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257A -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257A
KR20230101257A KR1020210191211A KR20210191211A KR20230101257A KR 20230101257 A KR20230101257 A KR 20230101257A KR 1020210191211 A KR1020210191211 A KR 1020210191211A KR 20210191211 A KR20210191211 A KR 20210191211A KR 20230101257 A KR20230101257 A KR 20230101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ailgate
gear
vehic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래
이원종
장상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257A/ko
Publication of KR20230101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 F16H19/0618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the flexible member, e.g. cable, being wound on a drum or thread for creating axial movement parallel to the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트렁크에 마련되며, 일단부가 제1축에 롤링되고 타단부가 제2축에 연결되고, 제2축의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거나 수납되는 스크린패널; 및 차량의 테일게이트와 제2축의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테일게이트의 오픈시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랜패널이 수납되도록 하고 테일게이트의 클로징시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패널이 전개되도록 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VEHICLE CARGO SCREEN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따른 트렁크에 마련된 카고스크린을 전개하거나 또는 수납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 승용차의 경우 차량의 후미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트렁크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나, 밴(van) 형 차량의 경우 통상 차량의 뒷좌석 후방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러기지 룸(luggage room)이 마련된다.
일반 승용차에 마련되는 트렁크의 경우 폐쇄된 구조로 형성되는데 반해, 밴되며, 형 차량에 마련되는 러기지 룸은 차량의 실내와 연결된 개방구조이다. 또한, 트렁크의 경우 외부에서 내부에 적재된 화물을 볼 수 없으나, 러기지 룸에 적재된 화물은 외부에서 관찰이 가능하다.
따라서 밴 형 차량의 경우, 차량의 운행중 러기지 룸에 적재된 화물이 차량 뒷좌석으로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또한, 외부에서 러기지 룸에 적재된 화물을 쉽게 볼 수 있어 도난 사고의 위험성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밴 형 차량의 러기지 룸에는 카고스크린이 장착된다. 카고스크린은 일종의 커튼과 유사한 장치로, 스크린이 러기지 룸의 후방으로 전개되어 러기지 룸에 적재된 화물을 가리는 장치이다. 따라서 카고스크린은 러기지 룸에 적재된 화물을 감싸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뿐만 아니라, 화물의 노출을 막아 도난사고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통상 카고스크린은 러기지 룸의 측면인 러기지 사이트 트림(luggage side trim)에 결합된다. 이때, 카고스크린과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결합이 약하면, 차량의 급정거나 추돌시 카고스크린이 이탈될 위험이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중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카고스크린은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또한, 카고스크린은 통상 러기지 룸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러기지 룸에 탈부착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카고스크린과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결합은 체결 및 해제가 간편하여야 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008579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트렁크에 마련된 카고스크린은 테일게이트와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별물의 액추에이터 없이 카고스크린은 전개하거나 수납되도록 형성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는 차량의 트렁크에 마련되며, 일단부가 제1축에 롤링되고 타단부가 제2축에 연결되고, 제2축의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거나 수납되는 스크린패널; 및
차량의 테일게이트와 제2축의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테일게이트의 오픈시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랜패널이 수납되도록 하고 테일게이트의 클로징시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패널이 전개되도록 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이동부에는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전개된 스크린패널을 선택적으로 제2축의 이동방향을 제1축방향 또는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동부에는 테일게이트가 개방시 일단부가 제1축에 연결되어 제1축을 회전시켜 제2축을 제1축 측으로 이동시켜 스크린패널을 수납시키는 제1연결링크 및 일단부가 제2축에 연결되어 테일게이트가 개방시 제2축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연결링크가 포함되고, 조작부는 제1연결링크의 타단부 및 제2연결링크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테일게이트와 연결하여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제1축의 이동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제1연결링크에는 제1축에 연결되어 제1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기어, 제1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2기어, 제2기어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조작부와 연결되는 제3기어 및 제3기어와 제2기어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가 포함되고, 조작부가 제1연결링크와 연결된 상태에서 테일게이트가 개방시 제1축을 회전시켜 스크린패널을 수납시킬 수 있다.
제2연결링크에는 제2축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조작부와 연결된 제4기어 및 제2축과 제4기어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가 포함되고, 조작부가 제2연결링크 연결된 상태에서 테일게이트가 개방시 제2축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축의 단부가 삽입되어 스크린패널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전개 또는 수납을 가이드하는 제1레일; 및 제2축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제2축의 단부가 삽입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에는 제2축과 연결되어 테일게이트가 클로징시 스크린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어 스크린패널을 전개시키는 탄성부가 포함될 수 있다.
탄성부에는 스크린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태엽 및 태엽과 제2축을 연결하여 제2축에 태엽의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3와이어가 포함될 수 있다.
조작부에는 제1연결링크 측 또는 제2연결링크 측으로 이동되어 연결되는 연결기어 및 연결기어와 테일게이트를 연결하는 제4와이어가 포함될 수 있다.
조작부에는 연결기어가 제1연결링크 타단부 측 또는 제2연결링크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레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조작부에는 연결기어가 제1연결링크 타단부 측 또는 제2연결링크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시 제3레일에서 돌출되어 연결기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포함될 수 있다.
고정돌기는 연결기어가 제1연결링크 타단부 또는 제2연결링크의 타단부에서 연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연결기어는 제3레일의 중간 측에 위치시 제1연결링크 또는 제2연결링크와 테일게이트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고,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제2축이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축은 트렁크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축은 트렁크의 입구 측에 위치되어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제2축이 트렁크의 내측 또는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와 스크린패널을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테일게이트가 개방시 기계적 연결에 의해 스크린패널이 수납되고, 테일게이트가 클로징시 스크린패널에 연결된 태엽에 의해 스크린패널이 전개됨으로써 별물의 액추에이터 없이 차량의 스크린패널을 수납하거나 전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른 원가절감 및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린패널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조작부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스크린패널을 수납시키거나 스크린패널을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트렁크에 화물을 적재하는 데에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수평 방향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상하 방향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평면도,
도 6 내지 7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조작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조작부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수평 방향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상하 방향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평면도,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조작부(240)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조작부(240)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종래의 SUV(Sport Utility Vehicle)차량에는 넓은 트렁크가 마련되며, 트렁크에 적재된 화물을 가리기 위해 카고스크린 장치가 마련되었다.
종래에는 카고스크린 장치는 수동으로 작동되어 사용자가 직접 전개시키거나 수납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으며, 최근에는 카고스크린의 수납회전축에 모터가 장착되어 전동으로 작동되는 카고스크린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수동 카고스크린 장치는 전개 및 수납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으며, 전동 카고스크린 장치는 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가 마련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게이트(300)와 카고스크린을 연결시켜 테일게이트(300)의 작동에 따른 카고스크린의 전개 또는 수납을 기계적으로 작동되도록 고안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는 차량의 트렁크에 마련되며, 일단부가 제1축(110)에 롤링되고 타단부가 제2축(120)에 연결되고, 제2축(120)의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거나 수납되는 스크린패널(100); 및 차량의 테일게이트(300)와 제2축(120)의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테일게이트(300)의 오픈시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패널(100)이 수납되도록 하고 테일게이트(300)의 클로징시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패널(100)이 전개되도록 하는 이동부(2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에 마련된 스크린패널(100)은 양단부에 제1축(110) 및 제2축(120)이 마련되어 제2축(120)이 롤링되고 제1축(110)이 제2축(120)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수납될 수 있으며, 제2축(120)의 롤링이 수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롤링시 스크린패널(100)은 전개될 수 있다.
이동부(200)는 트렁크의 실내 트림 내부에 마련되어 스크린패널(100)과 차량의 테일게이트(300)를 연결시킬 수 있으며, 테일게이트(300)의 개방 또는 폐쇄에 따라 제2축(120)을 롤링시키며 제1축(1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물로 마련된 액추에이터가 없더라도 테일게이트(300)의 개폐만으로도 기계적으로 스크린패널(100)을 전개 또는 수납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차량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부(200)에는 테일게이트(300)의 개방시 전개된 스크린패널(100)을 선택적으로 제2축(120)의 이동방향을 제1축(110) 방향 또는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240)가 포함될 수 있다.
카고스크린은 차량의 테일게이트(30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전개된 상태로 유지되고 테일게이트(300)가 개방되면 이동부(200)가 테일게이트(300)와 스크린패널(100)을 연결시켜 제2축(1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부(200)에 포함된 조작부(240)는 테일게이트(300)와 스크린패널(100)의 연결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도록 형성되어 테일게이트(300)의 개방시 제2축(120)이 제1축(110) 측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조작부(240)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제2축(120)의 이동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는 이동부(200)의 구체적 실시예이다.
이동부(200)에는 테일게이트(300)가 개방시 일단부가 제1축(110)에 연결되어 제1축(110)을 회전시켜 제2축(120)을 제1축(110) 측으로 이동시켜 스크린패널(100)을 수납시키는 제1연결링크(210) 및 일단부가 제2축(120)에 연결되어 테일게이트(300)가 개방시 제2축(12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연결링크(230)가 포함되고, 조작부(240)는 제1연결링크(210)의 타단부 및 제2연결링크(230)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테일게이트(300)와 연결하여 테일게이트(300)의 개방시 제1축(110)의 이동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제1연결링크(210)는 제2축(120)을 제1축(110)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단부가 제1축(110)과 연결되어 테일게이트(300)의 개방시 제1축(110)을 롤링키시며 스크린패널(100)이 수납되며 제2축(120)을 제1축(1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연결링크(230)는 일단부가 제2축(120)과 연결되어 테일게이트(300)의 개방시 제2축(120)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제2축(12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축(120)은 테일게이트(300)가 개방시 상방으로 위치됨에 따라 스크린패널(100)은 대각선을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차량의 트렁크에서 화물을 쉽게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작부(240)는 일단부가 제1연결링크(210)의 타단부와 제2연결링크(230)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조작부(240)의 타단부는 테일게이트(300)와 연결되어 테일게이트(300)의 회전을 제1연결링크(210) 또는 제2연결링크(230)로 전달하여 제1축(110)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제2축(1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는 제1연결링크(210)의 일 실시예로서 제1연결링크(210)의 구조는 설계자에 의해 일부 변경될 수 있다.
제1연결링크(210)에는 제1축(110)에 연결되어 제1축(110)과 함께 회전되는 제1기어(211), 제1기어(211)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2기어(212), 제2기어(212)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조작부(240)와 연결되는 제3기어(214) 및 제3기어(214)와 제2기어(212)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213)가 포함되고, 조작부(240)가 제1연결링크(210)와 연결된 상태에서 테일게이트(300)가 개방시 제1축(110)을 회전시켜 스크린패널(100)을 수납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211)는 제1축(110)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축(110)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제2기어(212)는 제1기어(211)와 치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3기어(214)는 제2기어(212)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조작부(24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며, 제3기어(214)와 제2기어(212)는 제1와이어(21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작부(240)는 차량의 테일게이트(300)가 개방되면 테일게이트(300)의 회전을 전달하여 제3기어(214)를 회전시키며, 제3기어(214)의 회전에 따라 제1와이어(213)가 이동되고, 제1와이어(213)가 이동됨에 따라 제2기어(212) 및 제1기어(211)가 회전되어 제1축(110)을 롤링시켜 스크린패널(100)이 제1축(110)에 감기면서 제2축(120)은 제1축(110)방향으로 이동되며 스크린패널(100)이 수납될 수 있다.
이하는 제2연결링크(230)의 일 실시예로서 제2연결링크(230)의 구조는 설계자에 의해 일부 변경될 수 있다.
제2연결링크(230)에는 제2축(120)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조작부(240)와 연결된 제4기어(232) 및 제2축(120)과 제4기어(232)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231)가 포함되고, 조작부(240)가 제2연결링크(230) 연결된 상태에서 테일게이트(300)가 개방시 제2축(120)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연결링크(230)의 타단부에는 조작부(240)와 연결되는 제4기어(232)가 마련되고 제4기어(232)에는 제2축(120)과 제2와이어(231)를 통해 연결되어 제4기어(232)가 회전시 제2와이어(231)가 감기면서 제2축(120)이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작부(240)가 제2연결링크(230)의 타단부인 제4기어(232)에 연결시 테일게이트(300)가 회전되며 개방시 회전을 전달하고, 제4기어(232)를 회전시키며, 제4기어(232)가 회전됨에 따라 제2와이어(231)가 감기며 제2축(120)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스크린패널(100)이 상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축(110)은 트렁크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축(120)은 트렁크의 입구 측에 위치되어 테일게이트(300)의 개방시 제2축(120)이 트렁크의 내측 또는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110)은 차량의 트렁크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크린패널(100)은 차량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축(120)은 트렁크의 입구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부(240)가 제1연결링크(210)에 연결되어 제1축(110)을 회전하여 스크린패널(100)이 제1축(110)에 롤링되며 제2축(120)은 제1축(11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차량에 화물을 수월하게 적재할 수 있으며, 트렁크에 화물이 많이 적재되는 경우에는 제2축(120)이 화물과 접촉되어 스크린패널(100)이 전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조작부(240)가 제2연결링크(230)에 연결되어 제2축(12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스크린패널(100)이 차량의 후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린패널(100)이 후측 상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스크린패널(100)을 수납시키기 않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축(120)의 단부가 삽입되어 스크린패널(100)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전개 또는 수납을 가이드하는 제1레일(410); 및 제2축(1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제2축(120)의 단부가 삽입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레일(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축(120)이 스크린패널(100)의 수납시 제1축(110)방향으로 이동시 슬라이딩을 가이드 한는 제1레일(410)이 트렁크 실내 트림의 측면에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축(120)이 상방으로 이동시 제2축(1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2레일(420)이 트렁크 실내 트림의 측면에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레일(410)과 제2레일(420)의 단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조작부(240)의 연결에 따라 제2축(120)이 제1레일(410)로 슬라이딩되거나 제2레일(420)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동부(200)에는 제2축(120)과 연결되어 테일게이트(300)가 클로징시 스크린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어 스크린패널(100)을 전개시키는 탄성부(220)가 포함될 수 있다.
테일게이트(300)가 클로징될 때 스크린패널(100)이 다시 전개되기 위해 차량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제2축(120)과 연결된 탄성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220)는 탄성에 의해 롤링되어 수납된 스크린패널(100)을 전개시키기 위해 제2출과 연결되어 탄성으로 인해 제2축(120)을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스크린패널(100)을 전개시키거나 제2축(120)이 테일게이트(300)의 개방시 조작부(240)가 제2연결링크(230)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이동되고 테일게이트(300)가 클로징시 다시 하방으로 탄성을 인가하여 제2축(12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물의 전력이 입력되는 모터가 없이도 스크린패널(100)을 전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성부(220)의 일 실시예로서 탄성부(220)에는 스크린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태엽(221) 및 태엽(221)과 제2축(120)을 연결하여 제2축(120)에 태엽(221)의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3와이어(22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20)에는 제1축(110)과 차량의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태엽(221)이 마련되고, 제2축(120)와 태엽(221)을 연결하는 제3와이어(222)가 마련되어 수납된 스크린패널(100)을 전개시키며 제2축(1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축(120)이 상방으로 이동되고 테일게이트(300)가 클로징시 제2축(120)을 다시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작부(240)에는 제1연결링크(210) 측 또는 제2연결링크(230) 측으로 이동되어 연결되는 연결기어(241) 및 연결기어(241)와 테일게이트(300)를 연결하는 제4와이어(24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 또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240)는 제1연결링크(210)의 타단부 측 또는 제2연결링크(230)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되어 선택적으로 테일게이트(300)와 제1연결링크(210)를 연결하거나 제2연결링크(2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연결기어(241)는 제1연결링크(210)의 타단부 또는 제2연결링크(230)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4와이어(242)는 연결기어(241)와 차량의 테일게이트(300)를 연결하여 차량의 테일게이트(300)가 회전되며 개방시 회전을 연결기어(241)로 전달하여 연결기어(241)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연결링크(210) 또는 제2연결링크(2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조작부(240)에는 연결기어(241)가 제1연결링크(210) 타단부 측 또는 제2연결링크(230)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레일(24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어(241)는 제1연결링크(210) 또는 제2연결링크(230)에 결합되기 위해 제3레일(243)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제3레일(243)에 포함된 제1연결홈(244)에 삽입되어 제1연결링크(210)와 연결되거나 제2연결홈(245)에 삽입되어 제2연결링크(230)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240)에는 연결기어(241)가 제1연결링크(210) 타단부 측 또는 제2연결링크(230)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시 제3레일(243)에서 돌출되어 연결기어(241)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246)가 포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어(241)가 제1연결링크(210)의 타단부 또는 제2연결링크(230)의 타단부에 연결시 고정돌기(246)는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돌기(246)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연결기어(241)의 축을 지지하며, 사용자가 직접 연결을 해지하지 않는 이상 연결이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돌기(246)는 연결기어(241)가 제1연결링크(210) 타단부 또는 제2연결링크(230)의 타단부에서 연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어(241)가 제1연결링크(210)의 타단부 또는 제2연결링크(230)의 타단부에 연결시 고정돌기(246)는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연결을 해제시 쉽게 해제되기 위해 연결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기어(241)는 제3레일(243)의 중간 측에 위치시 제1연결링크(210) 또는 제2연결링크(230)와 테일게이트(300)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고, 테일게이트(300)의 개방시 제2축(120)이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테일게이트(300)의 개방시에도 스크린패널(100)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연결기어(241)와 제1연결링크(210) 및 제2연결링크(230)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3레일(243)의 중간 측에 연결기어(241)가 배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테일게이트(300)가 개방되더라도 스크린패널(100)이 수납되거나 제2축(120)이 상방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스크린패널 110 : 제1축
120 : 제2축 200 : 이동부
210 : 제1연결링크 211 : 제1기어
212 : 제2기어 213 : 제1와이어
214 : 제3기어 220 : 탄성부
221 : 태엽 222 : 제3와이어
230 : 제2연결링크 231 : 제2와이어
232 : 제4기어 240 : 조작부
241 : 연결기어 242 : 제4와이어
243 : 제3레일 244 : 제1연결홈
245 : 제2연결홈 246 : 고정돌기
300 : 테일게이트 410 : 제1레일
420 : 제2레일

Claims (14)

  1. 차량의 트렁크에 마련되며, 일단부가 제1축에 롤링되고 타단부가 제2축에 연결되고, 제2축의 슬라이딩을 통해 전개되거나 수납되는 스크린패널; 및
    차량의 테일게이트와 제2축의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테일게이트의 오픈시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랜패널이 수납되도록 하고 테일게이트의 클로징시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패널이 전개되도록 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부에는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전개된 스크린패널을 선택적으로 제2축의 이동방향을 제1축방향 또는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이동부에는 테일게이트가 개방시 일단부가 제1축에 연결되어 제1축을 회전시켜 제2축을 제1축 측으로 이동시켜 스크린패널을 수납시키는 제1연결링크 및 일단부가 제2축에 연결되어 테일게이트가 개방시 제2축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연결링크가 포함되고,
    조작부는 제1연결링크의 타단부 및 제2연결링크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테일게이트와 연결하여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제1축의 이동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카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연결링크에는 제1축에 연결되어 제1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기어, 제1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2기어, 제2기어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조작부와 연결되는 제3기어 및 제3기어와 제2기어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가 포함되고,
    조작부가 제1연결링크와 연결된 상태에서 테일게이트가 개방시 제1축을 회전시켜 스크린패널을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카고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연결링크에는 제2축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조작부와 연결된 제4기어 및 제2축과 제4기어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가 포함되고,
    조작부가 제2연결링크 연결된 상태에서 테일게이트가 개방시 제2축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카고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축의 단부가 삽입되어 스크린패널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전개 또는 수납을 가이드하는 제1레일; 및
    제2축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제2축의 단부가 삽입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카고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부에는 제2축과 연결되어 테일게이트가 클로징시 스크린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어 스크린패널을 전개시키는 탄성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카고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탄성부에는 스크린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태엽 및 태엽과 제2축을 연결하여 제2축에 태엽의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3와이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카고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조작부에는 제1연결링크 측 또는 제2연결링크 측으로 이동되어 연결되는 연결기어 및 연결기어와 테일게이트를 연결하는 제4와이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카고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조작부에는 연결기어가 제1연결링크 타단부 측 또는 제2연결링크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제3레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카고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조작부에는 연결기어가 제1연결링크 타단부 측 또는 제2연결링크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시 제3레일에서 돌출되어 연결기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카고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고정돌기는 연결기어가 제1연결링크 타단부 또는 제2연결링크의 타단부에서 연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카고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연결기어는 제3레일의 중간 측에 위치시 제1연결링크 또는 제2연결링크와 테일게이트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고,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제2축이 이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카고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축은 트렁크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축은 트렁크의 입구 측에 위치되어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제2축이 트렁크의 내측 또는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카고 장치.
KR1020210191211A 2021-12-29 2021-12-29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 KR20230101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211A KR20230101257A (ko) 2021-12-29 2021-12-29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211A KR20230101257A (ko) 2021-12-29 2021-12-29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257A true KR20230101257A (ko) 2023-07-06

Family

ID=8718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211A KR20230101257A (ko) 2021-12-29 2021-12-29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2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579A (ko) 2010-07-19 2012-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카고스크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579A (ko) 2010-07-19 2012-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카고스크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492B2 (en) Vehicle door belt and cam articulating mechanism
JP2006240611A (ja) 車両用ドアシステム
US7644540B2 (en)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operating multiple doors with one driving unit
CN112776572A (zh) 用于车辆的滑动/摆动复合车门
US20060163898A1 (en)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KR20170095353A (ko) 차량 내부용 보호 장치 및 승용 차량 내부용 후방 선반
KR20230101257A (ko) 차량의 카고스크린 장치
JP5330152B2 (ja) 遮蔽装置
CN113479140B (zh) 车辆内部部件和包括车辆内部部件的车辆
CN114312517B (zh) 一种乘用车后排座椅及汽车
DE102005062000B4 (de) Hutablage mit Abdeckrollo
CN113525243A (zh) 车辆内部部件和包括车辆内部部件的车辆
KR101492668B1 (ko) 차량 도어의 케이블 가이드
JP5157392B2 (ja) ルーフ開閉装置
US11912238B2 (en) Seat-integrated access system for storage in a vehicle
KR20050054248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용 케이블 감김장치
CN115092021B (zh) 一种拉索式解锁机构
JP2022071457A (ja) 車両ドア用保持装置
US20200263456A1 (en) Integrated door release and present system
KR100569344B1 (ko) 자동차 리어시트백의 다용도 스크린 장치
KR20200088126A (ko)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KR100717484B1 (ko) 차량의 더블 폴딩 시트
KR20220088970A (ko) 차량의 도어 2단 오픈구조
JP2006027371A (ja) 給電装置
KR100666271B1 (ko) 다기능 카고 스크린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