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556A -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556A
KR20230085556A KR1020210173840A KR20210173840A KR20230085556A KR 20230085556 A KR20230085556 A KR 20230085556A KR 1020210173840 A KR1020210173840 A KR 1020210173840A KR 20210173840 A KR20210173840 A KR 20210173840A KR 20230085556 A KR20230085556 A KR 20230085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uct
damper
electronic device
upp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필
김용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556A/ko
Priority to PCT/KR2022/013290 priority patent/WO2023106567A1/ko
Priority to US17/953,644 priority patent/US20230175192A1/en
Publication of KR2023008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06F58/40Control of the initial heating of the drying chamber to its operating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분리 챔버 구조를 적용하여 의류 또는 신발의 탈취, 제습 또는 살균에 따른 유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전자 장치는, 탈취 모드에서 내부 댐퍼가 제1 상태로 동작하여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에 독립적인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 댐퍼를 제어하고, 제습 모드에서 상기 내부 댐퍼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상태로 동작하여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에 하나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상태로 동작하여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에 독립적인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 댐퍼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FOR CARING SHOES OR WITH CLOTHE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본 개시(disclosure)는 공간을 분리하여 신발 및 의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밖으로 외출 시, 의류 또는 신발은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여름철이나 장마철에는 옷이나 신발에 습기가 스며들어 착용감이 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쾌한 냄새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기로는, 귀가 후에 가능한 빠르게 의류 또는 신발을 건조하거나, 세탁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잦은 세탁은 의류 또는 신발의 빠른 손상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세탁이나 클리닝 하기가 곤란한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원단을 사용한 고가의 의류 또는 신발이 생산되고 있고, 생활 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의류 또는 신발을 건조, 탈취 및 살균하는 제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 또는 신발을 관리하는 가전 제품은 하드 케이스의 옷장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 의류 또는 신발을 거치한 후 열풍, 냉풍 또는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 또는 신발을 제습, 탈취 또는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의류를 관리하는 가전 제품은 주로 의류를 건조 탈취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신발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 신발 살균기를 구비하여야 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가전 제품에서 의류와 신발을 함께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 경우 의류 및 신발을 함께 관리함으로 인하여,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 외에 신발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신발을 관리하기에 용이하도록 현관에 근접하여 해당 제품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품의 크기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개시에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리 챔버 구조를 적용하여 의류 또는 신발의 탈취, 제습 또는 살균에 따른 유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상부 챔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하부 챔버와, 상기 상부 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챔버의 상부면 사이에 마련되는 상부 기계실과, 상기 상부 기계실에 배치되는 상부 팬 모터와, 상기 하부 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 마련되는 하부 기계실과, 상기 하부 기계실에 배치되는 히터 펌프와, 상기 상부 기계실로부터 상기 상부 챔버의 상부로 연결되는 유로가 만들어지도록 배치된 제1 덕트 및 상기 하부 기계실로부터 상기 상부 기계실로 연결되는 유로가 만들어지도록 배치된 제2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공기의 유입 통로를 마련하는 흡기 댐퍼와, 내부 공기의 배출 통로를 마련하는 배기 댐퍼와,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상부 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하부 챔버의 상부면 사이에 마련된 상부 기계실에 배치된 상부 팬 모터와, 상기 하부 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 마련된 하부 기계실에 배치된 히트 펌프 및 상기 흡기 댐퍼,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상부 팬 모터 또는 상기 히트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탈취 모드에서 상기 흡기 댐퍼를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배기 댐퍼를 제어하여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습 모드에서 상기 흡기 댐퍼를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배기 댐퍼를 제어하여 내부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상부 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하부 챔버의 상부면 사이에 마련된 상부 기계실에 배치된 상부 팬 모터와, 상기 하부 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 마련된 하부 기계실에 배치된 히트 펌프와, 상기 상부 챔버에 배치된 제1 덕트와 상기 하부 챔버에 배치된 제2 덕트의 연결 통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내부 댐퍼 및 상기 상부 팬 모터 상기 히트 펌프 또는 상기 내부 댐퍼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탈취 모드에서 상기 내부 댐퍼를 제어여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연결 통로를 폐쇄하고, 제습 모드에서 상기 내부 댐퍼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연결 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연결 통로를 폐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내부가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로 분리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탈취 모드에서 관련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 챔버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상기 상부 챔버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동작과, 상기 탈취 모드에서 상부 팬 모터와 하부 히트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에 내부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동작과, 제습 모드에서 상기 관련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 챔버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상부 챔버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동작 및 상기 제습 모드에서 상기 상부 팬 모터와 상기 하부 히트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 챔버에 외부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챔버에 내부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내부가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로 분리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탈취 모드에서 내부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 챔버에 배치된 제1 덕트와 상기 하부 챔버에 배치된 제2 덕트의 연결 통로가 차단되도록 하는 동작과, 제습 모드에서 상기 내부 댐퍼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연결 통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동작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연결 통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관리하고자 하는 대상 물건의 종류를 고려하여 적합한 탈취, 제습 또는 살균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공간이 분리된 구조에서,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 사이에 팬 모터를 배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개선하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또는 신발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또는 신발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또는 신발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의 정면도, 좌/우측면도 및 상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B 부분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또는 신발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의류 또는 신발을 케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탈취 모드에서 형성하는 유로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습 모드에서 형성하는 유로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탈취 모드에서 형성하는 유로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될 설명에서, 상세한 구성 및 구성 요소와 같은 특정 세부 사항은 단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또는 신발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또는 신발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100)의 정면도, 좌/우측면도 및 상부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10)은 상부 챔버(120), 하부 챔버(130), 상기 상부 챔버(120)의 천장(예: 상부면) 위쪽에 마련된 제1 공간, 상기 상부 챔버(120)과 상기 하부 챔버(130) 사이에 마련된 제2 공간 및 상기 하부 챔버(130)의 바닥 아래쪽에 마련된 제3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은, 예를 들어, 상부 챔버(120)의 하부면과 하부 챔버(130)의 상부면 사이에 마련되는 상부 기계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기계실에는 상부 팬 모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공간은, 예를 들어, 하부 챔버(130)의 하부면과 하우징(110)의 바닥 사이에 마련되는 하부 기계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계실에는 히트 펌프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챔버(120)에는 상부 기계실로 사용될 수 있는 제2 공간에서부터 상기 상부 챔버(120)의 상부로 연결되는 유로가 만들어 지도록 상부 덕트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덕트는 상기 상부 챔버(120)의 배면에 배치된 제1 덕트(220)와 상기 상부 챔버(120)의 상부면에 배치된 제2 덕트(230)가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챔버(130)의 양측면에는 하부 기계실로 사용될 수 있는 제3 공간에서부터 상기 하부 챔버(130)의 상부로 연결되는 유로가 만들어 지도록 하부 덕트(예: 도 2의 하부 덕트(21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챔버(120)의 상단부에는 신발을 거치할 수 있는 신발 거치대 또는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의류 거치대를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체결 부재(12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121)의 하단부는, 예를 들어, 아래쪽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챔버(120)의 천장 위쪽에 마련된 제1 공간은 전면 방향(X축 방향)으로 개방된 제1 개구부(123)를 통해 외부와 소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123)는 안쪽 공기를 바깥쪽으로 배출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123)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된 상단부 덕트(230)의 개방된 출구와 대면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123)과 상기 상단부 덕트(230)가 대면하는 사이에는, 배기 댐퍼와 상기 배기 댐퍼를 구동할 모터(3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 댐퍼는, 예를 들어, 상기 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열릴 시, 상기 상단부 덕트(230)의 출구가 바깥으로 개방될 수 있고, 상기 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닫힐 시, 상기 상단부 덕트(230)의 출구가 바깥과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배기 댐퍼에 의해 바깥과 차단될 시, 상기 상단부 덕트(230)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체결 부재(121)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분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챔버(120)의 배면과 하우징(110)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제1 덕트(220)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 챔버(120)의 상부면과 하우징(11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제2 덕트(2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덕트(220)는, 예를 들어, 정면에서 볼 때에 소정의 수평 폭을 가지고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덕트(230)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덕트(220)와 결합되는 일측단이 넓고, 제1 개구부(123)와 결합하는 일측단이 좁은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챔버(120)의 배면과 하우징(110)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덕트(220)에는 임의의 위치에 탈취 물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함은 제1 덕트(220)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내부 유로가 만들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탈취 물질은, 예를 들어, 숯과 같은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보관함은 제1 덕트(220)가 아닌 상단부 덕트(23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챔버(130)의 상단부에는 신발을 거치할 수 있는 신발 거치대(131, 13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신발 거치대(131, 133)는 신발을 앞과 뒤 방향으로 착/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신발 거치대(131, 133)의 내부는 중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공 구조를 갖는 신발 거치대(131, 133)는 하단부의 일부가 개방된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 거치대(131, 133)의 내부 통로와 상기 제2 개구부는 하부 챔버(130)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아래 방향으로 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챔버(120)과 하부 챔버(130) 사이에 마련된 제2 공간은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전면 방향(X축 방향)으로 개방된 제3 개구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부(140)는 상기 제2 공간이 바깥과 소통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개구부(140)는 안쪽 공기를 바깥쪽으로 배출하거나, 바깥 공기를 안쪽으로 흡입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은 하우징(110)의 양쪽 측면을 관통하여 측면 방향(Y축 방향)으로 개방된 제4 개구부(180)를 통해 외부와 소통할 수 있다. 상기 제4 개구부(180)는 바깥 공기를 안쪽으로 흡입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은 상부 팬 모터(예: 도 2의 상부 팬 모터(170))가 배치될 상부 기계실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챔버(130)의 바닥 아래쪽에는 하부 기계실로 사용될 제3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공간에는 열풍을 발생할 수 있는 히트 펌프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트 펌프는 열을 발생할 수 있는 히터(150)와, 바람을 발생할 수 있는 하부 팬 모터(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13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과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히트 펌프(150, 160)에 의해 발생된 열풍이 흐를 유로가 만들어지는 덕트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또는 신발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100)의 단면도(A-A')이고, 도 4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B 부분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10)은 의류 또는 신발을 선택적으로 거치하여 탈취, 제습 또는 살균할 수 있는 상부 챔버(120)와, 신발을 거치하여 탈취, 제습 또는 살균할 수 있는 하부 챔버(130)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챔버(120)는 천장 위쪽에 제1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에는 제1 개구부(123)를 통해 앞쪽 방향으로의 공기 배출을 제어하는 배기 댐퍼(310), 상기 배기 댐퍼(310)를 구동하기 위한 제1모터(320) 및 상부 챔버(120)의 배면에 마련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220)의 일부인 상단부 덕트(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챔버(120)의 상단부(A)에는 제1 공간에 배치된 상단부 덕트(230)에 대면하여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결합 부재(12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121)는 신발을 거치할 신발 거치대 또는 의류를 거치할 의류 거치대를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121)의 하단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챔버(120)의 외곽 프레임이 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단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단부 덕트(230)의 일측단에 마련된 출구가 맞닿도록 덕트(2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덕트(220)에 포함된 상단부 덕트(230)는 체결 부품(330)에 의해 상부 챔버(120)의 외곽 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댐퍼(310)는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단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상단부 덕트(230)의 일측단에 마련된 출구 사이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310)의 일측단에는 상기 댐퍼(310)가 회전에 의한 구동을 제공하는 제1 모터(32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21)는 상기 상단부 덕트(230)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덕트(340)의 개방된 일측면이 상기 상단부 덕트(23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맞닿아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덕트(340)의 개방된 다른 일측면이 상기 결합 부재(121)의 하부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챔버(120)의 바닥 아래쪽에 마련된 공간에는 상기 상부 챔버(120) 측으로 공급될 공기를 발생할 상부 팬 모터(17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덕트(210)는 하부 챔버(130)의 일측면과 상부면을 따라 직각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덕트(210)에서 상기 하부 챔버(130)의 상부면에 대면하는 상부 덕트 부분은 하부면의 적어도 두 영역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부면의 적어도 한 영역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덕트 부분의 상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내부 댐퍼(240)에 구비된 하나의 통로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덕트 부분의 하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두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결합 덕트(211, 213)의 개방된 일측단이 상기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덕트(211, 213)의 개방된 다른 일측단은 신발 거치대(131, 133)의 상부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신발 거치대(131, 133)는 중공 구조를 가짐에 따라, 내부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내부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 거치대(131, 133)의 하부면에는 내부 통로를 아래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개방 구멍 또는 개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댐퍼(240)는 제2 모터(25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댐퍼(240)는,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덕트(210)를 상부 챔버(120) 측으로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댐퍼(240)이 구동에 의해 상기 하부 덕트(210)가 상부 챔버(120) 측으로 개방될 시, 상기 하부 덕트(210)를 통한 유로가 상부 챔버(120)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또는 신발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700)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700)는 상부 팬 모터(720), 하부 팬 모터(730), 흡기 댐퍼(740), 배기 댐퍼(750), 히터(760) 또는 프로세서(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710)는 상부 팬 모터(720), 하부 팬 모터(730), 흡기 댐퍼(740), 배기 댐퍼(750) 또는 히터(7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히터(76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히트 펌프 (예: 히터(150), 하부 팬 모터(16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팬 모터(720)는 하우징을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상부 챔버(예: 도 1의 상부 챔버(120))의 바닥 아래쪽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팬 모터(720)를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예: 도 1의 하부 챔버(130)) 사이에서 확보된 공간에 배치할 경우, 전자 장치(700)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팬 모터(720)는 구동 시에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상기 상부 챔버에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팬 모터(730)는 하우징을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하부 챔버의 바닥 아래쪽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팬 모터(730)를 하부 챔버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전자 장치(700)의 가로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팬 모터(730)는 구동 시에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상기 하부 챔버에서의 유로를 형성하거나, 상기 하부 챔버와 상기 상부 챔버가 개방될 시에 상기 하부 챔버와 상기 상부 챔버 전체에서 하나의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 댐퍼(740)는 탈취 모드에서 폐쇄되어 외부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제습 모드에서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흡기 댐퍼(740)는 하우징을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의 중간 부근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 중 적어도 한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댐퍼(750)는 탈취 모드에서 폐쇄되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제습 모드에서 개방되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댐퍼(750)는 하우징을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상부 챔버의 상단부에 외부로 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760)는 탈취 모드로 동작 시에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 모두에 열이 가해질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고, 제습 모드로 동작 시에 신발이 거치될 수 있는 하부 챔버에 열이 가해질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탈취 모드와 제습 모드에 적절한 온도는 의류인 경우와 신발인 경우에 따라 상이(예: 의류 50도 이상, 신발 40도 이하)할 수 있으므로,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로 분리된 구조로 인해, 최적화된 관리 온도를 유지시키기가 용이할 수 있다. 살균 모드로 동작 시에 상부 챔버는 히터(760)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고온(예: 60도 이상)으로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 챔버는 슈트리 근거에 존재하는 UVC 디바이스를 통해 살균이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710)는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 각각에 독립적인 내부 유로를 형성하고, 히터(760)에 의해 발생되는 열 및/또는 자외선 필터를 사용하여 의류 및/또는 신발에 대한 탈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유로는 외부 공기의 유입 없이 내부 공기만을 순환시키기 위하여 만들어진 유로일 수 있다. 상기 내부 유로는, 예를 들어, 흡기 댐퍼(740)와 배기 댐퍼(750)를 모두 닫아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 후, 상부 팬 모터(720) 및 하부 팬 모터(730)를 구동 시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710)는 상부 챔버에 외부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 유로를 통해 순환하는 외부 공기를 사용하여 의류 및/또는 신발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710)는 하부 챔버(130)에 내부 유로를 형성하여 히터(760)에서 발생되는 열 및/또는 자외선 필터를 사용하여 신발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유로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부 챔버에 마련된 덕트(예: 도 2의 덕트(220))를 통해 순환한 후, 외부로 배기되도록 만들어진 유로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유로는, 예를 들어, 흡기 댐퍼(740)와 배기 댐퍼(750)를 모두 열도록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부 챔버(120)에 마련된 덕트(220)를 통해 순환된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710)는 상부 및 하부 팬 모터(720, 730)가 구동하고, 히터(760)가 구동하지 않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710)는 설정된 시간 동안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개방하여 하나의 내부 유로가 형성되도록 내부 댐퍼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710)는 히터(760)를 제어하여 열을 발생하여 상기 상부 챔버에 거치된 의류 및/또는 상기 하부 챔버에 거치된 신발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프로세서(710)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내부 댐퍼를 제어하여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를 공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독립적인 내부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로세서(710)는 히터(760)를 제어하여 열을 발생시켜 상기 하부 챔버에 거치된 신발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도 7의 전자 장치(700))에서 의류 또는 신발을 케어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700)가 탈취 모드에서 형성하는 유로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700)가 제습 모드에서 형성하는 유로의 예시도이며,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700)가 탈취 모드에서 형성하는 유로의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700)는, 동작 811 내지 동작 817에서 탈취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동작 819 내지 821에서 제습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0)는 동작 S811 내지 동작 S817에서 상부 챔버(예: 도 1의 상부 챔버(120))와 하부 챔버(예: 도 1의 하부 챔버(130)) 각각에 독립적인 내부 유로(예: 도 9에서 상부 챔버에 형성된 제1 유로(910), 하부 챔버에 형성된 제2 유로(920))를 형성하고,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히터(예: 히트 펌프 (예: 도 2, 도 3의 히터(150), 하부 팬 모터(160)) 또는 도 7의 히터(760))에 의해 발생되는 열 및/또는 자외선 필터를 사용하여 의류 및/또는 신발에 대한 탈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유로(910, 920)는 외부 공기의 유입 없이 내부 공기만을 순환시키기 위하여 만들어진 유로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로(910, 920)는, 예를 들어, 흡기 댐퍼(예: 도 7의 흡기 댐퍼(740) 또는 도 9의 좌측 흡기 댐퍼(940) 및 우측 흡기 댐퍼(930))와 배기 댐퍼(예: 도 7의 배기 댐퍼(750) 또는 도 9의 상부 댐퍼(123))를 모두 닫아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 후, 팬 모터(예: 도 7의 상부 팬 모터(720) 및 하부 팬 모터(730) 또는 도 9의 상부 팬 모터(170) 및 하부 팬 모터(160))를 구동시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9에서는, 예를 들어, 상부 챔버(120)의 바닥 아래쪽 공간에 배치된 상부 팬 모터(170)의 구동으로 인해 만들어진 바람은 상기 상부 챔버(120)의 배면과 하우징(110) 사이에 마련된 배면 덕트(220)를 통해 상기 상부 챔버(120)의 상부면과 상기 하우징(110) 사이에 마련된 상부 덕트(230)로 제1 유로(9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덕트(230)의 전면 방향으로 배치된 배기 댐퍼인 상부 댐퍼(123)가 닫혀 있으므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상부 덕트(230)에서 의류 거치대 또는 신발 거치대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 부재(121)의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아래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121)에 거치된 의류 또는 신발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바람에 의해, 불쾌한 냄새가 제거되는 탈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서는, 예를 들어, 하부 챔버(130)의 바닥 아래쪽 공간에 배치된 하부 팬 모터(160)의 구동으로 인해 만들어진 바람은 하부 챔버 덕트(210)를 통해 상기 하부 챔버(130)의 상단부에 마련된 신발 거치대(131, 133)의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아래쪽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유로(920)를 만들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 덕트(210)는, 예를 들어, 하부 챔버(130)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하우징(110) 사이에 마련된 측면 덕트, 상기 하부 챔버(130)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부 덕트 및 상기 상부 덕트의 일측단을 신발 거치대(131, 133)의 내부 통로에 결합하는 결합 덕트(211, 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 거치대(131, 133)에 거치된 신발은 상기 신발 거치대(131, 133)의 개구부를 통해 아래쪽으로 뿜어져 나오는 바람에 의해, 불쾌한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0)는 동작 S819 내지 S821에서 상부 챔버(120)에 외부 유로(예: 도 10에서 상부 챔버에 형성된 제3 유로(1010))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 유로를 통해 순환하는 외부 공기를 사용하여 의류 및/또는 신발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하부 챔버(130)에 내부 유로(예: 도 10에서 하부 챔버에 형성된 제4 유로(1020))를 형성하여 히터(예: 도 7의 히터(760) 또는 도 10의 히터(150))에서 발생되는 열 및/또는 자외선 필터를 사용하여 신발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유로(1010)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부 챔버(120)에 마련된 덕트(220, 230)를 통해 순환한 후, 외부로 배기되도록 만들어진 유로일 수 있다. 상기 제3 유로(1010)는, 예를 들어, 흡기 댐퍼(740)를 열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배기 댐퍼(123, 750)를 열어 덕트(220)를 통해 순환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700)는 팬 모터(170 또는 720, 150 또는 730)를 구동시키고, 히터(160 또는 760)를 구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4 유로(1020)는, 예를 들어, 팬 모터(예: 도 7의 하부 팬 모터(730) 또는 도 10의 하부 팬 모터(160))를 구동시켜 하부 챔버(130)에 마련된 덕트를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0에서는, 예를 들어, 상부 챔버(120)의 바닥 아래쪽 공간에 배치된 상부 팬 모터(170)의 구동으로 인해 만들어진 바람은 상기 상부 챔버(120)의 양측면에 마련된 우측 흡기 댐퍼(930)와 좌측 흡기 댐퍼(940)로 흡입된 외부 공기를 배면 덕트(220)를 통해 상기 상부 챔버(120)의 상부면과 상기 하우징(110) 사이에 마련된 상부 덕트(230)로 흐르도록 하는 제3 유로(10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덕트(230)의 전면 방향으로 배치된 배기 댐퍼인 상부 댐퍼(123)가 열려 있으므로, 상기 제3 유로(1010)는 상기 상부 덕트(230)에서 의류 거치대 또는 신발 거치대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 부재(121)의 개방된 개구부가 아닌 상기 상부 댐퍼(1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예를 들어, 하부 챔버(130)의 바닥 아래쪽 공간에 배치된 하부 팬 모터(160)의 구동으로 인해 만들어진 바람은 하부 챔버 덕트(210)를 통해 상기 하부 챔버(130)의 상단부에 마련된 신발 거치대(131, 133)의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아래쪽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 유로(1020)를 만들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 덕트(210)는, 예를 들어, 하부 챔버(130)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하우징(110) 사이에 마련된 측면 덕트, 상기 하부 챔버(130)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부 덕트 및 상기 상부 덕트의 일측단을 신발 거치대(131, 133)의 내부 통로에 결합하는 결합 덕트(211, 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 거치대(131, 133)에 거치된 신발은 상기 신발 거치대(131, 133)의 개구부를 통해 아래쪽으로 뿜어져 나오는 바람에 의해, 불쾌한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0)는 동작 819 내지 821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상부 챔버(120)와 하부 챔버(130)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 댐퍼(예: 도 2의 내부 댐퍼(240))를 개방하여 하나의 내부 유로(예: 도 11에서 하부 챔버와 상부 챔버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제5 유로(1110))를 형성하고, 자외선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5 유로(1110)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상부 챔버(120)에 거치된 의류 및/또는 상기 하부 챔버(130)에 거치된 신발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700)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내부 댐퍼(240)를 폐쇄하여 상부 챔버(120)와 하부 챔버(130)를 분리함으로써, 독립적인 내부 유로(예: 도 11에서 하부 챔버에 형성된 제6 유로(1120))를 형성하고, 자외선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하부 챔버(130)에 거치된 신발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자 장치(700)는 필요에 따라, 히터(150)를 구동하여 이로 인해 발생되는 열로 하나의 내부 유로인 제5 유로(1110) 또는 독립적인 내부 유로인 제6 유로(1120)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주기동안, 전자 장치(700)는 상부 챔버(120)의 상단부와 하부 챔버(130)의 하단부가 상호 개방되도록 내부 댐퍼(240)를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챔버(130)의 바닥 아래쪽 공간에 배치된 하부 팬 모터(170) 및 히터(150)의 구동에 의해 만들어진 고온의 바람은, 상기 하부 챔버(130)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하우징(110) 사이에 마련된 측면 덕트, 상부 챔버(120)의 배면과 하우징(110) 사이에 마련된 배면 덕트(220) 및 상기 상부 챔버(120)의 상부면과 상기 하우징(110) 사이에 마련된 상부 덕트(230)로 제5 유로(11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덕트(230)의 전면 방향으로 배치된 배기 댐퍼인 상부 댐퍼(123)가 닫혀 있으므로, 상기 제5 유로(1110)는 상기 상부 덕트(230)에서 의류 거치대 또는 신발 거치대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 부재(121)의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아래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주기가 경과하면, 전자 장치(700)는 상부 챔버(120)의 상단부와 하부 챔버(130)의 하단부가 분리되도록 내부 댐퍼(240)를 닫을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챔버(130)의 바닥 아래쪽 공간에 배치된 하부 팬 모터(170) 및 히터(150)의 구동에 의해 만들어진 고온의 바람은, 하부 챔버 덕트(210)를 통해 상기 하부 챔버(130)의 상단부에 마련된 신발 거치대(131, 133)의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아래쪽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6 유로(1120)를 만들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 덕트(210)는, 예를 들어, 하부 챔버(130)의 양쪽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하우징(110) 사이에 마련된 측면 덕트, 상기 하부 챔버(130)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부 덕트 및 상기 상부 덕트의 일측단을 신발 거치대(131, 133)의 내부 통로에 결합하는 결합 덕트(211, 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 거치대(131, 133)에 거치된 신발은 상기 신발 거치대(131, 133)의 개구부를 통해 아래쪽으로 뿜어져 나오는 고온의 바람에 의해,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동작하는 탈취 모드에서 상부 챔버(120)와 하부 챔버(130)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 온도는 제습 모드에서 상부 챔버(120)와 하부 챔버(130)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 온도와 상이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도 8의 흐름도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동작 811에서 전자 장치(700)는 흡기 댐퍼(740) 및 배기 댐퍼(750)를 오프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공기가 배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700)는 팬 모터(도 7의 상부 팬 모터(720) 및 하부 팬 모터(730))를 구동하여 내부 유로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자 장치(700)는 내부 유로를 통해 순환된 내부 공기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히터(7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챔버(120)와 하부 챔버(130) 각각에는 독립적인 내부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독립적으로 형성된 내부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뜨거운 내부 공기에 의해 상부 챔버(120) 및/또는 상기 하부 챔버(130)에 거치된 의류 및/또는 신발에 대한 탈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813에서, 전자 장치(700)는 상부 챔버(120) 및/또는 하부 챔버(130)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될 수 있는 목표 온도인 임계 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700)는 온도 체크를 위하여 상부 챔버(120) 및/또는 하부 챔버(130)에 온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온도를 체크하는 것은, 탈취 동작 시에 지나치게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거치된 의류 및/또는 신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 챔버(120) 및/또는 상기 하부 챔버(130)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될 수 있는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동작 815에서, 전자 장치(700)는 흡기 댐퍼(740) 및 배기 댐퍼(750)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팬 모터(720, 730)의 구동을 유지하여 내부 유로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자 장치(700)는 내부 유로를 통해 순환된 내부 공기의 온도가 일정 수준으로 상승하였으므로, 히터(76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챔버(120)와 하부 챔버(130) 각각에는 독립적인 내부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독립적으로 형성된 내부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내부 공기에 의해 상기 상부 챔버(120) 및/또는 상기 하부 챔버(130)에 거치된 의류 및/또는 신발에 대한 탈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817에서, 전자 장치(700)는 탈취 모드를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탈취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으로써, 일 예로, 흡기 댐퍼(740) 및 배기 댐퍼(50)를 온 시킬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탈취 모드를 위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819에서, 전자 장치(700)는 흡기 댐퍼(740) 및 배기 댐퍼(750)를 온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공기가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700)는 팬 모터(720, 730)를 구동하여 상부 챔버(120)에 외부 유로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자 장치(700)는 외부 유로를 통해 순환될 외부 공기의 온도를 높일 필요가 없으므로, 히터(760)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챔버(120)에는 외부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챔버(130)에는 내부 유로가 형성될 수 있어, 상부 챔버(120) 및/또는 상기 하부 챔버(130)에 거치된 의류 및/또는 신발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탈취 모드를 위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819에서, 전자 장치(700)는 내부 댐퍼(240)를 온하고, 팬 모터(720, 730)를 구동하여, 상부 챔버(120)와 하부 챔버(130) 간에 내부 공기의 순환이 가능한 하나의 내부 유로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자 장치(700)는 상부 챔버(120)와 하부 챔버(130)를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통해 순환될 내부 공기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히터(7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챔버(120)와 하부 챔버(130)에는 하나의 내부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나로 형성된 내부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뜨거운 내부 공기에 의해 상부 챔버(120) 및/또는 상기 하부 챔버(130)에 거치된 의류 및/또는 신발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700)는 상부 챔버(120)의 제습을 위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내부 댐퍼(240)를 오프하여, 상부 챔버(120)와 하부 챔버(130) 간에 독립적인 내부 공기의 순환이 가능한 독립적인 내부 유로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정해진 시간 동안 하부 챔버(130)에 거치된 신발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821에서, 전자 장치(700)는 탈취 및 제습을 위한 모든 동작을 완료할 종료 시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700)는 종료 시간에 도달하면, 모든 동작을 종료하며, 그렇지 않을 시, 동작 811로 리턴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7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70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71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상부 챔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하부 챔버;
    상기 상부 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챔버의 상부면 사이에 마련되는 상부 기계실;
    상기 상부 기계실에 배치되는 상부 팬 모터;
    상기 하부 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 마련되는 하부 기계실;
    상기 하부 기계실에 배치되는 히트 펌프;
    상기 상부 기계실로부터 상기 상부 챔버의 상부로 연결되는 유로가 만들어지도록 배치된 제1 덕트; 및
    상기 하부 기계실로부터 상기 상부 기계실로 연결되는 유로가 만들어지도록 배치된 제2 덕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좌측 또는 우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흡기 댐퍼가 마련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챔버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덕트가 상기 상부 챔버의 내부로 개방되도록 마련된 제1 개구부;
    상기 상부 챔버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덕트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개방되도록 마련된 제2 개구부; 및
    상기 상부 기계실이 상기 하부 챔버의 내부로 개방되도록 마련된 제3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또는 상기 제2 개구부 중 하나가 개방되도록 배치된 상부 댐퍼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댐퍼를 구동하도록 배치된 제1 모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 내부에 배치된 자외선 필터 또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 내부에 배치된 탈취 물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계실에 배치된 상기 제2 덕트가 상기 제1 덕트 또는 상기 제3 개구부 중 하나로 개방되도록 배치된 내부 댐퍼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댐퍼를 구동하도록 배치된 제2 모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계실과 상기 제2 덕트 사이에 마련된 자외선 필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공기의 유입 통로를 마련하는 흡기 댐퍼;
    내부 공기의 배출 통로를 마련하는 배기 댐퍼;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상부 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하부 챔버의 상부면 사이에 마련된 상부 기계실에 배치된 상부 팬 모터;
    상기 하부 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 마련된 하부 기계실에 배치된 히트 펌프; 및
    상기 흡기 댐퍼,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상부 팬 모터 또는 상기 히트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탈취 모드에서 상기 흡기 댐퍼를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배기 댐퍼를 제어하여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습 모드에서 상기 흡기 댐퍼를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배기 댐퍼를 제어하여 내부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탈취 모드 또는 상기 제습 모드에서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이하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히트 펌프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살균 모드에서 상기 상부 챔버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이하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히트 펌프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상부 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하부 챔버의 상부면 사이에 마련된 상부 기계실에 배치된 상부 팬 모터;
    상기 하부 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 마련된 하부 기계실에 배치된 히트 펌프;
    상기 상부 챔버에 배치된 제1 덕트와 상기 하부 챔버에 배치된 제2 덕트의 연결 통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내부 댐퍼; 및
    상기 상부 팬 모터, 상기 히트 펌프 또는 상기 내부 댐퍼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탈취 모드에서 상기 내부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연결 통로를 폐쇄하고,
    제습 모드에서 상기 내부 댐퍼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연결 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연결 통로를 폐쇄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탈취 모드에서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임계 온도와 상기 제습 모드에서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임계 온도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전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살균 모드에서 상기 상부 챔버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 이하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히트 펌프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7. 하우징의 내부가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로 분리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탈취 모드에서 관련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 챔버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상기 상부 챔버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동작;
    상기 탈취 모드에서 상부 팬 모터와 하부 히트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에 내부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동작;
    제습 모드에서 상기 관련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 챔버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상부 챔버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동작; 및
    상기 제습 모드에서 상기 상부 팬 모터와 상기 하부 히트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 챔버에 외부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챔버에 내부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살균 모드에서 상기 관련 댐퍼를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동작; 및
    상기 살균 모드에서 상기 상부 팬 모터와 상기 하부 히트 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 각각에 내부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9. 하우징의 내부가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로 분리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탈취 모드에서 내부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 챔버에 배치된 제1 덕트와 상기 하부 챔버에 배치된 제2 덕트의 연결 통로가 차단되도록 하는 동작;
    제습 모드에서 상기 내부 댐퍼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연결 통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동작;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의 연결 통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모드에서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임계 온도와 상기 제습 모드에서 상기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임계 온도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동작 방법.
KR1020210173840A 2021-12-07 2021-12-07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20230085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840A KR20230085556A (ko) 2021-12-07 2021-12-07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PCT/KR2022/013290 WO2023106567A1 (ko) 2021-12-07 2022-09-05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US17/953,644 US20230175192A1 (en) 2021-12-07 2022-09-27 Electronic device for shoe or clothing ca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840A KR20230085556A (ko) 2021-12-07 2021-12-07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556A true KR20230085556A (ko) 2023-06-14

Family

ID=8673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840A KR20230085556A (ko) 2021-12-07 2021-12-07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5556A (ko)
WO (1) WO20231065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221Y1 (ko) * 2000-06-15 2000-12-01 정재은 에어세탁용 가구재
KR101100163B1 (ko) * 2004-08-16 201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건조 겸용 의류 건조기
KR20190131259A (ko) * 2018-05-16 201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10009694A (ko) * 2019-07-17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21040909A (ja) * 2019-09-10 2021-03-18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靴乾燥機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567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75192A1 (en) Electronic device for shoe or clothing ca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20220313061A1 (en) Shoe care apparatus
KR101243727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KR10130671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27704B1 (ko) 의류관리장치
US9764053B2 (en)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946014B2 (ja) 消毒保管庫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20090102401A (ko) 의류처리장치
US11492750B2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0199239A (ja) 靴乾燥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20230321292A1 (en) Shoe care apparatus
US20230414062A1 (en) Shoe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1036944A1 (ja) 乾燥機
KR101465190B1 (ko) 의류 건조기
KR20230085556A (ko)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0625104B1 (ko) 신발 건조기
KR20030064427A (ko) 자동 감지 기능을 갖는 열풍식 건조장치
JP2006149822A (ja) 衣類乾燥機
JP2000233099A (ja) 衣類等収納乾燥装置
US20240042079A1 (en) Shoe care apparatus
KR102013600B1 (ko) 의류 건조기
KR200357805Y1 (ko) 건조탈취기능을 갖는 옷장
KR101954117B1 (ko) 신발 건조기 및 온풍장치
US20240118027A1 (en) Shoe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336907B1 (ko) 청정공기 순환식 물품 수납 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