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427A -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427A
KR20200012427A KR1020180087735A KR20180087735A KR20200012427A KR 20200012427 A KR20200012427 A KR 20200012427A KR 1020180087735 A KR1020180087735 A KR 1020180087735A KR 20180087735 A KR20180087735 A KR 20180087735A KR 20200012427 A KR20200012427 A KR 20200012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irror
semi
lens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환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2427A/ko
Publication of KR2020001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기존 사이드 미러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차량 후진 시에는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가 제공된다. 이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는, 측부가 개방된 미러하우징, 개방된 측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반거울 코팅된 반거울 렌즈, 및 미러하우징 내에 설치된 보조 후진등을 포함하되, 후진등이 턴온되면 보조 후진등이 턴온되어 반거울 렌즈를 통해 빛을 발산한다.

Description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Hybrid side mirror supporting performance of reverse lamps}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후진 시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후진등(reverse lamp) 또는 후퇴등은 법규에 따라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하는 장치로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ear combination lamp) 내의 특정 공간에 장착되거나, 후방범퍼에 별도의 독립된 램프로 장착된다. 후진등은 기능적으로나 법규적으로 반드시 갖춰야 하는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적인 제약으로 인해 발광 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후진등은 백색광을 발광하기 때문에 램프 모듈이 투명 또는 흰색이지만 나머지 후방 램프는 대부분 적색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후진등의 발광 면적이 지나치게 클 경우 미적으로 조화롭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기 쉽다.
이와 같이 후진등의 발광 면적이 줄어듦에 따라, 차량 후진 시 운전자에게 후진등의 충분한 성능을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후진등은 차량의 최후방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측부에 보행자가 위치하는 경우 차량의 후진을 쉽게 인지하기 어려워 보행자 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사이드 미러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차량 후진 시에는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는, 차량 후진 시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로서, 측부가 개방된 미러하우징, 상기 개방된 측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반거울 코팅된 반거울 렌즈, 및 상기 미러하우징 내에 설치된 보조 후진등을 포함하되, 상기 후진등이 턴온되면 상기 보조 후진등이 턴온되어 상기 반거울 렌즈를 통해 빛을 발산한다.
상기 반거울 렌즈의 전체면에 반거울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후진등은 빛을 발산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빛 중 상기 반거울 렌즈의 상부 영역으로 향하는 빛을 차단하는 광차단부,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상기 반거울 렌즈의 하부 영역으로 집중시키는 이너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거울 렌즈는 반거울 코팅된 하부 영역과, 거울 코팅된 상부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후진등은 빛을 발산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상기 하부 영역으로 집중시키는 이너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후진등의 광축은 상기 반거울 렌즈에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보조 후진등은 LED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LED 광원의 발광량 또는 상기 반거울 렌즈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차량 후방으로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후진등의 주광축은 차량 중앙 수직 종단면에 대하여 외측으로 15도 이하이고 아래쪽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후진등의 광도는 등화 중심선의 위쪽에서는 80cd 이상 300cd 이하이고, 등화 중심선의 아래쪽에서는 80cd 이상 8000cd 이하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에 의하면, 차량 후진 시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후진 시 후진등이 턴온되면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내에 설치된 보조 후진등이 턴온되어 차량의 측부 후방을 향해 빛을 발산한다. 따라서 디자인적인 제약으로 인해 후진등의 발광량이 줄어들어 법규에서 요구하는 배광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에 의해 후방으로 조사되는 전체 광량을 조절하여 법규의 요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후진 시 후진등과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가 동시에 후방으로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충분한 발광량을 제공하여 후방 장애물과의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 후진 시 차량의 측부에 설치된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에서도 후방으로 빛이 발산하기 때문에, 차량의 측부에 보행자가 위치하더라도 직관적으로 차량의 후진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가 장착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램프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를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가 장착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램프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램프 시스템은 차량(10)의 일부 구성으로서, 변속 레버(30), 후진등(50),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2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40)를 포함한다.
변속 레버(30)는 차량(10)의 변속 장치나 변속기를 조작하는 레버로서, 운전자가 변속 레버(30)를 조작하여 주차, 후진 기어, 중립, 자동 변속 모드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특히, 변속 레버(30)가 후진 기어를 가리킬 경우, 전자 제어 장치(40)는 후진등(50)을 턴온하고 동시에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20)에 내장된 보조 후진등(100)을 턴온한다.
후진등(50)은 차량(10)의 후방에 위치하여 차량 후진 시 턴온되는 램프이다.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20)는 차량(10)의 운전석과 조수석 쪽 프런트 도어에 장착되어 운전자가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반사경이다. 또한 차량 후진 시에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20)는 내장된 보조 후진등(100)을 턴온하여 차량의 측부 후방으로 빛을 방출하여 후진등(50)의 성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2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를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20)는 측부가 개방된 미러하우징(22)과, 미러하우징(22)의 개방된 측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반거울 코팅된 반거울 렌즈(26)와, 반거울 렌즈(26)를 미러하우징(22)에 고정하는 커버(24)와, 미러하우징(22) 내에 설치되어 반거울 렌즈(26)를 통해 차량의 후방을 조명하는 보조 후진등(1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거울 렌즈(26)의 전체면이 반거울(half mirror) 코팅된 경우를 예로 나타낸 것이다. 반거울 렌즈(26)는 유리 일면에 알루미늄, 은, 금, 크로멜 등의 금속을 소정의 두께로 증착하여 형성하는데, 증착된 코팅막의 두께에 따라 반사율과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빛의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는 렌즈이다. 즉 반거울 렌즈(26)는 외부광(110)은 반사시켜고 미러하우징(22) 안의 내부광(120)은 외부로 투과시킨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 주행 중에 반거울 렌즈(26)를 통해 종래 사이드 미러와 같이 후방을 관찰할 수 있다.
보조 후진등(100)은 빛을 제공하는 광원(102)와, 광원(102)의 상부에 설치된 광차단부(104)와, 광차단부(104)의 전면에 설치된 이너렌즈(106)를 포함한다.
차량 후진 시 후진등(50)이 턴온되면 광원(102)도 턴온되는데, 이 때에서도 운전자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20)를 통해 후방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광원(102)으로부터 발산된 빛은 반거울 렌즈(26) 중 일부 영역, 바람직하게는 하부 영역을 통해서만 외부로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차단부(104)는 광원(102)으로부터 발산된 빛 중에서 반거울 렌즈(26)의 상부 영역으로 향하는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너렌즈(106)는 광원(102)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굴절시켜 반거울 렌즈(26)의 하부 영역으로 집중시킨다.
광원(102)은 LED 광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LED 광원의 경우, 필라멘트전구 광원과 비교하여 반거울 렌즈(26) 뒷면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한 내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LED 광원의 발광량 또는 반거울 렌즈(26)의 투과율을 조절하면 차량 후방으로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보조 후진등(100), 특히 광원(102)의 광축은 반거울 렌즈(26)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설치함으로써 반거울 렌즈(26)를 투과하는 광량의 전체 손실율이 50%를 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보조 후진등(100)은 이너렌즈(106)를 조절하여 전체적인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후진등(100)의 주광축 또는 기준축은 차량 중앙 수직 종단면에 대하여 외측으로 15도 이하이고 아래쪽으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후진등(100)의 광도는 등화 중심선의 위쪽에서는 80cd 이상 300c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등화 중심선의 아래쪽에서는 80cd 이상 8000c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를 만족할 때 차량의 야간 후진 시 타교통이나 통행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후방 시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전 실시예(도 1 내지 도 4)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20')는 일부 영역에만 반거울 코팅된 반거울 렌즈(26, 2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반거울 렌즈는 반거울 코팅된 하부 반거울 영역(26)과, 거울 코팅된 상부 영역(26')으로 구성된다. 광원(102)으로부터 발산된 빛은 거울 코팅된 상부 거울 영역(26')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의 광차단부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반거울 코팅된 하부 반거울 영역(26)을 통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후진등(50)이 턴온되면 동시에 보조 후진등(100)도 턴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이브리드 램프 시스템은 별도의 광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변속 레버(30)가 후진 기어를 가리키고 외부 환경이 어두운 경우(즉, 광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외부 자연광의 광량이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에 전자 제어 장치(40)는 후진등(50)과 보조 후진등(100)을 함께 턴온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차량
20: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22: 미러하우징
24: 커버
26, 26': 반거울 렌즈
30: 변속 레버
40: 전자 제어 장치
50: 리어 렘프
100: 보조 후진등
102: 광원
104: 광차단부
106: 이너렌즈
110: 외부광
120: 내부광

Claims (7)

  1. 차량 후진 시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로서,
    측부가 개방된 미러하우징, 상기 개방된 측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반거울 코팅된 반거울 렌즈, 및 상기 미러하우징 내에 설치된 보조 후진등을 포함하되, 상기 후진등이 턴온되면 상기 보조 후진등이 턴온되어 상기 반거울 렌즈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거울 렌즈의 전체면에 반거울 코팅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후진등은 빛을 발산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빛 중 상기 반거울 렌즈의 상부 영역으로 향하는 빛을 차단하는 광차단부,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상기 반거울 렌즈의 하부 영역으로 집중시키는 이너렌즈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거울 렌즈는 반거울 코팅된 하부 영역과, 거울 코팅된 상부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후진등은 빛을 발산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상기 하부 영역으로 집중시키는 이너렌즈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후진등의 광축은 상기 반거울 렌즈에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후진등은 LED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LED 광원의 발광량 또는 상기 반거울 렌즈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차량 후방으로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후진등의 주광축은 차량 중앙 수직 종단면에 대하여 외측으로 15도 이하이고 아래쪽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후진등의 광도는 등화 중심선의 위쪽에서는 80cd 이상 300cd 이하이고, 등화 중심선의 아래쪽에서는 80cd 이상 8000cd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KR1020180087735A 2018-07-27 2018-07-27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KR20200012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35A KR20200012427A (ko) 2018-07-27 2018-07-27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35A KR20200012427A (ko) 2018-07-27 2018-07-27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427A true KR20200012427A (ko) 2020-02-05

Family

ID=6951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735A KR20200012427A (ko) 2018-07-27 2018-07-27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24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522B2 (en) Optical or styling component for a lighting or indicator device for a motor vehicle
EP2157363B1 (en) Optical element for vehicle lamp
KR102565730B1 (ko) 자동차 조명 장치
KR20120047783A (ko) 차량용 등기구
US20120140503A1 (en) Head Lamp for Vehicle
KR20220026310A (ko) 차량용 램프
US7572041B2 (en) Vehicle lamp
JP2007227202A (ja) 車両用灯具
KR101461550B1 (ko) 차량용 램프
CN109578932B (zh) 车辆用灯具
KR101557112B1 (ko) 차량용 램프
JP2018045907A (ja) 車両用前照灯
CN103062696A (zh) 机动车照明装置的光模块
KR20200012427A (ko) 후진등의 성능을 보조하는 하이브리드 사이드 미러
KR101342060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60009377A (ko) 차량용 램프
KR20150070551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2555372B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63035A (ko) 차량용 램프
JP4424167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5934915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5323521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7354668B2 (ja) 車両用前照灯のレンズ及び車両用前照灯
KR20170081019A (ko) 차량용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