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821B1 -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 Google Patents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821B1
KR101469821B1 KR20140025474A KR20140025474A KR101469821B1 KR 101469821 B1 KR101469821 B1 KR 101469821B1 KR 20140025474 A KR20140025474 A KR 20140025474A KR 20140025474 A KR20140025474 A KR 20140025474A KR 101469821 B1 KR101469821 B1 KR 10146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housing
cutting
elastic spr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덕
Original Assignee
강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6779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6982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덕 filed Critical 강영덕
Priority to KR2014002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821B1/ko
Priority to PCT/KR2015/001270 priority patent/WO20151337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6Flail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3Cutting-blade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하우징에 장착하는 예취날의 회전 반경을 크게 하면서도 이 회전 하우징에 장착하는 보호 덮개가 베어링 지지를 받아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여, 예취날의 작업 반지름을 넓혀 작업성을 향상하면서도 회전 하우징 아래에 잔돌이나 잔풀과 같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물체가 이 회전 하우징의 회전이나 예취날의 작동을 방해하는 못하게 하여 안전하게 예취 작업을 할 수 있는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예취날이 작업할 때 항상 미리 정해진 탄성력으로 지지를 받을 수 있게 하여 예취날이 과다하게 회전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취 작업 중에 예취날이 다른 구성요소와 부딪치면서 발생하는 파손이나 소음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예취 작업을 할 수 있는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예취날을 회전 지지하는 체결 볼트만 이완하면 종래 예취기의 회전축에 바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LAWN TRIMMER FOR EASILY REPLACING CUTTER AND SAFELY USING}
본 발명은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칼날이 회전 하우징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작업 반경을 넓혀 작업성을 향상하면서도 이 회전 하우징 하부에 보호 덮개를 베어링으로 지지하여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게 한 예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刈草機)라고 불리는 예취기(刈取機)는 작업 대상에 따라 미맥용(米麥用)·목초용(牧草用)·잡목용(雜木用) 등으로 분류하며, 사용 상태에 따라 작업자가 등이나 어깨에 메어서 사용하는 견착식과 잔디깎기 처럼 작업자가 밀어서 예취하는 견인식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예취기는 예취날의 형식에 따라 왕복날·회전날·고정날로 분류된다.
특허문헌에는 견착식으로 회전 방식의 갖는 예취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은 예초기 칼날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나 합금을 소재로 한 회전 몸체와 고탄소강을 소재로 한 절단날을 각각 별도로 구성하고 회전 몸체의 저면에 에어층을 형성하는 에어 안내홈을 구성하여 사용시 중량을 줄여주는 예초기 칼날에 관한 것으로, 예초기의 작업대 끝에 장착되어서 회전동작하는 칼날을 회전 몸체와 절단날로 구분하여 절단날이 원심력에 의하여 출몰하도록 구성한 예초기 칼날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를 합성수지나 합금을 소재로 한 하부원반과 상부원반으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이들을 결합시 적어도 2곳 이상의 절단날 장착부를 구성하여 상기절단날 장착부에 별도로 구성한 절단날이 원심력으로 출,몰하도록 구성하되, 회전 몸체를 구성하는 하부원반의 외면에 형성한 다수의 에어층 형성용 에어 안내홈을 형성하고 절단날의 인벌류트 곡선을 이루는 전면에 등 간격으로 배열한 반원형 절단홈을 구성하여 칼날이 회동하지 않을 때는 항상 몸체 내부로 들어가 숨은 상태가 되도록 하여, 사용 중 고속으로 회전하는 하부원반의 외면에 형성한 다수의 에어층 형성용 에어 안내홈에 의하여 회전 몸체 아래 쪽에 에어층을 형성하면서 회전 몸체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들어 올려져 지면과 이격되어 중량을 들어주고 지면의 돌과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와, 절단날이 원심력에 의하여 돌출되었다 다시 들어가므로 절단날을 보호함은 물론 취급에 안전하며, 절단날이 회전방향측 선단을 중심으로 인벌류트 곡선으로 형성된 날이 돌출되어 절단효과가 뛰어나면서도 외부 장애물에 부딪히면 회전 몸체 내측으로 절단날이 들어가는 구성을 하여 안전성이 뛰어나며, 칼날을 구성하는 전체의 중량이 적고 절단날만 고강도 소재로 되어 원가가 절감되며, 반복된 사용으로 절단날이 마모되면 하부원반만 분리하여 절단날만 쉽게 교체하도록 구성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한 신규한 효과를 창출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예취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원호 형상으로 제작한 예취날(절단날)이 한쪽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이 스토퍼에 걸리도록 하여 예취날의 회전 각도에 한계가 있다.
(2) 이처럼 예취날이 회전하는 데 따른 한계는 예취날의 회전 지름, 즉 작업 지름에 한계가 있어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한 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3) 즉, 예취날은 그 회전 중심에서 회전 본체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한 원심력을 받아 이 회전 본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예취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예취 작업은 예취날이 최대한 바깥쪽으로 돌출한 날부와 회전 본체의 회전 중심까지의 원 형태의 면적에서 회전 본체의 면적을 뺀 부분이 작업 면적이 된다.
(4) 하지만, 종래의 예취기는 예취날의 칼날 끝 부분에서 회전 본체의 회전 중심까지의 반지름이 작아지므로 그만큼 작업 면적이 작아지는 것이다. 이에 같은 면적에서 예취 작업을 하는 경우 그만큼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5) 또한, 종래의 예취기는 예취 작업을 위해 회전 본체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여 에어층을 형성하여 지면에서 떨어지게 하여 안전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나, 회전하는 회전 몸체의 하부에 장착한 마찰판이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경우가 있다.
(6) 이처럼 마찰판의 미끄러짐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예취날로 작업자가 상처를 입게 하거나 예취하려고 하는 대상 이외의 다른 대상물을 예취하게 하는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7) 작업자가 마찰판이 지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유지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를 높여 작업 효율을 떨어뜨린다.
(8) 원반의 원심력으로 출몰하는 종래의 칼날은 장해물을 만났을 때 원반 속으로 수납되어 안전하나,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반 자체가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9) 이처럼 고속 회전하는 원반은 예취 작업 중에 잔돌이나 나무 가지 그리고 뿌리 등에 걸리거나 튕기는 등 충돌이 일어날 경우 원반이 파손될 우려가 있고, 이 과정에서 칼날이 이탈되거나 예취기를 놓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고, 예취기 자체가 파손되어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10) 칼날의 작업 범위가 적어 예취 작업에 대한 작업 효율이 떨어짐에 따라 그만큼 작업 시간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연료소비량이 많아진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7832호(등록일 : 2013년10월07일)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회전 하우징에 장착하는 예취날의 회전 반경을 크게 하면서도 이 회전 하우징에 장착하는 보호 덮개가 베어링 지지를 받아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여, 예취날의 작업 반지름을 넓혀 작업성을 향상하면서도 회전 하우징 아래에 잔돌이나 잔풀과 같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물체가 이 회전 하우징의 회전이나 예취날의 작동을 방해하는 못하게 하여 안전하게 예취 작업을 할 수 있는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예취날이 작업할 때 항상 미리 정해진 탄성력으로 지지를 받을 수 있게 하여 예취날이 과다하게 회전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취 작업 중에 예취날이 다른 구성요소와 부딪치면서 발생하는 파손이나 소음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예취 작업을 할 수 있는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예취날을 회전 지지하는 체결 볼트만 이완하면 종래 예취기의 회전축에 바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는, 예취기의 회전축(S)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인서트(110)를 일체로 형성한 회전 하우징(100); 상기 회전 하우징(100)의 하부에 회전축(S)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에 같은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의 체결 볼트(211)로 체결 고정하며, 상기 회전 하우징(100)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는 회전판(200); 상기 각 체결 볼트(211)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상기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에 수납되었다가 그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한 적어도 2개의 예취날(300); 상기 각 체결 볼트(211)를 회전 지지하는 지지점과 인접하게 설치하여, 인접한 예취날(300)이 회전판(200) 밖으로 회전하면 그 측면을 탄성 지지하고, 이웃한 예취날(300)이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에 수납하면 바깥으로 빠지지 않게 탄성 걸림 하는 탄성 스프링(400); 상기 회전판(200)에 회전축(S)을 중심으로 원형 형상으로 돌출한 자리면(230)에 끼워지는 베어링 하우징(500); 및 상기 예취날(300)이 수납 인출할 때 간섭받지 않으면서 상기 회전 하우징(100)의 하부 전체를 감싸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520)을 매개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500)에 결합하는 인서트(610)를 갖는 보호 덮개(600);를 포함하되, 상기 예취날(300)은, 전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쪽 테두리에 칼날이 형성되며, 한쪽에 상기 체결 볼트(211)가 끼워져서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 구멍(310)과 다른 한쪽에 탄성 스프링(400)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 홈(3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 하우징(100)과 보호 덮개(600)는 금속 재질(SUS)의 인서트(110,610)를 삽입한 인서트 사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체결 볼트(211)를 체결하기 위해 회전판(200)에는 삽입 구멍(210)을 형성하고 이 삽입 구멍(210)에는 인서트(220)가 빠지지 않게 요철 결합하되, 상기 인서트(220)는 상기 예취날(300)에 끼울 수 있도록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상기 체결 볼트(211)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2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스프링(400)은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변에는 예취날(300)이 걸릴 수 있도록 탄성 걸림턱(410a)이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자리면(230)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떨어지게 설치한 고정 블록(420)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 블록(420)과 자리면(230)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400)이 빠지지 않도록 장착 블록(430)을 체결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탄성 스프링(400)은 서로 마주 보는 양쪽 면이 바깥쪽으로 벌어진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 보는 양쪽 면에는 각각 회전하는 예취날(300)의 끝단과 예취날(300)의 회전하는 부분의 테두리가 걸릴 수 있도록 탄성 걸림턱(410,410')이 형성되며;, 상기 자리면(230)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떨어져서 회전판(200)에 고정한 고정 블록(420) 사이에서, 이 탄성 스프링(400)의 "U"자 형상의 하부가 자리면(230)과 맞닿게 끼워 장착 블록(430)을 체결하여 빠지지 않게 고정하고;, 상기 예취날(300)은 회전판(200) 위에 수납하였을 때, 회전하는 끝단이 하나의 탄성 걸림턱(410)에 걸리는 긴 칼날, 또는 그 회전하는 중심 부분의 테두리 부분이 다른 탄성 걸림턱(410')에 걸리도록 제작한 짧은 칼날로, 서로 교체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기존의 예취기에서 예취날을 떼어내고 이를 대신하여 회전 하우징을 고정한 다음, 회전 하우징 밑에 회전판을 고정하는 단순 교체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를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2) 예취날의 한쪽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고 다른 한쪽이 회전 하우징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므로, 예취날의 길이만큼 작업 반경을 넓힐 수 있고 이에 따라 한번에 예취할 수 있는 예취량이 많아 예취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3) 실제 예취날을 회전 지지하는 회전판 하부에 보호 덮개가 베어링 지지를 받도록 설치함으로써, 회전판과 별개로 보호 덮개가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잔돌이나 풀뿌리 등이 회전판이나 회전 하우징의 안으로 들어오거나 닿음에 따라 발생할 우려가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4) 보호 덮개가 작업하는 바닥면과 밀착한 상태에서 회전판과 별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베어링을 이용하여 회전 지지하므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예취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예취기의 예취날을 장착하는 헤드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그 구성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예취기의 예취날을 장착하는 헤드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회전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회전 하우징과 인서트 사출하는 인서트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회전판의 윗면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회전판의 아랫면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예취날을 회전판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회전판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예취날이 회전판에서 수납과 인출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회전판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스프링이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회전판에서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탄성 스프링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보호 덮개에 들어가는 인서트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하여 전단면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예취날과 탄성 스프링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탄성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블록의 변형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예취기는, 도 1 내지 도 12와 같이,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S)에 고정한 회전 하우징(100), 이 회전 하우징(100) 하부에 체결 고정하는 회전판(200), 이 회전판(200) 위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는 적어도 2개의 예취날(300),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에 수납하는 예취날(300)을 탄성 고정하고 이 예취날(300)이 회전 하우징(100) 밖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를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400), 상기 회전판(200)에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한 베어링 하우징(500) 및 이 베어링 하우징(500) 하부에 장착한 보호 덮개(6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회전축(S)에 상기 회전 하우징(100)을 장착한 상태에서, 이 회전 하우징(100) 하부에 회전판(200)을 적어도 2개의 체결 볼트(211)로 체결함에 따라 기존의 예취날을 대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판(200)에 장착하는 예취날(300)의 한쪽이 회전판(200)에서 완전히 빠져나가 예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반경을 넓혀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판(200) 하부에 베어링 지지를 받는 보호 덮개(600)를 통해 잡초나 자갈 등이 회전하는 구성요소 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E"는 통상적으로 어깨에 메거나 걸쳐서 작업하는 예취기에 사용하는 엔진과 같은 동력 발생기를, "S"는 이 동력 발생기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을 나타낸다.
회전 하우징(1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내부에 후술할 다른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특히, 이 회전 하우징(100)은 회전축(S)과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므로 대칭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회전 하우징(100)을 원뿔대 모양으로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회전 하우징(100)은 회전 저항 등이 적어 회전에 유리한 점이 있어 대칭인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런 원뿔대 형상은,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로 예취 작업을 할 때 예취날(300)이 지면과 나란하지 않고 일정 각도로 세워서 작업하는 경우, 회전 하우징(100)이 나무와 같이 장해물에 부딪히는 각도를 넓게 형성할 수 있어 작업 각도를 넓힐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는 예취날(30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크게 하여 예취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하우징(100)에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회전축(S)을 체결할 수 있도록 인서트(110)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하우징(100)은 합성수지를 이용하고 인서트(110)는 금속 재질인 서스(SUS)로 원판 형태로 제작하여 자체 강성을 확보하고 회전할 때 편심이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서트(110)에는 중앙에 회전축(S)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장착 구멍(111)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인서트(110)에는 도 5와 같이 테두리 부분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사각형 또는 평행사변형과 같은 형태로 결합 돌기(112)를 더 형성하여, 회전 하우징(100)과 인서트(110)의 상호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하우징(100)에는, 도 4와 같이, 내부에 덧살(120)을 형성하여 회전 하우징(100)의 강성을 보완한다. 이때, 덧살(120)은 회전 하우징(1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형과 같이 모든 방향에서 대칭으로 제작하여 덧살(120)로 인한 중량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하우징(100)에는 안쪽 면에, 도 3 및 도 4와 같이, 체결 구멍(130)을 형성한다. 이때, 체결 구멍(130)은 후술할 회전판(200)을 체결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한다. 하지만, 체결 구멍(130)은 4개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체결 구멍(130)에는 후술할 예취날(3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체결 볼트(211)가 끼워지는데, 체결 구멍(130)이 4개보다 많으면 예취날(300)의 길이를 길게 제작하는 데 제한받을 수 있다. 이처럼 예취날(300)의 길이 제한은 곧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의 예취 작업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작업 효율에 대해서는 예취날(300)을 설명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구멍(130)은, 도 4와 같이, 장착 구멍(111)을 기준으로 같은 각도(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체결 구멍(130)에 장착할 예취날(300)이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는 3개의 체결 구멍(130)이 120° 각도로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회전 하우징(100)에는, 도 4와 같이, 자리면(140)을 형성한다. 자리면(140)은 탄성 스프링(400)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자리면(140)은 상술한 체결 구멍(130)의 한쪽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회전 하우징(100)에는, 도 11과 같이, 탄성 결합 돌기(150)를 형성한다. 탄성 결합 돌기(150)는 이 회전 하우징(100)이 후술할 회전판(200) 위에 놓고 누름에 따라 이 회전판(200)에 형성한 결합 홈(241)과 탄성 변형되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끼워져서 고정하거나 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이 탄성 결합 돌기(150)는 회전판(2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는 예취날(300)과 회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형성 위치는 후술할 결합 홈(241)과 마주 보는 위치에 형성한다.
도 1과 도 2에서 미설명부호 부호 "211a"는 후술할 회전판(200)에 일체로 형성한 고정 블록(42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볼트를, 도 4에서의 미설명부호 "141"은 이 체결 볼트(211)를 회전 하우징(100)에 끼우기 위한 삽입 구멍을 각각 나타낸다.
회전판(200)은, 도 2·도 3·도 6 및 도 7과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한다. 특히, 상기 회전판(200)은 중앙에 후술할 베어링 하우징(500)을 장착할 수 있도록 자리면(230)을 형성한다. 자리면(230)은 둥근 용기 형상으로 형성하며, 윗면에는 이 베어링 하우징(500)을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 구멍(231)을 형성한다. 도면에서는 6개의 체결 구멍(231)이 같은 간격으로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회전판(200)에는, 도 6과 같이, 삽입 구멍(210)을 형성한다. 삽입 구멍(210)은 상술한 체결 구멍(130)을 통해 끼워진 체결 볼트(211)가 체결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삽입 구멍(210)은 체결 구멍(130)과 마주 보는 위치에 형성하며, 내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이 체결 볼트(211)가 체결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볼트(211)의 체결로, 이 체결 볼트(211)에는 예취날(300)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를 통해 바깥쪽으로 회전하게 설치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예취날(300)이 체결 볼트(211)와 직접 맞닿지 않도록 인서트(22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인서트(22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예취날(300)의 힌지 구멍(310)에 끼워져서 축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실린더 형태로 제작한다. 그리고, 내면에는 상기 체결 볼트(211)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221)를 형성한다. 이때, 이 인서트(220)는 바깥 면에 띠편 형상으로 요홈(222)을 형성하여, 이 요홈(222)과 대응하는 삽입 구멍(210)의 내면에 형성한 철부(212)에 걸려 빠지지 않게 장착한다. 이런 인서트(220)는 충분한 자체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금속재(SUS)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서트(220)는 실린더 형상으로 제작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도 3과 같이 체결 구멍(130)에 끼워지는 부분을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제작하여 인서트(220)와 체결 구멍(130) 사이의 끼움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판(200)에는, 도 6 및 도 10과 같이, 상술한 자리면(140)과 마주 보는 위치에 또 다른 자리면(240)을 형성한다. 이들 자리면(140,240)은 후술할 탄성 스프링(400)을 장착하는 고정 블록(420)과 장착 블록(430)을 정해진 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다. 그리고, 이 자리면(240)에는 고정 블록(420)과 장착 블록(430)을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 구멍(242)을 형성한다. 이때, 고정 블록(420)을 미리 각 자리면(240)의 바깥쪽에 형성한 체결 구멍(242)에 체결하여 고정하고, 그다음 이 고정 블록(420)과 자리면(230) 사이에 장착 블록(430)을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블록(420)은 이처럼 체결하는 위치에 오도록 회전판(200)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체결할 블록 수를 줄이고 장착 블록(430)을 일체로 형성한 고정 블록(420)과 밀착하게 장착하면 되므로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탄성 스프링(400)은 상기 자리면(230)의 측면과 장착 블록(430)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이 틈새 사이로 탄성 스프링(400)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장착 블록(430)의 상부에 걸림턱(431)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리면(240)은 미리 회전판(200)에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고정 블록(420)과 장착 블록(430)을 체결 고정하므로 그 장착 위치를 명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회전판(200) 위에 자리면(240)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블록(420)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회전판(200)과 별도로 제작할 수도 있고 일체로 제작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고정 블록(420)은 체결 볼트(211a)를 이용하여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을 함께 고정할 수 있게 체결함으로써,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블록(420)과 인접한 회전판(200)의 테두리에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결합 홈(241)을 형성한다. 이 결합 홈(241)에는 상술한 탄성 결합 돌기(150)가 원터치 방식으로 누름에 따라 쉽게 결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결합 홈(241)의 형성 위치는 예취날(300)이 삽입 구멍(2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므로 회전 간섭을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회전판(200)의 아랫면에는, 도 7과 같이 덧살(250)을 형성하여 강성을 보완한다. 이때, 덧살(250)은 상술한 회전 하우징(100)의 덧살(120)과 마찬가지로, 회전판(2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형과 같이 모든 방향에서 대칭으로 제작하여 덧살(250)로 인한 중량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회전판(200)은, 도 3과 같이, 회전 하우징(100) 하부에 체결 볼트(211)로 체결되며, 이때 후술할 예취날(300)이 이 체결 볼트(21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로 빠져나갈 수 있게 장착한다.
예취날(300)은, 도 1 내지 도 3·도 8 및 도 9와 같이,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제작한다. 그리고, 바깥쪽 테두리에는 예취 작업에 필요한 칼날을 형성한다.
이러한 예취날(300)은, 도 3과 같이 한쪽에 힌지 구멍(310)을 형성하고, 이 힌지 구멍(310)에 인서트(220)가 끼워지게 하여 이 인서트(220)를 중심으로 도 8 및 도 9와 같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한다.
그리고, 예취날(300)은, 도 8과 같이, 다른 한쪽에 걸림 홈(320)을 형성한다. 걸림 홈(320)은 이 예취날(300)이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에 수납되면, 도 9와 같이 후술할 탄성 스프링(400)에 걸려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이용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예취날(300)은, 도 8과 같이 인서트(2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장착하며, 이때의 회전 반경은 도 8에서 점선의 원으로 나타낸 바와 같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의 작업 반경이, 이 점선의 원 면적에서 회전판(200)의 면적을 뺀 부분이 된다. 이는 같은 면적의 회전판(200)을 기준으로 보면 예취날(300)의 길이가 길수록 작업 반경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예취날(300)은 적어도 2개를 회전판(200)에 장착하여 회전할 때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예취날(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2개 내지 4개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예취날(300)이 개수가 적을수록 그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어 작업 반경이 커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며, 4개 이상의 예취날(300)을 배치하는 경우 예취날을 길게 제작하는 데 한계가 있어 작업 반경이 늘어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면에서는 3개의 예취날(300)이 회전축(S)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 위에 같은 간격으로 배치한 예를 보여준다.
탄성 스프링(400)은, 도 2·도 3 및 도 9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예취날(300)이 회전판(200)에서 회전하여 바깥쪽으로 나가면 이 예취날(300)의 한쪽을 지지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하면서 소음 등이 생기지 않도록 탄성 지지한다. 그리고, 탄성 스프링(400)은, 도 9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200) 위에 수납되면, 이 회전판(200)이 움직이더라도 예취날(300)이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탄성 걸림 작용을 한다.
이러한 탄성 스프링(400)은, 도 2·도 10 및 도 11과 같이, 띠편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를 서로 마주 보는 양쪽 면이 바깥쪽으로 벌어진 "U"자 형태로 접어서 형성한다.
그리고, 마주 보는 면 중에서 어느 한 면에는 길이 중간 부분에 걸림턱(410a)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410a)은 상술한 예취날(300)의 걸림 홈(320)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여, 예취날(300)이 회전함에 따라 걸림 홈(320)이 걸림턱(410a)과 간섭을 일으키면서 탄성 변형되어 걸림 기능을 하게 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탄성 스프링(400)은, 도 2·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술한 자리면(240)에 끼워지는 고정 블록(420)과 상술한 자리면(230) 사이의 공간에 "U"자 형상의 하부 부분이 끼워지게 설치한다. 이때, 고정 블록(420)은 자리면(240)에 형성한 결합 홈(241)의 안내로 정해진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체결 구멍(242)에 체결 고정한다.
그리고, 이 고정 블록(420) 위에는 장착 블록(430)을 체결 고정한다. 장착 블록(430)은 이 고정 블록(420)과 자리면(230) 사이에 걸쳐지도록 체결 고정하여 이 고정 블록(420)과 자리면(230) 사이에 놓인 탄성 스프링(40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장착 블록(430)은 육면체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고정 블록(420)과 자리면(230) 사이에 높이 차이가 있는 경우 단차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 스프링(400)은 걸림턱(410a)에 걸림 홈(320)이 걸리게 하여 예취날(300)을 고정하며, 예취날(300)은 회전축(S)의 회전으로 발새한 원심력이 이 탄성 스프링(40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회전판(200) 바깥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베어링 하우징(5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자리면(230)에 끼워져서 체결 고정하도록 장착한다. 이러한 베어링 하우징(500)은 자리면(230)에 체결 볼트(510)로 체결 고정하며, 내부에는 베어링(520)을 끼울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공간에는 베어링(520)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냅 링(521)을 장착한다.
보호 덮개(6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회전판(200)의 아랫면과 평면 형상으로 제작한다. 그리고, 이 보호 덮개(600)에는 중앙에 인서트(610)를 일체로 사출하고, 이 인서트(610)에 상기 베어링(520)을 끼워 스냅 링(611)으로 빠지지 않게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610)는 금속 재질(SUS)로 제작하여 보호 덮개(600)와 일체로 인서트 사출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서트(61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나, 도 12에 그 한 가지 예를 도시한다. 인서트(610)는 보호 덮개(600)와 일체로 사출되는 원판 형상의 중앙에 베어링(520)을 장착하기 위한 돌출부(611)를 형성한다. 특히, 이 돌출부(611)는 그 내부에 보호 덮개(600)의 재료가 되는 합성수지 등이 채워지는데, 이때 합성수지가 견고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요철 형상이나 실린더 형상 등 다양한 내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611)는 베어링(520)의 내륜이 끼워져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걸쳐지도록 표면에 단턱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베어링(520)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스냅 링(611)을 고정하기 위함 홈(612)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 덮개(600)는 상술한 회전 하우징(100)의 하부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 하우징(100) 하부에서 보호 덮개(600)를 베어링 지지함으로써, 회전 하우징(100)이 회전하더라도 이 보호 덮개(600)가 지면에 박혀 있는 잔돌이나 나무뿌리와 같은 장해물을 자연스럽게 타고 넘어 이러한 장해물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 하우징(100)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 하우징(100)이 예취날(300)이 파손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취날의 회전 반경을 크게 제작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 덮개가 회전판 아래에서 베어링으로 지지가 되므로 자갈이나 예취한 풀 등이 회전판이나 예취날 또는 회전 하우징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예취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예취기는, 도 13과 같이, 길이가 짧은 예취날(30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탄성 스프링(400')을 변형한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 따른 탄성 스프링(400')은, 도 12와 같이, 마주 보는 양면이 바깥쪽으로 벌어진 전체 형상이 "U"자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탄성 스프링(400')은 마주 보는 양면에 각각 탄성 걸림턱(410,410')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하나의 탄성 걸림턱(410)은 실시예 1의 도 8 및 도 9와 같이 길이가 긴 예취날(300)의 길이 끝에 형성한 예취날(3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탄성 걸림턱(410')은 도 13과 같이 길이가 짧은 예취날(300')을 탄성 지지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길이가 짧은 예취날(300')은 그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끝 부분이 상기 탄성 걸림턱(410)에 걸릴 수 없으므로, 이 예취날(300')에는 도 13과 같이 회전 부분의 테두리에 걸림 홈(320')을 형성한다. 이때의 걸림 홈(320')은 예취날(300')이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로 수납하였을 때 상술한 탄성 걸림턱(410')에 탄성 걸림 가능한 위치에 형성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실시예 2에 따른 예취기는 과수원과 같이 나무가 많거나 돌이나 틈새 등이 좁은 곳을 작업할 때는 길이가 짧은 예취날(300')을 회전판(200)에 장착하고 그 위의 장소에서 작업할 때는 길이가 긴 예취날(300)을 장착하여 예취 작업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예취기는, 도 14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하여 탄성 스프링(400)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장착 블록(430a,430b,430c)의 형상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이들 장착 블록(430a,430b,430c)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3에 따른 장착 블록(430a)은, 도 14(a)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블록(420)과 장착 블록(430)으로 구분하였던 것을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 이는 두 개의 블록을 회전판(200)에 장착하는 것보다 하나의 장착 블록(430a)을 체결 고정함에 따라 장착성을 향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실시예 3에 따른 장착 블록(430b)은, 도 14(b)와 같이, 그 양쪽 면에 대하여 작동 요홈(432) 형태로 절개하여 형성한 것이다. 작동 요홈(432)은 탄성 스프링(400)이 탄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공간, 즉 탄성 스프링(400)이 예취날(300,300')과 회전 간섭으로 변형될 때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 3에 따른 장착 블록(430c)은, 도 14(c)와 같이, 상술한 작동 요홈(432)을 가지면서 그대로 회전판(200)에 부착이나 점착 등의 방법으로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는 장착 블록(430c)의 조립 작업성 향상과 더불어 탄성 스프링(400)의 변형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100 : 회전 하우징 110, 220, 610 : 인서트
111 : 장착구멍 112 : 결합 돌기
120, 250 : 덧살 130 : 체결구멍
140, 230, 240 : 자리면 200 : 회전판
210 : 삽입 구멍 211 : 체결 볼트
212 : 철부 221 : 암나사 222 : 요홈
241 : 결합 홈 300 : 예취날
310 : 힌지 구멍 320 : 걸림 홈
400 : 탄성 스프링 410, 410' : 걸림턱
500 : 베어링 하우징 510 : 체결 볼트
520 : 베어링 521, 611 : 스냅 링
600 : 보호 덮개

Claims (6)

  1. 예취기의 회전축(S)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인서트(110)를 일체로 형성한 회전 하우징(100); 상기 회전 하우징(100)의 하부에 회전축(S)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에 같은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의 체결 볼트(211)로 체결 고정하며, 상기 회전 하우징(100)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는 회전판(200); 상기 각 체결 볼트(211)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상기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에 수납되었다가 그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한 적어도 2개의 예취날(300); 상기 각 체결 볼트(211)를 회전 지지하는 지지점과 인접하게 설치하여, 인접한 예취날(300)이 회전판(200) 밖으로 회전하면 그 측면을 탄성 지지하고, 이웃한 예취날(300)이 회전 하우징(100)과 회전판(200) 사이에 수납하면 바깥으로 빠지지 않게 탄성 걸림 하는 탄성 스프링(400); 상기 회전판(200)에 회전축(S)을 중심으로 원형 형상으로 돌출한 자리면(230)에 끼워지는 베어링 하우징(500); 및 상기 예취날(300)이 수납 인출할 때 간섭받지 않으면서 상기 회전 하우징(100)의 하부 전체를 감싸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520)을 매개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500)에 결합하는 인서트(610)를 갖는 보호 덮개(600);를 포함하되,
    상기 예취날(300)은, 전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쪽 테두리에 칼날이 형성되며, 한쪽에 상기 체결 볼트(211)가 끼워져서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 구멍(310)과 다른 한쪽에 탄성 스프링(400)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 홈(3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하우징(100)과 보호 덮개(600)는 금속 재질(SUS)의 인서트(110,610)를 삽입한 인서트 사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211)를 체결하기 위해 회전판(200)에는 삽입 구멍(210)을 형성하고 이 삽입 구멍(210)에는 인서트(220)가 빠지지 않게 요철 결합하되,
    상기 인서트(220)는 상기 예취날(300)에 끼울 수 있도록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상기 체결 볼트(211)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2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400)은 서로 마주 보는 양쪽 면이 바깥쪽으로 벌어진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 보는 양쪽 면에서 어느 한 면에는 회전하는 예취날(300)의 끝단과 걸릴 수 있도록 탄성 걸림턱(410)이 형성되며,
    상기 자리면(230)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떨어져서 회전판(200)에 고정한 고정 블록(420) 사이에서, 이 탄성 스프링(400)의 "U"자 형상의 하부가 자리면(230)과 맞닿게 끼워 장착 블록(430)을 체결하여 빠지지 않게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400)은 서로 마주 보는 양쪽 면이 바깥쪽으로 벌어진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 보는 양쪽 면에는 각각 회전하는 예취날(300)의 끝단과 예취날(300)의 회전하는 부분의 테두리가 걸릴 수 있도록 탄성 걸림턱(410,410')이 형성되며,
    상기 자리면(230)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떨어져서 회전판(200)에 고정한 고정 블록(420) 사이에서, 이 탄성 스프링(400)의 "U"자 형상의 하부가 자리면(230)과 맞닿게 끼워 장착 블록(430)을 체결하여 빠지지 않게 고정하고,
    상기 예취날(300)은 회전판(200) 위에 수납하였을 때, 회전하는 끝단이 하나의 탄성 걸림턱(410)에 걸리는 긴 칼날, 또는 그 회전하는 중심 부분의 테두리 부분이 다른 탄성 걸림턱(410')에 걸리도록 제작한 짧은 칼날로, 서로 교체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KR20140025474A 2014-03-04 2014-03-04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KR101469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5474A KR101469821B1 (ko) 2014-03-04 2014-03-04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PCT/KR2015/001270 WO2015133739A1 (ko) 2014-03-04 2015-02-09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5474A KR101469821B1 (ko) 2014-03-04 2014-03-04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821B1 true KR101469821B1 (ko) 2014-12-05

Family

ID=5267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5474A KR101469821B1 (ko) 2014-03-04 2014-03-04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9821B1 (ko)
WO (1) WO201513373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520B1 (ko) 2015-09-10 2016-01-14 강광원 예초기의 커팅장치
KR20160134049A (ko) 2015-05-14 2016-11-23 강영덕 예취기
KR20160004020U (ko) 2015-05-14 2016-11-23 강영덕 예취기
KR20170081442A (ko) 2016-01-04 2017-07-12 강재원 예취기
CN115349347A (zh) * 2021-12-16 2022-11-18 特外易(株) 一种割草用联合刀片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2112B (zh) * 2020-12-18 2023-08-01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048U (ko) * 2006-11-01 2006-11-24 최창곡 예초기칼날보호구
JP3131173U (ja) * 2006-12-06 2007-04-26 有限会社Isg企画 刈払機用接地安定型樹脂ブレード草刈刃
KR101317832B1 (ko) * 2013-04-18 2013-10-15 김두용 예초기 칼날
KR20130133982A (ko) * 2012-05-30 2013-12-10 이진수 부상 팬을 구비한 예초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048U (ko) * 2006-11-01 2006-11-24 최창곡 예초기칼날보호구
JP3131173U (ja) * 2006-12-06 2007-04-26 有限会社Isg企画 刈払機用接地安定型樹脂ブレード草刈刃
KR20130133982A (ko) * 2012-05-30 2013-12-10 이진수 부상 팬을 구비한 예초기
KR101317832B1 (ko) * 2013-04-18 2013-10-15 김두용 예초기 칼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049A (ko) 2015-05-14 2016-11-23 강영덕 예취기
KR20160004020U (ko) 2015-05-14 2016-11-23 강영덕 예취기
KR101808703B1 (ko) * 2015-05-14 2017-12-13 강영덕 예취기
KR200485564Y1 (ko) * 2015-05-14 2018-01-25 강영덕 예취기
KR101585520B1 (ko) 2015-09-10 2016-01-14 강광원 예초기의 커팅장치
WO2017043737A1 (ko) * 2015-09-10 2017-03-16 강광원 예초기의 커팅장치
KR20170081442A (ko) 2016-01-04 2017-07-12 강재원 예취기
CN115349347A (zh) * 2021-12-16 2022-11-18 特外易(株) 一种割草用联合刀片结构
WO2023219184A1 (ko) * 2021-12-16 2023-11-16 투와이테크 주식회사 예초용 관절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3739A1 (ko) 201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821B1 (ko) 쉽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안전한 예취기
KR101317832B1 (ko) 예초기 칼날
JP7153419B2 (ja) 刈刃片保護構造、ブレードガード及び芝刈機
KR101078824B1 (ko) 기아 보조장치 및 안전판을 구비한 예초기
KR101718665B1 (ko) 반복사용이 가능한 예초기용 절첩칼날
KR101618734B1 (ko) 안전커버를 일체로 구성한 예초기용 칼날세트
US20070006467A1 (en) Cutter head for a trimmer
KR101864945B1 (ko) 가이드블레이드를 구비한 예초기 칼날
KR101584705B1 (ko) 예초기
KR101054726B1 (ko) 예초기용 가변식 안전커버
KR200485564Y1 (ko) 예취기
KR20130040443A (ko) 예초기용 안전기구
KR102425045B1 (ko) 예초기 칼날 안전장치의 결합구조
KR20110009288U (ko) 예초기용 안전커버
KR20130127337A (ko) 예초기용 칼날보호장치
KR20130031185A (ko) 슬라이딩식 커버형 안전 베이스가 구비된 예초기
KR101808703B1 (ko) 예취기
KR20140041303A (ko) 예초기용 칼날 보호원판의 지지장치
KR20140005018A (ko) 예초기용 보호장치
KR101185487B1 (ko) 예초기용 칼날보호장치
JP2004141075A (ja) 刈り払い機用刃への取り付け板
JP7219365B1 (ja) 刈払機補助機構及び刈払機
KR200479655Y1 (ko) 예초기용 안전커버
KR200253772Y1 (ko) 예초기의 교체형 회전칼날
KR101360533B1 (ko) 조립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예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