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156B1 -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156B1
KR102081156B1 KR1020190150372A KR20190150372A KR102081156B1 KR 102081156 B1 KR102081156 B1 KR 102081156B1 KR 1020190150372 A KR1020190150372 A KR 1020190150372A KR 20190150372 A KR20190150372 A KR 20190150372A KR 102081156 B1 KR102081156 B1 KR 102081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enign prostatic
cornus
composition
prostatic hyperplas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2335A (ko
Inventor
최영현
김경일
박노진
최은옥
황보현
권다혜
김민영
윤선호
이영재
심복순
고근배
손병길
정지숙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례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례군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15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의 발현을 차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의 발현을 차단하여, 양성 전립성 비대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차, 기타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와 함께 기호성 높은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CORNI FRUCTUS EXTRAC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본 발명은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성 비대증 예빵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의 발현을 차단하여, 양성 전립성 비대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trophy, BPH)은 노년기에 흔한 증상으로, 양성 전립선 비대증은 요도를 둘러싼 전립선의 요도 전이 구역에 위치한 평활근과 상피 세포의 제어되지 않는 증식으로 인해 전립선의 악성 비대가 특징이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병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노화와 관련된 안드로겐(Androgen)의 변화는 전립선 성장 발달에 필수적인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간주된다.
그 중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은 가장 중요한 효소이다.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스테로이드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 인 5α- 환원효소(reductase)에 의해 테스토스테론으로부터 전립선으로 전환되고 테스토스테론보다 높은 친화력으로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 AR)와 상호 작용한다.
따라서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감소 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도한 생산은 전립선의 상피 세포와 간질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여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발달을 자극한다.
또한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전립선 특이 항원(prostate specific antigen, 이하 PSA라 함)의 혈청 농도는 PSA 생산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을 안드로겐 수용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촉진되기 때문에 양성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서 비슷한 연령의 정상인과 비교하여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양성 전립선 비대증 환자를 위한 전립선 절제술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수술 방법이지만, 출혈, 요도 협착 및 요실금과 같은 많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고령자에게는 제한적일 수 있다.
외과적 치료의 대안으로, (α)1-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adrenoceptor antagonists, α-차단제(blockers))와 5α-환원효소 억제제(5α-reductase inhibitors, 5ARI)로 크게 나뉘어, 양성 전립선 비대증 치료를 위한 다양한 약물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α-차단제는 전립선 비대증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줄일 수 없으며 기립성 저혈압, 코 막힘(nasal congestion), 무력감, 성기능 장애, 현기증 및 두통과 같은 부작용을 나타낸다. 5ARI에는 또한 발기 및 사지 기능 장애와 성욕 감소를 포함한 생식 기관에 대한 다양한 부작용이 문제된다.
따라서 최근 양성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 전략으로 항 양성 전립선 비대증 활성 약제의 적용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허 문헌 1) KR 10-0769412 B1
본 발명의 목적은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의 발현을 차단하여, 양성 전립성 비대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차, 기타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와 함께 기호성 높은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산수유(Corni Fruc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산수유 추출물은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의 발현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산수유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산수유 추출물은 산수유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된 산수유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다.
상기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레우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부츠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onsonii), 락토바실러스 케피르(Lactobacillus kefir) 등과 같은 유산 바실리, 락토코코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코스 플랜타룸(Lactococcus plantarum), 락토코코스 라피노락티스(Lactococcus raffinolactis), 엔테로코코스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코코스 파에시늄(Enter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코스 터모필리우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류코노스톡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등과 같은 유산 콕사이 및 비피도박테리움 애닐멀스(Bifidobacterium animals), 비피도 박테리움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바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수도롱굼(Bifidobacterium pseudolongum), 비피도박테리움 터모필룸(Bifidobacterium themophilum), 비피도박테리움 아돌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등과 같은 비피도박테리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상기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자귀나무(Silk-tree)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댑싸리(Kochia scoparia (L.) Schrad.)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茶)는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최근 들어 고령화로 인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천연물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발병과 진행은 전립선 기능 조절과 관련된 호르몬의 활동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항 염증 및 항산화 특성을 지닌 천연 제품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높은 항 염증 및 항산화 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산수유(Corni Fructus)의 효과를 이용하였다. 전통적인 의약 자원으로부터 양성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할 가능성이 높은 천연물을 찾았으며, 본 발명에서는 산수유 추출물을 이용하고자 한다.
상기 산수유(Corni Fructus)는 오래 전부터 긴장성 약제와 혈액 순환을 좋게하는 것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의학적 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산수유 추출물은 항 염증, 항산화, 면역 조절, 항 종양, 당뇨병, 고혈당증, 간 보호 및 항 패혈증과 같은 다양한 약리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있다.
산수유 추출물은 전립선 조직에서 5α-환원효소의 발현 저해 및 혈청 내 효소의 농도와 관련된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testosterone propionate, TP)-유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전립선 비대 및 조직 병리학적 변화를 크게 감소 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수유 추출물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혈청에서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양을 현저히 차단하였으며, 또한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과 PSA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수유 추출물이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양성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발병 기전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5α-환원효소는 테스토스테론으로부터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생합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효소이기 때문에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조절을 위한 주요 표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3종의 5α-환원효소 중 I 형과 II 형은 임상 적으로 가장 중요하다.
그 중 간질과 상피의 전립선 핵막에 위치한 2형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과 관련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생성에 더 관여한다고 보고되었다.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남성 생식 기관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테스토스테론보다 안드로겐 수용체에 대한 친화도가 높다. 안드로겐 수용체에 대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높은 친화성은 테스토스테론보다는 전립선 상피세포 및 간질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데 필요한 안드로겐 의존 성장 인자의 전사 활성을 강력하게 자극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안드로겐 수용체를 핵으로 전이 시켜 발생하는 안드로겐 반응요소(AREs)의 DNA 서열에 결합하기 위해 특정 안드로겐 수용체의 보조 활성제 동원을 필요로 한다.
궁극적으로 노화와 함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잉 생산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발달과 악화로 이어진다. 산수유 추출물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에서 5α-환원효소 2형, 혈청 테스토스테론 및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수준을 유의하게 낮추었다.
혈청 5α-환원효소 2형 수준의 감소와 일치하여, 전립선 조직에서 상기 효소의 단백질 발현은 산수유 추출물을 투여 한 쥐에서 감소하였고, 안드로겐 수용체, ARA70 및 SRC1을 포함하는 안드로겐 수용체 동시 활성화 인자의 발현 감소와 관련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5α-환원효소 2형 동종 효소의 선택적 저해제인 피나스테라이드 군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결과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의해 유발된 동물에서 증가된 전립선 중량 및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차단 효과가 아마도 5α-환원효소와 안드로겐 수용체 활동의 감소로 인한 것임을 시사한다.
PSA는 전립선에서 발현되는 대표적인 안드로겐 반응 유전자 중 하나이다. 소량의 PSA가 일반적으로 건강한 남성의 혈액에서 검출되지만, PSA 수준은 전립선 암 진행의 지표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활성이 높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안드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PSA의 프로모터 부위에서 ARE와 상호 작용하여 PSA의 전사 활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PSA 수준은 전립선 암 환자뿐 아니라 양성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혈청에서도 증가하므로 PSA 수치가 감소하면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본 발명에서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유발 동물에서 산수유 추출물 처리에 의해 PSA 수준이 감소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혈청 내 PSA의 양과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전립선 조직에서의 발현이 산수유 추출물을 투여한 흰쥐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수유 추출물이 전립선 세포에서 안드로겐 신호 전달 체계를 약화 시켰음을 의미한다. 이는 산수유 추출물 처리에 의한 PSA 발현 감소 및 생산에 기인 할 수 있다.
상기 산수유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산수유 추출물'이란 산수유를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산수유 추출물은 상엽 분쇄물을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C1 내지 C6의 알코올과 같은 극성 용매, 또는 알코올과 물의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 용매로 용출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추출 온도는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추출한 추출물 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1 내지 24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결과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산수유 추출물인 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산수유는 산수유 나무(Cornus officinalis)의 열매로, 산수유 추출물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한편 상기 산수유 추출물은 산수유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뒤 이를 발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산수유 추출물을 발효하는 경우 세포독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발효에 사용하는 미생물로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레우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부츠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onsonii), 락토바실러스 케피르(Lactobacillus kefir) 등과 같은 유산 바실리, 락토코코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코스 플랜타룸(Lactococcus plantarum), 락토코코스 라피노락티스(Lactococcus raffinolactis), 엔테로코코스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코코스 파에시늄(Enter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코스 터모필리우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류코노스톡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등과 같은 유산 콕사이 및 비피도박테리움 애닐멀스(Bifidobacterium animals), 비피도 박테리움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바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수도롱굼(Bifidobacterium pseudolongum), 비피도박테리움 터모필룸(Bifidobacterium themophilum), 비피도박테리움 아돌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등과 같은 비피도박테리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자귀나무(Silk-tree)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귀나무는 부부의 금실을 상징하는 나무로 합환수(合歡樹), 합혼수, 야합수, 유정수라고도 한다. 이런 연유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 나무를 마당에 정원수로 많이 심었다. 자귀대의 손잡이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나무였기 때문에 자귀나무라고 하며 소가 잘 먹는다고 소쌀나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또한, 나무의 줄기는 굽거나 약간 드러눕는다. 높이 3∼5m이고 큰 가지가 드문드문 퍼지며 작은 가지에는 능선이 있다. 겨울눈의 아린(芽鱗, 겨울눈을 싸고 있는 단단한 비늘 조각)은 2-3개가 있지만 거의 보기 어려울 정도로 작다. 잎은 어긋나고 2회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낫 같이 굽으며 좌우가 같지 않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작은잎의 길이는 6 내지 15mm, 너비는 2.5 내지 4.0mm 정도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연분홍색으로 6 또는 7월에 피고 작은 가지 끝에 15 내지 20개씩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얕게 5개로 갈라지고 녹색이 돈다. 수술은 25개 정도로서 길게 밖으로 나오고 윗부분이 홍색이다. 꽃이 홍색으로 보이는 것은 수술의 빛깔 때문이다. 열매는 9월 말에서 10월 초에 익으며 편평한 꼬투리이고 길이 15cm 내외로서 5 또는 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특이한 점은 신경초나 미모사는 외부의 자극에 잎이 붙어버리지만 자귀나무는 해가 지고 나면 펼쳐진 잎이 서로 마주보며 접혀진다.
상기 산수유 추출물에 상기 자귀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혼합사용에 따른 상승효과에 따라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의 발현을 차단하는 효과가 상승된다. 따라서 보다 적은 함량으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댑싸리(Kochia scoparia (L.) Schrad. )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댑싸리는 들에 자라는 일년초로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추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으로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3맥이 있다. 꽃은 7~8월 잎겨드랑이에 몇 개씩 달린다. 열매는 포과로 원반형으로 끝에 암술대가 달리고 그 속에 종자가 1개 들어 있다.
상기 댑싸리 추출물은 가을철 과실 성숙기에 전주를 베어 햇볕에 말려 수집한 전주로부터 추출한 것이다.
상기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쇠무릅(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쇠무릎은 산야에 자라는 다년초로 높이 50~100cm이며 원줄기는 네모지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털이 약간 있다. 꽃은 8~9월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수상화서로 달린다. 열매는 포과로 꽃받침에 싸여 있고 종자는 황록색이다.
상기 쇠무릎 추출물은 쇠무릎 뿌리를 겨울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건조된 쇠무릎 뿌리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다.
상기 산수유 추출물에, 자귀나무 추출물, 댑싸리 추출물 및 쇠무릎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반응에 의한 상승 작용으로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의 발현을 차단하는 효과가 상승된다. 따라서 보다 적은 함량으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산수유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귀나무 추출물 1 내지 15 중량부, 댑싸리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및 쇠무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 상기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산수유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귀나무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댑싸리 추출물 20 내지 25 중량부 및 쇠무릎 추출물 15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혼합 작용에 의한 보다 높은 상승효과에 의해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의 발현을 차단하는 효과가 상승되어,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항염 및 항산화 활성용 조성물은 전동싸리(Yellow melilot) 추출물,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 추출물 및 비비추(Hosta longipes)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엽의 텁텁한 향이 중화되고 다른 추출물과 혼합에 의하여 향미가 향상되어 보다 기호성 높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전동싸리(Yellow melilot)는 초목서(草木犀)·멜리토우스초라고도 한다. 중국 북부 원산이다. 저지대의 풀밭에 자란다. 높이 60 내지 9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마르면 향기가 난다. 어릴 때는 털이 있으나 후에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그리고 꽃은 7 또는 8월에 피고 노란색이며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총상으로 빽빽하게 달린다. 꽃받침에는 잔 털이 있다. 열매는 달걀 모양이며 털이 없고 검게 익는다. 풀 전체를 해열·안질·신장염 등에 약용한다. 꽃이 보다 작고 흰색인 것을 흰전동싸리(M. alba)라고 한다. 모두 목초자원으로 재배하던 것이 번져서 야생으로 자란다.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는 나무 그늘에서 자라며 원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끝이 곧추 서고 녹색이며 처음에는 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높이 30cm 내외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지만 윗부분에 모여 달리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윗부분에 톱니가 있다. 잎 표면 맥 위에 잔 털이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 잎자루가 된다. 또한 꽃은 4 또는 5월에 피고 흰색이며 수상꽃차례에 달린다. 암꽃은 꽃이삭 밑부분에 약간 달리고 수꽃은 윗부분에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없다. 수술은 3 내지 5개이고 암술대는 2개로 갈라져서 젖혀진다. 열매는 핵과로서 달걀 모양이고 겉에 털이 없다. 한국, 일본, 사할린섬, 중국에 분포한다.
비비추(Hosta longipes)는 산지의 냇가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며 높이 30 내지 40cm이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서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8 또는 9맥이 있다.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7 또는 8월에 피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리며 꽃줄기는 길이 30 내지 40cm이다. 포는 얇은 막질이고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며 작은꽃자루의 길이와 거의 비슷하다. 화관은 끝이 6개로 갈라져서 갈래조각이 약간 뒤로 젖혀지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다. 종자는 검은색으로서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연한 순을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야생종은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비비추는 원예종으로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외국에서 정원식물로 인기가 높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산수유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전동 싸리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수호초 추추물 5 내지 15 중량부 및 비비추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산수유 추출물의 향미가 크게 개선되어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내고 기호성이 매우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기호성이 높아 널리 보급하는데 매우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산수유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귀나무 추출물 1 내지 15 중량부, 댑싸리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및 쇠무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전동 싸리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수호초 추추물 5 내지 15 중량부, 비비추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혼합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항염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크게 높아지게 되며 각 조합에 따른 향미가 우수하여 대단히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및 기호성 높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수유 추출물은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 온 것으로 그 투여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고, 체내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수유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체중 1 kg당 10 내지 1000 mg 정도를 투여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체중 1 kg당 50 내지 500 mg 정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유효량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활성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산수유 추출물의 제조 및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산수유 추출물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산수유 추출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산수유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세하게는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 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 충진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산수유 추출물의 제조 및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산수유 추출물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수유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산수유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 혼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의심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의하면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의 발현을 차단하여, 양성 전립성 비대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차, 기타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와 함께 기호성 높은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전립선 무게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투여 효과에 관한 것으로, 전립선 총 무게의 변화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전립선 무게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투여 효과에 관한 것으로, 전립선 무게 비율의 변화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전립선 조직에서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투여 효과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혈청 내에서 테스토스테론 및 DHT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투여 효과에 관한 것으로, 테스토스테론의 혈청 농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혈청 내에서 테스토스테론 및 DHT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투여 효과에 관한 것으로, DHT의 혈청 농도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5α-환원효소 2형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투여 효과에 관한 것으로, 5α-환원효소 2형의 혈청 농도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5α-환원효소 2형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투여 효과에 관한 것으로, 항-5α-환원효소 2형로 면역 염색된 전립선 조직에 대한 사진이다.
도 8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5α-환원효소 2형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투여 효과에 관한 것으로, 웨스톤 블롯에 의해 결정된 전립선 조직내에서 5α-환원효소 2형의 발현 수준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안드로겐 수용체 발현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투여 효과에 관한 것으로, 항-안드로겐 수용체로 면역염색된 전립선 조직의 사진이다.
도 10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안드로겐 수용체 발현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투여 효과에 관한 것으로, 안드로겐 수용체 및 안드로겐 수용체 보조 활성제의 발현 정도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PSA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투여 효과에 관한 것으로, PSA의 혈청 농도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 쥐의 PSA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투여 효과에 관한 것으로, 웨스턴 블롯에 의해 결정된 전립선 조직에서의 PSA의 발현 정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산수유 추출물의 제조]
구례 산수유 농협 공사에서 제공한 말린 과일인 산수유(Corni Fructus)는 구례(전라남도)의 한 지역에서 수확한 것이다. 샘플을 15℃ 및 15%의 상대습도로 조정된 저온 건조실에서 24시간 동안 냉동 건조시켜 수분 함량을 15% 이내로 유지하였다. 냉동 건조시킨 산수유는 작은 조각으로 자른 다음 1시간 동안 증류수로 끓였다.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추출물을 0.45 mM 필터로 여과하고 진공 회전 증발기(BUCHI,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여과액(산수유 열수 추출물, 이하 'CF'라 함)을 동결 건조시킨 다음 사용시까지 -20 ℃에서 보관 하였다.
[실험예 1: 산수유 추출물을 이용한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의 발현을 차단 효과 시험]
1. 실험 방법
동물
초기 체중이 200 내지 220g인 6주령 수컷 스프래그 다우리 흰쥐(Sprague-Dawley rats, Samtako Bio Korea, Osan, Republic of Korea)를 사용 하였다. 상기 동물은 병원균이 없는 방에 보관하고, 표준 실험실 조건(23 ± 2 ℃, 70 ± 5% 상대습도, 12시간 명암 주기)하에 유지시켰다. 모든 동물 실험은 동의대학교 동물 실험 윤리위원회(Confirmation number: R2017-004)에 따라 수행되었다.
실험 절차
실험실 환경에 1 주간 순응시킨 후, 쥐를 무작위로 하기와 같은 그룹(n=6)으로 나누어 배정하였다.
(a) 옥수수 기름과 함께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를 투여한 정상 대조군; (b)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TESTOSTERONE PROPIONATE, TP)(3mg/kg, Tokyo Chemical Industry Co., Tokyo, Japan)와 함께 PBS를 투여한 양성 전립선 비대증 군; (c)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TESTOSTERONE PROPIONATE, TP)(3mg/kg)와 함께 CF(250, 500 및 700mg/kg)를 투여 한 그룹; (d)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TESTOSTERONE PROPIONATE, TP)(3mg/kg)와 함께 피나스테라이드(5mg/kg, Sigma-Aldrich Chemical Co., St Louis, MO, USA)를 투여 한 양성 대조군;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TESTOSTERONE PROPIONATE, TP)로 유도된 양성 전립선 비대증군에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TESTOSTERONE PROPIONATE, TP)(3mg/kg)를 복강 내 주사로 0.1mL 용량으로 7 주간 투여하였다.
실험 종료시, 생화학적 분석을 위해 대퇴정맥으로부터 혈액 샘플을 수집하기 위해 동물을 마취 하였다. 동시에 전립선 및 폐, 심장, 비장, 간 및 신장과 같은 주요 기관도 회수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대적 전립선 중량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상대 전립선 중량비 = 실험 그룹에서의 전립선 무게/대조 그룹에서의 쥐 전립선 무게.
각 전립선의 나머지는 -80℃에서 저장되었으며 추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헤마톡실린(hematoxylin) 및 에오신(eosin)(H&E) 염색에 의한 조직 병리학 적 검사
전립선을 10 % 완충된 포름 알데히드 용액에 24시간 동안 고정시킨 후, 조직 샘플을 파라핀-매입(paraffin-embedded) 및 절단하였다. 절편 조직을 H&E(Sigma-Aldrich Chemical Co.)로 염색하고, 광학 현미경((Carl Zeiss, Oberkochen, Germany)을 이용하여, 200X 배율로 조직학적 변화를 평가하였다.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cal) 분석
면역 염색을 위해 조직 절편을 5α-환원효소 2형(1:50 희석, BioRad Laboratories, Inc., Hercules, CA, USA) 및 안드로겐 수용체(1:50 희석,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Santa Cruz , CA, USA)에서 4 ℃로 배양하였다. 하룻밤 후, 절편을 겨자무과산화효소(horseradish peroxidase, HRP)-접합된(conjugated) 염소 항-토끼 IgG(affinipure Goat anti-rabbit IgG) 또는 HRP-접합된 염소 항- 마우스 IgG(affinipure Goat anti-mouse IgG)(1:500 희석, Jackson Immunoresearch Lab., West Grove, PA, USA)와 함께 배양하였다. 실온에서 30분. 슬라이드를 PBS로 세척하고 과산화수소 존재 하에서 디아미노벤지딘(diaminobenzidine) 용액으로 전개한 다음 형광 현미경(Carl Zeiss)으로 시각화하였다.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분석
준비된 전립선 조직을 PROPREP lysis buffer(Intron Biotechnology Inc., 성남,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고 균질화하였다. 조직 추출물을 4℃에서 13,000rpm으로 2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BioRad 단백질 분석법(BioRad Laboratories Inc.)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등액의 단백질 농도를 계산하였다.
시료 당 단백질 당량(30 μg)을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전기 영동으로 분리하고 폴리비닐이덴 디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difluoride) 멤브레인으로 옮겼다. 막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5% 탈지유가 함유된 TBST(10mM Tris, 150mM NaCl 및 0.05% Tween-20, pH 7.6)로 블로킹하고, TBST로 세척 한 후, 적절한 1차 안드로겐 수용체(Santa Cruz Biotechnology, Inc.), 안드로겐 수용체 관련 단백질 70(ARA70,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스테로이드 수용체 보조 활성제(steroid receptor coactivator)-1(SRC-1), 5α-환원효소 2형(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 PSA(Santa Cruz Biotechnology, Inc.) 및 액틴(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Inc.)와 함께 4℃에서 밤새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멤브레인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적절한 HRP-접합된 2차 항체 (Amersham Biosciences, Westborough, MA, USA)와 반응시켰다. 단백질 밴드는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강화된 화학발광(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키트(Amersham Biosciences)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생화학 마커(biochemical markers)의 측정
수집된 혈액 샘플(각각 5 mL)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유지하여 응고시킨 다음 3000g에서 4℃에서, 2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석 키트(Asan Pharm, Seoul, Repbulic of Korea)에 제시된 프로토콜에 따라 생화학적 자동 분석기(Biochemistry Automatic Analyzer, Hitachi High-Technologies,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혈액요소질소 (blood urea nitrogen, BUN) 및 크레아티닌(creatinine)의 수준을 검출하여 간 및 신장 기능을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
모든 데이터는 평균 ± 표준 오차(SEM)로 표현하였다. 통계적으로 가치(Values)는 Dunnett's의 테스트를 사용하여 편도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통계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통계 분석 소프트웨어(버전 19.0, IBM, NY, US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0.05 이하의 p 값은 유의 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2. 실험 결과
양성 전립선 비대증-유도된 쥐의 전립선 무게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효과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TESTOSTERONE PROPIONATE, TP)-유발 BPH 쥐에서 전립선 중량이 증가한 CF의 효과는 도 1 및 2와 같다. 대조군에 비해 양성 전립선 비대증 군의 전립선 중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TESTOSTERONE PROPIONATE, TP)가 BPH를 성공적으로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CF 투여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전립선 중량을 감소시키는 유의한 경향을 보였다. 양성군으로 사용된 피나스테라이드 치료 군 또한 예상대로 양성 전립선 비대증 그룹에 비해 전립선 중량을 크게 감소시켰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유도된 쥐의 전립선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효과
산수유 추출물(CF)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전립선 조직에 대한 H&E 염색을 실시하고 전립선 비대를 완화 효과를 재확인하였다. 도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성 전립선 비대증으로 유도된 쥐에서 세포 증식에 의한 세포질 및 내강의 감소 및 용종 형성과 같은 병리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과형성의 전형적인 조직학적 패턴은 CF 처리군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피나스테라이드 처리군에서도 병리학적 특징이 관찰되지 않았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 유발 쥐의 혈청에서 테스토스테론 및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수치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효과
도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청 내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주요 원인인 테스토스테론 및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 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양성 전립선 비대증 군과 비교하여 CF 투여군에서는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대조군에서는 피나스테라이드 투여군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쥐의 혈청 및 전립선 조직에서의 5α-환원효소 2형의 농도 증과 및 발현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효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양성 전립선 비대증-유도군에서 혈청 5α-환원효소 2형의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CF 처리군에서는 CF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농도가 점차 감소하였고, 피나스테라이드 처리군도 양성 전립선 비대증 유발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전립선 조직의 현미경적 검사에서 5α-환원효소 2형의 발현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 유도 군에서 증가되었지만 CF 및 피나스테리드 처리군에서 발현이 억제되었다(도 7).
추가적으로, CF의 효과가 5α-환원효소 2형의 발현 변화와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전립선 조직에서 5α-환원 효소 2형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비교 하였다.
그림 4C에 표시된 immunobulototing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의해 유도된 전립선 조직의 5α-환원효소 2형의 수준은 피나스테라이드와 CF 처치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었다.
전립선 조직에서의 안드로겐 수용체 및 안드로겐 수용체의 보조 활성제(co-activators)의 발현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효과
전립선 면역염색(prostate immunostaining) 결과에 따르면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TESTOSTERONE PROPIONATE, TP)-유발성 양성 전립선 비대증 군에서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이 증가되었지만, 피나스테라이드 투여군에서와 마찬가지로 CF 투여군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TESTOSTERONE PROPIONATE, TP) 투여군에 비해 안드로겐 수용체의 증가된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도 9).
단백질 수준에서 면역 염색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웨스턴 블롯 분석에서, 안드로겐 수용체 단백질의 발현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 군에서 향상되었다. 그러나, 증가 된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은 CF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피나스테라이드 치료 또한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을 감소시켰다(도 10).
또한, 양성 전립선 비대증 군에서 ARA70 및 SRC1과 같은 안드로겐 수용체의 보조 활성제(co-activators)에 의해 유도된 단백질 수준은 CF 및 피나스테라이드 처리에 의해 하향 조절되었다(도 10).
PSA의 수준과 발현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효과
PSA 수준에서 CF 처리에 따른 효과를 더 조사하였고,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면역조직화학 결과에서 보여주듯이 혈청 내 PSA의 양이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TESTOSTERONE PROPIONATE, TP) 처리에 의해 크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했다.
반면, CF 및 피나스테라이드 치료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군과 비교하여, 혈청 내 PSA의 양을 유의하게 낮추었다. 이러한 경향은 전립선 조직의 PSA 단백질 발현 양상에서 유사하게 관찰되었다(그림 12).
양성 전립선 비대증 유발 쥐에서의 산수유 추출물의 독성 평가
CF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요 기관의 무게와 혈청 호르몬의 수준을 조사하였다.
군(Groups) 주요 기관의 무게(g)
폐(Lung) 심장(Heart) 비장(Spleen) 간(Liver) 신장(Kidney)
대조군(Control) 1.52±0.18 1.22±0.11 0.66±0.03 10.38±1.14 2.51±0.35
양성 전립선 비대증 1.41±0.17 1.20±0.16 0.60±0.06 9.37±1.57 2.83±0.45
CF-250 1.48±0.11 1.23±0.08 0.69±0.11 9.65±1.24 3.08±0.37
CF-500 1.52±0.19 1.23±0.16 0.70±0.10 9.11±3.46 3.06±0.38
CF-700 1.39±0.18 1.20±0.13 0.69±0.04 9.42±1.80 2.75±0.36
파니스테라이드 1.50±0.18 1.17±0.08 0.68±0.08 10.73±1.27 3.00±0.34
(수치는 6마리 주의 평균±표준 편차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옥수수 기름 주입 및 PBS-처리 쥐; 양성 전립선 비대증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3mg/kg) 및 PBS 처리 된 쥐; CF-250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3mg/kg) 및 CF(250mg/kg) 처리 쥐; CF-500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3mg/kg) 및 CF(500mg/kg) 처리된 쥐; CF-700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3mg/kg) 및 CF(700mg/kg) 처리된 쥐; 피나스테라이드는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3mg/kg) 및 피나스테라이드 (10mg/kg) 처리된 쥐)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양성 전립선 비대증 유발 쥐, CF 처리 쥐 및 피나스테라이드 처리 쥐의 폐, 심장, 비장, 간 및 신장을 포함한 중요 장기의 상대 무게는 정상 대조군과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군(Groups) ALT(U/L) AST(U/L) BUN(mg/dL) Creatinine
(mg/dL)
대조군 41.5±6.8 159.3±47.8 18.9±2.1 0.51±0.1
양성 전립선 비대증 45.4±3.8 154.7±31.7 21.8±3.2 0.52±0.1
CF-250 39.7±6.9 146.8±33.9 20.7±3.3 0.48±0.1
CF-500 39.7±5.8 144.7±27.6 21.2±1.8 0.49±0.2
CF-700 41.8±8.6 153.8±18.5 22.5±4.3 0.48±0.1
피나스테라이드 43.7±15.5 148.3±55.9 21.5±3.3 0.51±0.2
(수치는 6마리 주의 평균±표준 편차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옥수수 기름 주입 및 PBS-처리 쥐; 양성 전립선 비대증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3mg/kg) 및 PBS 처리 된 쥐; CF-250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3mg/kg) 및 CF(250mg/kg) 처리 쥐; CF-500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3mg/kg) 및 CF(500mg/kg) 처리된 쥐; CF-700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3mg/kg) 및 CF(700mg/kg) 처리된 쥐; 피나스테라이드는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3mg/kg) 및 피나스테라이드 (10mg/kg) 처리된 쥐)
상기 실험에서 우리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대한 산수유 추출물의 효능과 관련된 독성 시험을 위해 주요 장기의 무게를 비교하였다.
대조군, 피나스테라이드, 산수유 추출물 군에서 폐, 심장, 비장, 간 및 신장의 무게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산수유 추출물을 투여 한 쥐의 AST, AST, BUN 및 크레아티닌의 혈청 농도는 대조군과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산수유 추출물의 안전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만성 독성 및 유전 독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현재 산수유 추출물은 간과 신장에 유의 한 독성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상기 실험의 결과는 산수유 추출물이 전립선의 증식과 조직 손상을 억제하는 능력에 의해 증명된 바와 같이 쥐의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유발성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보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효과는 적어도 5α-환원 효소 및 안드로겐 수용체 발현의 억제로 혈청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및 PSA 수준이 감소했기 때문에 산수유 추출물이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발달 및 진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조예 2: 혼합 추출물의 제조]
1. 자귀나무 추출물(SF)의 제조
자귀나무를 세척하고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정제수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를 유지하고,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수득하였다.
2. 기타 식물 추출물의 제조
상기 자귀나무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댑싸리 추출물(KF), 쇠무릎 추출물(AF), 전동싸리 추출물(YF), 수호초 추출물(PF) 및 비비추 추출물(HF)을 제조하였다.
3.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산수유 추출물(CF), 자귀나무 추출물(SF), 댑싸리 추출물(KF), 쇠무릎 추출물(AF), 전동싸리 추출물(YF), 수호초 추출물(PF) 및 비비추 추출물(HF)을 하기의 표 3과 같은 조성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MX10 MX11
CF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SF 0.5 1 5 10 15 20 10 10 10 10 10
KF 10 20 23 25 30 40 25 25 25 25 25
AF 5 10 15 20 30 40 20 20 20 20 20
YF - - - - - - 0.5 1 2 3 5
PF - - - - - - 1 5 10 15 20
HF - - - - - -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
[실험예 2: 혼합 추출물의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 발현 차단 효과 시험]
1.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 발현 차단 효과 실험
상기 혼합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한 상기 산수유 추출물(CF)와 양성 전립선 비대증과 관련된 5α-환원효소 및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 활성을 비교평가하였다.
상기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7주간 각 혼합 추출물(MX 1 내지 MX 6)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5α-환원효소 및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의 억제 정도를 평가하여 상기 산수유 추출물의 결과 값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각 혼합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효과가 직접 드러날 수 있도록 상기 산수유 추출물 및 각 혼합 추출물을 이전의 용량에 10%로 줄여 1일 1회 10mg/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또한 상기 산수유 추출물(CF)의 5α-환원효소 및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 억제 효과를 지수 5로 고정하여 기준으로 삼고 상기 혼합 추출물 사용에 따른 결과를 이와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억제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MF MX1 MX2 MX3 MX4 MX5
5α-환원효소 발현 억제 5 6 7 9 9 6
안드로겐 수용체 발현 억제 5 5 6 9 9 5
(단위: 지수)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혼합 추출물에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MX 2 내지 MX 5에 의하는 경우 5α-환원효소 및 안드로겐 수용체의 발현 억제 효과가 크게 증가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MX 2 내지 MX 5 범위의 혼합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혼합에 의한 상승 작용으로 단순 조합이상의 상승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혼합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적은 함량으로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대하여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로서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장기간 복용할 수 있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2. 관능성 평가
상기 산수유 추출물(CF) 및 각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기능성 식품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각 조합에 따른 향미와 맛에 대한 관능성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산수유 추출물(CF) 및 혼합 추출물 MX 4, MX 7 내지 MX 11 각각을 차(茶) 음료로 제조하고, 성인남녀 20인에 대한 관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관능성 평가는 향과 맛을 기초로 기호성에 따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여 평균지수로 구분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한편,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기호성이 높은 것이다.
CF MX4 MX7 MX8 MX9 MX10 MX11
1.5 2 3 7 9 7 5
1 1 4 6 8 8 4
기호성 1 1 3.5 6.5 8.5 8 4.5
(단위: 지수)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상기 산수유 추출물은 쓴맛이 강하고, 떫은 맛이 강해, 산수유 추출물 자체에 대해, 향, 맛 및 기호도가 낮은 평가를 받았다. 뿐만 아니라, 산수유 추출물에 자귀나무 추출물, 댑싸리 추출물 및 쇠무릎 추출물을 혼합한 MX4의 경우에도, 상기 추출물의 혼합에 의해, 양성 전립선 비대증 개선 효과는 상승하였지만, 상호 조합에 의해 향미와 맛이 개선되지 않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동싸리 추출물, 수호초 추출물 및 비비추 추출물이 일정한 범위로 혼합되는 경우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자귀나무 추출물, 댑싸리 추출물 및 쇠무릎 추출물의 혼합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향미와 맛이 개선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MX 8 내지 MX 10을 참조하면, 자귀나무 추출물, 댑싸리 추출물 및 쇠무릎 추출물이 일정한 범위로 혼합하더라도, 전동싸리 추출물, 수호초 추출물 및 비비추 추출물이 일정한 범위로 혼합 시에, 쓴맛 및 텁텁한 맛이 제거되면서 각 추출물의 상호 조합에 따라 차 음료의 향미와 맛이 크게 증진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의 혼합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상기 산수유 추출물과 함께 자귀나무 추출물, 댑싸리 추출물 및 쇠무릎 추출물을 포함하여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향미와 맛이 우수하게 조합되어 보다 기호성이 높은 기능성 식품 또는 기능성 차로 널리 보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산수유(Corni Fruc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은 산수유 추출물, 자귀나무 추출물, 댑싸리 추출물 및 쇠무릎 추출물을 포함하여, 5α환원효소(reductase) 및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의 발현을 차단하며,
    상기 조성물은 전동싸리 추출물, 수호초 추출물 및 비비추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향, 맛 및 기호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조성물은 산수유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귀나무 추출물 1 내지 15 중량부, 댑싸리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쇠무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전동 싸리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수호초 추추물 5 내지 15 중량부 및 비비추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하는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수유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수유 추출물은 산수유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된 산수유를 이용하여 추출한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150372A 2019-11-21 2019-11-21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1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72A KR102081156B1 (ko) 2019-11-21 2019-11-21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72A KR102081156B1 (ko) 2019-11-21 2019-11-21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157A Division KR20190081545A (ko) 2017-12-29 2017-12-29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335A KR20190132335A (ko) 2019-11-27
KR102081156B1 true KR102081156B1 (ko) 2020-02-25

Family

ID=6873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372A KR102081156B1 (ko) 2019-11-21 2019-11-21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1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246B1 (ko) 2021-02-10 2021-12-01 주식회사 네이처텍 오미자와 산수유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66929A (ko) 2021-11-08 2023-05-16 주식회사 네이처텍 오미자추출물과 산수유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412B1 (ko) 2006-09-13 2007-10-22 주식회사 벤스랩 Pr-119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의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7 KFN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p.353, P09-232 (2017.10.)*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산수유가 테스토스테론으로 유도된 래트의 전립선비대증에 미치는 효과" (2015.0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246B1 (ko) 2021-02-10 2021-12-01 주식회사 네이처텍 오미자와 산수유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66929A (ko) 2021-11-08 2023-05-16 주식회사 네이처텍 오미자추출물과 산수유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335A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850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yroid diseases, comprising extract from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fruits as active ingredient
US10155019B2 (en) Method for improving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by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nhibition of alveolar bone loss of complex extracts of moringa leaf and eucommia bark
KR102081156B1 (ko)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6577A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붓기 완화용 조성물
KR102001069B1 (ko) 상록성 목본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00063612A (ko) 조롱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1545A (ko)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81205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93990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90133085A (ko)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304903B2 (ja) 新品種豆scel-1種子、その植物体及びその一部、並びにそこから抽出された抽出物
KR101942429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2061622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산화 활성용 조성물
KR10227555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546957B1 (ko)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KR102376510B1 (ko) 산달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6521B1 (ko) 단풍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5961B1 (ko) 머루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용 조성물
KR101855820B1 (ko) 간 기능 개선 및 스태미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2167290B1 (ko) 멀꿀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5106B1 (ko) 미백 및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황칠미강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4436A (ko) 신선초 주정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75550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