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723A - 근육건강에 유효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근육건강에 유효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723A
KR20230102723A KR1020210193080A KR20210193080A KR20230102723A KR 20230102723 A KR20230102723 A KR 20230102723A KR 1020210193080 A KR1020210193080 A KR 1020210193080A KR 20210193080 A KR20210193080 A KR 20210193080A KR 20230102723 A KR20230102723 A KR 20230102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soybean
composition
quince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옥
Original Assignee
김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옥 filed Critical 김진옥
Priority to KR102021019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723A/ko
Publication of KR2023010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5Linaceae (Flax family), e.g. Lin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2Chaenomeles, e.g. flowering qui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근육강화에 효과적이며,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과적인 단백질보충도 가능하다.

Description

근육건강에 유효한 조성물{A Composition effective for muscle health}
본 발명은 신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육건강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이나 노동력 향상을 위해 근육의 양을 늘리거나 강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골격근과 같은 근육의 양과 강도가 감소하게 되며, 근육질환, 근육 손상 등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근육건강에 효과를 나타내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근육건강을 위해 천연물을 활용하는 기술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6349호 참조), 천연물을 활용한 관련 기술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6349호, (2021.4.29), 명세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근육건강에 효과적인 새로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새로운 조성물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에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는 연구 결과, 상엽에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근육 건강에 유효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대두, 마인, 및 상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모과 및 오가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근육강화용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조성물 또는 약학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을 이루는 구성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신규 용도는 근육강화 용도, 또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 용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구체예로,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구체예로,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구체예로,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개선 또는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을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육강화법, 또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투여되는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은 유효량의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의 근육강화제제, 또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용 제제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두 및 상엽을 포함하는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마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대두는 대두단백질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대두단백질추출물은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근육강화에 효과적이며,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효과적인 단백질보충도 가능하다.
도 1은 실험례 1에서, 시료별로 MuRF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례 1에서, 시료별로 FoxO3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례 1에서, 시료별로 MyoD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례 1에서, 시료별로 IGF-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례 1에서, 시료별로 IL-6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험례 2에서, 시료별로 MuRF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험례 2에서, 시료별로 FoxO3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험례 2에서, 시료별로 MyoD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험례 2에서, 시료별로 IGF-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험례 2에서, 시료별로 IL-6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험례 3에서, 시료별로 MuRF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험례 3에서, 시료별로 FoxO3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험례 3에서, 시료별로 MyoD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험례 3에서, 시료별로 IGF-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실험례 3에서, 시료별로 IL-6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는 질병, 병적 상태, 또는 증세가 호전 또는 소멸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개선'은 '치료'에 포함되며, 병적 상태 또는 증세가 호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예방'은 병적 상태 또는 증세가 악화되는 것을 막아주거나 질병으로 이행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억제'는 '예방'을 포함하며, 예방 외에 병적 상태 또는 증세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한다.
이 때, 억제 또는 개선은 식품 용도에 적용되고, 치료 또는 예방은 의약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식품의 경우 '개선 또는 억제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고, 의약의 경우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또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이다. 이와 같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대두, 마인, 및 상엽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과, 및 오가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물과 조성물을 이루는 구성은 근육단백질 분해 억제, 근육세포 사멸 억제, 근육단백질 합성 촉진, 근육 염증 억제에 효과적임이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근육강화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조성물 또는 약학조성물일 수 있다.
대두, 마인, 모과, 오가피, 및/또는 상엽은 대한민국 약전, 대한민국 약전 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재되거나, 일반적으로 그와 같은 명칭으로 지칭되는 것일 수 있다.
상엽(桑葉, Mori Folium)은 뽕나무(Morus alba L.) 또는 산뽕나무(Morus bombycis Koidz; 뽕나무과 Moraceae)의 잎 이다.
대두(大豆, soybean)는 콩(Glycine max Merr.)의 씨의 전부 또는 일부인 한 제한되지 않는다. 대두는 흑대두, 황대두, 흰콩 등을 포함한다.
마인(麻仁, Cannabis Semen)은 삼(Cannabis sativa L.; 뽕나무과 Moraceae)의 씨이다. 마인은 마자인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오가피(五加皮, Acanthopanacis Cortex)는 오갈피나무과(두릅나무과, Araliaceae)에 속한 낙엽관목인 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 또는 기타 동속 식물의 뿌리 및/또는 줄기 껍질이다.
모과(木瓜, Chaenomelis Fructus)는 모과나무{Chaenomeles sinensis(Thouin) Koehne} 또는 명자나무{Chaenomeles speciosa(Sweet) Nakai (장미과 Rosaceae)}의 열매로, 바람직하게는 익은 열매이다.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는 건조된 상태이거나, 미건조 상태일 수 있다. 시중에서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를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할 수 있다.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는 조성물을 이루는 것인 한, 그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을 단순히 혼합한 혼합물 형태, 각각 또는 함께 분쇄하여 얻어진 분말혼합물 형태, 추출물 형태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출물은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 원료를 용매로 추출하거나, 각각을 용매로 추출한 후 혼합한 복합추출물일 수 있다. 복합추출물은 추출대상이 2이상인 추출물을 의미하며, 원료는 용매로 추출되기 전의 추출대상인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를 의미한다.
추출물은 조추출물 또는 특정 용매 가용 추출물(분획)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추출물은 용액, 농축물, 건조물 등의 상태일 수 있다. 건조물은 동결건조물 등일 수 있다.
용매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알코올 역시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알코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매는 친수성 용매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출물에 추출용매로 알콜을 사용하는 경우 조성물 내 알콜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추출액을 따로 가온 또는 감압의 방법으로 알콜을 증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가온 및 감압 조건에서 증발시키거나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알콜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추출액 중 알콜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출물 제조를 위한 방법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수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냉각 추출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엽,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는 추출온도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5℃에 추출될 수 있으며, 30분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80분간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대두는 대두단백질추출물일 수 있다. 대두단백질추출물은 분말형태일 수 있다. 대두단백질추출물은 대두단백일 수 있다. 대두단백은 대두 원료에서 지질을 제거한 후 단백질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두는 탈지대두박을 pH4 내지 pH5, 바람직하게는 pH4.5의 물에 혼합한 뒤, 등전침전시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대두단백질추출물에 의해, 단백질 보충도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는 혼합 등에 의해 조성물을 이루는 한 함량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엽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는 10 내지 1000중량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는 실험례로부터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MuRF1 발현 억제, FoxO3 발현 억제, MyoD 발현 촉진, IGF-1 발현 촉진, IL-6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MuRF1(Muscle RING finger 1)은 근육 단백질을 분해하는 신호전달 물질로서, MuRF1이 활성화되면 근육위축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MuRF1 발현 억제는 근육 단백질 분해 억제를 나타낸다 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FoxO3a의 활성은 단백질 분해를 유도하여 근소모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FoxO3 발현 억제는 근육 단백질 분해 억제를 나타낸다 할 수 있다.
MyoD는 근육생성전사인자(myogenic transcription factors) 중 일차 근육생성조절인자로 분류되는 인자이며, 증식된 체세포를 근육모세포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MyoD 발현 촉진은 근육생성이 촉진된 결과, 근육세포사멸 억제를 나타낸다 할 수 있다.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1)은 근육 단백질 합성을 자극하는 mTOR(mammalian Target of Rapamycin)를 자극하여 Akt/Pkb 신호체계를 촉진한다. IGF-1의 주요작용은 세포성장 및 증식의 촉진, 세포사멸(apoptosis)의 억제이다. 따라서, IGF-1 발현 촉진은 근육 단백질 합성 증가를 나타낸다 할 수 있다.
IL-6는 염증유발사이토카인으로 근원섬유 단백질의 분해를 촉진하고 단백질 합성을 감소시켜 직접적으로 근육소모를 유발하며, 만성적인 낮은 등급의 염증은 근감소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IL-6 발현 억제는 근육에서 염증억제와 근육세포사멸 억제를 나타낸다 할 수 있다.
결국,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가 MuRF1 발현 억제, FoxO3 발현 억제, MyoD 발현 촉진, IGF-1 발현 촉진, IL-6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근육강화가 가능하고,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근육강화는 근육이 강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근육량 증가, 근 감소 억제, 또는 근 노화 억제 중 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근육질환은 근육 감소, 근육 소모 또는 근육퇴화로 인한 근육질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긴장감퇴증(atony),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퇴화, 근경직증, 근디스트로피, 근무력증, 악액질(cachexia), 경직성 척추 증후군(rigid spinesyndrome),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 및 근육감소증(sarcopenia)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근육 손상은 근육이 손상되는 것인 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근육 좌상(muscle strain), 근육 파열(muscle rupture), 근육 열상(muscle tearing), 타박상(contusion), 염좌(distortion), 회전근개 증후근(roator cuff syndrome) 및 근육염(myosit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근육강화, 또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은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에 의한 근육세포사멸 억제, 근육 단백질 합성 증가, 근육 단백질 분해 억제, 근육 염증 억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조성물 또는 조성물을 이루는 구성은 근육강화용, 또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용일 수 있으며, 단백질 보충용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루는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은 근육강화 용도, 의약 용도, 식품용도, 및/또는 단백질 보충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근육강화용 조성물,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또는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은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근육강화용 조성물은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조성물일 수 있다.
근육강화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약학 조성물은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식품 조성물은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개선 또는 억제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은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일 수 있다.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대두 및 상엽을 포함한다. 단백질보충용 조성물은 마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백질보충용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대상에게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단백질보충법, 근육강화법, 또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법은, 유효성분의 투여를 필요로 하는 인간을 포함한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투여되는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은 유효량의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단백질보충제, 근육강화제제, 또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용 제제 제조를 위한 용도는, 유효성분의 단백질보충제, 근육강화제제, 또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용 제제 제조를 위한 용도일 수 있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 근육강화용 조성물,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방법, 용도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각각 동일하게 적용된다.
유효성분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다. 약학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붕해제는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저치환도히드록시셀룰로오스,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및/또는 젤라틴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 탈크 등 활택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첨가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주사 가능한 액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비강세척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주사 가능한 액제, 현탁제, 유제는 물, 비수성용제나 현탁용제와 유효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또는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로 투여가능하다. 또한, 경피투여도 가능하며, 피부외용제로는 외용액제,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식품 조성물은 음료를 포함하는 식품에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고, 단백질 파우더, 음료, 껌, 차, 건강기능식품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製劑化)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대한민국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한 식품을 포함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은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나트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또한, 식품 조성물은 식품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각각 동일하게 적용된다.
유효성분은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제제화에 관한 내용은 제제화 관련 널리 알려진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유효성분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유효성분을 0.001 내지 99.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80중량%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조성물에 포함되거나, 방법에 사용되는 유효성분은 성인 기준(60 kg)으로 바람직하게는 1일 1~10g,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일 3~4g의 용량으로 사용가능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 투여량 및 투여횟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험예, 및 제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에서 사용한 시약 등은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최상급을 사용하였으며, 시그마사 등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근원세포가 근관세포로 분화시 시료별 효과 확인 실험
1-1. 시료 준비
아래 표에 기재된 구성으로, 시료를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엽(Mori Folium), 오가피(Acanthopanacis Cortex), 모과(Chaenomelis Fructus)는 한약재료상(대한민국, 제기동 소재)에서 표준약재를 구입하였으며, 마인(Cannabis Semen), 대두(soy bean, 예, 흰콩)는 마트(서울 소재)에서 구입하였다. 준비된 시료는 믹서를 이용하여 분쇄한 뒤 추출하였다. 표 1에 기재된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모과는 각각 30g씩 사용하였다. 추출시 용매는 25%에탄올 수용액으로, 시료의 10배량을 사용하였다. 환류추출법에 의해 85℃에서, 80분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이후 물층이 남을때까지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80℃에서 24시간 냉동시켰다. 냉동된 샘플을 동결건조기로 96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얻었다.
시료 구성
G1 상엽
G2 상엽+대두
G3 상엽+마인
G4 상엽+대두+마인
G5 상엽+오가피+모과
G6 상엽+대두+마인+오가피+모과
1-2. 근원세포가 근관세포로 분화시 시료별 효과 확인 실험
근원세포가 근관세포로 분화시, 실험예 1-1.에서 준비된 시료가 미치는 효과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심장근육 모근세포 세포주인 C2C12 세포주(ATCC사; CRL-1772, Manassas, VA, USA) 2x105 cells/cm2 를 10% FBS에 1%P/S 를 넣은 DMEM 7ml에 분주한후 인큐베이터(5% CO2 , 37℃)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Cell은 2일 마다 Subculture을 실시하였다. C2C12를 총 7개의 96 well plate에 well 당 2.5Х104/ml 가 되도록 seeding 하였다.  총 7개의 96 well plate를 37℃ in 5% CO2에서 24시간 안정화 시켰다. 안정화 후 실험군에 대해서는 1-1.에서 준비된 시료(0.5mg/ml)와 2% Horse Serum이 혼합된 DMEM(Dulbecco's midified Eagle's medium)을 처리하고, 대조군에 대해서는 1-1.에서 준비된 시료(0.5mg/ml) 처리를 제외하고 실험군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이 때 배지를 24시간마다 1회씩 총 5일간 교체하면서, 근아세포(Myoblasts)를 근관세포(Myotubes)로 분화시켜주었다. 실험 12일차에 Cell harvest을 수행하였다.
Cell harvest를 진행하고, 시료별로 Myoblast가 Myotube로 분화할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MuRF1, FoxO3, MyoD, IGF-1, IL-6에 대하여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RT-PCR 분석법으로 실시하였다.
<RT-PCR 분석>
MuRF1, FoxO3, MyoD, IGF-1, IL-6의 mRNA level을 검출하기 위하여 Real-Time PCR 384well[Roche_Lightcycler® 480]를 사용하였다. 우선, RNA Prep 을 준비한다. Media를 모두 suction 한 후 차가운 PBS로 2번 washing 해준다. Easy blue를 1ml 씩 각 dish에 넣고 Pipetting을 하여 cell을 모아준다. 1.5ml tube에 각dish에서 모은 것을 담은후  Voltexing을 한다. Chloroform을 0.2ml 넣고 voltexing한 후 13000rpm (4 ℃)의 조건으로  Centrifuging 을 10분간 실시한다. 분리된 층에서 위층 0.4ml를 또 다른 1.5ml 튜브에 옮긴다. Isopropanol 0.4ml을 잘 섞고 10분간 방치한다. 다시 13000rpm (4 ℃)의 조건으로 5분간  Centrifuging 을 실시한다. 상층액을 걷어내고 EtOH 75% 1ml을 넣고 inverting 한다. 10000rpm (4 ℃) 의 조건으로 Centrifuging 5분간 실시한다. 위층을 버리고 10분간 RNA Pellet 을 말린다. D.W에 녹여 Nano drop을 농도와 순도를 확인한다. RT-Mix 2㎕ RNA와 DW 19 ㎕ 를 Random primer 1㎕에 넣어준 후 cDNA 를 합성한다. 합성한  cDNA에 MuRF1, FoXO3, MyoD, IGF-1, IL-6의 sense , antisense를 넣어 증폭시켜 MuRF1, FoXO3, MyoD, IGF-1, IL-6의 농도를 확인한다. sense , antisense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Target
Gene
forwrad(서열번호) reverse(서열번호)
MuRF1 5'-TGCCTACTTGCTCCTTGTGC-3'(1) 5'-CACCAGCATGGAGATGCAGT-3'(2)
FoXO3 5'-ACAAACGGCTCACTTTGTCC-3'(3) 5'-GTGCCGGATGGAGTTCTTC-3'(4)
MyoD 5'-GATGGCATGATGGATTACAG-3'(5) 5'-CTCCACTATGCTGGACAGG-3'(6)
IGF-1 5'-AAAGCAGCCCCGCTCTATCC-3'(7) 5'-CTTCTGAGTCTTGGGCATGTCA-3'(8)
IL-6 5'-CACGGCCTTCCCTACTTCAC-3'(9) 5'- TGCAAGTGCATCATCGTTGT-3'(10)
mRNA 발현량을 대조군 기준으로, 상대적인 비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실험례 1에서, 시료별로 MuRF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실험례 1에서, 시료별로 FoxO3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실험례 1에서, 시료별로 MyoD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실험례 1에서, 시료별로 IGF-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실험례 1에서, 시료별로 IL-6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각 그래프에서 x축은 대조군(Ctrl)과 실험군(G1 내지 G6)을 나타내고, y축은 대조군 기준으로 표준화된 mRNA 레벨(Normalized mRNA level)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로부터, 상엽 단독은 물론 상엽에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를 조합할 경우, 근관세포로 분화시 보다 효과적으로 MuRF1, FoxO3, IL-6의 발현이 억제되고, MyoD, IGF-1 발현이 촉진되는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근세포 염증성 노화모델에서 근원세포가 근관세포로 분화시 시료별 효과 확인 실험
2-1. 시료 준비
1-1.과 동일하게 시료를 준비하였다.
2-2. 근세포 염증성 노화모델에서 근원세포가 근관세포로 분화시 시료별 효과 확인 실험
근세포 염증성 노화모델에서 근원세포가 근관세포로 분화시, 실험예 2-1.에서 준비된 시료가 미치는 효과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심장근육 모근세포 세포주인 C2C12 세포주(ATCC사; CRL-1772, Manassas, VA, USA) 2x105 cells/cm2 를 10% FBS에 1%P/S 를 넣은 DMEM 7ml에 분주한 후, 인큐베이터(5% CO2, 37°C)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Cell은 2일 마다 Subculture을 실시하였다. C2C12를 총 7개의 96 well plate 에 well 당 2.5Х104/ml가 되도록 seeding 하였다. 총 7개의 96 well plate를 37℃ in 5% CO2에서 24시간 안정화 시켰다. 안정화 후 실험군에 대해서는 2-1.에서 준비된 시료(0.5mg/ml)와 2% Horse Serum이혼합된 DMEM(Dulbecco's midified Eagle's medium)을 처리하고, 대조군에 대해서는 1-1.에서 준비된 시료(0.5mg/ml) 처리를 제외하고 실험군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이 때 배지를 24시간마다 1회씩 총 5일간 교체하면서, 근아세포(Myoblasts)를 근관세포(Myotubes)로 분화시켜주었다. 실험 6일차에는 TNF-α 50ng/ml과 IFN-γ100 IU/ml를 대조군과 실험군에 처리하였다. 이는 염증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후, 실험 12일차에 Cell harvest를 진행하고, 시료별로 Myoblast가 Myotube로 분화할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MuRF1, FoxO3, MyoD, IGF-1, IL-6에 대하여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례 1-2. <RT-PCR 분석>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6은 실험례 2에서, 시료별로 MuRF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실험례 2에서, 시료별로 FoxO3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실험례 2에서, 시료별로 MyoD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실험례 2에서, 시료별로 IGF-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은 실험례 2에서, 시료별로 IL-6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각 그래프에서 x축은 대조군(Ctrl)과 실험군(G1 내지 G6)을 나타내고, y축은 대조군 기준으로 표준화된 mRNA 레벨(Normalized mRNA level)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10으로부터, 상엽 단독은 물론 상엽에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를 조합할 경우, 근세포 염증성 노화모델에서도 세포 분화시 보다 효과적으로 MuRF1, FoxO3, IL-6의 발현이 억제되고, MyoD, IGF-1 발현이 촉진되는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근세포 염증성 노화모델에서 시료별 효과 확인 실험
3-1. 시료 준비
1-1.과 동일하게 시료를 준비하였다.
3-2. 근세포 염증성 노화모델에서 근원세포가 근관세포로 미분화시 시료별 효과 확인 실험
2% Horse Serum(DMEM) 처리를 제외하고, 실험예 2-2와 동일하게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 내지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1은 실험례 3에서, 시료별로 MuRF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는 실험례 3에서, 시료별로 FoxO3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3은 실험례 3에서, 시료별로 MyoD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4는 실험례 3에서, 시료별로 IGF-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5는 실험례 3에서, 시료별로 IL-6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각 그래프에서 x축은 대조군(Ctrl)과 실험군(G1 내지 G6)을 나타내고, y축은 대조군 기준으로 표준화된 mRNA 레벨(Normalized mRNA level)을 나타낸다.
도 11 내지 도 15로부터, 상엽 단독은 물론 상엽에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를 조합할 경우, 근세포 염증성 노화모델에서 세포 미분화시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MuRF1, FoxO3, IL-6의 발현이 억제되고, MyoD, IGF-1 발현이 촉진되는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각 시료는 적어도 MuRF1 발현 억제 효과, FoxO3 발현 억제 효과, MyoD 발현 촉진 효과, IGF-1 발현 촉진 효과, 및 IL-6 발현 억제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근육단백질 분해 억제, 근육세포 사멸 억제, 근육단백질 합성 촉진, 및/또는 근육 염증 억제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 바람직하게는 상엽에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를 조합하여, 단백질보충, 근육강화, 또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MuRF1 발현 억제 효과, FoxO3 발현 억제 효과, MyoD 발현 촉진 효과, IGF-1 발현 촉진 효과, 및/또는 IL-6 발현 억제 효과는 염증 유도 전후의 근육세포에 대해, 비슷한 경향성을 나타내나, 특히 염증 유도를 하지 않은 통상의 근육세포 분화시 모든 시료가 IGF-1 발현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부터(도 4 참조), 특히 근육단백질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 바람직하게는 상엽에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를 조합하여, 충분히 단백질 보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상엽에 대두, 마인, 오가피 및/또는 모과를 조합할 경우,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염증유도모델에서 상엽, 대두, 마인 조합의 경우 특히 IGF-1 발현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부터, 노화시 근육 단백질 합성 촉진 효과가 특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도 9, 도 14 참조). 이와 같은 효과는 상엽과 대두 조합이나, 상엽과 마인 조합 각각은 물론, 그 합 보다 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염증유도모델에서 상엽, 대두, 마인 조합의 경우 특히 IGF-1 발현 촉진 효과 면에서 상승적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염증유도모델에서 근원세포 분화/미분화에 관계 없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근원세포 분화/미분화에 관계 없이, 염증으로 인한 노화에 상엽, 대두, 마인 조합이 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염증유도 노화모델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염증억제 효과 내지 근육세포사멸 억제 효과 면에서, 상엽, 대두, 마인 조합도 효과적이나,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모과 조합의 경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도 10, 도 15 참조). 이와 같은 효과는 상엽, 대두, 마인 조합이나, 상엽, 오미자, 모과 조합 각각은 물론, 그 합 보다 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염증유도모델에서 상엽, 대두, 마인, 오가피, 모과 조합의 경우 특히 염증억제 효과 내지 근육세포사멸 억제 효과 면에서 상승적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염증유도모델에서 근원세포 분화/미분화에 관계 없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근원세포 분화/미분화에 관계 없이, 특히 염증을 고려할 때, 염증으로 인한 근육노화에 상엽, 대두, 마인, 오미자, 모과 조합이 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할 때, 효과적으로 단백질보충이 가능하고, 근육강화가 가능하며,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억제, 개선 및/또는 예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식품 조성물 제조
분말상태인 대두단백, 상엽추출물, 마인추출물을 각각 3:4:3(대두단백:상엽추출물:마인추출물)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단백질 파우더를 제조한다.
대두단백, 상엽추출물, 마인추출물은 아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다.
<대두단백 제조>
1) 탈지대두박{(주)컵풀}을 약알칼리용액(pH 8~9)에 분산시켜 단백질을 용해하고, 여과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불용성 탄수화물(예,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를 제거한 후, pH를 4.5로 조절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킨다.
2) 침전된 단백질을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한다.
3) 분리된 단백질을 pH 4.5의 물로 세척하고, 원심분리를 반복하여, 단백질의 순도를 향상시킨다.
4) 순도가 향상된 단백질을 KOH 또는 NaOH로 중화한다.
<상엽 추출물 제조>
1) 상엽(실험례 1과 같음)을 85℃에서 80분간 상엽과 물의 중량비를 1:10(상엽:물)으로 하여 열수 추출한다.
2) 열수추출물을 건조(예, 분무건조,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얻는다.
<마인 추출물 제조>
1) 마인(실험례 1과 같음)을 85℃에서 80분간 마인과 물의 중량비를 1:10(마인:물)으로 하여 열수 추출한다.
2) 열수추출물을 건조(예, 분무건조,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얻는다.
<제조예 2> 약학 조성물 제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동결건조물(G2 내지 G6 해당 동결건조물 각각)을 포장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110> KIM, Jin OK <120> A Composition effective for muscle health <130> GP21083 <160> 1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MuRF1 <400> 1 tgcctacttg ctccttgtg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MuRF1 <400> 2 caccagcatg gagatgcagt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FoXO3 <400> 3 acaaacggct cactttgtcc 20 <210> 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FoXO3 <400> 4 gtgccggatg gagttcttc 19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MyoD <400> 5 gatggcatga tggattacag 20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MyoD <400> 6 ctccactatg ctggacagg 19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IGF-1 <400> 7 aaagcagccc cgctctatcc 20 <210> 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IGF-1 <400> 8 cttctgagtc ttgggcatgt ca 22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IL-6 <400> 9 cacggccttc cctacttcac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IL-6 <400> 10 tgcaagtgca tcatcgttgt 20

Claims (8)

  1.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으로 이루어진 근육강화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대두, 마인, 및 상엽을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모과 및 오가피를 더 포함하는 근육강화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인 근육강화용 조성물.
  5.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6. 대두, 마인, 모과,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상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감소, 근육소모, 근육 퇴화, 근육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개선 또는 억제용 식품 조성물.
  7. 대두 및 상엽을 포함하는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는 대두단백질추출물인 단백질 보충용 조성물.
KR1020210193080A 2021-12-30 2021-12-30 근육건강에 유효한 조성물 KR20230102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080A KR20230102723A (ko) 2021-12-30 2021-12-30 근육건강에 유효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080A KR20230102723A (ko) 2021-12-30 2021-12-30 근육건강에 유효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723A true KR20230102723A (ko) 2023-07-07

Family

ID=8715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080A KR20230102723A (ko) 2021-12-30 2021-12-30 근육건강에 유효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7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349B1 (ko) 2019-02-27 2021-04-29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349B1 (ko) 2019-02-27 2021-04-29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257023B1 (ko) 겹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증 또는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0806963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rude drug complex for stimulating bone growth
KR20190103985A (ko) 악액질 및 근손실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297549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muscle metabolism
KR100811683B1 (ko) 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 기능 개선용 조성물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KR102171518B1 (ko)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 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8525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JP7161064B2 (ja) エルダーベリー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男性更年期症候群の予防、治療または改善用の組成物
KR20140129492A (ko)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02723A (ko) 근육건강에 유효한 조성물
KR101913940B1 (ko) 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13828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828167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093642A (zh) Pd-l1抑制的表达和pd1增强的表达
KR20150046916A (ko)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96924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21341B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5485B1 (ko) 울금 및 연잎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비만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3140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백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118961A (ko) 구꼬아민 a 및 구꼬아민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격근 위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79636B1 (ko) 신규한 털목이버섯 균주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2002B1 (ko) 동충하초균사체로 고상발효된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