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359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359A
KR20230097359A KR1020210186780A KR20210186780A KR20230097359A KR 20230097359 A KR20230097359 A KR 20230097359A KR 1020210186780 A KR1020210186780 A KR 1020210186780A KR 20210186780 A KR20210186780 A KR 20210186780A KR 20230097359 A KR20230097359 A KR 20230097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light transmission
hou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창호
김태완
김종운
이재익
김형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6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7359A/ko
Publication of KR2023009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35Spatial arrang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Cove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5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주변 환경 감지를 위한 감지 수신이 구비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광을 조사하여 전방에 빔 패턴을 형성하는 빔 패턴 형성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광 투과부를 통과하여 수신된 차량의 주변 감지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상기 주변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주변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 투과부는 제1 광 투과 영역 및 제2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은 상기 빔 패턴 형성부의 광 및 상기 주변 감지 신호의 투과가 가능하며, 상기 제2 광 투과 영역은 상기 주변 감지부의 외부 관찰을 제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변 환경 감지를 위한 감지 수신이 구비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 지시등, 후진 시 점등되는 후진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차량용 램프가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반사기 등이 장착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율 주행 또는 반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은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와 같이 주변 환경 감지를 위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감지 수단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참조하여 자율 주행 또는 반자율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라이다 등의 감지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 외부 충격에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바람직한 미관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차량의 주변 감지를 위한 감지 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28132호 (2021.10.2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주변 환경 감지를 위한 감지 수신이 구비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광을 조사하여 전방에 빔 패턴을 형성하는 빔 패턴 형성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광 투과부를 통과하여 수신된 차량의 주변 감지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상기 주변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주변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 투과부는 제1 광 투과 영역 및 제2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은 상기 빔 패턴 형성부의 광 및 상기 주변 감지 신호의 투과가 가능하며, 상기 제2 광 투과 영역은 상기 주변 감지부의 외부 관찰을 제한한다.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갖는 제3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3 광 투과 영역은 상기 제2 광 투과 영역에 비하여 높은 가시광 투과율을 갖는다.
상기 제2 광 투과 영역은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에 비하여 낮은 가시광 투과율을 갖는다.
상기 주변 감지 신호는 참조 신호가 상기 차량의 주변 물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주변 감지부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광 투과부를 투과한다.
상기 주변 감지 신호는 상기 제3 광 투과 영역을 투과한다.
상기 반사부의 자세를 조절하는 자세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 투과부는 서로 다른 투과율을 갖는 이종 소재가 이중 사출되어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 및 제2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 및 제2 광 투과 영역에는 서로 다른 투과율을 갖는 광 투과막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 및 제2 광 투과 영역은 서로 다른 개수의 광 투과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광을 조사하여 차량의 전방에 빔 패턴을 형성하는 빔 패턴 형성부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광 투과부를 통과하여 수신된 상기 차량의 주변 감지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상기 주변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주변 감지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할하는 공간 분할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부 및 주변 감지부는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공간 분할부는 상기 주변 감지 신호를 통과시키는 신호 투과홀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 및 상기 주변 감지부는 상기 공간 분할부에 의해 외부 관찰이 제한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상기 공간 분할부는 상기 빔 패턴 형성부를 관통시키는 유닛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빔 패턴 형성부 중 광이 조사되는 부분은 상기 제1 공간에 포함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2 공간에 포함된다.
상기 공간 분할부는 베젤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차량의 주변 감지를 위한 감지 수단이 노출 방지 수단에 의해 은닉되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광 투과부의 제1 광 투과 영역을 통하여 빔 패턴 형성부의 광이 투과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광 투과부의 제3 광 투과 영역을 통하여 참조 신호 및 주변 감지 신호가 투과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2 광 투과 영역에 의해 주변 감지부의 외부 관찰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자세 조절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광 투과부를 통하여 빔 패턴 형성부의 광이 투과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신호 투과홀을 통하여 참조 신호 및 주변 감지 신호가 투과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공간 분할부에 의해 반사부 및 주변 감지부의 외부 관찰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광 투과부의 예시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하우징(110), 광 투과부(120), 빔 패턴 형성부(131, 132), 반사부(140) 및 주변 감지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빔 패턴 형성부(131, 132), 반사부(140) 및 주변 감지부(150)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광 투과부(120)에 결합되어 빔 패턴 형성부(131, 132), 반사부(140) 및 주변 감지부(15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차량의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의 전조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램프(100)는 좌측 전조등 또는 우측 전조등일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가 좌측 전조등인 경우 하우징(110)은 차량의 좌측 전방에 고정되고, 차량용 램프(100)가 우측 전조등인 경우 하우징(110)은 차량의 우측 전방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가 전조등인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램프(100)는 후방등일 수도 있다. 이하, 차량용 램프(100)가 전조등인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 투과부(120)는 하우징(110)에 결합되고,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광 투과부(120)에 의해 빔 패턴 형성부(131, 132), 반사부(140) 및 주변 감지부(15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광 투과부(120)가 하우징(110)을 밀폐시킴에 따라 외부 이물질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빔 패턴 형성부(131, 132)는 광을 조사하여 전방에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빔 패턴 형성부(131, 132)는 제1 빔 패턴 형성부(131) 및 제2 빔 패턴 형성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빔 패턴 형성부(131)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고, 제2 빔 패턴 형성부(132)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주변 감지부(150)는 차량의 주변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주변 감지 신호는 차량의 주변 물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량의 주변 환경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주변 감지 신호는 참조 신호가 차량의 주변 물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 신호는 주변 감지부(150)에 의해 송신된 것일 수 있다. 주변 감지부(150)에 의해 송신된 참조 신호는 반사부(140)에 의해 반사되어 광 투과부(120)를 투과할 수 있다.
반사부(140)는 광 투과부(120)를 통과하여 수신된 차량의 주변 감지 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다. 주변 감지부(150)는 반사부(140)에 의해 반사된 주변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광 투과부(120)는 제1 광 투과 영역(121) 및 제2 광 투과 영역(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투과 영역(121)은 빔 패턴 형성부(131, 132)의 광 및 주변 감지 신호를 투과시킬 수 있다. 빔 패턴 형성부(131, 132)의 광은 가시광일 수 있다. 제1 광 투과 영역(121)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시광 투과율을 갖고 빔 패턴 형성부(131, 132)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1 광 투과 영역(121)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갖는 제3 광 투과 영역(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광 투과 영역(123)은 주변 감지 신호를 투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변 감지부(150)는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일 수 있다. 이에, 주변 감지부(150)는 전술한 참조 신호로서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고, 적외선 레이저가 차량의 주변 물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 신호를 주변 감지 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주변 감지 신호 및 참조 신호의 투과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3 광 투과 영역(123)은 제1 광 투과 영역(121)의 다른 영역에 비하여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주변 감지부(150)에 의한 주변 감지 신호의 수신 및 참조 신호의 송신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3 광 투과 영역(123)은 제2 광 투과 영역(122)에 비하여 높은 가시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제2 광 투과 영역(122)은 주변 감지부(150)의 외부 관찰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광 투과 영역(122)을 통하여 주변 감지부(150)가 일부 관찰될 수는 있으나 명확한 관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광 투과 영역(122)은 제1 광 투과 영역(121)에 비하여 낮은 가시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2 광 투과 영역(122)을 통하여 외부에서 주변 감지부(150)를 관찰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주변 감지부(150)는 제2 광 투과 영역(12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광 투과 영역(121)을 통하여 외부에서 주변 감지부(150)를 관찰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광 투과부의 제1 광 투과 영역을 통하여 빔 패턴 형성부의 광이 투과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광 투과부의 제3 광 투과 영역을 통하여 참조 신호 및 주변 감지 신호가 투과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제2 광 투과 영역에 의해 주변 감지부의 외부 관찰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빔 패턴 형성부(131, 132)의 광(L)은 제1 광 투과 영역(121)을 투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광 투과 영역(121)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시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광 투과 영역(121)은 빔 패턴 형성부(131, 132)의 광 조사 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빔 패턴 형성부(131, 132)의 광(L)은 제1 광 투과 영역(121)을 투과하여 로우 빔 패턴 또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참조 신호(RS) 및 주변 감지 신호(DS)는 제3 광 투과 영역(123)을 투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광 투과 영역(123)은 상대적으로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광 투과 영역(123)은 주변 감지부(150)의 신호 송수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주변 감지부(150)에 의해 송신되는 참조 신호(RS) 및 주변 감지부(150)에 의해 수신되는 주변 감지 신호(DS)는 제3 광 투과 영역(123)을 투과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광 투과 영역(123)에 인접하여 반사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참조 신호(RS)는 반사부(140)에 의해 반사된 이후에 제3 광 투과 영역(123)을 투과하여 외부로 송신되고, 주변 감지 신호(DS)는 제3 광 투과 영역(123)을 투과하여 반사부(140)에 반사된 이후에 주변 감지부(15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광 투과 영역(122)에 의해 주변 감지부(150)의 외부 관찰이 제한될 수 있다.
주변 감지부(150)는 제1 광 투과 영역(121) 및 제3 광 투과 영역(123)에서는 상대적으로 멀고, 제3 강 투과 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 투과 영역(122)은 제1 광 투과 영역(121)에 비하여 낮은 가시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광 투과 영역(122)을 통해서는 외부 가시광의 투과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3 광 투과 영역(123)은 가시광보다는 적외선을 용이하게 투과시킬 수 있다. 결국, 제3 광 투과 영역(123) 및 제2 광 투과 영역(122)을 투과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가시광이 유입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주변 감지부(150)의 주변은 어두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제2 광 투과 영역(122)을 통한 주변 감지부(150)의 외부 관찰은 용이하지 않으며, 제3 광 투과 영역(123)을 통해서도 주변 감지부(150)의 외부 관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자세 조절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는 하우징(210), 광 투과부(220), 빔 패턴 형성부(231, 232), 반사부(240), 주변 감지부(250) 및 자세 조절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투과부(220)는 제1 광 투과 영역(221) 및 제2 광 투과 영역(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투과 영역(221)은 제3 광 투과 영역(2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 광 투과부(220), 빔 패턴 형성부(231, 232), 반사부(240) 및 주변 감지부(250)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하우징(110), 광 투과부(120), 빔 패턴 형성부(131, 132), 반사부(140) 및 주변 감지부(150)의 형태 및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자세 조절부(260)는 반사부(240)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세 조절부(260)는 반사부(240)의 반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자세 조절부(260)에 의해 반사부(240)는 자세를 조절하면서 참조 신호(RS) 및 주변 감지 신호(DS)를 반사시킬 수 있다. 자세 조절부(260)에 의해 반사부(240)의 자세가 조절됨에 따라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참조 신호(RS)의 송신 및 주변 감지 신호(DS)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자세 조절부(260)는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터의 형태로 자세 조절부(260)가 구현될 수 있다. 자세 조절부(260)에 의해 지속적으로 반사부(240)의 자세가 조절됨에 따라 차량 주변의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는 하우징(310), 광 투과부(320), 빔 패턴 형성부(331, 332), 반사부(340), 주변 감지부(350) 및 공간 분할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10), 광 투과부(320), 빔 패턴 형성부(331, 332), 반사부(340) 및 주변 감지부(350)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하우징(110, 210), 광 투과부(120, 220), 빔 패턴 형성부(131, 132, 231, 232), 반사부(140, 240) 및 주변 감지부(150, 250)의 형태 및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광 투과부(320)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투과부(320)는 빔 패턴 형성부(331, 332)에 의해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고, 주변 감지부(350)의 의해 송수신되는 참조 신호(RS) 및 주변 감지 신호(DS)를 투과시킬 수 있다.
공간 분할부(360)는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분할부(360)는 플레이트의 형태로 제공되어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공간은 광 투과부(320)에 인접한 공간이고, 제2 공간은 하우징(310)에 인접한 공간일 수 있다. 제1 공간은 광 투과부(320)를 통해 외부 관찰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간 분할부(360)는 상대적으로 낮은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분할부(360)는 불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공간은 공간 분할부(360)에 의해 가려져 외부 관찰이 제한될 수 있다.
반사부(340) 및 주변 감지부(350)는 제2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 중 제2 공간에 배치됨에 따라 반사부(340) 및 주변 감지부(350)는 외부 관찰이 제한될 수 있다.
공간 분할부(360)는 빔 패턴 형성부(331, 332)를 관통시키는 유닛 관통홀(361)을 포함할 수 있다. 빔 패턴 형성부(331, 332) 중 광이 조사되는 부분은 제1 공간에 포함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2 공간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빔 패턴 형성부(331, 332)에 의해 조사된 광은 제1 공간에서 광 투과부(320)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한편, 빔 패턴 형성부(331, 332) 중 광이 조사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은 제2 공간에 포함되어 외부 관찰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광이 조사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은 기판(미도시), 전기 부품(미도시) 및 전기 도선(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간 분할부(360)는 베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간 분할부(360)는 빔 패턴 형성부(331, 33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빔 패턴 형성부(331, 332)는 공간 분할부(360)의 유닛 관통홀(361)을 관통하고 공간 분할부(360)에 고정될 수 있다.
공간 분할부(360)는 주변 감지 신호(DS)를 통과시키는 신호 투과홀(362)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투과홀(362)은 주변 감지 신호(DS)분만 아니라 참조 신호(RS)를 통과시킬 수도 있다.
신호 투과홀(362)을 통하여 수신된 주변 감지 신호(DS)는 반사부(340)에 의해 반사된 이후에 주변 감지부(35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주변 감지부(350)에 의해 송신된 참조 신호(RS)는 반사부(340)에 의해 반사된 이후에 신호 투과홀(362)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반사부(340) 및 주변 감지부(350)는 공간 분할부(360)에 의해 외부 관찰이 제한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공간 분할부(360) 중 신호 투과홀(362)이 아닌 다른 영역에 의해 반사부(340) 및 주변 감지부(350)가 가려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반사부(340) 및 주변 감지부(350)의 외부 관찰이 제한될 수 있다.
도 8은 광 투과부를 통하여 빔 패턴 형성부의 광이 투과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신호 투과홀을 통하여 참조 신호 및 주변 감지 신호가 투과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공간 분할부에 의해 반사부 및 주변 감지부의 외부 관찰이 제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빔 패턴 형성부(331, 332)의 광(L)은 광 투과부(320)를 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 투과부(320)는 상대적으로 높은 가시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빔 패턴 형성부(331, 332)의 광(L)은 광 투과부(320)를 투과하여 로우 빔 패턴 또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빔 패턴 형성부(331, 332)의 전체 부분 중 광(L)을 조사하는 부분은 제1 공간에 포함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2 공간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L)의 조사는 용이하게 수행되면서, 빔 패턴 형성부(331, 33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외부 관찰은 제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참조 신호(RS) 및 주변 감지 신호(DS)는 신호 투과홀(362)을 통과할 수 있다.
신호 투과홀(362)은 참조 신호(RS) 및 주변 감지 신호(DS)만을 통과시킬 정도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신호 투과홀(362)을 통한 반사부(340) 및 주변 감지부(350)의 외부 관찰은 제한되면서 주변 감지부(350)는 참조 신호(RS) 및 주변 감지 신호(DS)를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간 분할부(360)에 의해 반사부(340) 및 주변 감지부(350)의 외부 관찰이 제한될 수 있다.
반사부(340) 및 주변 감지부(350)는 신호 투과홀(362)이 아닌 공간 분할부(360)의 다른 영역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투과홀(362)은 참조 신호(RS) 및 주변 감지 신호(DS)만을 통과시킬 정도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신호 투과홀(362)을 통하여 외부광이 제2 공간으로 유입되더라도 외부에서 반사부(340) 및 주변 감지부(350)를 관찰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반사부(340)를 통해 주변 감지부(350)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주변 감지부(350)의 주변이 어두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반사부(340)를 통한 주변 감지부(350)의 관찰도 제한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광 투과부의 예시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광 투과부(400)는 서로 다른 투과율을 갖는 이종 소재가 이중 사출되어 제1 광 투과 영역(410) 및 제2 광 투과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투과 영역(410)의 소재는 제2 광 투과 영역(420)의 소재에 비하여 높은 가시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제1 광 투과 영역(410)은 제3 광 투과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광 투과 영역(430)의 소재는 제1 광 투과 영역(410)의 다른 영역의 소재에 비하여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광 투과부(500)는 베이스 플레이트(540) 및 광 투과막(511, 521, 53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40)는 상대적으로 높은 광 투과율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40)에 광 투과막(511, 521)이 형성됨으로써 제1 광 투과 영역(510) 및 제2 광 투과 영역(520)이 형성될 수 있다. 광 투과막(511, 521)은 필름 또는 도료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증착 또는 코팅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증착 또는 코팅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광 투과막(511, 521)의 일부가 에칭될 수도 있다.
제1 광 투과 영역(510) 및 제2 광 투과 영역(520)에는 서로 다른 투과율을 갖는 광 투과막(511, 5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 투과 영역(510)에 부착되는 광 투과막(511)은 제2 광 투과 영역(520)에 부착되는 광 투과막(521)에 비하여 높은 가시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제1 광 투과 영역(510)은 제3 광 투과 영역(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광 투과 영역(530)에 부착되는 광 투과막(531)은 제1 광 투과 영역(510)의 다른 영역에 부착되는 광 투과막(511)에 비하여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광 투과부(600)는 제1 광 투과 영역(610) 및 제2 광 투과 영역(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투과 영역(610) 및 제2 광 투과 영역(620)은 서로 다른 개수의 광 투과 플레이트(611, 621, 6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광 투과 영역(620)은 제1 광 투과 영역(610)에 비하여 많은 수의 광 투과 플레이트(621, 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 광 투과 영역(620)은 제1 광 투과 영역(610)에 비하여 낮은 가시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제2 광 투과 영역(620)에 포함된 광 투과 플레이트(621, 622)의 가시광 투과율은 제1 광 투과 영역(610)에 포함된 광 투과 플레이트(611)의 가시광 투과율에 비하여 동일하거나 낮을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300: 차량용 램프
110, 210, 310: 하우징
120, 220, 330: 광 투과부
121: 제1 광 투과 영역
121: 제2 광 투과 영역
123: 제3 광 투과 영역
131, 132, 231, 232, 331, 332: 빔 패턴 형성부
140, 240, 340: 반사부
150, 250, 350: 주변 감지부
260: 자세 조절부
360: 공간 분할부

Claims (1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광을 조사하여 전방에 빔 패턴을 형성하는 빔 패턴 형성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광 투과부를 통과하여 수신된 차량의 주변 감지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상기 주변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주변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 투과부는 제1 광 투과 영역 및 제2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은 상기 빔 패턴 형성부의 광 및 상기 주변 감지 신호의 투과가 가능하며,
    상기 제2 광 투과 영역은 상기 주변 감지부의 외부 관찰을 제한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하여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갖는 제3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광 투과 영역은 상기 제2 광 투과 영역에 비하여 높은 가시광 투과율을 갖는 차량용 램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투과 영역은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에 비하여 낮은 가시광 투과율을 갖는 차량용 램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감지 신호는 참조 신호가 상기 차량의 주변 물체에 의해 반사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주변 감지부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광 투과부를 투과하는 차량용 램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감지 신호는 상기 제3 광 투과 영역을 투과하는 차량용 램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자세를 조절하는 자세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부는 서로 다른 투과율을 갖는 이종 소재가 이중 사출되어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 및 제2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 및 제2 광 투과 영역에는 서로 다른 투과율을 갖는 광 투과막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과 영역 및 제2 광 투과 영역은 서로 다른 개수의 광 투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광을 조사하여 차량의 전방에 빔 패턴을 형성하는 빔 패턴 형성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광 투과부를 통과하여 수신된 상기 차량의 주변 감지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상기 주변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주변 감지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할하는 공간 분할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부 및 주변 감지부는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할부는 상기 주변 감지 신호를 통과시키는 신호 투과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 및 상기 주변 감지부는 상기 공간 분할부에 의해 외부 관찰이 제한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할부는 상기 빔 패턴 형성부를 관통시키는 유닛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빔 패턴 형성부 중 광이 조사되는 부분은 상기 제1 공간에 포함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2 공간에 포함되는 차량용 램프.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할부는 베젤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210186780A 2021-12-24 2021-12-24 차량용 램프 KR20230097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780A KR20230097359A (ko) 2021-12-24 2021-12-24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780A KR20230097359A (ko) 2021-12-24 2021-12-24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359A true KR20230097359A (ko) 2023-07-03

Family

ID=8715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780A KR20230097359A (ko) 2021-12-24 2021-12-24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73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132A (ko) 2020-04-16 2021-10-26 한국광기술원 차량의 헤드램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132A (ko) 2020-04-16 2021-10-26 한국광기술원 차량의 헤드램프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7699A (en) Exterior mirror with information display
US5383102A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reflection control techniques
CN112013351B (zh) 车辆用灯体
US10000151B2 (en) Motor vehicle lighting device
TWI546492B (zh) 車燈模組
WO1994012367A9 (en) Improved illumination apparatus and reflection control techniques
JP2005190716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10627070B2 (en) Lighting system with obstacle sensor and heated photochromic lens
WO2021166849A1 (ja) 車両用灯具
JP2010064642A (ja) 移動体用照明装置
KR20230097359A (ko) 차량용 램프
KR20170080279A (ko) 차량용 램프 및 광 조사 방법
US10871265B2 (en) Vehicular headlamp system with a photochromic lens
JPH11222073A (ja) 車両用灯具
JP2000235803A (ja) 投光器
KR20170085189A (ko) 차량용 램프 장치
US9970616B2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6173031A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14175231A (ja) 車両用灯具
US11946610B2 (en) Vehicle lamp with rotatable movable unit for road surface pattern emission
US11879610B2 (en) Multi-mode lights
KR101486336B1 (ko) 적외선 조명장치
KR200406661Y1 (ko) 자동차용 적외광 램프
KR20230095228A (ko) 차량용 램프
KR20200012427A (ko)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