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특히 적합한 다른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평지씨 농축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옥수수 농축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오미자 (Schizandra sphenanthera) 열매 추출물 (참고 프랑스 출원들 FR 0955343 및 FR 0955344)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바람직한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및 아까시아 마크로스타키아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이들 모든 조합은 동부 종자추출물 이외 최소한 하나의 다른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의 둘, 셋, 넷 또는 이상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국소적용, 경구, 직장, 질, 비강, 심방 또는 기관지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상이한 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제1 형태에 의하면, 상이한 제제는 국소 투여에 적합하며, 크림, 에멀션, 밀크, 고약, 로션, 오일, 수성 또는 수성알코올 또는 글리콜 용액, 분말, 패치, 분무, 샴프, 바니쉬 또는 기타 외용 생성물을 포함한다.
제2 형태에 의하면, 상이한 제제는 경구투여에 적합하며, 동부 종자추출물은 식품조성물 또는 식품보충제로 포함될 수 있다. 식품보충제는 본 발명에서 동부 종자추출물 자체로또는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 또는 식물성 캡슐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품보충제는 동부 종자추출물 10 내지 100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 및 조성물 투여 형태, 용량 및 최적 제제 형태는 약학적 치료, 특히 환자 또는 동물의 피부과학적, 화장학적 또는 수의학적 치료에서 고려되는 기준에 따라, 예를들면 환자 또는 동물의 연령 또는 체중, 병태 경중도, 치료 내성, 알려진 2차 효과, 피부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원하는 투여 타입에 따라, 본 발명의 활성 조성물 및/또는 활성화합물은 최소한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특히 피부과학에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제1 형태에 의하면, 외용 국소 투여에 적합한 부형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본 분야의 숙련가에게 알려진 약학적 첨가제인, 증점제, 보존제, 향료, 착색제, 화학 또는 무기염류 필터, 보습제, 온천수 등에서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의 첨가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표기된 성분들을 가지는 동부 종자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은 특히 화장학적, 약학적, 피부과학적 또는 식품 용도로 사용된다.
화장학적, 약학적 또는 피부과학적 용도에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국소투여에 적합한 제제로 제형화 된다.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조성물이 특히 화장학적, 약학적 또는 피부과학적 용도로 적용된다.
기능식품 또는 화장학적 목적 (미용-식품)에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에 적합한 제제로 제형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학적, 약학적, 피부과학적 조성물 또는 영양학적 조성물 제조를 위한 동부 종자추출물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또는 추출물은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부속기관에 영향을 주는 장애 또는 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에서,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화장학적 적용에서 바람직하게는 국소 경로를 통하여, 특히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모발과 같은 부속기관 관리 또는 위생을 위하여, 또는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모발과 같은 부속기관 장애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또는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혈관 장애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또는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지방조직 변형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또는 추출물은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노화 피부, 부속기관 (모발 또는 손발톱) 및/또는 점막 (잇몸, 치주조직, 생식기 점막)의 장벽 또는 항상성의 알레르기성, 염증성, 자극성 반응 질환 또는 장애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또는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반응, 장애 또는 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된다:
- 피부, 예를들면 여드름, 주사 또는 피부 홍조, 건선, 혈관질환, 기저기 발진, 아토피 피부염, 습진, 접촉성 피부염, 자극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유아지방관), 건선, 민감성 피부, 반응성 피부, 건성 피부 (건조증), 탈수성 피부, 홍조 피부, 피부홍반, 노화 및 광-노화 피부, 광-민감 피부, 색소침착 피부 ((기미, 염증성 색소침착, 등), 탈색 피부(백반증), 연조직염이 있는 피부, 처진 피부, 임신선이 있는 피부, 비듬, 균열, 벌레 물림, 특히 가슴부위 찢어짐, 일사병, 임의 종류의 광선에 의한 염증, 화학적, 물리적 자극(임신여성에 대한 인장력), 세균성, 진균 또는 바이러스성, 기생충성 자극 (벼룩, 옴, 백선충, 옴 진드기, 피부진균) 또는 방사선 자극 또는 선천적 면역결핍증 (항균 펩티드) 또는 후천성 면역결핍증 (세포성, 체액성, 시토카인), 및/또는
-점막 예를들면 치은염 (신생아의 민감성 검(gum), 담배중독과 연관된 위생상 문제), 연변치주염을 보이는 잇몸(gum) 및 치주조직, 외부 또는 내부 남성 또는 여성 생식영역 자극 생식 점막 및/또는
- 부속기관 예를들면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 손발톱 (균열성, 파열성 손발톱, 등) 및 모발 (탈모, 비듬, 다모증, 지주피부염, 모낭염), 특히 두피 질환 예를들면 안드로겐유전성, 급성, 국소적, 흉터 또는 선천 탈모증 (원형탈모증), 신생아 후두 탈모증, 화학요법/방사요법에 의한 탈모증 또는 휴지기 탈모, 성장기탈모, 모낭 영양장애, 발모광, 버짐 또는 유성 또는 건조 비듬.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추출물은 염증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및/또는 부속기관 및/또는 점막 상태 및/또는 외관 개선을 위한 화장학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또는 추출물의 투여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에서, 본 발명은 피부 장벽 질환 또는 장애 회복, 표피 지방 합성 증가, 피부 장벽 기능 보강, 특히 피부, 점막 부속기관, 특히 모발에 대한 환경적 스트레스 또는 공격 또는 화학적 공격 또는 예를들면 약품에 의한 자극에 대항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추출물의 화장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조성물 또는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또는 점막 보습, 건성 피부, 아토피성 피부, 여드름 피부, 자극/염증성 피부, 알레르기성 피부, 홍조 피부, 지루성 피부염을 가진 피부, 공격받은 피부, 민감성 피부, 반응성 피부, 광-민감성 피부, 노화 또는 광-노화 피부 치료를 위한, 포괄적으로 피부 항-노화제 (내인성 또는 외인성 노화), 특히 광-노화 방지제 또는 항 UV 제, 친-색소제로서, 피부 상처 치유를 위한, 예를들면 항-산화제 및 항균제로서, 또는 모발, 손발톱 또는 점막 관리를 위하여 화장학적 용도에 사용된다.
실시예
실시예 1: 국소 적용을 위한 조성물
국소 적용을 위한 다양한 조성물들이 하기된다. 동부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은 세척수, 수-중-유 에멀션, 유-중-수 에멀션, 오일, 밀크, 로션, 샴푸, 폼 제품 및 스프레이와 같은 다양한 화장품에 포함될 수 있고, 조성물은 다음에 표시된다.
민감성 피부용 세척수
원료/상표 또는 INCI %
카프릴로일 글리신 0%-1%
소다액 0%-1%
금속이온 봉쇄제 0%-1%
부틸렌 글리콜 1%-5%
베타-카로텐 0%-2%
동부 농축물 0.001%-10%
방부제 0%-1%
PEG-32 1%-5%
PEG-7 팜코코에이트 1%-5%
글루콘산아연 0%-1%
시트르산 0%-1%
정제수 QS 100%
향료 0%-1%
폴록사머 184 1%-5%
노화 방지 에멀션
원료/상표 또는 INCI %
액상 이소파라핀 5%-20%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5%-20%
Al-Mg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5%-20%
Abil WE 09 1%-5%
글리세롤 1%-5%
바셀린 오일 1%-5%
미분화 산화아연 1%-5%
부틸렌 글리콜 1%-5%
레티놀 0%-1%
비타민 C 0%-5%
동부 추출물 0.01%-5%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1%-5%
밀랍 1%-5%
타르타르산 나트륨 1%-5%
염화나트륨 0%-5%
글리신 1%-5%
방부제 0%-1%
콜레스테롤 0%-1%
피토스핑고신 0%-1%
타르타르산 0%-1%
정제수 QS 100%
건성 아토피 피부용 밀크
원료/상표 또는 INCI %
스위트 아몬드 오일 1%-5%
옥수수 오일 1%-5%
스테아르산 1%-5%
C16-C18 세틸산 0%-1%
안티폼(Antifoam) 70414 0%-1%
라우릴 알코올 11OE 1%-5%
PEG 300 모노라우레이트 0%-1%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 0%-1%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5%
비타민 B12 0%-5%
동부 농축물 0.1%-10%
방부제 0%-1%
시트르산 0%-1%
시트르산삼나트륨 0%-1%
정제수 QS 100%
향료 0%-1%
땅콩 오일 1%-5%
수소첨가 야자 오일 1%-5%
진정( Soothing ) 스프레이
원료/상표 또는 INCI %
정제수 QS 100%
트리라우레스-4 인산염 1%-5%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1%-5%
부틸렌 글리콜 1%-5%
에리트리틸 에스테르 1%-5%
액상 바셀린 오일 1%-5%
시어버터 0%-1%
식물성-오일 0%-1%
방부제 0%-1%
리코펜 0%-5%
동부 추출물 0.01%-10%
소다액 0%-1%
향료 0%-1%
잔탄검 0%-1%
카르보폴 0%-1%
금속이온 봉쇄제 0%-1%
시트르산 0%-1%
항-여드름 에멀션
원료/상표 또는 INCI %
PEG 40 스테아레이트 1%-5%
PEG 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5%
세레신 왁스 1%-5%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5%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2%
세틸 알코올 0%-2%
디말레이트 알코올 5%-20%
비타민 E 0%-1%
비타민 B3 0%-5%
리놀레산 0%-1%
동부 추출물 0.01%-10%
부틸렌 글리콜 1%-5%
피로크톨라민 0%-1%
방부제 0%-1%
글리세롤 1%-10%
잔탄검 0%-1%
아연 PCA 0%-2%
쌀 전분 1%-5%
나일론 6 0%-2%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1%-5%
비타민 B6 0%-1%
향료 0%-1%
정제수 QS 100%
항-홍조( Anti - redness ) 에멀션
원료/상표 또는 INCI %
PEG 40 스테아레이트 1%-5%
PEG 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5%
세레신 왁스 1%-5%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5%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2%
세틸 알코올 0%-2%
디말레이트 알코올 5%-20%
에스쿨로시드 0%-2%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 0%-5%
비타민 E 0%-1%
동부 추출물 0.01%-10%
부틸렌 글리콜 1%-5%
피로크톨라민 0%-1%
방부제 0%-1%
글리세롤 1%-10%
잔탄검 0%-1%
아연 PCA 0%-2%
쌀 전분 1%-5%
나일론 6 0%-2%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1%-5%
비타민 B6 0%-1%
향료 0%-1%
정제수 QS 100%
비듬 방지 샴푸
원료/상표 또는 INCI %
정제수 QS 100%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5%-20%
코코글루코시드 5%-20%
PEG 6000 디스테아레이트 1%-5%
방부제 0%-2%
비타민 F 0%-5%
피록톤올아민 0%-2%
동부 추출물 0.01%-10%
아연 피리치온 0%-1%
pH 조절제 0%-1%
금속이온 봉쇄제 0%-1%
향료 0%-1%
SPF 50+ 선 스프레이
원료/상표 또는 INCI %
글리세롤 카프릴로카프레이트 5%-20%
시클로펜타실록산 10%-20%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5%-20%
티노소르브 S 1%-10%
산화티타늄 100 10%-20%
헥토라이트 0%-5%
알파-토코페롤 0%-2%
라우릴 글루코시드-글리스테아레이트 0%-10%
B4 정제수 QS 100%
시트르산 0%-2%
펜틸렌 글리콜 0%-5%
글리세롤 0%-5%
잔탄검 0%-2%
동부 추출물 0.01%-10%
알로에 베라 0%-1%
글루콘산아연 0%-1%
방부제 0%-2%
티노소르브 M 1%-10%
실시예 2: 경구 투여를 위한 조성물
매일 50 mg 내지 200 mg의 동부 추출물 투여가 가능하도록 동부 추출물이 경구 조성물에 포함된다.
1/ 연질 캡슐 형태의 임신선 방지 조성물
- 동부 추출물 30 mg
- 아와라(Awara) 오일 60 mg
- 불검화물-풍부 평지씨 오일300 mg
- 비타민 B (B1, B2, B3, B5, B6, B9, B12) QS 100% RDA
- 토코트리엔올 QS 50% RDA
- 비타민 E
- 밀랍
- 대두 레시틴
- 영양 젤라틴
- 글리세린 QS 1 연질 캡슐
상기 조성물은 매일 4 내지 6개의 500 mg 캡슐들로 투여된다.
2/ 모발 손실 방지 정제
- 동부 추출물 25 mg
-황함유 아미노산이 풍부한 곡물 추출물 (옥수수, 메밀, 기장, 스펠트밀) 200 mg
- 비타민 C QS 50% RDA
- 어류 연골 글리코사미노글리칸 200 mg
- 글루시덱스 IT 19 (압축제제) QS 하나의 800 mg 정제
상기 조성물은 매일 5 내지 8개의 정제들로 투여된다.
3/ 감량 ( reducing ) 분말 스틱 실시예
- 동부 추출물 100 mg
- 폴리페놀-풍부 차(tea) 추출물 100 mg
- OPC-풍부 포도 추출물 50 mg
- 식물성 베타-글루칸 100 mg
- 잔탄검 1 mg
- 아스코르브산나트륨 0.3 mg
- 말토덱스트린 QS 5g
상기 조성물은 매일 2회 투여된다.
4/ 항-노화 분말 스틱 실시예
- 동부 추출물 100 mg
- 병풀(Centella asiatica)추출물 100 mg
- 마그네슘, 셀레늄, 망간 QS 100% RDA
- 잔탄검 1 mg
- 아스코르브산나트륨 0.3 mg
- 말토덱스트린 QS 5g
상기 조성물은 매일 2회 투여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실험
효소적 가수분해와 같은 가수분해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인 동부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은 이하 본 실시예에서 동부 가수분해물로 명명한다.
A. 재생 표피에 대한 활성 예비 선별
동부 가수분해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재생 표피에 대한 유전자 발현 조절 실험으로 평가하였다. 따라서, 피부 및 화장학적 생리학에서 주요한 64개의 유전자들 발현을 분화 과정에 있는 재생 표피에 대한 PCR 분석으로 연구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동부 가수분해물 (0.05% 및 0.1%, w/v)을 5일에 재생 표피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였다. 이후 48 시간 배양하였다. 선택 마커들 발현을 정량 RT-PCR (PCR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대조군에 대한 마커들 발현 변이는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대조군: 100%).
b. 결과:
가장 유의한 결과를 하기 표에 표기하고, 동부 가수분해물이 소정의 마커들의 유전자 발현을 변동시킴으로서 특히 하기 활성들에 관여하는 것을 보인다:
- 보습화: ↗ 클라우딘-1, CD44, 코르눌린.
- 표피 분화 및 장벽 기능: ↗ 칼모둘린, 카테닌, 데스모글레인-1, 케라틴-1, 케라틴-10, 필라그린, 로리크린, 술포전달효소, 코르눌린, 소(small) 프롤린-풍부 단백질.
- 표피지질 합성: ↗ 지방산합성효소, 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
- 상처 치유: ↗ 칼모둘린, MMP9, S100A7.
- 항균성 방어: ↗ β-디펜신, 펩티다제 억제제 3, RNase 7, S100A7, 카텔리시딘.
- 항산화 방어: ↗ 헴산화효소-1, HSP27.
재생 표피에서 주요 유전자들 발현 변이
Figure 112012049308315-pct00001
Figure 112012049308315-pct00002
c. 결론:
따라서, 선별에 따라, 동부 가수분해물 활성을 다음 두 가지 분야들에서 평가하였다: 방어 (산화적 스트레스, 염증 스트레스, UV) 및 피부 회복 (표피 재강화, 상처 치유, 재지질화).
B. 항-염증 활성 평가
a. 도입:
피부에서, 각질세포는 환경 공격을 받는 동안 활성되는 첫번째 세포이다. “공격받은” 각질세포는 제2 매개체 (예를들면 인터루킨 8, 또는 IL8) 생성을 자극하는 제1 시토카인 (예를들면 인터루킨 1α, 또는 IL1α)를 방출하여 염증반응을 개시한다.
PMA에 의한 자극에 반응하여 각질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시토카인 (IL1α, IL8)을 측정하여동부 가수분해물 의 항-염증효과를 평가하였다.
b. 재료 및 방법:
인간 각질세포 (NCTC2544 세포주)를 24 시간동안 0.05% (w/v) 동부 가수분해물 또는 참조 분자 (10-7 M 덱사메타손)와 함께 예비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동부 가수분해물 또는 덱사메타손 존재에서 0.1 μg/ml PMA으로 24 시간 처리하였다. 배양배지에서 방출되는 IL1α 및 IL8 함량을 ELISA로 분석하였다.
결과를 단일-인자 변이 분석 (ANOVA) 이어 Tukey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ns p>0.05 유의하지 않음
* 0.01< p<0.05 유의함
** 0.001< p<0.01 매우 유의함
*** p<0.001 가장 유의함
자극된 대조군 (PMA)에 대한 억제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c. 결과:
0.05% 동부 가수분해물은 PMA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성 시토카인 IL1α 및 IL8의 각질세포에 의한 방출을 유의하게 저해하였다.
각질세포에 의한 시토카인 방출
Figure 112012049308315-pct00003

C.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 효과 평가
a. 도입:
예를들면 UV 조사와 같은 여러 외인성 인자들은 세포 손상, 산화환원상태 불균형 또는 분자 기능상실에 이를 수 있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세포는 친-염증성 매개체 생성을 조절하여 각질세포에서 보호 기능을 하는 마이크로좀 효소 헴-산화효소 또는 열 충격 단백질 (HSP), 예를들면 HSP27를 포함한 다양한 방어기작을 가진다.
UVA-조사 섬유아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이러한 세포 방어기작에서의 동부 가수분해물의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b. 재료 및 방법: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를 0.05% (w/v) 동부 가수분해물로 24 시간 예비 처리하였다. 세포를 50 kJ/m² UVA로 조사하고, 동부 가수분해물 존재에서 6 시간 배양하였다. 헴-산화효소 1 및 HSP27의 유전자 발현을 실시간 정량 RT-PCR로 분석하였다.
결과를 단일-인자 변이 분석 (ANOVA) 이어 Tukey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ns p>0.05 유의하지 않음
* 0.01< p<0.05 유의함
** 0.001< p<0.01 매우 유의함
*** p<0.001 가장 유의함
유전자 발현 수준을 상대 함량 (RQ)으로 표기하고 보호 효과를 자극된 대조군 (UVA)에 대한 억제 백분율로 평가하였다.
c. 결과:
동부 가수분해물은 섬유아세포의 UVA 조사로 유발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마커들, 헴-산화효소 1 및 HSP27의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저해하였다.
따라서, 동부 가수분해물은 세포를 UVA-유발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한다.
섬유아세포에 의한 헴산화효소 1 및 HSP27의 유전자 발현
Figure 112012049308315-pct00004
D. 멜라닌 생성 효과 평가
a. 도입:
UV 노출에 반응하여 멜라닌세포에 의한 멜라닌 생성은 피부의 적응적 방어시스템이다. 표피 기저층에 위치한, 각각의 멜라닌세포는 거의 36개의 각질세포들을 보호한다.
정상 인간 멜라닌세포에 의한 멜라닌 생성에 대한 동부 가수분해물 효과를 평가하였다.
b. 재료 및 방법:
정상 인간 상피 멜라닌세포를 0.01% (w/v) 동부 가수분해물 존재 또는 부재 (대조군)에서 α-MSH (NDP-MSH)의 안정한 유사체와 함께 240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멜라닌세포에서의 멜라닌 함량을 광학밀도로 분석하였다.
결과를 단일-인자 변이 분석 (ANOVA) 이어 Dunnet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ns p>0.05 유의하지 않음
* 0.01< p<0.05 유의함
** 0.001< p<0.01 매우 유의함
*** p<0.001 가장 유의함
대조군 또는 자극된 대조군에 대한 자극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c. 결과:
동부 가수분해물은 광보호를 강화하는 친-색소 효과를 가진다. 사실, 본 활성 제제는 NDP-MSH 존재에서 배양된 정상 인간 멜라닌세포에 의한 멜라닌을 유의적으로 자극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에 대한 NDP-MSH 효과를 증가시켰다.
정상 인간 멜라닌세포에 의한 멜라닌 생성
Figure 112012049308315-pct00005
E. 진피 기질 단백질 발현에 대한 효과 평가
a. 도입:
노령 피부 변화는 세포 기능 변화 및 세포외 진피기질 조성 및 구조체 변화로 인한 것이다. 사실, 진피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과 같은 필수 거대분자들의 감소로 두께가 점차로 얇아진다. 이러한 감소는 예를들면 MMP (기질 메탈로프로테인나제)에 의한 이들의 합성 감소 및/또는 분해 증가에 기인한다.
세포외 진피기질 변화에 대한 동부 가수분해물 효과를 표피 섬유아세포 모델로 평가하였고 엘라스틴 및 MMP1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b. 재료 및 방법: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를 24 시간 동안 0.01% 및 0.05% (w/v) 동부 가수분해물 또는 5 ng/ml TGFβ1 (참조)로 처리하였다. 엘라스틴 및 MMP1 유전자 발현을 실시간 정량 RT-PCR로 분석하였다.
결과를 단일-인자 변이 분석 (ANOVA) 이어 Dunnet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ns p>0.05 유의하지 않음
* 0.01< p<0.05 유의함
** 0.001< p<0.01 매우 유의함
*** p<0.001 가장 유의함
유전자 발현 수준을 상대 정량 (RQ)으로 및 대조 세포에 대한 처리 효과는 백분율 증가 또는 억제로 표시하였다.
c. 결과:
동부 가수분해물은 유의하게 엘라스틴 유전자 발현을 자극하였고 유의하게 MMP1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진피 기질 재강화를 촉진하고 피부 회복 또는 노화 과정에서 분해를 제한시킨다.
섬유아세포에 의한 진피 기질 마커들의 유전자 발현
Figure 112012049308315-pct00006
F. 장벽 기능에 대한 효과 평가
1. 도입
장벽기능은 각질층 (SC) 형성을 이루는 표피분화와 연관된다. 여러 구조체들로 인하여 SC은 장벽기능이 보장된다: 세포간 지질, 각질세포막, 각질교소체.
표피분화 및 장벽기능 보강에 대한 동부 가수분해물 효과를 각질세포의 표피분화마커들의 유전자 발현을 평가하고 재생 표피 모델에서 신생합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2. 표피 분화의 유전자 발현 마커들 평가
a. 재료 및 방법:
정상 인간 표피 각질세포를 0.01% 및 0.05% (w/v) 동부 가수분해물로 24 또는 48시간 처리하고; 각질세포 대조군과 병행적으로, 분화 유리 조건(“고 Ca” 칼슘 보강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선택 마커들의 유전자 발현을 실시간 정량 RT-PCR로 분석하였다.
결과를 단일-인자 변이 분석 (ANOVA) 이어 Dunnet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ns p>0.05 유의하지 않음
* 0.01< p<0.05 유의함
** 0.001< p<0.01 매우 유의함
*** p<0.001 가장 유의함
유전자 발현 수준을 상대 정량 (RQ)으로 및 대조 세포에 대한 처리 효과는 백분율 증가로 표시하였다.
b. 결과:
동부 가수분해물은 각질세포에 의한 인볼루크린 및 트란스글루타미나제 1의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높였다. 따라서 동부 가수분해물은 표피 분화 및 각질세포막 형성에 관여한다.
각질세포에 의한 분화 마커들의 유전자 발현
Figure 112012049308315-pct00007
3. 표피지질 신합성 효과 평가
a. 재료 및 방법:
3일간 재생된 표피를 0.01% 및 0.05% (w/v) 동부 가수분해물 존재 및 부재 (대조군) 및 [14C]-아세테이트가 보충된 분화배지에 놓았다.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표피를 아세테이트 부재에서 동일하게 처리하고 다시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고, 박막 크로마토그래피한 후 새로이 합성된 중성 인지질 및 지질을 측정하여 지질 신생합성을 분석하였다.
b. 결과:
동부 가수분해물은 재생 표피에 의한 콜레스테롤 및 유리 지방산 합성을 자극하였다
중성지방 및 지방산의 지질 프로필 정량분석 (대조군 %)
Figure 112012049308315-pct00008
G. 결론
본 문서에 제시된 결과는 본 발명인 동부 추출물 (가수분해물)의 두 가지 보완적 분야에서 명백한 활성을 보인다:
⇒ 피부 방어 보강 :
- 항균 방어: 재생 표피에 의한 항균 펩티드 (b-디펜신, RNase7, 카텔리시딘, 기타 등)의 유전자 발현 자극 [예비적 활성 선별].
- 항산화 방어: 기본 조건의 재생 표피에서 HSP27 및 헴산화효소-1의 유전자 발현 자극 [예비적 활성 선별]; 섬유아세포에서의 UV-유발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HSP27 및 헴산화효소-1의 UV-유발 과다-발현 조절).
- 항-UV 보호: 멜라닌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강화 효과.
⇒ 피부 회복 과정 자극 :
- 깊은 작용 (Deep action): 진피 기질 재강화를 위한 진피 섬유아세포에 대한 엘라스틴 자극, MMP1 저해.
- 상처 치유: 재생 표피에서 표피 상처 치유 (칼모둘린, MMP9, S100A7) 관여 마커들의 유전자 발현 자극 [예비적 활성 선별].
- 표피 재생 및 장벽 기능 확립:
→ 표피분화에 대한 작용: 정상 인간 각질세포 및 재생 표피에 대한 분화 및 장벽 마커들 (인볼루크린, 트란스글루타미나제 1)의 유전자 발현 자극 [예비적 활성 선별].
→ 표면 재지질화: 재생 표피에 대한 표피지질 합성 관여 효소들 (지방산합성효소, 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의 유전자 발현 자극 [예비적 활성 선별]; 재생 표피에 대한 표피 지질 신생합성 (유리 지방산, 콜레스테롤) 자극.
이러한 여러 작용들은 본 발명인 동부 추출물 (가수분해물)의 항-염증 활성에 의해 더욱 보강된다: 화학적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각질세포의 염증성 시토카인 (IL1α, IL8) 방출 조절; 재생 피부에서의 HSP27 (보호 기능) 유전자 발현 유도 [예비적 활성 선별].

Claims (25)

  1. 화장료 조성물로서, 동부 (Vigna unguiculata) 종자의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및 부형제를 포함하고, 상기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은 10 내지 90중량%의 펩티드 및 10 내지 90중량%의 당으로 구성되고, 임의의 잔류 천연단백질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10 내지 50 중량%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20 내지 45 중량%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30 내지 40 중량%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20 내지 80 중량%의 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30 내지 70 중량%의 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50 내지 60 중량%의 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동부 종자 추출물 외에도 다양한 화장적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국소적 또는 경구로 적용되도록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동부 종자의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 분쇄된 종자를 수상에 분산하는 단계,
    - 프로테아제 및 카르보히드라아제의 효소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분산액을 효소적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을 회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임의의 잔류 천연단백질이 제거된 동부 종자의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분쇄된 종자를 수상에 분산하는 단계는 분쇄된 종자를 pH 3.0 내지 9.0 및 20℃ 내지 90℃의 수상에 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잔류 천연단백질이 제거된 동부 종자의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프로테아제 및 카르보히드라아제는, 펙티나아제, 셀루라아제, 아라바나아제, 헤미셀루라아제, 및 β-글루카나아제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잔류 천연단백질이 제거된 동부 종자의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액의 가수분해 이후, 및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회수 단계 이전에, 10000 내지 15000 달톤 차단 (cut-off)의 초여과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잔류 천연단백질이 제거된 동부 종자의 펩티드 및 배당체 추출물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의한 방법으로 획득되고, 10 내지 90중합%의 펩티드 및 10 내지 90중량%의 당을 가지며, 임의의 잔류 천연단백질이 제거된, 동부 종자 추출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10 내지 50 중량%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부 종자 추출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20 내지 45 중량%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부 종자 추출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30 내지 40 중량%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부 종자 추출물.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20 내지 80 중량%의 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부 종자 추출물.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30 내지 70 중량%의 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부 종자 추출물.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50 내지 60 중량%의 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부 종자 추출물.
  21. 제14항에 있어서, 피부 또는 점막 또는 부속기관에 영향을 주는 장애 또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동부 종자 추출물.
  22. 제14항에 있어서, 피부 방어 보강 및 피부 회복 과정 자극에 사용될 수 있는 사용될 수 있는, 동부 종자 추출물.
  23. 제14항에 있어서, 표피 재강화, 상처 치유, 재지질화, 염증 예방, 장벽기능강화, 산화적 스트레스, 염증 스트레스 또는 UVA-유발 스트레스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동부 종자 추출물.
  24. 제14항에 있어서, 지방조직 (adipose tissue) 변형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동부 종자 추출물.
  25. 피부 또는 부속기관 또는 점막의 상태 또는 외관 개선을 위한 화장 방법에 있어서, 제1항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제14항에 의한 추출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 방법.
KR1020127016056A 2009-11-30 2010-11-30 동부 종자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KR101906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8529 2009-11-30
FR0958529A FR2953136B1 (fr) 2009-11-30 2009-11-30 Extrait de graines de vigna unguiculata et compositions cosmetiques, pharmaceutiques, dermatologiques, nutraceutiques ou alimentaires le comprenant
PCT/EP2010/068573 WO2011064401A2 (fr) 2009-11-30 2010-11-30 Extrait de graines de vigna unguiculata et compositions le compren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007A KR20120105007A (ko) 2012-09-24
KR101906604B1 true KR101906604B1 (ko) 2018-10-10

Family

ID=4228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056A KR101906604B1 (ko) 2009-11-30 2010-11-30 동부 종자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40939B2 (ko)
EP (1) EP2506724B1 (ko)
KR (1) KR101906604B1 (ko)
ES (1) ES2683871T3 (ko)
FR (1) FR2953136B1 (ko)
WO (1) WO201106440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6074A1 (en) * 2009-02-07 2010-08-11 Cognis IP Management GmbH Dolichos biflorus extract for use in cosmetic skin treatment
WO2012001082A2 (en) * 2010-06-30 2012-01-05 Galderma S.A. Moisturizing composition with spf 30
KR20120068148A (ko) * 2010-12-17 2012-06-2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 개선용 조성물
US9426020B2 (en) * 2013-03-15 2016-08-23 Cisco Technology, Inc. Dynamically enabling selective routing capability
FR3010906B1 (fr) 2013-09-25 2016-12-23 Expanscience Lab Extrait lipidique de graines de passiflores
WO2022173974A1 (en) * 2021-02-10 2022-08-18 TRI-K Industries, Inc. A novel composition and method containing pea and quinoa natural peptides and niacinamide to enhance skin glow, radiance and even skin tone
CN114470057B (zh) * 2021-10-26 2023-12-22 成都科建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脂质体皮肤修复制剂及其制备方法
WO2024083930A1 (de) * 2022-10-18 2024-04-25 Beiersdorf Ag Topisch applizierbare zubereitung zur verbesserung des hautzustandes
DE102022210999A1 (de) * 2022-10-18 2024-04-18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Topisch applizierbare Zubereitung zur Verbesserung des Hautzustand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5324A (ja) * 2001-03-07 2002-09-1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55343A (ko) 1950-01-14
FR955344A (ko) 1941-03-29 1950-01-14
US4677065A (en) * 1986-03-24 1987-06-30 Aktieselskabet De Danske Sukkerfabrikker Production of improved protein isolate derived from seeds of a grain legume
ES2179038T3 (es) * 1991-09-13 2003-01-16 Pentapharm Ag Fraccion porteinica para el tratamiento cosmetico y dermatologico de la piel.
FR2762512B1 (fr) 1997-04-24 2000-10-13 Pharmascience Lab Compositions a base d'huile de lupin, notamment a base d'huile de lupin et d'huile de germe de ble et leur utilisation en cosmetologie, en pharmacie et en tant que complement alimentaire
DE69819720T2 (de) * 1998-09-11 2004-04-15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Getrocknetes Nahrungsmittel auf Basis von Getreide und hydrolysierten Leguminosen, und Verfahren seiner Herstellung
FR2798591B1 (fr) 1999-09-22 2001-10-26 Pharmascience Lab Utilisation d'un produit d'huile vegetale pour augmenter la synthese des lipides cutanes en cosmetique, pharmacie ou dermatologie et en tant qu'additif alimentaire
FR2798667B1 (fr) 1999-09-22 2001-12-21 Pharmascience Lab Procede d'extraction des composes furaniques et alcools gras polyhydroxyles de l'avocat, composition a base de et utilisation de ces composes en therapeutique, cosmetique et alimentaire
FR2803749B1 (fr) 2000-01-18 2006-09-22 Pharmascience Lab Utilisation d'au moins un ester gras pour la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destinee a inhiber l'activite de la 5 alpha-reductase, en pharmacie notamment en dermatologie, en cosmetique et en tant qu'additif alimentaire
FR2811984B1 (fr) 2000-07-19 2004-02-06 Pharmascience Lab Procede de preparation d'un ester de corps gras et son utilisation dans les domaines pharmaceutique, cosmetique ou alimentaire
FR2819414A1 (fr) * 2001-01-15 2002-07-19 Cognis France Sa Preparations cosmetiques et/ou pharmaceutiques comprenant des extraits de plantes dites a resurrection
FR2822821B1 (fr) 2001-04-03 2004-05-07 Pharmascience Lab Extrait de coques de graines de lupin contenant du lupeol, en particulier extrait riche en lupeol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WO2004016106A1 (fr) 2002-07-29 2004-02-26 Laboratoires Expanscience Procede d'obtention d'un insaponifiable d'avocat riche en lipides furaniques
WO2004012752A2 (fr) 2002-07-30 2004-02-12 Laboratoires Expanscience Procede d'obtention d'un extrait de feuilles d'avocatier riche en lipides furaniques
US20040131749A1 (en) * 2002-08-29 2004-07-08 Archer-Daniels-Midland Company Phytochemicals from edible bean process streams
FR2847471B1 (fr) 2002-11-25 2006-12-29 Expanscience Lab Composition comprenant au moins un derive d'acide carbamique ,son utilisation cosmetique et comme medicament
FR2847473B1 (fr) 2002-11-25 2007-06-29 Expanscience Lab Composition comprenant au moins une oxazolidinone, son utilisation cosmetique et comme medicament
FR2856294B1 (fr) 2003-06-18 2005-08-05 Expanscience Lab Utilisation cosmetique d'une composition comprenant au moins une oxazoline, a titre de principe actif, comme amincissant et/ou pour prevenir et/ou traiter la cellulite
FR2856298B1 (fr) 2003-06-19 2007-08-17 Expanscience Lab Extrait de maca et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tel extrait
FR2857596B1 (fr) 2003-07-18 2006-02-03 Expanscience Lab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comprenant un extrait riche en lupeol, a titre de principe actif, pour stimuler la synthese des proteines de stress
FR2868703B1 (fr) * 2004-04-08 2008-06-13 Expanscience Sa Lab Extrait total de lupin constitue d'un extrait de sucres de lupin et d'un extrait peptidique de lupin, procede d'obtention et utilisation
FR2869543B1 (fr) * 2004-04-30 2006-07-28 Expanscience Laboratoires Sa Medicament comprenant un extrait peptidique d'avocat destine au traitement et la prevention des maladies liees a une deficience du systeme immunitaire
FR2869541B1 (fr) 2004-04-30 2007-12-28 Expanscience Sa Lab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mprenant du d-mannoheptulose et/ou du perseitol dans le traitement et la prevention des maladies liees a une modification de l'immunite innee
FR2893628B1 (fr) 2005-11-18 2008-05-16 Expanscience Laboratoires Sa Procede d'obtention d'une huile d'avocat raffinee riche en triglycerides et huile susceptible d'etre obtenue par un tel procede
FR2903903B1 (fr) 2006-07-18 2008-08-29 Expanscience Laboratoires Sa Utilisation d'un hydrolysat de proteines de riz en tant que principe actif pigmentant
FR2910815B1 (fr) 2006-12-28 2010-10-29 Expanscience Lab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de graines de quinoa
US8063005B2 (en) * 2007-12-10 2011-11-22 Sanyasi Raju Kalidindi Personal care formulations with simultaneous exfoliant, cleansing and moisturizing properties
EP2216074A1 (en) * 2009-02-07 2010-08-11 Cognis IP Management GmbH Dolichos biflorus extract for use in cosmetic skin treat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5324A (ja) * 2001-03-07 2002-09-1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6724A2 (fr) 2012-10-10
EP2506724B1 (fr) 2018-06-06
WO2011064401A2 (fr) 2011-06-03
FR2953136A1 (fr) 2011-06-03
WO2011064401A3 (fr) 2011-12-29
US20120237624A1 (en) 2012-09-20
US8840939B2 (en) 2014-09-23
ES2683871T3 (es) 2018-09-28
KR20120105007A (ko) 2012-09-24
FR2953136B1 (fr)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129B1 (ko) 아까시아 마크로스타키아 종자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KR101906604B1 (ko) 동부 종자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
KR102174051B1 (ko) 시계꽃 종자들의 추출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미용적, 약제학적, 피부과학적 및 영양제학적 조성물들
US10688142B2 (en) Methods of treatment using a lipid extract of Passiflora seeds concentrated in its unsaponifiable fraction
KR101760959B1 (ko) 남오미자 열매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학적 및 피부과학적 조성물
US8231916B2 (en) Use of a rice protein hydrolysate as pigmenting active principle
CN111053716B (zh) 一种茯茶提取物在制备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US9616009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C7 sugar for alopecia treatment, cosmetic treatment of hair and nails, and care of hair, eyelashes or nails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5741A (ko) 폴리페놀이 풍부한 아보카도 과육 및/또는 껍질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한 화장학적, 피부과학적 및 기능식품 조성물
US8414933B2 (en) Brassocattleya marcella koss orchid extract and use thereof as skin depigmentation agent
JP2014177498A (ja) 皮膚に影響を与える条件を制御し及び/又は安定化する方法
KR20140012964A (ko) 폴리페놀이 풍부한 마카 지상부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KR100837879B1 (ko) 녹용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20090123573A1 (en) Admixture of extracts of plants of the genus rosmarinus and carotenoids for treating cutaneous symptoms of aging
KR20210131598A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0554947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2735B1 (ko) 흰가시광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4094A (ko) 천일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