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600B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600B1
KR102013600B1 KR1020180074806A KR20180074806A KR102013600B1 KR 102013600 B1 KR102013600 B1 KR 102013600B1 KR 1020180074806 A KR1020180074806 A KR 1020180074806A KR 20180074806 A KR20180074806 A KR 20180074806A KR 102013600 B1 KR102013600 B1 KR 102013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space
blowing
infrared heate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주호
Original Assignee
한국보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보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보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상부 중앙에 송풍기가 설치되고 하부 양쪽 사이드에 송풍기가 설치되어, 송풍기 앞에 설치된 송풍 구멍에 출구에는 송풍가이드막이 설치되어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적외선 램프와 자외선 램프를 동시에 사용하여 건조와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 {Clothes drier}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히터를 이용한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의류건조기는 온도와 바람을 제어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온을 이용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별도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기능과 음이온(또는 플라즈마) 등을 이용하여 세균제거 및 곰팡이 번식 억제 및 탈취 등의 기능을 보강한 제품도 있다. 의류건조 목적 외에도 입던 의류를 세탁한 상태와 유사하게 만들어주기 위하여 고온스팀 및 바람 등을 이용하여 먼지(미세먼지 포함)제거, 세균제거, 탈취 등의 기능을 하는 의류관리기도 많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의류건조기나 의류관리기는 기능과 성능에 따라서 수만원부터 수백만원대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이다.
특히 보급형(저가형)의 제품은 주로 히터를 이용하여 온도를 상승시키고, 팬(fan) 등을 이용하여 바람을 발생시키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여 제작된 제품으로 세균의 제거나 탈취 등의 기능은 매우 취약하다 할 것이다. 특히 히터를 활용하는 부분에 있어서 작게는 100와트 대에서 크게는 1000와트가 넘는 용량의 히터를 사용하고 있다.
100~200와트대의 제품은 다수의 의류건조에 사용되지 않고 1~2벌의 의류에 적용하는 실정이므로 효율성이 떨어지고, 1000와트대의 히터를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은 실내로 유입되어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난방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온도가 상승하는 여름철에는 실내온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특허는 이러한 히터의 단점을 보완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소비전력으로 작동되며, 세균제거 및 탈취 등의 기능을 갖는 제품의 개발에 있다.
특히, 의류가 건조되기 위해서는 건조기 내의 내부 공간의 수분을 배출하고, 공기 순환이 잘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내부 공간에서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377330호, 의류건조기, 공고일 : 2005.03.10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 내부 공간에서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의류가 잘 건조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와 살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본체 케이스(10); 상기 본체 케이스의 천장과 이격되어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칸막이(20); 상기 본체 케이스 바닥면과 이격되어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제2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칸막이(21); 상기 제1 공간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는 제1 송풍장치(30); 상기 제1 송풍장치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제1 적외선 히터(31); 상기 제2 공간의 일측 사이드 영역에 설치되는 제2 송풍장치(40) 및 상기 제2 송풍장치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제2 적외선 히터(41); 상기 제2 공간의 타측 사이드 영역에 설치되는 제3 송풍장치(50) 및 상기 제3 송풍장치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제3 적외선 히터(51); 상기 송풍장치(30, 40, 50) 및 적외선 히터(31, 41, 51)을 제어하는 제어판넬(10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칸막이(20)에는 상기 제1 송풍장치의 아래에는 제1 송풍구멍(33) 및 상기 제1 송풍구멍을 통과하는 바람의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송풍가이드막(34)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칸막이(21)에는 상기 제2 송풍장치의 상부에는 제2 송풍구멍(43) 및 상기 제2 송풍구멍을 통과하는 바람의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송풍가이드막(44)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송풍장치의 상부에는 제3 송풍구멍(53) 및 상기 제3 송풍구멍을 통과하는 바람의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송풍가이드막(5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송풍가이드막(34)을 통해 토출되는 바람과 상기 제2, 3 송풍가이드막(44, 54)을 통해 토출되는 바람이 잘 순환되도록 내부 공간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순환유도막(6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칸막이 아래 부분 모서리에는 의류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히터(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유도막(64)은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중앙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위부분과 아래부분의 폭이 넓어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송풍가이드막, 제2 송풍가이드막, 및 제3 송풍가이드막은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하면, 의류 건조기 내의 공기기 순환이 잘 이루어져 의류가 잘 마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 건조와 동시에 있고, 자외선히터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고 냄새가 탈취되어 의류를 위생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상부칸막이 및 하부칸막이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송풍 장치의 상세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정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상부칸막이와 하부칸막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1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을 구분하는 상부칸막이(20)와 하부칸막이(21)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칸막이(20) 아래에는 옷걸이봉(1)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케이스(10)는 세탁물과 같은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실내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에는 본체케이스(10)의 내부가 투시 가능하도록 투명창(11a)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11)는 손잡이(11b)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도어(11)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 바닥에는 배수공(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스(10)의 일측면에는 공기필터(13)가 부착되어 내부의 습한 공기를 바깥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공기필터(13)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형성된 통기구(14)에 설치된다. 상기 공기필터(13)는 상기 통기구(14)를 통해 본체케이스(10) 내부로 유통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통기구(14)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측면 일부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필터(13)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 통기구(14)를 막도록 고정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필터(13)는 상기 본체케이스(10)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칸막이(20)는 본체케이스의 천장 조금 아래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케이스(10)의 천장과 상부칸막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상부공간, 제1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공간에는 제1 송풍장치(30)과 제1 적외선히터(31)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송풍장치(30)은 상부공간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고, 제1 적외선히터(31)는 송풍장치(30)의 양쪽 옆에 설치된다. 제1 적외히터(31)는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칸막이(21)는 본체케이스(10)의 바닥면의 조금 위 부분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케이스의 바닥면과 하부케이스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하부공간, 제2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공간에는 제2, 3 송풍장치(40, 50))과 제2,3 적외선히터(41, 51)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송풍장치(40)과 제3 송풍장치(50)은 하부공간의 양쪽 사이드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칸막이(20)와 하부칸막이(21)에는 송풍장치들과 적외선히터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칸막이(20)에는 제1 송풍장치(30)이 형성된 바로 아래 부분에 송풍구멍이 형성되어, 송풍장치에서 발생된 바람이 통과할 수 있고, 제1 적외선히터(31)가 형성된 바로 아래 부분에 투광구멍이 형성되어 제1 적외선히터(31)에서 조사되는 빛이 내부 공간으로 투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칸막이에는 제2 송풍장치(40) 및 제3 송풍장치(50)이 형성된 바로 위 부분에 송풍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적외선히터(41) 및 제3 적외선히터(51)가 형성된 바로 위 부분에 투광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칸막이(20)와 하부칸막이(21)에는 상기 송풍장치에 대응하는 송풍구멍외에도 공기가 왕래할 수 있는 다수의 송풍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공간에는 제1 송풍장치(30) 1개가 중앙에 설치되고, 하부공간에는 제2, 3 송풍장치 2개(40, 50)가 양쪽 사이드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송풍장치을 설치함으로써 내부 공간에 대류가 발생하여 의류가 보다 잘 건조된다.
또한, 송팬구멍의 입구에 송풍가이드막을 설치하여 바람이 옆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직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즉, 상부칸막이(20)의 송풍구멍이 형성된 부분에는 제1 송풍가이드막(34)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송풍가이드박(34)은 출구 방향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칸막이(20)의 송풍구멍이 형성된 부분에는 2 송풍가이드막(44) 및 제3 송풍가이드막(54)이 형성된다. 제2, 3 송풍 가이드막 역시 출구 방향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순환이 보다 더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공기 순환 경로를 유도하는 순환유도막(64)가 내부 공간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순환 유도막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대략 3등분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유도막(64)은 상부칸막이(20) 및 하부칸막이(21)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공기 순환 통로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순환유도막(64)이 걸이봉(1) 아래에 형성되어 있으나, 순환유도막(64)의 상단이 걸이봉(1) 위까지 연장되어도 무방하다.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순환유도막(64)은 본체케이스(10)의 뒤쪽 일측벽에 지지봉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도막(64)은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중앙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위부분과 아래부분의 폭이 넓어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칸막이(20) 아래 부분의 모서리 부분에는 자외선히터(71)가 설치될 수 있다. 자외선히터를 설치하여 살균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히터의 파장은 6∼14um이며 방사율은 95%이상이 바람직하며, 자외선히터의 파장은 300∼400nm 정도의 파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과 자외선에 의해 의류가 건조될때 내공 공간의 공기는 의류로부터 전리된 수분에 의해 고온 다습해지게 되고, 고온 다습해진 공기는 송풍장치에 순환하면서 통기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적외선히터, 송풍장치, 자외선히터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판넬(100)은 하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판넬(2)은 리모콘(3)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송풍장치를 상부칸막이(20) 및 하부칸막이(21) 바깥에 형성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송풍장치(30, 40, 50)의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송풍장치를 상부칸막이와 하부칸막이 바깥에 설치하여 송풍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러한 경우 앞서 도 2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송풍가이드막이 필요없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는 모터(410), 송풍팬(420), 팬날개케이스(430), 및 보호망(4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팬날개케이스(430)는 지지대(450)에 의해 지지되어 하부칸막이(21)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송풍장치(420)이 이격되어 있어 송풍장치의 후방으로 공기 유입이 자유롭기 때문에 공기흐름이 더욱 좋아질 수 있다.
상부칸막이에 설치된 송풍장치 역시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케이스 11 : 도어
20 : 상부칸막이 21 : 하부칸막이
30, 40, 50 : 송풍장치 31, 41, 51 : 적외선히터
34, 44, 54 : 송풍가이드막 64 : 순환유도막
71 : 자외선히터 410 : 모터
420 :송풍팬 430 : 팬날개케이스
440 : 보호망 450 : 지지대

Claims (5)

  1.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본체 케이스(10);
    상기 본체 케이스의 천장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칸막이(20);
    상기 본체 케이스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제2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칸막이(21);
    상기 제1 공간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는 제1 송풍장치(30);
    상기 제1 송풍장치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제1 적외선 히터(31);
    상기 제2 공간의 일측 사이드 영역에 설치되는 제2 송풍장치(40) 및 상기 제2 송풍장치(40)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제2 적외선 히터(41);
    상기 제2 공간의 타측 사이드 영역에 설치되는 제3 송풍장치(50) 및 상기 제3 송풍장치(50)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제3 적외선 히터(51);
    상기 제1, 2, 3 송풍장치(30, 40, 50) 및 제1, 2, 3 적외선 히터(31, 41, 51)를 제어하는 제어판넬(10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칸막이(20)에는 상기 제1 송풍장치(30) 아래의 제1 송풍구멍(33) 및 상기 제1 송풍구멍(33)을 통과하는 바람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송풍가이드막(34)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칸막이(21)에는 상기 제2 송풍장치(40) 상부의 제2 송풍구멍(43) 및 상기 제2 송풍구멍(43)을 통과하는 바람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송풍가이드막(44)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송풍장치(50)의 상부에는 제3 송풍구멍(53) 및 상기 제3 송풍구멍(53)을 통과하는 바람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3 송풍가이드막(5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송풍가이드막(34)을 통해 토출되는 바람과 상기 제2, 3 송풍가이드막(44, 54)을 통해 토출되는 바람이 잘 순환되도록 내부 공간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순환유도막(64)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도막(64)은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중앙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위부분과 아래부분의 폭이 넓어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칸막이(20) 아래 부분 모서리에는 의류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히터(7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가이드막(34), 제2 송풍가이드막(44), 및 제3 송풍가이드막(54)은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5.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본체 케이스(10);
    상기 본체 케이스의 천장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칸막이(20);
    상기 본체 케이스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제2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칸막이(21);
    상기 상부칸막이(20)의 중앙 영역 하단면에 부착되는 제1 송풍장치(30);
    상기 제1 송풍장치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제1 적외선 히터(31);
    상기 하부칸막이(21)의 일측 사이드 영역 상단면에 부착되는 제2 송풍장치(40) 및 상기 제2 송풍장치(40)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제2 적외선 히터(41);
    상기 하부칸막이(21)의 타측 사이드 영역 상단면에 부착되는 제3 송풍장치(50) 및 상기 제3 송풍장치(50)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제3 적외선 히터(51);
    상기 제1, 2, 3 송풍장치(30, 40, 50) 및 제1, 2, 3 적외선 히터(31, 41, 51)를 제어하는 제어판넬(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풍장치(30)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과 상기 제2, 3 송풍장치(40, 50)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이 잘 순환되도록 내부 공간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순환유도막(64)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도막(64)은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중앙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위부분과 아래부분의 폭이 넓어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KR1020180074806A 2018-06-28 2018-06-28 의류 건조기 KR102013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06A KR102013600B1 (ko) 2018-06-28 2018-06-28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06A KR102013600B1 (ko) 2018-06-28 2018-06-28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600B1 true KR102013600B1 (ko) 2019-10-21

Family

ID=6846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806A KR102013600B1 (ko) 2018-06-28 2018-06-28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6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100A (ja) * 2000-06-09 2001-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200377330Y1 (ko) 2004-12-09 2005-03-10 (주)덕성이엔지 의류 건조기
JP2005237607A (ja) * 2004-02-25 2005-09-08 Onodera Dry Cleaning Kojo:Kk 布団乾燥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布団乾燥方法
KR20050096037A (ko) * 2004-03-29 2005-10-05 마등산업개발 주식회사 먼지제거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옷장
KR20070053051A (ko) * 2005-11-18 2007-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옷장식 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100A (ja) * 2000-06-09 2001-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JP2005237607A (ja) * 2004-02-25 2005-09-08 Onodera Dry Cleaning Kojo:Kk 布団乾燥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布団乾燥方法
KR20050096037A (ko) * 2004-03-29 2005-10-05 마등산업개발 주식회사 먼지제거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옷장
KR200377330Y1 (ko) 2004-12-09 2005-03-10 (주)덕성이엔지 의류 건조기
KR20070053051A (ko) * 2005-11-18 2007-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옷장식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7925A (en) Hand drier
US20090193676A1 (en) Shoe Drying Apparatus
US20080256826A1 (en) Drying cabinet with ventilation system
US20070193058A1 (en) Drying cabinet and ventilation system
KR20210085188A (ko) 신발 관리기
KR102344874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의류건조기
US20230321292A1 (en) Shoe care apparatus
KR20110023450A (ko) 농산물 건조장치
JP6279811B2 (ja) 衣類を乾燥及び除菌するための衣類ケア装置
KR102013600B1 (ko) 의류 건조기
KR20180045246A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20140110407A (ko) 의류 건조기
KR200187262Y1 (ko) 위생 신발장
KR100625104B1 (ko) 신발 건조기
KR200397164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신발건조기
KR200415582Y1 (ko) 농산물 건조기
JP3619203B2 (ja) 乾燥装置
KR200422795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101799748B1 (ko) 드럼건조기용 신발 건조장치
KR0144207B1 (ko) 건조기능 및 제습기능을 갖는 옷장
KR200418256Y1 (ko) 차량용 매트 건조 및 살균기
KR102642464B1 (ko) 전기 식기 소독기
KR20190070123A (ko)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신발장
JP2000046466A (ja) 布団乾燥を可能としたバスル−ムシステム
JPH07241214A (ja) 保管装置