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611A -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611A
KR20230088611A KR1020210177139A KR20210177139A KR20230088611A KR 20230088611 A KR20230088611 A KR 20230088611A KR 1020210177139 A KR1020210177139 A KR 1020210177139A KR 20210177139 A KR20210177139 A KR 20210177139A KR 20230088611 A KR20230088611 A KR 20230088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i
lacticaseibacillus
inflammatory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식
김정태
류승민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611A/ko
Publication of KR2023008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되는 대사산물(metabolites)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요구르트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인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 배양액을 미세 여과하여 수득되는 대사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 기능 식품 및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수득되는 대사산물(metabolites)은 RAW264.7 세포에서 염증매개물질 NO 생산을 감소시키고, 세포 내 염증매개인자인 iNOS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킨다. 상기 대사산물은 유산균 배양 및 배양액 여과의 간단한 공정을 거쳐 수득될 수 있으므로 이를 주성분으로 한 항염증용 조성물은 의약품 산업, 식품 산업 및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NTAINING METABOLITES OF LACTICASEIBACILLUS CASEI}
본 발명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되는 대사산물(metabolites)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요구르트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인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 배양액을 미세 여과하여 수득되는 대사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 기능 식품 및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disease)이란 여러 외부 자극 혹은 내부 요인으로 인해 인체 여러 장기나 조직에 염증성 면역세포의 침윤과 더불어 부종, 발적 및 동통이 나타나고 조직학적 변화를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염증은 손상조직과 이동하는 세포(migrating cell)로부터 생산되는 다양한 화학매개인자에 의하여 촉발되며, 이들 화학매개인자들은 염증 과정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경우에 생체는 염증 반응을 통하여 발병 요인을 중화시키거나 제거하고 상한 조직을 재생시켜서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만성 염증과 같은 질병 상태로 진행되기도 한다. 이러한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치료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의약품으로 구분되며, 이중 대부분의 합성 염증성 질환 치료제는 주작용 이외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효과가 탁월하며 부작용이 적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요구르트(Yoghurt)는 우유를 유산균(乳酸菌)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것으로서, 인류가 우유를 먹기 시작한지 수천 년이 지나서 요구르트를 섭취한 것으로 추측된다. 요구르트는 우유 속의 단백질과 비타민 A·B2 등의 비타민, 칼슘, 망간 등의 무기질을 지니고 있다. 요구르트에는 유산균에 의해 단백질과 지방이 분해되어 있으므로 소화 흡수가 쉬운 상태이며, 다양한 유용 생리 활성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요구르트는 장 내의 면역세포에 작용하여 인터페론을 늘려 각종 암 발생을 억제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과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하며, 풍부하게 함유된 망간이 칼슘 흡수를 도와 이와 뼈를 튼튼하게 하고, 골다공증의 예방과 개선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산균을 함유한 제품으로 발효유, 건강기능식품, 일반의약품 등 다양한 종류가 판매되고 있으며 유산균의 각종 생리 활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KR 10-2011-0124516 A KR 10-2283096 B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요구르트로부터 항염증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선별하고, 상기 유산균의 배양액으로부터 수득되는 대사산물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함으로서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유산균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의약, 건강 기능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metabolite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대사산물(metabolites)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 배양액을 여과(filteration)하여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metabolite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대사산물(metabolites)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 배양액을 여과(filteration)하여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metabolites)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대사산물(metabolites)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 배양액을 여과(filteration)하여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수득되는 대사산물(metabolites)은 RAW264.7 세포에서 염증매개물질 NO 생산을 감소시키고, 세포 내 염증매개인자인 iNOS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킨다. 상기 대사산물은 유산균 배양 및 배양액 여과의 간단한 공정을 거쳐 수득될 수 있으므로 이를 주성분으로 한 항염증용 조성물은 의약품 산업, 식품 산업 및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RAW264.7에 처리될 시료의 적정 처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동결건조된 MRS 배지 증류수 희석액을 농도별로 RAW264.7 세포주에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요구르트에서 분리된 본 발명의 유산균주로부터 수득되는 대사산물이 처리된 RAW264.7에서 염증매개물질 NO 생성의 감소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VEH: Vehicle, LPS: LPS 처리군, MRS: LPS + MRS 배지, L. pentosus: LPS +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펜토서스(Lactiplantibacillus pentosus) 유산균주 대사산물 처리군, D-11: LPS + D-11 유산균주 대사산물 처리군을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요구르트에서 분리된 본 발명의 유산균주 16S rDNA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요구르트에서 분리된 본 발명의 유산균주 16S rDNA 염기서열을 NCBI(https://www.ncbi.nlm.nih.gov) BLAS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균주를 동정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이 처리된 RAW264.7에서의 염증매개인자 iNOS 단백질 발현 감소를 western blot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VEH: Vehicle, LPS: LPS 처리군, MRS: LPS + MRS 배지, L. pentosus: LPS +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펜토서스(Lactiplantibacillus pentosus) 대사산물 처리군, D-11: LPS + D-11 유산균주 대사산물 처리군을 각각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시판되는 다양한 요구르트 제품으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고, 이들의 RAW264.7에서의 항염증 활성을 평가한 결과,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로 동정된 유산균의 대사산물에서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metabolite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대사산물(metabolites)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 배양액을 여과(filteration)하여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metabolite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대사산물(metabolites)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 배양액을 여과(filteration)하여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metabolites)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대사산물(metabolites)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 배양액을 여과(filteration)하여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산균은 시판되는 요구르트 시료로부터 분리되었으며, 16S rDNA 서열 분석을 통하여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로 동정되었다. 본 발명의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시판되는 요구르트 시료로부터 유산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는 공지기술에 의하거나 또는 하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상세히 기재된 유산균주 분리 및 동정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는 대한민국 소재 생물자원센터(KCTC No. 3109, https://kctc.kribb.re.kr/search/resourceDetail?sn=3109&kind=Bacteria)로부터 분양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상기 대사산물(metabolites)은 유산균이 생장하는 동안 생산 및/또는 분비되는 각종의 저분자량 또는 고분자량의 유·무기물의 집합체를 총칭하는 의미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의 균주 배양액을 별도의 여과 장치를 통하여 유산균주 등을 제거하여 수득될 수 있다.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여과액을 수득한 후 분말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감압 건조,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통상적인 공정을 통하여 대사산물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건강 기능 식품 및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인 "염증성 질환"은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 또는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각종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 외부 감염원의 감염에 대한 국부적 또는 전신적 생체 방어 반응에 의한 다양한 질환들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염증 반응은 각종 염증매개인자와 면역세포와 관련된 효소(예컨대 iNOS, COX-2 등) 활성화, 염증매개물질의 분비(예컨대, NO, TNF-α, IL-6, IL-1β, PGE2의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파괴 등의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을 수반하며, 홍반, 통증, 부종, 발열, 신체의 특정 기능의 저하 또는 상실 등의 증상에 의해 외적으로 나타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급성, 만성, 궤양성, 알레르기성 또는 괴사성을 띨 수 있으므로, 어떠한 질환이 상기와 같은 염증성 질환의 정의에 포함되는 한 그것이 급성이든지, 만성이든지, 궤양성이든지, 알레르기성이든지 또는 괴사성이든지를 불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증성 질환에는 천식,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및 급성 비염, 만성 및 급성 위염 또는 장염, 궤양성 위염, 급성 및 만성 신장염, 급성 및 만성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통증, 편두퐁, 두통, 허리 통증, 섬유 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프로스타글라딘 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 습진, 다발성 경화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 당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인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을 사용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 100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팩트, 립글로즈, 립스틱, 섀도우, 샴푸 및 린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metabolites)을 0.001~50중량%로 포함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함량 범위에서 적절한 제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목적하는 기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metabolites) 외에도 본 발명의 유효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항산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탄력 개선의 효과를 위한 공지의 천연물 추출물이나 기타 성분을 추가로 포함시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들, 예를 들면,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와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나 담체를 포함하여 특정 제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팩,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약학적 조성물, 건강 기능 식품 및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 이외에도, 생체 외(ex vivo) 조건, 바람직하게는 시험관 내(in vitro) 조건 하에서, 본 발명의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을 RAW264.7에 처리하여 항염증 활성이 유도되는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연구함으로서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론으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을 RAW264.7에 처리하는 경우 염증매개인자, 특히 iNOS 단백질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RAW264.7에서의 iNOS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는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재한 것이며,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염증 활성 검정을 위한 시료의 처리 농도 결정
RAW264.7에 처리할 대사산물 시료의 적정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MRS 배지를 RAW264.7에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 assay)를 평가하였다. 세포 생존율 평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산균 배양에 사용되는 MRS 배지를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96 well plate에 well 당 1 x 105 cell을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RS 배지를 0.1, 0.2, 0.5, 1.0, 2.0, 4.0, 8.0 μl/well의 양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Promega, USA) 용액을 각 well 당 20 μl씩 첨가한 후 세포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NanoQuant PlateTM (Tecan Trading AG, Switzerland)를 사용하여 4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섯 개의 well을 독립적으로 수행한 값의 평균을 Sigma plot program 10.0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4.0 μl/well로 처리한 경우에도 cell viability의 심각한 감소가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여 4.0 μl/well의 농도를 실험에 사용할 시료 농도로 결정하였다(도 1).
2. 항염증 활성 유산균주의 선별
시판 중인 요구르트를 대상으로 10 여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산균 분리 방법은 각 요구르트 시료를 DW에 각각 1 x 10-3, 1 x 10-4 으로 희석하여 MRS broth (MB cell, Korea)에 agar powder를 1.5%만큼 첨가해 만든 MRS agar 배지에 spreading하여 각각 30℃, 37℃에서 48 시간 배양하였으며, 배양된 콜로니 중 단일 콜로니를 선별하여 MRS agar 배지에 streaking 하여 균을 순수분리 하였다. 순수분리한 균을 MRS broth 배지에 옮겨 150 rpm으로 설정된 shaking incubator를 이용해 30℃, 37℃에서 각각 48시간 배양하였다. 유산균을 MRS broth 배지 2 ml에 10% 접종하여 분리한 온도에 맞게 150 rpm 조건으로 shaking incubator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된 배지를 5,000 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배양액과 pellet 형태의 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배양액은 0.2 μm 필터(Minisart® Syringe Filters, Germany)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상등액을 -50℃에서 6 시간 동안 동결건조기기를 통하여 동결건조하였다. 동결건조된 시료를 DW 200 μl로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분리된 유산균 대사산물의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리된 10 여종의 유산균 대사산물을 증류수로 희석시킨 후 96 well plate에 분주한 RAW264.7에 4 μl/well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NO production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NO 생산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평가된 "D-11"로 명명된 유산균주를 항염증 활성 유산균주로 선별하였고(결과 미제시), 기존에 항염증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공시 균주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펜토서스(Lactiplantibacillus pentosus, KCTC 3120)와의 NO 생산능을 비교하였다(도 2).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D-11" 유산균주는 4 μl/well의 농도에서 LPS 단독 처리군과 비교하여 약 50%의 NO production 감소를 유도하였고, 항염증 활성이 공지되어 있는 공시 균주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펜토서스(Lactiplantibacillus pentosus, KCTC 3120)보다도 우수한 NO production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3.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유산균주의 동정
상기 항목 2.로부터 선별된 유산균주를 동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산균을 동정하기 위해 16S rDNA sequencing을 진행하였다. 유산균을 30℃, 150 rpm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뒤 동정을 진행하였다. 유산균 동정을 위한 DNA 추출은 G-spinTM Total DNA Extraction Kit (iNtRON, Korea)을 이용해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진행되었다. 추출된 DNA는 Takara EX Taq® (Takara, Japan), primer는 16S rDNA 8F(forward primer, 5'-AGAGTTTGATCMTGGCTCAG-3', 서열번호 1)와 16S rDNA 1492R (reverse primer, 5'-TACGGYTACCTTGTTACGACTT-3', 서열번호 2)를 이용해 PCR을 진행하였다. PCR 반응 조건은 1번째 step으로 95℃에서 5분간 반응시킨 뒤, 2번째 step으로 95℃에서 1분, 55℃에서 1분, 72℃에서 2분의 cycle을 29회 반복하여 수행, 3번째 step으로 72℃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정제 및 16S rDNA sequencing은 Macrogen 사(Korea)에 의뢰해 진행하여 확보하였다(도 3). 이를 통해 얻은 염기 서열(서열번호 3)을 NCBI(https://www.ncbi.nlm.nih.gov) BLAST 프로그램을 이용해 동정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선별된 유산균주는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Scientific name) 균주와 가장 높은 유사도(99.14%)를 보여주었다(도 4).
4.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Lacticaseibacillus casei ) 대사산물의 RAW264.7에서의 염증매개인자 iNOS 단백질 발현 조절
상기 항목 2.로부터 수득되는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의 항염증 활성을 대표적인 염증매개인자인 iNOS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RAW264.7을 6 well plate에 well 당 3.0 x 105 cell을 분주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시료들을 10 μl/well의 양으로 처리하였다. 시료 처리 24시간 후 수확한 세포는 1X RIPA (Cell signaling, USA) 용액을 첨가한 후 sonication 실시하여 총 단백질을 제조하였다. 추출한 단백질은 Bradford assay (Bio-Rad, US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총 20 μg의 단백질을 4-12% acrylamide gel (Invitrogen, USA)에서 전기영동한 후, 전기적으로 membrane에 transfer 시켰다. 1차 항체로는 iNOS와 Actin 항체를 사용하였고, 2차 항체는 HRP-conjugated mouse antibody를 사용하였다. 모든 항체는 Santa Cruz사(Santa Cruz, USA) 혹은 Cell signaling사(USA)에서 구입하였다. 1차 항체는 4℃에서 overnight 처리하였고, 2차 항체는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enhanced chemiluminescence kit (ECLTM, Amersham, USA)을 이용하여 반응시킨 후 C-DIGIT (LI-COR, USA)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S를 처리한 경우와 MRS 배지 동결건조물의 희석액 10 μl 만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iNOS 단백질의 발현이 뚜렷히 관찰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이 처리된 경우에는 iNOS 단밸질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항염증 활성이 공지된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펜토서스(Lactiplantibacillus pentosus, KCTC 3120)보다도 현저히 삼소된 iNOS 별현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연구개발과제]
[부처명] 경상북도
[연구사업명] 2021년 농어업 R&D 활성화 사업
[연구과제명] 마이크로바이옴 강화 김치제품 개발
[기여율] 1/1
[주관기관]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기간] 2021년 4월 1일 ~ 2021년 12월 31일
<110> ANDONG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120>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NTAINING METABOLITES OF LACTICASEIBACILLUS CASEI <130> YP210055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S rDNA 8F <400> 1 agagtttgat cmtggctcag 20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S rDNA 1492R <400> 2 tacggytacc ttgttacgac tt 22 <210> 3 <211> 118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11 16S rDNA <400> 3 acaatctttg tcaccttaga cggctcgctc cctaaaaggg ttacgccacc ggcttcgggt 60 gttacaaact ctcatggtgt gacgggcggt gtgtacaagg cccgggaacg tattcaccgc 120 ggcgtgctga tccgcgatta ctagcgattc cgacttcgtg taggcgagtt gcagcctaca 180 gtccgaactg agaatggctt taagagatta gcttgacctc gcggtctcgc aactcgttgt 240 accatccatt gtagcacgtg tgtagcccag gtcataaggg gcatgatgat ttgacgtcat 300 ccccaccttc ctccggtttg tcaccggcag tcttactaga gtgcccaact aaatgctggc 360 aactagtcat aagggttgcg ctcgttgcgg gacttaaccc aacatctcac gacacgagct 420 gacgacaacc atgcaccacc tgtcattttg cccccgaagg ggaaacctga tctctcaggt 480 gatcaaaaga tgtcaagacc tggtaaggtt cttcgcgttg cttcgaatta aaccacatgc 540 tccaccgctt gtgcgggccc ccgtcaattc ctttgagttt caaccttgcg gtcgtactcc 600 ccaggcggaa tgcttaatgc gttagctgcg gcactgaagg gcggaaaccc tccaacacct 660 agcattcatc gtttacggca tggactacca gggtatctaa tcctgttcgc tacccatgct 720 ttcgagcctc agcgtcagtt acagaccaga cagccgcctt cgccactggt gttcttccat 780 atatctacgc atttcaccgc tacacatgga gttccactgt cctcttctgc actcaagttt 840 cccagtttcc gatgcgcttc ctcggttaag ccgagggctt tcacatcaga cttaaaaaac 900 cgcctgcgct cgctttacgc ccaataaatc cggataacgc ttgccaccta cgtattaccg 960 cggctgctgg cacgtagtta gccgtggctt tctggttgga taccgtcacg ccgacaacag 1020 ttactctgcc gaccattctt ctccaacaac agagttttac gacccgaaag ccttcttcac 1080 tcaagcggcg ttgctccatc agacttgcgt ccattggggg aagaattccc tactgctgcc 1140 tcccctaaga aatttggggc cgggtccaat ccccaagggg gg 1182

Claims (4)

  1.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대사산물(metabolite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산물(metabolites)은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Lacticaseibacillus casei) 균주 배양액을 여과(filteration)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77139A 2021-12-11 2021-12-11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230088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139A KR20230088611A (ko) 2021-12-11 2021-12-11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139A KR20230088611A (ko) 2021-12-11 2021-12-11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611A true KR20230088611A (ko) 2023-06-20

Family

ID=8699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139A KR20230088611A (ko) 2021-12-11 2021-12-11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861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516A (ko) 2010-05-11 2011-11-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283096B1 (ko) 2020-04-02 2021-07-29 주식회사 휴먼피부임상시험센터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516A (ko) 2010-05-11 2011-11-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283096B1 (ko) 2020-04-02 2021-07-29 주식회사 휴먼피부임상시험센터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792B1 (ko) 박테리아성 감기에 대한 신규 락트산 박테리아 및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140565A (ko) Akkermansia muciniphila 또는 Bacteroides acidifaciens 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90079514A (ko) 알로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0035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06347952A (ja) リパーゼ活性化作用を呈するアントラキノン誘導体、それからなる抗肥満薬、食品製剤及び化粧品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943406B2 (ja) ビフィズス菌または乳酸菌の生存維持用組成物
KR101963572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제비집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392808B1 (ko)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578581B1 (ko) 신종균 크리세오박테리움 thg-c4-1 및 이를 이용한 지페노사이드 17 생산 방법
JP2017531644A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JP6522656B2 (ja) スクテラリア・アルピナ抽出物を含む組成物
CN116590200A (zh) 约氏乳杆菌及其在制备预防和/或改善急性胰腺炎的产品中的应用
KR20230088611A (ko) 락티카제이바실러스 카제이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361015B1 (ko) 스핑고모나스 올레이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130085106A (ko) 장미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61014B1 (ko) 더마코쿠스 니시노미야엔시스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239415B1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230001597A (ko) 햄프 줄기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인플라메이징 조성물
JP6300102B2 (ja) 脂肪分解作用を有するジヒドロケンフェロール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40573B1 (ko)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JP2022006397A (ja) バリア機能亢進剤
KR101894874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프라질리스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JP2010070531A (ja) 天然抽出物より得られた脱顆粒抑制剤、β−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アレルギー用または抗炎症用の食品、医薬、動物飼料用組成物および化粧品原料用組成物
TWI842139B (zh) 用於改善皮膚狀態的組合物以及新型油鞘氨醇單胞菌菌株及其溶解產物、培養液、提取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