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492B1 -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 - Google Patents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492B1
KR101369492B1 KR1020120104475A KR20120104475A KR101369492B1 KR 101369492 B1 KR101369492 B1 KR 101369492B1 KR 1020120104475 A KR1020120104475 A KR 1020120104475A KR 20120104475 A KR20120104475 A KR 20120104475A KR 101369492 B1 KR101369492 B1 KR 10136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blade
blade member
lawn mow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명
Original Assignee
박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명 filed Critical 박종명
Priority to KR1020120104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3Cutting-blade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는 상향 경사면을 가지는 블레이드(blade)와,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로 구성되며, 몸체는 커터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을 가지며, 장방형 또는 전체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삼각형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익형(翼型: airfoil)으로 형성되어 양력에 의한 커터의 사용 중량 저감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 로 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블레이드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를 사용하면, 예초기 커터의 마모에 따른 교체 필요 없이, 그에 장착된 블레이드만을 교체하면 족하므로 높은 경제성을 지니면서도, 분리 장착형임에도 불구하고 분리 이탈의 우려 없는 안전하고도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며, 블레이드 부재를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면 절삭 효율성에 대한 큰 희생 없이도 안전성을 제고할 수가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는 익형(翼型)의 블레이드 부재를 사용할 경우 예초기의 말단부를 이루는 커터의 양력 발생에 의한 사용 중량 저감으로 사용 편의성 내지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제고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BLADE FOR LAWN MOWER CUTTER AND CUTTER THEREOF}
본 발명은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blade) 및 그 커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예초기 커터에 적용 가능한 블레이드 부재(部材: member) 및 상기한 블레이드 부재가 장착된 커터에 관한 것으로서, 예초기 커터에 블레이드로서 장착하여 사용하고 마모 시에는 상기한 커터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마모된 상기한 블레이드 부재만을 교체 장착할 수 있으므로 높은 경제성을 지니면서도, 분리 이탈의 우려 없는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커터 블레이드를 회전 작동 시 양력을 발생시키는 익형(翼型)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예초기의 말단부를 이루는 커터의 사용 중량 저감에 따른 사용 편의성 내지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제고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잡초나 잔디 또는 지표면에 낮게 생육하고 있는 관목이나 덩굴 식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자동화 도구로서 예초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7에 이러한 통상적인 예초기(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예초기(100)는 어깨에 짊어질 수 있도록 멜빵(도면부호 미부여)이 부착된 2기통 또는 4기통의 원동기로 구성되는 동력부(110)와, 상기한 동력부(110)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 파이프(120)와, 상기한 연결 파이프(120)에 장착되는 그립(grip) 핸들(140)와, 상기한 연결 파이프(120)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커터(1′)로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30은 돌이나 잔가지의 튀김에 의한 부상 방지용 안전커버이다.
도 8은 도7에 나타낸 일반적인 예초기에 있어서 가장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금속재 커터(10)의 평면도로서, 상기한 커터(10)는 탄소강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고정공(12)이 형성되고 양측단의 폭이 좁은 선상 단부(13)와 폭이 넓은 중앙부(14)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양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본체(11)와, 상기한 본체(11)의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블레이드(2)로 구성되며, 상기한 블레이드(2)는 커터(10)의 회전 방향 쪽 본체(11) 상면에 대각선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블레이드(2)의 마모 시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다른 대각선 방향으로도 본체(11)의 저면에 블레이드(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블레이드(2) 면에 다수의 반원형 절삭부(2a)를 형성하여 둠으로써, 잔가지나 줄기의 절삭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도 흔히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커터(10)는 사용에 의해 상기한 블레이드(2)가 마모될 경우, 뒤집어서 한 번 더 사용하고 다시 다른 대각선 쪽 블레이드(2)가 마모되면, 상기한 커터(10)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다.
한편, 도 9는 안전을 고려한 종래의 다른 형태의 예초기용 커터(1″)의 평면도로서, 그 구조는 중앙에 고정공(12)이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본체(11)와, 그 양단부에 이어진 합성수지로 제작된 끈 형태의 블레이드(2a)로 구성되며, 상기한 끈 형태의 블레이드(2a)는 돌과 같이 단단한 물체에 회전하는 커터(1″)가 접촉하는 경우 상기한 끈 형태의 블레이드(2a)가 뒤로 휘어져 충격을 자체 흡수하므로 돌이 튈 염려가 감소됨과 아울러, 블레이드(2a)에 의한 신체 부상의 정도를 훨씬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금속재 블레이드(1′)에 비하여 절삭 효율성이 열등하여 잔가지나 가는 줄기의 절삭이 곤란함은 물론, 마모되는 정도가 금속재인 경우보다 훨씬 더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부분의 휴대용 예초기에 있어서, 동력부(110)로부터 길게 연장되고 내부에 동력 전달축(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는 연결 파이프(120)의 말단부에 회전 커터(1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연결 파이프(120)에 그립(grip) 핸들부(140)를 장착하여 이용한다 하더라도 힘의 작용점이 안전상의 이유로 후방에 위치할 수밖에 없으므로 작업 시 작업자가 느끼는 중량감이 상당하여 작업 피로도를 높이고 작업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예초기 커터의 교체 없이, 그에 장착된 블레이드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경제성을 부여할 수가 있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도 불구하고 분리 이탈의 우려 없는 견고한 장착이 가능한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절삭 효율성에 대한 큰 희생 없이 안전성을 제고할 수가 있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예초기의 말단부를 이루는 커터의 사용 중량 저감에 따른 사용 편의성 내지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제고할 수가 있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전술한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가 장착된 예초기 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첫 번째 양태(樣態)에 따르면, 상향 경사면을 가지는 블레이드(blade)와, 상기한 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한 몸체가 커터(cutter)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한 커터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공을 가지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部材: member)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 번째 양태(樣態)에 따르면, 상기한 몸체가 일측에는 선상 단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꼭지부가 형성되어 상기한 선상 단부로부터 꼭지부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삼각형 형태로 되어 있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세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접촉부가 상기한 몸체 배후부에 형성되는 슬롯 또는 단턱인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네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블레이드가 일측의 선상 단부로부터 꼭지부를 향하여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섯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세 번째 양태에 있어서 몸체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섯 번째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복수의 고정공의 외부 노출부가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블레이드 부재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몸체의 상면과 저면이 받음각(angle of attack)을 형성하는 익형(翼型: airfoil)으로 형성되어 커터의 회전 시 양력 생성에 의한 커터의 사용 중량 저감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블레이드는 상기한 익형 형상의 몸체의 앞 가장자리(leading edge)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部材: member)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면과 저면이 받음각(angle of attack)을 형성하는 익형(翼型: airfoil)으로 형성되어 커터의 회전 시 양력 생성에 의한 커터의 사용 중량 저감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한 익형의 몸체의 앞 가장자리(leading edge)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향 경사면을 가지는 블레이드로 구성되며, 상기한 몸체의 일측에 커터에 고정하기 위한 단 하나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部材: member)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어느 일 양태에 따른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가 회전 시 앞 가장자리(leading dege)를 이루는 대각선상의 2개소에 고정구로 고정되어 있는 예초기 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익형의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의 일측이 연결구를 개재(介在)하여 커터 본체에 고정구로 피벗(pivot)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예초기 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를 사용하면, 예초기 커터의 마모에 따른 교체 필요 없이, 그에 장착된 블레이드만을 교체하면 족하므로 높은 경제성을 지니면서도, 분리 장착형임에도 불구하고 분리 이탈의 우려 없는 안전하고도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며, 블레이드 부재를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면 절삭 효율성에 대한 큰 희생 없이도 안전성을 제고할 수가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는 익형(翼型)의 블레이드 부재를 사용할 경우 예초기의 말단부를 이루는 커터의 양력 발생에 의한 사용 중량 저감으로 사용 편의성 내지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제고할 수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의 유사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 및 도 1b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블레이드 부재의 커터 장착 상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익형(翼型: airfoil) 블레이드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익형 블레이드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익형 블레이드 부재의 커터 장착 상태도이다.
도 7은 통상적인 예초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예초기용 커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안전을 고려한 종래의 다른 형태의 예초기용 커터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1)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1)는 상향 경사면(도면부호 미부여)을 가지는 블레이드(2)와, 상기한 블레이드(2)와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몸체(3)에는 커터(10)와 접촉하는 접촉부(4) 및 상기한 커터(1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공(5)을 가지며, 일측에는 직선상 또는 곡선상의 선상 단부(3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꼭지부(3b)가 형성되어 상기한 선상 단부(3a)로부터 꼭지부(3b)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둔각 삼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체적인 형태가 직각 삼각형 또는 예각 삼각형의 형태라도 무방하며, 특별하게는 장방형의 형태일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접촉부가(4) 상기한 선상 단부(3a)로부터 꼭지부(3b)를 향하여 상기한 몸체(3) 배후부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슬롯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접촉부(4)가 단턱부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블레이드(2)가 일측의 선상 단부(3a)로부터 꼭지부(3b)를 향하여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2)의 폭도 마찬가지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경우에 따라 몸체(2)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한편, 상기한 몸체(2)에는 복수의 고정공(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각의 고정공(5)의 외측, 즉 외부 노출부를 오목부(6)로 형성함으로써, 고정구(7)의 왼나사 헤드부나 너트부 등이 몸체(3)의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커터(10)의 회전 시 외부 물체와의 충돌에 의한 상기한 고정구(7)의 풀림이나 파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블레이드 부재(1)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그 어느 것으로 하더라도 무방하지만, 절삭 효율성에 대한 약간의 희생 하에 보다 높은 안전성 제고를 위하여는 합성수지재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1a)의 유사 단면도인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접촉부(4)를 단턱부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경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a 및 도 1b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블레이드 부재(1)의 커터(10) 장착 상태 평면도로서, 전술한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1)의 슬롯 형상 접촉부(4)는 회전 시 앞 가장자리(leading dege)(15)를 이루는 대각선상의 2개소, 즉 선상 단부(3a)로부터 커터(10)의 본체(11) 중앙부(14)를 향하여 평면상에서 테이퍼 형태로 경사진 경사부 중 일측 경사부와 그 대각선상의 점대칭 개소에 위치하는 타측 경사부 상에 끼워진 다음, 블레이드 부재(1)의 몸체(2)에 복수개 형성된 고정공(도 1a 및 도 1b에서의 도면부호 5 참조)과 커터(10)의 본체(11)의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미리 형성된 고정공(미도시)을 통하여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당업계 공지의 고정구(7)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한 블레이드 부재(1)의 몸체(2)에 복수개 형성된 각각의 상기한 고정공의 외측, 즉 외부 노출부에는 오목부(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고정구(7)의 볼트 헤드나 너트 등은 상기한 몸체(2)의 외표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은폐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2는 피동축(미도시) 단부에 커터(1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며, 16은 회전 시의 뒷 가장자리(trailing edge)이다.
이어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익형(翼型(날개골): airfoil) 블레이드 부재(1b)의 단면도로서, 도 1a에 나타낸 예에서 몸체(3)가 커터(10)의 본체(11) 대부분을 덮을 정도로 넓게 형성되고, 상하로 오목부(6)가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5)이 앞 가장자리(15)에 인접한 부분 및 뒷 가장자리(16)에 인접한 부분에 각각 열과 행을 지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몸체(3)의 상면(3c)과 저면(3d)은 기류의 방향에 대한 날개의 기울기로 정의되는 받음각(angle of attack)을 형성하도록 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몸체(3)의 상면(3c)의 면적 및 폭 방향의 외부 윤곽 길이는 저면(3d)의 그것 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커터(10)의 회전 시 상기한 상면(3c)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유속은 빠른 반면, 저면(3d)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유속은 느리게 되므로, 상면(3c)에는 부압(負壓)이 생성되고,저면(3d)에는 정압(正壓)이 생성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한 몸체(3)에는 상방을 향한 양력이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예초기(도 7에서의 도면부호 100 참조)의 연결 파이프(도 7에서의 도면부호 120 참조)의 말단부에 연결된 커터(10)의 자중은 상기한 커터(10)의 회전 시 그 회전 속도에 따라 발생하는 양력에 의하여 그 사용 중량이 약 1/4~3/4 정도로 감소(사용 중량)되므로 작업 피로도를 낮춰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제고할 수가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2)는 상기한 익형 몸체(3)의 앞 가장자리(leading edge)(15)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향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절삭된 풀들이 주변으로 잘 분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익형 블레이드 부재(1b)는 전술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커터(10)에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더 많은 수효의 고정공(5)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익형 블레이드 부재(1b)는 합성수지재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용이하게 대량 생산될 수 있으며, 상기한 합성수지의 예로써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익형 블레이드 부재(1c)의 단면도로서, 후술하는 도 6과 같은 커터(10)의 본체(1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조에서 약간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그 기본 구성은 전술한 도 4의 경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앞 가장자리(15) 및 뒷 가장자리(16)에 인접한 영역에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익형 몸체(3)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날개 뿌리부(wing root: 도면부호 미부여)에 단 하나의 고정공(미도시로서 후술하는 도 6 참조)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익형 블레이드 부재(1c)의 커터(10) 장착 상태 설명도로써, 상기한 익형의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1c)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날개 뿌리부가 별도의 연결구(17)를 개재(介在)하여 커터(1)의 본체(11)에 단 하나의 고정구(19)로 피벗(pivot)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본체(11) 및 연결구(17)는 금속재로 형성되며, 상기한 익형 블레이드 부재(1c)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한 본체(11)와 연결구(17)의 연결 고정은, 예컨대, 복수개의 리벳(18)과 같은 적절한 공지의 고정구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한 연결구(17)와 본 발명에 따른 익형 블레이드 부재(1c)의 연결은 체결 및 체결 해제가 가능한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적절한 공지의 임의의 고정구(19)를 이용하여 연결되며, 상기한 고정구(19)를 중심축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익형 블레이드 부재(1c)는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예초기의 사용 시 익형 블레이드 부재(1c)가 돌 등에 부딪치는 경우 상기한 익형 블레이드 부재(1c)가 회전 역방향으로 피벗 운동하므로 안전성을 보다 제고할 수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1a,1b,1c: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blade) 부재(部材)
2: 블레이드 3:몸체
3a: 선상 단부 3b: 꼭지부
3c: 상면 3d: 저면
4: 접촉부(슬롯 또는 단턱부) 5: 고정공
6: 오목부 7: 고정구
10: 커터
11: 본체 12: 고정공
13: 선상 단부 14: 중앙부
15: 앞 가장자리(leading edge)16: 뒷 가장자리(trailing edge)
17: 연결구 18: 리벳
19: 고정구
100: 예초기
110: 동력부 120: 연결 파이프
130: 안전 커버 140: 그립 핸들(grip handle)

Claims (11)

  1. 상향 경사면을 가지는 블레이드(blade)와 상기한 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한 몸체는 커터(cutter)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한 커터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공을 가지며,
    상기한 몸체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상기한 블레이드가 일측의 선상 단부로부터 꼭지부를 향하여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한 복수의 고정공의 외측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몸체의 상면과 저면이 받음각(angle of attack)을 형성하는 익형(翼型(날개골): airfoil)로 형성되어 커터의 회전 시 양력 생성에 의한 커터의 사용 중량 저감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블레이드는 절삭된 풀이 주변으로 분산되도록 상기한 익형 몸체의 앞전(leading edge)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면을 가지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部材: member).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촉부가 상기한 몸체 배후부에 형성되는 슬롯 또는 단턱부인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블레이드 부재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는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104475A 2012-09-20 2012-09-20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 KR10136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475A KR101369492B1 (ko) 2012-09-20 2012-09-20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475A KR101369492B1 (ko) 2012-09-20 2012-09-20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492B1 true KR101369492B1 (ko) 2014-03-04

Family

ID=5064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475A KR101369492B1 (ko) 2012-09-20 2012-09-20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6486A (zh) * 2019-08-11 2019-11-29 广州锐尔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割草机上的悬浮式刀片及其实现悬浮的方法
KR102574531B1 (ko) 2023-02-20 2023-09-06 (주)삼한기업 안전판을 구비한 예초기 헤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1324U (ko) * 1988-02-12 1989-08-17
US4922698A (en) * 1989-09-07 1990-05-08 Taylor Lyle M Cutter bar with indexable blades for rotary lawn mowers
US5018347A (en) * 1990-05-07 1991-05-28 Feilen Michael A Lawn mower blade replacement cutting edge apparatus
KR101030251B1 (ko) * 2010-09-28 2011-04-22 민경태 예초기 벌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1324U (ko) * 1988-02-12 1989-08-17
US4922698A (en) * 1989-09-07 1990-05-08 Taylor Lyle M Cutter bar with indexable blades for rotary lawn mowers
US5018347A (en) * 1990-05-07 1991-05-28 Feilen Michael A Lawn mower blade replacement cutting edge apparatus
KR101030251B1 (ko) * 2010-09-28 2011-04-22 민경태 예초기 벌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6486A (zh) * 2019-08-11 2019-11-29 广州锐尔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割草机上的悬浮式刀片及其实现悬浮的方法
KR102574531B1 (ko) 2023-02-20 2023-09-06 (주)삼한기업 안전판을 구비한 예초기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0943A (en) Unitary cutting attachment for vegetation cutting devices
US10542670B2 (en) High-efficiency cutting system
US6446346B1 (en) Rotary blade for trimmers and brush cutters
US7299612B2 (en) Rotary mower blade
US5515670A (en) Rotary mower blade
US7882774B1 (en) Brushcutter blade
US9992930B2 (en) Slicing disc mower knives
US8387261B2 (en) Root resurfacing attachment for hand held gas powered edgers
KR20100063740A (ko) 예취기용 예취기 날 및 예취기
US4631828A (en) Cutting means for rotary trimmer
US7171798B1 (en) Rotary shredding blade
US9003754B1 (en) Stalk reducing bar and mower having a stalk reducing bar
US20110277438A1 (en) Lawn Mower Blade
KR101369492B1 (ko)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
US20020066263A1 (en) Disc and knife cutter assembly for mowing
US20110253399A1 (en) Soil and vegetation tool
US20130239538A1 (en) Shearing power mower blade
KR101374398B1 (ko) 예초기용 커터
US7070006B2 (en) One shot shovel
KR200440283Y1 (ko) 예초기용 칼날조립체
US7806196B2 (en) Beveled edger
US7743839B1 (en) Beveled edger
KR200474925Y1 (ko) 예초기 절단장치
JPS6130528B2 (ko)
KR20190002988U (ko)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