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648A -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648A
KR20230093648A KR1020210182459A KR20210182459A KR20230093648A KR 20230093648 A KR20230093648 A KR 20230093648A KR 1020210182459 A KR1020210182459 A KR 1020210182459A KR 20210182459 A KR20210182459 A KR 20210182459A KR 20230093648 A KR20230093648 A KR 20230093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ot
port
bracket
unit
bogi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3123B1 (ko
Inventor
유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18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123B1/ko
Publication of KR2023009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가 개시된다.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는, 잉곳이 용해되는 잉곳 포트에 잉곳을 자동으로 투입하는 장치로서, 잉곳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과, 이송 유닛과 잉곳 포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 유닛에서 이송된 잉곳을 잉곳 포트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 대차와, 이송 유닛과 잉곳 포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잉곳을 이동대차로 공급하는 피딩 유닛과, 잉곳이 내부에 위치되고 이동 대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잉곳을 잉곳 포트의 내부에 투입하는 회전 브라켓과, 회전 브라켓에 회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INGOT FEEDING APPARATUS FOR GALVANIZING ZINC POT}
본 발명은 용용 아연 도금 욕조의 내부에 잉곳을 설비 손상 없이 안정적인 투입이 가능한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잉곳(Ingot)을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내부에 투입을 위해 잉곳을 클램핑하여 잉곳 포트까지 안내하는 니퍼 유닛(Nipper Unit)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종래 잉곳을 잉곳 포트에 투입하는 것은, 니퍼 유닛을 이용하여잉곳을 클램핑하여 투입하는 바, 잉곳의 투입 과정에서 잉곳이 클램핑 오류에 의해 잉곳 포트의 내부에 낙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 잉곳의 낙하에 의해 잉곳 포트의 손상이 발생되고, 잉곳 포트의 내부에서 낙하되는 잉곳에 의해 용융 아연의 출렁 거림이 발생되어 설비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잉곳을 잉곳 포트의 내부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잉곳 포트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고, 잉곳의 투입시에 용용 아연의 출렁임 등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잉곳의 투입이 가능한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잉곳이 용해되는 잉곳 포트에 잉곳을 자동으로 투입하는 장치로서, 잉곳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과, 이송 유닛과 잉곳 포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 유닛에서 이송된 잉곳을 잉곳 포트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 대차와, 이송 유닛과 잉곳 포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잉곳을 이동대차로 공급하는 피딩 유닛과, 잉곳이 내부에 위치되고 이동 대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잉곳을 잉곳 포트의 내부에 투입하는 회전 브라켓과, 회전 브라켓에 회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송 유닛은, 복수개의 잉곳이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피닝 유닛 위치로 잉곳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일 수 있다.
피닝 유닛은, 이송 유닛과 잉곳 포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잉곳을 이동대차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대차는, 하부에는 제1 구동휠이 설치되어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대차 바디와, 제1 대차 바디와의 사이에서 잉곳이 공급되는 공급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2 구동휠이 설치되어 제1 대차 바디와 함께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대차 바디와, 제1 대차 바디와 제2 대차 바디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잉곳이 이동되는 내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차 바디와 제2 대차 바디의 사이에는 회전 브라켓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은, 제1 대차 바디와 제2 대차 바디에서 상기 잉곳 포트 방향의 일측에 측면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피딩 유닛에 의해 이동된 잉곳이 위치되는 브라켓 바디와, 브라켓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브라켓 바디의 내부에서 잉곳을 회전 지지하는 브라켓 롤러를 포하할 수 있다.
회전 브라켓은, 일측은 이동 대차의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 작동시 일측이 잉곳 포트의 내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복수개의 잉곳이 자중에 의해 회전 브라켓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부는, 일측이 회전 브라켓에 연결되어 회전 브라켓의 회전 상태를 지지하는 와이어부재와, 와이어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와이어부재를 감아 회전 브라켓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잉곳이 회전 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브라켓의 일정 각도 회전에 따라, 최외각에 위치된 잉곳부터 용융아연에 접촉하여 순차적으로 녹게 되는 바, 잉곳의 녹는 속도 만큼 자동으로 복수개의 잉곳이 잉곳 포트의 내부로 적절한 속도로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잉곳이 적절한 속도로 잉곳 포트의 내부에 투입되는 바, 잉곳의 투입 과정에서 용융 아연이 출렁 거림이 발생되지 않고 적절한 속도로 잉곳의 투입에 의해 잉곳 포트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잉곳이 회전 브라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울어져 잉곳 포트의 내부에 투입되는 바, 다양한 종류의 잉곳이 적절하게 투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대차에 잉곳이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가 잉곳 포트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이동 대차에서 회전 브라켓이 회전되어 잉곳이 잉곳 포트의 내부에 투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는, 용융 아연 도금 제품의 생산 공정에서 다양한 잉곳의 투입이 가능한 장치를 말한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 대차에 잉곳이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가 잉곳 포트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이동 대차에서 회전 브라켓이 회전되어 잉곳이 잉곳 포트의 내부에 투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100)는, 잉곳(11)이 용해되는 잉곳 포트(60)에 잉곳을 자동으로 투입하는 장치로서, 잉곳(11)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10)과, 이송 유닛(10)과 잉곳 포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부재(32)와, 레일부재(3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 유닛(10)에서 이송된 잉곳(11)을 잉곳 포트(60)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 대차(30)와, 이송 유닛(10)과 잉곳 포트(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잉곳(11)을 이동대차(30)로 공급하는 피딩 유닛(20)과, 잉곳(11)이 내부에 위치되고 이동 대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잉곳(11)을 잉곳 포트(60)의 내부에 투입하는 회전 브라켓(40)과, 회전 브라켓(40)에 회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0)를 포함한다.
이송 유닛(10)은 용융 아연 도금 제품의 생산 공정을 위한 잉곳 포트(60)에 투입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잉곳(11)을 이송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송 유닛(10)은 복수개의 잉곳(11)을 순차적으로 레일부재(32)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레일부재(32)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대차(30)에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유닛(10)은 복수개의 잉곳(11)을 순차적으로 레일부재(32) 위치로 이송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컨베이어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이송 유닛(10)은 컨베이어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레일을 따라 잉곳을 이송하는 소정의 이송기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송 유닛(10)에 의해 공급된 복수개의 잉곳(11)은 이동 대차(30)에 공급되어 잉곳 포트(60)로 이송될 수 있다. 잉곳 포트(60)는 본 실시예에서 내부에 용융 아연이 충진된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일 수 있다. 이송 유닛(10)에 의해 이송된 복수개의 잉곳(11)은 피딩 유닛(20)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 대차(30)에 공급될 수 있다.
피딩 유닛(20)은 이송 유닛(10)과 잉곳 포트(60)의 사이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송 유닛(10)에 의해 공급된 복수개의 잉곳(11)을 이동 대차(30)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2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롤러(21)는 피딩 유닛(20)과 이동 대차(30)의 설치 위치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가 소정의 구동력의 제공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 대차(30)의 내부에 잉곳(11)이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대차(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딩 유닛(20)을 구성하는 공급 롤러(21)에 의해 잉곳(11)을 전달받은 상태에서 레일부재(3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잉곳(11)을 잉곳 포트(60) 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참조 번호 35는 대차 구동 모터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 대차(30)는, 레일부재(3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간에 연결된 제1 대차 바디(31)와 제2 대차 바디(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차 바디(31)는 하부에는 제1 구동휠(31a)이 설치되어 레일부재(3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대차 바디(31)는 제2 대차 바디(33)와 연결되어 레일부재(32)에 안착된 상태에서 함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2 대차 바디(33)와의 사이에 잉곳(11)이 공급되는 공급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대차 바디(33)는 하부에는 제3 구동휠(33a)이 설치되어 레일부재(3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대차 바디(33)는 제1 대차 바디(31)와의 사이에 잉곳(11)이 공급되는 공급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공급 공간에는 잉곳(11)의 이동 안착을 위한 내부 롤러(35)가 설치될 수 있다.
내부 롤러(35)는 공급 롤러(21)를 통해 이송되는 잉곳(11)이 이동 안착되도록 제1 대차 바디(31)와 제2 대차 바디(33)의 사이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내부 롤러(35)는 공급 롤러(21)로부터 이동되는 잉곳(11)이 안정적으로 이동 안착되도록 공급 롤러(21)의 높이보다 일정 높이 낮은 위치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 대차 바디(31)와 제2 대차 바디(33)에서 잉곳 포트(60) 방향의 전측에는 회전 브라켓(40)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40)은 제1 대차 바디(31)와 제2 대차 바디(33)의 사이 위치로 공급되는 잉곳(11)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측면이 제1 대차 바디(31)와 제2 대차 바디(33)의 사이 위치에 힌지(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힌지(41)는 회전 브라켓(40)의 길이 방향의 중심점으로부터 잉곳 포트(60)의 탕면에서 먼곳의 비대칭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브라켓(40)의 회전 작동시에 잉곳 포트(60)의 용융아연의 탕면과 회전 브라켓(40)의 측면이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브라켓(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회전 브라켓(40)의 내부에 복수개로 이송되는 잉곳(11)을 잉곳 포트(60)에 순차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즉, 회전 브라켓(40)은 이동 대차(30)가 잉곳 포트(60)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구동부(50)의 구동 작동에 의해 잉곳 포트(60) 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는 바, 회전 작동시에 내부에서 복수개의 잉곳이 잉곳 포트(60)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브라켓(40)의 회전 상태에서 전방향 측으로 순차적으로 자중에 의해 이동되는 잉곳(11)은, 회전 브라켓(40)의 기울어진 하부측에 위치한 잉곳(11)들이 순차적으로 녹으면서 투입 작동이 원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브라켓(40)은 잉곳(11)이 삽입되는 일측이 개방되고 잉곳(11)이 잉곳 포트(60)에 접촉되는 타측이 폐쇄되도록 하는 바, 회전 브라켓(40)의 기울어진 일측이 용융아연(61)에 잠겨 잉곳(11)이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녹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잉곳(11)은 회전 브라켓(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최외각에 위치된 잉곳(11)부터 용융아연에 접촉하여 순차적으로 녹게 되는 바, 잉곳(11)의 녹는 속도 만큼 자동으로 복수개의 잉곳(11)이 잉곳 포트(6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잉곳(11)이 적절한 속도로 잉곳 포트(60)의 내부에 투입되는 바, 잉곳(11) 투입 과정에서 용융 아연이 출렁 거림이 발생되지 않고 적절한 속도로 잉곳(11)의 투입에 의해 잉곳 포트(60)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회전 브라켓(40)의 기울어진 회전 작동은 구동부(5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50)는, 일측이 회전 브라켓(40)에 연결되어 회전 브라켓(40)의 회전 상태를 지지하는 와이어부재(51)와, 와이어부재(51)의 타측에 연결되어 와이어부재(51)를 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부재(51)는 회전 브라켓(40)의 일측 즉, 잉곳 포트(60)의 용융아연에 접촉되는 측의 대향하는 측에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부재(51)는 도르레부재(5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구동모터(53)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53)는 구동축의 회전 작동에 의해, 구동축의 외측에 와이어부재(51)를 감거나 풀도록 하여, 회전 브라켓(40)의 회전 작동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100)는, 복수개의 잉곳(11)이 회전 브라켓(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최외각에 위치된 잉곳(11)부터 용융아연에 접촉하여 순차적으로 녹게 되는 바, 잉곳(11)의 녹는 속도 만큼 자동으로 복수개의 잉곳(11)이 잉곳 포트(6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잉곳(11)이 적절한 속도로 잉곳 포트(60)의 내부에 투입되는 바, 잉곳(11) 투입 과정에서 용융 아연이 출렁 거림이 발생되지 않고 적절한 속도로 잉곳(11)의 투입에 의해 잉곳 포트(60)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잉곳(11)이 회전 브라켓(40)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울어져 잉곳 포트(60)의 내부에 투입되는 바, 다양한 종류의 잉곳이 적절하게 투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이송 유닛 11...잉곳
20...피딩 유닛 21...공급 롤러
30...이동 대차 31...제1 대차 바디
31a..제1 구동휠 33...제2 대차 바디
32a..제2 구동휠 35...내부 롤러
40...회전 브라켓 41...힌지
50...구동부 51...와이어부재
53...구동모터 60...잉곳 포트
61..용융 아연

Claims (7)

  1. 잉곳이 용해되는 잉곳 포트에 잉곳을 자동으로 투입하는 장치로서,
    잉곳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과 상기 잉곳 포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 유닛에서 이송된 상기 잉곳을 상기 잉곳 포트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 대차;
    상기 이송 유닛과 상기 잉곳 포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잉곳을 상기 이동대차로 공급하는 피딩 유닛;
    상기 잉곳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대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상기 잉곳을 상기 잉곳 포트의 내부에 투입하는 회전 브라켓; 및
    상기 회전 브라켓에 회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복수개의 상기 잉곳이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피닝 유닛 위치로 상기 잉곳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인,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닝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과 상기 잉곳 포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잉곳을 상기 이동대차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를 포함하는,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차는,
    하부에는 제1 구동휠이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대차 바디;
    상기 제1 대차 바디와의 사이에서 상기 잉곳이 공급되는 공급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2 구동휠이 설치되어 상기 제1 대차 바디와 함께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대차 바디; 및
    상기 제1 대차 바디와 상기 제2 대차 바디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잉곳이 이동되는 내부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차 바디와 상기 제2 대차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 브라켓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제1 대차 바디와 상기 제2 대차 바디에서 상기 잉곳 포트 방향의 일측에 측면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피딩 유닛에 의해 이동된 상기 잉곳이 위치되는 브라켓 바디; 및
    상기 브라켓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잉곳을 회전 지지하는 브라켓 롤러;
    를 포함하는,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은,
    일측은 상기 이동 대차의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 작동시 일측이 상기 잉곳 포트의 내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잉곳이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 브라켓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회전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 상태를 지지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부재를 감아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KR1020210182459A 2021-12-20 2021-12-20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KR102633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459A KR102633123B1 (ko) 2021-12-20 2021-12-20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459A KR102633123B1 (ko) 2021-12-20 2021-12-20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648A true KR20230093648A (ko) 2023-06-27
KR102633123B1 KR102633123B1 (ko) 2024-02-01

Family

ID=8694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459A KR102633123B1 (ko) 2021-12-20 2021-12-20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1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366A (ko) * 2003-04-14 2004-10-21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 인고트 예열장치
CN109628868A (zh) * 2018-12-26 2019-04-16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热镀锌机组自动加锌锭装置
KR102038483B1 (ko) * 2019-09-11 2019-10-30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도금액 농도 및 레벨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366A (ko) * 2003-04-14 2004-10-21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 인고트 예열장치
CN109628868A (zh) * 2018-12-26 2019-04-16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热镀锌机组自动加锌锭装置
KR102038483B1 (ko) * 2019-09-11 2019-10-30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도금액 농도 및 레벨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123B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08621A (ja) 搬送設備
JP2007055703A (ja) 容器の搬送スターホイール及び容器の搬送方法
JP5977338B2 (ja) 対象、特に車両ボディ、を処理する、特に電気泳動浸漬塗装する、ための設備
JP5850871B2 (ja) マングルあるいはこれと類似のものへ洗濯物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230093648A (ko) 용융 아연 도금 욕조의 잉곳 투입장치
JP6352671B2 (ja) 充填装置
JP2021025109A (ja) 金属めっき鋼管の製造方法および鋼管の溶融金属めっき装置
KR101536938B1 (ko)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JP5423168B2 (ja) 表面処理領域に対して被処理物を搬入及び搬出する装置並びに方法
KR102061273B1 (ko)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KR101320660B1 (ko) 회전슈트
JPH0648562A (ja) リール領域でリングに巻回された被圧延材料の輸送装置
CN1129665A (zh) 输送卷筒形香烟包装材料的运送台
JP5532476B2 (ja) 塗装システム
KR20010034835A (ko) 반도체 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US5343930A (en) Centrifugal casting system having a carrier of elongated materials
KR101097042B1 (ko) 기판가공장치
KR102346597B1 (ko) 소형 김의 포장장치
JP6636820B2 (ja) 巻締装置
KR20090072626A (ko) 컨베이어벨트
JP6669457B2 (ja) 移送システムおよび物品移送手段
JP2532680Y2 (ja) 物品移載装置
JPH11334825A (ja) カテナリーコンベアの摩擦駆動装置
JP2011115761A (ja) 塗装用吹付処理装置
KR100579313B1 (ko) 휠 자동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