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203A -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양면 접착테이프 - Google Patents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양면 접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203A
KR20230099203A KR1020210188372A KR20210188372A KR20230099203A KR 20230099203 A KR20230099203 A KR 20230099203A KR 1020210188372 A KR1020210188372 A KR 1020210188372A KR 20210188372 A KR20210188372 A KR 20210188372A KR 20230099203 A KR20230099203 A KR 20230099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ubstrate
double
polymer
sided adhesive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022B1 (ko
Inventor
윤영훈
안지훈
Original Assignee
다이텍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텍연구원 filed Critical 다이텍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8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0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9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양면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고분자칩을 용융압출함으로써 두께가 200 내지 300㎛인 고분자기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기재의 일면과 타면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착제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고분자기재의 일면과 타면에 두께가 100 내지 200㎛인 접착층을 형성하여 양면 접착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양면 접착테이프{MANUFACTURING METHOD OF DOUBLE-SIDED ADHESIVE TAPE AND DOUBLE SIDED ADHESIVE TAPE}
본 발명은 골판지의 제조시 골판지 내부에 적층되어 골판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양면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판지는 판지의 일면 또는 두 장의 판지 사이에 물결모양으로 골이 진 골심지가 접착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가벼우면서도 충격흡수능력이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하여 포장재 및 내장재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골판지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으나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대부분의 골판지가 종이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습기와 같은 외부의 영향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종이 소재로 이루어진 골판지의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골판지의 외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골판지의 내구성을 보완하고자 하였으나, 골판지의 외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함에 따라 접착테이프가 외부로 노출되어 접착테이프가 외부 영향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면 내구성 향상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골판지의 내부에 적층되고 판지와 골심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착하여 골판지의 내구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골판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면 접착테이프를 개발하고자 거듭된 연구와 실험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095226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골판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골판지의 판지와 골심지 사이에 삽입되어 골판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양면 접착테이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고분자칩을 용융압출함으로써 두께가 200 내지 300㎛인 고분자기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기재의 일면과 타면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착제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고분자기재의 일면과 타면에 두께가 100 내지 200㎛인 접착층을 형성하여 양면 접착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고, 두께가 200 내지 300㎛인 고분자기재; 및 상기 고분자기재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되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두께가 100 내지 200㎛인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양면 접착테이프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골판지의 판지와 골심지 사이에 삽입되고, 판지와 골심지에 효과적으로 접착되어 골판지의 인장강도 및 파열강도를 포함하는 기계적 물성을 효과적으로 상승시켜 골판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필라멘트를 일일이 정렬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골판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면 접착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가 골판지의 골심지와 판지 사이에 삽입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의 고분자기재 제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의 고분자기재 제조단계에서 이용되는 테이프다이와 슬릿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의 고분자기재 제조단계에서 이용되는 슬릿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의 양면 접착테이프 제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품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테이프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은 고분자기재 제조단계(S100)와 양면 접착테이프 제조단계(S200)를 포함한다.
고분자칩을 용융압출함으로써 복수 개의 필라멘트(111)가 집속되어 형성되고, 매트릭스 형상을 가지며, 두께가 200 내지 300㎛인 고분자기재(110)를 제조한다(S100).
고분자기재 제조단계(S100)에서 용융압출되는 고분자칩은 고분자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칩에 구성될 수 있는 고분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분자기재 제조단계(S100)에서 용융압출되는 고분자칩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인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고분자기재 제조단계(S100)에서 용융압출되는 고분자칩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수평균분자량은 20,000 내지 100,000g/mol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30,000g/mol일 수 있다.
고분자기재 제조단계(S100)에서 용융압출되는 고분자칩의 수평균분자량이 20,000g/mol 미만이면 고분자기재(110)의 기계적 물성이 너무 떨어질 수 있고, 100,000g/mol을 초과하면 고분자칩의 용융이 어렵고, 제조되는 고분자기재(110)의 유연성이 너무 떨어질 수 있다.
고분자기재 제조단계(S100)는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 압출 단계(S120) 및 제1권취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는 고분자칩을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에서 고분자칩을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윈스크류 압출기(30)를 이용할 수 있고, 트윈스크류 압출기(30)는 고분자칩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트윈스크류를 구비하여 투입부에 투입된 고분자칩을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용융부 및 용용부에서 제조된 용융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에서 고분자칩을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트윈스크류 압출기(30)에 구비되는 트윈스크류의 회전속도는 40 내지 60RPM일 수 있다.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에서 고분자칩을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트윈스크류 압출기(30)에 구비되는 트윈스크류의 회전속도가 40RPM 미만이거나 60RPM을 초과하면 고분자칩의 용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에서 고분자칩을 용융하는 트윈스크류 압출기(30)에 구비되는 트윈스크류의 회전속도는 50RPM일 수 있다.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에서 고분자칩을 용융하는 트윈스크류 압출기(30)에 구비되는 트윈스크류의 온도, 즉, 고분자기재 제조단계(S100)에서 고분자칩이 용융되는 온도는 고분자칩에 구성되는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60 내지 280℃일 수 있다.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에서 고분자칩이 용융되는 온도가 160℃ 미만이면 용융온도가 너무 낮아 고분자칩의 용융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280℃를 초과하면 용융온도가 너무 높아 고분자칩이 열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에서 고분자칩이 용융되는 온도는 고분자칩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경우 260 내지 280℃일 수 있고, 나일론으로 구성되는 경우 240 내지 260℃일 수 있으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구성되는 경우 160 내지 200℃일 수 있다.
압출 단계(S120)는 소정 형상을 갖는 테이프다이(11)를 이용해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에서 제조된 용융물을 압출하여 복수 개의 필라멘트(111)가 집속되어 형성되고, 매트릭스 형상을 가지며, 두께가 300 내지 400㎛인 고분자기재(110)를 압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압출 단계(S120)는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에서 트윈스크류 압출기(30)의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용융물을 내부에 내부공간(A)과 토출공간(B)이 형성되고 슬릿부재(12)를 구비하는 테이프다이(11)를 통과하도록 하여 압출함으로써 고분자기재(110)를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에서 용융되는 용융물은 테이프다이(11)의 상부로 공급되어 테이프다이(11)를 통과함으로써 압출되어 테이프다이(11)의 하부 방향으로 압출될 수 있다.
압출 단계(S120)에서 이용되는 테이프다이(11)는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에서 트윈스크류 압출기(30)의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용융물을 압출함으로써,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분자기재(110)를 토출하는 것일 수 있다.
압출 단계(S120)에서 이용되는 테이프다이(11)는 고분자칩 용융단계(S110)에서 트윈스크류 압출기(30)의 배출부와 연결되어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용융물을 공급받아 내부공간(A)의 상부로 투입시키고, 투입된 용융물이 토출공간(B)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통과하여 고분자기재(110)를 외부로 압출하는 것일 수 있다.
압출 단계(S120)에서 이용되는 테이프다이(11)의 내부에는 고분자 용융단계(S110)에서 트윈스크류 압출기(30)의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용융물이 투입되는 내부공간(A)과, 내부공간(A) 및 외부와 연통되어 내부공간(A)에 투입된 용융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공간(B)이 내벽으로 둘러쌓여 형성될 수 있다.
테이프다이(11)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A)과 토출공간(B) 사이에는 내부공간(A)에 투입된 용융물이 통과하는 복수 개의 홀(C)이 형성된 슬릿부재(12)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슬릿부재(12)는 테이프다이(11)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A)과 토출공간(B)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A)과 토출공간(B)이 연통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공간(A)에 투입된 용융물이 통과하는 복수 개의 홀(C)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부재(12)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C)을 통과한 용융물은 복수 개의 필라멘트 형태로 분리될 수 있다.
슬릿부재(12)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C)을 통과한 복수 개의 필라멘트 형태를 갖는 용융물은 토출공간(B)을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필라멘트 형태를 갖는 용융물은 토출공간(B)을 통과하면서 필라멘트의 길이 방향으로 용융물을 구성하는 고분자사슬의 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슬릿부재(12)는 용융물을 구성하는 고분자사슬의 배향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A) 방향으로 돌출되어 굴곡진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슬릿부재(12)는 내부공간(A)과 토출공간(B)이 연통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부분이 내부공간(A) 방향으로 돌출되어 굴곡진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홀(C)이 형성된 부분이 내부공간(A) 방향으로 돌출되어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슬릿부재(12)는 상부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보다 자세하게는 내부공간(A)과 토출공간(B)이 연통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부분이 상부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릿부재(12)가 내부공간(A) 방향으로 돌출되어 굴곡진 형상을 가지면 슬릿부재(12)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C)과 토출공간(B)의 하단이 상대적으로 거리가 멀어져 복수 개의 홀(C)을 통과한 복수 개의 필라멘트 형태를 갖는 용융물이 상대적으로 오래 토출공간(B)을 통과함에 따라, 필라멘트의 길이 방향으로 용융물을 구성하는 고분자사슬의 배향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공간(B)은 슬릿부재(12)를 통과한 복수 개의 필라멘트 형태를 갖는 용융물을 집속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토출공간(B)을 둘러싼 내벽 사이의 간격은 외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즉, 토출공간(B)을 둘러싼 내벽 사이의 간격이 외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짐에 따라, 슬릿부재(12)를 통과한 복수 개의 필라멘트 형태를 갖는 용융물이 토출공간(B)을 통과함으로써 집속되어 복수 개의 필라멘트(111)가 집속되어 형성되고 매트릭스 형상을 갖는 고분자기재(110)가 테이프다이(11) 외부로 압출될 수 있다.
테이프다이(11)로부터 압출되는 고분자기재(110)가 복수 개의 필라멘트(111)가 집속되어 형성되고 매트릭스 형상을 가지면 고분자기재(110)를 구성하는 고분자사슬(polymer chain)이 필라멘트(111)의 길이 방향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분자기재(110)의 기계적 물성이 보다 향상됨으로써 양면 접착테이프(100)의 기계적 물성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압출 단계(S120)에서 제조되는 고분자기재(110)는 두께가 300 내지 400㎛ 일 수 있고, 이를 위해 토출공간(B)을 둘러싼 내벽 사이의 간격은 외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되, 최대로 좁아졌을 때의 간격인 최소 간격이 300 내지 400㎛일 수 있다.
압출 단계(S120)에서 제조되는 고분자기재(110)의 두께가 300㎛ 미만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양면 접착테이프(100)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양면 접착테이프(100)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압출 단계(S120)에서 제조되는 고분자기재(110)의 두께가 400㎛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양면 접착테이프(100)의 두께가 너무 굵어져 양면 접착테이프(100)를 골판지의 골심지(21)와 판지(22) 사이에 삽입하면 골심지(21)와 판지(22)가 서로 이격됨에 따라 골판지 내부에 삽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1권취단계(S130)는 압출 단계(S120)에서 압출되어 얻어지는 고분자기재(110)를 테이프다이(11)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제1권취롤러(13)에 권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1권취단계(S130)에서 고분자기재(110)가 권취되는 제1권취롤러(13)는 고분자기재(110)가 압출되는 테이프다이(11)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되, 테이프다이(11)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회전하여 테이프다이(11)로부터 압출되는 고분자기재(110)를 권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제1권취단계(S130)에서 고분자기재(110)가 권취되는 제1권취롤러(13)는 테이프다이(11)의 고분자기재(110)가 압출되는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권취롤러(13)가 테이프다이(1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함에 따라, 테이프다이(11)로부터 압출된 고분자기재(110)가 제1권취롤러(13)에 권취되기 전 공랭될 수 있다.
또한, 제1권취롤러(13)가 테이프다이(11)와 수직한 방향의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함에 따라 테이프다이(11)로부터 압출된 고분자기재(110)는 중력에 의해 신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분자기재(110)를 구성하는 고분자의 사슬이 고분자기재(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어 고분자기재(110)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압출 단계(S120)에서 테이프다이(11)로부터 고분자기재(110)가 압출될 때 고분자기재(110)는 완전히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동성을 갖는 상태일 수 있고, 제1권취롤러(13)와 테이프다이(11)에 형성된 간격을 지나면서 냉각되어 완전히 고화될 수 있다.
이때, 테이프다이(11)에서 압출되는 고분자기재(110)는 중력과 제1권취롤러(13)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힘에 의해 신장되어 고분자기재(110)를 구성하는 고분자의 사슬이 고분자기재(110)의 길이방향으로 더욱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분자기재(110)의 기계적 물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분자기재(110)는 제1권취롤러(13)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전술한 중력과 힘에 의해 두께가 얇아질 수 있고, 테이프다이(11)로부터 압출되는 고분자기재(110)의 두께가 300 내지 400㎛이면 제1권취롤러(13)에 권취되는 고분자기재(110)는 300 내지 400㎛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200 내지 3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권취단계(S130)에서 고분자기재(110)의 권취에 이용되는 제1권취롤러(13)와 테이프다이(11) 사이의 간격은 40 내지 60cm일 수 있다.
제1권취롤러(13)와 테이프다이(11) 사이의 간격이 40cm 미만이면 제1권취롤러(13)에 권취되는 고분자기재(110)를 구성하는 고분자의 사슬이 고분자기재(110)의 길이방향으로 충분히 배향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제1권취롤러(13)와 테이프다이(11) 사이의 간격이 60cm를 초과하면 고분자기재(110)를 구성하는 고분자의 사슬이 충분히 배향되어 제1권취롤러(13)와 테이프다이(11)이 더 이격되는 것이 의미가 없고, 오히려 고분자기재(110)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양면 접착 테이프(100)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권취단계(S130)에서 고분자기재(110)의 권취에 이용되는 제1권취롤러(13)와 테이프다이(11) 사이의 간격은 50cm일 수 있다.
압출 단계(S120)에서 고분자기재(110)가 압출되는 속도는 제1권취롤(12)에 고분자기재(110)가 권취되기 이전에 고분자기재(110)를 구성하는 고분자의 사슬이 고분자기재(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도록 제1권취단계(S130)에서 고분자기재(110)의 권취에 이용되는 제1권취롤러(13)의 회전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다.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 접착제수지(J)를 도포함으로써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 접착층(120)을 형성하여 양면 접착테이프를 제조한다(S200).
양면 접착테이프 제조단계(S200)에서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수지(J)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와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접착제수지(J)는 초산비닐 함유량이 20 내지 40wt%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제수지(J)에 구성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초산비닐 함유랑이 20wt% 미만이거나 40wt%를 초과하면 접착제수지(J)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낮아져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 접착제수지(J)를 도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접착제수지(J)에 구성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초산비닐 함유랑이 40wt%를 초과하면 접착제수지(J)의 점도가 너무 낮아지고, 접착제수지(J)의 냉각에 따라 형성되는 접착층(120)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짐에 따라 양면 접착테이프(100)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착제수지(J)는 ASTM D1238 규격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용융 지수(Melt Index)가 135 내지 165g/10min일 수 있다.
접착제수지(J)의 용융 지수가 135g/10min 미만이면 접착제수지(J)의 점도가 너무 높아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 접착제수지(J)를 도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접착제수지(J)의 용융 지수가 165g/10min 미만이면 접착제수지(J)의 점도가 너무 낮아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 접착제수지(J)를 도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접착층(120)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짐에 따라 양면 접착테이프(100)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양면 접착테이프 제조단계(S200)는 제1도포단계(S210), 제2도포단계(S220) 및 제2권취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포단계(S210)는 제1도포롤러(14)와, 제1도포롤러(14)와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고정롤러(15) 사이에 고분자기재(110)를 통과시켜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에 접착제수지(J)를 도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1도포단계(S210)에서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에 접착제수지(J)가 도포됨에 따라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에 접착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도포단계(S210)는 제1권취롤러(13)에 권취된 고분자기재(110)를 언와인딩하면서 언와인딩된 고분자기재(110)를 제1도포롤러(14)와 고정롤러(15) 사이에 통과시켜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에 접착제수지(J)를 도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고정롤러(15)는 제1도포롤러(14)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1도포롤러(14)의 표면에 접촉된 고분자기재(110)가 제1도포롤러(1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제1도포롤러(14)는 접착제용기(16)의 내부에 수용된 접착제수지(J)에 하부가 침지된 것일 수 있고, 회전함에 따라 표면에 접착제수지(J)가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접착제용기(16)는 내부에 수용된 접착제수지(J)가 제1도포롤러(14)의 표면에 도포되어 고분자기재(11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도록 접착제수지(J)를 130 내지 150℃로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제1도포롤러(14)의 표면온도는 접착제수지(J)가 고분자기재(11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으면서도 고분자기재(110)에 도포된 접착제수지(J)가 고분자기재(11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유동성을 갖도록 110 내지 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포롤러(14)의 표면온도가 110℃ 미만이면 접착제수지(J)의 고화가 다수 이루어져 고분자기재(110)에 접착제수지(J)의 도포가 어려울 수 있고, 130℃를 초과하면 접착제수지(J)의 유동성이 너무 커 고분자기재(110)에 도포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고분자기재(110)로부터 접착제수지(J)가 이탈할 수 있다.
제1도포단계(S210)에서 고분자기재(110)는 제1도포롤러(14)와 고정롤러(15) 사이를 통과하면서 일면이 제1도포롤러(14)의 표면과 접촉되어 일면에 제1도포롤러(14)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수지(J)가 도포될 수 있다.
제1도포단계(S210)는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에 접착제수지(J)가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도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에 접착제수지(J)의 도포시 도트 무늬와 사선 무늬 중 어느 하나의 무늬로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도트 무늬는 접착제수지(J)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도트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무늬를 의미할 수 있고, 사선 무늬는 접착제수지(J)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사선이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무늬를 의미할 수 있다.
제1도포단계(S210)에서 이용되는 제1도포롤러(14)는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에 접착제수지(J)가 도트 무늬와 사선 무늬 중 어느 하나의 무늬로 도포될 수 있도록 표면에 복수 개의 제1홈(D)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홈(D)은 도트와 사선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도포롤러(14)의 표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도포단계(S210)는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에 접착제수지(J)의 도포시 도트 무늬와 사선 무늬 중 어느 하나의 무늬로 접착제수지(J)를 도포하되, 도포되는 접착제수지(J)의 양은 도포된 접착제수지(J)의 넓이가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의 넓이 대비 20 내지 30%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층(120)의 넓이는 고분자기재(110) 일면의 넓이 대비 20 내지 30%일 수 있다.
제1도포단계(S210)에서 도포되는 접착제수지(J)의 양이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의 넓이 대비 20% 미만이면 도포되는 접착제수지(J)의 양이 적어 양면 접착테이프(100)가 골판지의 판지(22)와 골심지(21) 사이에 효과적으로 접착되지 못할 수 있고, 30%를 초과하면 판지(22)와 골심지(21) 사이에 접착되기 위한 접착제수지(J)의 양이 충분하여 더 이상의 접착제 수지의 증량이 의미가 없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도포단계(S210)는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수지(J)의 양은 도포된 접착제수지(J)의 넓이가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의 넓이 대비 24%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제2도포단계(S220)는 제1도포롤러(14)와 고정롤러(15)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표면에 접착제수지(J)를 도포하는 도포수단(17)이 상부에 구비된 제2도포롤러(18)의 하부면을 고분자기재(110)가 접촉하면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에 제2도포롤러(18)에 도포된 접착제수지(J)를 도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도포단계(S220)에서 이용되는 제2도포롤러(18)가 제1도포롤러(14)와 소정간격 이격됨에 따라 제1도포단계(S210)에서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120)을 구성하는 접착제수지(J)가 냉각되어 고화될 수 있다.
제2도포단계(S220)는 제2도포롤러(18)의 하부면에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을 접촉하여 제2도포롤러(18)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수지(J)를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에 도포함으로써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에 접착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도포단계(S220)에서 이용되는 제2도포롤러(18)의 표면에 접착제수지(J)의 도포는 도포수단(17)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포수단(17)은 제2도포롤러(18)의 상부에 제2도포롤러(18)와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제2도포롤러(18)의 상부 측으로 접착제수지(J)를 토출하는 것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도포롤러(18)의 표면에는 접착제수지(J)가 도포될 수 있다.
이때, 도포수단(17)은 토출되는 접착제수지(J)가 제2도포롤러(18)의 표면에 도포되어 고분자기재(11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도록 접착제수지(J)를 130 내지 150℃로 가열하여 토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도포롤러(18)의 표면온도는 접착제수지(J)가 고분자기재(11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으면서도 고분자기재(110)에 도포된 접착제수지(J)가 고분자기재(11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유동성을 갖도록 110 내지 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포롤러(18)의 표면온도가 110℃ 미만이면 접착제수지(J)의 고화가 다소 이루어져 고분자기재(110)에 접착제수지(J)의 도포가 어려울 수 있고, 130℃를 초과하면 접착제수지(J)의 유동성이 너무 커 고분자기재(110)에 도포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고분자기재(110)로부터 접착제수지(J)가 이탈할 수 있다.
제2도포단계(S220)는 제1도포단계(S210)와 대응되도록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에 접착제수지(J)를 도트 무늬와 사선 무늬 중 어느 하나의 무늬로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도포단계(S220)에서 이용되는 제2도포롤러(18)는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에 접착제수지(J)가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대응되게 도트 무늬와 사선 무늬 중 어느 하나의 무늬로 도포될 수 있도록 표면에 복수 개의 제2홈(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홈(E)은 제1도포롤러(14)에 형성된 제1홈(D)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도포롤러(14)에 제1홈(D)이 형성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도포롤러(18)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도포단계(S220)는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에 접착제수지(J)의 도포시 도트 무늬와 사선 무늬 중 어느 하나의 무늬로 접착제수지(J)를 도포하되, 도포되는 접착제수지(J)의 양은 도포된 접착제수지(J)의 넓이가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의 넓이 대비 20 내지 30%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120)의 넓이는 고분자기재(110) 일면의 넓이 대비 20 내지 30%일 수 있다.
제2도포단계(S220)에서 도포되는 접착제수지(J)의 양이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의 넓이 대비 20% 미만이면 도포되는 접착제수지(J)의 양이 적어 양면 접착테이프(100)가 골판지의 판지(22)와 골심지(21) 사이에 효과적으로 접착되지 못할 수 있고, 30%를 초과하면 판지(22)와 골심지(21) 사이에 접착되기 위한 접착제수지(J)의 양이 충분하여 더 이상의 접착제 수지의 증량이 의미가 없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도포단계(S220)는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에 접착제수지(J)의 도포시 도포되는 접착제수지(J)의 양은 도포된 접착제수지(J)의 넓이가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의 넓이 대비 24%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제1도포단계(S210)와 제2도포단계(S220)는 접착제수지(J)를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도포함으로써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 각각에 두께가 100 내지 200㎛인 접착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1도포단계(S210)와 제2도포단계(S220)에서 형성되는 접착층(120)의 두께가 100㎛ 미만이면 접착층(120)의 두께가 얇음으로 인해 접착제수지(J)의 양이 적어 양면 접착테이프(100)가 골판지의 골심지(21)와 판지(22)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될 때 접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제1도포단계(S210)와 제2도포단계(S220)에서 형성되는 접착층(120)의 두께가 200㎛를 초과이면 양면 접착테이프(100)가 골판지의 골심지(21)와 판지(22)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될 때 접착되기 위한 접착제수지(J)의 양이 충분하여 더 이상의 접착제수지(J)의 양이 증가하는 것이 의미가 없을 수 있다.
또한, 접착층(120)의 두께가 너무 굵어지는 경우 양면 접착테이프(100)가 골판지의 골심지(21)와 판지(22) 사이에 삽입될 때 접착층(120)의 두께로 인해 골심지(21)와 판지(22) 사이가 서로 이격되어 골심지(21)와 판지(22)가 맞닿지 않아 골판지의 제조에 오히려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제1도포단계(S210)와 제2도포단계(S220)에서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 각각에 두께가 100 내지 200㎛인 접착층(1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도포롤러(14)와 제2도포롤러(18)의 회전 속도는 550 내지 650RPM일 수 있다.
제1도포롤러(14)와 제2도포롤러(18)의 회전 속도가 550RPM 미만이면 제1도포롤러(14)와 제2도포롤러(18)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수지(J)의 두께가 굵어져 접착층(120)의 두께가 굵어질 수 있고, 650RPM을 초과하면 제1도포롤러(14)와 제2도포롤러(18)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수지(J)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고분자기재(110)에 형성되는 접착층(120)의 두께가 너무 얇아질 수 있다.
제2권취단계(S230)는 일면과 타면에 접착제수지(J)가 도포된 고분자기재(110)를 제2도포롤러(18)와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2권취롤러(19)에 권취하여 일면과 타면에 상기 접착층(120)이 형성된 양면 접착테이프(100)를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권취단계(S230)에서 고분자기재(110)의 권취에 사용되는 제2권취롤러(19)가 제2도포롤러(18)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됨에 따라 제2권취롤러(19)와 제2도포롤러(18) 사이에서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 도포된 접착제수지(J)의 냉각이 이루어짐에 따라,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 접착층(120)이 형성되어 양면 접착테이프(100)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권취롤러(19)는 제2도포롤러(18)로부터 40 내지 60cm 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권취롤러(19)와 제2도포롤러(18) 사이가 40cm 미만으로 이격되면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 도포된 접착제수지(J)의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60cm를 초과하면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 도포된 접착제수지(J)의 냉각이 충분히 이루어져 더 이상의 냉각이 의미가 없을 수 있다.
<실시예 1>
종래기술에 따른 트윈스크류 압출기(30)를 이용하여 고분자칩을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트윈스크류 압출기(30)에 구비되는 트윈스크류의 회전속도는 50RPM이 되도록 하였고, 트윈스크류의 온도는 180℃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고분자칩은 수평균분자량이 30,000g/mol인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용융물을 테이프다이(11)를 이용해 압출하여 고분자기재(110)를 제조하였다.
이때, 테이프다이(11)는 트윈스크류 압출기(30)의 배출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용융물이 투입되는 내부공간(A)과, 내부공간(A) 및 외부와 연통되어 내부공간(A)에 투입된 용융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공간(B)이 내벽으로 둘러쌓여 형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토출공간(B)을 둘러싼 테이프다이(11) 내벽 사이의 간격은 외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되, 최대로 좁아졌을 때의 간격인 최소 간격이 300㎛였다.
테이프다이(11)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A)과 토출공간(B) 사이에는 내부공간(A)에 투입된 용융물이 통과하는 복수 개의 홀(C)이 형성된 슬릿부재(12)가 구비되었다.
즉, 복수 개의 필라멘트(111)가 집속되어 형성되고, 매트릭스 형상을 가지며, 두께가 300㎛인 두께인 고분자기재(110)를 테이프다이(11)를 이용해 압출하였다.
테이프다이(11)로부터 압출되는 고분자기재(110)를 제1권취롤러(13)에 권취하였다.
이때, 제1권취롤러(13)는 테이프다이(11)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되, 테이프다이(11)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50cm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이용하였다.
테이프다이(11)와 제1권취롤러(13)가 소정 간격 이격됨에 따라, 제1권취롤러(13)에 권취된 고분자기재(110)의 두께는 300㎛에서 200㎛로 수축하였다.
제1권취롤러(13)에 권취된 고분자기재(110)를 언와인딩하면서 언와딩되는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 접착제수지(J)를 도포함으로써 일면과 타면에 접착층(120)이 형성된 양면 접착테이프(100)를 제조하였다.
이때, 접착제수지(J)는 초산비닐 함유량이 28wt%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되어 용융지수가 150g/min인 것을 사용하였다.
보다 자세하게, 제1권취롤러(13)에 권취된 고분자기재(110)를 언와인딩하면서 제1도포롤러(14)와 고정롤러(15) 사이에 고분자기재(110)를 통과시키면서 고분자기재(110)의 일면에 제1도포롤러(14)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수지(J)를 도포하였다.
이때, 제1도포롤러(14)의 표면온도는 120℃이며, 접착제용기(16)의 내부에 수용되어 140℃로 가열된 접착제수지(J)에 하부가 침지된 상태였다.
일면에 접착제수지(J)가 도포된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을 제2도포롤러(18)의 하부면에 접촉시켜서 고분자기재(110)의 타면에 접착제수지(J)를 도포하였고, 일면과 타면에 접착제수지(J)가 도포된 고분자기재(110)를 제2도포롤러(18)로부터 50cm 간격만큼 이격된 제2권취롤러(19)에 권취함으로써 일면과 타면에 두께가 150㎛인 접착층(120)이 형성된 양면 접착테이프(100)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2도포롤러(18)의 상부에는 140℃인 접착제수지(J)를 제2도포롤러(18)의 상부면에 토출하는 도포수단(17)이 구비되고, 제2도포롤러(18)의 표면온도는 120℃였다.
또한, 제1도포롤러(14)와 제2도포롤러(18)는 도트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1홈(D)과 제2홈(E)이 각각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반복형성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제1도포롤러(14)와 제2도포롤러(18)의 회전속도는 600RPM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에는 도트 무늬를 가지고, 고분자기재(110)의 일면과 타면 각각의 넓이 대비 24%인 넓이를 가지는 접착층(120)이 각각 형성되었다.
<시험예>
시험예에서는 실시예 1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100)가 골판지의 골심지(21)와 판지(22)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골판지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골심지(21)와 판지(22) 사이에 양면 접착테이프(100)가 삽입된 골판지의 인장강도와 파열강도를 시험하였다.
또한, 양면 접착테이프(100)가 골판지에 효과적으로 접착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1) 시편의 제작
골이 1.3~1.4mm 간격을 두고 반복 형성된 골심지(21)가 한 쌍의 판지(22) 사이에 구비되고, 두께가 1.2~1.6mm인 E골(E-FLUTE, SINGLE WALL) 골판지의 골심지(21)와 판지(22) 사이에 실시예 1에 따른 양면 접착테이프를 삽입하고, 130℃로 열프레스함으로써 양면 접착테이프(100)를 골심지(21)와 판지(22)사이에서 접착시켜 양면 접착테이프(100)가 삽입된 시편을 제조하였다.
(2) 인장강도 측정
KS K 0521: 스트립법 규격에 준거한 측정방법으로 실시예 1에 따른 시편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3) 파열강도 측정
KS M ISO 2758 규격에 준거한 측정방법으로 실시예 1에 따른 시편의 파열강도를 측정하였다.
(4) 박리강도 측정
ASTM D903 규격에 준거한 측정방법으로 실시예 1에 따른 시편의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5) 시험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시편의 인장강도, 파열강도 및 박리강도 측정 결과를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
인장강도 220N
파열강도 7.8kgf/cm2
박리강도 기재파열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시편이 인장강도가 200N, 파열강도가 7.8kgf/cm2 및 박리강도가 종이-스트랩 박리 시 종이가 찢겨져 스트랩에 붙어나갈 정도 수준인 기재파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테이프다이, 12: 슬릿부재,
13: 제1권취롤러, 14: 제1도포롤러,
15: 고정롤러, 16: 접착제용기, 17: 도포수단,
18: 제2도포롤러, 19: 제2권취롤러,
21: 골심지, 22: 판지,
30: 트윈스크류 압출기,
A: 내부공간, B: 토출공간, C: 홀,
D: 제1홈, E: 제2홈,
J: 접착제수지,
100: 양면 접착테이프,
110: 고분자기재, 111: 필라멘트,
120: 접착층,
S100: 고분자기재 제조단계,
S110: 고분자칩 용융단계, S120: 압출 단계, S130: 제1권취단계,
S200: 양면 접착테이프 제조단계,
S210: 제1도포단계, S220: 제2도포단계, S230: 제2권취단계.

Claims (6)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고분자칩을 용융압출함으로써 두께가 200 내지 300㎛인 고분자기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기재의 일면과 타면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착제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고분자기재의 일면과 타면에 두께가 100 내지 200㎛인 접착층을 형성하여 양면 접착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기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칩을 160 내지 280℃로 가열하여 상기 고분자칩이 용융된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테이프다이를 이용해 상기 용융물을 압출하여 두께가 300 내지 400㎛인 상기 고분자기재를 압출하는 단계; 및
    압출된 상기 고분자기재를 상기 테이프다이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제1권취롤러에 권취하여 두께가 200 내지 300㎛인 상기 고분자기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형성되고 매트릭스 형태를 갖는 상기 고분자기재를 압출하는 것이고,
    상기 권취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다이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상기 테이프다이와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상기 제1권취롤러에 상기 고분자기재를 권취하는 것
    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접착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는
    권취된 상기 고분자기재를 언와인딩하면서 표면에 상기 접착제수지가 도포된 제1도포롤러와 상기 제1도포롤러에 이격되게 위치한 고정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상기 고분자기재의 일면에 상기 접착제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도포롤러와 상기 고정롤러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표면에 상기 접착제수지를 도포하는 도포수단이 구비된 제2도포롤러의 하부면을 상기 고분자기재가 접촉하여 통과하도록함으로써 상기 고분자기재의 타면에 상기 제2도포롤러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기재를 상기 제2도포롤러과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2권취롤러에 권취하여 일면과 타면에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양면 접착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5.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고, 두께가 200 내지 300㎛인 고분자기재; 및
    상기 고분자기재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되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두께가 100 내지 200㎛인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
    인 양면 접착테이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기재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가 집속되어 형성되고, 매트릭스 형상을 갖는 것이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고분자기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상기 고분자기재의 일면과 타면의 넓이 대비 20 내지 30%에 대응되는 넓이로 형성되는 것
    인 양면 접착테이프.





KR1020210188372A 2021-12-27 2021-12-27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양면 접착테이프 KR102630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372A KR102630022B1 (ko) 2021-12-27 2021-12-27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양면 접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372A KR102630022B1 (ko) 2021-12-27 2021-12-27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양면 접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203A true KR20230099203A (ko) 2023-07-04
KR102630022B1 KR102630022B1 (ko) 2024-01-29

Family

ID=8715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372A KR102630022B1 (ko) 2021-12-27 2021-12-27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양면 접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0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656A (ja) * 2001-05-30 2002-12-13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不織布を用いた両面粘着テープ用基布、これを用いた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該両面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2011511720A (ja) * 2008-01-22 2011-04-14 テーザ・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ポリプロピレンから成るフィルム、その使用、ならびに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10064569A (ko) * 2009-12-08 2011-06-15 윤성길 생조화용 양면테이프 제조장치
KR101095226B1 (ko) 2011-05-18 2011-12-20 두산동아 주식회사 골판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포장박스
KR20210124342A (ko) * 2019-02-06 2021-10-1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656A (ja) * 2001-05-30 2002-12-13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不織布を用いた両面粘着テープ用基布、これを用いた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該両面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2011511720A (ja) * 2008-01-22 2011-04-14 テーザ・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ポリプロピレンから成るフィルム、その使用、ならびに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10064569A (ko) * 2009-12-08 2011-06-15 윤성길 생조화용 양면테이프 제조장치
KR101095226B1 (ko) 2011-05-18 2011-12-20 두산동아 주식회사 골판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포장박스
KR20210124342A (ko) * 2019-02-06 2021-10-1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022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1920A (en) Biaxially oriented oxygen and moisture barrier film
EP1597314B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s
RU2565572C2 (ru) Упрочненная тонкая пленка для гибкой упаковки
US7939169B2 (en) Thermoplastic olefin polymer blend and adhesive films made therefrom
JP5130495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TWI620807B (zh) 包含聚烯烴聚合物材料之多層的自黏帶及方法
JP3498913B2 (ja) 高扁平ガラス繊維紡糸用ノズルチップ及び製造装置
US4741957A (en) Heat sealable multilayer fil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348445A (en) Reinforced film of a combination of thermoplastic netting and oriented film
JP465001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KR20230099203A (ko) 양면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양면 접착테이프
WO2014156722A1 (ja) 工程フィルム、その使用方法、成型品の製造方法および成型体
JP5009768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KR102305096B1 (ko) 식품 포장지 제조방법
CN112721354A (zh) 铝塑膜及其制备方法
JPWO2017217436A1 (ja) ポリアミド系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容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WO2006048956A1 (ja) 無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樹脂被覆金属板の製造方法、および無延伸フィルムの製造装置
JP5385078B2 (ja) 孔あけ加工用あて板
EP1795342B1 (en) Multilayer resi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 resin film
JP7246994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製造プロセス用離型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JP4240487B2 (ja) 成型用ラミネート紙
JP3143183B2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00999B2 (ja) 工程離型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70206A (ja)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及び包装材
KR100815605B1 (ko) 공압출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