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010A -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010A
KR20230102010A KR1020210191339A KR20210191339A KR20230102010A KR 20230102010 A KR20230102010 A KR 20230102010A KR 1020210191339 A KR1020210191339 A KR 1020210191339A KR 20210191339 A KR20210191339 A KR 20210191339A KR 20230102010 A KR20230102010 A KR 20230102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user
control unit
unit
facial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010A/ko
Publication of KR2023010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1Interfaces to the user control is restricted to certain individu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기 설정되거나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모드의 안마 동작을 수행하는 안마의자 본체; 상기 안마의자 본체가 상기 안마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에 대해 인공지능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다수의 기 정의된 표정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AI 연산 유닛; 및 상기 AI 연산 유닛과 통신하여 결정된 상기 표정을 수신하고, 결정된 상기 표정에 기초하여 상기 안마 동작을 변경하도록 상기 안마의자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Massage chai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하여 현재 안마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반응을 구분하고, 이를 기초로 안마의자의 안마 동작을 자동으로 변경해 줌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안마를 통하여 뭉쳐진 근육을 풀거나 피로 및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수요가 많아 안마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안마란, 손이나 특수한 기구로 몸을 쓸거나, 주무르거나, 누르거나, 잡아당기거나, 두드리거나, 움직이거나 하여 혈액순환을 돕고, 피로가 풀리게 하는 의료 보조요법의 하나이다. 기계적 장치에 의하여 안마를 수행하는 기구를 안마기구라 하며, 안마기구의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가 편하게 앉아 안마를 받을 수 있는 안마의자를 들 수 있다.
종래의 안마의자를 이용하여 안마 서비스를 받는 중에 안마 강도 등의 조절을 위해서는, 안마의자에 설치된 패널 또는 리모컨 등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안마 강도를 변경하여야 한다. 통상의 안마의자는 팔 안마부에 사용자가 팔을 끼워 안마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안마 강도의 변경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팔을 팔 안마부에서 잠시 빼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뿐만 아니라, 원하는 동작(안마 강도의 높임 또는 낮춤 또는 개별 안마 동작의 온오프 제어 등)으로의 변경을 위해서는 조작 패널, 리모컨 버튼의 메뉴 구성을 직접 보고 입력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허리와 어깨를 움직여야 하는 등 안마를 받는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는 불편이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86627호에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통해 음성 인식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 안마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음성 인식에 의한 제어는 사용자가 자세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는 장점은 있으나 주변 환경의 소음 발생시 제어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사용자가 안마 강도에 대한 만족 정도를 인지한 후 발화하는 과정을 거쳐 제어하게 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안마 만족도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지 못하는 제한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86627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별도 조작 또는 자세의 변경 없이도 안마 강도를 변경할 수 있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재 수행중인 안마 강도에 대해 느끼는 만족도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았던 안마 행정에 대해서는 그 전체 동작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기 설정되거나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모드의 안마 동작을 수행하는 안마의자 본체; 상기 안마의자 본체가 상기 안마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에 대해 인공지능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다수의 기 정의된 표정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AI 연산 유닛; 및 상기 AI 연산 유닛과 통신하여 결정된 상기 표정을 수신하고, 결정된 상기 표정에 기초하여 상기 안마 동작을 변경하도록 상기 안마의자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결정된 상기 표정을 부정, 긍정, 중립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구분 결과에 따라 상기 안마 동작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높이거나 낮추거나 유지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구분 결과가 부정인 경우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낮추고, 상기 구분 결과가 긍정인 경우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높이며, 상기 구분 결과가 중립인 경우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이상 변경할 수 없는 값인 경우, 상기 안마 동작을 일시정지 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더 이상 낮출 수 없어 상기 안마 동작이 일시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분 결과가 긍정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안마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더 이상 높일 수 없어 상기 안마 동작이 일시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분 결과가 부정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안마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구분 결과가 기 설정된 N회 이상 연속적으로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안마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안마 동작이 변경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때에는 상기 안마 동작을 재변경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구분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점수를 상기 안마 동작의 전체 행정 시간 동안 누적 합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점수의 누적 합산이 상기 안마 동작의 전체 행정 시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임계 점수 초과시 수행된 상기 안마 동작을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한 결과를 토대로 안마 동작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별도 조작 또는 자세의 변경 없이도 안마 강도를 변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한 결과를 토대로 안마 동작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별도 조작 또는 음성 인식 등으로 안마 동작을 변경하는 것 대비, 사용자가 현재 수행중인 안마 강도에 대해 느끼는 만족도에 즉각적으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표정에 따른 점수를 부여하고 안마 행정의 전체 수행 시간 동안 상기 점수의 누적 합계를 구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았던 안마 행정에 대해서는 그 안마 동작을 자동으로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개인에게 맞춤인 안마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제어 유닛과 카메라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AI 연산 유닛과 제어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이 수행하는 안마의자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흐름도에서 S40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흐름도에서 S430 단계의 세부 동작인 안마 동작의 파라미터 변경, 안마 동작 일시정지 및 재시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인식된 사용자의 표정에 따른 구분 결과와 이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안마 동작 파라미터를 나타낸 안마 동작 제어 테이블의 일 예시이다.
도 9 내지 12는 안마 동작의 변경, 일시정지 및 재시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의 흐름도에서 S50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4는, 인식된 사용자의 표정에 따른 구분 결과와 이에 기초하여 부여되는 사용자 만족도 점수를 나타낸 만족도 점수 테이블의 일 예시이다.
도 15는, 전체 안마 행정 시간에 대응되는 사용자 만족도 임계 점수를 나타낸 임계 점수 테이블의 일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제어 유닛과 카메라의 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10)은, 안마의자 본체(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카메라(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마의자 본체(100)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모드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모드의 안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안마의자 본체(100)는,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두드리거나, 누르거나, 주무르거나, 잡아당기거나, 움직이게 하거나 하여 직접 신체에 역학적 자극을 줄 수 있다. 안마의자 본체(100)는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 등, 팔, 엉덩이, 다리 중 하나 이상을 안마할 수 있다. 이러한 안마의자 본체(100)는 실내 예를 들어, 댁내에 구비될 수 있다.
안마의자 본체(100)는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신체가 안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단부, 착좌부 및 하단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형태의 상단부와, 사용자의 상체를 기대어 앉을 수 있는 형태의 착좌부와, 종아리와 발을 감싸는 형태의 하단부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안마의자 본체(100)의 각 부분은 사용자의 신체의 특성에 맞게 크기 및 위치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단부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머리를 안마하는 머리 안마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착좌부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고 등을 안마하는 등 안마부(102)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고 팔을 안마하는 팔 안마부(103)와,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고 엉덩이를 안마하는 엉덩이 안마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부는 사용자의 종아리와 발을 지지하고 종아리 및 발을 안마하는 다리 안마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머리 안마부(101), 등 안마부(102), 팔 안마부(103), 엉덩이 안마부(104) 및 다리 안마부(105) 각각은 안마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구적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구적 수단은, 안마봉, 안마 돌기, 롤러 및 에어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안마 동작이란, 안마봉, 안마 돌기의 이동에 의한 타격 동작, 롤러의 회전에 의한 주무름 동작 또는 지압 동작, 에어백의 팽창 압력의 의한 압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안마의자 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는 안마 동작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접근이 편리하도록 안마의자 본체(100)의 착좌부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팔 안마부(103)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수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것을 고려하여 안마의자 본체(100)의 우측 팔 안마부(103)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안마의자 본체(100)의 안마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의 표정을 다수의 기 정의된 표정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여 인식하는 AI 연산 유닛(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30)과 AI 연산 유닛(21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 유닛(230)으로 전달하는 조작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어 유닛(230)의 제어 하에 안마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조작부(270)는 복수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여, 입력되는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 유닛(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27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누름 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 또는 버튼, 스위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조작부(27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는 안마의자 본체(100)의 안마 동작 구동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확인하거나,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신호를 제어 유닛(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 유닛(230)의 제어 하에 안마의자 본체(100)의 안마 동작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후술할 표정 인식의 결과를 사용자의 얼굴 영상과 함께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5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25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조작부(270)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250)는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또는 이외의 다양한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 유닛(230)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며,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50)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LED(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구동 유닛(110)은, 안마의자 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 유닛(110)은, 제어 유닛(230)의 제어 하에 안마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 유닛(110)은 발생한 힘을,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머리를 안마하는 머리 안마부(101)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고 등을 안마하는 등 안마부(102)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고 팔을 안마하는 팔 안마부(103)와,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고 엉덩이를 안마하는 엉덩이 안마부(104)와 사용자의 종아리와 발을 지지하고 종아리 및 발을 안마하는 다리 안마부(105) 중 하나 이상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안마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힘의 크기는 후술할 제어 유닛(230)의 메모리(232)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유닛(110)은 머리 안마부(101), 등 안마부(102), 팔 안마부(103), 엉덩이 안마부(104) 및 다리 안마부(105)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구동 유닛(110)은 머리 안마부(101), 등 안마부(102), 팔 안마부(103), 엉덩이 안마부(104) 및 다리 안마부(105)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 안마봉 또는 안마 돌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머리 안마부(101), 등 안마부(102), 팔 안마부(103), 엉덩이 안마부(104) 및 다리 안마부(1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마부는 에어백(미도시)을 구동할 수 있으며, 구동 유닛(110)은 상기 에어백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압박과 이완을 반복하는 안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기구적 수단들의 안마 동작의 구동을 위해, 구동 유닛(110)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모터 및 발생된 회전력을 각각의 기구적 수단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안마의자 본체(100)가 안마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어느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가능한 실시예에서 카메라(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카메라(300)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단에 별도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각도 조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는 가능한 실시예에서 카메라(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내장되고 카메라(300)의 렌즈만이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300)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이렇게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통신을 통해 AI 연산 유닛(2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은 예를 들어, UART 통신일 수 있다. AI 연산 유닛(210)에서 카메라(300)가 전송한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표정 및 표정의 변화를 인식해야 하므로, 카메라(300)의 스펙은 사용자의 얼굴 영상에서 표정이 인식될 수 있을 정도의 해상도 및 표정의 변화가 감지될 수 있을 정도의 FPS를 만족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해상도(resolution)는 1600*12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300)의 프레임 레이트는 30FPS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과 함께 도 4와 도 5를 더 참조하여 AI 연산 유닛(210)과 제어 유닛(2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AI 연산 유닛(210)과 제어 유닛의 블록도이다.
AI 연산 유닛(210)은, 카메라(30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300)가 USB 카메라인 경우, AI 연산 유닛(210)은 카메라(300)로부터의 영상 수신이 가능하도록 USB 드라이버가 기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AI 연산 유닛(210)은,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에 대해 인공지능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수의 기 정의된 표정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AI 연산 유닛(210)은, 통신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AI 연산 유닛(210)은 카메라(300)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1)는 UART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AI 연산 유닛(210)은, 연산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212)는 수신한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분석하여 표정을 인식하는 구성으로서, 얼굴 영상을 기 설정된 주기로 캡쳐하는 영상 캡쳐 어플리케이션(21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주기는 예를 들어, 1초일 수 있다. 영상 캡쳐 어플리케이션(2121)은, 예를 들어, V4L2(Video For Lnux 2)일 수 있다. V4L2는 Linux 시스템에서 비디오를 처리하기 위한 표준인터페이스이다.
연산부(212)는, 캡쳐한 얼굴 영상을 분석하는 비전 처리 어플리케이션(2122)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전 처리 어플리케이션(2122)은 캡쳐한 이미지에 대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상기 이미지에 나타난 사용자의 표정을 다수의 기 정의된 표정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비전 처리 어플리케이션(2122)으로 오픈소스 OpenCV 파이선 라이브러리의 표정 인식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람의 얼굴 표정에 대해 Angry, Disgusting, Fearful, Sad, Neutral, Surprising, Happy 7가지로 분류하는 OpenCV의 표정 인식 모델이 적용되었다.
연산부(212)는, 표정 분류를 마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어플리케이션(2123)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출력 어플리케이션(2123)은 YUY2 포맷(640*480 해상도)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AI 연산 유닛(210)은, 메모리(2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3)는 AI 연산 유닛(210)의 기능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예를 들어, 영상 캡쳐 주기 등)을 저장하는 것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3)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모리(213)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AI 연산 유닛(210)과 통신하여 표정 인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AI 연산 유닛(210)에 표정 인식 결과를 요청할 수 있다. AI 연산 유닛(210)은 상기 요청을 받으면 결정된 표정에 대해 제어 유닛(23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요청과 전송은 UART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AI 연산 유닛(210)으로부터 표정의 인식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결과에 기초하여 안마 동작을 변경하도록 안마의자 본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통신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AI 연산 유닛(210)과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표정 인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표정 인식 결과에 기초한 안마 동작의 변경과 관련된 명령을 각 안마부(101,102,103,104,105)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31)는, UART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통신부(231)는 CAN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231)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231)에는 무선 통신의 지원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로서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원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어, Bluetooth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등이 될 수 있다.
원거리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LoRa(Long Range) 등이 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제어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2)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32)는, 안마의자 본체(100)의 각 안마부를 제어하여 안마 동작의 시작, 변경 및 종료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2)는,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는 시각적 출력 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2)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메모리(232)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안마의자 본체(100)와 관련된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메모리(23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2)는 제어 유닛(230)의 기능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예를 들어, 표정 인식에 결과에 대응하는 안마 동작 변경 정보 등)을 저장하는 것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2)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모리(232)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2)는 안마의자 본체(100)에 부착된 다수의 이종 센서들(미도시)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통신부(231)를 통하여 수신함)하여 상기 머리 안마부(101), 등 안마부(102), 팔 안마부(103), 엉덩이 안마부(104) 및 다리 안마부(105) 중 적어도 하나의 안마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이종 센서들에는 사용자의 어깨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제부터는, 도 5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10)이 수행하는 사용자의 표정 인식 및 그에 따른 안마 동작 변경 제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이 수행하는 안마의자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마의자 제어 방법은, 먼저 사용자의 착석 여부 감지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안마의자 본체(100)에 착석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와 방법이 본 단계(S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32)가 착좌부에 배치된 착석감지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착석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착석감지센서는 압력센서, 정전센서, 압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착석감지센서는 사용자가 안마의자 본체(100)의 착좌부에 접촉하는 경우 접촉면 및 접촉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어부(232)에 전송할 수 있다.
안마의자 제어 방법은, 코스 선택 수신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어부(232)는, 사용자가 안마의자 본체(100)에 착석하면, 디스플레이부(250)가 안마 동작의 모드를 선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270)를 통해 다수의 안마 동작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안마의자 제어 방법은, 사용자 신체 위치 조정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어부(232)는, 사용자가 선택한 안마 코스를 수신한 이후, 사용자의 신체 위치에 맞게 각 안마부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상기 각 안마부와 연결된 구동 유닛(110)을 제어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신체 위치 감지에는 적외선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안마부에 배치된 적외선 센서가 어깨 높이, 다리 길이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232)에 감지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232)는 구동 유닛(110)을 제어하여 각 안마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신체 위치 감지에는 각 안마부와 연결된 구동 유닛(110)의 모터 부하 전류가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가 각 안마부를 상하 및/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다가 모터 부하 전류가 변하는 변곡점이 되면, 사용자의 신체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232)에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통상의 알려진 방법이 사용자의 신체 위치 감지 및 안마부의 위치 조정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안마의자 제어 방법의 흐름에서 각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착석 여부 감지 단계(S100) 이후 바로 사용자 신체 위치 조정 단계(S300)가 수행되고 이후에 코스 선택 수신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안마의자 제어 방법은, 안마 동작 변경 제어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안마의자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만족도에 따른 안마 동작 저장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안마 동작 변경 제어 단계(S400)와 안마 동작 저장 단계(S500)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두 단계 모두 안마 동작이 시작된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이다.
먼저, 안마 동작 변경 제어 단계(S400)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흐름도에서 S40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안마 동작 변경 제어 단계(S400)는, 카메라(300)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 얼굴 영상이 AI 연산 유닛(210)에 전송되는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300)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고 이렇게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통신을 통해 AI 연산 유닛(210)에 전송할 수 있다.
안마 동작 변경 제어 단계(S400)는, AI 연산 유닛(210)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 영상에서 표정이 인식되는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AI 연산 유닛(210)은, 기 설정된 주기로 얼굴 영상을 캡쳐한 이미지에 대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상기 이미지에 나타난 사용자의 표정을 다수의 기 정의된 표정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비전 처리 어플리케이션(2122)으로 오픈소스 OpenCV 파이선 라이브러리의 표정 인식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 AI 연산 유닛(210)은 사람의 얼굴 표정에 대해 Angry, Disgusting, Fearful, Sad, Neutral, Surprising, Happy 7가지로 분류하는 OpenCV의 표정 인식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안마 동작 변경 제어 단계(S400)는, 인식된 표정을 기초로 제어 유닛(230)이 구동 유닛(110)의 안마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마 동작의 제어는 안마 동작의 변경, 일시정지 및 재시작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S430 단계의 자세한 흐름에 대해 도 7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흐름도에서 S430 단계의 세부 동작인 안마 동작의 파라미터 변경, 안마 동작 일시정지 및 재시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8은, 인식된 사용자의 표정에 따른 구분 결과와 이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안마 동작 파라미터를 나타낸 안마 동작 제어 테이블의 일 예시이며, 도 9 내지 12는 안마 동작의 변경, 일시정지 및 재시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각 단계는 제어 유닛(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의 안마 동작 제어 테이블은 제어 유닛(230)의 메모리(232)에 기 저장된 테이블일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AI 연산 유닛(210)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표정 인식 결과를 수신하면, 인식된 표정과 대응하는 안마 동작 테이블의 값을 추출할 수 있다.(S431) 기 설정된 안마 동작 테이블로부터 상기 표정 인식 결과에 매칭되는 '부정', '긍정', '중립' 중 어느 하나의 구분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안마 동작 테이블로부터 상기 구분에 따른 파라미터의 증감량이 추출될 수 있다.(도 8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표정 인식 결과가 Angry, Disgusting, Fearful, Sad, Neutral, Surprising, Happy 7가지로 분류되는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230)은, 사용자의 얼굴 표정이 Angry, Disgusting, Fearful 또는 Sad로 인식된 경우 안마 동작 제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표정 인식 결과를'부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사용자의 얼굴 표정이 Happy로 인식된 경우 안마 동작 제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표정 인식 결과를'긍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사용자의 얼굴 표정이 Neutral 또는 Surprising으로 인식된 경우 안마 동작 제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표정 인식 결과를'중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230)은, 결정된 상기 구분 결과에 따라 안마 동작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높이거나 낮추거나 유지시키도록 안마의자 본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안마 동작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안마강도, 안마속도, 발바닥 롤러의 속도, 에어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마강도는 각 안마부에 포함된 기구적 수단의 이동 및/또는 회전의 변위와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즉, 안마강도의 파라미터가 증가하는 것은 상기 기구적 수단이 큰 범위에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안마속도는 각 안마부에 포함된 기구적 수단의 이동 및/또는 회전의 속도와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즉, 안마속도의 파라미터가 증가하는 것은 상기 기구적 수단이 빨리 움직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발바닥 롤러의 속도는 다리 안마부(105)에 배치된 발바닥 롤러의 회전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발바닥 롤러의 속도 파라미터가 증가하는 것은 발바닥 롤러가 빨리 회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강도는 각 안마부에 포함된 에어백의 팽창 압력과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즉, 에어강도의 파라미터가 증가하는 것은 상기 에어백의 팽창 압력이 커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모든 파라미터들의 증가는 현재보다 더 강한 안마 동작으로의 변경을 의미한다. 모든 파라미터들의 감소는 더 약한 안마 동작으로의 변경을 의미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안마 동작 제어 테이블에는 안마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다른 파라미터가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는 점이 본 발명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분명히 이해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표정 인식의 구분 결과가 '부정'인 경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낮출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표정 인식의 구분 결과가 '긍정'인 경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높일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표정 인식의 구분 결과가 '중립'인 경우 모든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지 않고 현재 상태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230)은, 상기 구분 결과가 기 설정된 N회 이상 연속적으로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안마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S432, S434)
예를 들어, 도 9에는, N이 3으로 기 설정된 상태에서,'부정'으로 구분된 결과가 3회 연속된 경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모든 파라미터 값이 1만큼 감소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는, N이 3으로 기 설정된 상태에서, '긍정'으로 구분된 결과가 3회 연속된 경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모든 파라미터 값이 1만큼 증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긍정'이 3회 연속되기 이전에 1회씩 나온 '부정'과 '중립'에 기초해서는 파라미터가 변경되지 않는다.
이처럼 표정 인식 결과가 연속적으로 동일한 경우에만 안마 동작을 변경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표정 인식과 이에 따른 안마 동작 제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8에는 표정 인식 결과가 '부정'으로 구분된 경우 각 파라미터의 값을 '1'만큼 감소시키고, '긍정'으로 구분된 경우 각 파라미터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고, '중립'으로 구분된 경우 각 파라미터의 값을 유지('0'만큼 증감)시키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파라미터의 증감량은 정해진 것이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이 본 발명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분명히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230)은, 안마 동작이 변경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때에는 안마 동작을 재변경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S435)
이때, 가능한 실시예에서 안마 동작을 재변경하지 않고 유지하는 제어는, 제어 유닛(230)이 일정한 수신 주기로 수신하던 표정 인식 결과를 설정된 대기 시간동안 잠시 수신 중단하였다가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다시 수신하는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대기 시간(예를 들어, 5초)은 상기 수신 주기(예를 들어, 1초)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도 9 및 도 10 참조)
이로써, 안마 동작이 변경된 후 사용자의 반응이 얼굴 표정에 반영되는 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표정 인식 결과가 N회 연속 동일하게 구분된 경우에도 안마 동작과 관련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이상 변경할 수 없는 값인 경우,(S433) 제어 유닛(230)은 안마 동작을 일시정지 시킬 수 있다.(S436)
이때, 파라미터를 더 이상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은, 파라미터의 값이 최대로 증가된 값이어서 더 이상 높일 수 없는 경우, 또는 파라미터의 값이 최소로 감소된 값이어서 더 이상 낮출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11을 참조하면, 파라미터 중 안마강도 파라미터가 0으로 더 이상 값을 감소시킬 수 없는 상태인데, '부정'으로 구분되는 표정 인식 결과가 N회(3회) 연속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 유닛(230)은 안마 동작을 일시정지 시킬 수 있다.
이때, 안마 동작은 일시정지 되었으나, 제어 유닛(230)은 AI 연산 유닛(210)으로부터 표정 인식 결과를 계속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파라미터의 값을 더 이상 낮출 수 없어 안마 동작이 일시정지된 상태에서, 표정 인식의 구분 결과가 '긍정'으로 결정되는 경우 안마 동작을 재개하도록 안마의자 본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파라미터의 값을 더 이상 높일 수 없어 안마 동작이 일시정지된 상태에서, 표정 인식의 구분 결과가 '부정'으로 결정되는 경우, 안마 동작을 재개하도록 안마의자 본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230)은, 파라미터의 값을 더 이상 변경시킬 수 없어 안마 동작이 일시정지된 상태에서, N회 연속 동일한 '구분' 결과를 수신하면(S437) 그 '구분'결과에 따라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지 판단하여(S438) 안마 동작을 재시작할 수 있다.(S439)
만일, 파라미터의 값을 더 이상 낮출 수 없어 안마 동작이 일시정지된 상태에서, 표정 인식의 구분 결과가 '부정'으로 N회 연속 결정된 경우라면 제어 유닛(230)은 안마 동작을 재개하지 않고 일시정지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만일, 파라미터의 값을 더 이상 높일 수 없어 안마 동작이 일시정지된 상태에서, 표정 인식의 구분 결과가 '긍정'으로 N회 연속 결정된 경우라면 제어 유닛(230)은 안마 동작을 재개하지 않고 일시정지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만일, 안마강도 파라미터를 더 이상 낮출 수 없어 안마 동작이 일시정지 되었고, 이후에 3회 연속 '긍정'으로 구분되는 표정 인식 결과를 수신한 경우라면, 제어 유닛(230)은 안마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도 12 참조)
만일, 안마강도 파라미터를 더 이상 높일 수 없어 안마 동작이 일시정지 되었고, 이후에 3회 연속 '부정'으로 구분되는 표정 인식 결과를 수신한 경우라면, 제어 유닛(230)은 안마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표정 변화를 반영하여 안마 동작의 일시정지와 재시작이 자동으로 제어됨으로써 사용자는 일체의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마의자 사용에 있어서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도 5의 안마 동작 저장 단계(S500)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도 5의 흐름도에서 S50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14는, 인식된 사용자의 표정에 따른 구분 결과와 이에 기초하여 부여되는 사용자 만족도 점수를 나타낸 만족도 점수 테이블의 일 예시이며, 도 15는, 전체 안마 행정 시간에 대응되는 사용자 만족도 임계 점수를 나타낸 임계 점수 테이블의 일 예시이다.
도 13과 함께 도 5,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S400과 S500이 병렬적으로 수행되므로 도 13의 S510 단계와 S520 단계는 도 6의 S410 단계 및 S420 단계와 비록 다른 참조번호로 표시되었으되 동일한 단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AI 연산 유닛(210)으로부터 수신한 표정 인식 결과를 '부정', '긍정', '중립'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결정하고, 상기 구분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점수를 안마 동작의 전체 행정 시간 동안 누적 합산할 수 있다.(S530)
이때, 상기 누적 합산 점수는 제어 유닛(230)의 메모리(232)에 기 설정되어 저장된 만족도 점수 테이블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도 14에 예시로 도시된 만족도 점수 테이블에 따르면'부정'으로 구분된 표정에 대해서는 마이너스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점이 부여될 수 있다.
도 14에 예시로 도시된 만족도 점수 테이블에 따르면'긍정'으로 구분된 표정에 대해서는 플러스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점이 부여될 수 있다.
도 14에 예시로 도시된 만족도 점수 테이블에 따르면 '중립'으로 구분된 표정에 대해서는 점수가 부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0점이 부여될 수 있다.
다만, 도 14의 만족도 점수 테이블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부여되는 점수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은 본 발명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분명히 이해될 수 있다.
제어 유닛(230)은, 안마 동작 시간이 종료된 후 누적 합산 점수가 안마 동작의 전체 행정 시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임계 점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 수행된 안마 동작을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S540)
상기 임계 점수는 제어 유닛(230)의 메모리(232)에 기 설정되어 저장된 임계 점수 테이블에서 참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계 점수는 안마 동작 모드의 전체 행정 시간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하면, 앞서, 1초의 주기로 표정을 인식하는 실시예에서 전체 안마 동작의 행정 시간이 20분인 경우, 1200번 표정을 인식하게 되므로 만점이 1200점('긍정'에 +1점이 부여되는 경우)이 된다. 전체 안마 동작의 행정 시간이 60분인 경우, 3600번 표정을 인식하게 되므로 만점이 3600점이 된다.
한편, 상기 임계 점수는 임의의 값(예를 들어, 만점의 1/2)으로 정해질 수도 있고,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설문조사한 결과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한 결과를 토대로 안마 동작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별도 조작 또는 자세의 변경 없이도 안마 강도를 변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한 결과를 토대로 안마 동작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별도 조작 또는 음성 인식 등으로 안마 동작을 변경하는 것 대비, 사용자가 현재 수행중인 안마 강도에 대해 느끼는 만족도에 즉각적으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표정에 따른 점수를 부여하고 안마 행정의 전체 수행 시간 동안 상기 점수의 누적 합계를 구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았던 안마 행정에 대해서는 그 안마 동작을 자동으로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개인에게 맞춤인 안마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개시된 블록도들은 본 개시의 원리들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형태라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임의의 흐름 차트, 흐름도, 상태 전이도, 의사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실질적으로 표현되어,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든지 아니든지 간에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는 것이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의 명시적 이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100: 안마의자 본체
101: 머리 안마부
102: 등 안마부
103: 팔 안마부
104: 엉덩이 안마부
105: 다리 안마부
110: 구동 유닛
200: 디스플레이 장치
210: AI 연산 유닛
211: 통신부
212: 연산부
2121: 영상 캡쳐 어플리케이션
2122: 비전 처리 어플리케이션
2123: 영상 출력 어플리케이션
213: 메모리
230: 제어 유닛
231: 통신부
232: 제어부
233: 메모리
250: 디스플레이부
270: 조작부
300: 카메라

Claims (10)

  1.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기 설정되거나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모드의 안마 동작을 수행하는 안마의자 본체;
    상기 안마의자 본체가 상기 안마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에 대해 인공지능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다수의 기 정의된 표정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AI 연산 유닛; 및
    상기 AI 연산 유닛과 통신하여 결정된 상기 표정을 수신하고, 결정된 상기 표정에 기초하여 상기 안마 동작을 변경하도록 상기 안마의자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결정된 상기 표정을 부정, 긍정, 중립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결정된 상기 표정을 부정, 긍정, 중립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결정하고, 상기 구분 결과에 따라 상기 안마 동작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높이거나 낮추거나 유지시키는 제어를 하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구분 결과가 부정인 경우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낮추고, 상기 구분 결과가 긍정인 경우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높이며, 상기 구분 결과가 중립인 경우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유지하되,
    상기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이상 변경할 수 없는 값인 경우, 상기 안마 동작을 일시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더 이상 낮출 수 없어 상기 안마 동작이 일시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분 결과가 긍정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안마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더 이상 높일 수 없어 상기 안마 동작이 일시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분 결과가 부정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안마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결정된 상기 표정을 부정, 긍정, 중립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결정하고,
    상기 구분 결과가 기 설정된 N회 이상 연속적으로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안마 동작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안마 동작이 변경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때에는 상기 안마 동작을 재변경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결정된 상기 표정을 부정, 긍정, 중립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결정하고,
    상기 구분 결과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점수를 상기 안마 동작의 전체 행정 시간 동안 누적 합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점수의 누적 합산이 상기 안마 동작의 전체 행정 시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임계 점수 초과시 수행된 상기 안마 동작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KR1020210191339A 2021-12-29 2021-12-29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KR20230102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339A KR20230102010A (ko) 2021-12-29 2021-12-29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339A KR20230102010A (ko) 2021-12-29 2021-12-29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010A true KR20230102010A (ko) 2023-07-07

Family

ID=8715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339A KR20230102010A (ko) 2021-12-29 2021-12-29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0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627B1 (ko) 2017-11-22 2018-08-09 오레스트 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이 있는 안마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627B1 (ko) 2017-11-22 2018-08-09 오레스트 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이 있는 안마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52194B (zh) 用于检测危险情况的方法和系统
EP2766790B1 (en) Authenticated gesture recognition
JP5188318B2 (ja) マッサージ機
KR101777755B1 (ko)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재활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02849U (ko) 전동침대
US201800707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telligent mattress
JP7204840B2 (ja) 空調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08324A (ja) 携帯型電子情報端末で操作可能とされたマッサージ機
JP2005334477A (ja) マッサージ椅子
KR102259504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손 지압 모듈을 포함하는 안마 의자
JP2002224185A (ja) マッサージ機
KR20190098099A (ko) 안마 기구
KR20210071156A (ko) 머신 러닝을 이용한 마사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 및 마사지 장치
CN112672722A (zh) 按摩机
KR20230102010A (ko) 안마의자 제어 시스템
JP2006263039A (ja) マッサージ機
CN113867186B (zh) 一种理疗按摩仪的终端控制方法、存储介质及按摩系统
JP3075779B2 (ja) マッサージ機
KR20210090011A (ko) 고객 선호에 따라서 개인화된 맞춤형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02224184A (ja) マッサージ機及びマッサージ機の制御方法
KR102518636B1 (ko) 두피 마사지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234210A1 (en) Massage system and massage device
KR20220099211A (ko)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JP2000210358A (ja) マッサ―ジ機
JP7101404B2 (ja) 本人認証システム及びこの本人認証システムを備えた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