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422A -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 - Google Patents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422A
KR20230099422A KR1020210188750A KR20210188750A KR20230099422A KR 20230099422 A KR20230099422 A KR 20230099422A KR 1020210188750 A KR1020210188750 A KR 1020210188750A KR 20210188750 A KR20210188750 A KR 20210188750A KR 20230099422 A KR20230099422 A KR 20230099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wikim0135
chiroinositol
casei
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750B1 (ko
Inventor
김동섭
성낙윤
한인준
이진규
홍성욱
황혜련
정창희
Original Assignee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75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는 내열성이 우수하며, 위산과 담즙산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혈당강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하여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Lacticaseibacillus casei WiKim0135 strain with excellent chiroinositol producing ability and uses for lowering blood sugar thereof}
본 발명은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인구 노령화와 비만 인구의 증가, 운동 부족, 식습관 변화, 생활수준의 향상 등에 따라 당뇨의 유병인구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중, 당뇨병 (Diabetes)은 인슐린의 분비 결함 또는 인슐린 작용의 결함에서 기인한 만성 고혈당증 (Hyperglycemia)의 특징을 나타내는 다중적 병인의 대사장애를 말하며, 혈중의 포도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만성적인 대사장애와 이에 따른 만성적 혈관손상으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한다.
당뇨병은 대표적인 성인성 대사질환으로 세계인구의 약 5 %가 앓고 있으며, 그로 인한 인명적, 경제적 손실은 실로 막대하다.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은 경구용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안전한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인슐린 저항성 (Insulin resistance)이 가장 중요한 기전적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기전은 아직 확실하지 않으며, 다만 유전적인 소인과 환경의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3번째로 심각한 질병으로 2010년까지 약 2억 5천만명의 당뇨병환자가 예상되며, 국내의 경우에도 계속적인 증가가 예견되고 있다. 국내 사망원인 중 7번째로 높으며, 전체 당뇨병환자의 90 %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NIDDM)은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되어 성인형 당뇨병이라 불리며 인슐린을 충분히 생성시키지 못하거나 적절히 이용하지 못함으로써 야기되는 대사 장애이다.
NIDDM의 발병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서양화된 식생활 및 생활방식 등의 환경적 요인과 비만 및 운동 부족과 같은 유전적인 요인이 모두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NIDDM은 보통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으로 치료를 먼저 시도하고, 이 방법에 의한 치료 효과가 충분치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약물들이 이용되는데 많은 경우 인슐린이 사용된다.
당뇨병의 치료방법으로는 크게 식사 요법, 운동 요법, 약물 요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에 약물요법의 경우 화학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 부작용 (불편함, 거부감, 저혈당 유발 등)이 야기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인슐린은 식사요법과 경구 혈당강하제로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에게 필요하나, 인슐린은 단백질이므로 소화관에서는 가수 분해되어 비활성화되므로 구강으로는 섭취할 수 없고 정맥이나 피하 내에 주사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아이스플랜트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common ice plant)는 석죽목 번행초과 메셈브리안테움속에 속하는 염생식물로써 원산지는 남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으로 사막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평소에는 C3 광합성 수행하나 극심한 건조나 염해 조건에서는 CAM 광합성으로 전환되는 선택적 CAM (facultative CAM) 식물이다. 표면에 투명한 결정체 (bladder cell)에는 이노시톨류, 베타카로틴과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며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피니톨류의 성분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이스플랜트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2000년도 초반 함유 성분 중 피니톨을 다량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본격화되었다. 그리고, 아이스플랜트는 주로 혈당강하, 혈압강하, 중성지방 축적 억제 등의 생리적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아이스플랜트에 다수 함유되어 있는 물질인 피니톨은 생체 대사과정에서 카이로-이노시톨로 변환되며, 인슐린과 유사하게 혈중 글루코오스를 세포 내로 이동시키는 것에 관여하는 핵심 물질 (Key molecules)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성 인슐린의 역할을 한다.
D-키로-이노시톨 (D-chiro-inositol, cis-1,2,4-trans-3,5,6-cyclohexol)은 마이오-이노시톨 (myo-inositol, cis-1,2,3,5-trans-4,6-cyclohexanehexol)의 스테레오이소머로서 3번 하이드록실 그룹이 에피머화된 형태이다. 키로이노시톨은 주로 진핵생물에서 발견되며, 마이오-이노시톨의 에피머화에 의해 생합성된다. 키로이노시톨은 인슐린 신호전달계의 주요 성분으로 주사 및 경구투여 시 인슐린 작용성을 크게 개선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는 현재 의약품으로는 등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환자의 혈당강하 및 부작용 개선에 큰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보고되어 왔다. 키로이노시톨은 자연계에 극히 미량만 존재하여 그 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키로이노시톨을 합성은 화학합성 또는 미생물 발효에 의한 방법이 개발되어있다. 키로이노시톨은 주로 피니톨 (D-pinitol)이나 카스가마이신 (Kasugamycin)의 염산 가수분해에 의해 화학적인 합성을 진행할 수 있는데, 원료인 피니톨이나 카스가마이신이 고가이며, 부산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경제성이 낮은 실정이다. 키로이노시톨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으로 마이오-이노시톨 탈수소효소 (Myo-inositol dehydrogenase) 효소생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마이오-이노시톨로부터 생물전환하는 방법이 있으나, 아직까지 초기 연구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Lacticaseibacillus casei)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건강기능식품 공전 (2019년)에 따른 기준 및 규격으로 허가된 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로 사용가능한 균주로 장내미생물 군총의 균형 및 개선을 통해 장내유익균 증식과 유해균 억제에 도움을 주며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마늘, 고춧가루 등 다양한 종류와 성분의 양념이 혼합 및 함유된 우리 고유의 김치에는 원래부터 염분이 많고 강산성 환경에서 서식하여 위나 소장의 산성 소화액에서도 생존력이 강한 살아있는 식물성 유산균이 존재하며,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L. casei), 락티카제이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 paracasei), 락티플렌티바실러스 플란타룸 (L. plantarum)는 김치유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으로 위산과 담즙산 환경에서 높은 생존성과 항균 활성을 보이며 담즙산 분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장 세포 보호, 대장염 및 과민성 대장증후군 억제, 면역력 증가 등의 효과로 유제품 유래 유산균보다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유산균은 마이오-이노시톨 디하이드로게나아제 (Myo-inositol dehydrogenase) 효소를 생산하여 마이오-이노시톨을 키로이노시톨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오-이노시톨 함량이 높은 아이스플랜트를 김치 유산균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로 발효하여 고농도의 키로이노시톨로 전환하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이용하여 키로이노시톨을 높은 수율로 생산할 수 있고, 상기 생산된 키로이노시톨은 항당뇨 효과에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균주의 배양물, 배양물의 농축물, 배양물의 건조물 또는 균주의 배양 상등액을 포함하는 키로이노시톨 생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배양하는 배양 단계를 포함하는 키로이노시톨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배양하여 생성된 키로이노시톨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의 키로이노시톨 생산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키로이노시톨 (Chiroinositol)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Lacticaseibacillus casei) WiKim0135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상 용어 “키로이노시톨”은 피니톨 (Pinitol)을 산분해 시켜 메틸기를 제거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는 물질로서, 체내에서 통상적으로 발견되는 물질로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에 관여하는 매개체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키로이노시톨은 거울형 이성질체인 D-키로이노시톨, L-키로이노시톨의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하기의 화학식 I을 갖는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1
본 명세서 상 용어 “피니톨 (Pinitol)”은 수용성 탄수화물류의 일종으로 콩류나 솔잎 등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 중의 하나이다. 피니톨은 1987년 이후 전 세계 각국에서 동물실험등에서 혈당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피니톨은 섭취시 체내에서 키로이노시톨로 전환된다. 또한, 혈당조절 기능이 저하된 실험동물에 피니톨을 섭취시키면 혈당조절 기능이 유의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는 2021년 12월13일자로 대한민국 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 14820BP로 기탁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의 16s rRNA 서열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상기 균주의 배양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키로이노시톨 생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는 수탁번호 KCTC 14820BP로 기탁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의 16s rRNA 서열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Lacticaseibacillus casei) WiKim0135 균주를 배양하는 배양 단계를 포함하는 키로이노시톨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는 수탁번호 KCTC 14820BP로 기탁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의 16s rRNA 서열은 서열번호 3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키로이노시톨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 단계는 균주를 pH 3 내지 9, pH 3 내지 8, pH 3 내지 7, pH 3 내지 6, pH 3 내지 5, pH 4 내지 9, pH 4 내지 8, pH 4 내지 7, pH 4 내지 6, pH 4 내지 5, 예를 들어, pH 4.0으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 단계는 균주를 0.1 내지 1.0 %, 0.1 내지 0.9 %, 0.1 내지 0.8 %, 0.1 내지 0.7 %, 0.1 내지 0.6 %, 0.1 내지 0.5 %, 0.2 내지 1.0 %, 0.2 내지 1.0 %, 0.2 내지 0.9 %, 0.2 내지 0.8 %, 0.2 내지 0.7 %, 0.2 내지 0.6 %, 0.2 내지 0.5 %, 0.3 내지 1.0 %, 0.3 내지 0.9 %, 0.3 내지 0.8 %, 0.3 내지 0.7 %, 0.3 내지 0.6 %, 0.3 내지 0.5 %, 0.4 내지 1.0 %, 0.4 내지 0.9 %, 0.4 내지 0.8 %, 0.4 내지 0.7 %, 0.4 내지 0.6 %, 예를 들어, 0.5 % 담즙염 (bile salt)를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 단계는 균주를 20 내지 45 ℃, 20 내지 40 ℃, 25 내지 45 ℃, 25 내지 40 ℃, 30 내지 45 ℃, 30 내지 40 ℃, 35 내지 45 ℃, 35 내지 40 ℃, 예를 들어, 40 ℃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 단계는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0.05 내지 3.0 %(v/v), 0.05 내지 2.8 %(v/v), 0.05 내지 2.5 %(v/v), 0.05 내지 2.3 %(v/v), 0.05 내지 2.0 %(v/v), 0.05 내지 1.8 %(v/v), 0.05 내지 1.5 %(v/v), 0.05 내지 1.3 %(v/v), 0.05 내지 1.0 %(v/v), 0.05 내지 0.8 %(v/v), 0.05 내지 0.5 %(v/v), 0.05 내지 0.3 %(v/v), 예를 들어, 0.1 %(v/v)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 단계는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1 내지 10일, 1 내지 7일, 1 내지 4일, 2 내지 10일, 2 내지 7일, 2 내지 4일, 예를 들어, 3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 단계는 배지에 아이스플랜트 분말을 1.0 내지 20.0 % (w/w), 1.0 내지 18.0 %(v/v), 1.0 내지 15.0 %(v/v), 1.0 내지 13.0 %(v/v), 1.0 내지 11.0 %(v/v), 3.0 내지 20.0 %(v/v), 3.0 내지 18.0 %(v/v), 3.0 내지 15.0 %(v/v), 3.0 내지 13.0 %(v/v), 3.0 내지 11.0 %(v/v), 5.0 내지 20.0 %(v/v), 5.0 내지 18.0 %(v/v), 5.0 내지 15.0 %(v/v), 5.0 내지 13.0 %(v/v), 5.0 내지 11.0 %(v/v), 7.0 내지 20.0 %(v/v), 7.0 내지 18.0 %(v/v), 7.0 내지 15.0 %(v/v), 7.0 내지 13.0 %(v/v), 7.0 내지 11.0 %(v/v), 예를 들어, 10 %(w/w)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키로이노시톨 생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배지에서 배양하는 배양 단계; 및
배지에서 배양물을 분리하는 분리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배지는 갈락토스 (galctose), 글루코스 (glugose), 프락토스 (fructose), 만노스 (mannose), 만니톨 (mannitol), N-아세틸글르코사민 (N-acetylglucosamime), 아미그달린 (amygdalin), 알부틴 (arbutin), 에스큘린 (esculin), 살리신 (salicin), D-셀로비오스 (D-cellobiose), D-락토스 (D-lactose), D-트레할로스 (D-trehalose), D-멜레지토스 (D-melezitose), 젠티오비오스 (gentiobiose), D-타가토스 (D-tagatose) 및 글루콘산칼륨 (potassium glucon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탄소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는 내열성이 우수하며, 위산과 담즙산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혈당강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하여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김치 유래 유산균 17종의 마이오-이노시톨 분해 활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주의 49개의 탄소원에 대한 당이용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표성분 3종의 성분인 피니톨, 마이오이노시톨 및 키로이노시톨의 동시분석을 나타낸 GC/FID 크로마토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조건에 따른 키로이노시톨의 함량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의 내산성, 내담즙성 및 내열성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의 선발
다양한 김치 유래 유산균의 마이오-이노시톨 분해 활성을 비교하였다. 김치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김치 (14종류)를 수집하였고, 김치 파쇄액을 MRS 고체배지에 도말 및 배양하여 미생물 콜로니를 순수 분리하였다. 김치 유산균 200종을 분리하였으며, 마이오-이노시톨 어세이 키트 (Megazyme, Ireland) 분석을 통해 17종 김치 유산균을 1차 선발하였고, 각각의 김치 유산균의 마이오-이노시톨 분해 활성을 비교한 후,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7종의 김치 유래 유산균 중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종이 마이오-이노시톨 분해 활성에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백질을 검색할 수 있는 오픈 데이터베이스 (Uniprot.org)에서 각 유산균 종의 효소를 검색한 결과,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는 마이오-이노시톨을 분해하여 acetyl-coA를 합성할 수 있는 iol operon을 가지고 있었으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Lactobacillus pentosus)는 inositol transporter와 inositol phosphate phosphatase만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마이오-이노시톨 분해능이 우수한 김치미생물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실시예 2. 선발 균주의 동정
2-1. 균주의 당이용성 검사
최종 선발한 김치유산균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균주를 생화학적 분석방법인 API CHL 50 kit을 이용해 균주의 49개 탄소원에 대한 당이용성을 확인하였다. 배양기간 동안 발효된 탄소원은 산을 생성하고 pH를 낮추는데, API 50 CHL 배지에는 pH indicator가 들어 있어서 색의 변화로 양성(노란색)과 음성(보라색)을 판독하였으며, 균주의 49개 탄소원에 대한 당이용성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No. API CH50B Lacticaseibacillus casei WiKim0135
0 Control -
1 Glycerol -
2 Erythritol -
3 D-Arabinose -
4 L-Arabinose -
5 Ribose -
6 D-Xylose -
7 L-Xylose -
8 Adonitol -
9 β Methyl-xyloside -
10 Galactose +
11 D-Glucose +
12 D-Fructose +
13 D-Mannose +
14 L-Sorbose -
15 Rhamnose -
16 Dulcitol -
17 Inositol -
18 Mannitol +
19 Sorbitol -
20 α Methyl-D-mannoside -
21 α Methyl-D-glucosamine -
22 N Acetyl glucosamine +
23 Amygdaline +
24 Arbutine +
25 Esculine +
26 Salicine +
27 Cellobiose +
28 Maltose -
29 Lactose +
30 Melibiose -
31 Saccharose -
32 Trehalose +
33 Inulin -
34 Melezitose +
35 D-Raffinose -
36 Amidon -
37 Glycogen -
38 Xylitol -
39 β Gentiobiose +
40 D-Turanose -
41 D-Lyxose -
42 D-Tagatose +
43 D-Fucose -
44 L-Fucose -
45 D-Arabitol -
46 L-Arabitol -
47 Gluconate +
48 2 ceto-gluconate -
49 5 ceto-gluconate -
상기 표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갈락토스 (galctose), 글루코스 (glugose), 프락토스 (fructose), 만노스 (mannose), 만니톨 (mannitol), N-아세틸글르코사민 (N-acetylglucosamime), 아미그달린 (amygdalin), 알부틴 (arbutin), 에스큘린 (esculin), 살리신 (salicin), D-셀로비오스 (D-cellobiose), D-락토스 (D-lactose), D-트레할로스 (D-trehalose), D-멜레지토스 (D-melezitose), 젠티오비오스 (gentiobiose), D-타가토스 (D-tagatose), 글루콘산칼륨 (potassium gluconate)등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2. 균주의 분자생물학적 분석 및 계통도 분석
최종 선발한 김치유산균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균주를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자생물학적으로 동정하였다. 균주는 MRS 배지에 접종한 다음 30 ℃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수확한 균주는 멸균된 생리식염수에 균체를 2회 세척한 후, DNeasy tissue kit (Qiagen, Valecia, CA, USA)를 사용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의 16S rDNA 유전자 증폭을 위해 하기 표 2의 공통 프라이머 (universal primer)를 사용하였다.
서열번호 명칭 서열 (5'---> 3') bp
1 Forward primer GGATTAGATACCCTGGTA 18
2 Reverse primer CCGTCAATTCMTTTRAGTTT 20
PCR 반응을 위해, 0.4 mM의 dNTP, 0.5 units의 Taq polymerase 및 4 mM의 Mg2+가 함유된 Takara Perfect Premix (Takara, Japan) 10 ㎕에 DNA template (20㎍/mL) 1㎕, 1.0 μM의 정방향 프라이머와 1.0 μM의 역방향 프라이머를 각각 1 ㎕씩 넣고 나머지는 증류수를 첨가하여 총 부피가 20 ㎕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PCR 증폭은 Mastercycler gradient (Eppendorf, Hamburg, Germany)로 수행하였으며, PCR 반응은 95 ℃에서 5분 (initial denaturation), 94 ℃에서 45초(denaturation), 52 ℃에서 45초 (annealing), 72 ℃에서 1분 (extension)을 30 사이클 실시하였고, 72℃에서 5분간 최종 extension을 수행하였다.
상기 분리 균주인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균주의 16s rRNA 코딩 염기서열로 총 855 bp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서열번호 명칭 서열 (5'---> 3') bp
3 16s rRNA GCGGACGGGTGAGTAACACGTGGGTAACCTGCCCTTAAGTGGGGGATAACATTTGGAAACAGATGCTAATACCGCATAAATCCAAGAACCGCATGGTTCTTGGCTGAAAGATGGCGCAAGCTATCGCTTTTGGATGGACCCGCGGCGTATTAGCTAGTTGGTGAGGTAACGGCTCACCAAGGCGATGATACGTAGCCGAACTGAGAGGTTGATCGGCCACATTGGGACTGAGACACGGCCCAAACTCCTACGGGAGGCAGCAGTAGGGAATCTTCCACAATGGACGCAAGTCTGATGGAGCAACGCCGCGTGAGTGAAGAAGGCTTTCGGGTCGTAAAACTCTGTTGTTGGAGAAGAATGGTCGGCAGAGTAACTGTTGTCGGCGTGACGGTATCCAACCAGAAAGCCACGGCTAACTACGTGCCAGCAGCCGCGGTAATACGTAGGTGGCAAGCGTTATCCGGATTTATTGGGCGTAAAGCGAGCGCAGGCGGTTTTTTAAGTCTGATGTGAAAGCCCTCGGCTTAACCGAGGAAGCGCATCGGAAACTGGGAAACTTGAGTGCAGAAGAGGACAGTGGAACTCCATGTGTAGCGGTGAAATGCGTAGATATATGGAAGAACACCAGTGGCGAAGGCGGCTGTCTGGTCTGTAACTGACGCTGAGGCTCGAAAGCATGGGTAGCGAACAGGATTAGATACCCTGGTAGTCCATGCCGTAAACGATGAATGCTAGGTGTTGGAGGGTTTCCGCCCTTCAGTGCCGCAGCTAACGCATTAAGCATTCCGCCTGGGGAGTACGACCGCAAGGTTGAAACTCAAAG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 855
상기 수행한 염기서열을 기초로 염기서열의 상동성 검사는 등록된 정보 (Genebank database)를 대상으로 블라스트 프로그램 (Blast program, http://www.ncbi.nlm.nhi.gov)에 의해 실행하였다. 그 결과,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균주는 Lacticaseibacillus casei와 99%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부분적인 16 rRNA의 염기서열 (서열번호 3)은 GenBank에 Accession number MN759454번으로 등록되었다.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균주는 하기 표 4 및 도 3과 같이 유전적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균주의 유전자 NCBI BlastN 분석을 통한 동정결과 accession number 유사성 (%)
16S rRNA Lacticaseibacillus casei MN759454 99
따라서, 상기 균주를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로 명명하였고, 2021년 12월 13일자로 대한민국 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 14820BP를 부여 받았다.
실시예 3. 키로이노시톨 전환능 분석
3-1. 아이스플랜트를 첨가한 배지에서 균주의 생장 관찰
배지 (아이스플랜트 분말 10 %(w/v)과 Glucose 2 %(w/v))를 121 ℃, 15분 동안 멸균하였다. 그 다음, 1 % Celluclast, 1 % viscozyme을 첨가 후, 50 ℃에서 효소 반응을 진행하였고, 121 ℃, 10분 동안 열처리를 하여 효소 반응을 불활성화하여 균주를 접종할 배지를 준비하였다. 그 다음, 배지에 키로이노시톨 최대 생산을 위해 1차 발효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WiKim0134를 3.9x108 CFU/mL 접종하고 37 ℃, 2일동안 진탕배양 (shaking incubtion)을 진행하였다. 그 다음, 2차 발효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0.1 %(v/v) 접종하여 3일, 6일, 9일 동안 발효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접종 후 3일차에는 6.1x108 CFU/ml, 6일차 1.7x108 CFU/ml, 9일차 4.0x107 CFU/ml으로 생균수가 확인되었다.
3-2. 가스 크로마토 그래피 분석법
하기 표 5의 조건으로 GC-FID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를 수행하여 3종의 지표 성분인 피니톨, 키로이노시톨 및 마이오-이노시톨을 동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4 및 5에 나타내었다.
기기 GC-FID
칼럼 (column) HP-5 capillary column
(0.32 mm i.d.x30 m, 0.25 um)
주입 온도
(Inject Temp.)
280 ℃
칼럼 온도
(Column Temp.)
150 ℃에서 5분간 유지한 후, 7.5 ℃/min의 비율로 300 ℃까지 상승 후, 10분 유지
검출 온도 (Detec Temp.) 300 ℃
유속 He 1 ml/min
분할 비율 (Split ratio) 10:1
Run time 35 min
도 4 및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로 3일동안 발효한 시료에서 가장 높은 키로이노시톨 생성량인 약 302.48 mg/kg를 나타내었으며, 무처리군의 키로이노시톨 함량은 약 105.96 mg/kg으로 무처리군 대비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이용하여 아이스플랜트 발효시 약 2.85배 증가한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균주 발효 9일차로 진행되면서 키로이노시톨 함량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의 생균수도 감소하기 때문에 생균수 감소에 따른 유효성분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는 혈당강하를 위한 키로이노시톨 생성에 우수한 아이스플랜트 발효용 종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균주의 내산성, 내담즙성 및 내열성 조사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주는 장관에 도달하기 위해서 위액에 대한 내산성 뿐만 아니라, 췌장에서 십이지장까지 분비되는 담즙산에 대한 내성 또한 중요하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주는 제제화 공정에서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면 생균활성이 감소되므로, 유산균의 열 안정성은 프로바이오틱스 선정에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이에,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인 내산성, 내담즙성 및 내열성을 확인하였다.
내산성 평가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pH 4.0으로 조정한 MRS 배지에서 30 ℃로 2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약 98 %의 생존률 (p<0.05)로 내산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담즙성 평가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0.5 % 담즙염 (bile salt)를 함유한 MRS 액체배지에 24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약 95 %의 생존율을 유지하며 담즙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아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내열성 평가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40 ℃에서 1시간씩 처리한 결과, 107 %의 생존율을 나타내며 강한 내열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는 산성, 담즙 및 고온의 환경에서도 생존율이 높았으며, 우수한 프로바이오틱스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KCTC) KCTC14820BP 20211213
<110> KOREA PRIME PHARM. CO., LTD.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20> Lacticaseibacillus casei WiKim0135 strain with excellent chiroinositol producing ability and uses for lowering blood sugar thereof <130> PN210482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 ggattagata ccctggta 18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 ccgtcaattc mtttragttt 20 <210> 3 <211> 85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s rRNA <400> 3 gcggacgggt gagtaacacg tgggtaacct gcccttaagt gggggataac atttggaaac 60 agatgctaat accgcataaa tccaagaacc gcatggttct tggctgaaag atggcgcaag 120 ctatcgcttt tggatggacc cgcggcgtat tagctagttg gtgaggtaac ggctcaccaa 180 ggcgatgata cgtagccgaa ctgagaggtt gatcggccac attgggactg agacacggcc 240 caaactccta cgggaggcag cagtagggaa tcttccacaa tggacgcaag tctgatggag 300 caacgccgcg tgagtgaaga aggctttcgg gtcgtaaaac tctgttgttg gagaagaatg 360 gtcggcagag taactgttgt cggcgtgacg gtatccaacc agaaagccac ggctaactac 420 gtgccagcag ccgcggtaat acgtaggtgg caagcgttat ccggatttat tgggcgtaaa 480 gcgagcgcag gcggtttttt aagtctgatg tgaaagccct cggcttaacc gaggaagcgc 540 atcggaaact gggaaacttg agtgcagaag aggacagtgg aactccatgt gtagcggtga 600 aatgcgtaga tatatggaag aacaccagtg gcgaaggcgg ctgtctggtc tgtaactgac 660 gctgaggctc gaaagcatgg gtagcgaaca ggattagata ccctggtagt ccatgccgta 720 aacgatgaat gctaggtgtt ggagggtttc cgcccttcag tgccgcagct aacgcattaa 780 gcattccgcc tggggagtac gaccgcaagg ttgaaactca aaggaattga cgggggcccg 840 cacaagcggt ggagc 855

Claims (13)

  1. 키로이노시톨 (Chiroinositol)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Lacticaseibacillus casei) WiKim0135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는 수탁번호 KCTC 14820BP로 기탁된 것인,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의 16s rRNA 서열은 서열번호 3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균주.
  4.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Lacticaseibacillus casei) WiKim0135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상기 균주의 배양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키로이노시톨 생산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는 수탁번호 KCTC 14820BP로 기탁된 것인,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의 16s rRNA 서열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pat00004
  8.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Lacticaseibacillus casei) WiKim0135 균주를 배양하는 배양 단계를 포함하는 키로이노시톨 생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는 수탁번호 KCTC 14820BP로 기탁된 것인, 키로이노시톨 생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의 16s rRNA 서열은 서열번호 3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키로이노시톨 생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로이노시톨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인 것인, 키로이노시톨 생산방법.
    [화학식 I]
    Figure pat00005
  12.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키로이노시톨 생산방법: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를 배지에서 배양하는 배양 단계; 및
    배지에서 배양물을 분리하는 분리 단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갈락토스 (galctose), 글루코스 (glugose), 프락토스 (fructose), 만노스 (mannose), 만니톨 (mannitol), N-아세틸글르코사민 (N-acetylglucosamime), 아미그달린 (amygdalin), 알부틴 (arbutin), 에스큘린 (esculin), 살리신 (salicin), D-셀로비오스 (D-cellobiose), D-락토스 (D-lactose), D-트레할로스 (D-trehalose), D-멜레지토스 (D-melezitose), 젠티오비오스 (gentiobiose), D-타가토스 (D-tagatose) 및 글루콘산칼륨 (potassium glucon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탄소원을 포함하는 것인, 키로이노시톨 생산방법.
KR1020210188750A 2021-12-27 2021-12-27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 KR102626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750A KR102626750B1 (ko) 2021-12-27 2021-12-27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750A KR102626750B1 (ko) 2021-12-27 2021-12-27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422A true KR20230099422A (ko) 2023-07-04
KR102626750B1 KR102626750B1 (ko) 2024-01-19

Family

ID=8715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750A KR102626750B1 (ko) 2021-12-27 2021-12-27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7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4065A1 (en) * 2008-04-04 2011-05-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ellular production of glucaric acid
KR20140040509A (ko) 2012-09-26 2014-04-03 주식회사 디와이내츄럴 미생물을 이용한 d-카이로 이노시톨의 생산 방법
KR102000703B1 (ko) * 2018-01-17 2019-07-16 이창호 아이스플랜트, 양파, 오미자 및 강황 발효액을 포함하는 혈당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4065A1 (en) * 2008-04-04 2011-05-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ellular production of glucaric acid
KR20140040509A (ko) 2012-09-26 2014-04-03 주식회사 디와이내츄럴 미생물을 이용한 d-카이로 이노시톨의 생산 방법
KR102000703B1 (ko) * 2018-01-17 2019-07-16 이창호 아이스플랜트, 양파, 오미자 및 강황 발효액을 포함하는 혈당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21 한국생물공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국제심포지엄, Poster No.P0123, pp.291(2021.10.06.~09.)* *
Appl. Environ. Microbiol., Vol.73, pp.3850-3858(2007.) *
Nat. Commun., Vol.12, Article No.4798(2021.08.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750B1 (ko)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115B1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34361B1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46 균주 및 이의 용도
EP1988155B1 (en) LACTIC ACID BACTERIUM CAPABLE OF PRODUCIN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KR102013565B1 (ko) 글리세롤로부터 루테린을 고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oh0335 균주 및 이의 용도
US9603880B2 (en) Composition containing bacterium belonging to genus lactobacillus
KR20190068026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k-022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101736324B1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
Chipirom et al. Comamonas terrae sp. nov., an arsenite-oxidizing bacterium isolated from agricultural soil in Thailand
KR101005747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100991456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20130107940A (ko) 발효 홍삼 제조방법
KR102622613B1 (ko)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파라카제이 WiKim0136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
KR102626750B1 (ko) 키로이노시톨 생성능이 우수한 락티카제이 바실러스 카제이 WiKim0135 균주 및 이의 혈당강하 용도
Kim et al.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as a probiotic
KR100457002B1 (ko) 유해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생물 첨가제
KR20140087518A (ko)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배양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481791B1 (ko) 오르니틴 생산력이 우수한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dm-9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청국장의 제조방법
KR100803532B1 (ko) 내산성, 내담즙성의 적응력이 강하고,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알파-갈락토시데이지 효소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에스피 살리바리우스 df20(kctc10942bp) 미생물
KR101607532B1 (ko)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능을 갖는 웨이셀라 컨퓨사 wikim2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U2014254812A1 (en) Bacterium belonging to genus Lactobacillus
KR101734363B1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688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544180B1 (ko) 공액리놀레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균제제와 공액리놀레산이 증대된 식품
KR101341649B1 (ko)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식물 유래 유산균 및 그 용도
KR20220080493A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발효한 생강의 기능성
KR100782048B1 (ko) 폐감귤박 배지에서 생장하는 신규 바실러스 속 ls 1-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프로바이오틱스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