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988U -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 - Google Patents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988U
KR20190002988U KR2020180002283U KR20180002283U KR20190002988U KR 20190002988 U KR20190002988 U KR 20190002988U KR 2020180002283 U KR2020180002283 U KR 2020180002283U KR 20180002283 U KR20180002283 U KR 20180002283U KR 20190002988 U KR20190002988 U KR 201900029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e
coupled
terminal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943Y1 (ko
Inventor
신연철
Original Assignee
신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연철 filed Critical 신연철
Priority to KR2020180002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43Y1/ko
Priority to PCT/KR2019/005436 priority patent/WO2019231124A1/ko
Publication of KR20190002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20Tools;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측에는 동력원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샤프트(11)가 돌출되는 작업봉(10);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 부위에 샤프트(11)가 삽입되는 제1관통홀(21)이 형성되는 상부커버(20);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되 체결수단(13)에 의해 제2관통홀(32)을 통해 노출되는 샤프트(11)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부커버(20) 하면에 밀착되는 회전판(31),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판(31)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호미날(33),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호미날(33)의 사이 사이에서 회전판(31)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2호미날(34)이 구비되는 회전호미(30); 상면 부위에는 작업봉(10)의 하측 부위가 안치되는 안치홈(41)이 형성되며 결합편(43)에 의해 작업봉(10)의 타측 부위 하부에 결합되는 작업봉안치대(42), 반원을 이루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 부위 상측이 작업봉안치대(42)의 전면 부위와 결합되는 커버지지대(46)가 구비되는 후면커버지지대(40); 상측 부위가 커버지지대(46)의 후면을 따라 결합되되, 하단에서 상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절개된 복수 개의 절개홈(51)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후면커버(50);를 포함하는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Portable weeder having mechanically driven weeding hoe}
본 고안은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어 돌출되는 복수 개의 호미를 소형 엔진이나 모터와 같은 동력원과 연결함으로써 매우 효율적으로 김매기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한 동력 호미에 관한 것이다.
밭에 농작물을 경작하거나 또는 야지를 개간하여 밭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흙에서 잡초들을 제거하거나 흙을 뒤집어 돌을 골라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농기구가 호미이다. 통상적으로 호미는 손잡이와 삼각 판상 구조의 호미 날로 이루어지는 작은 농기구로서, 호미를 이용한 작업은 앉은 자세에서 조금씩 움직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호미를 이용한 작업은 그 자체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보다 편리한 작업을 위한 대안으로 제안되고 있는 것에 도 6과 같은 동력 호미가 있다. 이 기술은 휠이 마련된 차체에 회전 호미를 마련하고, 작업자가 차체를 일방향으로 밀고 가면 차체에 별도 마련되는 동력원이 회전 호미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잡초를 제거하거나 흙은 뒤집게 된다.
하지만, 이 기술은 차체 자체가 중량이라는 점에서 별도의 운송수단이 없으면 이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으며, 차체에 마련되는 휠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구조란 점에서 노면이 평탄하지 않고 불규칙하거나 또는 산지와 같이 경사가 심한 경우에는 사용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동력 호미의 다른 대안으로 제안된 기술 중에 도 7과 같은 것이 있다. 이 기술은 통상적인 예초기를 응용한 것으로서, 동력원이 마련되는 작업봉 단부에 회전판을 연결하고, 회전판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날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종래 예초기와 같이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날을 회전판에 고정한 상태로 사용하는 방식이란 점에서, 작업 과정에서 돌 등에 의해 날이 쉽게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럴 경우 파손된 날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이 상당히 염려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976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93933호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김매기 작업 등을 매우 효율적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 매우 안전한 작업이 가능한 휴대용 동력 호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되, 일측에는 동력원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동력원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샤프트(11)가 돌출되는 작업봉(10);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 부위에 샤프트(11)가 삽입되는 제1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작업봉(10) 일측 부위에 위치하는 상부커버(20);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되 중앙 부위에는 샤프트(11)가 삽입되는 제2관통홀(32)이 형성되며 체결수단(13)에 의해 제2관통홀(32)을 통해 노출되는 샤프트(11)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부커버(20) 하면에 밀착되는 회전판(31),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판(31)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호미날(33),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호미날(33)의 사이 사이에서 회전판(31)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2호미날(34)이 구비되는 회전호미(30); 상면 부위에는 작업봉(10)의 하측 부위가 안치되는 안치홈(41)이 형성되며 결합편(43)에 의해 작업봉(10)의 타측 부위 하부에 결합되는 작업봉안치대(42), 반원을 이루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 부위 상측이 작업봉안치대(42)의 전면 부위와 결합되는 커버지지대(46)가 구비되는 후면커버지지대(40); 상측 부위가 커버지지대(46)의 후면을 따라 결합되되, 하단에서 상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절개된 복수 개의 절개홈(51)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후면커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호미날(33) 각각은 제2관통홀(32)의 중심으로부터 제1호미날(33) 중앙 부위를 연결하는 가상의 반경 R1 대하여 바깥 방향으로 각도 θ1만큼 경사져 배치되고, 상기 제2호미날(34) 각각은 제2관통홀(32)의 중심으로부터 제2호미날(34)의 중앙 부위를 연결하는 가상의 반경 R2 대하여 바깥 방향으로 각도 θ2(〈θ1)만큼 경사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호미날(33, 34) 각각의 내면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2칼날(35, 36)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호미날(33) 각각의 후방 부위 수직 높이 h1은 전방 부위 수직 높이 h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호미날(34) 각각의 후방 부위 수직 높이 h3은 전방 부위 수직 높이 h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동력원을 이용하여 회전판에 돌출되는 제1, 2호미날을 회전시키되, 제1, 2호미날을 서로 다른 각도로 어긋나 배치하거나 또는 각 호미날의 수직 높이를 달리 구성하여, 잡초나 돌 등의 비산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장시간 매우 안정적인 연속 호미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제1, 2호미날 각각의 내면에 칼날을 별도 형성하여, 회전호미의 내부 공간으로 일정 길이 이상의 잡초가 유입되더라도 이를 잘게 절단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내부 공간에 잡초가 적체되어 호미의 회전 운동이 저하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 호미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 호미에 있어 상면 커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 호미에 있어 회전호미의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 및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 호미에 있어 후면커버지지대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 호미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
도 6은 종래 동력 호미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7은 종래 동력 호미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 호미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작업봉(10), 상부커버(20), 회전호미(30), 후면커버지지대(40), 후면커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작업봉(10)은 작업자가 작업 과정에서 파지하는 봉으로서, 일정 길이를 가지며, 그 일측에는 미도시된 동력원이 구비되고, 그 타측에는 동력원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샤프트(11)가 돌출된다. 동력원은 소형엔진 또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봉 관련 기술은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커버(2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 부위에는 제1관통홀(21)이 형성된다. 제1관통홀(21)에는 샤프트(11)가 삽입된다. 상부커버(20)의 모서리 부위는 도 2와 같이 하방으로 곡률을 이루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작업과정에서 비산되는 돌 등을 지면으로 되 튕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회전호미(30)는 김매기 또는 노면을 파헤치는 수단으로, 회전판(31) 및 회전판(31)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1, 2호미날(33, 34)로 이루어진다.
회전판(31)은 도 3a와 같이,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 부위에는 제2관통홀(32)이 형성된다. 제2관통홀(32)은 샤프트(11)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부커버(20)가 샤프트(11)에 삽입되면, 상부커버(20) 하면에 회전판(31)이 밀착되며, 제2관통홀(32)을 통해 노출되는 샤프트(11)의 단부는 도 1과 같이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13)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11)가 회전하면, 상부커버(20) 및 회전판(31) 각각은 샤프트(11)와 함께 회전한다. 도면부호 12는 고정와셔이다.
제1호미날(33)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판(31)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제2호미날(34)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호미날(33)의 사이 사이에서 회전판(31)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이루어진다.
이때, 도 3b와 같이, 제1호미날(33)은 제2관통홀(32)의 중심으로부터 제1호미날(33) 중앙 부위를 연결하는 가상의 반경 R1 대하여 바깥 방향으로 각도 θ1만큼 경사져 배치될 수 있으며, 제2호미날(34)은 제2관통홀(32)의 중심으로부터 제2호미날(33)의 중앙 부위를 연결하는 가상의 반경 R2 대하여 바깥 방향으로 각도 만큼 경사져 배치될 수 있다. θ2와 θ1 각각은 θ2〈θ1 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은 제1호미날(33)과 제2호미날(34) 각각을 회전판(31)에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배치하되, 제1호미날(33)과 제2호미날(34) 각각의 경사 각도를 달리 구성한 특징이 있다. 이럴 경우, 작업 과정에서 ① 방향으로 유입되는 잡초나 돌 등은 ②, ③, ④ 각각의 방향으로 매우 용이하게 분산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2호미날(33, 34) 각각의 내면 하측에는 도면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2칼날(35, 36)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2칼날(35, 36) 각각은 작업 과정에서 ① 방향으로 유입되는 잡초 등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회전판(31)이 회전하는 과정에 회전판(31) 내부 공간으로 일정 길이 이상의 잡초가 유입되어 회전판(31)의 회전 운동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제1호미날(33) 각각의 후방 부위 수직 높이 h1은 전방 부위 수직 높이 h2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호미날(34) 각각의 후방 부위 수직 높이 h3은 전방 부위 수직 높이 h4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각 호미날의 수직 높이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구성이 바로 그것인데, 그 이유를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로서, 이에 의하면 단부에 회전호미(30)가 장착되는 일정 길이의 작업봉(10)을 가지고 지면을 대상으로 작업을 하는 특성상 회전호미(30)는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 때문에, 본 고안은 회전호미(30)에 구비되는 제1, 2호미날(33, 34) 각각의 전방 부위 및 후방 부위 수직 높이를 달리하여 잡초나 돌 등의 비산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호미날(33) 각각의 전방 부위 상단 및 후방 부위 상단 각각을 곡률면(331, 332)으로 형성하고, 제2호미날(34) 각각의 전방 부위 상단 및 후방 부위 상단 각각을 곡률면(341, 342)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도 5와 같은 작업 과정에서 제1, 2호미날(33, 34) 각각의 상단 부위가 지면에 박혀 작업이 중단되는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후면커버지지대(40)는 후면커버(50)의 장착을 위한 수단임과 동시에 돌 등의 비산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수단으로,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작업봉안치대(42) 및 커버지지대(46)로 이루어진다.
작업봉안치대(42)는 도 1과 같이 결합편(43)에 의해 작업봉(10)의 타측 부위 하부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그 상면 부위에는 안치홈(41)이 형성된다. 안치홈(41)은 함몰된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봉(10)의 하측 부위가 밀착되어 안치된다.
커버지지대(46)는 도면과 같이 반원을 이루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 부위 상측이 작업봉안치대(42)의 전면 부위와 결합된다. 도면과 같이 커버지지대(46)는 작업봉안치대(42)은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커버지지대(46)의 상측 모서리 부위를 따라서 일정폭의 돌출판(47)이 형성될 수 있다. 반원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버지지대(4) 상측 부위에 돌출판(47)이 마련되면, 작업 과정에서 후술할 후면커버(50)와 상면커버(20) 사이 공간을 통해 상방으로 비산하는 돌 등을 하방으로 되 튕겨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후면커버(50)는 도 5와 같이 작업 과정에서 잡초나 돌 등이 후방으로 비산되는 방지하는 수단으로, 그 상측 부위가 커버지지대(46)의 후면을 따라 결합된다. 이때, 후면커버(50)에는 하단에서 상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절개되는 복수 개의 절개홈(51)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후면커버(5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양측면 부위에서 중앙 부위로 갈수록 수직 높이가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봉(10)을 이용한 작업 특성을 고려할 때 후방으로 비산되는 돌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매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작업봉 20 : 상면커버
30 : 회전호미 40 : 후면커버지지대
50 : 후면커버

Claims (4)

  1. 일정 길이를 가지되, 일측에는 동력원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동력원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샤프트(11)가 돌출되는 작업봉(10);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 부위에 샤프트(11)가 삽입되는 제1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작업봉(10) 일측 부위에 위치하는 상부커버(20);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되 중앙 부위에는 샤프트(11)가 삽입되는 제2관통홀(32)이 형성되며 체결수단(13)에 의해 제2관통홀(32)을 통해 노출되는 샤프트(11)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부커버(20) 하면에 밀착되는 회전판(31),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판(31)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호미날(33),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호미날(33)의 사이 사이에서 회전판(31)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2호미날(34)이 구비되는 회전호미(30);
    상면 부위에는 작업봉(10)의 하측 부위가 안치되는 안치홈(41)이 형성되며 결합편(43)에 의해 작업봉(10)의 타측 부위 하부에 결합되는 작업봉안치대(42), 반원을 이루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 부위 상측이 작업봉안치대(42)의 전면 부위와 결합되는 커버지지대(46)가 구비되는 후면커버지지대(40);
    상측 부위가 커버지지대(46)의 후면을 따라 결합되되, 하단에서 상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절개된 복수 개의 절개홈(51)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후면커버(50);를
    포함하는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미날(33) 각각은 제2관통홀(32)의 중심으로부터 제1호미날(33) 중앙 부위를 연결하는 가상의 반경 R1 대하여 바깥 방향으로 각도 θ1만큼 경사져 배치되고, 상기 제2호미날(34) 각각은 제2관통홀(32)의 중심으로부터 제2호미날(34)의 중앙 부위를 연결하는 가상의 반경 R2 대하여 바깥 방향으로 각도 θ2(〈θ1)만큼 경사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호미날(33, 34) 각각의 내면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2칼날(35, 36)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호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미날(33) 각각의 후방 부위 수직 높이 h1은 전방 부위 수직 높이 h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호미날(34) 각각의 후방 부위 수직 높이 h3은 전방 부위 수직 높이 h4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
KR2020180002283U 2018-05-28 2018-05-28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 KR200490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283U KR200490943Y1 (ko) 2018-05-28 2018-05-28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
PCT/KR2019/005436 WO2019231124A1 (ko) 2018-05-28 2019-05-07 복수 개의 호미날이 구비되는 회전 호미 및 이를 이용한 동력 호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283U KR200490943Y1 (ko) 2018-05-28 2018-05-28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88U true KR20190002988U (ko) 2019-12-06
KR200490943Y1 KR200490943Y1 (ko) 2020-01-28

Family

ID=6869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283U KR200490943Y1 (ko) 2018-05-28 2018-05-28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0943Y1 (ko)
WO (1) WO20192311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220A (ko) * 2020-06-08 2021-12-15 투와이 주식회사 전동호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3752A (ja) * 2005-06-01 2006-12-14 Shigeru Kishida 草取り具
KR101193933B1 (ko) 2011-12-15 2012-10-24 한경조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KR101397626B1 (ko) 2013-12-30 2014-06-27 오문근 동력 호미
KR20150054639A (ko) * 2013-11-11 2015-05-20 김두용 예초기용 김매기 호미
JP2015167558A (ja) * 2014-03-10 2015-09-28 昭一 園部 刈払い機用除草回転刃
KR20170035023A (ko) * 2015-09-22 2017-03-30 김두용 휴대용 농기계 안전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3752A (ja) * 2005-06-01 2006-12-14 Shigeru Kishida 草取り具
KR101193933B1 (ko) 2011-12-15 2012-10-24 한경조 김매기용 예초기 칼날
KR20150054639A (ko) * 2013-11-11 2015-05-20 김두용 예초기용 김매기 호미
KR101397626B1 (ko) 2013-12-30 2014-06-27 오문근 동력 호미
JP2015167558A (ja) * 2014-03-10 2015-09-28 昭一 園部 刈払い機用除草回転刃
KR20170035023A (ko) * 2015-09-22 2017-03-30 김두용 휴대용 농기계 안전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220A (ko) * 2020-06-08 2021-12-15 투와이 주식회사 전동호미
WO2021251572A1 (ko) * 2020-06-08 2021-12-16 투와이 주식회사 전동호미
US11470753B2 (en) 2020-06-08 2022-10-18 TwoY. co. ltd. Electromotive h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1124A1 (ko) 2019-12-05
KR200490943Y1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7024B1 (en) High-efficiency cutting system
US5515670A (en) Rotary mower blade
US4509315A (en) Bushwood mowing apparatus
JPH01501599A (ja) モーターによって駆動されている耕作用農具
WO2005077144A1 (en) A knife protect cover of weed cuter
KR200490943Y1 (ko) 휴대가 가능한 동력 호미
KR101745179B1 (ko) 굴삭기용 초목 제거장치
US11083133B2 (en) Double disc counter rotation mulching mower assembly
CN212588946U (zh) 一种具有甩刀式刀具的除草机
KR200238475Y1 (ko) 안전기능이 구비된 예초기
KR101054726B1 (ko) 예초기용 가변식 안전커버
KR101374398B1 (ko) 예초기용 커터
KR101864945B1 (ko) 가이드블레이드를 구비한 예초기 칼날
KR20230091752A (ko) 예초용 관절날
CA2678383C (en) Beveled edger
KR101369492B1 (ko) 예초기 커터용 블레이드 부재
KR200293938Y1 (ko) 예초기용 칼날
JPS6130528B2 (ko)
US3398517A (en) Lawnmower blade
JP7352938B2 (ja) 草刈機用カバー
KR102144836B1 (ko) 중장비용 예초기
KR101552431B1 (ko) 굴삭기용 잡초 제초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 굴삭기
US5857505A (en) Root and stump cutter
KR200354210Y1 (ko) 예취기용 칼날
JP7169547B2 (ja) 草刈兼用耕耘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