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576A -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576A
KR20230091576A KR1020210180803A KR20210180803A KR20230091576A KR 20230091576 A KR20230091576 A KR 20230091576A KR 1020210180803 A KR1020210180803 A KR 1020210180803A KR 20210180803 A KR20210180803 A KR 20210180803A KR 20230091576 A KR20230091576 A KR 20230091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tip
link
vehicle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우
김은수
이대희
김명회
황준식
복권화
곽해동
신재성
박한경
조재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576A/ko
Priority to US17/812,399 priority patent/US11932140B2/en
Publication of KR20230091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47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at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on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 B60N2/3025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along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2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54Cushion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 B60N2/3056Cushion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along longitu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쿠션부(10)의 팁업기능이 가능하고, 시트(3)의 좌우 이동을 통해 좌우측 시트(3)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트(3)의 착좌 승객간 좌우 공간 확보를 충분히 할 수 있어서 착좌 승객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SEAT FOR VEHICLE OF CUSHION TIP UP TYPE}
본 발명은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부가 팁업되는 시트의 좌우 이동을 통해 좌우 승객간 공간 확보를 충분히 할 수 있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에는 승객이 탑승하여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된다.
차량의 시트는 보통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쿠션부, 및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백부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승객을 최대한 많이 탑승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쿠션부가 팁업되는 시트를 채택한 기술이 있다.
즉, 쿠션부가 팁업되는 시트는 보조시트의 개념으로 승객이 사용시에는 쿠션부를 백부에 직각방향으로 펼쳐서 사용하고, 미사용시에는 쿠션부를 위로 접어서 백부에 밀착시켜 보관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쿠션부가 팁업되는 종래의 시트는 단순히 쿠션부만 팁업되는 구성으로, 시트가 좌우로 배치된 경우에는 좌우 승객간 공간 확보가 충분치 않아서 착좌 승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8-0054526호
본 발명은, 쿠션부가 팁업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에서, 시트의 좌우 이동을 통해 좌우 승객간 공간 확보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착좌 승객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는, 쿠션부 및 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백부에 대해 회전해서 펼쳐지거나 위로 접혀지는 팁업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백부와 차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의 작동에 의해 쿠션부를 포함한 백부는 차체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부와 차체에 구비되고 상호 결합을 통해 백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록킹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장치는 차체와 결합되는 차체마운팅브라켓; 상기 백부와 차체마운팅브라켓을 연결하고, 다수개의 분할부품으로 구성되면서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은 백부의 후방에 위치한 차체에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링크는 백부를 구성하는 백프레임과 결합된 제1고정링크;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과 결합된 제2고정링크; 및 상기 제1고정링크와 제2고정링크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양단이 제1고정링크 및 제2고정링크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부의 좌우 이동거리는 제1고정링크와 회전링크의 결합점에서 제2고정링크와 회전링크의 결합점까지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과 연결링크의 결합체는 2개로 구성되어서 좌우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 1개마다 2개의 연결링크가 상하로 배치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장치는 백부를 구성하는 백프레임과 결합된 래치; 상기 래치와 마주 대하도록 차체에 결합된 스트라이커; 및 상기 백부에 구비되고 와이어를 통해 래치와 연결된 래치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션부와 백부를 연결하는 가스스프링에 의해 쿠션부의 팁업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쿠션부가 팁업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에서, 시트의 좌우 이동을 통해 좌우측 시트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시트의 착좌 승객간 좌우 공간 확보를 충분히 할 수 있어서 착좌 승객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팁업타입 시트가 구비된 차량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쿠션부가 팁업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팁업타입 시트가 우측으로 이동해서 시트간 좌우 간격이 넓어진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 및 록킹장치가 구비된 쿠션 팁업타입 시트의 도면,
도 5는 도 4의 백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시트가 좌우로 회전하기 전 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5의 연결링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에서 시트가 좌우로 회전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1)과 운전석(1) 뒷공간을 분리하도록 설치된 차체(2)에 뒤보기 방향으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팁업타입 시트(3)가 좌우로 배치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2개의 쿠션 팁업타입 시트(3)가 차체(2)에 좌우로 배치되게 설치된 구조이며, 필요에 따라 3개 쿠션 팁업타입 시트(3)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팁업타입 시트(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쿠션부(10) 및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백부(20)를 구비하고 있고, 쿠션부(10)는 백부(20)에 대해 회전해서 펼쳐지거나 위로 접혀지는 팁업(tip up)동작이 가능하다.
쿠션부(10)가 백부(20)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회전해서 펼쳐지면 승객은 쿠션부(10)에 착좌할 수 있게 되고, 쿠션부(10)가 위로 회전해서 백부(20)에 밀착되도록 팁업되면 시트 미사용시 시트를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실내공간을 넓게 할 수 있어서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3(A)와 같이 좌우측의 시트(3)간 간격을 좁혀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도 3(B)와 같이 좌우측의 시트(3)간 간격을 넓혀서 사용할 수 있는 바, 시트(3)간 간격을 넓혀서 사용하면 좌우 승객간 공간 확보를 충분히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착좌 승객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좌우측의 시트(3)간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시트(3)의 백부(20)와 차체(2)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100)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연결장치(100)의 작동에 의해 쿠션부(10)를 포함한 백부(20)는 차체(2)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100)는 차체(2)와 결합되는 차체마운팅브라켓(110); 상기 백부(20)와 차체마운팅브라켓(110)을 연결하고, 다수개의 분할부품으로 구성되면서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링크(120);를 포함한다.
차체마운팅브라켓(110)은 백부(20)의 후방에서 백부(20)와 대면하도록 위치한 차체(2)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연결링크(120)는 백부(20)를 구성하는 백프레임(21)과 고정되게 결합된 제1고정링크(121); 차체마운팅브라켓(110)과 고정되게 결합된 제2고정링크(122); 및 제1고정링크(121)와 제2고정링크(122)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양단이 제1고정링크(121) 및 제2고정링크(122)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링크(123);를 포함한다.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프레임(21)과 결합된 제1고정링크(121)가 가장 하단에 위치하고, 제1고정링크(121)의 상단에 회전링크(123)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링크(123)의 타단에 제2고정링크(122)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고정링크(122)의 상단이 차체마운팅브라켓(110)과 결합된 구조가 된다.
여기서, 쿠션부(10)를 포함한 백부(20)의 좌우 이동거리는 제1고정링크(121)와 회전링크(123)의 결합점에서 제2고정링크(122)와 회전링크(123)의 결합점까지의 길이(L1)에 의해 결정되며, 길이(L1)가 길수록 쿠션부(10)를 포함한 백부(20)의 좌우 이동거리는 길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차체마운팅브라켓(110)과 연결링크(120)의 결합체 즉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100)는 2개로 구성되어서 백부(20)의 좌우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구조가 되며, 이를 통해 연결장치(100)를 매개로 한 차체(2)와 백부(20)의 연결구조의 강도 및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서 시트(3)의 좌우 이동 작동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체마운팅브라켓(110) 1개마다 2개의 연결링크(120)가 상하로 배치되게 구비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차체마운팅브라켓(110)과 백프레임(21)의 연결구조의 강도 및 강성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백부(20)와 차체(2)에 구비되고 상호 결합을 통해 백부(20)의 좌우 이동을 구속하거나 또는 구속을 해제하는 록킹장치(200)를 더 포함한다.
록킹장치(200)는 백부(20)를 구성하는 백프레임(21)과 결합된 래치(210); 상기 래치(210)와 마주 대하도록 차체(2)에 결합된 스트라이커(220); 및 상기 백부(20)에 구비되고 와이어(230)를 통해 래치(210)와 연결된 래치작동레버(240);를 포함한다.
래치작동레버(240)는 백부(20)의 상단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사용자가 당기면 이때의 조작력이 와이어(230)를 통해 래치(210)로 전달되어서 래치(210)가 언락상태가 되고, 이때 래치(210)와 스트라이커(220)는 서로 분리가 가능한 잠금해제 상태가 되고, 당기고 있던 래치작동레버(240)를 놓아주면 래치(210)는 다시 락킹상태로 전환되고, 이때 래치(210)와 스트라이커(220)는 서로 결합된 잠금 상태가 된다.
스트라이커(220)는 좌우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좌우로 연장된 길이는 백부(20)의 좌우 이동에 따른 래치(210)의 좌우 이동범위를 충분히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는 좌우측의 시트(3)간 간격이 좁혀진 상태이고, 도 5는 도 3(A)의 상태시 연결장치(100) 및 잠금장치(200)의 상태이다.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래치작동레버(240)를 당겨서 래치(210)와 스트라이커(22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백부(20)를 좌측방향으로 밀어주면, 회전링크(123)의 회전에 의해 백부(20)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래치(210)도 좌측으로 이동하여 도 3(B) 및 도 6의 상태와 같이 된다.
도 3(B)는 우측의 시트가 우측의 이동하여 좌우측 시트(3)간 간격이 넓혀진 상태이고, 도 7은 도 3(B)의 상태시 연결장치(100) 및 잠금장치(200)의 상태이다.
시트(3)가 이동하여 좌우측의 시트(3)간 간격이 넓혀진 상태에서 다시 래치(210)와 스트라이커(220)의 록킹을 통해 시트(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시트(3)간 간격을 다시 좁힐 때에는 전술한 동작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쿠션부(10)가 팁업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3)에서, 시트(3)의 좌우 이동을 통해 좌우측 시트(3)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시트(3)의 착좌 승객간 좌우 공간 확보를 충분히 할 수 있어서 착좌 승객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운전석 2 - 차체
3 - 쿠션 팁업타입 시트 10 - 쿠션부
20 - 백부 21 - 백프레임
100 - 연결장치 110 - 차체마운팅브라켓
120 - 연결링크 121 - 제1고정링크
122 - 제2고정링크 123 - 회전링크
200 - 록킹장치 210 - 래치
220 - 스트라이커 230 - 와이어
240 - 래치작동레버

Claims (10)

  1. 쿠션부 및 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백부에 대해 회전해서 펼쳐지거나 위로 접혀지는 팁업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백부와 차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의 작동에 의해 쿠션부를 포함한 백부는 차체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부와 차체에 구비되고 상호 결합을 통해 백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록킹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차체와 결합되는 차체마운팅브라켓;
    상기 백부와 차체마운팅브라켓을 연결하고, 다수개의 분할부품으로 구성되면서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은 백부의 후방에 위치한 차체에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백부를 구성하는 백프레임과 결합된 제1고정링크;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과 결합된 제2고정링크; 및
    상기 제1고정링크와 제2고정링크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양단이 제1고정링크 및 제2고정링크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백부의 좌우 이동거리는 제1고정링크와 회전링크의 결합점에서 제2고정링크와 회전링크의 결합점까지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과 연결링크의 결합체는 2개로 구성되어서 좌우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체마운팅브라켓 1개마다 2개의 연결링크가 상하로 배치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백부를 구성하는 백프레임과 결합된 래치;
    상기 래치와 마주 대하도록 차체에 결합된 스트라이커; 및
    상기 백부에 구비되고 와이어를 통해 래치와 연결된 래치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와 백부를 연결하는 가스스프링에 의해 쿠션부의 팁업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KR1020210180803A 2021-12-16 2021-12-16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KR20230091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803A KR20230091576A (ko) 2021-12-16 2021-12-16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US17/812,399 US11932140B2 (en) 2021-12-16 2022-07-13 Sea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803A KR20230091576A (ko) 2021-12-16 2021-12-16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576A true KR20230091576A (ko) 2023-06-23

Family

ID=8676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803A KR20230091576A (ko) 2021-12-16 2021-12-16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32140B2 (ko)
KR (1) KR202300915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526A (ko) 2006-12-13 2008-06-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팁업 타입의 워크인 슬라이딩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19275A1 (en) * 2013-04-29 2014-10-30 C&D Zodiac, Inc. Compact cabin attendant seat stowage
US9789789B2 (en) * 2013-05-29 2017-10-17 Ts Tech Co., Ltd. Vehicular seat
FR3053659B1 (fr) * 2016-07-11 2019-07-19 Airbus Helicopters Strapontin, et vehicule muni de ce strapontin
US11072263B2 (en) * 2019-08-26 2021-07-27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526A (ko) 2006-12-13 2008-06-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팁업 타입의 워크인 슬라이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91962A1 (en) 2023-06-22
US11932140B2 (en)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0364B2 (ja) 折り畳みシートおよびこのようなシートを含む乗物
US7823950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JP5093683B2 (ja) 車両座席
JP464986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システム
US20110115273A1 (en) Vehicle Seat
JP2005313867A (ja) 車両のシー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JP2017136976A (ja) 車体フロア構造
KR20230091576A (ko) 쿠션 팁업타입 차량용 시트
JPH115477A (ja) 車両用シート
EP1483133A1 (en) Passenger seat with tip-up seat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backrest
JP3635639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388418B1 (ko) 차량용 시트의 탈부착장치
JP2008100608A (ja) 車両用シート配置構造
KR101316532B1 (ko) 차량의 워크인시트
JP5169101B2 (ja) 車両用シートの操作構造
KR100410721B1 (ko) 버스용 시트 이동장치
JP4010140B2 (ja) 車両のシート格納構造
JP5071839B2 (ja) シートバックの中折れ・リクライニング式自動車用シート
JP2003246232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00190768A (ja) 航空機のア―ムレスト
JP3886268B2 (ja) シートの衝撃吸収構造
JPH0525322Y2 (ko)
KR101998657B1 (ko) 차량의 스위치형 헤드레스트
JP3647737B2 (ja) 車両用回動体の回動アジャスタ支持構造
JPH0522437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