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249A -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249A
KR20230104249A KR1020237019062A KR20237019062A KR20230104249A KR 20230104249 A KR20230104249 A KR 20230104249A KR 1020237019062 A KR1020237019062 A KR 1020237019062A KR 20237019062 A KR20237019062 A KR 20237019062A KR 20230104249 A KR20230104249 A KR 2023010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power amplifier
filter
track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코구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10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33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output signal, e.g. bootstrapping the voltage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5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02A non-specified detector of a signal envelope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05A non-specified detector of the power of a signal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1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dual or triple band amplifier, e.g. 900 and 1800 MHz, e.g. switched or not switched, simultaneously or no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71A filter circuit coupled to the output of an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67A capacitor based passive circuit, e.g. filter,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mplifi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파워 앰프에 출력되는 전원 전압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파워 앰프에 접속되는 출력 단자와 필터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트래커 모듈(1)은 기판(2)과, 트래커 부품과, 필터와, 제 1 출력 단자(6)와, 제 2 출력 단자(7)를 구비한다.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파워 앰프에 접속된다. 제 2 출력 단자(7)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파워 앰프에 접속된다. 제 1 출력 단자(6)는 필터를 통해 트래커 부품과 접속되어 있다. 제 2 출력 단자(7)는 트래커 부품과 접속되어 있다.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의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 영역(A1)과 겹쳐 있다.

Description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트래커 부품을 구비하는 트래커 모듈 및 트래커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엔벨로프 트래킹 방식(이하, 「ET 방식」이라고 한다)을 사용한 엔벨로프 트래킹 회로(트래커 모듈)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ET 방식은 고주파 신호의 포락선(엔벨로프)의 진폭에 따라 파워 앰프의 증폭 소자의 전원 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ET 방식은 파워 앰프의 증폭 소자인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전압을 출력 전압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전원 전압이 고정인 경우에서의 동작 시에 발생하는 전력의 로스를 저감시켜 고효율화를 실현하는 방식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엔벨로프 트래킹 회로는 증폭 회로(파워 앰프)에 입력되는 송신 신호의 포락선의 진폭에 따라 증폭 회로의 전원 전압을 변화시키고, 상기 전원 전압을 증폭 회로에 공급한다.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20/0076375호 명세서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트래커 모듈에서는 트래커 모듈로부터 파워 앰프로 출력되는 전원 전압이 정현파가 아니기 때문에, 전원 전압에는 기본파 성분뿐만 아니라 고조파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고조파 성분은 다른 통신에 있어서 노이즈 성분이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전원 전압의 고조파 성분과 송신 신호가 믹싱됨으로써 수신 신호의 통신 밴드의 주파수의 노이즈 성분이 발생하여 수신 신호의 감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파워 앰프에 출력되는 전원 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 성분(고조파 성분)을 저감시키기 위해 필터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필터가 형성된 경우, 전원 전압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지만, 파워 앰프에 접속되는 출력 단자와 필터 사이의 배선 길이가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파워 앰프에 출력되는 전원 전압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파워 앰프에 접속되는 출력 단자와 필터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한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은 제 1 파워 앰프 및 제 2 파워 앰프에 전원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트래커 모듈은 기판과, 트래커 부품과, 필터와, 제 1 출력 단자와, 제 2 출력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기판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을 갖는다. 상기 트래커 부품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 1 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필터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 1 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래커 부품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 1 출력 단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 2 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파워 앰프에 접속된다. 상기 제 2 출력 단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 2 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파워 앰프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출력 단자는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트래커 부품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 2 출력 단자는 상기 트래커 부품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필터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LC 필터이다. 상기 제 1 출력 단자는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상기 필터의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커패시터를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 영역과 겹쳐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은 상기 트래커 모듈과, 상기 제 1 파워 앰프와, 상기 제 2 파워 앰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고주파 모듈은 상기 트래커 모듈과, 상기 제 1 파워 앰프와, 상기 제 2 파워 앰프와, 제 1 송신 필터와, 제 2 송신 필터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송신 필터는 상기 제 1 파워 앰프에서 증폭된 제 1 송신 신호를 통과시킨다. 상기 제 2 송신 필터는 상기 제 2 파워 앰프에서 증폭된 제 2 송신 신호를 통과시킨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통신 장치는 상기 트래커 모듈과, 상기 제 1 파워 앰프와, 상기 제 2 파워 앰프와,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상기 제 1 파워 앰프로 제 1 송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파워 앰프로 제 2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에 의하면, 제 1 파워 앰프에 출력되는 전원 전압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파워 앰프에 출력되는 제 1 출력 단자와 필터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동상의 트래커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동상의 트래커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동상의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동상의 트래커 모듈의 트래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의 투시도이다.
도 8은 동상의 트래커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동상의 트래커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3에 따른 트래커 모듈의 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4에 따른 트래커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동상의 트래커 모듈의 투시도이다.
이하, 실시형태 1~4에 따른 트래커 모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 실시형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모식적인 도면이며, 도면 중의 각 구성 요소의 크기와 두께 및 각각의 비는 반드시 실제의 치수비를 반영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실시형태 1)
(1) 트래커 모듈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파워 앰프(제 1 파워 앰프(81), 제 2 파워 앰프(82))에 전원 전압(V1, V2)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래커 모듈(1)은 1개의 트래커 부품(3)이 복수의 통신 밴드에 대응하고 있다. 후술하는 제 1 파워 앰프(81) 및 제 2 파워 앰프(82)는 증폭 소자에 전원 전압(V1, V2)이 인가되면 송신 신호(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파워 앰프(81)와 제 2 파워 앰프(82)는 서로 상이한 통신 밴드의 송신 신호를 증폭한다.
트래커 모듈(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통신 장치(9)에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래커 모듈(1)은 고주파 모듈(8)에 포함되어 있는 제 1 파워 앰프(81) 및 제 2 파워 앰프(82)와 함께 통신 장치(9)에 사용된다.
통신 장치(9)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전화이다. 또한, 통신 장치(9)는 휴대 전화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단말 등이어도 좋다. 고주파 모듈(8)은, 예를 들면 4G(제 4 세대 이동 통신) 규격, 5G(제 5 세대 이동 통신) 규격 등에 대응 가능한 모듈이다. 4G 규격은, 예를 들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규격이다. 5G 규격은, 예를 들면 5G NR(New Radio)이다. 고주파 모듈(8)은, 예를 들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및 듀얼 커넥티비티에 대응 가능한 모듈이다.
통신 장치(9)는 복수의 통신 밴드의 통신을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장치(9)는 복수의 통신 밴드의 송신 신호의 송신, 복수의 통신 밴드의 수신 신호의 수신을 행한다.
복수의 통신 밴드의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일부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의 신호이다. 또한, 복수의 통신 밴드의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는 FDD의 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TDD(Time Division Duplex)의 신호이어도 좋다. FDD는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송신과 수신에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해서 송신 및 수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기술이다. TDD는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송신과 수신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고, 송신과 수신을 시간마다 스위칭해서 행하는 무선 통신 기술이다.
트래커 모듈(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과, 트래커 부품(3)과, 필터(4)를 구비한다. 또한, 트래커 모듈(1)은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5)를 구비한다. 트래커 모듈(1)은, 예를 들면 고주파 모듈(8)이 탑재된 단말 등의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으며, 트래커 모듈(1)에는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압이 공급된다.
여기에서, 트래커 모듈(1)로부터의 전원 전압(V1, V2)을 사용해서 제 1 파워 앰프(81) 및 제 2 파워 앰프(82)가 송신 신호를 증폭할 때에 엔벨로프 트래킹 방식(이하, 「ET 방식」이라고 한다)이 사용된다.
ET 방식은 고주파 신호의 포락선(엔벨로프)의 진폭에 따라 파워 앰프의 증폭 소자의 전원 전압의 진폭 레벨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ET 방식은 파워 앰프의 증폭 소자에 입력되는 송신 신호(고주파 신호)의 진폭의 포락선(엔벨로프)을 검출하고, 상기 엔벨로프에 따라 증폭 소자의 전원 전압의 진폭 레벨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ET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전원 전압의 진폭 레벨이 일정한 경우보다 전력의 로스를 저감시켜 고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
ET 방식에는 아날로그 엔벨로프 트래킹 방식(이하, 「아날로그 ET 방식」이라고 한다)과, 디지털 엔벨로프 트래킹 방식(이하, 「디지털 ET 방식」이라고 한다)이 있다.
아날로그 ET 방식은 파워 앰프의 증폭 소자에 입력되는 송신 신호(고주파 신호)의 진폭의 포락선(엔벨로프)을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연속적으로 검출한 엔벨로프에 따라 증폭 소자의 전원 전압의 진폭 레벨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아날로그 ET 방식에서는 엔벨로프가 연속적으로 검출되기 때문에 전원 전압의 진폭 레벨은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아날로그 ET 방식을 사용한 경우, 트래커 모듈(1)은 제 1 파워 앰프(81)에 입력되는 제 1 송신 신호의 진폭의 엔벨로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연속적으로 검출한 엔벨로프에 따라 진폭 레벨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전원 전압(V1)을 제 1 파워 앰프(81)에 출력한다. 또한, 트래커 모듈(1)은 제 2 파워 앰프(82)에 입력되는 제 2 송신 신호의 진폭의 엔벨로프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고, 연속적으로 검출한 엔벨로프에 따라 진폭 레벨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전원 전압(V2)을 제 2 파워 앰프(82)에 출력한다.
디지털 ET 방식은 파워 앰프의 증폭 소자에 입력되는 송신 신호(고주파 신호)의 진폭의 포락선(엔벨로프)을 이산적으로 검출하고, 이산적으로 검출한 엔벨로프에 따라 증폭 소자의 전원 전압의 진폭 레벨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디지털 ET 방식에서는 송신 신호의 진폭 레벨이 연속적이지 않고 일정한 간격으로 검출되고, 검출된 진폭 레벨이 양자화된다. 디지털 ET 방식에서는 엔벨로프가 이산적으로 검출되기 때문에 전원 전압의 진폭 레벨은 이산적으로 변화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디지털 ET 방식을 사용한 경우, 트래커 모듈(1)은 제 1 파워 앰프(81)에 입력되는 제 1 송신 신호의 진폭의 엔벨로프를 이산적으로 검출하고, 이산적으로 검출한 엔벨로프에 따라 진폭 레벨이 이산적으로 변화되는 전원 전압(V1)을 제 1 파워 앰프(81)에 출력한다. 또한, 트래커 모듈(1)은 제 2 파워 앰프(82)에 입력되는 제 2 송신 신호의 진폭의 엔벨로프를 이산적으로 검출하고, 이산적으로 검출한 엔벨로프에 따라 진폭 레벨이 이산적으로 변화되는 전원 전압(V2)을 제 2 파워 앰프(82)에 출력한다.
트래커 모듈(1)에 있어서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5)는 제 1 출력 단자(6)와 제 2 출력 단자(7)를 포함한다.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된다. 제 2 출력 단자(7)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파워 앰프(82)에 접속된다. 제 1 출력 단자(6)는 필터(4)를 통해 트래커 부품(3)과 접속되어 있다. 제 2 출력 단자(7)는 트래커 부품(3)과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필터(4)는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를 포함하는 LC 필터이다.
제 1 출력 단자(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직사각형 영역(A1)과 겹쳐 있다. 직사각형 영역(A1)은 도 2에 나타내는 필터(4)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이다.
이것에 의해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를 직사각형 영역(A1) 내에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2) 트래커 모듈의 각 구성 요소
이하,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2.1) 기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기판(2)은 제 1 파워 앰프(81) 및 제 2 파워 앰프(82)가 배치되어 있는 기판과 별체의 기판이다. 기판(2)은 제 1 주면(21) 및 제 2 주면(22)을 갖는다. 제 1 주면(21) 및 제 2 주면(22)은 기판(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한다.
기판(2)은, 예를 들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스(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LTCC) 기판, 고온 동시 소성 세라믹스(High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HTCC) 기판, 부품 내장 기판, 재배선층(Redistribution Layer: RDL)을 갖는 기판, 또는 프린트 기판이다.
(2.2) 트래커 부품
트래커 부품(3)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원 전압(V1, V2)을 생성한다. 트래커 부품(3)은 제 1 파워 앰프(81)에 전원 전압(V1)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래커 부품(3)은 제 1 송신 신호의 진폭의 엔벨로프에 따른 진폭 레벨의 전원 전압(V1)을 생성하고, 생성한 전원 전압(V1)을 제 1 파워 앰프(81)에 출력한다. 또한, 트래커 부품(3)은 제 2 파워 앰프(82)에 전원 전압(V2)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래커 부품(3)은 제 2 송신 신호의 진폭의 엔벨로프에 따른 진폭 레벨의 전원 전압(V2)을 생성하고, 생성한 전원 전압(V2)을 제 2 파워 앰프(82)에 출력한다.
트래커 부품(3)은 복수의 단자(31)를 구비한다. 복수의 단자(31)는 전원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는 신호 처리 회로(92)(도 4 참조)에 접속되어 있으며, 신호 처리 회로(92)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트래커 부품(3)은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원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전원 전압(V1, V2)을 생성한다. 이때에 트래커 부품(3)은 신호 처리 회로(92)로부터의 전원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전원 전압(V1, V2)의 진폭을 변화시킨다. 바꿔 말하면, 트래커 부품(3)은 신호 처리 회로(92)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의 포락선(엔벨로프)에 따라 변동하는 전원 전압(V1, V2)을 생성하는 엔벨로프 트래킹을 행한다.
트래커 부품(3)은 ET 방식에 의해 제 1 출력 단자(6)를 통해 제 1 파워 앰프(81)에 전원 전압(V1)을 출력한다. 또한, 트래커 부품(3)은 ET 방식에 의해 제 2 출력 단자(7)를 통해 제 2 파워 앰프(82)에 전원 전압(V2)을 출력한다.
트래커 부품(3)은 반도체 IC(Integrated Circuit) 등의 집적 회로이며,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사용해서 구성되고, 구체적으로는 SOI(Silicon on Insulator)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된다. 트래커 부품(3)은 GaAs, SiGe, 및 GaN 중 적어도 1개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트래커 부품(3)의 반도체 재료는 상기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2.3) 필터
필터(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배치되어 있으며, 트래커 부품(3)에 접속되어 있다. 필터(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래커 부품(3)과 제 1 출력 단자(6)에 접속되어 있다. 필터(4)는 전원 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을 저감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원 전압(V1)에 기인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필터(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를 주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필터, 소위 LC 필터이다. 필터(4)는, 예를 들면 로우 패스 필터이다. 도 2의 예에서는, 필터(4)는 인덕터(41)와 커패시터(42)를 포함한다. 인덕터(41)는 칩 인덕터이며, 커패시터(42)는 칩 커패시터이다.
필터(4)는, 예를 들면 L형 필터이다. 제 1 예로서, 트래커 부품(3)과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경로에 인덕터(41)가 형성되고, 인덕터(41)와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경로에 커패시터(42)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필터(4)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예로서, 트래커 부품(3)과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경로에 인덕터(41)가 형성되고, 인덕터(41)와 트래커 부품(3) 사이의 경로에 커패시터(42)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필터(4)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4)는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과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4)에 포함되는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가 트래커 부품(3)과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부품(3)과 필터(4) 사이의 경로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트래커 부품(3)과 필터(4) 사이의 경로에 발생하는 기생 저항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필터(4)가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있어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란,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과 필터(4) 사이에 다른 소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트래커 부품(3)과 필터(4)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2.4) 외부 접속 단자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도시예에서는 4개)의 입력 단자(51)와, 제 1 출력 단자(6)와, 제 2 출력 단자(7)를 포함한다.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5)는, 예를 들면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5)는 5×8의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입력 단자(51)는 신호 처리 회로(92)(도 4 참조)에 접속되어 있으며, 신호 처리 회로(92)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 등의 신호가 입력된다. 각 입력 단자(51)에 입력된 신호는 트래커 부품(3)에 출력된다.
(2.5) 제 1 출력 단자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출력 단자(6)는 트래커 모듈(1)로부터 제 1 파워 앰프(81)로 전원 전압(V1)을 출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출력 단자(6)는 트래커 부품(3)으로부터 필터(4)를 통과한 전원 전압(V1)을 제 1 파워 앰프(81)로 출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제 1 출력 단자(6)에는 필터(4)를 통과한 전원 전압(V1)이 통과한다.
제 1 출력 단자(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출력 단자(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된다. 제 1 출력 단자(6)에는 필터(4)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출력 단자(6)는 필터(4)를 통해 트래커 부품(3)과 접속되어 있다.
(2.6) 제 2 출력 단자
도 1에 나타내는 제 2 출력 단자(7)는 트래커 모듈(1)로부터 제 2 파워 앰프(82)로 전원 전압(V2)을 출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출력 단자(7)는 트래커 부품(3)으로부터 출력된 전원 전압(V2)을 제 2 파워 앰프(82)로 출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제 2 출력 단자(7)에는 트래커 부품(3)으로부터 출력된 전원 전압(V2)이 통과한다.
제 2 출력 단자(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출력 단자(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파워 앰프에 접속된다. 제 2 출력 단자(7)는 트래커 부품(3)과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출력 단자(7)가 트래커 부품(3)과 접속되어 있다」란, 제 2 출력 단자(7)가 다른 소자를 통하지 않고 트래커 부품(3)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즉, 「제 2 출력 단자(7)가 트래커 부품(3)과 접속되어 있다」란, 제 2 출력 단자(7)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출력 단자(7)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V2)은 필터(4)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필터(4)에 의한 로스가 없고, 비교적 큰 전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2.7) 제 1 출력 단자 및 제 2 출력 단자의 위치
트래커 모듈(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커 부품(3) 및 필터(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4)는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과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4)에 포함되는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 적어도 1개가 트래커 부품(3)과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 1 출력 단자(6) 및 제 2 출력 단자(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출력 단자(6)는 필터(4)를 통해 트래커 부품(3)과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2 출력 단자(7)는 트래커 부품(3)과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4)의 직사각형 영역(A1)과 겹쳐 있다. 직사각형 영역(A1)은 필터(4)에 포함되어 있는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이다.
여기에서, 직사각형 영역(A1)은 4개의 변으로 둘러싸여 있는 영역이다. 직사각형 영역(A1)의 좌변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4)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선이다. 직사각형 영역(A1)의 하변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4)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선이다. 직사각형 영역(A1)의 우변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4)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선이다. 직사각형 영역(A1)의 상변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4)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선이다. 또한, 상기 가장자리는 점인 경우도 있고, 변인 경우도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직사각형 영역(A1)의 좌변은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의 좌측 가장자리상에 위치한다. 직사각형 영역(A1)의 하변은 커패시터(42)의 하측 가장자리상에 위치한다. 직사각형 영역(A1)의 우변은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의 우측 가장자리상에 위치한다. 직사각형 영역(A1)의 상변은 인덕터(41)의 상측 가장자리상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필터(4)의 출력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제 1 출력 단자(6)를 직사각형 영역(A1) 내에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 1 파워 앰프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가 필터의 직사각형 영역과 겹쳐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실시형태 1에서는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4)에 포함되는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 적어도 1개와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필터(4)의 출력 단자와 제 1 출력 단자(6)의 거리를 가깝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 1 출력 단자(6)가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 어느 것에도 겹쳐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 사이의 배선 길이를 더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출력 단자(6)는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 제 1 출력 단자(6)에 가장 가까운 소자와 겹쳐 있다.
여기에서 「제 1 출력 단자(6)에 가장 가까운 소자」란, 상기 소자와 제 1 출력 단자(6) 사이에 다른 소자가 존재하지 않도록 제 1 출력 단자(6)와 접속되어 있는 소자를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의 필터(4)는 L형 필터이기 때문에 제 1 출력 단자(6)에 가까운 소자는 인덕터(41)와 커패시터(42)의 양방이다.
이것에 의해 필터(4)의 출력 단자와 제 1 출력 단자(6)의 거리를 더 가깝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 1 출력 단자(6)가 제 1 출력 단자(6)에 가장 가까운 소자와 겹쳐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 사이의 배선 길이를 더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실시형태 1에서는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최외주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출력 단자(6)는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5)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끝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출력 단자(6)가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최외주에 배치되어 있다」란,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제 1 출력 단자(6)와 기판(2)의 외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1변 사이에 다른 외부 접속 단자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제 1 출력 단자(6)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바꿔 말하면, 「제 1 출력 단자(6)가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최외주에 배치되어 있다」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제 1 출력 단자(6)와 기판(2)의 외측 가장자리 중 적어도 1변 사이에 다른 외부 접속 단자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제 1 출력 단자(6)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제 1 출력 단자(6)가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최외주에 배치되어 있다」란, 기판(2)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1 출력 단자(6)와 기판(2)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다른 외부 접속 단자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제 1 출력 단자(6)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출력 단자(6)를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하기 쉬워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래커 모듈(1)이 실장되는 머더 기판 상에 있어서 제 1 출력 단자(6)를 제 1 파워 앰프(81)에 근접하도록 트래커 모듈(1)이 배치됨으로써 제 1 출력 단자(6)와 제 1 파워 앰프(81)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 1 출력 단자(6)가 최외주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 1 출력 단자(6)와 제 1 파워 앰프(81)를 접속시키기 위한 배선 패턴부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제 2 출력 단자(7)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트래커 부품(3)과 겹쳐 있다. 즉, 제 2 출력 단자(7)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영역(A2)과 겹쳐 있다. 영역(A2)은 트래커 부품(3)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부품(3)의 출력 단자와 제 2 출력 단자(7)를 영역(A2) 내에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 2 파워 앰프에 접속되는 제 2 출력 단자가 트래커 부품의 영역과 겹쳐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 2 파워 앰프(82)에 접속되는 제 2 출력 단자(7)와 트래커 부품(3)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3) 고주파 모듈의 각 구성 요소
이하, 실시형태 1에 따른 고주파 모듈(8)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고주파 모듈(8)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파워 앰프(81)와, 제 2 파워 앰프(82)와, 제 1 송신 필터(83)와, 제 2 송신 필터(84)와, 제 1 수신 필터(851)와, 제 2 수신 필터(852)와, 제 1 로우 노이즈 앰프(861)와, 제 2 로우 노이즈 앰프(862)와, 스위치(87)와,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88)와, 컨트롤러(89)를 구비한다.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88)는 신호 입력 단자(881, 882)와, 신호 출력 단자(883, 884)와, 안테나 단자(885)와, 단자(886, 887)를 포함한다.
고주파 모듈(8)은 후술하는 RF 신호 처리 회로(94)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RF 신호)의 전력을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에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레벨까지 증폭하고, 증폭한 고주파 신호를 출력한다.
(3.1) 파워 앰프
도 4에 나타내는 제 1 파워 앰프(81)는 트랜지스터(증폭 소자)를 구비한다. 제 1 파워 앰프(81)의 트랜지스터는, 예를 들면 NPN 트랜지스터이며, 전원 전압(V1)이 인가되어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소자이다. 트랜지스터는 RF 신호 처리 회로(94)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한다.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는 단자(886)를 통해 트래커 모듈(1)의 제 1 출력 단자(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그라운드 전위이다.
제 1 파워 앰프(81)의 트랜지스터에는 전원 전압(V1)이 인가된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는 RF 신호 처리 회로(94)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가 입력된다.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는 트래커 모듈(1)이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는 트래커 모듈(1)로부터 고주파 신호의 진폭 레벨에 따라 제어되는 전원 전압(V1)이 인가된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는 제 1 송신 필터(83)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ET 방식이 사용되어 있으므로, 전원 전압(V1)의 진폭 레벨은 고주파 신호의 진폭의 변화에 의거하여 변화된다.
여기에서 제 1 파워 앰프(81)는, 예를 들면 F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파워 앰프(81)는 통신 밴드가 미드 밴드인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제 1 파워 앰프(81)는, 예를 들면 Band 30에 대응하는 파워 앰프이다. 제 1 파워 앰프(81)가 FDD용의 파워 앰프이기 때문에 고주파 모듈(8)에 있어서 전원 전압(V1)에 의해 제 1 파워 앰프(81)가 동작하고, 송신 동작이 행해지고 있을 때 수신 동작도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전원 전압(V1)의 고조파 성분(노이즈 성분)이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나타내는 제 2 파워 앰프(82)는 트랜지스터(증폭 소자)를 구비한다. 제 2 파워 앰프(82)의 트랜지스터는, 예를 들면 NPN 트랜지스터이며, 전원 전압(V2)이 인가되어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소자이다. 트랜지스터는 RF 신호 처리 회로(94)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한다.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는 단자(887)를 통해 트래커 모듈(1)의 제 2 출력 단자(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그라운드 전위이다.
제 2 파워 앰프(82)의 트랜지스터에는 전원 전압(V2)이 인가된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는 RF 신호 처리 회로(94)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가 입력된다.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는 트래커 모듈(1)이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는 트래커 모듈(1)로부터 고주파 신호의 진폭 레벨에 따라 제어되는 전원 전압(V2)이 인가된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는 제 2 송신 필터(84)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ET 방식이 사용되어 있으므로, 전원 전압(V2)의 진폭 레벨은 고주파 신호의 진폭의 변화에 의거하여 변화된다.
여기에서 제 2 파워 앰프(82)는, 예를 들면 T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파워 앰프(82)는 통신 밴드가 하이 밴드인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제 2 파워 앰프(82)는, 예를 들면 n41에 대응하는 파워 앰프이다. 이 때문에 제 2 파워 앰프(82)의 전원 전압(V2)으로서 비교적 높은 전압이 필요하다. 즉, 제 2 파워 앰프(82)의 전원 전압(V2)은 제 1 파워 앰프(81)의 전원 전압(V1)보다 높다.
(3.2) 송신 필터
제 1 송신 필터(8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통신 밴드의 송신 필터이다. 제 1 송신 필터(83)는 송신 경로 중 제 1 파워 앰프(81)와 안테나 단자(885) 사이의 경로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송신 필터(83)는 제 1 파워 앰프(81)와 스위치(87) 사이의 경로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송신 필터(83)는 제 1 파워 앰프(81)에서 전력이 증폭되어 제 1 파워 앰프(81)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킨다. 송신 경로는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91)로부터 송신하기 위해 신호 입력 단자(881)와 안테나 단자(885)를 연결하는 경로이다.
제 2 송신 필터(8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통신 밴드의 송신 필터이다. 제 2 송신 필터(84)는 송신 경로 중 제 2 파워 앰프(82)와 안테나 단자(885) 사이의 경로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송신 필터(84)는 제 2 파워 앰프(82)와 스위치(87) 사이의 경로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송신 필터(84)는 제 2 파워 앰프(82)에서 전력이 증폭되어 제 2 파워 앰프(82)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킨다. 송신 경로는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91)로부터 송신하기 위해 신호 입력 단자(882)와 안테나 단자(885)를 연결하는 경로이다.
또한, 제 1 파워 앰프(81)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는 제 1 송신 필터(83)와 같은 송신 필터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송신 필터와 수신 필터의 양방을 포함하는 듀플렉서이어도 좋고, 3개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서이어도 좋다.
또한, 제 2 파워 앰프(82)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는 제 2 송신 필터(84)와 같은 송신 필터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송신 필터와 수신 필터의 양방을 포함하는 듀플렉서이어도 좋고, 3개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서이어도 좋다.
(3.3) 스위치
스위치(87)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 단자(885)에 접속시키는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이다. 바꿔 말하면, 스위치(87)는 제 1 송신 필터(83), 제 2 송신 필터(84), 제 1 수신 필터(851), 제 2 수신 필터(852)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 중으로부터 안테나 단자(885)에 접속되는 필터를 스위칭하는 스위치이다.
스위치(87)는, 예를 들면 스위치 IC(Integrated Circuit)이다. 스위치(87)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호 처리 회로(92)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치(87)는 신호 처리 회로(92)의 RF 신호 처리 회로(9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접속 상태를 스위칭한다.
(3.4) 안테나 단자
안테나 단자(88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안테나(91)가 접속되는 단자이다. 고주파 모듈(8)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는 안테나 단자(885)를 통해 안테나(91)에 출력된다. 또한, 안테나(91)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는 안테나 단자(885)를 통해 고주파 모듈(8)에 출력된다.
(3.5) 컨트롤러
도 5에 나타내는 컨트롤러(89)는 PA 제어 회로이며, RFIC(5)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음으로써 제 1 파워 앰프(81) 및 제 2 파워 앰프(82)로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또는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 및 공급 타이밍을 제어한다.
(4) 통신 장치
이어서, 트래커 모듈(1)을 사용한 통신 장치(9)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신 장치(9)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래커 모듈(1)과, 고주파 모듈(8)과, 안테나(91)와, 신호 처리 회로(92)를 구비한다.
(4.1) 안테나
안테나(9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주파 모듈(8)의 안테나 단자(885)에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91)는 고주파 모듈(8)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송신 신호)를 전파에 의해 방사하는 방사 기능과, 고주파 신호(수신 신호)를 전파로서 외부로부터 수신해서 고주파 모듈(8)로 출력하는 수신 기능을 갖는다.
(4.2) 신호 처리 회로
신호 처리 회로(9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93)와 RF 신호 처리 회로(94)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 회로(92)는 고주파 모듈(8)에 고주파 신호를 출력한다. 즉, 신호 처리 회로(92)는 제 1 파워 앰프(81) 및 제 2 파워 앰프(82)로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93)는, 예를 들면 BBIC(Baseband Integrated Circuit)이며, 고주파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행한다.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수백 ㎒~수㎓ 정도이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93)는 베이스밴드 신호로부터 I상 신호 및 Q상 신호를 생성한다. 베이스밴드 신호는,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화상 신호 등이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93)는 I상 신호와 Q상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IQ 변조 처리를 행하고,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송신 신호는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 신호를 상기 반송파 신호의 주기보다 긴 주기로 진폭 변조한 변조 신호(IQ 신호)로서 생성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93)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신호는 IQ 신호로서 출력된다. IQ 신호란, 진폭 및 위상을 IQ 평면상에서 나타낸 신호이다. IQ 신호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수㎒~수10 ㎒ 정이도다.
RF 신호 처리 회로(94)는, 예를 들면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며, 고주파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행한다. RF 신호 처리 회로(94)는, 예를 들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93)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신호(IQ 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RF 신호 처리 회로(94)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93)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신호에 대해서 업 컨버트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고, 신호 처리가 행해진 고주파 신호를 고주파 모듈(8)로 출력한다. 또한, RF 신호 처리 회로(94)는 변조 신호로부터 고주파 신호로의 다이렉트 컨버전을 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RF 신호 처리 회로(94)는 변조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IF 신호로부터 고주파 신호가 생성되도록 해도 좋다.
신호 처리 회로(92)는 트래커 모듈(1)의 트래커 부품(3)에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제어 신호는 고주파 신호의 진폭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이며, 전원 전압(V1, V2)의 진폭을 변화시키기 위해 신호 처리 회로(92)로부터 트래커 모듈(1)에 출력된다. 전원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I상 신호 및 Q상 신호이다.
(5) 트래커 모듈의 상세
이어서,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의 상세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트래커 모듈(1)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와,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와, 출력 스위치 회로(30)와, 필터(4)와, 직류 전원(50)을 구비한다.
트래커 모듈(1)은 엔벨로프 신호에 의거하여 복수의 이산적인 전압 레벨 중으로부터 선택한 전원 전압 레벨을 갖는 전원 전압(V1, V2)을 제 1 파워 앰프(81) 및 제 2 파워 앰프(82)에 공급한다.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는 파워 인덕터 및 스위치를 포함한다. 파워 인덕터란, 직류 전압의 승압 및/또는 강압(승압, 강압, 또는 승강압)에 사용되는 인덕터이다. 파워 인덕터는 직류 경로에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는 파워 인덕터를 사용해서 전압을 변환한다. 상기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는 자기 레귤레이터 또는 DC(Direct Current)/DC 컨버터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파워 인덕터는 직렬 경로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병렬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는 파워 인덕터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의 직렬 팔 경로 및 병렬 팔 경로 각각에 배치되는 커패시터의 스위칭에 의해 승압 및/또는 강압(승압, 강압, 또는 승강압)을 실행하는 회로 등이어도 좋다.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는 복수의 커패시터 및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으로부터 복수의 이산적인 전압 레벨을 각각 갖는 복수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전압 밸런서(Switched-Capacitor Voltage Balancer)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출력 스위치 회로(30)는 엔벨로프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에서 생성되는 복수의 전압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해서 필터(4)에 출력한다.
필터(4)는 출력 스위치 회로(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전압)를 필터링한다. 필터(4)는, 예를 들면 로우 패스 필터(LPF: Low Pass Filter)를 포함한다.
직류 전원(50)은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에 직류 전압을 공급한다. 직류 전원(50)으로서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가 사용되지만, 직류 전원(50)은 충전식 전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트래커 모듈(1)은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와 직류 전원(50)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트래커 모듈(1)은 직류 전원(50)을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와,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와, 출력 스위치 회로(30)와, 필터(4)의 임의의 조합은 단일의 회로로 통합되어도 좋다. 트래커 모듈(1)의 상세한 회로 구성예에 대해서는 도 6을 사용해서 후술한다.
(5.1) 트래커 모듈의 회로 구성
이어서, 트래커 모듈(1)에 포함되는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 출력 스위치 회로(30), 및 필터(4)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6은 예시적인 회로 구성이며,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 출력 스위치 회로(30), 및 필터(4)는 다종 다양한 회로 실장 및 회로 기술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서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 제공되는 각 회로의 설명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5.2)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도시예에서는 6개)의 커패시터(C11~C16)와, 복수(도시예에서는 4개)의 커패시터(C21~C24)와, 복수(도시예에서는 16개)의 스위치(S11~S14, S21~S24, S31~S34, S41~S44)와, 제어 단자(120)를 구비한다.
제어 단자(120)는 디지털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이다. 즉, 제어 단자(120)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신호를 받기 위한 단자이다. 제어 단자(120)를 통해 받는 디지털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와 클록 신호를 송신하는 소스 동기 방식의 제어 신호이다. 또한, 상기 디지털 제어 신호는 상기 소스 동기 방식의 제어 신호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제어 신호는 클록 매입 방식의 제어 신호이어도 좋다.
복수의 커패시터(C11~C16) 각각은 플라잉 커패시터(트랜스퍼 커패시터)로서 기능한다. 즉, 복수의 커패시터(C11~C16) 각각은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커패시터(C11~C16)는 4개의 노드(N1~N4)에 있어서 V11:V12:V13:V14=1:2:3:4를 충족하는 전압(V11~V14)(그라운드 전위에 대한 전압)이 유지되도록, 커패시터(C11~C16)와 노드(N1~N4) 사이에서 전하를 이동시킨다. 복수의 전압(V11~V14)은 복수의 이산적인 전압 레벨을 각각 갖는 복수의 전압에 상당하다.
커패시터(C11)는 2개의 전극(제 1 전극, 제 2 전극)을 갖는다. 커패시터(C11)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스위치(S11)의 일단(제 1 단) 및 스위치(S12)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1)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스위치(S21)의 일단(제 1 단) 및 스위치(S22)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2)는 2개의 전극(제 1 전극, 제 2 전극)을 갖는다.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스위치(S21)의 일단(제 1 단) 및 스위치(S22)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스위치(S31)의 일단(제 1 단) 및 스위치(S32)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3)는 2개의 전극(제 1 전극, 제 2 전극)을 갖는다. 커패시터(C13)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스위치(S31)의 일단(제 1 단) 및 스위치(S32)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3)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스위치(S41)의 일단(제 1 단) 및 스위치(S42)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4)는 2개의 전극(제 1 전극, 제 2 전극)을 갖는다. 커패시터(C14)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스위치(S13)의 일단(제 1 단) 및 스위치(S14)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4)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스위치(S23)의 일단(제 1 단) 및 스위치(S24)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5)는 2개의 전극(제 1 전극, 제 2 전극)을 갖는다.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스위치(S23)의 일단(제 1 단) 및 스위치(S24)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스위치(S33)의 일단(제 1 단) 및 스위치(S34)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6)는 2개의 전극(제 1 전극, 제 2 전극)을 갖는다. 커패시터(C16)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스위치(S33)의 일단(제 1 단) 및 스위치(S34)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6)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스위치(S33)의 일단(제 1 단) 및 스위치(S34)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11, C14)의 세트와, 커패시터(C12, C15)의 세트와, 커패시터(C13, C16)의 세트 각각은 이하의 제 1 페이즈 및 제 2 페이즈가 반복됨으로써 상보적으로 충전 및 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페이즈에서는 스위치(S12, S13, S22, S23, S32, S33, S42, S43)가 온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노드(N3)에 접속되고,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 및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노드(N2)에 접속되고,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노드(N1)에 접속된다.
한편, 제 2 페이즈에서는 스위치(S11, S14, S21, S24, S31, S34, S41, S44)가 온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노드(N3)에 접속되고,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 및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노드(N2)에 접속되고,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노드(N1)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페이즈 및 제 2 페이즈가 반복됨으로써, 예를 들면 커패시터(C12, C15) 중 일방이 노드(N2)로부터 충전되어 있을 때에 커패시터(C12, C15) 중 타방이 커패시터(C23)로 방전할 수 있다. 즉, 커패시터(C12, C15)는 상보적으로 충전 및 방전을 행할 수 있다. 커패시터(C12, C15)는 상보적으로 충전 및 방전을 행하는 1쌍의 플라잉 커패시터이다.
또한, 커패시터(C11~C13) 중 어느 하나와 커패시터(C14~C16) 중 어느 하나의 세트도 적당히 스위치를 스위칭함으로써, 커패시터(C12, C15)의 세트와 마찬가지로 상보적으로 노드로부터의 충전 및 평활 커패시터로의 방전을 행하는 1쌍의 플라잉 커패시터가 된다.
복수의 커패시터(C21~C24) 각각은 평활 커패시터로서 기능한다. 즉, 커패시터(C21~C24) 각각은 노드(N1~N4)에 있어서의 전압(V11~V14)의 유지 및 평활화에 사용된다.
커패시터(C21)는 노드(N1)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패시터(C21)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노드(N1)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커패시터(C21)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22)는 노드(N2)와 노드(N1)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패시터(C22)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노드(N2)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커패시터(C22)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노드(N1)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23)는 노드(N3)와 노드(N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패시터(C23)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노드(N3)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커패시터(C23)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노드(N2)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24)는 노드(N4)와 노드(N3)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패시터(C24)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노드(N4)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커패시터(C24)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노드(N3)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11)는 커패시터(C11)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과 노드(N3)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11)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1)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11)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3)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12)는 커패시터(C11)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과 노드(N4)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12)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1)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12)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4)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21)는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과 노드(N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21)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일방 및 커패시터(C11)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21)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2)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22)는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과 노드(N3)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22)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일방 및 커패시터(C11)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22)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3)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31)는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과 노드(N1)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31)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타방 및 커패시터(C13)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31)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1)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32)는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과 노드(N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32)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2)의 2개의 전극 중 타방 및 커패시터(C13)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32)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2)에 접속되어 있다. 즉, 스위치(S32)의 타단은 스위치(S21)의 타단(제 2 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41)는 커패시터(C13)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과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41)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3)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41)의 타단(제 2 단)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42)는 커패시터(C13)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과 노드(N1)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42)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3)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42)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1)에 접속되어 있다. 즉, 스위치(S42)의 타단은 스위치(S31)의 타단(제 2 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13)는 커패시터(C14)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과 노드(N3)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13)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4)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13)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3)에 접속되어 있다. 즉, 스위치(S13)의 타단은 스위치(S11)의 타단(제 2 단) 및 스위치(S22)의 타단(제 2 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14)는 커패시터(C14)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과 노드(N4)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14)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4)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14)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4)에 접속되어 있다. 즉, 스위치(S14)의 타단은 스위치(S12)의 타단(제 2 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23)는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과 노드(N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23)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 및 커패시터(C14)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23)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2)에 접속되어 있다. 즉, 스위치(S23)의 타단은 스위치(S21)의 타단(제 2 단) 및 스위치(S32)의 타단(제 2 단)에 접속된다.
스위치(S24)는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과 노드(N3)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24)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 및 커패시터(C14)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24)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3)에 접속되어 있다. 즉, 스위치(S24)의 타단은 스위치(S11)의 타단(제 2 단), 스위치(S22)의 타단(제 2 단), 및 스위치(S13)의 타단(제 2 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33)는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과 노드(N1)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33)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 및 커패시터(C16)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33)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1)에 접속되어 있다. 즉, 스위치(S33)의 타단은 스위치(S31)의 타단(제 2 단) 및 스위치(S42)의 타단(제 2 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34)는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과 노드(N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34)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5)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 및 커패시터(C16)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34)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2)에 접속되어 있다. 즉, 스위치(S34)의 타단은 스위치(S21)의 타단(제 2 단), 스위치(S32)의 타단(제 2 단), 및 스위치(S23)의 타단(제 2 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43)는 커패시터(C16)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과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43)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6)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43)의 타단(제 2 단)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44)는 커패시터(C16)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과 노드(N1)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44)의 일단(제 1 단)은 커패시터(C16)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S44)의 타단(제 2 단)은 노드(N1)에 접속되어 있다. 즉, 스위치(S44)의 타단은 스위치(S31)의 타단(제 2 단), 스위치(S42)의 타단(제 2 단), 및 스위치(S33)의 타단(제 2 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12, S13, S22, S23, S32, S33, S42, S43)를 포함하는 제 1 세트의 스위치와, 스위치(S11, S14, S21, S24, S31, S34, S41, S44)를 포함하는 제 2 세트의 스위치는 상보적으로 온 및 오프가 스위칭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페이즈에서는 제 1 세트의 스위치가 온으로 되고, 제 2 세트의 스위치가 오프로 된다. 반대로, 제 2 페이즈에서는 제 1 세트의 스위치가 오프로 되고, 제 2 세트의 스위치가 온으로 된다.
예를 들면, 제 1 페이즈 및 제 2 페이즈 중 일방에 있어서 커패시터(C11~C13)로부터 커패시터(C21~C24)로의 충전이 실행되고, 제 1 페이즈 및 제 2 페이즈 중 타방에 있어서 커패시터(C14~C16)로부터 커패시터(C21~C24)로의 충전이 실행된다. 즉, 커패시터(C21~C24)에는 항상 커패시터(C11~C13) 또는 커패시터(C14~C16)로부터 충전되므로, 노드(N1~N4)로부터 출력 스위치 회로(30)로 고속으로 전류가 흘러도 노드(N1~N4)에는 고속으로 전하가 보충되므로, 노드(N1~N4)의 전위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는 커패시터(C21~C24) 각각의 양단에서 거의 동일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4개의 노드(N1~N4)에 있어서 V11:V12:V13:V14=1:2:3:4를 충족하는 전압(V11~V14)(그라운드 전위에 대한 전압)이 유지된다. 전압(V11~V14)의 전압 레벨은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에 의해 출력 스위치 회로(30)에 공급되는 복수의 이산적인 전압 레벨에 대응한다.
또한, 전압비 V11:V12:V13:V14는 1:2:3:4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압비 V11:V12:V13:V14는 1:2:4:8이어도 좋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의 구성은 일례이며,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의 구성은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 있어서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는 4개의 이산적인 전압 레벨의 전압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4개의 이산적인 전압 레벨의 전압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는 2 이상의 임의의 수의 이산적인 전압 레벨의 전압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2개의 이산적인 전압 레벨의 전압이 공급될 경우,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는 적어도 커패시터(C12, C15)와 스위치(S21, S22, S31, S32, S23, S24, S33, S34)를 구비하면 좋다.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에 포함되는 스위치는 트래커 부품(3)(도 3 참조)에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래커 부품(3)은 복수의 스위치(S11~S14, S21~S24, S31~S34, S41~S44)를 포함한다.
(5.3) 출력 스위치 회로
이어서, 출력 스위치 회로(30)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출력 스위치 회로(3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도시예에서는 4개)의 입력 단자(131~134)와, 복수(도시예에서는 4개)의 스위치(S51~S54)와, 출력 단자(130)와, 제어 단자(135)를 구비한다.
출력 단자(130)는 필터(4)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단자(130)는 필터(4)에 전압(V11~V14) 중으로부터 선택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복수의 입력 단자(131~134)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의 노드(N1~N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입력 단자(131~134)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로부터 전압(V11~V14)을 받기 위한 단자이다.
제어 단자(135)는 디지털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이다. 즉, 제어 단자(135)는 전압(V11~V14) 중 1개를 나타내는 디지털 제어 신호를 받기 위한 단자이다. 출력 스위치 회로(30)는 디지털 제어 신호가 나타내는 전압 레벨을 선택하도록 복수의 스위치(S51~S54)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어 단자(135)를 통해 받는 디지털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2개의 디지털 제어 논리(DCL: Digital Control Logic/Line) 신호이다. 2개의 DCL 신호 각각은 1비트 신호이다. 전압(V11~V14) 중 1개는 2개의 1비트 신호의 조합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면, 전압(V11, V12, V13, V14)은 「00」, 「01」, 「10」, 「11」에 의해 각각 나타내어진다. 전압 레벨의 표현에는 그레이 코드(Gray code)가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경우에는 2개의 DCL 신호를 받기 위해 2개의 제어 단자가 설치된다. 또한, DCL 신호의 수로서는 전압 레벨의 수에 따라 1 이상의 임의의 수가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DCL 신호는 2비트 이상의 신호이어도 좋다. 또한, 디지털 제어 신호는 1 이상의 DCL 신호이어도 좋고, 또한 소스 동기 방식의 제어 신호이어도 좋다.
스위치(S51)는 입력 단자(131)와 출력 단자(130)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51)는 입력 단자(131)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단자와, 출력 단자(130)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단자를 갖는다. 상기 접속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S51)는 온/오프를 스위칭함으로써 입력 단자(131)와 출력 단자(130)의 접속 및 비접속을 스위칭한다.
스위치(S52)는 입력 단자(132)와 출력 단자(130)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52)는 입력 단자(132)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단자와, 출력 단자(130)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단자를 갖는다. 상기 접속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S52)는 온/오프를 스위칭함으로써 입력 단자(132)와 출력 단자(130)의 접속 및 비접속을 스위칭한다.
스위치(S53)는 입력 단자(133)와 출력 단자(130)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53)는 입력 단자(133)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단자와, 출력 단자(130)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단자를 갖는다. 상기 접속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S53)는 온/오프를 스위칭함으로써 입력 단자(133)와 출력 단자(130)의 접속 및 비접속을 스위칭한다.
스위치(S54)는 입력 단자(134)와 출력 단자(130)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54)는 입력 단자(134)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단자와, 출력 단자(130)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단자를 갖는다. 상기 접속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S54)는 온/오프를 스위칭함으로써 입력 단자(134)와 출력 단자(130)의 접속 및 비접속을 스위칭한다.
복수의 스위치(S51~S54)는 배타적으로 온이 되도록 제어된다. 즉, 스위치(S51~S54) 중 어느 하나만이 온으로 되고, 스위치(S51~S54) 중 나머지가 오프로 된다. 이것에 의해 출력 스위치 회로(30)는 전압(V11~V14) 중으로부터 선택된 1개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스위치 회로(30)는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엔벨로프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제어 신호가 제어 단자(135)로부터 입력되고, 제어 단자(135)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복수의 스위치(S51~S54)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에서 생성되는 복수의 전압(V11~V14)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한다. 출력 스위치 회로(30)는 선택된 전압을 필터(4)에 출력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출력 스위치 회로(30)의 구성은 일례이며, 출력 스위치 회로(30)의 구성은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스위치(S51~S54)는 4개의 입력 단자(131~13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출력 단자(130)에 접속할 수 있으면 좋고,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출력 스위치 회로(30)는 스위치(S51~S53)와 스위치(S54) 및 출력 단자(130)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스위치를 더 구비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출력 스위치 회로(30)는 스위치(S51, S52)와 스위치(S53, S54) 및 출력 단자(130)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스위치를 더 구비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2개의 이산적인 전압 레벨의 제 2 전압으로부터 1개의 전압을 선택할 경우, 출력 스위치 회로(30)는 적어도 스위치(S52, S53)를 구비하면 좋다.
또한, 출력 스위치 회로(30)는 2 이상의 전압을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경우, 출력 스위치 회로(30)는 스위치(S51~S54)의 세트와 마찬가지의 추가의 스위치 세트와 추가의 출력 단자를 필요한 수만큼 더 구비하면 좋다.
출력 스위치 회로(30)에 포함되는 스위치는 트래커 부품(3)(도 3 참조)에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래커 부품(3)은 복수의 스위치(S51~S54)를 포함한다.
(5.4)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
이어서,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는 입력 단자(110)와, 복수(도시예에서는 4개)의 출력 단자(111~114)와, 복수의 인덕터 접속 단자(115,116)와, 제어 단자(117)와, 복수(도시예에서는 5개)의 스위치(S61, S62, S63, S71, S72)와, 파워 인덕터(L71)와, 복수의 커패시터(C61, C62, C63, C64)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110)는 직류 전압의 입력 단자이다. 즉, 입력 단자(110)는 직류 전원(50)으로부터 입력 전압을 받기 위한 단자이다.
출력 단자(111)는 전압(V14)의 출력 단자이다. 즉, 출력 단자(111)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에 전압(V14)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출력 단자(111)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의 노드(N4)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단자(112)는 전압(V13)의 출력 단자이다. 즉, 출력 단자(112)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에 전압(V13)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출력 단자(112)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의 노드(N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단자(113)는 전압(V12)의 출력 단자이다. 즉, 출력 단자(113)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에 전압(V12)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출력 단자(113)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의 노드(N2)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단자(114)는 전압(V11)의 출력 단자이다. 즉, 출력 단자(114)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에 전압(V11)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출력 단자(114)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의 노드(N1)에 접속되어 있다.
인덕터 접속 단자(115)는 파워 인덕터(L71)의 일단(제 1 단)에 접속되어 있다. 인덕터 접속 단자(116)는 파워 인덕터(L71)의 타단(제 2 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단자(117)는 디지털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이다. 즉, 제어 단자(117)는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신호를 받기 위한 단자이다.
스위치(S71)는 입력 단자(110)와 파워 인덕터(L71)의 일단(제 1 단)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71)는 입력 단자(110)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단자와, 인덕터 접속 단자(115)를 통해 파워 인덕터(L71)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단자를 갖는다. 상기 접속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S71)는 온/오프를 스위칭함으로써 입력 단자(110)와 파워 인덕터(L71)의 일단 사이의 접속 및 비접속을 스위칭한다.
스위치(S72)는 파워 인덕터(L71)의 일단(제 1 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72)는 인덕터 접속 단자(115)를 통해 파워 인덕터(L71)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단자를 갖는다. 상기 접속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S72)는 온/오프를 스위칭함으로써 파워 인덕터(L71)의 일단과 그라운드 사이의 접속 및 비접속을 스위칭한다.
스위치(S61)는 파워 인덕터(L71)의 타단(제 2 단)과 출력 단자(111)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61)는 파워 인덕터(L71)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단자와, 출력 단자(111)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단자를 갖는다. 상기 접속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S61)는 온/오프를 스위칭함으로써 파워 인덕터(L71)의 타단과 출력 단자(111) 사이의 접속 및 비접속을 스위칭한다.
스위치(S62)는 파워 인덕터(L71)의 타단(제 2 단)과 출력 단자(11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62)는 파워 인덕터(L71)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단자와, 출력 단자(112)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단자를 갖는다. 상기 접속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S62)는 온/오프를 스위칭함으로써 파워 인덕터(L71)의 타단과 출력 단자(112) 사이의 접속 및 비접속을 스위칭한다.
스위치(S63)는 파워 인덕터(L71)의 타단(제 2 단)과 출력 단자(113)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63)는 파워 인덕터(L71)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단자와, 출력 단자(113)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단자를 갖는다. 상기 접속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S63)는 온/오프를 스위칭함으로써 파워 인덕터(L71)의 타단과 출력 단자(113) 사이의 접속 및 비접속을 스위칭한다.
커패시터(C61)는 출력 단자(111)와 출력 단자(11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61)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스위치(S61) 및 출력 단자(111)에 접속되고, 커패시터(C61)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스위치(S62) 및 출력 단자(112)와, 커패시터(C62)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62)는 출력 단자(112)와 출력 단자(113)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62)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스위치(S62) 및 출력 단자(112)와, 커패시터(C61)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에 접속되고, 커패시터(C62)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스위치(S63) 및 출력 단자(113)와, 커패시터(C63)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63)는 출력 단자(113)와 출력 단자(114)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63)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스위치(S63) 및 출력 단자(113)와, 커패시터(C62)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에 접속되고, 커패시터(C63)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출력 단자(114)와, 커패시터(C64)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64)는 출력 단자(114)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64)의 2개의 전극 중 일방(제 1 전극)은 출력 단자(114)와, 커패시터(C63)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에 접속되고, 커패시터(C64)의 2개의 전극 중 타방(제 2 전극)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스위치(S61~S63)는 배타적으로 온이 되도록 제어된다. 즉, 스위치(S61~S63) 중 어느 하나만이 온으로 되고, 스위치(S61~S63) 중 나머지가 오프로 된다. 스위치(S61~S63) 중 어느 것을 온으로 할지에 따라 전압(V11~V14)의 전압 레벨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는 복수의 출력 단자(111~113) 중 적어도 1개를 통해 스위치드 커패시터 회로(20)에 전하를 공급한다.
프리 레귤레이터 회로(10)에 포함되는 스위치는 트래커 부품(3)(도 3 참조)에 탑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래커 부품(3)은 복수의 스위치(S61~S63, S71, S72)를 포함한다.
(5.5) 필터
이어서, 필터(4)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필터(4)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도시예에서는 3개)의 인덕터(L51~L53)와, 복수(도시예에서는 2개)의 커패시터(C51, C52)와, 저항(R51)과, 입력 단자(140)와, 출력 단자(141)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140)는 출력 스위치 회로(30)에서 선택되는 전압의 입력 단자이다. 즉, 입력 단자(140)는 복수의 전압(V11~V14)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압을 받기 위한 단자이다.
출력 단자(141)는 전원 전압(V1)의 출력 단자이다. 즉, 출력 단자(141)는 제 1 파워 앰프(81)에 전원 전압(V1)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인덕터(L51, L52)는 입력 단자(140)와 출력 단자(141) 사이에서 서로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인덕터(L53)와 저항(R51)의 직렬 접속 회로는 인덕터(L51)에 병렬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51)는 인덕터(L51)와 인덕터(L52)의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C52)는 출력 단자(141)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필터(4)는 직렬 팔 경로에 인덕터(L51~L53)가 배치되고, 병렬 팔 경로의 커패시터(C51, C52)가 배치되는 LC 로우 패스 필터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필터(4)는 전원 전압에 포함되는 고주파 성분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밴드가 주파수 분할 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용의 주파수 밴드일 경우, 필터(4)는 소정 밴드의 다운링크 동작 밴드의 성분을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필터(4)의 구성은 일례이며, 필터(4)는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터(4)는 제거해야 하는 대역에 따라 밴드 패스 필터 또는 하이 패스 필터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필터(4)는 2 이상의 LC 필터를 구비해도 좋다. 상기 2 이상의 LC 필터가 출력 단자(130)에 공통 접속되고, 각 LC 필터가 상이한 밴드 각각에 대응한 통과 대역 또는 감쇠 대역을 갖고 있으면 좋다. 또는, 2 이상의 LC 필터로 구성되는 제 1 필터군이 출력 스위치 회로(30)의 제 1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 2 이상의 LC 필터로 구성되는 제 2 필터군이 출력 스위치 회로(30)의 제 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각 LC 필터가 상이한 밴드 각각에 대응한 통과 대역 또는 감쇠 대역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경우에는 필터(4)는 2 이상의 출력 단자를 갖고, 상이한 제 1 파워 앰프(81)에 동시에 2 이상의 전원 전압(V1)을 출력해도 좋다.
(6) 트래커 모듈의 동작
이어서,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의 동작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트래커 부품(3)으로부터 전원 전압(V1)이 인가되는 제 1 파워 앰프(81)가 대응하는 통신 밴드를 제 1 통신 밴드로 하고, 트래커 부품(3)으로부터 전원 전압(V2)이 인가되는 제 2 파워 앰프(82)가 대응하는 통신 밴드를 제 2 통신 밴드로 한다.
트래커 부품(3)은 전원 전압(V1)을 출력한다. 필터(4)는 트래커 부품(3)으로부터의 전원 전압(V1)을 통과시킨다. 전원 전압(V1)은 정현파의 전압이 아니기 때문에, 필터(4)는 전원 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을 저감시킨다. 즉, 필터(4)는 전원 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을 커트하고, 전원 전압(V1)의 기본파 성분을 통과시킨다. 그 후, 트래커 모듈(1)은 필터(4)를 통과한 전원 전압(V1)을 제 1 출력 단자(6)로부터 출력한다. 제 1 파워 앰프(81)에는 필터(4)를 통과한 전원 전압(V1)이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모듈(1)의 제 1 출력 단자(6)로부터는 고조파 성분이 저감된 전원 전압(V1)이 출력된다.
트래커 부품(3)은 전원 전압(V2)을 출력한다. 트래커 모듈(1)은 전원 전압(V2)을 필터(4)에 통과시키지 않고, 제 2 출력 단자(7)로부터 출력한다. 제 2 파워 앰프(82)에는 전원 전압(V2)이 인가된다. 전원 전압(V2)은 필터(4)를 통과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트래커 모듈(1)의 제 2 출력 단자(7)로부터는 비교적 큰 전압의 전원 전압(V2)이 출력된다.
그런데, 제 2 출력 단자(7)에 접속되는 제 2 파워 앰프(82)의 파워 클래스는 제 1 출력 단자(6)에 접속되는 제 1 파워 앰프(81)의 파워 클래스보다 크다. 예를 들면, 제 1 파워 앰프(81)는 논 하이 파워 클래스에 대응하는 파워 앰프이며, 제 2 파워 앰프(82)는 하이 파워 클래스에 대응하는 파워 앰프이다.
여기에서 「파워 클래스」란, 최대 출력 파워 등으로 정의되는 단말의 출력 파워의 분류를 말하고, 값이 작을수록 높은 파워의 출력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파워 클래스 2쪽이 파워 클래스 3보다 높은 파워의 출력에 대응한다. 하이 파워 클래스의 최대 출력 파워는 논 하이 파워 클래스의 최대 출력 파워보다 크다. 최대 출력 파워의 측정은, 예를 들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등에 의해 정의된 방법으로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출력 단자(7)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V2)은 필터(4)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필터(4)에 의한 로스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원 전압(V2)을 제 2 파워 앰프(82)에 출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파워 클래스가 큰 제 2 파워 앰프(82)에 큰 전원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 1 출력 단자(6)에 접속되는 제 1 파워 앰프(81)는 F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며, 제 2 출력 단자(7)에 접속되는 제 2 파워 앰프(82)는 T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FDD에 의한 통신의 경우, 송신 동작과 함께 수신 동작이 행해지고 있다. 전원 전압(V1)은 정현파가 아니기 때문에 전원 전압(V1)에는 고조파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전원 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은 수신 동작에 있어서 노이즈 성분이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전원 전압(V1)의 고조파 성분과 송신 신호가 믹싱됨으로써 수신 신호의 통신 밴드의 주파수의 노이즈 성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전원 전압(V1)은 트래커 부품(3)으로부터 출력되어 필터(4)를 통과해서 제 1 파워 앰프(81)에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FDD에 의한 통신 시에 전원 전압(V1)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TDD에 의한 통신의 경우, FDD에 의한 통신의 경우에 비해 높은 전원 전압을 필요로 한다. 제 2 파워 앰프(82)의 전원 전압(V2)은 제 1 파워 앰프(81)의 전원 전압(V1)보다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전원 전압(V2)은 필터(4)를 통과하지 않고 제 2 파워 앰프(82)에 출력되어 있다. 필터(4)에서의 감쇠가 없기 때문에 TDD에 의한 통신 시에 손실없이 소망의 전압값의 전원 전압(V2)을 인가할 수 있다.
(7) 효과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에서는 제 1 출력 단자(6)가 필터(4)를 통해 트래커 부품(3)과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필터(4)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를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 영역(A1)과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출력 단자(6)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V1)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필터(4)와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에서는 제 1 출력 단자(6)가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 적어도 1개와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필터(4)와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배선 길이를 더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에서는 제 2 출력 단자(7)가 트래커 부품(3)과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부품(3)과 제 2 출력 단자(7)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b)에서는 제 2 출력 단자(7)에 접속되는 제 2 파워 앰프(82)의 파워 클래스가 제 1 출력 단자(6)에 접속되는 제 1 파워 앰프(81)의 파워 클래스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파워 클래스가 큰 제 2 파워 앰프(82)에 큰 전원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b)에서는 제 1 출력 단자(6)에 접속되는 제 1 파워 앰프(81)가 F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며, 제 2 출력 단자(7)에 접속되는 제 2 파워 앰프(82)가 T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이것에 의해 FDD 시에 전원 전압(V1)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에서는 제 1 출력 단자(6)가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최외주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출력 단자(6)를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하기 쉬워진다.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에서는 제 1 출력 단자(6)가 인덕터 및 커패시터 중 제 1 파워 앰프(81)에 가까운 소자와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필터(4)와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배선 길이를 더 짧게 할 수 있다.
(8) 변형예
이하,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로서,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4)에 포함되는 인덕터(41)가 아니라 인덕터(41) 이외의 소자와 겹쳐 있어도 좋다. 제 1 출력 단자(6)는 필터(4)에 포함되는 커패시터(42)와 겹쳐 있어도 좋고, 인덕터(41)와 커패시터(42)의 양방과 겹쳐 있어도 좋다. 요컨대,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4)에 포함되는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 적어도 1개와 겹쳐 있으면 좋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로서,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최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제 1 출력 단자(6)와 기판(2)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다른 외부 접속 단자(5)가 존재하는 위치에 제 1 출력 단자(6)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3으로서, 필터(4)는 L형 필터가 아니라 다른 LC 필터이어도 좋다. 필터(4)는, 예를 들면 π형 필터이어도 좋고, T형 필터이어도 좋다.
필터(4)가 π형 필터일 경우, 트래커 부품(3)과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경로에 인덕터가 형성되고, 인덕터와 트래커 부품(3) 사이의 경로에 제 1 커패시터의 일단이 접속되고, 인덕터와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경로에 제 2 커패시터의 일단이 접속됨으로써 필터(4)가 형성된다.
필터(4)가 π형 필터일 경우, 제 1 출력 단자(6)에 가장 가까운 소자는 인덕터 및 제 2 커패시터이다. 따라서,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제 1 출력 단자(6)가 인덕터 및 제 1 커패시터 중 적어도 1개와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1 출력 단자(6)가 인덕터 및 제 2 커패시터 중 어느 것에도 겹쳐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 사이의 배선 길이를 더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터(4)가 T형 필터일 경우, 트래커 부품(3)과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경로에 제 1 인덕터 및 제 2 인덕터가 직렬로 접속되도록 형성되고, 제 1 인덕터와 제 2 인덕터 사이의 경로에 커패시터의 일단이 접속됨으로써 필터(4)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인덕터와 제 2 인덕터 사이의 경로에는 커패시터 및 제 3 인덕터의 직렬 회로의 일단이 접속되어도 좋다.
필터(4)가 T형 필터일 경우, 제 1 출력 단자(6)에 가장 가까운 소자는 제 2 인덕터이다. 따라서,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제 1 출력 단자(6)가 제 2 인덕터와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1 출력 단자(6)가 제 2 인덕터와 겹쳐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 사이의 배선 길이를 더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4로서, 제 2 출력 단자(7)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트래커 부품(3)(영역(A2))과 겹쳐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2 출력 단자(7)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영역(A2)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5로서, 필터(4)는 전원 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을 커트하는 필터이면 좋고, 로우 패스 필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각 변형예에 따른 트래커 모듈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4), 제 1 출력 단자(6) 및 제 2 출력 단자(7)의 그룹(G1~G3)을 복수 갖는 점에서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도 3 참조)과 상위하다. 또한,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에 관해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과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1) 구성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과, 트래커 부품(3a)과, 복수의 필터(4)와,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5)를 구비한다.
(1.1) 트래커 부품
트래커 부품(3a)은 실시형태 1의 트래커 부품(3)과 마찬가지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원 전압(V1, V2)을 생성한다. 트래커 부품(3a)은 실시형태 1의 트래커 부품(3)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단자(31)를 구비한다.
트래커 부품(3a)은 복수(도시예에서는 3개)의 제 1 파워 앰프(81)에 전원 전압(V1)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래커 부품(3a)은,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파워 앰프(81)에 대해서 개별로 전원 전압(V1)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트래커 부품(3a)은 복수(도시예에서는 3개)의 제 2 파워 앰프(82)에 전원 전압(V2)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래커 부품(3a)은, 예를 들면 복수의 제 2 파워 앰프(82)에 대해서 개별로 전원 전압(V2)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1.2) 그룹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그룹(G1~G3)을 갖는다. 복수의 그룹(G1~G3) 각각에는 필터(4)와,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와, 제 2 파워 앰프(82)에 접속되는 제 2 출력 단자(7)가 속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룹(G1)에는 필터(4A)와, 제 1 파워 앰프(81A)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A)와, 제 2 파워 앰프(82A)에 접속되는 제 2 출력 단자(7A)가 속해 있다. 그룹(G2)에는 필터(4B)와, 제 1 파워 앰프(81B)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B)와, 제 2 파워 앰프(82B)에 접속되는 제 2 출력 단자(7B)가 속해 있다. 그룹(G3)에는 필터(4C)와, 제 1 파워 앰프(81C)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C)와, 제 2 파워 앰프(82C)에 접속되는 제 2 출력 단자(7C)가 속해 있다.
(1.3) 필터
복수의 필터(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배치되어 있으며, 트래커 부품(3a)에 접속되어 있다. 각 필터(4)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래커 부품(3a)과 제 1 출력 단자(6)에 접속되어 있다. 각 필터(4)는 동일한 그룹(G1~G3)에 속하는 제 1 출력 단자(6)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을 저감시킨다.
각 필터(4)는 실시형태 1의 필터(4)와 마찬가지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를 주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LC 필터이다. 각 필터(4)는, 예를 들면 로우 패스 필터이다. 도 8의 예에서는, 각 필터(4)는 인덕터(41)와 커패시터(42)를 포함한다. 인덕터(41)는 칩 인덕터이며, 커패시터(42)는 칩 커패시터이다. 각 필터(4)는 실시형태 1의 필터(4)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L형 필터이다.
(1.4) 제 1 출력 단자, 제 2 출력 단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그룹(G1~G3)에 속하는 복수(도시예에서는 3개)의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복수의 필터(4)의 직사각형 영역(A3)과 겹쳐 있다. 직사각형 영역(A3)은 복수의 필터(4)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이다.
여기에서, 직사각형 영역(A3)은 4개의 변으로 둘러싸여 있는 영역이다. 직사각형 영역(A3)의 좌변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복수의 필터(4)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선이다. 직사각형 영역(A3)의 하변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복수의 필터(4)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선이다. 직사각형 영역(A3)의 우변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복수의 필터(4)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선이다. 직사각형 영역(A3)의 상변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복수의 필터(4)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선이다. 또한, 상기 가장자리는 점인 경우도 있으며, 변인 경우도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직사각형 영역(A3)의 좌변은 필터(4A~4C)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의 좌측 가장자리상에 위치한다. 직사각형 영역(A3)의 하변은 필터(4C)의 커패시터(42)의 하측 가장자리상에 위치한다. 직사각형 영역(A3)의 우변은 필터(4A~4C)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의 우측 가장자리상에 위치한다. 직사각형 영역(A3)의 상변은 필터(4A)의 인덕터(41)의 상측 가장자리상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그룹(G1~G3) 각각에 있어서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를 직사각형 영역(A3) 내에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파워 앰프(81A)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A)와 필터(4A) 사이의 배선 길이, 제 1 파워 앰프(81B)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B)와 필터(4B) 사이의 배선 길이, 및 제 1 파워 앰프(81C)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C)와 필터(4C)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로 상이한 그룹(G1~G3)에 속하는 제 1 출력 단자(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그룹(G1)에 속하는 제 1 출력 단자(6A)와, 그룹(G2)에 속하는 제 1 출력 단자(6B)와, 그룹(G3)에 속하는 제 1 출력 단자(6C)가 서로 인접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출력 단자(6) 사이에 존재하는 외부 접속 단자(5)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는 그라운드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이한 그룹(G1~G3)에 속하는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거리를 띄우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이한 그룹(G1~G3)에 속하는 제 1 출력 단자(6)가 인접할 경우에 비해 상이한 그룹(G1~G3)에 속하는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그룹(G1~G3)에 속하는 제 2 출력 단자(7)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그룹(G1)에 속하는 제 2 출력 단자(7A)와, 그룹(G2)에 속하는 제 2 출력 단자(7B)가 서로 인접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한편, 그룹(G2)에 속하는 제 2 출력 단자(7B)와, 그룹(G3)에 속하는 제 2 출력 단자(7C)는 서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이한 그룹(G1~G3)에 속하는 제 2 출력 단자(7) 사이의 거리를 필요에 따라 띄우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상이한 그룹(G1~G3)에 속하는 제 2 출력 단자(7)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서로 상이한 그룹(G1~G3)에 속하는 출력 단자(제 1 출력 단자(6) 또는 제 2 출력 단자(7))가 서로 인접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란, 출력 단자 사이에 적어도 1개의 다른 외부 접속 단자(5)가 존재하도록 출력 단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출력 단자」란 제 1 출력 단자(6) 또는 제 2 출력 단자(7)이다.
도 7의 예에서는, 제 1 출력 단자(6A)와 제 1 출력 단자(6B) 사이에 1개의 외부 접속 단자(5)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 1 출력 단자(6A)와 제 1 출력 단자(6B)는 서로 인접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출력 단자(6B)와 제 1 출력 단자(6C) 사이에 1개의 외부 접속 단자(5)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 1 출력 단자(6B)와 제 1 출력 단자(6C)는 서로 인접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출력 단자(7A)와 제 2 출력 단자(7B) 사이에 1개의 외부 접속 단자(5)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 2 출력 단자(7A)와 제 2 출력 단자(7B)는 서로 인접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그룹(G1~G3) 각각에 있어서, 제 2 출력 단자(7)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영역(A2)과 겹쳐 있다. 즉, 제 2 출력 단자(7)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트래커 부품(3a)(도 8 참조)과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그룹(G1~G3) 각각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a)의 출력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제 2 출력 단자(7)를 영역(A2) 내에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 2 파워 앰프에 접속되는 제 2 출력 단자가 트래커 부품의 영역과 겹쳐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 2 파워 앰프(82)에 접속되는 제 2 출력 단자(7)와 트래커 부품(3a)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동작
이어서,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의 동작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룹(G1~G3) 각각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a)으로부터 전원 전압(V1)이 인가되는 제 1 파워 앰프(81)가 대응하는 통신 밴드를 제 1 통신 밴드로 하고, 트래커 부품(3a)으로부터 전원 전압(V2)이 인가되는 제 2 파워 앰프(82)가 대응하는 통신 밴드를 제 2 통신 밴드로 한다.
여기에서, 그룹(G1)에 대응하는 제 1 파워 앰프(81A)는 F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며, 예를 들면 통신 밴드가 로우 밴드인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그룹(G1)에 대응하는 제 2 파워 앰프(82A)는 T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며, 예를 들면 통신 밴드가 울트라 하이 밴드인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또한, 그룹(G2)에 대응하는 제 1 파워 앰프(81B)는 F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며, 예를 들면 통신 밴드가 미드 밴드인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그룹(G2)에 대응하는 제 2 파워 앰프(82B)는 T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며, 예를 들면 통신 밴드가 하이 밴드인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복수의 그룹(G1~G3) 각각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a)은 전원 전압(V1)을 출력한다. 필터(4)는 트래커 부품(3a)으로부터의 전원 전압(V1)을 통과시킨다. 전원 전압(V1)은 정현파의 전압이 아니기 때문에 필터(4A)는 전원 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을 저감시킨다. 즉, 필터(4)는 전원 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을 커트하고, 전원 전압(V1)의 기본파 성분을 통과시킨다. 그 후, 제 1 파워 앰프(81)에는 필터(4)를 통과한 전원 전압(V1)이 인가된다.
(3) 효과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에서는, 서로 상이한 그룹(G1~G3)에 속하는 제 1 출력 단자(6)가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인접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이한 그룹(G1~G3)의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에 따른 트래커 모듈(1b)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를 구비하는 점에서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도 7 참조)과 상위하다. 또한, 실시형태 3에 따른 트래커 모듈(1b)에 관해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과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1) 구성
실시형태 3에 따른 트래커 모듈(1b)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과 마찬가지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과, 트래커 부품(3a)(도 8 참조)과, 복수의 필터(4)(도 7 참조)와,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5)를 구비한다.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5)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룹(G1~G3)(도 9 참조) 각각에 있어서 복수(도시예에서는 2개)의 제 2 출력 단자(7)를 구비한다.
실시형태 3에 따른 트래커 모듈(1b)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그룹(G1~G3)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의 전체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영역(A2)과 겹쳐 있다. 즉,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의 전체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트래커 부품(3a)(도 8 참조)과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그룹(G1~G3) 각각에 있어서 트래커 부품(3a)의 출력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의 전체를 영역(A2) 내에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 2 파워 앰프(82)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와 트래커 부품(3a) 사이의 배선 길이를 더 짧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실시형태 3에서는,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의 수는 제 1 출력 단자(6)의 수보다 많다. 도 10의 예에서는, 그룹(G1~G3) 각각에 있어서 제 2 출력 단자(7)가 2개이며, 제 1 출력 단자(6)가 1개이다.
이것에 의해, 제 2 출력 단자(7)를 통해 큰 전원 전력을 제 2 파워 앰프(82)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에서는,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를 흐르는 최대 부하 전류는 제 1 출력 단자(6)를 흐르는 최대 부하 전류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제 2 출력 단자(7)를 통해 큰 전원 전력을 제 2 파워 앰프(82)에 출력할 수 있다.
(2) 효과
실시형태 3에 따른 트래커 모듈(1b)에서는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의 전체가 트래커 부품(3)과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트래커 부품(3)과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 사이의 배선 길이를 더 짧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에 따른 트래커 모듈(1b)에서는 제 2 출력 단자(7)의 수가 제 1 출력 단자(6)의 수보다 많다. 이것에 의해 제 2 출력 단자(7)를 통해 큰 전원 전력을 제 2 파워 앰프(82)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에 따른 트래커 모듈(1b)에서는 제 2 출력 단자(7)를 흐르는 최대 부하 전류가 제 1 출력 단자(6)를 흐르는 최대 부하 전류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제 2 출력 단자(7)를 통해 큰 전원 전력을 제 2 파워 앰프(82)에 출력할 수 있다.
(3) 변형예
실시형태 3의 변형예 1로서,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의 전체가 트래커 부품(3a)과 겹쳐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의 일부만이 트래커 부품(3a)과 겹쳐 있어도 좋다. 제 2 출력 단자(7)가 2개일 경우, 2개의 제 2 출력 단자(7) 중 일방이 트래커 부품(3)(영역(A2))과 겹쳐 있으며, 2개의 제 2 출력 단자(7) 중 타방(나머지)은 트래커 부품(3)(영역(A2))과 겹쳐 있지 않아도 좋다. 요컨대,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 중 적어도 1개가 트래커 부품(3a)과 겹쳐 있으면 좋다.
실시형태 3의 변형예 2로서, 복수의 그룹(G1~G3) 중 1개 또는 2개의 그룹에 있어서,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 중 적어도 1개가 트래커 부품(3a)과 겹쳐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 3과 같이 복수의 그룹(G1~G3)의 전체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 중 적어도 1개가 트래커 부품(3a)과 겹쳐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룹(G1)의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 중 적어도 1개가 트래커 부품(3a)과 겹쳐 있으며, 나머지의 그룹(G2, G3)의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 중 적어도 1개가 트래커 부품(3a)과 겹쳐 있지 않아도 좋다. 요컨대, 복수의 그룹(G1~G3) 중 적어도 1개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 중 적어도 1개가 트래커 부품(3a)과 겹쳐 있으면 좋다.
상기 각 변형예에 따른 트래커 모듈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3에 따른 트래커 모듈(1a)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4에 따른 트래커 모듈(1c)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 패키지화된 복수의 필터(4c)를 구비하는 점에서,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도 8 참조)과 상위하다. 또한, 실시형태 4에 따른 트래커 모듈(1c)에 관해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과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1) 구성
실시형태 4에 따른 트래커 모듈(1c)은 실시형태 2의 복수의 필터(4) 대신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필터(4c)를 구비한다. 트래커 모듈(1c)은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과 마찬가지로 기판(2)과, 트래커 부품(3)과,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5)를 구비한다.
복수의 필터(4c) 각각은 필터(4c)를 구성하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가 1개로 패키지화(원 패키지화)된 소자이다. 각 필터(4c)는, 예를 들면 로우 패스 필터이다. 그룹(G1)에는 필터(4D)가 속해 있으며, 그룹(G2)에는 필터(4E)가 속해 있으며, 그룹(G3)에는 필터(4F)가 속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그룹(G1~G3) 각각에 있어서,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4c)의 직사각형 영역(A4)(또는 A5 또는 A6)과 겹쳐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룹(G1)의 제 1 출력 단자(6A)는 필터(4D)의 직사각형 영역(A4)과 겹쳐 있으며, 그룹(G2)의 제 1 출력 단자(6B)는 필터(4E)의 직사각형 영역(A5)과 겹쳐 있으며, 그룹(G3)의 제 1 출력 단자(6C)는 필터(4F)의 직사각형 영역(A6)과 겹쳐 있다.
(2) 효과
실시형태 4에 따른 트래커 모듈(1c)에 의하면, 복수의 그룹(G1~G3) 각각에 있어서 필터(4c)의 출력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제 1 출력 단자(6)를 직사각형 영역(A1) 내에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 1 파워 앰프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가 필터의 직사각형 영역과 겹쳐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c)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4에 따른 트래커 모듈(1c)에서는, 각 필터(4c)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가 원 패키지화된 소자이다. 이것에 의해 각 필터(4c)의 배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3) 변형예
실시형태 4의 변형예 1로서, 트래커 모듈(1c)에서는 복수의 그룹(G1~G3)의 전체에 대해서 원 패키지화된 필터(4c)가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그룹(G1~G3) 중 적어도 1개에 대해서 필터(4c)가 사용되어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그룹(G1~G3) 중 적어도 1개에 대해서 필터(4c)가 사용되고, 복수의 그룹(G1~G3) 중 나머지의 그룹에 대해서 실시형태 1의 필터(4)가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4의 변형예 2로서, 필터(4c)는 전원 전압(V1)의 고조파 성분을 커트하는 필터이면 좋고, 로우 패스 필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변형예에 따른 트래커 모듈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4에 따른 트래커 모듈(1c)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변형예)
실시형태 1~4의 변형예 1로서 트래커 모듈(1)과, 제 1 파워 앰프(81)와, 제 2 파워 앰프(82)가 1개의 전력 증폭 모듈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전력 증폭 모듈은 트래커 모듈(1)과, 제 1 파워 앰프(81)와, 제 2 파워 앰프(82)를 구비한다. 전력 증폭 모듈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 대신에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 실시형태 3에 따른 트래커 모듈(1b), 또는 실시형태 4에 따른 트래커 모듈(1c)을 구비해도 좋다.
변형예 1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에서는, 트래커 모듈(1)에 있어서 제 1 출력 단자(6)가 필터(4)를 통해 트래커 부품(3)과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필터(4)의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 영역(A1)과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출력 단자(6)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V1)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필터(4)와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4의 변형예 2로서 트래커 모듈(1)과, 제 1 파워 앰프(81)와, 제 2 파워 앰프(82)와, 제 1 송신 필터(83)와, 제 2 송신 필터(84)로 1개의 모듈, 즉 고주파 모듈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변형예 2에 따른 고주파 모듈은 트래커 모듈(1)과, 제 1 파워 앰프(81)와, 제 2 파워 앰프(82)와, 제 1 송신 필터(83)와, 제 2 송신 필터(84)를 구비한다. 고주파 모듈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트래커 모듈(1) 대신에 실시형태 2에 따른 트래커 모듈(1a), 실시형태 3에 따른 트래커 모듈(1b), 또는 실시형태 4에 따른 트래커 모듈(1c)을 구비해도 좋다.
변형예 2에 따른 고주파 모듈에서는, 트래커 모듈(1)에 있어서 제 1 출력 단자(6)가 필터(4)를 통해 트래커 부품(3)과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필터(4)의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 영역(A1)과 겹쳐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출력 단자(6)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V1)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필터(4)와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4의 변형예 3으로서, 필터(4)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IPD(Integrated Passive Device)이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설계 등에 따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요소는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배치되어 있다」란, 요소가 기판(2)의 제 1 주면(21) 상에 직접 실장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기판(2)으로 분리된 제 1 주면(21)측의 공간 및 제 2 주면(22)측의 공간 중 제 1 주면(21)측의 공간에 요소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즉, 「요소는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배치되어 있다」란 요소가 기판(2)의 제 1 주면(21) 상에, 다른 회로 소자 또는 전극 등을 통해 실장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요소는, 예를 들면 트래커 부품(3), 필터(4)이다. 또한, 요소는 트래커 부품(3), 필터(4)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요소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다」란, 요소가 기판(2)의 제 2 주면(22) 상에 직접 실장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기판(2)으로 분리된 제 1 주면(21)측의 공간 및 제 2 주면(22)측의 공간 중 제 2 주면(22)측의 공간에 요소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즉, 「요소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다」란 요소가 기판(2)의 제 2 주면(22) 상에, 다른 회로 소자 또는 전극 등을 통해 실장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요소는, 예를 들면 제 1 출력 단자(6), 제 2 출력 단자(7)이다. 또한, 요소는 제 1 출력 단자(6), 제 2 출력 단자(7)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 1 요소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제 2 요소와 겹쳐 있다」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제 1 요소의 전부가 제 2 요소의 전부와 겹쳐 있는 경우와, 제 1 요소의 전부가 제 2 요소의 일부와 겹쳐 있는 경우와, 제 1 요소의 일부가 제 2 요소의 전부와 겹쳐 있는 경우와, 제 1 요소의 일부가 제 2 요소의 일부와 겹쳐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요컨대, 「제 1 요소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제 2 요소와 겹쳐 있다」란, 「제 1 요소 중 적어도 일부가 제 2 요소 중 적어도 일부와 겹쳐 있다」는 것을 말한다. 제 1 요소와 제 2 요소의 조합은, 예를 들면 제 1 요소가 제 1 출력 단자(6)이며, 제 2 요소가 필터(4)의 직사각형 영역(A1)인 조합, 제 1 요소가 제 2 출력 단자(7)이며, 제 2 요소가 트래커 부품(3)인 조합이다. 또한, 제 1 요소와 제 2 요소의 조합은 상기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태)
본 명세서에는 이하의 양태가 개시되어 있다.
제 1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은 제 1 파워 앰프(81) 및 제 2 파워 앰프(82)에 전원 전압(V1, V2)을 출력한다. 트래커 모듈(1;1a;1b;1c)은 기판(2)과, 트래커 부품(3;3a)과, 필터(4;4c)와, 제 1 출력 단자(6)와, 제 2 출력 단자(7)를 구비한다. 기판(2)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주면(21) 및 제 2 주면(22)을 갖는다. 트래커 부품(3;3a)은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원 전압(V1, V2)을 생성한다. 필터(4;4c)는 기판(2)의 제 1 주면(21)에 배치되어 있으며, 트래커 부품(3;3a)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된다. 제 2 출력 단자(7)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2 파워 앰프(82)에 접속된다. 제 1 출력 단자(6)는 필터(4;4c)를 통해 트래커 부품(3;3a)과 접속되어 있다. 제 2 출력 단자(7)는 트래커 부품(3;3a)과 접속되어 있다. 필터(4;4c)는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를 포함하는 LC 필터이다.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4;4c)의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를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 영역(A1;A3;A4;A5;A6)과 겹쳐 있다.
제 1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 의하면, 제 1 파워 앰프(81)에 출력되는 전원 전압(V1)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4c)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서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4;4c)에 포함되는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 적어도 1개와 겹쳐 있다.
제 2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 의하면,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4c) 사이의 배선 길이를 더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서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필터(4;4c)에 포함되는 인덕터(41) 및 커패시터(42) 중 제 1 출력 단자(6)에 가장 가까운 소자와 겹쳐 있다.
제 3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 의하면,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4c) 사이의 배선 길이를 더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4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은 제 1~3 양태 중 어느 1개에 있어서 제 2 출력 단자(7)를 복수 구비한다.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 중 적어도 1개는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트래커 부품(3;3a)과 겹쳐 있다.
제 4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 의하면, 제 2 파워 앰프(82)에 접속되는 제 2 출력 단자(7)와 트래커 부품(3;3a)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5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a;1b;1c)에서는, 제 4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의 전체가 기판(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트래커 부품(3a)과 겹쳐 있다.
제 5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a;1b;1c)에 의하면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와 트래커 부품(3a) 사이의 배선 길이를 더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6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a;1b;1c)에서는, 제 4 또는 5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의 수는 제 1 출력 단자(6)의 수보다 많다.
제 6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a;1b;1c)에 의하면 제 2 출력 단자(7)를 통해 큰 전원 전력을 제 2 파워 앰프(82)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7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서는, 제 4~6 양태 중 어느 1개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7)를 흐르는 최대 부하 전류는 제 1 출력 단자(6)를 흐르는 최대 부하 전류보다 크다.
제 7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 의하면 제 2 출력 단자(7)를 통해 큰 전원 전력을 제 2 파워 앰프(82)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8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서는, 제 1~7 양태 중 어느 1개에 있어서 제 2 출력 단자(7)에 접속되는 제 2 파워 앰프(82)의 파워 클래스는 제 1 출력 단자(6)에 접속되는 제 1 파워 앰프(81)의 파워 클래스보다 크다.
제 8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 의하면 파워 클래스가 큰 제 2 파워 앰프(82)에 큰 전원 전력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9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서는, 제 1~8 양태 중 어느 1개에 있어서 제 1 출력 단자(6)에 접속되는 제 1 파워 앰프(81)는 F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제 2 출력 단자(7)에 접속되는 제 2 파워 앰프(82)는 T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제 9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 의하면 FDD 시에 전원 전압(V1)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수신 신호로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수신 감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0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c)에서는, 제 1~9 양태 중 어느 1개에 있어서 필터(4c)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가 원 패키지화된 소자이다.
제 10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c)에 의하면 필터(4c)의 배치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1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서는, 제 1~10 양태 중 어느 1개에 있어서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최외주에 배치되어 있다.
제 11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1a;1b;1c)에 의하면 제 1 출력 단자(6)를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하기 쉬워진다.
제 12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a;1b;1c)에서는, 제 1~11 양태 중 어느 1개에 있어서 필터(4;4c), 제 1 출력 단자(6) 및 제 2 출력 단자(7)의 그룹(G1, G2, G3)을 복수 갖는다. 서로 상이한 그룹(G1, G2, G3)에 속하는 복수의 제 1 출력 단자(6)는 기판(2)의 제 2 주면(2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제 12 양태에 따른 트래커 모듈(1a;1b;1c)에 의하면 상이한 그룹(G1, G2, G3)의 제 1 출력 단자(6)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3 양태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은 제 1~12 양태 중 어느 1개의 트래커 모듈(1;1a;1b;1c)과, 제 1 파워 앰프(81)와, 제 2 파워 앰프(82)를 구비한다.
제 13 양태에 따른 전력 증폭 모듈에 의하면, 트래커 모듈(1;1a;1b;1c)에 있어서 제 1 파워 앰프(81)에 출력되는 전원 전압(V1)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4c)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4 양태에 따른 고주파 모듈은, 제 1~12 양태 중 어느 1개의 트래커 모듈(1;1a;1b;1c)과, 제 1 파워 앰프(81)와, 제 2 파워 앰프(82)와, 제 1 송신 필터(83)와, 제 2 송신 필터(84)를 구비한다. 제 1 송신 필터(83)는 제 1 파워 앰프(81)에서 증폭된 제 1 송신 신호를 통과시킨다. 제 2 송신 필터(84)는 제 2 파워 앰프(82)에서 증폭된 제 2 송신 신호를 통과시킨다.
제 14 양태에 따른 고주파 모듈에 의하면, 트래커 모듈(1;1a;1b;1c)에 있어서 제 1 파워 앰프(81)에 출력되는 전원 전압(V1)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4c)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5 양태에 따른 통신 장치(9)는, 제 1~12 양태 중 어느 1개의 트래커 모듈(1;1a;1b;1c)과, 제 1 파워 앰프(81)와, 제 2 파워 앰프(82)와, 신호 처리 회로(92)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 회로(92)는 제 1 파워 앰프(81)로 제 1 송신 신호를 출력하고, 제 2 파워 앰프(82)로 제 2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제 15 양태에 따른 통신 장치(9)에 의하면, 트래커 모듈(1;1a;1b;1c)에 있어서 제 1 파워 앰프(81)에 출력되는 전원 전압(V1)의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파워 앰프(81)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6)와 필터(4;4c) 사이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1a, 1b, 1c: 트래커 모듈 2: 기판
21: 제 1 주면 22: 제 2 주면
3, 3a: 트래커 부품 31: 단자
4, 4c, 4A, 4B, 4C, 4D, 4E, 4F: 필터 41: 인덕터
42: 커패시터 43: 단자
5: 외부 접속 단자 51: 입력 단자
6, 6A, 6B, 6C: 제 1 출력 단자 7, 7A, 7B, 7C: 제 2 출력 단자
8: 고주파 모듈
81, 81A, 81B, 81C: 제 1 파워 앰프
82, 82A, 82B, 82C: 제 2 파워 앰프
83: 제 1 송신 필터 84: 제 2 송신 필터
851: 제 1 수신 필터 852: 제 2 수신 필터
861: 제 1 로우 노이즈 앰프 862: 제 2 로우 노이즈 앰프
87: 스위치 881, 882: 신호 입력 단자
883, 884: 신호 출력 단자 885: 안테나 단자
886, 887: 단자 9: 통신 장치
91: 안테나 92: 신호 처리 회로
93: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회로 94: RF 신호 처리 회로
V1, V2: 전원 전압
A1, A3, A4, A5, A6: 직사각형 영역 A2: 영역
G1~G3: 그룹

Claims (15)

  1. 제 1 파워 앰프 및 제 2 파워 앰프에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트래커 모듈로서,
    서로 대향하는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기 제 1 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트래커 부품과,
    상기 기판의 상기 제 1 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래커 부품에 접속되어 있는 필터와,
    상기 기판의 상기 제 2 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파워 앰프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와,
    상기 기판의 상기 제 2 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파워 앰프에 접속되는 제 2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출력 단자는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트래커 부품과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출력 단자는 상기 트래커 부품과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LC 필터이며,
    상기 제 1 출력 단자는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상기 필터의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커패시터를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 영역과 겹쳐 있는 트래커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단자는 상기 기판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상기 필터에 포함되는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커패시터 중 적어도 1개와 겹쳐 있는 트래커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단자는 상기 기판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상기 필터에 포함되는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커패시터 중 상기 제 1 출력 단자에 가장 가까운 소자와 겹쳐 있는 트래커 모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력 단자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기판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상기 트래커 부품과 겹쳐 있는 트래커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의 전체가 상기 기판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부터의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상기 트래커 부품과 겹쳐 있는 트래커 모듈.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의 수는 상기 제 1 출력 단자의 수보다 많은 트래커 모듈.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출력 단자를 흐르는 최대 부하 전류는 상기 제 1 출력 단자를 흐르는 최대 부하 전류보다 큰 트래커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상기 제 2 파워 앰프의 파워 클래스는 상기 제 1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상기 제 1 파워 앰프의 파워 클래스보다 큰 트래커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상기 제 1 파워 앰프는 F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며,
    상기 제 2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상기 제 2 파워 앰프는 TDD에 의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인 트래커 모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인덕터 및 상기 커패시터가 원 패키지화된 소자인 트래커 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단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 2 주면에 있어서 최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트래커 모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상기 제 1 출력 단자 및 상기 제 2 출력 단자의 그룹을 복수 갖고,
    서로 상이한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제 1 출력 단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 2 주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지 않고 배치되어 있는 트래커 모듈.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래커 모듈과,
    상기 제 1 파워 앰프와,
    상기 제 2 파워 앰프를 구비하는 전력 증폭 모듈.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래커 모듈과,
    상기 제 1 파워 앰프와,
    상기 제 2 파워 앰프와,
    상기 제 1 파워 앰프에서 증폭된 제 1 송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1 송신 필터와,
    상기 제 2 파워 앰프에서 증폭된 제 2 송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송신 필터를 구비하는 고주파 모듈.
  15.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래커 모듈과,
    상기 제 1 파워 앰프와,
    상기 제 2 파워 앰프와,
    상기 제 1 파워 앰프로 제 1 송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파워 앰프로 제 2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KR1020237019062A 2021-01-28 2022-01-28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KR20230104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12509 2021-01-28
JP2021012509 2021-01-28
PCT/JP2022/003217 WO2022163791A1 (ja) 2021-01-28 2022-01-28 トラッカモジュール、電力増幅モジュール、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249A true KR20230104249A (ko) 2023-07-07

Family

ID=8265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062A KR20230104249A (ko) 2021-01-28 2022-01-28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53097A1 (ko)
EP (1) EP4300819A1 (ko)
KR (1) KR20230104249A (ko)
CN (1) CN116584036A (ko)
WO (1) WO2022163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074A1 (ja) * 2021-10-11 2023-04-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トラッカモジュール
WO2024063007A1 (ja) * 2022-09-22 2024-03-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トラッカ回路及びトラッキング方法
WO2024070748A1 (ja) * 2022-09-29 2024-04-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トラッカ回路及びトラッキング方法
WO2024070746A1 (ja) * 2022-09-29 2024-04-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トラッカ回路、高周波通信システム及びトラッキング方法
WO2024101145A1 (ja) * 2022-11-07 2024-05-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トラッカ回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76375A1 (en) 2018-09-04 2020-03-05 Qorvo Us, Inc. Envelope tracking circuit and related power amplifi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6529A (ja) * 2010-02-24 2011-09-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増幅器及び信号処理装置
US10666200B2 (en) * 2017-04-04 2020-05-26 Skyworks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bias switching of power amplifiers
JP2020010005A (ja) * 2018-07-12 2020-01-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76375A1 (en) 2018-09-04 2020-03-05 Qorvo Us, Inc. Envelope tracking circuit and related power amplifi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84036A (zh) 2023-08-11
US20230353097A1 (en) 2023-11-02
WO2022163791A1 (ja) 2022-08-04
EP4300819A1 (en)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04249A (ko) 트래커 모듈, 전력 증폭 모듈,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US2020033610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bias switching of power amplifiers
US1063741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ow noise amplifiers
US20200106403A1 (en)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an injection-locked oscillator driver stage and a stacked output stage
US20230076829A1 (en) Radio frequency module, communication device, radio frequency circuit, and tracker module
US20230072796A1 (en) Tracker module, power amplifier module, radio frequency module,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frequency circuit
US20230075733A1 (en) Tracker module, power amplifier module,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2186267A1 (ja) トラッカモジュール、電力増幅モジュール、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JP6618649B1 (ja) 無線周波数電力増幅器のモジュール、無線携帯デバイス、及び無線周波数出力信号の相互変調を低減する方法
WO2024070747A1 (ja) トラッカ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WO2023054374A1 (ja) トラッカ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WO2023153458A1 (ja) トラッカモジュール、電力増幅モジュール及び高周波モジュール
WO2023153460A1 (ja) 電源回路及び電源電圧供給方法
WO2024070746A1 (ja) トラッカ回路、高周波通信システム及びトラッキング方法
WO2023054387A1 (ja) トラッカ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WO2023054380A1 (ja) トラッカモジュール
WO2023054383A1 (ja) トラッカモジュール
KR20240044493A (ko) 트래커 모듈 및 통신 장치
US20240178868A1 (en) Radio frequency circuit,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amplification method for radio frequency circuit
WO2023074254A1 (ja) トラッカモジュール
KR101119384B1 (ko) 무선 송수신기의 집적화된 송신 모듈
WO2023223747A1 (ja) トラッカ回路及び電圧供給方法
WO2024070748A1 (ja) トラッカ回路及びトラッキング方法
WO2023054382A1 (ja) トラッカモジュール
WO2022255389A1 (ja)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