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991A - 전자 무화장치 및 이의 전원공급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 무화장치 및 이의 전원공급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991A
KR20230090991A KR1020220132269A KR20220132269A KR20230090991A KR 20230090991 A KR20230090991 A KR 20230090991A KR 1020220132269 A KR1020220132269 A KR 1020220132269A KR 20220132269 A KR20220132269 A KR 20220132269A KR 20230090991 A KR20230090991 A KR 20230090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assembly
hole
mounting ho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즈원 판
Original Assignee
센젠 스무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스무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젠 스무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9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무화장치 및 이의 전원공급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자기흡착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 홀을 구비하고, 제1 장착 홀의 내벽에는 통기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기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 센서는 통기 홈과 기체 연통을 이룬다. 자기흡착 부재를 장착하는 제1 장착 홀의 내벽에 통기 홈을 배치함으로써, 기류 센서와 무화 어셈블리 사이에 기체 연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원공급 어셈블리 상에 기류 센서의 작동용 기류통로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가 없어,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공간을 절약하고, 제품의 소형화 및 평탄화 설계에 유리하다.

Description

전자 무화장치 및 이의 전원공급 어셈블리{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AND POWER SUPPLY ASSEMBLY THEREFOR}
본 발명은 무화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무화장치 및 이의 전원공급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자 무화장치는 무화 어셈블리를 통해 무화 대상 물질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며, 사용자는 에어로졸을 흡입하여 에어로졸 중의 물질을 섭취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무화 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여, 무화 어셈블리가 무화를 수행하거나 무화를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흡입에 의해 발생된 기류를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구비한다.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흡입이 검출되면 전원공급 어셈블리가 무화 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여 전자 무화장치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전원공급 어셈블리에는 마이크로폰과 연통되는 작동용 기류통로를 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작동용 기류통로는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제품의 소형화 및 평탄화 설계에 불리하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작동용 기류통로가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차지하여 제품의 소형화 및 평탄화 설계에 불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전자 무화장치 및 이의 전원공급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자기흡착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장착 홀의 내벽에는 통기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기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 센서는 상기 통기 홈과 기체 연통을 이룬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에는 장착 홈이 배치되고, 상기 기류 센서는 상기 장착 홈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연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 부재는 상기 장착 홈과 상기 통기 홈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통 부재에는 통기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 홀의 일단은 상기 장착 홈에 연통되고, 상기 통기 홀의 타단은 상기 제1 장착 홀에 연통되며, 상기 통기 홀과 상기 통기 홈이 연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기 홀은 상기 제1 장착 홀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상기 통기 홈은 상기 제1 장착 홀의 바닥면 및 측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 홈은 상기 제1 장착 홀의 바닥면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통기 홀까지 연장되고, 상기 통기 홈은 또한 상기 제1 장착 홀의 측벽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장착 홀의 개구까지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 홀은 상기 결합부 상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장착 홀은 상기 결합부의 제1 방향을 따른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 상기 연통 부재 및 상기 장착 홈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또한 자기흡착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제2 장착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장착 홀과 상기 제1 장착 홀은 상기 결합부의 제1 방향을 따른 양단에 각각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전극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 홀은 양극 홀과 음극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상기 양극 홀 내에 장착된 양극 단자와 상기 음극 홀 내에 장착된 음극 단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상기 기류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 상기 기류 센서 및 상기 배터리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 무화장치는, 무화 어셈블리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흡착 부재와 상기 무화 어셈블리는 흡착 고정되고, 상기 통기 홈과 상기 무화 어셈블리는 기체 연통을 이룬다.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 및 전자 무화장치는, 자기흡착 부재를 장착하는 제1 장착 홀의 내벽에 통기 홈을 배치함으로써, 기류 센서와 무화 어셈블리 사이에 기체 연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원공급 어셈블리 상에 기류 센서의 작동용 기류통로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가 없어,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공간을 절약하고, 제품의 소형화 및 평탄화 설계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분해 구조를 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다른 시야각에 따른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자기흡착 부재가 생략됨).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자기흡착 부재가 생략됨).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철저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이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유사한 수정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중심", "종방향”, "횡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위", "밑", "내", “외",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축 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 등 용어가 나타내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초로 한 것이고, 단지 본 발명을 쉽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언급된 장치 또는 구성 요소가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된 방향으로 구성되고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 또는 표시된 기술적 요소의 개수를 암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요소를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복수"는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2개, 3개 등과 같은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 용어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되어 연결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중간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두 구성 요소의 내부가 연통되거나 두 구성 요소 간의 상호 작용 관계가 될 수 있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 갖는 구체적인 의미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용어 “연통”은 유체 측면의 연통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당해 유체는 기체이거나 액체일 수 있으며; 직접 연통되거나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1 요소가 제2 요소 “상” 또는 “하”에 있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제1 요소와 제2 요소는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중간의 다른 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 요소가 제2 요소 “상”, “상단” 및 “상면”에 있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제1 요소는 제2 요소의 바로 위쪽 또는 비스듬한 위쪽에 있거나, 단지 제1 요소의 수평 고도가 제2 요소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요소가 제2 요소 “아래”, “하단” 및 “하면”에 있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제1 요소는 제2 요소의 바로 아래쪽 또는 비스듬한 아래쪽에 있거나, 단지 제1 요소의 수평 고도가 제2 요소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그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 위에 직접 존재하거나, 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그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직”, “수평”, "상", "하”, "좌", "우”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유일한 실시예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원공급 어셈블리 및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무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무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무화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화 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무화 어셈블리는 전원공급 어셈블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화 대상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분해 구조를 제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다른 시야각에 따른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고(자기흡착 부재(20)가 생략됨),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자기흡착 부재(20)가 생략됨).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구조만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자기흡착 부재(20) 및 기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전원공급 어셈블리에는 제1 장착 홀(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장착 홀(12)의 내벽에는 통기 홈(121)(도 3 또는 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자기흡착 부재(20)는 상기 제1 장착 홀(12) 내에 장착되고, 무화 어셈블리와 전원공급 어셈블리가 연결될 때 상기 자기흡착 부재(20)에 의해 전원공급 어셈블리가 무화 어셈블리에 흡착 고정된다.
기류 센서는 통기 홈(121)과 기체 연통을 이루며, 통기 홈(121) 내의 기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의 흡입에 의해 통기 홈(121) 내에 음압이 형성되면, 기류 센서에 의해 통기 홈(121) 내의 기류가 검출됨으로써, 무화 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전원공급 어셈블리를 제어한다.
사용자의 흡입이 정지되면, 통기 홈(121) 내의 음압이 사라지며, 기류 센서에 의해 통기 홈(121) 내에 기류의 흐름이 없는 것으로 검출됨으로써, 무화 어셈블리에 대한 전기공급을 정지하도록 전원공급 어셈블리를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기류 센서는 마이크로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자기흡착 부재(20)를 장착하는 제1 장착 홀(12)의 내벽에 통기 홈(121)을 배치함으로써, 기류 센서와 무화 어셈블리 사이에 기체 연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원공급 어셈블리 상에 기류 센서의 작동용 기류통로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가 없어,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공간을 절약하고, 제품의 소형화 및 평탄화 설계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장착 홈(13)을 더 구비하며, 기류 센서는 상기 장착 홈(13)에 장착되고, 통기 홈(121)이 상기 장착 홈(13)과 연통되므로, 기류 센서는 통기 홈(121) 내의 기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장착 홈(13)과 통기 홈(121) 사이에 배치된 연통 부재(1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연통 부재(14)를 이용하여 장착 홈(13)과 통기 홈(121)을 연통시킴으로써, 장착 홈(13) 내의 기류 센서는 통기 홈(121) 내의 기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연통 부재(14)에는 통기 홀(141)이 형성되어 있다(도 3 또는 도 4 참조).
상기 통기 홀(141)의 일단은 장착 홈(13)에 연통되고, 상기 통기 홀(141)의 타단은 제1 장착 홀(12)에 연통되며, 통기 홀(141)과 통기 홈(121)이 연통된다.
이와 같이, 연통 부재(14) 상의 통기 홀(141)에 의해 통기 홈(121)과 장착 홈(13)이 연통되어, 장착 홈(13) 내에 장착된 기류 센서는 통기 홈(121) 내의 기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기 홀(141)은 제1 장착 홀(12)의 바닥면(122)을 관통하고, 통기 홈(121)은 제1 장착 홀(12)의 바닥면(122) 및 측벽(123)에 형성되어 있다.
통기 홈(121)은 제1 장착 홀(12)의 바닥면(122)의 일단에 위치하여 통기 홀(141)까지 연장되고, 또한 통기 홈(121)은 제1 장착 홀(12)의 측벽(123)의 일단에 위치하여 제1 장착 홀(12)의 개구까지 연장되어, 무화 어셈블리와 기체 연통을 이룬다.
이와 같이, 제1 장착 홀(12)의 바닥면(122)과 측벽(123)에 형성된 통기 홈(121)을 이용함으로써, 통기 홈(121)의 성형 난이도를 줄이는 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무화 어셈블리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 홀(12)은 상기 결합부(11)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장착 홀(12) 내의 자기흡착 부재(20)를 이용하여 결합부(11)를 무화 어셈블리에 흡착 고정시킴으로써, 전원공급 어셈블리와 무화 어셈블리의 결합을 실현한다.
또한,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배터리(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30)는 기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흡입에 의해 통기 홈(121) 내에 음압이 형성되면, 기류 센서에 의해 통기 홈(121) 내의 기류가 검출됨으로써, 무화 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배터리(30)를 제어한다.
사용자의 흡입이 정지되면, 통기 홈(121) 내의 음압이 사라지며, 기류 센서에 의해 통기 홈(121) 내에 기류의 흐름이 없는 것으로 검출됨으로써, 무화 어셈블리에 대한 전기공급을 정지하도록 배터리(30)를 제어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장착 홀(12)은 결합부(11)의 제1 방향을 따른 일단에 위치하고, 결합부(11), 연통 부재(14) 및 장착 홈(13)은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위치한다.
이와 같이, 연통 부재(14)와 기류 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홈(13)은 제1 장착 홀(12)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즉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제1 방향을 따른 일측과 가깝게 배치되어(다시 말하면, 연통 부재(14)와 기류 센서는 한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됨),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제1 방향을 따른 중간 영역의 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방지하며, 연통 부재(14)가 점유하는 공간이 적으므로, 더 많은 공간을 기타 구성요소(예를 들면 하기의 회로 기판 등)의 배치에 사용할 수 있어,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구조가 더 컴팩트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 장착 홀(12)은 결합부(11)의 제1 방향을 따른 일단에 위치하므로, 제1 장착 홀(12)의 내벽에 형성된 통기 홈(121)도 결합부(11)의 제1 방향을 따른 일단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응축액이 통기 홈(121)을 통해 기류 센서로 유입되는 확률을 줄임으로써, 기류 센서의 고장 확률을 줄인다.
결합부(11), 연통 부재(14), 장착 홈(13) 및 배터리(30)가 제2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론 기타 배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제1 방향은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폭 방향이고,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x방향이고, 제2 방향은 전원공급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이고,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y방향이다. 즉, 제1 방향은 도 4에서 좌우 방향이고, 제2 방향은 도 4에서 지면(紙面)에 수직하는 방향이다.
또한, 결합부(11)에는 또한 자기흡착 부재(20)을 장착하기 위한 제2 장착 홀(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장착 홀(15)은 결합부(11)의 제1 방향을 따른 타단에 위치한다. 즉, 제1 장착 홀(12)과 제2 장착 홀(15)은 각각 결합부(11)의 제1 방향을 따른 양단에 배치되며, 제1 장착 홀(12)과 제2 장착 홀(15) 내에는 모두 자기흡착 부재(20)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자기흡착 부재(20)을 이용하여 동시에 무화 어셈블리에 흡착 고정되므로, 전원공급 어셈블리와 무화 어셈블리의 결합 강도 향상에 유리하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11)에는 자기흡착 부재(2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홀이 더 많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회로 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로 기판, 기류 센서 및 배터리(3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류 센서에 의해 통기 홈(121) 내의 기류가 검출되면, 회로 기판은 배터리(30)와 무화 어셈블리를 도통 상태로 제어하여 무화 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고; 기류 센서에 의해 통기 홈(121) 내에 기류의 흐름이 없는 것으로 검출되면, 회로 기판은 배터리(30)와 무화 어셈블리를 비도통 상태로 제어하여 무화 어셈블리에 대한 전기공급을 정지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11)에는 전극 홀이 더 형성되어 있고, 전극 홀은 양극 홀(160)과 음극 홀(161)을 포함한다.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양극 홀(160) 내에 장착된 양극 단자(40)와 음극 홀(161) 내에 장착된 음극 단자(41)를 포함함으로써, 양극 단자(40)와 음극 단자(41)를 이용하여 전원공급 어셈블리와 무화 어셈블리의 전기적 연결을 실현한다.
또한, 상기 양극 단자(40) 및 음극 단자(41)는 모두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즉 배터리(30)는 회로 기판을 통해 양극 단자(40) 및 음극 단자(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11)가 자기흡착 부재(20)를 통해 무화 어셈블리와 결합되면, 양극 단자(40) 및 음극 단자(41)는 각각 무화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회로 기판의 제어 하에 배터리(30)의 전기 에너지는 양극 단자(40) 및 음극 단자(41)를 통해 무화 어셈블리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무화 어셈블리는 상기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화 대상 물질을 무화시킨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공급 어셈블리는 배터리 브래킷(10)을 더 포함하며, 결합부(11), 장착 홈(13) 및 연통 부재(14)는 모두 배터리 브래킷(1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배터리(30)는 배터리 브래킷(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화 어셈블리는 통기 홈(121)과 연통된 기체유입 채널을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할 때, 통기 홈(121) 내의 공기가 기체유입 채널에 유입되어, 통기 홈(121) 내에 음압이 발생한다.
이때, 기류 센서에 의해 통기 홈(121) 내의 기류가 검출되어, 회로 기판은 배터리(30)를 제어하여 무화 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며, 무화 어셈블리는 상기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화 대상 물질을 무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며, 에어로졸은 기체유입 채널 내의 기류에 따라 운반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화 어셈블리에는 자기흡착 부재(20)와 자기 흡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기흡착 부속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원공급 어셈블리와 무화 어셈블리는 자기흡착 부재(20) 및 자기흡착 부속부재에 의해 흡착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자기흡착 부재(20)는 자석일 수 있으며, 이때 자기흡착 부속부재는 자석 또는 자석을 끌어당길 수 있는 물질(예를 들면 철 블록)일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흡착 부재(20)는 자석이 아니라, 자석을 끌어당길 수 있는 물질(예를 들면 철 블록)일 수 있으며, 이때 자기흡착 부속부재는 자석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기술적 구성들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고,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적 구성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은 서술되지 않았지만, 이들의 기술적 구성의 조합 간에 모순이 없는 한, 본 명세서의 기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개선을 행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12)

  1. 자기흡착 부재(20)를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 홀(12)을 구비하는 전원공급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1 장착 홀(12)의 내벽에는 통기 홈(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 홈(121)과 기체 연통을 이루는 기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어셈블리에는 장착 홈(13)이 배치되고, 상기 기류 센서는 상기 장착 홈(1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13)과 상기 통기 홈(121) 사이에 배치된 연통 부재(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부재(14)에는 통기 홀(1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 홀(141)의 일단은 상기 장착 홈(13)에 연통되고, 상기 통기 홀(141)의 타단은 상기 제1 장착 홀(12)에 연통되며, 상기 통기 홀(141)은 상기 통기 홈(121)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홀(141)은 상기 제1 장착 홀(12)의 바닥면(122)을 관통하고,
    상기 통기 홈(121)은 상기 제1 장착 홀(12)의 바닥면(122) 및 측벽(123)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 홈(121)은 상기 제1 장착 홀(12)의 바닥면(122)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통기 홀(141)까지 연장되고, 상기 통기 홈(121)은 또한 상기 제1 장착 홀(12)의 측벽(123)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장착 홀(12)의 개구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어셈블리.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부(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 홀(12)는 상기 결합부(11)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홀(12)은 상기 결합부(11)의 제1 방향을 따른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11), 상기 연통 부재(14) 및 상기 장착 홈(13)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에는 또한 자기흡착 부재(20)를 장착하기 위한 제2 장착 홀(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장착 홀(15)과 상기 제1 장착 홀(12)은 상기 결합부(11)의 제1 방향을 따른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어셈블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에는 양극 홀(160)과 음극 홀(161)을 포함한 전극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극 홀(160) 내에 장착된 양극 단자(40)와 상기 음극 홀(161) 내에 장착된 음극 단자(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어셈블리.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 상기 기류 센서 및 상기 배터리(3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어셈블리.
  12. 무화 어셈블리 및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원공급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무화장치로서,
    상기 자기흡착 부재(20)와 상기 무화 어셈블리는 흡착 고정되고, 상기 통기 홈(121)과 상기 무화 어셈블리는 기체 연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KR1020220132269A 2021-12-15 2022-10-14 전자 무화장치 및 이의 전원공급 어셈블리 KR20230090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3155151.9U CN217161073U (zh) 2021-12-15 2021-12-15 电子雾化装置及其供电组件
CN202123155151.9 2021-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991A true KR20230090991A (ko) 2023-06-22

Family

ID=8272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269A KR20230090991A (ko) 2021-12-15 2022-10-14 전자 무화장치 및 이의 전원공급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80828A1 (ko)
EP (1) EP4197371A1 (ko)
JP (1) JP7504960B2 (ko)
KR (1) KR20230090991A (ko)
CN (1) CN21716107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242702U (zh) * 2022-04-06 2022-08-23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电子雾化装置及其供电组件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3877B (zh) * 2018-08-17 2021-09-28 深圳雾芯科技有限公司 雾化装置及其方法
WO2020083045A1 (zh) * 2018-10-26 2020-04-30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烟弹及电子烟
CN210611027U (zh) 2019-04-30 2020-05-26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池组件及电子烟
CN212260484U (zh) * 2019-09-29 2021-01-01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传感器密封件及电子烟
CN110495646A (zh) 2019-09-30 2019-11-26 冷朝阳 具有气流感应元件保护功能的电子烟及雾化组件和供电组件
CN112890291A (zh) 2019-11-19 2021-06-04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密封件、密封组件、电子雾化装置及密封件的安装方法
CN211746997U (zh) 2019-11-25 2020-10-27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本体组件和电子雾化装置
CN212911662U (zh) * 2020-05-27 2021-04-09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气溶胶发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80828A1 (en) 2023-06-15
JP2023088842A (ja) 2023-06-27
CN217161073U (zh) 2022-08-12
EP4197371A1 (en) 2023-06-21
JP7504960B2 (ja) 202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2375A1 (en)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And Atomizer
KR20230090991A (ko) 전자 무화장치 및 이의 전원공급 어셈블리
EP3689160A1 (en) Electronic atomizing device
WO2022199281A1 (zh)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CN213281469U (zh) 一次性雾化装置
WO2022083488A1 (zh) 一种电源组件以及电子雾化装置
KR20210093493A (ko) 정품 인증 구조를 구비하는 액상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CN213215337U (zh) 电子烟
WO2023193466A1 (zh) 电子雾化装置及其供电组件
CN216796486U (zh) 一种雾化器及气溶胶产生装置
CN219537492U (zh)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CN211383230U (zh) 超声雾化装置及其超声雾化器
CN113180311A (zh) 气溶胶发生装置
CN219438225U (zh)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CN218185216U (zh) 气雾发生装置
CN218389796U (zh) 气溶胶生成装置
CN220423122U (zh)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CN220403103U (zh) 一种气电隔离的气雾发生装置
CN217906298U (zh) 雾化器及气溶胶产生装置
CN218126947U (zh) 主机、电子雾化装置及电子雾化系统
CN220423131U (zh)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CN220712929U (zh) 喷嘴结构及电子雾化装置
CN216674715U (zh) 一种气溶胶发生器的供电装置及气溶胶发生器
CN218245653U (zh) 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CN221284697U (en) Atomizing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