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145A - 유리 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145A
KR20230095145A KR1020210183571A KR20210183571A KR20230095145A KR 20230095145 A KR20230095145 A KR 20230095145A KR 1020210183571 A KR1020210183571 A KR 1020210183571A KR 20210183571 A KR20210183571 A KR 20210183571A KR 20230095145 A KR20230095145 A KR 20230095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line phase
thermal expansion
layer
coefficien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진수
강용규
고지현
김민기
서현승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5145A/ko
Priority to US17/882,039 priority patent/US20230192533A1/en
Priority to CN202211566546.4A priority patent/CN116282929A/zh
Publication of KR2023009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0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C03C10/0018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containing SiO2, Al2O3 and monovalent metal oxide as main constituents
    • C03C10/0027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containing SiO2, Al2O3 and monovalent metal oxide as main constituents containing SiO2, Al2O3, Li2O as main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0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2/00Thermal after-treatment of glass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3B19/00, C03B25/00 - C03B31/00 or C03B37/00, e.g. crystallisation, eliminating gas inclusions or other impurities; Hot-pressing vitrified, non-porous, shaped glass products
    • C03B32/02Thermal crystallisation, e.g. for crystallising glass bodies into glass-ceramic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0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C03C10/0009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containing silica as main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411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C03C21/001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 C03C21/002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to perform ion-exchange between alkali 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4/00Glasses, glazes or enamels with speci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30Aspects of methods for coating glass not covered above
    • C03C2218/345Surface crystall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유리 제품은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결정상을 포함하는 중심층 및 중심층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결정상을 포함하는 표면층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유리 제품의 강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유리 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GLASS ARTIC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리 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리 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 제품은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건축 자재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 등의 평판 표시 장치의 기판 또는 상기 기판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 등에 상기 유리 제품이 적용된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가 늘어나면서 이에 적용되는 상기 유리 제품도 외부 충격에 빈번하게 노출된다. 휴대성을 위해 얇으면서도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양호한 강도를 갖는 상기 유리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열 강화 또는 화학 강화를 통해 상기 유리 제품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다만, 얇은 두께를 갖는 상기 유리 제품에는 열 강화를 구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파손 특성이 향상된 유리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리 제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이와 같은 목적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리 제품은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결정상을 포함하는 중심층 및 상기 중심층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결정상을 포함하는 표면층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의 상기 제1 결정상은 리튬 디실리케이트(lithium disilicate)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제2 결정상은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lithium alumino silic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두께는 상기 중심층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의 상기 제1 결정상의 부피 분율과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상은 위치에 따라 상이한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는 일정하고,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표면층의 외측면에서 상기 중심층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표면층의 외측면에서 상기 중심층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결정상을 포함하는 중심층 및 상기 중심층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결정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층 및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제3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3 결정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층을 포함하는 표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상은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정상 및 상기 제3 결정상 각각은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Li2O, Al2O3 및 SiO2의 조성비는 상기 제3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Li2O, Al2O3 및 SiO2의 조성비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의 상기 제1 결정상의 부피 분율과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층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서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제2 층에서 상기 제3 결정상의 부피 분율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결정상을 포함하는 중심층 및 상기 중심층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결정상을 포함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유리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의 상기 제1 결정상은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제2 결정상은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두께는 상기 중심층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의 상기 제1 결정상의 부피 분율과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상은 위치에 따라 상이한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 제품은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결정상을 포함하는 중심층 및 상기 중심층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결정상을 포함하는 표면층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리 제품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기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제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리 제품을 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제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제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제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유리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유리 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제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0) 및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되는 유리 제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A) 및 상기 표시 영역(DA)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주변 영역(P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PA)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변 영역(PA)은 상기 표시 영역(DA)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광을 생성하거나,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P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들(PX)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들(PX)은 구동 신호에 따라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들(PX)은 제1 방향(D1) 및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무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양자점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 상에 상기 유리 제품(20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 제품(200)은 접착층(미도시)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제품(200)은 상기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기 위한 표시 패널용 커버 윈도우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용 커버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100)이 외부 충격에 의해 깨지지 않도록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리 제품(200)은 다른 장치에 사용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유리 제품을 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리 제품(200)은 중심층(210) 및 상기 중심층(210)을 둘러싸는 표면층(220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제품(200)은 비정질 유리가 결정화되어 형성된 결정화 유리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유리는 결정상 및 유리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정질 유리의 유리 조성은 상기 결정화 유리의 유리 조성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제품(200)은 LAS(lithium alumino silicate)계 결정화 유리 또는 NAS(sodium alumino silicate)계 결정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제품(200)은 LAS계 결정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리 제품(200)은 이산화규소(SiO2), 산화 알루미늄(Al2O3) 및 산화 리튬(Li2O)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리 제품(200)은 오산화인(P2O5), 산화 칼륨(K20), 산화 마그네슘(MgO), 산화 칼슘(CaO), 산화 스트론튬(SrO), 산화 바륨(BaO), 산화 주석(SnO2) 및 산화 지르코늄(ZrO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리 제품(200)은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제품(200)은 이산화규소(SiO2),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리튬(Li2O) 및 산화 나트륨(Na2O)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리 제품(200)은 오산화인(P2O5), 산화 칼륨(K20), 산화 마그네슘(MgO), 산화 칼슘(CaO), 산화 스트론튬(SrO), 산화 바륨(BaO), 산화 주석(SnO2) 및 산화 지르코늄(ZrO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리 제품(200)은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리 제품(200)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iO2는 유리의 골격을 구성하며, 화학적 내구성을 높이고, 유리 포면에 흠집이 생겼을 때의 크랙 발생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SiO2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열 팽창 계수가 낮아질 수 있다. SiO2는 후술하는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구성 성분이다.
Al2O3는 유리의 파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Al2O3는 유리가 깨졌을 때, 더 작은 수의 파편이 발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Al2O3는 화학 강화 시의 이온 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고, 화학 강화 후의 표면 압축 응력을 크게 하는 유효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Al2O3는 후술하는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구성 성분이다.
P2O5는 이온 교환 성능과 칩핑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2O5는 생략될 수 있다.
Li2O는 이온 교환에 의해 표면 압축 응력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Li2O는 필수적인 구성일 수 있다. 유리 표면 근처에 배치된 Li 이온은 이온 교환 공정을 통해 Na 이온 등으로 교환될 수 있다. 또한, Li2O는 유리의 파쇄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더 할 수 있다. Li2O는 후술하는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구성 성분이다.
Na2O는 이온 교환에 의해 표면 압축 응력을 형성시키고, 유리의 용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유리 표면 근처에 배치된 Na 이온은 이온 교환 공정을 통해 K 이온 등으로 교환될 수 있다. Na2O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유리의 용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열 팽창 계수가 낮아질 수 있다. 반면, Na2O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열 팽창 계수가 높아질 수 있다. Na2O는 생략될 수 있다.
K20는 Na2O와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K20는 이온 교환에 의해 표면 압축 응력을 형성시키고, 유리의 용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K20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열 팽창 계수가 높아질 수 있다. K20는 생략될 수 있다.
MgO는 화학 강화 유리의 표면 압축 응력을 증대시키고, 유리의 파쇄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CaO는 유리의 용융성을 향상시키고, 유리의 파쇄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CaO는 생략될 수 있다.
ZrO2는 결정화 처리 시에, 결정 핵을 구성하는 성분일 수 있다. SnO2도 결정화 처리 시에, 결정 핵을 구성하는 성분일 수 있다. 또한, SnO2는 솔라리제이션 내성을 높이는 성분일 수 있다.
SrO는 화학 강화용 유리의 용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리의 굴절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일 수 있다.
BaO는 화학 강화용 유리의 용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리의 굴절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일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중심층(210)은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결정상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220a)은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와 다른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결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리 제품(200)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열 팽창 계수들의 차이로 인해 상기 유리 제품(200)의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상은 리튬 디실리케이트(lithium disilicat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정상은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lithium alumino silicat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결정상은 β-스포듀민, β-석영 고용체 또는 버질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결정상 및 상기 제2 결정상 각각은 다른 결정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약 25℃ 내지 약 600℃ 또는 약 25℃ 내지 약 700℃의 온도 범위에서 상기 리튬 디실리케이트의 열 팽창 계수는 약 11ⅹ10-6/℃이고, 상기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열 팽창 계수는 약 0/℃ 내지 약 2ⅹ10-6/℃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210)의 상기 제1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표면층(220a)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210)의 상기 제1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표면층(220a)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심층(210)의 상기 제1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표면층(220a)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심층(210)의 상기 제1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표면층(220a)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보다 작을 수도 있다.
상기 표면층(220a)의 두께는 상기 중심층(21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면층(220a)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이 작을수록 상기 표면층(220a)의 두께는 작아질 수 있다. 즉, 상기 표면층(220a)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이 작을수록 상기 중심층(210)의 두께와 상기 표면층(220a)의 두께 차이는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리 제품(200)에 있어서, 상기 유리 제품(200)은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상기 제1 결정상을 포함하는 상기 중심층(210) 및 상기 중심층(210)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상기 제2 결정상을 포함하는 상기 표면층(22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면층(220a)에는 높은 표면 압축 응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220a)의 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리 제품(20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제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제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제품(200)은 중심층(210) 및 상기 중심층(210)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표면층(220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상기 유리 제품(200)은 상기 표면층(220b, 220c)의 특징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유리 제품(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리 제품(200)은 비정질 유리가 결정화되어 형성된 결정화 유리일 수 있다.
상기 중심층(210)은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결정상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220b, 220c)은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상기 제2 결정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층 및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상기 제3 결정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층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및 상기 제3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각각은 Li2O, Al2O3 및 SiO2를 구성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및 상기 제3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각각은 Li2O, Al2O3, SiO2 및 NaO2를 구성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Li2O, Al2O3 및 SiO2의 조성비는 상기 제3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Li2O, Al2O3 및 SiO2의 조성비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SiO2의 함량은 상기 제3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SiO2의 함량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NaO2의 함량은 상기 제3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NaO2의 함량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결정상의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제3 결정상의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SiO2의 함량은 상기 제3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SiO2의 함량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NaO2의 함량은 상기 제3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NaO2의 함량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결정상의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제3 결정상의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2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각 성분의 조성비와 상기 제3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각 성분의 조성비를 다르게 하여 상기 제2 결정상과 상기 제3 결정상의 열 팽창 계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에서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제2 층에서 상기 제3 결정상의 부피 분율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서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제2 층에서 상기 제3 결정상의 부피 분율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결정상의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제3 결정상의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서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제2 층에서 상기 제3 결정상의 부피 분율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결정상의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제3 결정상의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과 상기 제3 결정상의 부피 분율을 다르게 하여 상기 제2 결정상과 상기 제3 결정상의 열 팽창 계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은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상기 제2 결정상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표면층(221) 및 제3 표면층(223)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층은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상기 제3 결정상을 포함하는 제2 표면층(2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표면층(220b)은 제1 내지 제3 표면층(221, 222, 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면층(221)은 상기 중심층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2 표면층(222)은 상기 제1 표면층(221)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제3 표면층(223)은 상기 제2 표면층(222)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즉, 상기 제1 표면층(221)은 상기 중심층(210)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3 표면층(223)은 상기 중심층(210)에서 가장 멀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표면층(220b)이 세 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열창 계수가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보다 작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제3 결정상의 부피 분율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SiO2의 함량은 상기 제3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SiO2의 함량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은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상기 제2 결정상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표면층(221) 및 제3 표면층(223)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층은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상기 제3 결정상을 각각 포함하는 제2 표면층(222) 및 제4 표면층(22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표면층(220c)은 제1 내지 제4 표면층(221, 222, 223, 2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면층(221)은 상기 중심층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2 표면층(222)은 상기 제1 표면층(221)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제3 표면층(223)은 상기 제2 표면층(222)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4 표면층(224)은 상기 제3 표면층(223)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즉, 상기 제1 표면층(221)은 상기 중심층(210)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4 표면층(224)은 상기 중심층(210)에서 가장 멀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표면층(220c)이 네 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열창 계수가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보다 크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제3 결정상의 부피 분율보다 작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SiO2의 함량은 상기 제3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SiO2의 함량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표면층(220b, 220c)은 두 개의 층들 또는 다섯 개 이상의 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제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제품(200)은 중심층(210) 및 상기 중심층(210)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표면층(220c)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상기 유리 제품(200)은 상기 표면층(220c)의 특징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유리 제품(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리 제품(200)은 비정질 유리가 결정화되어 형성된 결정화 유리일 수 있다.
상기 중심층(210)은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상기 제1 결정상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220c)은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상기 제2 결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상은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정상은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층(220c)의 상기 제2 결정상은 위치에 따라 상이한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는 일정하고,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표면층(220c)의 외측면에서 상기 중심층(210)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면층(220c)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표면층(220c)의 외측면에서 상기 중심층(210)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즉, 상기 표면층(220c)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을 위치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가 상기 표면층(220c)의 외측면에서 상기 중심층(210)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면층(220c)을 상기 중심층에 인접하는 제1 영역(10), 상기 표면층(220c)의 외측면에 인접하는 제3 영역(30), 및 상기 제1 영역(10)과 상기 제3 영역(3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영역(20)으로 구분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10)에서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이 가장 작고, 상기 제3 영역(30)에서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이 가장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1 영역(10), 상기 제2 영역(20) 및 상기 제3 영역(30) 중 상기 제1 영역(10)에서 상기 제2 결정상의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가 가장 크고, 상기 제3 영역(30)에서 상기 제2 결정상의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가 가장 작을 수 있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유리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리 제품(200)을 제조하는 방법은 비정질 유리를 제공하는 단계(S100), 상기 비정질 유리를 결정화하는 단계(S200), 상기 비정질 유리를 결정화하여 형성된 결정화 유리를 냉각하는 단계(S300) 및 상기 결정화 유리를 화학적으로 강화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비정질 유리를 제공하는 단계(S100)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유리는 LAS계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정질 유리는 SiO2, Al2O3 및 Li2O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정질 유리는 Li2O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비정질 유리는 Na2O, P2O5, K20, MgO, CaO, SrO, BaO, SnO2, ZrO2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유리를 결정화하는 단계(S200)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유리는 열처리 또는 레이저를 통해 결정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유리는 열처리 과정을 통해 결정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정질 유리가 결정화되어 결정화 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처리 과정은 실온으로부터 제1 처리 온도까지 승온하여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상기 제1 처리 온도보다 고온인 제2 처리 온도에 일정 시간 유지하는 2단계의 열처리 과정에 의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열처리 과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열처리 조건을 조절하여 상기 결정화 유리의 내부에는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결정상이 형성되고,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에는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결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열처리 조건을 조절하여 상기 결정화 유리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결정상의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와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결정상의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상은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정상은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25℃ 내지 약 600℃ 또는 약 25℃ 내지 약 700의 온도 범위에서 상기 리튬 디실리케이트의 열 팽창 계수는 약 11ⅹ10-6/℃이고, 상기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열 팽창 계수는 약 0/℃ 내지 약 2ⅹ10-6/℃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유리를 냉각하는 단계(S300)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정화 유리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결정상의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와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제2 결정상의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상기 결정화 유리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결정상은 고정되고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제2 결정상은 팽창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을 냉각하여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을 깊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유리를 화학적으로 강화하는 단계(S400)는 이온 교환 공정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이온 교환 공정은 상기 결정화 유리 내부의 이온을 다른 이온으로 교환하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이온 교환 공정을 통해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 또는 그 근처의 이온이 동일한 원자가 또는 산화 상태를 갖는 더 큰 이온에 의해 대체되거나 교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정화 유리가 Li+, Na+, k+, Rb+ 등의 일가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의 일가 양이온은 이보다 이온 반지름이 큰 Na+, K+, Rb+, Cs+ 이온으로 교환될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유리를 질산나트륨(NaNO3) 용융액 욕조(bath)에 담지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Na 이온에 노출시키면, 상기 결정화 유리 내부의 Li 이온이 외부로 배출되고 그 자리에 Na 이온이 대체될 수 있다. 교환된 상기 Na 이온은 상기 Li 이온보다 이온 반지름이 크기 때문에 압축 응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교환된 상기 Na 이온의 양이 많을수록 압축 응력이 커질 수 있다. 이온 교환은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에서 상기 Na 이온의 양이 가장 많을 수 있다. 교환된 상기 Na 이온의 일부는 상기 결정화 유리의 내부로 확산되면서 압축 영역의 깊이, 즉 압축 깊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교환된 상기 Na 이온의 양은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대체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정화 유리의 표면의 압축 스트레스가 가장 크고 내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응력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온 교환 공정을 통해 상기 결정화 유리의 유연성 및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유리 제품(200)이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고해상도 스마트폰, 휴대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등에 적용될 수 있다.
DD: 표시 장치 PX: 복수의 화소들
DA: 표시 영역 PA: 주변 영역
100: 표시 패널 200: 유리 제품
210: 중심층 220a, 220b, 220c, 220d: 표면층
221, 222, 223, 224: 제1 내지 제4 표면층들

Claims (20)

  1.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결정상을 포함하는 중심층; 및
    상기 중심층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결정상을 포함하는 표면층를 포함하는 유리 제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의 상기 제1 결정상은 리튬 디실리케이트(lithium disilicate)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제2 결정상은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lithium alumino silicat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두께는 상기 중심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의 상기 제1 결정상의 부피 분율과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상은 위치에 따라 상이한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는 일정하고,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표면층의 외측면에서 상기 중심층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표면층의 외측면에서 상기 중심층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8.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결정상을 포함하는 중심층; 및
    상기 중심층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결정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층 및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제3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3 결정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층을 포함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유리 제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상은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정상 및 상기 제3 결정상 각각은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Li2O, Al2O3 및 SiO2의 조성비는 상기 제3 결정상의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Li2O, Al2O3 및 SiO2의 조성비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의 상기 제1 결정상의 부피 분율과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층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서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상기 제2 층에서 상기 제3 결정상의 부피 분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는 상기 제3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품.
  16.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제1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1 결정상을 포함하는 중심층 및 상기 중심층을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1 열 팽창 계수보다 작은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제2 결정상을 포함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유리 제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의 상기 제1 결정상은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제2 결정상은 리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두께는 상기 중심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층의 상기 제1 결정상의 부피 분율과 상기 표면층의 상기 제2 결정상의 부피 분율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상은 위치에 따라 상이한 상기 제2 열 팽창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183571A 2021-12-21 2021-12-21 유리 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095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571A KR20230095145A (ko) 2021-12-21 2021-12-21 유리 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7/882,039 US20230192533A1 (en) 2021-12-21 2022-08-05 Glass artic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211566546.4A CN116282929A (zh) 2021-12-21 2022-12-07 玻璃制品及包括该玻璃制品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571A KR20230095145A (ko) 2021-12-21 2021-12-21 유리 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145A true KR20230095145A (ko) 2023-06-29

Family

ID=8676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571A KR20230095145A (ko) 2021-12-21 2021-12-21 유리 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92533A1 (ko)
KR (1) KR20230095145A (ko)
CN (1) CN116282929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17081B (zh) * 2014-10-08 2023-10-01 美商康寧公司 具有葉長石及矽酸鋰結構的高強度玻璃陶瓷
EP3863980B1 (en) * 2018-10-10 2024-05-15 Schott Glass Technologies (Suzhou) Co. Ltd. Ultrathin glass ceramic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ultrathin glass ceramic article
WO2023101896A1 (en) * 2021-11-30 2023-06-08 Corning Incorporated Glass-based articles with reduced risk of delayed failure and high stored strain ener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82929A (zh) 2023-06-23
US20230192533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1166B2 (ja) 表面強度が高いガラス
TWI691467B (zh) 透明玻璃陶瓷製品、玻璃陶瓷前驅物玻璃、及用於形成其之方法
CN104364213B (zh) 高cte钾硼硅酸盐芯体玻璃和包括该芯体玻璃的玻璃制品
US7645714B2 (en) Crystallized glass, and method for producing crystallized glass
KR102173671B1 (ko) 감광성 유리를 통한 압축 응력 적층 유리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9100B1 (ko) 초박형 유리 세라믹 물품 및 초박형 유리 세라믹 물품의 제조 방법
JP2019069896A5 (ko)
CN102001825B (zh) 一种用于平板显示器的无碱玻璃及其熔制工艺
WO2014175144A1 (ja) 化学強化用ガラス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026267A1 (ja) 化学強化ガラス
JPWO2012014886A1 (ja) 無アルカリカバーガラス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取り出し部材
WO2015002283A1 (ja) 強化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強化ガラス基板
JP2016523801A (ja) 傷つき難い表面を有する積層ガラス物品
JP7110981B2 (ja) ガラス基板、半導体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16500628A (ja) ガラス層とガラスセラミック層を有する物品およびその物品の製造方法
JP7460339B2 (ja) 表示装置用のガラス基板及び表示装置用の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JP201202220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30095145A (ko) 유리 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939485A (zh) 窗制造方法
EP3919455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cover window
TW202313504A (zh) 玻璃組成物以及包含玻璃組成物的強化玻璃疊層製品
JP7350073B2 (ja) ウィンドウの製造方法
JP2013245158A (ja) 強化ガラス板の製造方法、強化用ガラス板の製造方法、強化ガラス板及びタッチパネル
KR20210080689A (ko) 유리 제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019627A (ja) 強化ガラス及び表示デバイ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