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259A -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259A
KR20190131259A KR1020180055900A KR20180055900A KR20190131259A KR 20190131259 A KR20190131259 A KR 20190131259A KR 1020180055900 A KR1020180055900 A KR 1020180055900A KR 20180055900 A KR20180055900 A KR 20180055900A KR 20190131259 A KR20190131259 A KR 20190131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path
space
clothes
in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안승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1259A/ko
Publication of KR2019013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 처리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웃터 케이스와, 의류 처리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의류 처리공간의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를 포함하며, 공기 유로는 이너 케이스와 아웃터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이너 케이스와 아웃터 케이스의 체결에 의해 이너 케이스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의류 처리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다만, 상기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의류의 탈취나 구김 제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즉, 종래 의류 처리장치는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탈취나 구김 제거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곧게 펴진 상태가 아니라 구겨진 상태이므로 구김 제거나 탈취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의 유동을 최소화 하고, 수분을 포함하는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의류 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의류에 제습/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공기의 유로를 개선한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공기의 공급 능력을 향상시킨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의 공급과 더불어 미스트(mist) 또는 스팀을 분무하여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의류 처리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의 외측에 체결되는 아웃터 케이스; 상기 의류 처리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체결에 의해 상기 이너 케이스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의류 처리공간은 상기 공기가 공급되는 송풍구와,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공기가 회수되는 회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송풍구와 상기 회수구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의 외측면에 상기 송풍구와 상기 회수구 사이를 연결하여 유로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유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아웃터 케이스는 상기 이너 케이스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 1유로 리브를 폐쇄하여 상기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내측면에 상기 제 1유로 리브에 접하는 제 2유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제 1유로 리브와 상기 제 2유로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사이의 공간에 상기 회수구와 상기 송풍구를 연결하여 유로 공간을 형성하는 유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 부재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체결에 따라 상기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또한, 상기 송풍구는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상부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회수구는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하부 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 유로가 연통되며, 상기 송풍구가 형성되는 송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공기를 회수하여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유로로 이동시키는 제 1송풍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의류 처리공간과 분리되어 상기 제 1송풍부가 설치되는 회수공간을 형성하는 기계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수구를 통해 회수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트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공기 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 상기 공기 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및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며, 냉매가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순환되도록 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유로에는 상기 공기 유로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의류 처리공간으로 공급하는 제 2송풍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구하기 위한 배수탱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공간에는 상기 의류가 거치됨과 동시에 상기 의류를 왕복 운동시키는 무빙행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의류 처리 공간으로 미스트를 생성하여 분사하는 수분공급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수분공급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의류에 제습/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공기의 유로를 개선한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공기의 공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공기의 공급과 더불어 미스트(mist) 또는 스팀을 분무하여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유로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 1송풍부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 2송풍부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송풍부의 공기유로/지름/두께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의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게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 이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한편, 본 발명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는 리프레셔 (referesher)뿐만 아니라 의류의 건조, 탈취, 구김제거를 위한 장치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refresh)라 함은 의류에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제거(removing wrinkles),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건조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종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에 한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는 의류가 처리되는 의류 처리공간(111)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10)의 외측에 결합되어 의류 처리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너 케이스와의 체결에 따라 공기의 공기 유로(200)를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160)와, 아웃터 케이스(160)의 전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너 케이스(110)의 의류 처리공간(111)을 개폐하는 도어(161)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너 케이스(110)의 의류 처리공간(111) 하부에는 의류 처리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기구 구성이 설치되는 기계실(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10)는 의류 처리공간(111)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의류 처리공간(111) 내부에는 의류 처리공간(111)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되는 송풍구(115), 의류 처리공간(111)에서 의류의 처리과정을 끝마친 공기가 회수되는 회수구(117)가 구비될 수 있다.
송풍구(115)와 회수구(117)는 의류 처리공간(111)에 체류하는 공기가 의류와 최대한 장시간 접촉할 수 있도록 의류 처리공간(111)의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구(115)는 의류 처리공간(111)의 중심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으며, 회수구(117)는 의류 처리공간(111)의 중심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풍구(115)는 의류 처리공간(111)의 상부 전방에 형성되며, 회수구(117)는 의류 처리공간(111)의 하부 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송풍구(115) 및 회수구(117)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송풍구(115)와 회수구(117)는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의 체결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유로(20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공기 유로(200)는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의 결합에 의해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 사이의 공간에 송풍구(115)와 회수구(117) 사이를 연장하여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 케이스(160)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너 케이스(110)와 체결됨으로써 이너 케이스(110)의 송풍구(115)와 회수구(117)를 연결하는 공기 유로(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아웃터 케이스(160)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상면/양 측면/후면을 형성하는 각각의 패널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의류 처리장치(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63)과, 의류 처리장치(100)의 양 측면 및 후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패널(165)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상부 패널(163) 및 수직패널(165)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의류 처리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공기 유로(200)를 형성한다면 본 발명의 상부 패널(163) 및 수직패널(165)의 범주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200)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케이스(110)의 외측 상면(111a)과 후면(111b)에는 공기 유로(2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면 유로 리브(127) 및 후면 유로 리브(131)가 이너 케이스(110)의 송풍구(115) (또는 송풍공간(129))와 회수구(117) (또는 회수 공간(414))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아웃터 케이스(160)의 수직패널(165)의 내측에는 이너 케이스(110)의 후면(111b)에 형성된 후면 유로 리브(1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직 유로 리브(169)가 형성되며, 아웃터 케이스(160)의 상부패널(163)의 하면에는 이너 케이스(110)의 상면(111a)에 형성된 상면 유로 리브(12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평 유로 리브(163a)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너 케이스(110)와 수직패널이 체결됨에 따라 회수구(117) (또는 회수 공간(414))와 연통되는 공기 유로(200)의 수직부가 형성되며, 이너 케이스(110)와 상부패널(163)이 체결됨에 따라 송풍구(115) (또는 송풍공간(129))과 연통되는 공기 유로(200)가 상부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이너 케이스(110)와 상부패널(163) 및 수직패널(165)이 체결됨에 따라 이너 케이스(110)의 처리 공간 - 송풍구(115) (또는 송풍공간(129)) - 회수구(117) (또는 회수 공간(414)) - 공기 유로(200)가 연결되는 폐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상면 유로 리브(127)와 후면 유로 리브(131)에는 상부패널(163) 및 수직패널(165)에 형성되는 수평 유로 리브(163a) 및 수직 유로 리브(169)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28)이 연장되어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상면 유로 리브(127)/후면 유로 리브(131)에는 상부패널(163) 및 수직패널(165)에 형성되는 수평 유로 리브(163a) 및 수직 유로 리브(169) 사이의 단열을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절연부재(133)가 더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공기 유로(200)를 형성함에 있어 이너 케이스(110)의 외측면과 아웃터 케이스(160)의 내측면에 각각 공기 유로(200)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127, 131, 163a, 169)들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이너 케이스(110)의 외측면과 아웃터 케이스(160)의 내측면 사이에 별도의 연장부재(미도시)를 추가 설치하여 공기 유로(200)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너 케이스(110)의 상면(111a)과 후면(111b)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200)의 단면적의 경우 공기 유로(200)로 이동되는 공기의 유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기 유로(200)가 형성되는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의 공간에 대비하여 75~85%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 사이의 공기 유로(200)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이너 케이스(110) 및 공기 유로(200)를 이동하는 공기의 온도 유지를 위하여 단열재(170a)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에 의해 형성되는 상명 공간 및 후면 공간에 공기 유로(200)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 공간을 통하여 공기 유로(20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이너 케이스(110)의 송풍구(115) (또는 송풍공간(129))와 회수구(117) (또는 회수 공간(414))를 연결하는 순환 경로가 형성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다시 도 2를 참고하여 이너 케이스(110)의 의류 처리공간(11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너 케이스(110)의 의류 처리공간(111) 내부에는 의류가 안착 또는 적재되어 처리되는 선반(113), 의류가 유동가능하게 거치되어 처리되는 무빙행어(119), 의류 처리공간(111)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1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분공급장치(125)에서 공급되는 수분은 가열된 수증기(스팀, steam) 또는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미스트, mist)를 의미할 수 있다. 스팀은 물을 끓는점 이상 가열함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고 미스트는 물을 진동시킴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다.
선반(113)은 이너 케이스(110)의 의류 처리공간(1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 처리공간(111)을 구획함과 동시에 비교적 크기가 작은 의류가 안착 또는 적재되어 처리되는 장소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선반(113)은 선반(113)에 안착 또는 적대된 의류가 의류 처리공간(111)으로 공급되는 공기 및 수분과 접촉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바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류 처리공간(111)은 선반(113)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어 지지되는 선반지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반지지부는 의류 처리공간(111) 내주면의 마주보는 양 내측벽에 각각 동일한 높이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반(113)은 의류 처리공간(111)의 양 내측벽에 구비된 선반지지부 중 마주하는 한쌍에 거치됨으로써 의류 처리공간(111)에 고정되어 의류 처리공간(111)을 선택적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의류 처리공간(111)에서 탈착되어 의류 처리공간(111)의 공간 구획을 가변할 수 있다.
무빙행어(119)는 의류가 거치되는 옷걸이(121)의 고리가 거치되어 옷걸이(121)를 왕복 운동시켜 옷걸이(121)에 거치된 의류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의류의 처리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무빙행어(119)는 의류 처리공간(111)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옷걸이(121)의 고리가 거치되는 행어바(123)와, 행어바(123)를 왕복 이동시키는 작동체(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무빙행어(119)의 왕복운동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빙행어(119)는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수분공급장치(125)는 의류 처리공간(111)의 후방 벽에 구비되어 의류 처리공간(111)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의류의 처리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수분공급장치(125)는 고급되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미도시) 또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수분을 형성하는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의류 처리공간(111)에서의 수분의 확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류 처리공간(111) 내에서 공기를 유동 및 순환시킬 수 있는 별도의 확산 팬(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분공급장치(125)는 후술할 기계실(140)에 구비되는 급수탱크(147)를 통하여 물을 공급 받을 수 있으며, 다르게는 후술할 히트펌프(18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수분공급장치(125)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의류 처리공간(111)으로 미스트를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125)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미도시)를 사용하여 고온 다습한 공기를 의류 처리공간(111)에 공급하여 수분공급장치(125)와 유사한 의류 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기계실(140)은 의류 처리장치의 공기를 가열 순환시키는 의류 처리공간(111)에 공기(가열된 공기 또는 미 가열공기)를 공급 및 순환하는 장치(예를 들어 히트펌프, 히터, 송풍팬 등), 물을 공급하는 장치(예를 들어 급수탱크 등), 의류 처리공간 또는 공기 유로에서 발생하는 물을 회수하는 장치(예를 들어 회수탱크(148))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실(140)은 이너 케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이너 케이스(110)와 별도로 구성되어 이너 케이스(110)를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함체 형상의 의류 처리공간(111)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10)의 하부에 의류 처리공간(111)과 분리되는 별도의 공간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함체 형상의 이너 케이스(110)에 공간을 구획하는 별도의 격벽이 형성 또는 설치되어 상부는 의류 처리공간(111)을 형성하고 하부는 기계실(140) 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기계실(140)은 의류 처리공간(111)의 회수구(117)와 연통되는 회수 공간(414)과, 회수 공간(414)에 구비되어 의류 처리공간(111)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제 1송풍부(142)와, 공기의 가열 및 제습을 위하여 히트펌프(180)와, 수분공급장치(125)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147) 및 히트펌프(180)의 증발기(18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탱크(148)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수 공간(414)에는 회수구(117)를 통하여 공기를 회수하기 위한 제 1송풍부(142)가 구비된다. 도 5에는 기계실에 구비되는 제 1송풍부가 개시되어 있다. 제 1송풍부(142)는 제 1송풍팬(143)과, 제 1송풍팬(143)의 공기 토출방향을 설정하는 제 1송풍팬 하우징(145)과, 제 1송풍팬(143)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1모터(146)를 구비한다. 제 1송풍팬(143)의 작동에 의해 의류 처리공간(111)의 공기가 회수구(117)를 통하여 흡입 회수되며, 흡입된 공기는 공기 유로(200)를 통하여 송풍구(115)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 1송풍팬(143) 및 제 1송풍팬 하우징(145)은 회수 공간(414)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모터(146)는 회수 공간(414)의 외측에 고정되어 제 1송풍팬(143)을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송풍부(142)의 구조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100)는 공기의 가열 및 제습을 위하여 히트펌프(180)가 구비될 수 있다. 히트펌프(180)는 공기 유로(200)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181)와, 공기 유로(200)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183)와, 공기 유로(200) 외부에 구비되며 냉매관을 통해 냉매가 증발기(181) 및 응축기(183)를 순환하도록 하는 압축기(185)와, 증발기(181)와 응축기(183) 사이의 냉매관에 구비되는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증발기(181)는 공기 유로(200)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가 증발되면서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응축기(183)는 공기 유로(200)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가 응축되면서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압축기(185)는 기계실(140) 내부에 구비되며 냉매 유로에 의해 증발기(181)와 압축기(185)에 연결된다. 한편 증발기(181)의 하부에는 증발기(18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판(18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로(200)상에는 응축기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를 추가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히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탱크(147)는 수분공급장치(125)로 연장되는 급수유로(147a)에 의해 연결되며, 급수유로(147a)에는 물을 수분공급장치(125)로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급수펌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수탱크(148)는 히트펌프의 증발기(181) 하부에 구비되는 집수판(181a)과 연결된 회수유로(148a)에 의해 연결되며, 집수판(181a)에서 집수되는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다.
여기서, 급수탱크(147) 및 회수탱크(148)는 기계실(140)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탱크(147) 및 회수탱크(148)는 드로워 형태로 구비되어 기계실(140)에 대하여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다르게는 급수탱크(147) 및 회수탱크(148)의 하부가 기계실(140)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급수탱크(147) 및 회수탱크(148)가 회동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 사이에 구비되는 공기 유로(200)에는 제 1송풍부(142)와 별도로 제 2송풍부(17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유로(200)의 경우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공기의 공기 유로(200)가 형성되며, 이러한 공기 유로(200)는 비교적 좁은 단면적으로 이너 케이스(110)의 후방 하부에 위치하는 회수구(117)에서 이너 케이스(110)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는 송풍구(115)로 비교적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유로 저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수구(117)의 회수 공간(414)에 위치하는 제 1송풍부(142)의 송풍 압력으로는 송풍공간(129)의 송풍구(115)로의 공기 이동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유로(200)에는 제 1송풍부(142)와 별도로 제 2송풍부(1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2송풍부(171)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유로(200)의 중간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송풍구(115)가 위치하는 송풍공간(129)과 히트펌프(180)의 증발기(181)/응축기(183)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2송풍부(171)는 이너 케이스(110)의 후면(111b)과 아웃터 케이스(160)의 수직패널(165)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 방향의 공기 유로(20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 2송풍부(171)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회수구(117)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송풍구(115)로 이동되는 경로 사이의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 2송풍부(171)는 공기 유로에 고정되는 제 2송풍팬 하우징(175)과, 제 2송풍팬 하우징(175)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 2송풍팬(173)과, 제 2송풍팬(173)을 구동하기 위한 제 2모터(177)와, 제 2모터(177)를 커버하는 모터 하우징(179)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2송풍팬(173)은 원심팬(시로코 팬)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송풍팬(173)은 제 2송풍팬(173)이 설치되는 공기 유로(200)의 경우 이너 케이스(110)와 아웃터 케이스(16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것으로 형성 위치의 제약에 따라 공기 유로의 폭(W)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에 제 2송풍팬(173)의 풍량 확보를 위해서는 제 2송풍팬(173)의 지름(D)이 제 2송풍팬(173)의 두깨(T)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즉,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로의 폭(W)에 대하여 제 2송풍팬(173)의 지름(D)이 75%~85%로 형성될 때 제 2송풍팬에 의한 송풍량이 최대치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송풍팬(173)의 지름(D)이 공기 유로의 폭(W)에 비하여 과하게 적을 경우(즉 제 2송풍팬(173)의 지름(D)이 공기 유로 폭(W)의 75% 보다 작을 경우) 제 2송풍팬(173)에 의한 송풍량을 확보하지 못하며, 제 2송풍팬(173)의 지름(D)이 공기 유로의 폭(W)에 비하여 과하게 클 경우(즉 제 2송풍팬(173)의 지름이 공기 유로 폭(W)의 85% 보다 클 경우) 제 2송풍팬(173)의 공기 유로 설치가 어려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 2송풍팬(173)의 지름(D)이 제 2송풍팬(173)이 설치되는 공기 유로(200)의 폭(W)에 대하여 적어도 0.8의 이상의 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송풍팬(173)의 두께(T)에 대하여 제 2송풍팬(173)의 지름(D)이 적어도 6~8배로 형성될 때 제 2송풍팬(173)에 의한 송풍량이 최대치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송풍팬의 지름(D)과 두께(T)의 비는 6~8: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송풍팬(173)의 지름(D)과 두께(T)의 비율과, 공기 유로(200)와의 상대적 비율은 제 2송풍팬(173)의 풍량 확보를 위한 것으로, 다른 요인(예를 들어 모터(177)의 rpm)등에 의해 제 2송풍팬(173)의 풍량이 확보될 경우 다른 비율을 갖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 2모터(177)는 제 2송풍부(171)가 설치되는 공기 유로(200)의 외측에 구비되어 제 2송풍팬(17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2모터(177)는 아웃터 케이스(160)의 외측에 설치되어 아웃터 케이스(160)를 관통하여 제 2송풍팬(173)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모터(177)가 아웃터 케이스(160)의 외측에 위치할 경우 모터 하우징(179)은 아웃터 케이스(160)의 외측에서 제 2모터(177)를 차폐 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 2모터(177)는 이너 케이스(110)의 의류 처리공간(111) 내측에 설치되어 이너 케이스(110)를 관통하여 제 2송풍팬(173)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모터(177)가 이너 케이스(110)의 의류 처리공간(111)의 내측에 위치할 경우 모터 하우징(179)은 이너 케이스(110)의 의류 처리공간 내측에서 제 2모터(177)를 차폐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송풍부(171)의 제 2모터(177)와 제 2송풍팬(173)이 직결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제 2모터(177)와 제 2송풍팬(173) 사이에 별도의 동력전달부재(예를 들어 밸트 및 풀리 등)이 구비되어 제 2송풍팬(173)을 구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도어(161)를 개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의류를 옷걸이 등에 거치하여 의류 처리공간(111)의 무빙행어(119)에 거치하거나, 의류 처리공간(111)에 구비되는 선반(113)에 적재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의류 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시작함에 따라 제 1송풍부(142)의 제 1송풍팬(143)에 의해 의류 처리공간(111)의 공기가 회수되어 공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히트펌프(180)의 압축기(185)가 작동하여 공기 유로(200)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하여 제거함과 동시에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유로(200)에는 가열된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송풍부(171)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가열된 공기는 제 2송풍부(171)에 의해 송풍공간(129)으로 이동되어 송풍구(115)로 배출된다.
이에 송풍구(115)로 배출된 공기는 의류 처리공간(111)으로 공급되고, 의류 처리공간(111)으로 공급된 공기는 의류 처리공간(111)의 의류를 처리(refresh)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 처리공간(111)으로의 공기 공급과 더불어 수분공급장치(125)에서 수분을 공급하여 의류 처리공간(111)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고온의 공기와 수분(미스트 또는 스팀)에 의해 의류의 처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의류가 거치되는 무빙행어(119)는 공기의 공급과 더불어 의류를 왕복 이동시키는 작동을 수행하여 의류의 처리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의류 처리장치 110: 이너 케이스
111: 처리공간 115: 송풍구
117: 회수구 119: 무빙행어
125: 수분공급장치 111a: 상면
111b: 후면 127: 상면 유로 리브
129: 송풍 공간 131: 후면 류로 리브
140: 기계실 141: 회수 공간
142: 제 1송풍부 147: 급수탱크
148: 회수탱크 160: 아웃터 케이스
161: 도어 163: 상부 패널
165: 수직 패널 171: 제 2송풍부
180: 히트펌프 181: 증발기
181a: 집수판 183: 응축기
185: 압축기 200: 공기 유로

Claims (15)

  1. 의류 처리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이너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웃터 케이스;
    상기 의류 처리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체결에 의해 상기 이너 케이스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공간은 상기 공기가 공급되는 송풍구와,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공기가 회수되는 회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송풍구와 상기 회수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외측면에 상기 송풍구와 상기 회수구 사이를 연결하여 유로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유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아웃터 케이스는 상기 이너 케이스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 1유로 리브를 폐쇄하여 상기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내측면에 상기 제 1유로 리브에 접하는 제 2유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제 1유로 리브와 상기 제 2유로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사이의 공간에 상기 회수구와 상기 송풍구를 연결하여 유로 공간을 형성하는 유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 부재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체결에 따라 상기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상부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회수구는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하부 후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 유로가 연통되며, 상기 송풍구가 형성되는 송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공기를 회수하여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유로로 이동시키는 제 1송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의류 처리공간과 분리되어 상기 제 1송풍부가 설치되는 회수공간을 형성하는 기계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구를 통해 회수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트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공기 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
    상기 공기 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및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며, 냉매가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를 순환되도록 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에는 상기 공기 유로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의류 처리공간으로 공급하는 제 2송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구하기 위한 배수탱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공간에는 상기 의류가 거치됨과 동시에 상기 의류를 왕복 운동시키는 무빙행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의류 처리 공간으로 수분을 생성하여 분사하는 수분공급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수분공급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KR1020180055900A 2018-05-16 2018-05-16 의류 처리장치 KR20190131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00A KR20190131259A (ko) 2018-05-16 2018-05-16 의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00A KR20190131259A (ko) 2018-05-16 2018-05-16 의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59A true KR20190131259A (ko) 2019-11-26

Family

ID=6873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900A KR20190131259A (ko) 2018-05-16 2018-05-16 의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12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131A (ko) * 2021-05-28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06567A1 (ko) * 2021-12-07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131A (ko) * 2021-05-28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61130A (ko) * 2021-05-28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3106567A1 (ko) * 2021-12-07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2761B2 (ja) 衣類処理装置
US9909249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50618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35347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moving hanger bar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KR101597106B1 (ko) 의류처리장치
US10883220B2 (en) Laundry machine
CN104294529A (zh) 衣物处理设备
US10072376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00052206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6772304B2 (ja) 衣類処理装置
KR20190131259A (ko) 의류 처리장치
KR20190131258A (ko) 의류 처리장치
US20110023562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EP3907325B1 (en)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7256235B2 (ja) 衣類処理装置
KR20150024552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38097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86713B1 (ko) 의류처리장치
JP7360899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20161130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