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752A - 예초용 관절날 - Google Patents

예초용 관절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752A
KR20230091752A KR1020220057867A KR20220057867A KR20230091752A KR 20230091752 A KR20230091752 A KR 20230091752A KR 1020220057867 A KR1020220057867 A KR 1020220057867A KR 20220057867 A KR20220057867 A KR 20220057867A KR 20230091752 A KR20230091752 A KR 20230091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rotary
cover plat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연철
Original Assignee
투와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와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투와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0678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19184A1/ko
Priority to JP2022542935A priority patent/JP2024519624A/ja
Publication of KR2023009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3Cutting-blade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6Noise redu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용 관절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하는 동력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포개지게 결합되되, 중앙부에는 상기 동력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커버판 및 상기 커버판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등 간격으로 결합되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회전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커버판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칼날이 접촉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칼날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커버판의 외측방향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지면의 이물질에 부딪쳐 상기 커버판의 내측방향으로 접혀 들어가 상기 판스프링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완충부가 상기 회전칼날이 상기 판스프링에 부딪치게 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예초용 관절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예초용 관절날 {Joint Blade for mowing}
본 발명은 예초용 관절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예초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회전하는 회전판에 복수 개의 회전칼날이 등간격으로 결합되고 있는 예초용 관절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이나 들에 식생되는 곡식, 풀, 잡목 등이 많이 자란 곳을 개간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흙에서 잡초들을 제거하거나 흙을 뒤집어 돌을 골라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농기구 중에 대표적인 것이 호미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호미는 육체적인 피로와 비효율적인 작업능력에 의해 지양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모터를 주 동력원으로 하여 동력전달 축에 동력을 전달하며 동력전달 축 단부에 칼날이 형성된 회전판이 결합되는 예초기계를 개발하여 낫과 삽과 같은 도구 대신에 예초기계 칼날을 잡초나 잡목 등에 접근시켜 칼날의 회전력을 이용해 이들을 절단함으로써 예초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예초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지면에 박혀있는 돌이나 기타 단단한 이물 등을 일반 잡목 또는 잡초와 같이 예초작업이 이루어져 예초작업 과정에서 예초기 칼날이 지면의 돌이나 지면 바닥에 마찰되어 칼날이 쉽게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장시간 작업을 수행하는 예초 작업에 있어서, 예초기계의 무게로 인하여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선행기술인 선행문헌 1은 회전내장식 칼날을 구비한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잡초 또는 잡목을 제거하는 칼날이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서 펼쳐져서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잡초 및 잡목제거 작업시 발생되는 돌의 튐 등으로 인한 절단장치의 파손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토록 하는 회전내장식 칼날을 구비한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전내장식 칼날을 구비한 예초기는 칼날이 깨지거나 작업자를 다치게 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칼날의 형상으로 쉽게 손상될 수 있고 부양력이 발생되지 않아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남아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748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버판에서 부양력이 발생되어 작업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커버판에 결합되어 회전하게 되는 회전칼날을 판스프링과 일체로 구비되는 완충부가 지지하여,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예초용 관절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은 회전하는 동력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포개지게 결합되되, 중앙부에는 상기 동력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커버판 및 상기 커버판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회전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회전칼날에 인접한 상기 커버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과 일체로 구비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회전칼날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커버판의 외측방향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지면의 이물질에 부딪쳐 상기 커버판의 내측방향으로 접혀 들어가 상기 판스프링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완충부가 상기 회전칼날이 상기 판스프링에 부딪치게 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완충부는, 상기 커버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양면으로 상기 회전판과 상기 커버판을 밀착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커버판의 회전 시 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판은, 상기 커버판의 측면에서 상기 커버판의 둘레를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복수 개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의 회전 시, 부양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회전판 관통홀, 상기 회전판 관통홀의 일측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보다 큰 직경으로 돌출되는 돌출턱 및 상기 회전판 관통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회전판과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의 관통방향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커버판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칼날은, 상기 회전칼날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턱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회전칼날 관통홀 및 상기 회전칼날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칼날이 회전가능한 축으로 구비되는 회전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볼트는 와셔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 및 회전지지대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커버판 관통홀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지지대가 상기 돌출턱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회전판 관통홀 및 상기 회전판 관통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회전판과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의 관통방향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커버판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칼날은, 상기 회전칼날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판 관통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회전칼날 관통홀, 상기 회전칼날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칼날이 회전가능한 축으로 구비되는 회전지지대 및 상기 회전지지대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볼트는 와셔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 및 회전지지대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커버판 관통홀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돌출부가 상기 회전판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회전판 관통홀, 상기 회전판 관통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회전판과 고정볼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는, 상기 와셔의 본체룰 구성하는 와셔프레임, 상기 와셔프레임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구비되는 와셔날개부, 상기 와셔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와셔관통홀 및 상기 와셔관통홀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와셔완충부를 포함하여, 상기 와셔관통홀로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와셔완충부가 눌리게 되면, 상기 와셔날개부가 상기 고정볼트의 일측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와셔관통홀에서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초용 관절날은 회전판의 날개부와 회전칼날로 부양력이 발생되어, 작업자의 예초작업 시에 예초기계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초용 관절날은 회전칼날이 판스프링과 일체로 구비된 완충부에 밀착 지지하게 되는 구조로 인하여, 회전판의 회전 시에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초용 관절날은 회전칼날이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회전칼날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초용 관절날은 고정볼트의 조립구조로 인하여, 회전칼날이 이탈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초용 관절날에 적용된 와셔는 고정볼트가 풀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커버판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회전칼날이 원심력으로 전개된 모습과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회전칼날과 커버판의 연결부의 모습을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평면에서 바라본 것이며, 판스프링과 완충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고정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고정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와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고정볼트와 와셔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고정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이 동력축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가이드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커버판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회전칼날이 원심력으로 전개된 모습과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회전칼날과 커버판의 연결부의 모습을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을 평면에서 바라본 것이며, 판스프링과 완충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고정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고정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와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고정볼트와 와셔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고정볼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이 동력축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가이드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10)은 부양력이 발생되어 작업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예초용 관절날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의 제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10)은 동력축(도면 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축(A)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전판(100), 상기 회전판(100)의 상부에 포개지게 결합되되, 중앙부에는 상기 동력축(A)이 삽입되는 삽입홀(210)이 형성되는 커버판(200) 및 상기 커버판(200)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회전칼날(300)을 포함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판(100)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판(10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날개(300)가 결합되는 부분 사이로는 내측으로 절단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판(100)은 전체적으로 삼각판 형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100)의 중앙부에는 동력연결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동력연결홀(210)에는 상기 동력축(A)이 삽입된다. 상기 회전판(100)에는 삽입되는 상기 동력축(A)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장착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20)은 원형의 형태로, 상기 동력연결홀(1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20)에는 후술할 가이드판(40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판(400)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악세사리가 장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판(200)이 마련된다. 상기 커버판(200)은 회전되면서 잡초를 제거하는 예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커버판(200)의 중앙부에는 삽입홀(2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210)에는 상기 동력연결홀(110)과 마찬가지로 상기 동력축(A)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200)은 상기 회전판(100)과 고정볼트(130)와 같은 수단에 의해 포지지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축(A)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판(100) 및 커버판(200)은 상기 동력축(A)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판(200)은 상기 커버판(200)의 측면에서 상기 커버판(200)의 둘레를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복수 개의 날개부(2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220)는 상기 회전칼날(300)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커버판(200)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향 경사지게 사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날개부(220)는 프로펠러와 같은 원리로 상기 커버판(200)의 회전 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상승기류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220)는 상기 커버판(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향 경사와 하향 경사 중에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날개부(220)는 그 폭을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날개부(220)의 폭이 점점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커버판(200)은 상기 날개부(220)에 의하여 부양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예초작업 수행동안 작업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칼날(300)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칼날(300)은 상기 커버판(300)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커버판(300)의 일측에서 일정간격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칼날(300)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칼날(300)은 상기 커버판(300)이 회전하게 되면, 원심력으로 상기 커버판(300)의 수직방향으로 전개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칼날(300)은 전체적으로 일자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칼날(300)의 길이방향 양면에는 칼날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칼날홈(310)은 ‘V’자형으로 복수 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칼날홈(310)은 상기 회전칼날(300)의 양단면에서 상기 회전칼날(300)의 길이방향으로 50mm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칼날(300)의 중심측으로 경사지는 각도를 15°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칼날홈(310)의 간격 및 깊이는 피절삭물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칼날홈(310)에 의해, 피절삭물이 경사면을 따라 걸쳐지게 절삭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칼날(300)에 상기 칼날홈(3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칼날(300)의 절삭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판(200)은 상기 회전칼날(300)에 인접한 상기 커버판(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판스프링(230) 및 상기 판스프링(230)과 일체로 구비되는 완충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판스프링(230)은 상기 회전칼날(300)의 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커버판(200)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판스프링(230)은 금속 소재로 연속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240)는 상기 판스프링(230)의 절곡된 형태에 맞춰 상기 판스프링(23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240)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240)는 상기 커버판(20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양면으로 상기 회전판(100)과 상기 커버판(200)을 밀착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커버판(200)의 회전 시 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200)은, 상기 회전판(100)과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140)의 관통방향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커버판 관통홀(250)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판 관통홀(250)에는 상기 회전판(100)에 결합된 상기 고정볼트(130)가 결합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칼날(300)은 상기 커버판(20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상기 커버판(200)의 외측방향으로 전개된다. 이후 도 5의 (B)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예초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동안 상기 회전칼날(300)이 지면의 이물질에 부딪치게 되면, 상기 회전칼날(300)은 상기 커버판(200)의 내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칼날(300)의 일면은 상기 커버판(20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판스프링(230)에 접촉하게 된다.
종합해보면, 상기 회전판(100)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회전칼날(300)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커버판(200)의 외측방향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지면의 이물질에 부딪쳐 상기 커버판(200)의 내측방향으로 접혀 들어가 상기 판스프링(230)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완충부(240)가 상기 회전칼날(300)이 상기 판스프링(200)에 부딪치게 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판스프링(230)은 제 1경사면(231), 제 1바닥면(232), 제 2경사면(233), 제 2바닥면(234), 제 3경사면(235) 및 제 4경사면(23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경사면(231)은 상기 판스프링(230)의 일단부로서, 상기 커버판(200)의 내부에 조립되기 위해 상기 회전칼날(300)이 위치한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1바닥면(232)은 상기 제 1경사면(231)에서 이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회전칼날(300)의 전개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바닥면(232)에는 상기 판스프링 돌출부(232-1)가 구비된다. 상기 판스프링 돌출부(232-1)는 상기 제 1바닥면(232)에서 상기 회전칼날(300)의 전개방향으로 돌출되며, 후술할 제 2완충부(242)의 양면을 잡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경사면(233)은 상기 제 1바닥면(232)에서 이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커버판(200)의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2바닥면(234)은 상기 제 2경사면(233)에서 이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제 1바닥면(232)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바닥면(234)은 상기 회전칼날(30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3경사면(235)은 상기 제 2바닥면(234)과 이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회전칼날(300)이 위치한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경사면(235)은 상기 회전칼날(350)의 일면이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회전칼날(300)에서 칼날이 형성되지 부분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제 4경사면(236)은 상기 판스프링(230)의 타단부로서, 상기 제 1경사면(231)과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판(200)의 내부에 조립되기 위해 상기 조립판(200)의 내측방향으로 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230)은 상기 제 1경사면(231), 제 1바닥면(232), 제 2경사면(233), 제 2바닥면(234), 제 3경사면(235) 및 제 4경사면(236)을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상기 제 3경사면(235)에 부딪치게 되는 상기 회전칼날(300)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경사면(231), 제 1바닥면(232), 제 2경사면(233), 제 2바닥면(234), 제 3경사면(235) 및 제 4경사면(236)은 길이와 경사각도를 상기 커버판(200)의 내부구조 및 상기 회전칼날(3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240)는 제 1완충부(241), 완충홈(241-1) 및 제 2완충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완충부(241)는 상기 판스프링(23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일면은 상기 판스프링(230)의 절곡된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타면은 상기 삽입홀(21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1완충부(241)는 일면으로 상기 판스프링(230)을 지지하게 되고, 타면으로 상기 커버판(200)의 내측면에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완충부(241)에는 상기 완충홈(241-1)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홈(241-1)은 상기 제 1완충부(241)와 상기 커버판(300)의 내측 프레임과의 사이 공간에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완충홈(241-1)은 V자형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완충부(241)는 상기 회전칼날(300)의 충격을 상기 커버판(200)의 내측방향으로 밀려가는 공간을 확보하여 추가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완충부(242)는 상기 판스프링 돌출부(232-1)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상기 커버판(20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완충부(242)는 상기 판스프링(230)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판(100)은, 상기 회전판(100)의 일측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회전판 관통홀(140), 상기 회전판 관통홀(140)의 일측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140)보다 큰 직경으로 돌출되는 돌출턱(150) 및 상기 회전판 관통홀(140)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볼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턱(150)은 상기 회전판 관통홀(14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판 관통홀(140)보다 큰 직경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150)은 상기 회전판 관통홀(140)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돌출턱(150)은 상기 회전판 관통홀(140)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130)는 상기 회전판(100) 및 상기 커버판(200)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140)에서 상기 커버판 관통홀(250)까지 결합 가능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130)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본체부와 상기 볼트 본체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머리로 구비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칼날(300)은, 상기 회전칼날(300)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턱(150)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회전칼날 관통홀(320) 및 상기 회전칼날 관통홀(32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칼날이 회전가능한 축으로 구비되는 회전지지대(3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볼트(130)는 와셔(131)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140) 및 회전지지대(330)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커버판 관통홀(250)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지지대(330)가 상기 돌출턱(150)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지지대(330)는 상기 돌출턱(150)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회전지지대(330)가 고정되어, 상기 회전칼날(300)이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10)의 제 2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고정볼트(130)의 결합구조에 차이점이 있으며, 회전판(101)의 구성 및 회전칼날(301)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10)은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판(101) 및 회전칼날(301)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101)은 상기 회전판(101)의 일측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회전판 관통홀(141)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칼날(301)은 상기 회전칼날(301)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판 관통홀(14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회전칼날 관통홀(321) 및 상기 회전칼날 관통홀(321)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칼날(301)이 회전가능한 축으로 구비되는 회전지지대(33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대(331)에는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141)과 동일한 직경으로 고정돌출부(331-1)가 돌출된다. 상기 고정돌출부(331-1)의 높이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판(101)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130)는 상기 와셔(131)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141) 및 회전지지대(331)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커버판 관통홀(250)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돌출부(331-1)가 상기 회전판 관통홀(14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고정돌출부(331-1)는 상기 회전판 관통홀(141)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지지대(331)가 고정되어, 상기 회전칼날(301)이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10)의 제 3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고정볼트(130)의 결합구조에 차이점이 있으며, 회전판(102)의 구성 및 회전칼날(302)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제 3실시예에 따른 예초용 관절날(10)은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판(102) 및 회전칼날(302)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102)은 상기 회전판(102)의 일측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회전판 관통홀(142), 상기 회전판 관통홀(142)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30), 상기 회전판(102)과 고정볼트(130)의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132) 및 상기 회전판 관통홀(142)의 외측에 형성되는 지지대 고정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와셔(142)는 와셔프레임(132-1), 와셔날개부(132-2), 와셔관통홀(132-3), 와셔완충부(132-4) 및 와셔홈(132-5)을 포함한다.
상기 와셔프레임(132-1)은 상기 와셔(142)의 본체로 구성되며,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와셔프레임(132-1)의 일단부는 ‘W’ 자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셔프레임(132-1)의 타단부는 곡률지게 형성된다.
상기 와셔날개부(132-2)는 상기 와셔프레임(132-1)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셔날개부(132-2)는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구비된다. 복수 개의 상기 와셔날개부(132-2)는 상기 와셔프레임(132-1)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와셔날개부(132-2)는 바람직하게 상기 와셔프레임(132-1)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셔관통홀(132-3)은 상기 와셔프레임(132-1)의 일측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셔관통홀(132-3)은 상기 와셔프레임(132-1)의 길이방향 중심부에서 상기 와셔날개부(132-2)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셔관통홀(132-3)은 바람직하게 상기 와셔프레임(132-1)에서 복수 개의 상기 와셔날개부(132-2)의 중심부가 서로 만나게 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셔완충부(132-4)는 상기 와셔관통홀(132-3)의 일측에서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셔완충부(132-4)는 상기 와셔관통홀(132-3)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와셔관통홀(132-3)보다 큰 직경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와셔완충부(132-4)는 상기 와셔관통홀(132-3)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와셔완충부(132-4)는 상기 와셔관통홀(132-3)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와셔홈(132-5)은 상기 와셔프레임(132-1)의 일측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셔홈(132-5)은 상기 와셔프레임(132-1)의 길이방향 중심부에서 상기 와셔관통홀(132-3)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와셔홈(132-5)은 바람직하게 상기 와셔프레임(132-1)의 타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와셔(142)는 상기 고정볼트(13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셔관통홀(132-3)로 상기 고정볼트(13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와셔완충부(132-4)는 상기 고정볼트(130)의 머리에 눌리게 되면서 진동 또는 흔들림으로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볼트(130)가 삽입에 의해 상기 와셔완충부(132-4)를 누르게 되면서 상기 와셔날개부(132-2)는 경사각도가 커지게 되고, 상기 고정볼트(130)의 머리 일측면과 접촉하게 되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130)는 예를들면 육각볼트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합해보면, 상기 와셔관통홀(132-3)로 상기 고정볼트(1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와셔완충부(132-4)가 눌리게 되면, 상기 와셔날개부(132-2)가 상기 고정볼트(130)의 일측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볼트(130)가 상기 와셔관통홀(132-3)에서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 고정부(160)는 상기 회전판 관통홀(14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판 관통홀(142)보다 큰 직경으로 절곡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 고정부(160)는 상기 회전판(102)을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회전판(102)에서 상기 회전칼날(302)이 위치한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 고정부(160)는 상기 회전칼날(302)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칼날(302)은 상기 회전칼날(302)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칼날 관통홀(322) 및 상기 회전칼날 관통홀(322)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칼날(302)이 회전가능한 축으로 구비되는 회전지지대(33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칼날 관통홀(322)은 상기 회전판 관통홀(14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지지대 고정부(160) 사이로 굴곡이 시작되는 지점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대(332)에는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회전칼날 관통홀(322)과 동일한 직경으로 고정돌출부(332-1)가 돌출된다. 상기 고정돌출부(332-1)의 높이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판(10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130)는 상기 와셔(132)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142) 및 회전지지대(332)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커버판 관통홀(250)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지지대(332)가 상기 지지대 고정부(16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돌출부(332-1)는 복수 개의 상기 지지대 고정부(160) 사이에 배치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지지대(332)가 고정되어, 상기 회전칼날(302)이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와셔(132)는 상기 회전판(102)의 외경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셔프레임(132-1)은 상기 고정볼트(130)에 의해 상기 회전판(102)에 밀착되는 판으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판(102)의 외경을 벗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의 예초용 관절날(10)은 동력축(A)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예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력원(A)은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예초 작업과정에서 파지할 수 있는 봉의 형태로서, 일정 길이를 가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동력원(A)은 일측에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원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도면 미도시)가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동력원은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같은 기술은 통상의 기술자 및 관렵 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예초용 관절날(10)은 상기 회전판(100)의 하부에 장착되는 가이드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판(400)은 내부가 비어있는 용기와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400)의 중앙부에는 가이드판 돌출부(410)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 돌출부(410)의 중앙부에는 가이드 관통홀(4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판 돌출부(410)은 상기 회전판(100)에서 상기 동력연결홀(110)이 형성된 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 관통홀(411)은 상기 동력연결홀(110)과 연결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이드판(400)은 작업자의 예초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평면 미끄럼판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동력축
10 : 예초용 관절날
100 : 회전판
101 : 회전판
102 : 회전판
110 : 동력연결홀
120 : 장착홈
130 : 고정볼트
131 : 와셔
132 : 와셔
132-1 : 와셔프레임
132-2 : 와셔날개부
132-3 ; 와셔관통홀
132-4 : 와셔완충부
132-5 : 와셔홈
140 : 회전판 관통홀
141 : 회전판 관통홀
142 : 회전판 관통홀
150 : 돌출턱
160 : 지지대 고정부
200 : 커버판
210 : 삽입홀
220 : 날개부
230 : 판스프링
231 : 제 1경사면
232 : 제 1바닥면
232-1 : 판스프링 돌출부
233 : 제 2경사면
234 : 제 2바닥면
235 : 제 3경사면
236 : 제 4경사면
240 : 완충부
241 : 제 1완충부
241-1 : 완충홈
242 : 제 2완충부
250 : 커버판 관통홀
300 : 회전칼날
301 : 회전칼날
302 : 회전칼날
310 : 칼날홈
320 : 회전칼날 관통홀
321 : 회전칼날 관통홀
322 : 회전칼날 관통홀
330 : 회전지지대
331 : 회전지지대
331-1 : 고정돌출부
332 : 회전지지대
332-1 : 고정돌출부
400 : 가이드판
410 : 가이드판 돌출부
411 : 가이드판 관통홀

Claims (6)

  1. 회전하는 동력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포개지게 결합되되, 중앙부에는 상기 동력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커버판; 및
    상기 커버판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회전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회전칼날에 인접한 상기 커버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과 일체로 구비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회전칼날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커버판의 외측방향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지면의 이물질에 부딪쳐 상기 커버판의 내측방향으로 접혀 들어가 상기 판스프링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완충부가 상기 회전칼날이 상기 판스프링에 부딪치게 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용 관절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커버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양면으로 상기 회전판과 상기 커버판을 밀착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커버판의 회전 시 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용 관절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은,
    상기 커버판의 측면에서 상기 커버판의 둘레를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복수 개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의 회전 시, 부양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용 관절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회전판 관통홀;
    상기 회전판 관통홀의 일측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보다 큰 직경으로 돌출되는 돌출턱; 및
    상기 회전판 관통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회전판과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의 관통방향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커버판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칼날은,
    상기 회전칼날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턱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회전칼날 관통홀; 및
    상기 회전칼날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칼날이 회전가능한 축으로 구비되는 회전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볼트는 와셔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 및 회전지지대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커버판 관통홀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지지대가 상기 돌출턱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용 관절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회전판 관통홀; 및
    상기 회전판 관통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회전판과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의 관통방향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커버판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칼날은,
    상기 회전칼날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판 관통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회전칼날 관통홀;
    상기 회전칼날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칼날이 회전가능한 축으로 구비되는 회전지지대; 및
    상기 회전지지대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볼트는 와셔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관통홀 및 회전지지대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커버판 관통홀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돌출부가 상기 회전판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용 관절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회전판 관통홀;
    상기 회전판 관통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회전판과 고정볼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는,
    상기 와셔의 본체룰 구성하는 와셔프레임;
    상기 와셔프레임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구비되는 와셔날개부;
    상기 와셔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와셔관통홀; 및
    상기 와셔관통홀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와셔완충부;를 포함하여,
    상기 와셔관통홀로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와셔완충부가 눌리게 되면, 상기 와셔날개부가 상기 고정볼트의 일측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와셔관통홀에서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용 관절날.
KR1020220057867A 2021-12-16 2022-05-11 예초용 관절날 KR20230091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6786 WO2023219184A1 (ko) 2021-12-16 2022-05-12 예초용 관절날
JP2022542935A JP2024519624A (ja) 2021-12-16 2022-05-12 草刈り用ジョイントブレー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0217 2021-12-16
KR1020210180217 2021-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752A true KR20230091752A (ko) 2023-06-23

Family

ID=8400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867A KR20230091752A (ko) 2021-12-16 2022-05-11 예초용 관절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519624A (ko)
KR (1) KR20230091752A (ko)
CN (1) CN115349347A (ko)
WO (1) WO2023219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752A (ko) * 2021-12-16 2023-06-23 투와이테크 주식회사 예초용 관절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489A (ko) 2014-03-14 2015-09-23 김길만 회전내장식 칼날을 구비한 예초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2635B2 (ja) * 1996-07-22 2005-01-19 石川島芝浦機械株式会社 浮上型モア
KR101317832B1 (ko) * 2013-04-18 2013-10-15 김두용 예초기 칼날
KR101469821B1 (ko) * 2014-03-04 2014-12-05 강영덕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KR101585520B1 (ko) * 2015-09-10 2016-01-14 강광원 예초기의 커팅장치
CN105612904B (zh) * 2016-01-15 2018-08-28 宫电高周波设备(上海)有限公司 割草旋转刀
CN215805678U (zh) * 2020-12-18 2022-02-11 武钢资源集团程潮矿业有限公司 邓式永久防松螺母组件
KR20230091752A (ko) * 2021-12-16 2023-06-23 투와이테크 주식회사 예초용 관절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489A (ko) 2014-03-14 2015-09-23 김길만 회전내장식 칼날을 구비한 예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9184A1 (ko) 2023-11-16
JP2024519624A (ja) 2024-05-21
CN115349347A (zh)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783A (en) Grass trimming device
JP4549301B2 (ja) 刈払機
KR20230091752A (ko) 예초용 관절날
KR101718665B1 (ko) 반복사용이 가능한 예초기용 절첩칼날
US5659964A (en) Light weight rotary vegetation cutting heads
KR101054726B1 (ko) 예초기용 가변식 안전커버
EP1211924B1 (fr) Ameliorations a une tete de coupe
KR101658165B1 (ko) 예초기용 절첩칼날
KR101929668B1 (ko) 예초기 커터
KR101864945B1 (ko) 가이드블레이드를 구비한 예초기 칼날
KR200474925Y1 (ko) 예초기 절단장치
KR200490943Y1 (ko)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
KR200440283Y1 (ko) 예초기용 칼날조립체
JP2022116638A (ja) 回転刃ユニット
KR20110085359A (ko) 예초날
JP5097969B1 (ja) 草刈刃および草刈機
KR101369492B1 (ko)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
KR20160035938A (ko) 예초기 사면칼날
KR20140099664A (ko) 부양력을 갖는 예초기 회전날
KR200439573Y1 (ko) 예취기용 안전장치
TWI722769B (zh) 割草機之轉盤裝置
JP6830519B1 (ja) 刈払機用補助具及び刈払機
CN208987316U (zh) 剪草刀
KR200354210Y1 (ko) 예취기용 칼날
JP5336265B2 (ja) 刈払機用複合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