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211A -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211A
KR20220099211A KR1020210001079A KR20210001079A KR20220099211A KR 20220099211 A KR20220099211 A KR 20220099211A KR 1020210001079 A KR1020210001079 A KR 1020210001079A KR 20210001079 A KR20210001079 A KR 20210001079A KR 20220099211 A KR20220099211 A KR 20220099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massage
massage chai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영
천강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9211A/ko
Publication of KR2022009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전방에 배치되는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안마를 제공하도록 구동되는 본체 및 본체에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안마 상태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Massage chai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착석하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의 전방에 배치되는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안마를 통하여 뭉쳐진 근육을 풀거나 피로 및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수요가 많아 안마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안마란 손이나 특수한 기구로 몸을 쓸거나, 주무르거나, 누르거나, 잡아당기거나, 두드리거나, 움직이거나 하여 혈액순환을 돕고, 피로가 풀리게 하는 의료 보조요법의 하나이다. 기계적 장치에 의하여 안마를 수행하는 기구를 안마기구라 하며, 안마기구의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가 편하게 앉아 안마를 받을 수 있는 안마 의자를 들 수 있다.
종래의 안마 의자는,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안마 의자의 구동 모드를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상태를 스스로 진단하여 필요한 구동 모드를 선택하여 구동시켜야만 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886627호는 음성인식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구동 모드를 선택하는 안마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발화한 육성을 받아드리는 마이크 및 수신된 음성신호를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구동 모드를 조작하지 않고도 음성을 통해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안마 의자는 기 입력된 한정된 종류의 명령어와 사용자의 음성을 비교하여 인식할 수 있어, 사용할 수 있는 음성 명령의 종류가 제한되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나아가, 종래기술의 안마 의자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리모컨외에 사용자에게 안마 상태나 별도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86627호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착석하면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배치 각도를 회전할 수 있는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안마 의자는 사용자에게 안마를 제공하도록 구동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 및/또는 신체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안마 상태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결합하고, 일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암; 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암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암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된 일측이 사용자의 머리와 가까워지도록, 소정의 곡률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상기 하우징을 결합하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치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을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상방 15°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을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방 25°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안마 의자는 상기 본체,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착석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암을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틸팅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단계; 구동 모터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의 전방에 배치하는 단계;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안마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은, 상기 안마 구동단계의 개시 후 소정의 시간이 도과하면 디스플레이부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음성 명령 또는 조작 명령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전방에 디스플레이부를 배치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 제어 방법은, 미사용시 디스플레이부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보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시에만 선택적으로 외부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착석 및 이탈시 제한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의 비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결합된 부분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100)는 동작 모드에 따라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두드리거나, 누르거나, 주무르거나, 잡아당기거나, 움직이게 하거나 하여 직접 신체에 역학적 자극을 줄 수 있다. 안마 의자(100)는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 등, 팔, 엉덩이, 다리 중 하나 이상을 안마할 수 있다. 이러한 안마 의자(100)는 실내 예를 들어, 댁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안마 의자(100)는 사용자에게 안마를 제공하도록 구동되는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10)는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신체가 안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단부, 착좌부 및 하단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형태의 상단부와, 사용자의 상체를 기대어 앉을 수 있는 형태의 착좌부와, 종아리와 발을 감싸는 형태의 하단부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안마 의자(100)의 각 부분은 사용자의 신체의 특성에 맞게 크기 및 위치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단부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머리를 안마하는 머리 안마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착좌부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고 등을 안마하는 등 안마부(102)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고 팔을 안마하는 팔 안마부(103)와,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고 엉덩이를 안마하는 엉덩이 안마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부는 사용자의 종아리와 발을 지지하고 종아리 및 발을 안마하는 다리 안마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안마 의자(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160, 미도시)로 전달하는 조작부(미도시) 및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안마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21)는 전술한 조작부(미도시)의 조작기능과 표시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안마 의자(100)는 구동부(130), 센서부(140), 메모리(150), 제어부(160) 및 지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안마 의자(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한 열거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를 생략한 상태로 실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본체(11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안마와 관련된 정보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각적 자료가 표시되는 구성이다. 나아가,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의 접근이 편리하도록 본체(110)의 착좌부의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 대한 구성은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구동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안마를 수행하기 위한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130)는 발생한 힘을,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머리를 안마하는 머리 안마부(101)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고 등을 안마하는 등 안마부(102)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고 팔을 안마하는 팔 안마부(103)와,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고 엉덩이를 안마하는 엉덩이 안마부(104)와 사용자의 종아리와 발을 지지하고 종아리 및 발을 안마하는 다리 안마부(105) 중 하나 이상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안마를 수행하기 위한 힘의 크기는 메모리(15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센서부(14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부하를 피드백 받아 구동부(130)가 발생시키는 힘을 조절하도록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인증된 사용자에 따라 구동부(130)가 발생시키는 힘을 조절하도록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0)는 머리 안마부(101), 등 안마부(102), 팔 안마부(103), 엉덩이 안마부(104) 및 다리 안마부(105)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13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모터 및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안마부(101), 등 안마부(102), 팔 안마부(103), 엉덩이 안마부(104) 및 다리 안마부(105) 각각은 에어백(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부(130)는 머리 안마부(101), 등 안마부(102), 팔 안마부(103), 엉덩이 안마부(104) 및 다리 안마부(105) 각각의 에어백의 공기압을 조절하며 다양한 강도로 안마를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본체(110)에 구비되며, 안마 의자(100)에 사용자가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구동 중에 즉, 사용자에게 안마를 제공하는 중에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40)는 착석 센서(141,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착석 센서(141)는 머리 안마부(101), 등 안마부(102), 팔 안마부(103), 엉덩이 안마부(104) 및 다리 안마부(105)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착석 센서(141)는 사용자의 무게에 의한 가압을 감지하며, 이를 통해,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착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착석한 사용자의 체형, 자세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사용자가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센서는, 변위센서, 정전센서, 압력센서 및 압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안마 의자(100)에 사용자가 접촉하는 경우 접촉면 및 접촉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센서부(140)에서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로서, 키와 몸무게가 포함된 체형, 앉은 위치, 앉은 자세 및 신체 부위별 근육의 뭉침 정도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40)에 포함되는 센서는 상술한 변위센서, 정전센서, 압력센서 및 압전센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등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안마 의자(100)의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안마 의자(100)의 기울기에 대한 정보는, 머리 안마부(101)의 기울기 정보, 등 안마부(102)의 기울기 정보, 팔 안마부(103)의 기울기 정보, 엉덩이 안마부(104)의 기울기 정보, 다리 안마부(105)의 기울기 정보 및 안마 의자(100) 전체의 기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머리 안마부(101), 등 안마부(102), 팔 안마부(103), 엉덩이 안마부(104) 및 다리 안마부(105)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측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안마 의자(100)는 전체가 회전할 수 있으며, 센서부(140)는 안마 의자(100)의 회전이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4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는, 관성 센서, 자기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에서 측정된 신체 정보는 제어부(160)에서 인증된 사용자에 따라 개별적으로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안마 의자(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6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에는 안마 의자(100)의 본체(1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구동 모드 및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따라 제공될 다수의 생활 패턴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150)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별 신체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본체(110), 구동부(130), 센서부(140), 지지부(17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구성이다.
제어부(16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메모리(15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안마 의자(100)의 본체(110) 전체에 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60)는 추천 구동 모드가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추천 구동 모드가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구동 모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안마 동작 중 센서부(140)가 측정하는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40)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로 본체(110)의 구동 힘에 대해 작용하는 부하가 측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근육의 뭉침 정도를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에 의해 측정된 접촉면과 접촉압력을 통해 사용자의 키와 몸무게가 측정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본체(110)와 지면 사이에 구비되어 본체(11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70)는 지면과 접촉하여 고정되되, 일측이 본체(1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70)는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1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 모드에 따라 본체(11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지지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본체가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지지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보다 안락하게 안마를 받을 수 있도록, 본체(110)를 기울일 수 있다. 즉, 머리 안마부(101)는 중력 방향 기준 아래로 하강하고, 다리 안마부(105는 중력 방향 기준 위로 상승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의 비사용 상태에서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서술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1), 하우징(122), 디스플레이 암(123) 및 고정부(12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사용자에게 시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메인 디스플레이(1211)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각 자료는 선택가능한 또는 구동중인 안마 코스가 될 수도 있고, 센서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선(Application)의 화면일 수도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211)는 신체를 통해 조작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인 디스플레이(1211)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1211)를 터치하거나 압력을 가하여 정보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디스플레이(1211)는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또는 이외의 다양한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16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며,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 디스플레이(1211)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LED(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음성 수신부(1212) 및 조작 버튼(12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음성 수신부(1212)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음성 수신부(1212)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음성 수신부(121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음성 수신부(1212)에서 수신한 음성 정보를 명령어로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은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통하여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안마 구동 명령인지, 디스플레이부(121)의 사용 명령인지 등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마 의자(100)의 구동 중에 팔 안마부(103)에 의해 팔을 안마받는 상태, 즉, 손이 자유롭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마 의자(100)를 조작할 수 있다.
조작 버튼(1213)은 메인 디스플레이(1211)의 일측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작 버튼(1213)은 메인 디스플레이(1211)의 우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조작 버튼(1213)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누름 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 또는 버튼, 스위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 버튼(1213)을 이용해서 메인 디스플레이(1211)의 전원을 종료하거나 재가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 버튼(1213)을 조작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211)에서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으로 돌아가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
하우징(122)는 내부에 디스플레이부(121)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하우징(122)의 내부 공간에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21)는 사용되지 않는, 미사용 상태에서 (도 2 참조) 외부에서 은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21)에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안마 의자(100)에 착석할 수 있다.
하우징(122)의 형상은 디스플레이부(121)의 형상과 대응하여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가 내부에 인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돔(Dome)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암(123)은 일측에 디스플레이부(121)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암(123)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암(123)은 사용자의 머리를 향하도록 굽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암(123)이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21)가 사용자의 시선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암(123)은 하우징(122)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암(123)은 미사용 상태에서 하우징(12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은폐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암(123)은 사용 상태에서 하우징(12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디스플레이 암(123)은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121)를 사용자의 시선 범위에 배치할 수 있다.
고정부(124)는 일측에서 하우징(122)과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124)와 하우징(122)은, 그 사이에 디스플레이부(121) 및 디스플레이 암(123)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타측은 안마 의자(100)의 본체(11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고정부(12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본체(110)의 외면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상측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의 구성 및 결합 관계를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구동 모터(125), 구동 기어(126) 및 연결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25)는 디스플레이 암(123)을 하우징(122)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구동 모터(125)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디스플레이 암(123)을 밀어내고 다시 당겨올 수 있다.
구동 모터(125)가 하우징(122)의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암(123)을 사용자를 향해 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을 정방향으로 작동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반대로, 구동 모터(125)가 외부 공간에 노출된 디스플레이 암(123)을 하우징(122)의 내부 공간으로 복귀 시키는 작동을 역방향으로 작동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구동 모터(125)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면, 구동 모터(125)를 정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안마 의자(100)의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 모터(125)를 정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1)는 사용자의 시선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기어(126)는 구동 모터(125)와 연결되어, 구동 모터(125)에서 발생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구동 기어(126)는 구동 모터(125)의 상측에 결합되며, 하우징(120)의 내면에 형성된 이동 레일(12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동 기어(126)는 외주면을 따라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원판(disk)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20)은 하우징 바디(1220), 가이드(1221) 및 이동 레일(1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220)는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분리시킬 수 있다. 하우징 바디(1220)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220)는 디스플레이부(121)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바디(1220)는 디스플레이부(121)를 외부에서 은폐할 수 있으며,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220)의 내면에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된 가이드(122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221)는 디스플레이 암(123)이 이동되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가이드(1221)의 상하 폭은 디스플레이 암(123)이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221)가 함몰된 깊이는 디스플레이 암(123)의 두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1221)는 비어있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암(123)은 가이드(1221)를 사이에 두고, 결합부(1272)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결합부(1272)의 상하 폭은 가이드(1221)의 상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암(123)이 가이드(1221)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레일(1222)은 하우징 바디(1220)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동 레일(1222)은 하우징 바디(1220)의 최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변경에 의해 구동 기어(126)가 하측에 배치되면, 이에 대응하여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동 레일(1222)은 구동 기어(126)와 맞물릴 수 있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기어(126)는 구동 모터(125)에 의해 회전되며, 이동 레일(12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레일(1222)은 하우징 바디(1220)의 좌우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기어(126)는 이동 레일(1222)을 따라, 하우징(122)의 좌우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127)는 디스플레이 암(123)과 구동 모터(125) 및 구동 기어(126)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암(123)은 구동 기어(126)가 이동 레일(1222)을 따라 이동하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127)는 샤프트(1271), 제1 결합부(1272) 및 제2 결합부(1273)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271)는 연결부(127)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는 회전 축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1)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디스플레이(1211)가 배치된 각도와 사용자의 시선 각도가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여,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1211)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외부의 햇빛이 메인 디스플레이(1211)에 반사되어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의 각도를 조절하여 반사광을 시선 밖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72) 및 제2 결합부(1273)은 사이에 디스플레이 암(123)을 배치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암(123)은 암 홀더(1230)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결합부(1272) 및 제2 결합부(1273)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72) 및 제2 결합부(1273)는 복수개의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틸팅 장치(128,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틸팅 장치(128)는 디스플레이부(121)와 디스플레이 암(123)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틸팅 장치(128)는 디스플레이부(12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로 디스플레이부(121)를 배치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기준 배치 각도로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의 앉은키를 고려하여, 지면에서의 높이가 1000mm 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엉덩이 안마부(104)의 높이 변경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회전장치(1241,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장치(1241)는 고정부(124)에 구비되어 하우징(122)의 배치된 각도를 상방(α°) 및/또는 하방(β°)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하우징(122)의 배치 각도가 변경되면, 하우징(122)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암(123) 및 디스플레이부(121)의 각도가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즉, 회전장치(1241)는 하우징(122)의 배치 각도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부(121)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장치(1241)는 하우징(122)의 배치된 각도를 기준 배치 각도에서 상방으로 +15°이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장치(1241)는 하우징(122)의 배치된 각도를 기준 배치 각도에서 하방으로 -25°이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장치(1241)는 하우징(122)의 배치된 각도를 기준 배치 각도에서 상방으로 +10°, 하방으로 -23°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의 키가 150cm 이상 185cm 이하인 경우를 가정하여 배치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2)는 사용자가 앉은 키가 작은 어린이일 때를 가정하여 상방으로 10°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가 더 낮더라도 디스플레이부(121)가 사용자의 시선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팔 안마부(103)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방으로 23°이하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가 팔 안마부(103)와 충돌하여 파손될 염려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앉은 키가 큰 경우, 디스플레이부(121)가 사용자의 시선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의 배치 가능한 각도는 설계 변경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즉, 팔 안마부(103) 또는 엉덩이 안마부(104)의 배치된 높이 변화에 따라, 하방(β°)으로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가 변화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나아가, 사용자의 키가 고려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여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가 변경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마 의자의 제어방법은 구동 준비단계(S100), 사용자의 음성 및/또는 조작 명령을 인식하는 명령 인식단계(S200), 인식된 명령을 바탕으로 구동할 안마 동작을 설정하는 안마 동작 설정단계(S300) 및 안마 동작이 구동되는 구동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준비단계(S100)는 착석 감지단계(S110), 전원 공급단계(S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배치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석 감지단계(S110)에서 엉덩이 안마부(104) 또는 등 안마부(103)에 구비된 착석 센서(141)는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착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착석 감지단계(S110)가 종료된 후, 안마 의자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전원 공급단계(S120)에서는 구동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등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전원 공급단계(S120)는 사용자가 착석한 것으로 판단되면 곧바로 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착석한 후 전원 버튼을 조작하면 개시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단계(S120)에서 전력이 공급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사용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S130)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구동 모터(125)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 암(123)을 전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1)가 사용자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배치단계(S130)는 착석 감지단계(S110)의 종료 후 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1)나 디스플레이 암(123)에 방해받지 않고, 안마 의자에 착석할 수 있다.
명령 인식단계(S200)는 음성 수신단계(S210), 음성 인식단계(S220), 음성 명령 판단단계(S230), 수동 명령 수신단계(S240) 및 대기 시간 판단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수신단계(S210)에서는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마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은, 전방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21)의 음성 수신부(1212)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1)는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배치되어, 음성 수신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음성 인식단계(S220)에서는 음성 수신부(1212)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수신된 음성이 어떤 언어인지 인식할 수 있다.
음성 명령 판단단계(S230)에서는 음성 인식단계(S220)에서 인식된 언어가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안마 구동 명령 및/또는 디스플레이부 각도 조절 명령이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명령과 상기 인식된 언어를 대조하여,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안마 구동 명령이 있던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수동 명령 수신단계(S240)를 생략하고 곧바로 안마 동작 설정단계(S300)를 개시할 수 있다.
음성 명령 판단단계(S230)에서 음성 명령이 없던 것으로 판단되면, 수동 명령 수신단계(S240)가 개시될 수 있다.
수동 명령 수신단계(S240)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조작하여 입력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1211)를 터치 및/또는 가압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 장치(1213)를 조작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수동 명령 수신단계(S240)에서 사용자의 구동 명령이 입력되면, 안마 동작 설정단계(S300)가 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수동 명령 수신단계(S240)에서 사용자의 구동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대기 시간 판단단계(S250)가 개시될 수 있다.
대기 시간 판단단계(S250)에서 제어부(160)는 안마 의자(100)의 대기 시간(T)이 저장된 기준 시간(T0) 이상인지 여부(T>T0)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대기 시간(T)은, 안마 의자(100)에 전원이 공급된 시점으로부터 기산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안마 의자(100)에 착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으로부터 기산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T0)은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기준 시간(T0)을 원하는 시간으로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T0)은 1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시간(T0)은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대기 시간 판단단계(S250)에서 안마 의자(100)의 대기 시간(T)이 저장된 기준 시간(T0) 이상이면(T>T0) 제어부(160)는 대기를 종료하고 곧바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대기단계(S420)를 개시할 수 있다.
안마 동작 설정단계(S300)에서는 입력된 음성명령 또는 조작명령에 의하여 안마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구성된 안마 코스들은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60)는 명령에 따른 안마 코스를 구동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구동단계(S400)는 안마 구동단계(S41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대기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마 구동단계(S410)에서는 안마 동작 설정단계(S300)에서 설정된 안마 코스에 따라 본체(110)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안마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대기단계(S420)에서 제어부(160)는 구동 모터(125)를 반대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1)가 하우징(12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대기단계(S420)는 안마 구동단계(S410) 개시 후, 디스플레이부(121)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준 시간(T0)이 도과하면 개시될 수 있다.
반대로, 안마 구동단계(S410) 개시 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1)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시청하는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계속 사용하면 생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21)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시야에 메인 디스플레이(1211)를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음성명령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21)의 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안마 동작 중에 팔의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시야 범위내에 메인 디스플레이(1211)를 배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안마 의자
110: 본체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1: 디스플레이부
1211: 메인 디스플레이
1212: 음성 수신부
122: 하우징
123: 디스플레이 암
124: 고정부
1241: 회전장치
125: 구동 모터
126: 구동 기어
127: 연결부
130: 구동부
140: 센서부
150: 메모리
160: 제어부
170: 지지부

Claims (10)

  1. 사용자에게 안마를 제공하도록 구동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 및/또는 신체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안마 상태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결합하고, 일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암;
    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암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외부에 배치되는 안마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암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된 일측이 사용자의 머리를 향하여 소정의 곡률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의 외면에 상기 하우징을 결합하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치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을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상방 15°까지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을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방 25°까지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착석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암을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틸팅장치;
    를 더 포함하는 안마 의자.
  8.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의 전방에 배치하는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단계;
    구동 모터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의 전방에 배치하는 단계;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안마를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 구동단계의 개시 후 소정의 시간이 도과하면 디스플레이부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음성 명령 또는 조작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KR1020210001079A 2021-01-05 2021-01-05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KR20220099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079A KR20220099211A (ko) 2021-01-05 2021-01-05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079A KR20220099211A (ko) 2021-01-05 2021-01-05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211A true KR20220099211A (ko) 2022-07-13

Family

ID=8240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079A KR20220099211A (ko) 2021-01-05 2021-01-05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92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775B1 (ko) * 2023-06-26 2024-03-12 굿볼아카데미 주식회사 마사지볼 구동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627B1 (ko) 2017-11-22 2018-08-09 오레스트 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이 있는 안마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627B1 (ko) 2017-11-22 2018-08-09 오레스트 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이 있는 안마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775B1 (ko) * 2023-06-26 2024-03-12 굿볼아카데미 주식회사 마사지볼 구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1000B2 (en) Massage chairs with touchscreen-based control system
US1110367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leep mode in a massage chair using progressive muscular relaxation and the massage chair capable of using the same
JP6632812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101897103B1 (ko) 사용자의 숙면 및 개운한 기상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안마의자 및 그 제어방법
WO2006137236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マッサージ機、椅子型マッサージ機の操作装置、及び椅子型マッサージ機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CN101732152A (zh) 一种多功能按摩椅
JP2007325712A (ja) マッサージ機
KR20220099211A (ko)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KR102259504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손 지압 모듈을 포함하는 안마 의자
US20210161755A1 (en) Massage chairs having massage apparatuses for legs and feet and for hands and arms
CN114177022A (zh) 按摩机、按摩系统以及记录有按摩机控制用程序的记录介质
JP4686084B2 (ja) 椅子
JP4703304B2 (ja) マッサージ機
CN210844067U (zh) 语音控制健康促眠床椅
JP2002177359A (ja) マッサージ機
KR20220097761A (ko)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제어 방법
JP2011087610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2224184A (ja) マッサージ機及びマッサージ機の制御方法
JP2015104639A (ja) マッサージ部
JP2003339810A (ja) マッサージ機
KR20200124931A (ko) 안마장치 및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JP2007007205A (ja) マッサージ機
JP5948117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7325750A (ja) ゲーム装置用座席
JP2003250848A (ja) マッサージ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